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832B1 -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 Google Patents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832B1
KR102547832B1 KR1020220181555A KR20220181555A KR102547832B1 KR 102547832 B1 KR102547832 B1 KR 102547832B1 KR 1020220181555 A KR1020220181555 A KR 1020220181555A KR 20220181555 A KR20220181555 A KR 20220181555A KR 102547832 B1 KR102547832 B1 KR 10254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finger
container
guide rail
convey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1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석
이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제산업
Priority to KR102022018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8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8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식품위에 뒤집힌 용기를 덮어 이송면에 탑재하고 상기 이송면을 U자형 곡선구간에서 상하 반전시켜 용기에 식품을 안착시키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에 배치되어, 용기 또는 식품을 이송면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식품용기 고정장치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핑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레일, 일 측은 핑거에 연결되고 타 측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구동용 바, 및 가이드레일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 측에서 핑거 구동용 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핑거를 움직이는 핑거구동부를 포함한다.A food that is placed on a food packaging conveyor that covers an inverted container on food and mounts it on a conveying surface and inverts the conveying surface up and down in a U-shaped curved section to seat the food in the container, fixing the container or food detachably on the conveying surface A container holding device is provided.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is a finger movably coupled to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a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move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ng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guide rail It includes a finger driving bar that moves along and a finger driving unit formed on the guide rail and moving the finger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guide rail.

Description

식품용기 고정장치{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식품(packaged food)의 식품포장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포장 공정에서 포장 중인 식품의 용기 또는 식품을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od packaging technology for packaged f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for fixing a food container or food being packaged in a food packaging process.

인스턴트 식품(또는 다른 종류의 가공식품 등)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스턴트 식품 제조 중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공정 역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데, 식품 섭취 시 사용 가능한 용기를 함께 제공하는 용기 일체형 포장방식도 많이 사용된다.Instant foods (or other types of processed foods, etc.) can be prepared in a variety of ways. Various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packaging process of packaging products during instant food manufacturing, and a container-integrated packaging method that provides a container that can be used when eating food is also widely used.

용기 일체형 포장방식의 경우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일회용 용기 안에 내용물을 넣어서 포장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포장방식으로 제품을 대량 제조하기 위해 용기를 운송하고 식품을 적재하는 공정이 동반된다. 종래 용기를 컨베이어로 운송하면서 용기 내 식품을 투하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되었다(예, 대한민국 특허 10-1610696등). In the case of the container-integrated packaging method, a method of packaging by putting the contents in a disposable container made of plastic or the like is applied. This packaging method accompanies the process of transporting containers and loading food to mass-manufacture products. A conventional method of dropping food in a container while transporting the container by a conveyor has been frequently used (eg, Korean Patent No. 10-1610696, etc.).

그러나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다른 방식도 연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직선 컨베이어 대신 곡선구간이 있는 컨베이어 등으로 내용물(식품)과 용기를 동시에 상하 반전시켜 적재공정을 자동화하는 방법 등도 개발되고 있다. 그 밖에도 식품 형태와 용기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공정이 연구되고 있다.However, other methods are also being studied to simplify the process, for example, a method of automating the loading process by simultaneously inverting the contents (food) and the container upside down using a conveyor with a curved section instead of a straight conveyor is also being developed. In addition, various processes are being stud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d and the shape of the container.

이러한 연구에서 특히 곡선구간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제품이 의도치 않은 방향으로 밀려나거나 컨베이어에서 탈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는 종래 기술로는 해결이 곤란하므로 대안이 필요하였다. 특히, 곡선구간을 주행하는 동안 제품 고정이 곤란하고 공정 중에 제품을 컨베이어에 안착하거나 고정하기 곤란하여 그에 대한 대안이 필요하였다.In this study, problems such as the product being pushed in an unintended direction or falling off the conveyor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especially in the curved section may occur. Since these problems are difficult to solve with the prior art, an alternative was neede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x the product while driving on a curved section and it is difficult to seat or fix the product on the conveyor during the process, so an alternative to it is needed.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0696호, (2016. 04. 0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10696, (2016. 04. 0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포장 공정에서 포장 중인 식품의 용기 또는 식품을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곡선구간 주행 중 제품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고 공정 중에 제품을 원활하게 컨베이어에 안착하거나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o provide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for fixing a food container or food being packaged in a food packaging process, thereby effectively fixing the product while driving in a curved section and processing It is to enable the product to be smoothly seated or fixed on the conveyor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의한 식품용기 고정장치는, 식품위에 뒤집힌 용기를 덮어 이송면에 탑재하고 상기 이송면을 U자형 곡선구간에서 상하 반전시켜 상기 용기에 식품을 안착시키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식품을 상기 이송면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면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핑거,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면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레일, 일 측은 상기 핑거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구동용 바 및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핑거 구동용 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핑거를 움직이는 핑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는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면과 수직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면 상에서 회전되고, 상기 핑거 구동용 바는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된 축으로 형성되며 말단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고 상기 핑거구동부에 작동에 의해 말단의 위치가 바뀌는 구동암과 구동암의 말단에 형성된 말단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가이드레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가동레일과 상기 가동레일을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된 제1위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어긋난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U자형 곡선구간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면이 상기 U자형 곡선구간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핑거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U자형 곡선부과 말단삽입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결합되도록 이동되는 경우, 핑거 구동용 바가 회전되도록 하며 핑거가 용기를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하방으로 이동하며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되는 경우, 핑거 구동용바가 회전되도록 하며 핑거가 용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conveyor for food packaging that covers an inverted container on food and mounts it on a conveying surface and inverts the conveying surface up and down in a U-shaped curved section to seat the food in the container, and the container or In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for detachably fixing the food on the conveying surface, a finger movably coupled to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 driving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moves A guide rail disposed alo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nger and the other side formed on the finger driving bar and the guide rail moving along the guide rail,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guide rail And a finger driving unit for moving the finger by adjusting, wherein the finger is coupled to a rotating shaft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nd is rotated on the conveying surface, and the finger driving bar is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At the end of the drive arm and drive arm,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surface, is formed of an ax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by protruding at the end, and the position of the end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the finger drive unit A movable rail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guide rail is segmented and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rail, and the movable rail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at a first position and the guide rail and a driving cylinder that moves between a second position shifted from U, wherein the guide rail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and keeps the finger in a fixed state while the conveying surface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Further compris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curved portion and the end insertion portion are inserted, and when the movable rail is moved to be coupled with the guide rail, the finger driving bar is rotated and the finger rotates in the direction of locking the container, and moves downward And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the finger driving bar can be rotated and the finger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unlocking the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U자형 곡선부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The movable rail may be formed at least one of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U-shaped curved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복수의 상기 핑거 중 일부가 인접한 핑거의 회전축과 링크로 연결되어 동작이 동기화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fingers may be connected to the axis of rotation of an adjacent finger through a link so that the operation may be synchronized.

상기 핑거 구동용 바는,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상기 이송면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된 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과 상기 핑거 구동용 바의 사이에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에 편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핑거 구동용 바에 편심결합되어 상기 핑거 구동용 바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회전변환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nger driving ba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nd is formed of a shaf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haft, and one end between the rotating shaft and the finger driving bar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The eccentric coupling and the other end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conversion link that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finger driving bar to convert rota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into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삭제delete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는 상기 U자형 곡선구간이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된 체인 컨베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면은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플레이트의 일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od packaging conveyor may be formed of a chain conveyo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shaped curved section, and the conveying surface may be formed as one surface of a conveying plate moving along a chain of the chain conveyor.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식품의 자동포장 공정에서 주행 중인 제품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용기와 용기안에 적재되는 식품의 크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어느 쪽이든 고정할 수 있고 간결하면서도 효과적인 고정구조로 곡선구간에서 제품이 원심력에 의해 탈락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의 구간에 따라 적절한 지점에서 제품고정 및 고정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컨베이어에 제품을 탑재하고, 안전하게 곡선구간을 통과하며 배출지점에서 배출하는 세부공정들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ix products on the move in an automatic packaging process of packaged food. In particular,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container and the food loaded in the container, either can be fixed, and the produc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by centrifugal force in the curved section with a simple and effective fixing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product is fixed and released at an appropriate point according to the section of the conveyor, detailed processes of loading the product on the conveyor, safely passing through the curved section, and discharging from the discharge point can be carried out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용기 고정장치를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이 하방 이동된 상태의 식품용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측면 레일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품용기 고정장치 및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 상에 배치된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이송면에 배치된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핑거 및 푸셔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가이드레일에 배치된 핑거구동부의 가동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핑거의 동작을 레일구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와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공정배치를 예시한 공정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이송면이 곡선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이송면에 식품 및 용기가 탑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9는 이송면이 곡선구간을 통과할 때 핑거의 식품용기 고정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0은 이송면이 곡선구간 통과 후 상하 반전된 용기와 식품을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food packaging conveyo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is moved downwar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rail structure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of Figure 1;
4 is a plan view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nd the food packaging conveyor of FIG. 1;
5 to 10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disposed on a conveying surface of a food packaging conveyor.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finger and a pusher of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disposed on a transfer surface.
12 is a view showing movable points of a finger driving unit disposed on a guide rail.
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rail structure.
15 is a process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arrangement of a food packaging conveyor and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6 to 18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food and containers are loaded onto the conveying surface before the conveying surface enters a curved section.
FIG. 1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finger fixing operation of a food container when the conveying surface passes through a curved section.
20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ischarging an upside down container and food after the conveying surface passes through a curved sec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 한정될 필요 없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뒷받침하여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시한다.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Without needing to be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form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It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삭제delete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식품용기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품용기 고정장치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용기 내 식품위치를 조절하는 식품위치제어구조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식품용기 고정장치와 함께 식품위치제어구조도 설명한다.Hereinafter,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0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nd can be used with a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food in the container,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nd the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용기 고정장치를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이 하방 이동된 상태의 식품용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측면 레일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식품용기 고정장치 및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food packaging conveyor,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hold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is moved downward.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rail structure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of FIG. 1,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of FIG. 1 and a food packaging conveyo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 배치된다.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핑거(100), 가이드레일(200), 핑거 구동용 바(300), 및 핑거구동부(400)를 포함하되 핑거(100)와 핑거 구동용 바(300)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 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00)은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 상에서 핑거 구동용 바(300)를 움직여 핑거(100)를 조작하도록 형성된다. 1 to 4,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is disposed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includes a finger 100, a guide rail 200, a finger driving bar 300, and a finger driving unit 400, but the finger 1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are food It is installed on the conveying surface 11 side of the packaging conveyor 10, and the guide rail 200 is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moves.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formed to manipulate the finger 100 by moving the finger driving bar 300 on the guide rail 200 .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이송면(11)에 배치된 핑거(100)를 이용하여 식품(A) 또는 용기(B)를 이송면(11)에 고정할 수 있다. 핑거(100)는 이송면(11)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핑거 구동용 바(300)는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움직이면서 핑거(100)의 상태를 유지하거나 변경하므로 가이드레일이 연장된 서로 다른 지점에서 고정동작을 진행하여 식품(A) 또는 용기(B)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곡선구간에서는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문제없이 곡선구간을 통과할 수 있다.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may fix the food A or the container B to the conveying surface 11 using the fingers 100 disposed on the conveying surface 11 . Although the finger 100 is dispos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the finger driving bar 300 maintains or changes the state of the finger 100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00, so that different points where the guide rail is extended It is possible to fix the food (A) or the container (B) by performing the fixing operation at . In addition, it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curved section and can pass through the curved section without problems.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핑거(100)를 잠금상태 또는 잠금 해제상태로 수시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요한 지점(예, 식품 낙하지점, 용기 탑재지점, 및 제품 배출지점 등)에서는 언제든지 핑거(100)를 움직여 투입된 식품이나 용기를 이송면(11)에 고정하고 반전동작이 끝난 제품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nger driving unit 400 can frequently change the finger 100 to a locked state or an unlocked state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guide rail 200 . Therefore, at any necessary point (e.g., food drop point, container mounting point, product discharge point, etc.), the finger 100 is moved at any time to fix the input food or container to the transfer surface 11, and the product after the reverse opera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또한 핑거(100)는 단순 고정방식이 아닌, 회전하면서 잠그는 방식으로 용기를 견고히 고정하기 때문에, 곡선구간에서 가속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문제없이 제품을 이송면(11)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nger 100 firmly fixes the container in a rotational locking method rather than a simple fixing method, the product can be fixed to the transfer surface 11 without problems even when centrifugal force acts due to acceleration in a curved sec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식품(A)위에 뒤집힌 용기(B)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하고 이송면(11)을 U자형곡선구간에서 상하 반전시켜 용기(B)에 식품(A)을 안착시키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 배치되어, 용기(B) 또는 식품(A)을 이송면(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에 있어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핑거(100),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레일(200), 일 측은 핑거(1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구동용 바(300), 및 가이드레일(200)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00)의 적어도 일 측에서 핑거 구동용 바(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핑거(100)를 움직이는 핑거구동부(400)를 포함한다.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covers the container B overturned on the food A, mounts it on the transfer surface 11, and inverts the transfer surface 11 up and down in the U-shaped curve section so that the food is placed in the container B In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disposed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for seating A) to detachably fix the container (B) or food (A) on the conveying surface (11),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 finger 100 movably coupled to the conveying surface 11 of (10), a guide rail 200 disposed along the traveling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oves, one side A finger driving bar 300 connected to the finger 100 and the other sid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00, and a finger driving bar formed on the guide rail 200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guide rail 200 It includes a finger driving unit 400 that moves the finger 10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300 .

