KR102547985B1 - 친환경 제초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985B1
KR102547985B1 KR1020230003990A KR20230003990A KR102547985B1 KR 102547985 B1 KR102547985 B1 KR 102547985B1 KR 1020230003990 A KR1020230003990 A KR 1020230003990A KR 20230003990 A KR20230003990 A KR 20230003990A KR 102547985 B1 KR102547985 B1 KR 102547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heating
flow pip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옥
노동균
박성구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희옥
노동균
박성구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옥, 노동균, 박성구, 이승용 filed Critical 한희옥
Priority to KR102023000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A01M21/04Apparatus for destruction by steam, chemicals, burning, or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electr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는 기 설정된 용량의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부와, 상기 용수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 유로관과 연결된 제2 유로관을 통해 주입하는 복합가열부와, 상기 제1 유로관과 상기 제2 유로관으로부터 이동하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복합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분사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제초기{ECO-FRIENDLY WEEDER}
본 발명은 친환경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잡초를 제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농장이나 도심의 공원 등에서 잡초제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잡초는 일정시간 제거하지 않으면 번식에 의해 농작물의 생육을 저해시키거나, 잔디를 침범하게 된다. 종래에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사람들이 농기구를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였으나, 그 효과가 일시적이어서 추가로 제초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다량의 제초제를 사용함으로써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거나, 토양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6537호(2019년 8월 1일 공고)는 복합 스팀분사 방식의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초제와 같은 약품에 의존하지 않고 물리적 방식으로 제초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일반적인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구동원으로 제초용 스팀을 분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차량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량이 없는 경우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게 고온으로 용수를 가열하여 잡초에 분사하여 제초할 수 있는 친환경 제초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용수의 수위에 따라 가열세기를 조절하여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제초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위치에서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하여 정밀 제초가 가능한 친환경 제초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잡초의 영상을 획득하여 학습하여 잡초 여부를 판별하여 분사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친환경 제초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는 기 설정된 용량의 용수를 저장하는 용수저장부와, 상기 용수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 유로관과 연결된 제2 유로관을 통해 주입하는 복합가열부와, 상기 제1 유로관과 상기 제2 유로관으로부터 이동하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복합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분사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합가열부는 상기 용수저장부의 상기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상기 용수저장부와 연결된 제1 유로관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2 가열부와, 상기 제1 유로관과 연결된 제2 유로관을 통해 상기 제1 유로관으로 이동하는 외부의 공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3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수저장부는 기 설정된 용량으로 타닌 성분의 제1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성분의 제2 용액을 상기 용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의 분사노즐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노즐이 기 설정된 위험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수저장부의 수위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별 분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를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하게 고온으로 용수를 가열하여 잡초에 분사하여 제초할 수 있다.
또한, 용수의 수위에 따라 가열세기를 조절하여 전기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위치에서만 스팀이 분사되도록 하여 정밀 제초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잡초의 영상을 획득하여 학습하여 잡초 여부를 판별하여 분사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 중 복합가열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 중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에 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6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 중 복합가열부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 중 제1 유로관과 제2 유로관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100)는 용수저장부(110), 복합가열부(120), 분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용수저장부(110)는 기 설정된 용량의 용수를 저장한다. 여기서, 용수는 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용수는 물에 탄산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기 설정된 비율로 혼합한 용액일 수 있다. 이 경우, 용수에 정제된 목초액, 타닌(tannin)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는 잡초의 뿌리 등에 흡수되어 생장을 저하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용수저장부(110)는 제1 유로관(120-1)과 연결된다. 제1 유로관(120-1)은 용수가 이동하는 관이며,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된 용수는 스팀형태로 제1 유로관(120-1)을 이동하게 된다.
