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698B1 -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698B1
KR102547698B1 KR1020230045091A KR20230045091A KR102547698B1 KR 102547698 B1 KR102547698 B1 KR 102547698B1 KR 1020230045091 A KR1020230045091 A KR 1020230045091A KR 20230045091 A KR20230045091 A KR 20230045091A KR 102547698 B1 KR102547698 B1 KR 10254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result
band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5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은
임종국
조재형
이준희
서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230045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68Logging of test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1Display for diagnostics, e.g. diagnostic result display, self-test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절차 중 통신정보문서와 단말정보문서 각각에 포함된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여 시험장비에 입력하고,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을 통해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고, 결과보고서가 전산 상에 입력된 전산입력시트를 결과보고서와 비교하여 재검토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that Automate The Conformance Tes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절차 중 통신정보문서와 단말정보문서 각각에 포함된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여 시험장비에 입력하고,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을 통해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고, 결과보고서가 전산 상에 입력된 전산입력시트를 결과보고서와 비교하여 재검토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Conformance Test)은 무선통신단말의 품질과 성능을 평가하고 검증하기 위한 시험이고, 무선통신단말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된 표준 규격에 따라 수행된다.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의 예로써, RF시험 및 통신 프로토콜시험이 있다. 무선통신단말의 RF(무선 주파수) 시험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통신단말의 통신 성능을 평가하며, 무선주파수밴드, 주파수 에러, 주파수 안전성 등의 성능을 측정한다. 또한, 무선통신단말의 안테나 특성과 지향성을 검사하고, 무선 주파수의 간섭과 잡음, 신호 세기 등을 측정한다. 무선통신단말의 통신 프로토콜시험은 무선통신단말의 프로토콜 호환성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무선통신단말이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검증한다. 이러한 시험을 통해 무선통신단말의 안정성과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적합성시험 진행 중에는 시험자의 수작업으로 인해 오랜 시간이 소모되는 구간이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을 의뢰한 고객사로부터 제공받은 관련 문서 상에 기재된 내용들을 검토하고, 시험 착수를 위해 시험장비에 단말정보를 입력하고,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시험결과파일에 대해 각각 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결과보고서의 관리를 위해 전산 상에 등록 후 작성된 결과보고서와 전산 상에 등록된 결과보고서를 비교하여 정보 오입력을 재검토하고, 고객사에 비용청구자료를 작성하는 과정들이 종래의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중 시험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는 과정들이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작업들은 각각 2시간 내지 4시간정도 소요되어,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적합성시험이 수행되는 데 있어서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절차 중 요구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 종래 기술 중 수행되었던 시험자의 수작업을 자동화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절차 중 통신정보문서와 단말정보문서 각각에 포함된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여 시험장비에 입력하고,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을 통해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고, 결과보고서가 전산 상에 입력된 전산입력시트를 결과보고서와 비교하여 재검토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시험용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단계;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장비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단계;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단계;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단계; 및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단계;를 포함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시험용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단계;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장비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단계;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단계;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단계; 및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단계;를 포함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밴드정보는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정보는 상기 단말정보문서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비교단계는,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고,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데이터;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은 제2데이터; 및 상기 제2밴드정보는 포함하지만 상기 제1밴드정보는 포함하지 않는 제3데이터;를 상기 작업시트에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이템은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정보문서는 해당 통신정보문서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1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는 해당 시험장비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2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테이블은 복수의 제1아이템명과 복수의 제2아이템명 중 서로 일치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서로 일치하는 시험단말기능에 해당하는 아이템끼리 일대일 형태로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그정보는 시험이름,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상기 시험단말기능, 시험조건, 시험결과 및 