핑거 구동용 바(300)의 위치조절은 회전위치 조절(즉, 핑거 구동용 바의 회전)을 포함한다.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includes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ie, rota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의 일부가 분절되어 가이드레일(2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가동레일(도 3의 410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레일(20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곡선구간(10a)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는 동안 핑거(100)를 고정상태(후술하는 잠금상태와 같다)로 유지시키는 U자형 곡선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핑거(100)는 이송면(11)과 수직한 회전축(도 5의 110참조)에 결합되어 이송면(11)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핑거(100)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110)이 중앙에 관통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움직이며 복수의 식품(A) 또는 용기(B)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ncludes a movable rail (see 410 in FIG. 3)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guide rail 200 can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rail 200. . In addition, the guide rail 2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while the conveying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finger 100 is fixed. It may include a U-shaped curved portion 201 to be maintained (same as a locked stat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nger 100 may be coupled to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surface 11 (see 110 in FIG. 5) and rotat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nger 100 is rotated at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110. It is formed in a pierced bar shape, both ends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can simultaneously fix a plurality of foods (A) or containers (B).

한편,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는 용기(B) 내 식품(A)위치를 조절하는 식품위치제어구조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식품위치제어구조는 예를 들어, 이송면(11)을 관통하여 결합된 푸셔(500),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보조가이드레일(600), 및 일 측은 푸셔(5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가이드레일(600)에 형성된 작동홈을 따라 움직이며 캠작용에 의해 푸셔(500)를 구동하는 구동바(7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also be formed with a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od (A) in the container (B). The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is, for example, a pusher 500 coupled through the conveying surface 11, an auxiliary guide rail 600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moves, and one side of the pusher ( 500) and the other side may include a driving bar 700 that moves along an operating groove formed in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and drives the pusher 500 by a cam action.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200)과 보조가이드레일(500)은 각각 구동바(300) 및 핑거 구동용 바(3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궤도 또는 트랙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가이드레일(600)이 안쪽에, 가이드레일(200)이 바깥쪽에 서로 교차 또는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guide rail 200 and the auxiliary guide rail 5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rack or track capable of moving the driving bar 3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auxiliary guide rails 600 may be disposed on the inside and the guide rails 200 on the outside so as not to cross or overlap each other.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su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체인(13)과 체인(13) 사이에 형성된 이송면(11)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한 쌍의 체인(13) 사이에 이송면(11)이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컨베이어 내부를 보여주기 위해 이송면(11)이 일부만 도시되었지만, 이송면(11)은 체인(13) 전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의 이송면(11)은 그 일부이다.First,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briefly described. 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include a chain 13 and a conveying surface 11 formed between the chains 13 .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have a conveying surface 11 connected between a pair of chains 13 . Although only a portion of the conveying surface 11 is shown to show the interior of the conveyor, the conveying surface 11 may be disposed throughout the chain 13 . The conveying surface 11 in the drawing is a part thereof.

이송면(11)은 예를 들면, 통상의 컨베이어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형성하는 면과 대응될 수 있다. 이송면(11)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식품 및 용기가 안착되는 면이다.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적어도 일 측에 U자형 곡선구간(10a)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로 형성되고, 이송면(11)은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13)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플레이트(14)의 일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ying surface 11 may correspond to a surface formed by a conveyor belt in a normal conveyor. The transfer surface 11 is a surface on which food and containers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re seated.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s formed of a chain conveyor having a U-shaped curved section 10a on at least one side, and the conveying surface 11 carries the chain 13 of the chain conveyor. It may be formed as one side of the transfer plate 14 moving along.

이송플레이트(14)는 체인(13) 사이를 연결하여 체인(13) 사이에 이송면(11)을 형성한다(도 1 및 도 4참조). 이송면(11)은 이송플레이트(14)의 외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13)이 작동하여 이송플레이트(14)가 체인(13)을 따라 이동하면 이송면(11) 역시 체인(13)을 따라 주행한다. 이송면(11)의 주행경로는 체인(13)이 연장된 경로와 대응된다.The transfer plate 14 connects the chains 13 to form a transfer surface 11 between the chains 13 (see FIGS. 1 and 4). The transfer surface 11 may be formed as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plate 14 . When the chain 13 operates and the transfer plate 14 moves along the chain 13, the transfer surface 11 also travels along the chain 13. The travel path of the conveying surface 11 corresponds to the path along which the chain 13 extends.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는 벨트 컨베이어 등 다른 종류의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벨트 상에 이송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벨트와 접하는 롤러 등이 식품용기 고정장치(1)의 배치를 방해하지 않도록 컨베이어 일부를 적절히 변형할 수도 있다. 이송면은 컨베이어의 부분적인 변형 등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hereto,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may be formed of another type of conveyor such as a belt conveyor. In such a case a conveying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belt. If necessary, a part of the conveyor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so that the roller or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bel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The conveying surfac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rough partial deformation of the conveyor.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적어도 일 측에 U자형 곡선구간(10a)을 포함한다. U자형 곡선구간(10a)은 도면 상에 나타난 것처럼 컨베이어의 일부가 상하로 굽은 구간일 수 있다. 따라서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면 이송면(11)은 상하가 반전되며, 이송면(11)에 놓인 식품(A)과 용기(B) 역시 상하가 반전된다.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ncludes a U-shaped curved section 10a on at least one sid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may be a section in which a part of the conveyor is bent up and down. Therefore, when passing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transfer surface 11 is upside down, and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plac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are also upside down.

따라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식품(A) 위에 뒤집힌 용기(B)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하고(도 8참조), 이송면(11)을 U자형 곡선구간(10a)에서 상하 반전시켜(도 2참조), 용기(B) 안에 식품(A)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이 가능한 한도 내에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형태는 다른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covers the overturned container B on the food A and mounts it on the transfer surface 11 (see FIG. 8), and the transfer surface 11 is upside down in a U-shaped curved section 10a. (see FIG. 2), the food (A) can be placed in the container (B). The shap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be modified to other shapes within the limit of such an action.

본 실시예에서는 무한궤도 형태의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가 예시된다. 따라서 이송면(11)의 주행경로는 닫힌 궤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면(11)은 상하 반전을 반복하며 주행경로를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상단직선구간(도 3의 10c참조), 하단직선구간(도 3의 10d참조), 및 U자형 곡선구간(10a)과 대칭형태로 상단직선구간(10c)과 하단직선구간(10d)을 연결하는 U자형 귀환구간(1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is exemplified. Therefore, the travel path of the transfer surface 11 can be formed as a closed track, and the transfer surface 11 can be repeatedly rotated periodically along the travel path while repeating vertical inversion. In this embodiment,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has an upper straight section (see 10c in FIG. 3), a lower straight section (see 10d in FIG. 3), and an upper straight section in symmetry wit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see FIG. 3). 10c) and a U-shaped return section 10b connecting the lower straight section 10d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is embodiment, the description proceeds based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of this type.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식품(A)과 용기(B)를 상하 반전시켜 용기(B) 안에 식품(A)을 안착시킨다. 즉 종전처럼 용기를 단순 이송하지 않고 식품(A) 위에 뒤집힌 용기(B)(입구가 이송면을 향하게 뒤집힌 컵형 용기일 수 있다)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하고, 도 2처럼 U자형 곡선구간(10a)에서 이송면(11)을 상하 반전시키는 방식으로 용기(B)와 식품(A)의 상하를 동시에 반전시킨다. 따라서 처음에 뒤집혀 있던 용기(B)는 반전 후 정상상태로 배열되고 식품(A)은 용기(B)안에 정상적으로 적재된다. 본 발명의 식품용기 고정장치(1)는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안에 식품이 적재된 포장식품(packaged food) 제조 시 식품(A) 또는 용기(B)를 이송면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nverts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up and down so that the food A is seated in the container B. That is, instead of simply transporting the container as in the past, an inverted container (B) (which may be a cup-shaped container with an inlet facing the conveying surface) is covered on top of the food (A) and mounted on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the U-shaped curve as shown in FIG. In the section 10a, the container B and the food A are simultaneously inverted in such a way that the conveying surface 11 is vertically inverted. Therefore, the container (B), which was initially inverted, is arranged in a normal state after inverting, and the food (A) is normally loaded into the container (B).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ix food (A) or container (B) to a conveying surface when manufacturing packaged food in which food is loaded in the container in this way.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면, 식품(A)은 인스턴트 면 등 용기(B)안에 적재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고 용기(B)는 상면이 개방된 컵형 용기(B)일 수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ood (A) is of a type that can be loaded into the container (B), such as instant noodles, and the container (B) may be a cup-shaped container (B) with an open top.