또한, 용수저장부(110)는 제1 저장부(111) 및 제2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는 기 설정된 용량의 용수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11)의 용수가 소진되면 제2 저장부(112)의 용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의 용량은 사용자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는 각각 제1 유로관(120-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용수저장부(110)는 기 설정된 용량으로 타닌 성분의 제1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성분의 제2 용액을 용수에 공급할 수 있다. 용수저장부(110)에 공급되는 제1 용액과 제2 용액의 용량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타닌 성분의 제1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성분의 제2 용액은 잡초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의 용수와 제초성분의 약액에 의해 잡초 제거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복합가열부(120)는 용수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120-1)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120-1)과 연결된 제2 유로관(120-2)을 통해 주입한다. 다시 말해, 복합가열부(120)는 1차적으로 용수를 가열하고, 2차적으로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용수와 접촉시키게 된다. 이는 용수를 단시간에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복합가열부(120)는 전열방식으로 용수나 외부 주입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부는 제1 가열부(121), 제2 가열부(122) 및 제3 가열부(123)를 포함한다.
제1 가열부(121)는 용수저장부(110)의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한다. 제1 가열부(121)는 비접촉식으로 고주파를 이용하거나 접촉식의 전열코일을 이용하여 용수저장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한다. 제1 가열부(121)는 용수저장부(110)가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열부(121)의 가열온도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열부(121)는 용수저장부(110)의 바닥면이나 와주면을 둘러싸면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부(121)는 용수저장부(110)의 용수의 용량에 따라 전열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전열시 사용되는 전기의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 경우, 용수저장부(110)에는 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수의 수위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제1 가열부(121)는 가열세기를 감소시키면서 전기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용수가 촤저수위 미만인 경우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 가열을 중단할 수 있다. 이는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제2 가열부(122)는 용수저장부(110)와 연결된 제1 유로관(120-1)을 통해 이동하는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한다. 이는 1차적으로 가열된 용수를 추가적으로 가열하여 용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가열부(122)는 전열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열부(122)는 제1 유로관(120-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가열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21)를 따라 1차적으로 가열된 용수에 2차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용수를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제3 가열부(123)는 제1 유로관(120-1)과 연결된 제2 유로관(120-2)을 통해 제1 유로관(120-1)으로 이동하는 외부의 공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한다. 이 경우, 제1 유로관(120-1)의 일측으로 제2 유로관(120-2)이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관(120-2)의 단부에는 에어펌프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기 설정된 공기압으로 제1 유로관(120-1)에 주입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로관(120-2)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과 세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가열부(123)는 전열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유로관(120-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가열부(123)는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120-1)을 지난 용수와 접촉시킨다. 제3 가열부(123)는 나선형의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관(120-2)의 와주면에는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21), 제2 가열부(122) 및 제3 가열부(123)에 의해 용수는 고온으로 가열될 수있다.
분사부(130)는 제1 유로관(120-1)과 제2 유로관(120-2)으로부터 이동하는 스팀을 분사한다. 분사부(130)는 기 설정된 분사압으로 스팀을 잡초 등에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수는 액상에서 기체 상태의 스팀으로 가열되어 분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은 잡초를 열로 가열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분사부(130)는 분사노즐(131)을 조절하여 스팀의 분사세기나 분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13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분사세기나 분사범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구동된다.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의 수위를 감지하여 용수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 중 제1 저장부(111)의 수위가 최저수위 미만인 경우 제2 저장부(112)의 용수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로부터 끊김없이 가열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유로관(120-1)과 연결된 제1 저장부(111)와 제2 저장부(112)의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에 용수 잔량에 따라 잔여가동시간을 출력하고, 잔량이 부족한 경우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의 수위에 따라 타닌 성분의 제1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성분의 제2 용액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용수에 과도한 제1 용액이나 제2 용액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에 용수가 공급되면 수위를 감지한 후 제1 용액 또는 제2 용액을 기 설정된 비율로 공급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잡초의 종류에 따라 제1 용액이나 제2 용액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외부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잡초 종류에 따른 선택시 제1 용액이나 제2 용액의 용량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잡초에 따라 제1 용액이나 제2 용액의 최적의 비율을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합가열부(120)의 온도를 제어하고, 분사부(130)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복합가열부(120)가 용수를 350℃ 내지 700℃의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의 수위를 감지하여 복합가열부(120)의 가열온도나 구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전기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용수를 가열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 중 제1 저장부(111)의 수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제2 저장부(112)의 용수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합가열부(120)가 제1 가열부(121), 제2 가열부(122) 및 제3 가열부(123)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가열온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관(120-1) 및 제2 유로관(120-2)에는 복수의 지점에 온도센서가 형성되어 제어부(140)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유로관(120-1)의 온도를 기준으로 제2 유로관(120-2)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에 대한 가열온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가열온도로 가열된 스팀을 분사부(130)를 통해 분사시킬 수 있다. 