시험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는, 상기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에 포함된 html파일을 크롤링(Crawling)하고, 크롤링된 파일에서 시험자가 필요한 상기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로그정보를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파일에 대해 자동쓰기를 수행하여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상기 제2결과정보 각각은 시험일자, 시험장비정보,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상기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재검토단계는, 시험자가 입력한 시험일자에 상응하는 해당 제1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와 해당 제2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제1결과보고서 및 상기 제2결과보고서 각각에,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정보; 및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는 제2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고,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험용컴퓨터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기기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부;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부;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부; 및 상기 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부;를 포함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험용컴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에 필요한 절차 내 존재하는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적합성시험에서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험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에 필요한 절차 내 존재하는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적합성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가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험자의 실수를 방지하여 시험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적합성시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정보문서 기준에서의 용어와 시험장비 기준에서의 용어를 일대일 형태로 매칭하는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정보문서의 정보를 시험장비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에 용이하게 반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정보문서에 기재된 주파수밴드와 단말정보문서에 기재된 주파수밴드를 자동으로 비교하고, 일치여부를 빠르게 검토함으로써, 데이터의 문제점이 발견됐을 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을 의뢰한 고객사에게 신속하게 문제점에 대한 통보 및 확인을 요청하고,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험용컴퓨터가 전산 상에 기록된 결과보고서를 전산 상에 기록되기 전 결과보고서와 비교하고 재검토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 적합성시험의 시험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시트의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정보와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고, 일치여부를 검토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비교단계 수행에 앞서 시험용컴퓨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테이블을 이용한 시험장비작업시트의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과보고서생성단계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검토단계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무선통신단말(30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스마트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용컴퓨터(1000)는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통신정보문서(100) 및 단말정보문서(200)를 기반으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을 수행할 시험장비(2000)와 서로 통신하고, 정보를 송수신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을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적합성시험을 의뢰한 고객사로부터 시험자는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통신정보문서(100) 및 단말정보문서(200)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정보문서(200)는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기능 및 사양에 대한 정의가 기재된 범용적인 문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정보문서(100)는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통신분야의 기능 및 사양이 기재된 문서를 포함한다.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 및 단말정보문서(20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포함된 정보를 반영하여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장비작업시트에 기반하여 시험장비(2000)의 적합성시험을 셋업(set-up)한다. 상기 시험장비(2000)가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적합성시험을 수행한 후에도,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시험장비(2000)에서 출력되는 시험결과에 기반하여 결과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보고서에 대한 재검토를 자동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의 수행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시험용컴퓨터(1000)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100)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200)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단계(S100);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장비(2000)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2000)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단계(S200);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2000)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단계(S400); 및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단계(S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는, 기존 작업시트에 입력된 정보를 초기화하고, 해당 통신정보문서(100)로부터,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제1밴드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해당 단말정보문서(200)로부터,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제2밴드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시트에 입력한다.