도 5 내지 도 1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 상에 배치된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11은 이송면에 배치된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핑거 및 푸셔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5 to 10 are operational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disposed on the conveying surface of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and FIG. 11 is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nger and pusher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disposed on the conveying surface.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송면 측에 배치된 구성은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고,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레일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진행되는 장치의 전체 동작은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 Configurations disposed on the transfer surface sid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1 , and a rail structure including guide rail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while moving along the rai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5를 참조하면, 핑거(100)는 이송면(11)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핑거(100)는 이송면(11)과 수직한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이송면(11)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핑거(100)는 회전에 의해 식품(A) 또는 용기(B)와 접촉하기 때문에 회전범위 안에만 있으면 식품(A) 이나 용기(B)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문제 없이 고정 가능하다. 핑거(100)는 중앙에 회전축(110)이 관통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finger 100 is movably coupled to the transfer surface 11 . The finger 10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10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surface 11 and rotat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 Since the finger 100 contacts the food (A) or container (B) by rotation, it can be fixed without problems even if the size of the food (A) or container (B) is different as long as it is within the rotation range. The finger 10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through which the rotational shaft 110 passes through the center.

핑거(1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핑거(100)의 적어도 일부는 회전축(110)이 중앙에 관통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움직이며 복수의 식품(A) 또는 용기(B)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도 9참조). 즉 핑거(100)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축(110)의 양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서로 다른 식품(A)이나 용기(B)를 고정할 수 있다. 핑거(100) 중 이송면(11) 양 끝에 위치한 일부는 양쪽 고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회전축(110)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연장된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nger 1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nger 100 is formed in a bar shap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10 passes through the center, so that both ends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oods A or containers B can be simultaneously fixed (FIG. 9 reference). That is, even if the finger 100 rotates in one direction, it exte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rotation shaft 110, so that when both ends move in opposite directions, different foods (A) or containers (B) can be fixed. Some of the fingers 10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surface 11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only in one direction from the rotation shaft 110 because both sides do not need to be fixed.

핑거(100)는 핑거 구동용 바(300)에 연결되어 핑거 구동용 바(300)의 작동에 의해 움직인다. 도 11을 참조하여 핑거(100)와 핑거 구동용 바(300)의 연결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a)와 (b)는 이송면(11) 하부구조를 서로 반대편에서 바라본 것이다.The finger 100 is connected to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 Referring to FIG. 11,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nger 1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11 (a) and (b) show the lower structure of the transfer surface 11 viewed from opposite sides.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복수의 핑거(100)는 핑거 구동용 바(300)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핑거 구동용 바(300)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핑거(100)가 연결되어 핑거(100)들이 한꺼번에 동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복수의 핑거(100) 중 일부는 인접한 핑거(100)의 회전축(110)과 링크(120)로 연결되어 동작이 동기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1 , the plurality of fingers 10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as shown in the finger driving bar 300 . That is, a plurality of fingers 100 are connected to different positions of one finger driving bar 300 so that the fingers 100 can operate at once. If necessary, some of the plurality of finger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110 of the adjacent finger 100 and the link 120 to synchronize the operation.

링크(120)의 연결구조는 도 11의 (a)에 도시되어 있다. 링크(120)는 인접한 두 핑거(100) 각각의 회전축(110)에서 각각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두 개의 제2연결암(1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암(112)에 의해 링크(120)의 양단부는 두 회전축(110)의 회전중심에서 각각 이격된 편심 결합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쪽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제2연결암(112)에 변위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변위에 대응하는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110)에 발생시킬 수 있다. 즉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링크(120)가 회전방향으로 당겨지며 다른 쪽 회전축(110)을 회전시킴으로써 링크(120)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핑거(10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도 9의 화살표 참조).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ink 120 is shown in (a) of FIG. The link 12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two second connection arms 112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each of the rotation shafts 110 of the two adjacent fingers 100 . Both ends of the link 120 by the second connection arm 112 are coupled eccentrically space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wo rotation shafts 110, respectively. As a result, when one rotation shaft 110 rotates, displacement occurs in the second connection arm 112, and thus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cement can be generated in the other rotation shaft 110. That is, when the rotating shaft 110 rotates, the link 120 is pull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by rotating the other rotating shaft 110, at least two fingers 100 connected to the link 120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FIG. 9 see arrow).

이러한 링크를 이용한 연결구조는 이송면(11) 하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장애물을 회피하는 데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것처럼 복수의 푸셔(50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배치되고 연결바(5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531)가 형성되어 핑거(100)와 핑거 구동용 바(300) 사이의 공간 일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이와 같이 링크(120)를 이용한 우회연결 방식으로 연결하면 문제없이 핑거(100)의 동작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A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ch a link can be very advantageous in avoiding an obstacle when there is an obstacle below the transfer surface 11 . For exam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connecting bar 5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ushers 500 is disposed, and a lifting guide 531 guiding the lifting of the connecting bar 530 is formed, so that the finger 100 and the finger drive Part of the space between the bars 300 may be blocked. Even in such a case, if the link 120 is connected in a detour connection method, the motions of the fingers 100 can be synchronized without any problems.

핑거 구동용 바(300)는 회전력을 전달하여 핑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핑거 구동용 바(300)는 후술하는 핑거구동부(400)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며 그로 인해 핑거(100)를 구동할 수 있다. 위치의 변경은 회전(즉 회전위치의 변경 또는 회전변위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핑거 구동용 바(300)는 회전 가능한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nger driving bar 300 may operate the finger 100 by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changed by a finger driv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us the finger 100 can be driven. The change of position may include rotation (ie, change of rotational position or generation of rotational displacement). The finger driving bar 300 may be formed as a rotatable shaft.

구체적으로 핑거 구동용 바(300)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1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핑거(100)의 회전축(110)과 수직하게 배치된 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핑거 구동용 바(300)는 이송면(11)을 형성하는 이송플레이트(14) 하부의 지지대(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핑거 구동용 바(300)는 회전중심이 길이방향으로 중앙을 관통하는 회전축(핑거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열된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nger driving bar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ort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and formed as a shaf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is 110 of the finger 100. The finger driving bar 3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15 under the transfer plate 14 forming the transfer surface 11 . Due to this, the finger driving bar 300 may be formed as a rotation shaft (rotation shaft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fing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핑거(100)의 회전축(110)은 이송면(11)에 수직하게 배열되고, 핑거 구동용 바(300)는 이송면(11)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핑거(100)의 회전축(110)과 핑거 구동용 바(300)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두 축 사이의 회전은 회전변환링크(320)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As shown in (b) of FIG. 11, the rotation axis 110 of the finger 100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parallel to the conveying surface 11. there is. The rotation axis 110 of the finger 1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rotation between the two axes may be transmitted by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회전변환링크(320)는 회전축(110)과 핑거 구동용 바(300)의 사이에 형성된다. 회전변환링크(320)의 일단부는 회전축(110)에 편심 결합되고 타단부는 핑거 구동용 바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변환링크(320)의 일단부는 회전축(110)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연결암(1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핑거 구동용 바(300)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3연결암(3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양단부가 각각 회전축(110) 및 핑거 구동용 바(3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편심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is form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1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One end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0 and the other end may be eccentrically coupled to a finger driving bar. For example, one end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arm 111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rotation shaft 110, and the other end protrudes radially from the finger driving bar 300. It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arm 321 . Accordingly, an eccentric coupling structure can be formed in which both ends are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al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11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respectively.

이때 편심 결합되었다는 것은, 이와 같이 연결체(예, 회전변환링크)가 회전체(예, 핑거 구동용 바)에 결합되되 연결점(예, 회전변환링크의 타단부)이 회전체(예, 핑거 구동용 바)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eccentric coupling means that the connecting body (eg, rotation conversion link) is coupled to the rotation body (eg, finger driving bar), but the connection point (eg,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is the rotation body (eg, finger driving It means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agon bar).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핑거 구동용 바(300)가 회전되면 핑거 구동용 바(3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회전변환링크(320)의 타단부에 변위가 발생하고 타단부와 일단부가 함께 당겨진다(도 11(b)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당겨진 회전변환링크(320)의 일단부가 회전축(1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양단부가 서로 다른 축에 편심 결합된 회전변환링크(32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핑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rotated by this structure, displacement occurs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the other end and one end are pulled together ( See the arrow in Figure 11 (b)) Accordingly, one end of the pulled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rotates the rotation shaft 11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finger 100 by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having both ends eccentrically coupled to different axes.

회전변환링크(320)는 양단부에 관절이 형성되어 있어 핑거 구동용 바(300)가 회전하면 접철되면서 당기거나 미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특히 회전변환링크(320)는 양단부에 형성된 관절이 서로 수직하게 비틀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변환링크(320) 양단부에는 회전면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비틀린 축관절이 형성되어 서로 수직한 회전축(110)과 핑거 구동용 바(300)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통해 핑거(100)의 회전축(110)과 핑거 구동용 바(300)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Since join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when the finger driving bar 300 rotates, it can be folded and folded while pulling or pushing. In particular,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may be disposed in a form in which joints formed at both ends are vertically twis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twisted shaft joints in which rotational surfaces are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re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mutually perpendicular rotational shaft 11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Through this connection structure, rotational force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110 of the finger 1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핑거 구동용 바(300)의 말단에는 핑거 구동용 바(300)가 형성하는 축(즉 자신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후술하는 가이드레일(도 3의 200참조)에 연결되는 구동암(3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암(310)은 후술하는 핑거구동부(도 3의 400참조)에 의해 말단 위치가 바뀌어 핑거 구동용 바(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At the end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the finger driving bar 300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axis formed by the finger driving bar 300 (that is, the rotational axis penetrating itsel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nd is a guide rail (see 200 in FIG. 3) to be described later. ) A drive arm 310 connected to may be formed. The driving arm 310 can rotate the finger driving bar 300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310 by a finger driving unit (see 400 in FIG. 3 ) to be described later.

핑거 구동용 바(300)의 구동암(310) 말단에는 가이드레일(200)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말단삽입부(311)가 형성될 수 있고 말단삽입부(311)는 홈과 구름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가이드레일(200)과 가이드레일(200) 상에 형성되어 핑거 구동용 바(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핑거구동부(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An end insertion part 311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rail 20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driving arm 310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the end insertion part 311 is a roller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ove can include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 the guide rail 200 and the finger driving unit 400 formed on the guide rail 20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20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처럼 이송면(11)이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13)을 따라 주행되는 경우 가이드레일(200) 역시 그에 대응하는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에는 핑거 구동용 바(300)의 구동암(310) 말단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10)이 일직선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guide rail 200 is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ove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veying surface 11 travels along the chain 13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the guide rail 200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esponding endless track. A guide groove 210 into which an end of the driving arm 310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guide rail 200 .

가이드레일(200)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곡선구간(10a)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U자형 곡선부(201), U자형 곡선부(201)의 반대편에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귀환구간(10b)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U자형 귀환부(202),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단직선구간(10c) 및 하단직선구간(10d)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상단직선부(203) 및 하단직선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은 보조가이드레일(600)과 교차 또는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The guide rail 200 may include the following structure. The guide rail 200 is a U-shaped curved portion 201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A U-shaped return section 202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return section 10b, and an upper straight section 203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traight section 10c and lower straight section 10d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 and a lower straight portion 204. The guide rail 200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cross or overlap with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200)의 적어도 일 측에서 핑거 구동용 바의 위치를 조절하여 핑거(100)를 움직인다.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 상에서 레일을 변경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formed on the guide rail 200 and moves the finger 10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guide rail 200 . 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include a structure for changing a rail on the guide rail 200 .

핑거구동부(400)는 특히 가이드레일(200)의 일부가 분절되어 가이드레일(2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가동레일(41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핑거구동부(400)는 가동레일(410)로 가이드레일(200)을 변경함으로써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움직이는 핑거 구동용 바를 조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include a movable rail 410 formed to m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rail 200 by partially segmenting the guide rail 200 . That is, 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be formed to manipulate the finger driving bar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00 by changing the guide rail 200 to the movable rail 410 .