이는 잡초에 따라 열에 반응하는 온도를 다양화하여 효율적으로 제초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에 감지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100)는 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분사부(130)의 분사노즐(131)에 형성되어 방향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50)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감지부(150)는 분사노즐(131)이 위험방향으로 향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여기서, 위험방향이란 분사노즐(131)이 지면이 아닌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노즐(131)이 하늘방향이나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위험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분사노즐(131)이 기 설정된 위험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분사부(13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고온의 스팀이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거나 주변에 지난가는 사람의 몸을 향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분사노즐(131)의 방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도 4의 (a)와 같이 위험방향을 벗어나면 분사부(130)의 구동을 개시하고, (b)와 같이 위험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분사부(130)의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분사노즐(131)의 방향에 따라 분사부(130)의 출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100)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10)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사용자단말(10)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을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그비, NFC, 와이파이(WIFI), 4G/5G와 같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단말(10)에는 잡초지역에 따른 분사정보가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위치에 잡초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용수저장부(110)의 수위정보, 위치정보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수저장부(110)의 수위정보는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는 GPS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분사정보를 수신하여 분사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별 분사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용수저장부(11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분사부(130)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육안으로 판단하고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분사부(130)를 구동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범위의 제초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100)는 영상획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는 분사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잡초의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영상획득부(170)는 비전카메라, 스테레오카메라, 적외선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는 잡초의 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러한 잡초의 영상은 잡초 여부를 판단하여 분사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초정보로 사용된다. 영상획득부(17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주간은 물론 야간의 경우 적외선카메라가 활성화되어 잡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획득부(170)로부터 잡초영상을 획득하여 이를 분석한다. 제어부(140)는 잡초영상을 획득하여 잡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에는 기 저장된 잡초영상이 빅데이터로 누적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영상획득부(170)에서 획득한 잡초영상을 기 저정된 잡초영상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분사부(13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40)는 영상획득부(170)에서 획득한 잡초영상이 기 저장된 잡초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분사부(13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육안으로 잡초 여부를 식별하지 않고도 잡초만을 골라서 제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초기(100)는 이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80)는 바퀴를 구동시켜 용수저장부(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용수저장부(110)를 등짐으로 착용하지 않고 지면에서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이동부(18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그 이동방향과 이동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동부(180)는 용수저장부(11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제어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이나 외부의 사용자단말(10)과 통신을 통해 이동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동부(180)를 기 설정된 이동정보로 이동시키면서 분사부(130)가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사용자가 용수저장부(110)를 수동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자동으로 맵핑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이동부(180)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이탈하면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사용자단말(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친환경 제초기
110 : 용수저장부
111 : 제1 저장부
112 : 제2 저장부
120 : 복합가열부
120-1 : 제1 유로관
120-2 : 제2 유로관
121 : 제1 가열부
122 : 제2 가열부
123 : 제3 가열부
130 : 분사부
131 : 분사노즐
140 : 제어부
150 : 감지부
160 : 통신부
170 : 영상획득부
180 : 이동부

Claims (5)

  1. 기 설정된 용량의 용수를 저장하되, 기 설정된 용량으로 타닌(tannin) 성분의 제1 용액과 수산화나트륨 성분의 제2 용액을 상기 용수에 공급하는 용수저장부;
    상기 용수를 가열하여 제1 유로관으로 이동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제1 유로관과 연결된 제2 유로관을 통해 주입하는 복합가열부;
    상기 제1 유로관과 상기 제2 유로관으로부터 이동하는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잡초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및
    상기 복합가열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분사부의 출력을 제어하며, 잡초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잡초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잡초영상이 기 저장된 상기 잡초영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가열부는,
    상기 용수저장부의 상기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1 가열부;
    상기 용수저장부와 연결된 제1 유로관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용수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2 가열부; 및
    상기 제1 유로관과 연결된 제2 유로관을 통해 상기 제1 유로관으로 이동하는 외부의 공기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제3 가열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초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의 분사노즐의 방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노즐이 기 설정된 위험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친환경 제초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수저장부의 수위정보,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별 분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친환경 제초기.