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는, 상기 제1밴드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밴드와 상기 제2밴드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일치하는 주파수밴드는 상기 작업시트에 파란 글씨로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는 주파수밴드는 상기 작업시트에 빨간 글씨로 출력하고, 상기 제1밴드정보에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제2밴드정보에만 존재하는 주파수밴드는 상기 작업시트에 초록 글씨로 출력하여 시험자가 주파수밴드의 비교결과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선통신단말(3000)에 대한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을 아이템이라고 칭할 때, 일반적으로 동일한 아이템에 대해서 시험장비(2000) 기준의 아이템 명칭과 통신정보문서(100) 기준의 아이템 명칭이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포함된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상기 시험장비(2000)의 시험동작에 반영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생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는, 해당 알고리즘으로써, 상기 매핑테이블을 통해 시험장비(2000) 기준의 아이템 명칭과 통신정보문서(100) 기준의 아이템 명칭을 일대일 형태로 매칭한다. 상기 시험장비(2000)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아이템을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찾아내고, 해당 아이템의 명칭과 매칭되는 시험장비(2000) 기준의 아이템 명칭을 상기 매핑테이블을 통해 찾아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한다.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는 상기 시험장비(2000) 기준의 아이템 명칭과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에 의해 상기 시험장비(2000)에 입력된다.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는, 시험장비(2000)가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 기반하여 시험을 수행한 후에 시험결과로써 출력한 로그파일을 통해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그파일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시험장비(2000)에서 출력되며,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는, 로그파일의 압축을 풀고 상기 로그파일에 포함된 파일들에 대해 크롤링(Crawling) 및 파싱(Parsing)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는 파일 별 추출된 로그정보를 별도의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파일에 대해 자동쓰기를 수행하여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시험자는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대한 용이한 관리를 위해 전산 상에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직접 등록한다. 시험자가 전산 상에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를 입력할 때, 시험자의 실수로 전산 상에 입력된 상기 제2결과정보가 상기 제1결과정보와 다른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가 일치하는지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재검토단계(S400)는,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에서 생성된 제1결과보고서의 제1결과정보와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의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상기 제2결과정보 각각에 기재된 시험일자, 시험장비(2000) 혹은 시험결과 등이 서로 일치하는지 재검토하고, 일치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출력하여 시험자가 문제점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용청구단계(S500)는,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기록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이름, 원격접속도구(RAT, Radio Access Technology), 시험장비(2000) 및 시험일자를 기반으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에 대한 비용청구서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시트의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밴드정보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정보는 상기 단말정보문서(200)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포함된 상기 제1밴드정보는 서로 다른 복수의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정보문서(200)에 포함된 상기 제2밴드정보는 서로 다른 복수의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CA 및 NR은 통신정보문서(100)에서 정의된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이고, 2CA, 3CA, FR1 및 FR2는 단말정보문서(200)에서 정의된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이다. 또한, 복수의 DATA 각각은 해당 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적인 주파수밴드이고, 각자 상이한 주파수밴드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DATA는 각자 0MHz 내지 100MHz 및 150MHz 내지 200MHz일 수 있고,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DATA는 각자 0MHz 내지 50MHz, 50MHz 내지 100MHz 및 100내지 150MHz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는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4CA주파수밴드카테고리, LAA주파수밴드카테고리 등 서로 다른 복수의 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는, 먼저 작업시트에 새로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기존의 작업시트를 초기화한다. 이후, 적합성시험에 필요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상기 단말정보문서(200)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정보를 파싱(Parsing)해서 상기 작업시트에 입력한다.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의 화면 상에는 상기 작업시트를 포함하는 작업시트레이어(L1)가 출력되고, 상기 작업시트레이어(L1)는 상기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레이어(L2), 상기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레이어(L3), 상기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적인 주파수밴드를 포함하는 제2세부밴드레이어(L4) 및 상기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세부적인 주파수밴드를 포함하는 제1세부밴드레이어(L5)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밴드정보와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고, 일치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는,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고,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데이터;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은 제2데이터; 및 상기 제2밴드정보는 포함하지만 상기 제1밴드정보는 포함하지 않는 제3데이터;를 상기 작업시트에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한다.