가이드레일(200)의 U자형 곡선부(201)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곡선구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는 동안 핑거(10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도 19의 확대도 참조). 가동레일(410)은 U자형 곡선부(201)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of the guide rail 2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the finger 100 while the conveying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see the enlarged view of FIG. 19). The movable rail 41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

따라서 핑거구동부(400)는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기 이전(즉, U자형 곡선부의 전단)에 해당위치의 가동레일(410)을 가동시켜 핑거(100)를 조작하거나,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한 이후(즉, U자형 곡선부의 후단)에 또 다른 위치의 가동레일(410)을 가동시켜 핑거(100)를 조작할 수 있다. 핑거(100) 조작에 의해,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에 진입하기 전에 식품 또는 용기를 이송면(11)에 고정시킬 수 있고, U자형 곡선구간(10a) 통과 후 반전된 용기와 식품은 이송면(11)에서 이탈시켜 배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nger driving unit 400 operates the movable rail 4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efore the transfer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ie,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curved part) to move the finger 100 Finger 100 can be manipulated by operating the movable rail 410 at another position after the transfer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ie, the rear end of the U-shaped curved part) there is. By manipulating the finger 100, food or containers can be fixed to the conveying surface 11 before the conveying surface 11 enters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and reverse after pass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Containers and food that have become can be discharged by leaving the transfer surface (11).

예를 들어, 핑거 구동용 바(300)가 가동레일(410)과 중첩된 상태에서, 도 3처럼 가동레일(410)이 가이드레일(200)에서 하방으로 이탈되는 경우, 핑거 구동용 바(300)는 대응하는 회전이 생성되어 회전변환링크(도 11의 320참조)를 통해 핑거(100)가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핑거(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driving bar 300 overlaps the movable rail 410, when the movable rail 410 is released downward from the guide rail 200 as shown in FIG. 3, the finger driving bar 300 ) can rotate the finger 1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 100 releases the lock through a rotation conversion link (see 320 in FIG. 11 ) in which a corresponding rotation is generated.

또한, 핑거 구동용 바(300)가 가동레일(410)과 중첩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가동레일(410)을 이동시켜 가이드레일(200)과 결합하는 경우, 핑거 구동용 바(300)는 역회전 되어 회전변환링크(320)를 통해 핑거(100)를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where the finger driving bar 300 overlaps the movable rail 410, when the movable rail 410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combined with the guide rail 200, the finger driving bar 300 reversely It is rotated to rotate the finger 100 through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in the locking direction.

따라서 이송면(11)의 이동에 의해 핑거 구동용 바(300)를 가동레일(410)과 중첩시키고 가동레일(410)을 조작하면, 핑거 구동용 바(300)의 위치(위치 변경은 회전을 포함한다)를 변경하여 핑거 구동용 바(300)에 연결된 핑거(100)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면의 주행경로 상의 특정 지점에서 식품(A) 또는 용기(B)를 고정하거나, 반전 후 식품(A)과 용기(B)를 이송면(11)에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련동작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when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overlapped with the movable rail 410 by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surface 11 and the movable rail 410 is manipulated,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position change is ) can be changed to lock or unlock the finger 100 connected to the finger driving bar 3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x the food (A) or the container (B) at a specific point on the travel path of the conveying surface, or discharge the food (A) and container (B) from the conveying surface 11 after reversing. Related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핑거구동부(400)는, 가동레일(410)을 가이드레일(200)과 연결된 제1위치 및 가이드레일(200)과 어긋난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구동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생략되었지만, 가동레일(410)을 가이드레일(200)과 연결 또는 분리하는 구동실린더를 배치하여 가동레일(410)을 구동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구동실린더가 배치된 핑거구동부(400)의 가동포인트를 설명한다.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cylinder that moves the movable rail 410 between a first position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00 and a second position displaced from the guide rail 200 . Although omitted in FIG. 3 , the movable rail 410 may be driven by arranging a drive cylinder that connects or separates the movable rail 410 from the guide rail 200 . Referring to FIG. 12, the movable point of the finger driving unit 400 where the driving cylinder is disposed will be described.

도 12는 보조가이드레일에 배치된 핑거구동부의 가동포인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동포인트는 실질적으로 핑거구동부의 설치위치와 동일한 의미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movable points of the finger driving unit disposed on the auxiliary guide rail. The movable point has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a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unit.

도 12에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와 가이드레일(200)이 투시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핑거구동부(400)는 가이드레일(200) 상의 서로 다른 적어도 4개의 지점에 배치되어 각각 가동될 수 있다.12,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the guide rail 200 are shown in the form of a perspective view. 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be disposed at at least four different points on the guide rail 200 and operated respectively.

첫번째 가동포인트는 도 12의 (a)처럼, 식품(A)이 낙하하는 식품 낙하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식품 낙하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레일(410)과 가동레일(410)을 구동하는 구동실린더(411)를 배치하여 핑거구동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변경을 통해 핑거 구동용 바(300)를 조작하여 핑거(도 5의 100참조)를 작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12, the first operation point may be formed at a food drop point where food (A) falls. That is, 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be formed by disposing the movable rail 410 and the driving cylinder 411 for driving the movable rail 4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od drop poi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inger (see 100 in FIG. 5 ) by manipulating the finger driving bar 300 by changing the rail.

또한, 도 12의 (b) 및 (c)처럼, 용기(B)가 낙하하는 용기 탑재지점에도 같은 형태로 가동레일(410)과 구동실린더(411)를 배치하여 핑거구동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어도 2개소의 용기 탑재지점에서로 레일 변경을 통해 핑거 구동용 바(300)를 조작하고 핑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b) and (c) of FIG. 12, the movable rail 410 and the driving cylinder 411 are arranged in the same form at the container mounting point where the container B falls to form the finger driving unit 400. can If necessary, the finger driving bar 300 can be operated and the finger 100 can be operated by changing the rail at at least two container mounting points.

또한, 도 12의 (d)처럼 가이드레일(200)의 U자형 곡선부(201) 상에는 가동포인트를 형성하지 않으며, 도 12의 (e)처럼, 가이드레일(200) 하부의 상하 반전이 완료되는 지점에 가동레일(410)과 구동실린더(411)를 배치하여 핑거구동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전 동작이 완료된 용기(B)와 식품(A)도 핑거(100)를 작동시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d), no movable point is formed on 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of the guide rail 200, and as shown in FIG. 12 (e), the vertical inversion of the lower part of the guide rail 200 is completed. The finger driving unit 400 may be formed by disposing the movable rail 410 and the driving cylinder 411 at the fulcrum. Therefore, the container B and the food A, which have completed the reversal operation, can be smoothly discharged by operating the finger 100.

그러나 이러한 가동포인트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도 얼마든지 핑거구동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핑거(100)를 움직여 이송면(11)에 탑재된 식품(A) 또는 용기(B)를 고정하거나, 고정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는 또 다른 다양한 위치에 핑거구동부(400)를 배치하고 핑거(100)를 적절한 지점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se movable points are exemplary, the finger driving unit 400 can be formed at any other location as needed. That is, by moving the finger 100, the food (A) or container (B) load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is fixed, or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placed at various other positions where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fixed state, and the finger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100 at the appropriate points.

이와 같이 식품용기 고정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적용된 식품위치제어구조를 설명한다.In this way,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can be configured. Before explaining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device, the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applied to the conveyor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전술한 것처럼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는 용기(B) 내 식품(A) 위치를 조절하는 식품위치제어구조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also have a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ood A in the container B.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도 5를 참조하면, 식품위치제어구조는 이송면(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이송면(11)과 수직하게 움직이며 이송면(11)에 대한 식품(A)의 높이를 조절하는 푸셔(500),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보조가이드레일(도 3의 600참조), 일 측은 푸셔(5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가이드레일(600)에 형성된 작동홈(610)을 따라 움직이며 캠작용에 의해 푸셔(500)를 구동하는 구동바(7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ood position control structure is coupled through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moves vertically with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the pusher 500 adjusts the height of the food A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surface 11. ), an auxiliary guide rail (see 600 in FIG. 3)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oves, one side connected to the pusher 500 and the other side auxiliary guide rail 600 ) It may include a driving bar 700 that moves along the operating groove 610 formed and drives the pusher 500 by a cam action.

도 5를 참조하면, 푸셔(500)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11)에 결합된다. 푸셔(500)는 이송면(11)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푸셔(500)는 이송면(11)과 수직하게 움직이며 이송면(11)에 대한 식품(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usher 500 is coupled to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The pusher 500 penetrates the transfer surface 11 and is coupled. Therefore, the pusher 500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food A relative to the conveying surface 11 .

푸셔(500)는, 일 측이 푸셔(5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보조가이드레일(도 3의 600참조)에 형성된 작동홈(도 3의 610참조)을 따라 움직이는 구동바(70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바(700)는 작동홈(610)을 따라 움직이면서 작동홈(61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캠작용에 의해 푸셔(500)를 구동한다.The pusher 50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pusher 500 and the other side driven by a driving bar 700 moving along an operating groove (see 610 in FIG. 3) formed in an auxiliary guide rail (see 600 in FIG. 3). do. The driving bar 700 drives the pusher 500 by a cam action generated between the driving bar 700 and the operating groove 610 while moving along the operating groove 610 .

구동바(7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푸셔(500)를 구동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바(700)가 회전에 의해 푸셔(500)를 구동하는 예를 설명한다. 구동바(700)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이송면(1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축으로 형성되고, 구동바(700)의 말단에 상기 축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말단이 작동홈(610)에 삽입되어 구동바(700)를 회전시키는 구동암(7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암(710)의 말단에는 작동홈(610)에 삽입되는 말단삽입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말단삽입부(711)는 홈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driving bar 700 may drive the pusher 500 in various ways, an example in which the driving bar 700 drives the pusher 500 by rota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drive bar 700 is formed as a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veyor surface 11 of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and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drive bar 70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haft so that the end has an operating groove 610 A driving arm 710 that is inserted into and rotates the driving bar 700 may be formed. An end insertion portion 711 inserted into the operation groove 610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drive arm 710 . The end insert 711 may include a roller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roove.

구동바(700)는 예를 들어, 이송면(11)이 배치된 이송플레이트(14)의 하부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면(11) 하부에 형성된 지지대(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구동바(700)는 회전중심이 길이방향으로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bar 700 may be coupled to, for example, a lower structure of the transfer plate 14 on which the transfer surface 11 is disposed. For example,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15 formed below the transfer surface 11 . By being rotatably coupled in this way, the driving bar 700 may be formed as a rotational shaft having a center of rotation penetrating the cent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구동암(710)은 말단이 작동홈(610)을 따라 움직이며 구동바(700)에 토크를 발생시킨다. 구동암(710)은 작동홈(610) 중 제1경사홈(도 3의 612참조)을 따라 말단 위치가 바뀌며 구동바(7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바(700)의 회전은 푸셔(500)에 전달되어 푸셔(500)의 돌출상태 또는 높낮이를 변경한다.The driving arm 710 moves along the operating groove 610 at the distal end and generates torque to the driving bar 700 . The drive arm 710 can rotate the drive bar 700 while changing its distal position along the first inclined groove (see 612 in FIG. 3 ) among the operating grooves 610 . The rotation of the drive bar 700 is transmitted to the pusher 500 to change the protruding state or height of the pusher 500 .