KR1020230003990A 2023-01-11 2023-01-11 친환경 제초기 KR102547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990A KR102547985B1 (ko) 2023-01-11 2023-01-11 친환경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990A KR102547985B1 (ko) 2023-01-11 2023-01-11 친환경 제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985B1 true KR102547985B1 (ko) 2023-06-26

Family

ID=8694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990A KR102547985B1 (ko) 2023-01-11 2023-01-11 친환경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5111A (en) * 1995-09-28 1996-11-19 Rajamannan; A. H. J. Method of using hot air foam to kill vegetation and pests
KR101308600B1 (ko) * 2013-05-10 2013-09-17 김진오 식물 고사장치 및 방법
KR101553608B1 (ko) * 2015-04-13 2015-09-16 경상남도 제초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210009568A (ko) * 2019-07-17 2021-01-27 서재근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453553B1 (ko) * 2022-06-22 2022-10-14 주식회사 그래코리아 페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제초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5111A (en) * 1995-09-28 1996-11-19 Rajamannan; A. H. J. Method of using hot air foam to kill vegetation and pests
KR101308600B1 (ko) * 2013-05-10 2013-09-17 김진오 식물 고사장치 및 방법
KR101553608B1 (ko) * 2015-04-13 2015-09-16 경상남도 제초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210009568A (ko) * 2019-07-17 2021-01-27 서재근 스팀을 이용한 제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무인 방제 시스템
KR102453553B1 (ko) * 2022-06-22 2022-10-14 주식회사 그래코리아 페라르곤산을 포함하는 친환경 제초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255B2 (en) Self-moving gardening robot and system thereof
US10191488B2 (en) Autonomous vehicle with improv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unction
EP3316673B1 (en) Robot vehicle and method using a robot for an automatic treatment of vegetable organisms
US89428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 robotic garden too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ES2654513T3 (es) Confinamiento de robot
EP3346348B1 (en) Robotic garden tool following wires at a distance using multiple signals
US20170020087A1 (en) Robotic irrigation system
CA30352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eld treatment and monitoring
CN109287256A (zh) 在外部区域中可自动行走的作业设备
IT201600116383A1 (it) Robot tagliaerba automatico e metodo di controllo associato
CN105518546B (zh) 喷灌控制系统
US20130192185A1 (en) Lawn mower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91352A (ko) 작업영역의 탐색과 탐색된 작업영역에서 연속작업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무인비행체
US20220279699A1 (en) Movable apparatus with automatic/autonomous operation slidable along pre-established paths among rows of vineyards, for the anti-bacterial and fungicide treatment of the same vineyards
KR102547985B1 (ko) 친환경 제초기
KR101312240B1 (ko) 스프링쿨러 겸용 야생동물 퇴치기
CN104041481B (zh) 遥控的运动激活水驱逐系统及方法
CN107258486B (zh) 智能洒水机器人及用于智能洒水机器人的控制方法
KR20190106898A (ko) 물을 분사하는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물 분사 시스템과, 상기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US20190091100A1 (en) Irrigation System
KR102590320B1 (ko) 온실 방제 로봇
KR101625403B1 (ko) 시설하우스용 병해충 예측진단기능 및 분무기능이 구비된 무인제어시스템
CN107646452A (zh) 一种杀灭植物病虫害方法
KR101315024B1 (ko) 승용 농기계용 조향장치
WO2000074465A1 (en) Automated mow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