개략적으로, 도 4의 (a)는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의 수행과정을 도시하고, 도 4의 (b)는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에 의해 비교된 상기 제1데이터 내지 제3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시트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는 상기 작업시트에 포함된 통신정보문서(100)의 제1밴드정보와 단말정보문서(200)의 제2밴드정보를 비교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밴드정보의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3CA주파수밴드카테고리가 포함하는 각각의 주파수밴드와 상기 제1밴드정보의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가 포함하는 주파수밴드는 LTE 주파수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밴드로서, 상기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주파수밴드 및 상기 3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주파수밴드 각각은 상기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주파수밴드와 비교된다. 또한, 상기 제2밴드정보의 FR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FR2주파수밴드카테고리가 포함하는 각각의 주파수밴드와 상기 제1밴드정보의 NR주파수밴드카테고리가 포함하는 주파수밴드는 5G 주파수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밴드로서, 상기 FR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FR2주파수밴드카테고리 각각의 주파수밴드는 상기 NR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주파수밴드와 비교된다.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도시된 작업시트에 대해서 밴드비교단계(S100)가 수행된 후에 출력되는 작업시트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세부밴드레이어(L4) 및 제1세부밴드레이어(L5)에 포함된 DATA 중 파란색 글씨에 해당하는 DATA는 상기 제1밴드정보의 주파수밴드 및 상기 제2밴드정보의 주파수밴드가 서로 일치하는 상기 제1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빨간색 글씨에 해당하는 DATA는 상기 제1밴드정보의 주파수밴드 및 상기 제2밴드정보의 주파수밴드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제2데이터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초록색 글씨에 해당하는 DATA는 상기 제2밴드정보에는 존재하지만, 상기 제1밴드정보에는 존재하지 않는 주파수밴드에 해당하는 상기 제3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DATA 각각이 0MHz 내지 10MHz, 10MHz 내지 20MHz 및 30MHz 내지40MHz의 주파수밴드에 해당하고,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DATA 각각이 0MHz 내지 20MHz 및 50MHz 내지 60MHz의 주파수밴드에 해당할 때, 상기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0MHz 내지 10MHz 및 10MHz 내지 20MHz에 해당하는 DATA는 상기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0 MHz내지 20MHz에 해당하는 DATA와 일치하므로 해당 DATA는 파란색 글씨로 출력되고, 상기 2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30MHz 내지 40MHz와 상기 CA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50MHz 내지 60MHz는 서로 일치하는 않으므로 빨간색 글씨로 출력된다. 또한, FR1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DATA 각각이 0MHz 내지 10MHz, 10MHz 내지 20MHz, 20MHz 내지 30MHz 및 30MHz 내지 40MHz의 주파수밴드에 해당하고, NR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DATA 각각이 0MHz 내지 10MHz, 10MHz 내지 15MHz 및 15MHz 내지 20MHz의 주파수밴드에 해당할 때, 상기 FR1주파수밴드카테고리의 20MHz 내지 30MHz 및 30MHz 내지 40MHz에 해당하는 DATA는 상기 NR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없는 DATA이므로 초록색 글씨로 출력된다.
상기 시험자는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에서 일치여부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르게 출력되는 주파수밴드를 통해, 일치하지 않는 주파수밴드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를 시험자가 수작업으로 할 때 5시간의 긴 시간이 소모된다. 그러나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가 자동적으로 통신정보문서(100)와 단말정보문서(200)의 주파수밴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시험에 소모되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시험자의 실수 개입이 방지되어 시험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비교단계(S100) 수행에 앞서 시험용컴퓨터(10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자는 시험용컴퓨터(1000)의 화면 상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밴드비교UI를 통해 통신정보문서(100)의 제1밴드정보와 단말정보문서(200)의 제2밴드정보를 자동으로 비교할 수 있다. 해당 주파수밴드UI는 문서첨부엘리먼트(E1-1 내지 E1-2, 이하 E1), 파일경로레이어, 파라미터엘리먼트(E2-1 내지 E2-3, 이하 E2), 검토엘리먼트(E3), 데이터확인레이어(L6-1 내지 L6-2, 이하 L6), 결과파일경로레이어 및 열람엘리먼트(E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시험용컴퓨터(1000)가 밴드비교단계(S100)를 수행하기 위해서 시험자가 상기 주파수밴드비교UI에 통신정보문서(100) 및 단말정보문서(200)를 입력해야 한다. 시험자는 통신정보문서첨부엘리먼트(E1-1)를 선택해서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에 상기 통신정보문서(100)를 입력하고, 단말정보문서첨부엘리먼트(E1-2)를 선택해서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에 상기 단말정보문서(200)를 입력한다. 이후 상기 시험자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 및 상기 단말정보문서(200)에서 비교수행이 필요한 파라미터를 상기 파라미터엘리먼트(E2)를 선택해서 설정한다. 상기 파라미터는 무선액세스기술(Radio Access Technology)의 종류로써, LTE, NR(5G) 및 LTE + NR(5G)을 포함한다. 