작동홈(610)은, 제1경사홈(612) 외에 제2경사홈(도 3의 613참조), 제3경사홈(도 3의 615참조), 제4경사홈(도 3의 616참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경사홈들을 통과할 때 푸셔의 위치는 자동으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동바(700)를 조작하고 푸셔(5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o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the operating groove 610 includes a second inclined groove (see 613 in FIG. 3), a third inclined groove (see 615 in FIG. 3), and a fourth inclined groove (see 616 in FIG. 3). may additionally be included.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pusher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when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Accordingly, the driving bar 700 may be operat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pusher 500 may be pushed or pulled. A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구동바(700)는 도 5처럼 연결링크(720)를 통해 푸셔(5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링크(720)는 일단부가 구동바(700)에 편심 결합되고 타단부는 푸셔(500)와 연결되어 구동바(700)의 회전력으로 푸셔(5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즉 연결링크(720)는 구동바(70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The driving bar 700 may be connected to the pusher 500 through a connecting link 720 as shown in FIG. 5 . The connection link 720 has one end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drive bar 7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usher 500 to push or pull the pusher 500 with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bar 700. That is, the connecting link 720 may act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bar 700 into linear motion.

연결링크(720)의 일단부는 예를 들어, 구동바(7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암(721)에 연결되어 구동바(700)에 편심 결합될 수 있다. 연결링크(720)의 일단부는 연결암(721)에 의해 구동바(700)의 회전중심과 이격된다. 따라서 구동바(700)가 회전하면 일단부는 회전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며 푸셔(5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이 때에도 편심 결합되었다는 것은, 이와 같이 연결체(예, 연결링크)가 회전체(예, 구동바)와 결합하되 연결점(예, 연결링크의 일단부)이 회전체(예, 구동바)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것을 의미한다.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720 may be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driving bar 700 by being connected to, for example, a connecting arm 721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riving bar 700 .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720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ing bar 700 by the connecting arm 721 .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bar 700 rotates, one end of the pusher 500 is displac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pusher 500 can be pushed or pulled. Even at this time, the eccentric coupling means that the connecting body (eg, connecting link) is combined with the rotating body (eg, driving bar), but the connecting point (eg, one end of the connecting link) rotates the rotating body (eg, driving bar). means away from the center.

연결링크(720)는 양단부에 관절이 형성되어 있어 구동바(700)가 회전하면 접철되면서 당기거나 미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푸셔(500)를 이송면(11)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Since join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link 720, when the drive bar 700 rotates, it can be folded and pulled or pushed. Through this, the pusher 500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surface 11 .

연결링크(720)의 타단부는 푸셔(5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매개물을 통해 푸셔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처럼 복수의 푸셔(500)를 연결하는 연결바(530)가 형성된 경우, 연결바(530)를 통해 푸셔(500)에 연결될 수 있다. 푸셔(500)는 이송면(11) 상에 복수로 배치되고, 복수의 푸셔(500)는 연결바(530)에 연결되어 동작이 동기화될 수 있다. 연결링크(720)의 타단부는 연결바(530)에 연결되어 복수의 푸셔(500) 전체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link 7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usher 5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pusher through an intermediary. For example, when a connection bar 5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ushers 500 is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connected to the pusher 500 through the connection bar 530 . A plurality of pushers 500 are dispos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and the plurality of pushers 50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530 so that their operations can be synchronize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link 7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530 to push or pull the plurality of pushers 500 as a whole.

연결바(530)는 복수의 푸셔(500)들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와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바(530)는 이송면(11)을 따라 배치되고 이송면(11)과 수직하게 승강될 수 있다. 연결바(530)는 지지대(15)에 고정된 승강가이드(도 11의 531참조)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ar 530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urality of pushers 500 and moved up and dow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For example, the connecting bar 530 may be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moved vertically to the conveying surface 11 . The connection bar 530 can be stably moved by being connected to an elevating guide (see 531 in FIG. 11 ) fixed to the support 15 .

이러한 구조가 형성된 경우 전술한 것처럼 핑거 중 적어도 일부를 링크로 우회 연결하여 장애물을 회피하고 동작을 동기화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When such a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void obstacles and synchronize operations by indirectly connecting at least some of the fingers to the link as described above.

푸셔(500)는 이송면(11)의 개구(12)를 관통하는 상단판(510)과 상단판(510)의 하부에 연결된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판(510)은 개구(12)를 통해 승강되며 식품(A)과 접촉하는 접촉부위는 평면일 수 있다. 탄성부(520)는 상단판(510) 하부에서 일종의 완충작용을 하며 식품(A)을 용기(B) 내면에 밀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 pusher 500 may include an upper plate 510 penetrating the opening 12 of the transfer surface 11 and an elastic part 52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510 . The upper plate 510 is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opening 12, and a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food A may be flat. The elastic part 520 acts as a kind of buffer under the top plate 510 and can keep the food A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

즉 푸셔(500)는 일 측에 식품(A)을 탄성지지하여 식품(A)과 용기(B)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520)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단판(510)과 연결바(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pusher 500 may include an elastic part 520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ood A on one side to maintain a close contact between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The elastic part 52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such as a spring,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p plate 510 and the connecting bar 530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작동홈이 형성된 보조가이드레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보조가이드레일은 전술한 가이드레일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 the auxiliary guide rail having an operating gro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uxiliary guide rail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guide rail.

도 3을 참조하면, 보조가이드레일(600)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다. 작동홈(610)은 보조가이드레일(600)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처럼 이송면(11)이 무한궤도 형태의 체인(13)을 따라 주행되는 경우 보조가이드레일(600) 역시 그에 대응하는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홈(610)은 보조가이드레일(600)을 따라 형성되되 단순한 직선이 아니며 이송면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홈들을 포함한다. 경사홈에의해 구동바(700)의 위치가 변경되는 캠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is disposed along the travel path along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oves. The operating groove 610 extends along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 When the transfer surface 11 runs along the chain 13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may also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endless track form. The operating groove 610 is formed along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but is not a simple straight line and includes inclined groove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surface. A cam ac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riving bar 700 is changed may be generated by the inclined groove.

보조가이드레일(600)에는 작동홈(610)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작동홈(610)은 도 3과 같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곡선구간(10a)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U자형 곡선홈(611), U자형 곡선홈(611)의 반대편에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귀환구간(10b)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U자형 귀환홈(614),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단직선구간(10c) 및 하단직선구간(10d)과 대응되게 배치되는 상단직선홈(617) 및 하단직선홈(618)을 포함할 수 있다. U자형 곡선홈(611)은 반대편의 U자형 귀환홈(614)보다 회전반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groove 610 may be disposed in the auxiliary guide rail 600 in the following form.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ng groove 610 is a U-shaped curved groove 611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for food packaging.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return section 10b of the conveyor 10, the upper straight section 10c and the lower straight section 10d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re arranged to correspond An upper straight groove 617 and a lower straight groove 618 may be included.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may have a larger rotation radius than the opposite U-shaped return groove 614 .

특히 상단직선홈(617)과 U자형 곡선홈(611)의 사이, 하단직선홈(618)과 U자형 곡선홈(611)의 사이, 상단직선홈(617)과 U자형 귀환홈(614)의 사이, 및 하단직선홈(618)과 U자형 귀환홈(614)의 사이에는 각각 제1경사홈(612), 제2경사홈(613), 제3경사홈(615), 및 제4경사홈(616)의 경사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between the upper straight groove 617 and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between the lower straight groove 618 and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and between the upper straight groove 617 and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Between, and between the lower straight groove 618 and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there are a first inclined groove 612, a second inclined groove 613, a third inclined groove 615, and a fourth inclined groove, respectively. Inclined grooves of 616 may be formed.

경사홈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작동홈(610)에 연결된 구동바(700)는 회전될 수 있다. 구동바(700)는 말단의 구동암(도 5의 710참조)이 작동홈에 삽입되어 있고 작동홈의 경사에 의해 구동암의 말단위치가 바뀔 수 있다. 구동암(710)의 말단위치는 경사홈을 지나는 동안 이동방향(가이드레일의 연장방향)에 대해 상하로 변경될 수 있다. The driving bar 700 connected to the operating groove 610 may be rotated while moving along the slope of the inclined groove. In the driving bar 700, a distal driving arm (see 710 in FIG. 5)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groove, and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may be changed by the inclination of the operating groove. The posi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710 may be chang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guide rail) while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roove.

구동암(710)의 말단은 경사홈을 통과하면서 이송면(11)과의 간격이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경사홈(612)을 따라 구동바(700)가 이동하는 동안 구동암(710)의 말단은 상승하면서 이송면(11)과 간격이 줄어들고 그에 대응하여 구동바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바(700)의 회전력을 푸셔(도 5의 500참조)에 전달하여 푸셔(500)를 밀어올릴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710 and the transfer surface 11 may be 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groove. For example, while the drive bar 700 moves along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the distal end of the drive arm 710 rises, the distance from the transfer surface 11 decreases, and the drive bar can be rotated in response thereto. .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pusher 500 may be pushed up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bar 700 to the pusher (see 500 in FIG. 5 ).

특히 제1경사홈(612)은, U자형 곡선구간(10a)에 대응하는 U자형 곡선홈(211)의 전단에 위치하므로 구동바(700)는 이송면(11)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U자형 곡선구간(10a)에 진입하기 전에 제1경사홈(612)의 경사를 이용하여 푸셔(500)를 이송면(11)에서 돌출시키고 돌출된 푸셔로 식품(A)을 밀어올려 식품(A)을 덮고 있는 뒤집힌 용기(B)의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도 10참조).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211 corresponding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driving bar 700 has a conveyor surface 11 for food packaging conveyor 10 Before enter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of the food (A) by protruding the pusher 500 from the transfer surface 11 usi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and pushing up the food (A) with the protruding pusher It can be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verted container (B) covering A) (see FIG. 10).

도 3을 참조하면, U자형 곡선홈(611)은 U자형 귀환홈(614)보다 큰 회전반경을 갖는 곡선으로 이루어져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는 동안 푸셔(500)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1경사홈(612)은 U자형 곡선홈(611)의 전단에서 U자형 곡선홈(611)의 일단으로 상승하여 연결되므로 U자형 곡선홈(611) 전방에서 푸셔(500)를 상승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is made of a curve having a larger radius of rotation than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and the pusher 500 moves the transfer surface 11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 can be maintained. Since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rises from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to one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and is connected, the pusher 500 can be raised in front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

즉 푸셔(500)는 구동바(700)가 제1경사홈(612)을 통과하는 동안 경사홈의 경사에 의한 캠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되며 구동바(700)가 U자형 곡선홈(611)을 통과하는 동안 돌출상태를 유지한다. 하방의 제2경사홈(613)은 제1경사홈(612)과 상하 반전된 형태로 배치되므로 푸셔(500)를 역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제2경사홈(613)은 U자형 곡선홈(611)의 후단에 U자형 곡선홈(611)의 타단으로 하강하며 연결되는 형태이며, 그로 인해 U자형 곡선홈(611)을 통과한 구동바(700)를 역으로 구동하여 푸셔(500)를 이송면(11) 안쪽으로 인입할 수 있다.That is, while the driving bar 700 passes through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the pusher 500 automatically protrudes by the cam action caus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groove, and the driving bar 700 mov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It maintains its protruding state while passing through. Since the lower second inclined groove 613 and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are disposed in a vertical inverted form, the pusher 500 can be operated in reverse. That is, the second inclined groove 613 descends and connects the rear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to the other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and thereby the driving bar passing through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By driving 700 in reverse, the pusher 500 can be drawn into the conveying surface 11 .

한편 이송면(11)은 U자형 곡선구간(10a)과 하단직선구간(10d) 통과 후 U자형 귀환구간(10b)을 거쳐 다시 상단직선구간(10c)으로 복귀된다. 이때 U자형 귀환구간(10b)에 대응하는 U자형 귀환홈(614)의 전단 및 후단에도 각각 제4경사홈(616) 및 제3경사홈(615)이 상하 대칭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U자형 귀환홈(614)과 상단직선홈(617)이 연결되는 U자형 귀환홈(614)의 후단에는 U자형 귀환홈(614)의 말단에서 상단직선홈(617)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3경사홈(6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3경사홈(615)은 제1경사홈(612)보다 짧고 경사도 완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ying surface 11 returns to the upper straight section 10c through the U-shaped return section 10b after passing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and the lower straight section 10d. At this time, the fourth inclined groove 616 and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may be disposed in a symmetrical manner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corresponding to the U-shaped return section 10b, respectively. In particular, at the rear end of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where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and the upper straight groove 617 are connected, a downward slope from the end of the U-shaped return groove 614 toward the upper straight groove 617. Three inclined grooves 615 may be formed.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and have a gentle slope.

제3경사홈(615)의 위치는 식품(A)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 낙하하는 낙하지점과 대응된다(도 3참조). 제3경사홈(615)은 이송면(11)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향하는 경사를 가지므로, 식품(A)의 낙하지점에서 구동암(710)을 하향 이동시키고 구동바(700)의 대응하는 회전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식품(A)의 낙하지점에서 제3경사홈(615)에 의해 푸셔(500)는 약간 하방으로 이동된다.The position of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corresponds to the falling point where food A falls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see FIG. 3). Since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has a downward slop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surface 11, the driving arm 710 moves downward at the point where the food A falls, and the corresponding rotation can be created. As a result, the pusher 500 is moved slightly downward by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at the drop point of the food A.

그로 인해, 이송면(11) 위로 낙하하는 식품(A)은 푸셔(500)의 감속작용으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푸셔(500)는 제3경사홈(315)의 작용에 의해 이송면을 향해 이동하면서 이송면(11)보다 약간 낮게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용이 제3경사홈(315)의 캠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식품(A)을 이송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품 낙하 시 파손 등의 위험도 감소된다. As a result, the impact of the food A falling onto the conveying surface 11 can be alleviated by the decelerating action of the pusher 500 . The pusher 500 may be positioned slightly lower than the transfer surface 11 while moving toward the transfer surface by the action of the third inclined groove 315 . This ac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cam action of the third inclined groove 315, and the food A can be seated on the conveying surface. Therefore, the risk of damage or the like when food falls is also reduc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송면(11)에 식품(A) 및 용기(B)가 탑재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operate as follows. First, referring to FIGS. 5 to 11 ,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on the transfer surface 1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푸셔(500)는 이송면(11) 상에서 이송면(11)과 수직하게 움직이며 식품(A)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푸셔(500)는 상단부가 이송면(11)보다 낮게 움직일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가 이송면(11)보다 높게 돌출될 수도 있다.The pusher 500 moves perpendicularly to the conveying surface 11 on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food (A). As shown in FIG. 5 , the upper end of the pusher 500 may move lower than the conveying surface 11 or, as shown in FIG. 11 , the upper end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conveying surface 11 .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바(700)가 제3경사홈(도 3의 615참조)의 하향경사를 통과하는 동안 푸셔(500)가 이송면(11)보다 낮게 하강하며 낙하하는 식품(A)을 감속하거나 완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driving bar 700 passes the downward slope of the third inclined groove (see 615 in FIG. 3), the pusher 500 descends lower than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the falling food ( A) can be slowed down or buffered.

즉 도 5에는 식품(A)과 용기(B)가 함께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공정에서는 도 5처럼 푸셔(500)가 하강하는 시점에 맞추어 식품(A)만 낙하시켜 충격을 완화시키고 이송면(11)에 탑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품(A) 낙하 후에는 전술한 가동레일(도 3의 410참조)을 작동시켜 핑거 구동용 바(300)를 조작하고 핑거 구동용 바(300)로 핑거(100)를 구동하여 핑거(100)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at is, although food (A) and container (B) are shown together in FIG. 5, in the actual process, only food (A) is dropped at the time when the pusher 500 descends as shown in FIG. ) can be mounted. Although not shown in FIG. 5, after the food A has fallen, the above-described movable rail (see 410 in FIG. 3) is operated to operate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the finger 100 is operated by the finger driving bar 30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finger 100 in the locking direction by driving.

도 6 내지 도 8에는 식품(A)위에 뒤집힌 상태의 용기(B)를 덮는 공정이 연속적으로 나타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이송면(11)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를 따라 주행하며 적절한 위치에서 식품(A)과 용기(B)를 이송면(11)에 탑재한다. 식품 낙하위치에서 먼저 식품(A)을 탑재한 후, 후속하는 용기 탑재위치에서 뒤집힌 상태로 용기(B)를 식품(A) 위에 덮어 도 8과 같은 상태로 탑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식품(A)은 슈트 등을 이용하여 미끄럼 방식으로 낙하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B)는 음압을 이용한 흡착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송면(11) 상부에서 뒤집힌 상태로 이송면(11)에 안착시킬 수 있다.6 to 8 continuously show the process of covering the container B in an inverted state on the food product A.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ing surface 11 runs along the conveyor for food packaging, and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are loaded on the conveying surface 11 at an appropriate position. After the food (A) is first loaded at the food drop position, the container (B) is covered on the food (A) in an inverted state at the subsequent container loading position and is loaded in a stat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food (A) can be dropped in a sliding manner using a chute or the like, and for example, the container (B) is inverted from the top of the transfer surface 11 using a suction device using negative pressure. It can be seat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그와 같이 식품(A)위에 뒤집힌 용기(B)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하면 도 9처럼 핑거(100)가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수의 용기(B) 전체를 이송면(11)에 고정한다. 핑거(100)는 회전축(110)을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의 용기(B)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용기(B)를 고정한 상태로 이송면(11)은 상하 반전을 위해 전술한 U자형 곡선구간(도 3의 10a참조)에 진입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overturned container (B) is covered on the food (A) and mount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the finger (100) rotates in the locking direction as shown in FIG. fix it Both ends of the finger 100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rotating shaft 110 and can fix a plurality of containers B at the same time. In this way, with the container B fixed, the transfer surface 11 enters the above-described U-shaped curved section (see 10a in FIG. 3) for vertical inversion.

U자형 곡선구간 진입 전 푸셔(500)는 도 10처럼, 이송면(11)에서 돌출되어 식품(A)을 용기(B) 내벽에 밀착시킨다. 즉 용기(B)는 핑거(100)로 고정하고 용기(B) 안쪽에서 푸셔(500)로 식품(A)을 밀어올려 용기(B) 내벽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푸셔(500)의 탄성부(도 5의 520참조)는 완충작용을 하면서 탄성력으로 식품(A)이 용기(B)를 미는 가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A)은 U자형 곡선구간(10a) 진입 전 용기(B)에 밀착된 상태로 준비된다.Before enter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the pusher 500 protrudes from the transfer surface 11 as shown in FIG. 10 to bring the food A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 That is, the container (B) can be fixed with the finger 100, and the food (A) can be pushed up by the pusher 500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 to br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 At this time, the elastic portion (see 520 in FIG. 5 ) of the pusher 500 can properly adjust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food A pushes the container B with an elastic force while performing a buffering action. Therefore, the food (A) is prepared 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 before enter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이와 같이 준비되면 곡선구간의 가속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더라도 식품(A)이 용기(B)에 밀착되어 움직일 수 없으므로 식품(A)이 용기(B)를 충격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구동(원심력이 커짐)할 수 있고 공정을 반복하면서 안전하게 용기와 식품을 상하 반전시킬 수 있다.If prepared in this way, even if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by the acceleration of the curved section, since the food (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 and cannot move, problems such as food (A) impacting the container (B) do not occur. Therefore, the conveyor 10 for food packaging can be driven relatively quickly (the centrifugal force increases), and the containers and food can be safely inverted while repeating the process.

도 11에는 푸셔(500)와 핑거(100)의 동작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와 같이, 푸셔(500)는 구동바(70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즉 구동바(700)가 보조가이드레일(도 3의 600참조)의 작동홈(도 3의 610참조)을 추종하며 이동하여 캠작용에 의해 푸셔(50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처럼 구동암(710)의 말단이 상승하여 구동바(700)가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바(700)와 푸셔 사이에 연결된 연결링크(720)가 구동바(700)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푸셔(500)를 밀어올릴 수 있다. 구동바(7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푸셔(500)는 이송면(11)을 향해 당겨진다.11 shows the operation of the pusher 500 and the finger 100 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11 , the pusher 500 is operated by rotation of the drive bar 700 . That is, the driving bar 700 moves while following the operating groove (see 610 in FIG. 3 ) of the auxiliary guide rail (see 600 in FIG. 3 ) and can push or pull the pusher 500 by a cam a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11, when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710 rises and the driving bar 700 rotat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connecting link 720 connected between the driving bar 700 and the pusher The pusher 500 may be pushed up by chang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bar 700 into a linear motion. When the drive bar 7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usher 500 is pulled toward the transfer surface 11 .

핑거(100)는 도 11의 (b)와 같이 핑거 구동용 바(30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핑거 구동용 바(300)가 가이드레일(도 3의 200참조)에 형성된 핑거구동부(도 3의 400참조)에 의해 위치(위치변경은 회전을 포함한다)가 변경되면 핑거(100)가 작동된다. 예를 들어, 도 11의 (b)처럼 핑거구동부(400)의 조작에 의해 구동암(310) 말단이 상승하여 핑거 구동용 바(300)가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양단이 핑거 구동용 바(300)와 핑거(100)의 회전축(110)에 연결된 회전변환링크(320)가 회전력을 회전축(110)에 전달하여 핑거(10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핑거 구동용 바(3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핑거(100)는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finger 100 is operated by rota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as shown in (b) of FIG. 11 .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position change includes rota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changed by the finger driving unit (see 400 in FIG. 3) formed on the guide rail (see 200 in FIG. 3), the finger (100) works.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11, when the end of the driving arm 310 is rais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finger driving unit 40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rotat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oth ends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connected to the rotational shaft 110 of the finger 100 may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onal shaft 110 to rotate the finger 100 in the locking direction. When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nger 10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도 13 및 도 14는 핑거의 동작을 레일구조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13 and 1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nger together with the rail structure.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핑거(100)의 동작이 레일구조와 연계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핑거구동부(400)의 가동레일(410)이 하강되어 가이드레일(200)에서 이탈되어 있는 경우 핑거(100)는 잠금 해제상태로 유지되며,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레일(410)이 상승하여 가이드레일(200)과 결합되면 핑거(100)는 앞서 도 11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잠금방향으로 회전된다. Referring to FIGS. 13 and 14 , it i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of the finger 100 is linked to the rail structur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movable rail 410 of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lowered and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200, the finger 100 is maintained in an unlocked state, and as shown in FIG. 14, When the movable rail 410 rises and is combined with the guide rail 200, the finger 10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11 above.

특히 핑거구동부(400)는 전술한 것처럼 식품 낙하위치 및 용기 탑재위치에 배치되어 핑거(100)의 가동포인트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시된 것처럼 용기(B)가 뒤집힌 상태로 이송면(11)에 탑재되면 핑거(100)를 구동하여 용기(B)를 고정하고 이송면(11)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disposed at the food drop position and the container mounting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o form the movable point of the finger 100, the container B is load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in an upside down state as shown When the finger 100 is driven to fix the container (B) can be fixed to the transfer surface (11).

이러한 공정은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진행되므로 필요한 지점에서 식품 또는 용기를 이송면(11)에 고정할 수 있고 고정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거나, 곡선구간 통과 후 제품을 배출하는 공정 등을 진행할 수 있다.Since these processes are carried out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food or containers can be fixed to the transfer surface 11 at necessary points, and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curved section in a fixed state or discharging the product after passing through the curved section can proceed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의 동작과 연계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a food packaging conveyor.

도 15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와 식품용기 고정장치의 공정배치를 예시한 공정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이송면이 곡선구간에 진입하기 전에 이송면에 식품 및 용기가 탑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9는 이송면이 곡선구간을 통과할 때 핑거의 식품용기 고정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20은 이송이 곡선구간 통과 후 상하 반전된 용기와 식품을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15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arrangement of a food packaging conveyor and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and FIGS. 16 to 18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food and containers are loaded on the conveying surface before entering the curved section. 19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fixing the food container by the finger when the conveying surface passes through the curved section, and FIG. 20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container and food inverted up and down after the conveying passes through the curved section It is also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공정상 배치를 예시하면 도 15와 같다. 예를 들어, 식품(A)을 이송하여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단으로 낙하시키는 슈트(20) 등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것처럼 음압을 이용한 흡착기 등으로 포함하는 용기(B) 공급장치 등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일 측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15 illustrates a process arrangement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a chute 20 for transporting food A and dropping it to the top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 Although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a container B supply device including an adsorber using negative pressure may be disposed together on one side of the conveyor 10 for food packaging.

도 16을 참조하면, 식품(A)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 상단에 낙하하는 낙하지점에서 푸셔(500)와 핑거(100)는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핑거(100)는 가동레일(410)의 승강에 따라 움직이는 핑거 구동용 바(300)에 연결되어 작동된다. 핑거 구동용 바(300)는 전술한 것처럼 회전변환링크(도 11의 320참조)를 통해 가동레일(410)의 승강에 따라 발생한 회전력을 핑거(100)의 회전축에 전달한다. 가동레일(410)이 하강하면 핑거(100)는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가동레일(410) 상승되면 핑거(100)는 잠금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이송면(11)에 낙하하는 식품(A)을 핑거(100)로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pusher 500 and the finger 100 may operate together at the point where food A falls on the top of the conveyor 10 for food packaging. The finger 100 is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nger driving bar 300 that move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movable rail 410 . As described above, the finger driving bar 30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movable rail 410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finger 100 through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see 320 in FIG. 11). When the movable rail 410 is lowered, the finger 10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and when the movable rail 410 is raised, the finger 10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With this operation, the food (A) falling on the transfer surface (11) can be fixed with the finger (100).

이때, 푸셔(도 11의 500참조)는 구동바(700)에 연결되어 작동되며 특히 구동바(700)가 제3경사홈(615)의 하향 경사를 따라 이동하며 푸셔(500)를 약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낙하하는 식품(A)에 가해지는 충격을 푸셔(500)로 감속하고 완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품(A) 낙하지점에서 푸셔(500)와 핑거(100)로 식품(A)을 이송면(11)에 탑재하고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sher (see 500 in FIG. 11 )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ar 700 and operated, and in particular, the driving bar 700 moves along the downward slope of the third inclined groove 615 and slightly lowers the pusher 500. can As a result, the impact applied to the falling food (A) can be decelerated and buffered by the pusher (500). In this way, the food (A) can be mounted and fix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by the pusher (500) and the finger (100) at the point where the food (A) falls.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이송면(11)에 식품(A)을 탑재하고 이동하며 이송경로 상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용기(B)를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식품(A) 낙하지점의 후단, 도 18에 도시된 U자형 곡선구간(10a) 전단에서 각각 뒤집힌 용기(B)를 식품(A)을 덮는 형태로 탑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7 and 18 ,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ay load and move food A on the conveying surface 11 and load containers B at different points on the conveying path. For example, at the rear end of the food A drop point shown in FIG. 17 and at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shown in FIG. there is.

용기(B)가 낙하하는 지점에서도 핑거(100)는 잠금해제 및 잠금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용기 탑재지점 각각에도 핑거구동부(40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동레일(410)의 승강을 통해 핑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Even at the point where the container B falls, the finger 100 may sequentially repeat unlocking and locking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nger driving unit 400 is also disposed at each container mounting point, the finger 100 can be operated by moving the movable rail 410 up and down.

핑거(100)는 이송면(11) 위에서 회전하면서 식품(A) 또는 용기(B)와 접촉하기 때문에 크기에 관계없이 핑거(100)의 회전반경 안에 있는 식품(A) 또는 용기(B)를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조로 인해 곡선구간 주행시에도 용기(B)이탈이 방지된다. 즉 핑거는 회전하여 잠금방식으로 용기를 고정하므로 보다 견고하게 용기를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finger 100 contacts the food A or container B while rotating on the transfer surface 11, regardless of the size, the food A or container B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nger 100 is fixed can do. Due to this fixing structure, separation of the container (B) is prevented even when driving in a curved section. That is, since the finger rotates to fix the container in a locking manner, the container can be more firmly fixed.

핑거(100)는 식품(A)을 고정하고 용기 탑재지점까지 이동된 후 다시 잠금해제 및 잠금을 반복하여 식품(A)보다 너비가 큰 용기(B)도 이송면(11)에 고정시킬 수 있다(도 17의 확대도 참조).The finger 100 fixes the food (A) and moves to the container mounting point, and then repeats unlocking and locking again to fix the container (B)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food (A) to the transfer surface (11). (See enlarged view of Fig. 17).

도 18의 (b)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식품(A)위에 뒤집힌 용기(B)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한 상태를 보여준다. 핑거(100)는 전술한 것처럼 회전하여 잠그는 방식으로 용기(B) 외면을 고정하므로, 용기는 매우 견고히 고정된다. 반면 용기(B) 안에서 식품(A)은 자유상태로 놓여있어 용기 안에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다.18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 overturned over the food (A) is covered and mounted on the transfer surface (11) through the above process. Since the finger 100 fixe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 by rotating and lock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is fixed very firmly.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ainer (B), the food (A) is placed in a free state and can move to some extent in the container.

이러한 식품(A)의 자유도는 푸셔(500) 돌출에 의해 곡선구간 진입 전 미리 제거된다. 즉 도 18의 (b)와 같이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에 진입하기 전 푸셔(500)는 이송면(11)에서 돌출되어 식품(A)을 용기(B) 내벽에 밀착시키고(확대도 참조) 식품의 움직임을 봉쇄한다. 이러한 동작은 구동바(700)가 U자형 곡선홈(611)의 전단에 배치된 제1경사홈(612)을 통과하면서 자동 진행된다. 즉 제1경사홈(612) 에 의해 구동바(700)가 푸셔(500)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푸셔(500)는 자동으로 식품(A)을 밀어 올리게 된다.The degree of freedom of the food (A) is removed in advance before entering the curved section by the protrusion of the pusher (500).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18, before the transfer surface 11 enters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pusher 500 protrudes from the transfer surface 11 to transfer the food A to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 Close (see enlarged view) and block movement of food. This operation automatically proceeds while the driving bar 700 passes through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U-shaped curved groove 611 . That is, while the driving bar 700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usher 500 is pushed up by the first inclined groove 612, the pusher 500 automatically pushes the food A up.

따라서 U자형 곡선구간(10a) 진입 전 식품(A)은 용기(B)에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준비된다. 이때 전술한 푸셔(500)의 탄성부(도 11의 520참조)는 완충작용에 의해 식품(A)이 용기(B)에 가하는 압력을 조정하면서 식품(A)과 용기(B)의 밀착상태를 더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refore, before entering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food A is prepared so as not to mov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iner B.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see 520 in FIG. 11 ) of the aforementioned pusher 500 maintains close contact between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while adjusting the pressure applied by the food A to the container B by a buffering action. can be maintained more effectively.

따라서 도 19을 참조하면,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더라도 식품(A)이 원심력에 의해 용기(B)를 충격하거나 타격할 수 없으므로 제품이 이탈되는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식품(A)과 용기(B) 사이의 간격을 미리 제거하였기 때문에 식품은 용기와 일체로 움직이며 따라서 식품과 용기 양쪽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 19, even if the conveying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food A cannot impact or hit the container B by centrifugal force, so the product is separated. won't happen Since the gap between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is removed in advance, the food move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us damage to both the food and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도 19의 (a)처럼,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는 동안, 구동바(700)는 U자형 곡선구간(10a)에 대응하는 U자형 곡선홈(611)을 따라 이동하면서 푸셔(500)의 돌출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핑거(100)는 U자형 곡선부에 의해 잠금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제품(용기와 식품) 전체가 안전하게 곡선구간을 통과하며 상하 반전될 수 있다. 도 19의 (b)와 같이 이송면(11)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여 상하 반전이 완료된 후, 구동바(700)가 제2경사홈(613)도달하면, 푸셔는 제2경사홈(613)의 경사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19, while the conveying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drive bar 700 forms a U-shaped curved groove 611 corresponding to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While moving along, the protruding state of the pusher 500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finger 100 maintains the locked state as it is by the U-shaped curved portion. Therefore, the entire product (container and food) can safely pass through the curved section and be inverted upside down. As shown in (b) of FIG. 19, after the transfer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and the vertical inversion is completed, when the driving bar 700 reaches the second inclined groove 613, the pusher moves the second inclined groove 613. It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groove 613.

이와 같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한 식품(A)과 용기(B)는 도시된 것처럼 상하 반전되어 용기(B)는 바닥이 하방에 위치하는 정상상태로 정렬되고 식품(A)은 용기(B)안에 안착된다. 따라서 식품을 용기에 투하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게 용기(B) 안에 식품(A)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원심력에 의한 제품의 이탈이나 식품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률을 줄이고 더 안전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를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구동하며 제품 생산속도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food (A) and the container (B) passing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are inverted up and down as shown, and the container (B) is aligned in a normal state with the bottom located below, and the food (A) is placed in the container. It settles in (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load the food A into the container B without using a method such as dropping the food into the container.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duct separation or food damage caused by centrifugal force, the defect rate can be reduced and products can be produced more safely. In additi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s driven at a relatively high speed, and the product production speed may be further increased.

도 20을 참조하면,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여 상하 반전된 제품(용기와 식품)은 핑거(100)의 구동에 의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 20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바(700)는 제2경사홈(613)을 통과하며 푸셔(500)를 이송면(11) 측으로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즉 푸셔(500)는 상단직선구간(10c)으로 복귀하여 새로 공급된 식품을 받기 위해 이송면(11) 측으로 후퇴하면서 자동으로 준비된다.Referring to FIG. 20 , products (containers and food) inverted upside down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are discharged downward by driving the finger 100 .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20 , the drive bar 700 passes through the second inclined groove 613 and automatically returns the pusher 500 to the transfer surface 11 side. That is, the pusher 500 returns to the upper straight section 10c and is automatically prepared while retreating toward the transfer surface 11 to receive the newly supplied food.

한편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지점에 형성된 핑거구동부(400)는 가동레일(410)을 작동시켜 핑거 구동용 바(300)를 회전시키고 회전변환링크(32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핑거(100)는 잠금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품을 배출한다. 전술한 것처럼 핑거 구동용 바(300)는 회전변환링크(320)와 같은 연결구조를 통해 복수의 핑거(100) 각각에 연결되어 있고, 그렇지 않은 핑거(100)의 일부도 링크(120) 연결을 통해 회전이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핑거(100) 전체가 동시에 가동되며 고정한 제품(용기와 식품)들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핑거(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식품용기 고정장치(1)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용기에 포장된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20, the finger driving unit 400 formed at the discharge point operates the movable rail 410 to rotate the finger driving bar 300 and rotates the rotational force by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The finger 100 receiving the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o discharge the product. As described above,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ngers 100 through a connection structure such as the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and some of the fingers 100 that are not connected also connect the link 120 Since the rotation is synchronized through, all of the plurality of fingers 10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and fixed products (containers and food) can be simultaneously discharged. In this way, by using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inger 100, food packaged in a container can be manufactured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식품용기 고정장치 100: 핑거
110: 회전축 111: 제1연결암
112: 제2연결암 120: 링크
200: 가이드레일 210: 가이드홈
201: U자형 곡선부 202: U자형 귀환부
203: 상단직선부 204: 하단직선부
300: 핑거 구동용 바 310, 710: 구동암
311, 711: 말단삽입부 320: 회전변환링크
321: 제3연결암 400: 핑거구동부
410: 가동레일 411: 구동실린더
500: 푸셔 510: 상단판
520: 탄성부 530: 연결바
531: 승강가이드 600: 보조가이드레일
610: 작동홈 611: U자형 곡선홈
612: 제1경사홈 613: 제2경사홈
614: U자형 귀환홈 615: 제3경사홈
616: 제4경사홈 617: 상단직선홈
618: 하단직선홈 700: 구동바
720: 연결링크 721: 연결암
10: 식품포장용 컨베이어 10a: U자형 곡선구간
10b: U자형 귀환구간 10c: 상단직선구간
10d: 하단직선구간 11: 이송면
12: 개구 13: 체인
14: 이송플레이트 15: 지지대
20: 슈트 A: 식품
B: 용기
1: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00: finger
110: rotation axis 111: first connecting arm
112: second connection arm 120: link
200: guide rail 210: guide groove
201: U-shaped curve part 202: U-shaped return part
203: upper straight part 204: lower straight part
300: finger driving bar 310, 710: driving arm
311, 711: end insertion part 320: rotation conversion link
321: third connecting arm 400: finger driving unit
410: movable rail 411: drive cylinder
500: pusher 510: top plate
520: elastic part 530: connecting bar
531: lifting guide 600: auxiliary guide rail
610: operating groove 611: U-shaped curved groove
612: first inclined groove 613: second inclined groove
614: U-shaped return groove 615: third inclined groove
616: fourth inclined groove 617: upper straight groove
618: lower straight groove 700: driving bar
720: connecting link 721: connecting arm
10: Conveyor for food packaging 10a: U-shaped curved section
10b: U-shaped return section 10c: Upper straight section
10d: lower straight section 11: feed surface
12: opening 13: chain
14: transfer plate 15: support
20: Chute A: Food
B: container

Claims (11)

식품위에 뒤집힌 용기를 덮어 이송면(11)에 탑재하고 상기 이송면(11)을 U자형 곡선구간(10a)에서 상하 반전시켜 상기 용기에 식품을 안착시키는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 또는 상기 식품을 상기 이송면(11)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기 이송면(11)에 가동할 수 있게 결합된 핑거(100);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기 이송면(11)이 이동하는 주행경로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레일(200);
일 측은 상기 핑거(100)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동되는 핑거 구동용 바(300); 및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적어도 일 측에서 상기 핑거 구동용 바(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핑거(100)를 움직이는 핑거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100)는,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기 이송면(11)과 수직한 회전축(110)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면(11) 상에서 회전되고,
상기 핑거 구동용 바(300)는,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의 상기 이송면(11)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10)과 수직하게 배치된 축으로 형성되며 말단에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에 연결되고 상기 핑거구동부(400)에 작동에 의해 말단의 위치가 바뀌는 구동암(310)과, 구동암(310)의 말단에 형성된 말단삽입부(311)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구동부(400)는,
상기 가이드레일(200)의 일부가 분절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 가동레일(410)과, 상기 가동레일(410)을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연결된 제1위치 및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어긋난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구동실린더(41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00)은,
상기 U자형 곡선구간(10a)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면(11)이 상기 U자형 곡선구간(10a)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핑거(100)를 고정상태로 유지시키는 U자형 곡선부(201)과 말단삽입부(3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레일(410)은,
상기 가이드레일(200)과 결합되도록 이동되는 경우, 핑거 구동용 바(300)가 회전되도록 하며 핑거(100)가 용기를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하방으로 이동하며 가이드레일(200)에서 이탈되는 경우, 핑거 구동용바(300)가 회전되도록 하며 핑거가 용기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It is placed on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for placing the food in the container by covering the overturned container on the food and mounting it on the transfer surface 11 and inverting the transfer surface 11 up and down in a U-shaped curved section 10a, In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for detachably fixing the container or the food on the transfer surface (11),
Fingers 100 movably coupled to the transfer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 guide rail 200 disposed along a travel path on which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moves;
a finger driving bar 30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nger 100 and the other sid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00; and
A finger driving unit 400 formed on the guide rail 200 and moving the finger 100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nger driving bar 300 on at least one side of the guide rail 200,
The finger 100,
It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10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rotates on the conveying surface 11,
The finger driving bar 300,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veying surface 11 of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and is formed as a shaft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haft 110, protrudes from the end and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 200, and the finger It includes a driving arm 310 whose distal end is changed by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400 and an end insertion part 311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driving arm 310,
The finger driving unit 400,
A part of the guide rail 200 is segmented to form a movable rail 410 form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guide rail 200, and a first connecting the movable rail 410 to the guide rail 200. position and a drive cylinder 411 that moves between a second position shifted from the guide rail 200,
The guide rail 200,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haped curve section 10a,
While the conveying surface 11 passes throug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for maintaining the finger 100 in a fixed state and the guide groove into which the end insertion portion 311 is inserted ( 210),
The movable rail 410,
When moved to be coupled with the guide rail 200, the finger driving bar 300 is rotated and the finger 1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locking the container,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which moves downward and when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200, causes the finger driving bar 300 to rotate and the finger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unlocking the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410)은, 상기 U자형 곡선부(201)의 전단 및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rail 410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shaped curved portion 201 of the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100)는 복수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회전축(110)이 중앙에 관통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서로 역방향으로 움직이며 복수의 상기 식품 또는 상기 용기를 동시에 고정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fingers 100 are formed in plurality, but at least some of them are formed in a bar shape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110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both ends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simultaneously fix a plurality of the foods or the containers Food container Fixture (1).
제7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핑거(100) 중 일부가 인접한 핑거(100)의 회전축(110)과 링크(120)로 연결되어 동작이 동기화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According to claim 7,
A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in which some of the plurality of fingers (100) ar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10) of an adjacent finger (100) by a link (120) to synchronize opera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10)과 상기 핑거 구동용 바(300)의 사이에 일단부는 상기 회전축(110)에 편심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핑거 구동용 바(300)에 편심결합되어 상기 핑거 구동용 바(300)의 회전을 상기 회전축(110)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회전변환링크(320)를 더 포함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According to claim 1,
Between the rotary shaft 110 and the finger driving bar 300, one end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10 and the other end is eccentrically coupled to the finger driving bar 300, so that the finger driving bar 300 )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conversion link 320 for conve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10 into rot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컨베이어(10)는 상기 U자형 곡선구간(10a)이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된 체인 컨베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면(11)은 상기 체인 컨베이어의 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플레이트(14)의 일 면으로 형성되는 식품용기 고정장치(1).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packaging conveyor 10 is formed of a chain conveyor in which the U-shaped curved section 10a is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and the conveying surface 11 is a conveying plate 14 moving along the chain of the chain conveyor. Food container fixing device (1) formed on one side of the.
KR1020220181555A 2022-12-22 2022-12-22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KR1025478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55A KR102547832B1 (en) 2022-12-22 2022-12-22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1555A KR102547832B1 (en) 2022-12-22 2022-12-22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832B1 true KR102547832B1 (en) 2023-06-28

Family

ID=8699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1555A KR102547832B1 (en) 2022-12-22 2022-12-22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8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21Y2 (en) * 1990-10-12 1994-12-2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Lump filling device
JPH08244941A (en) * 1995-03-15 1996-09-24 Toyo Kanetsu Kk Carrying device
KR101610696B1 (en) 2014-10-08 2016-04-08 김성욱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plastic container and feeding method of plastic contain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321Y2 (en) * 1990-10-12 1994-12-21 四国化工機株式会社 Lump filling device
JPH08244941A (en) * 1995-03-15 1996-09-24 Toyo Kanetsu Kk Carrying device
KR101610696B1 (en) 2014-10-08 2016-04-08 김성욱 Automatic feeding apparatus for plastic container and feeding method of plastic containe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968A (en) Continuous to intermittent feeding interface
CN1085172C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from container
US10843876B2 (en) Hybrid diverter with multi-action transfer bar and method of using same
AU700669B2 (en) Opening and lowering cartons onto article groups
CA2276482C (en) Conveyor having serpentine capabilities
MXPA96006155A (en) Packaging machine having overhead assembly for opening and lowering cartons onto article groups
CA2727962C (en) Flight lug for octagonal cartons
JPH07144734A (en) Conveyor
CN1078561C (en) Tipping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for piece goods
US3031066A (en) Swinging tray conveyors
US5127894A (en) Device for making cartons from flattened tubular blanks
KR19980703753A (en) Bottom-loaded basket carrier
US4759167A (en) Packaging machine
KR102547832B1 (en) Food container clamping device
KR102545403B1 (en) Food position control device
CN1103716C (en) Carton erecting mechanism
KR20060081707A (en) Stacking device
US10549924B2 (en) Robotic article collation and metering assembly
SU623506A3 (en) Device for delivering containers with cigarettes to packing machine bunker and removing empty containers
EP0249373B1 (en) Conveying system for removing containers from a packaging machine
CN108820707B (en) Medicine bottle conveying line
EP1335855B1 (en) A machine for packaging articles, in particular cds, dvds and the like, into containers
GB1589981A (en) Pouch shaping mechanism
KR19990068070A (en) Primary sorting apparatus for flat articles
ES2229836B1 (en) FLEXIBLE PACKAGING TRANSPORTATION DEVICE FOR AUTOMATIC PACKAG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