상기 파라미터 각각은 도 4에서 전술한 복수의 주파수밴드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정보문서(100) 및 단말정보문서(200)가 입력된 뒤, 상기 시험자에 의해 검토엘리먼트(E3)가 선택되면,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선택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추출된 제1밴드정보 및 상기 단말정보문서(200)에서 선택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추출된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고, 주파수밴드의 일치여부를 검토한다. 검토 이후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주파수밴드비교UI에 통신정보문서(100)에 제1밴드정보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확인결과를 통신정보문서데이터확인레이어(L6-1)에 출력한다. 상기 제1밴드정보가 정상적으로 있었으면 상기 통신정보문서데이터확인레이어(L6-1)에는 PASS가 출력되고, 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면 상기 통신정보문서데이터확인레이어(L6-1)에는 FAIL이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단말정보문서데이터확인레이어(L6-2)에 상기 제2밴드정보에 대한 확인결과를 PASS와 FAIL로 출력한다. 상기 밴드비교단계(S100)가 수행된 작업시트의 파일경로는 상기 결과파일경로레이어에 출력되고, 상기 시험자는 열람엘리먼트(E4)를 선택해서 상기 작업시트를 직접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파라미터 설정 시 선택된 통신정보문서(100)의 파일경로; 및 상기 파라미터 설정 시 선택된 단말정보문서(200)의 파일경로;를 각 문서첨부엘리먼트(E1)와 인접한 상기 파일경로레이어에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파수밴드비교UI에 포함되는 복수의 엘리먼트와 복수의 레이어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시험자의 편의에 따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테이블을 이용한 시험장비작업시트의 생성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은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정보문서(100)는 해당 통신정보문서(100)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1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정보작업시트는 해당 시험장비(2000)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2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테이블은 복수의 제1아이템명과 복수의 제2아이템명 중 서로 일치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서로 일치하는 시험단말기능에 해당하는 아이템끼리 일대일 형태로 매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장비(2000)에서 적합성시험이 수행되기 위해,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는, 통신정보문서(100)의 정보를 반영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2000)에 입력한다. 하지만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에 대해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상이하므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의 용어와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서의 용어를 매칭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는 통신정보문서(100) 및 매핑테이블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을 아이템(Item)으로 칭할 때,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는, 복수의 제2아이템명('가' 내지 '마')이 기재된 시트 초안에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Support)를 모두 False(수행 안함)로 설정한다. 이후, 상기 제1아이템명(A 내지 E)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가 포함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즉, 시험단말기능여부가 True라고 기재된 제1아이템명에 대한 해당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해당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낸다. 이후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는, 동일한 아이템에 대하여 시험장비작업시트에 기재되는 용어와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기재된 용어를 일대일 형태로 매칭하는 상기 매핑테이블을 통해,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기재된 제1아이템명을 해당 제2아이템명과 매칭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기재된 표의 1열에는 복수의 제1아이템명이 표시되고, 2열에는 각각의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매핑테이블의 1열에는 복수의 제1아이템명이 표시되고, 2열에는 상기 제1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아이템에 대해 시험장비(2000)에서의 용어로 쓰이는 상기 제2아이템명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매핑테이블에서는, A아이템은 '나'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에 해당하고, B아이템은 '가'아이템과 동일한 아이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서의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는 상기 통신정보문서(100) 및 상기 매핑테이블에 의하여 설정된다. 즉, 제2아이템명과 상응하는 제1아이템명에 대해,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해당 제1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가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서의 상기 제2아이템명에 해당하는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로 설정된다.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예로 들면,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의하여 A아이템은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므로(NO), 상기 A아이템과 상응하는 '나'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시험장비(2000)에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해당 아이템을 지원하지 않음이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 표기된다(False). 반대로 상기 통신정보문서(100)에 의하여 B아이템은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지원하는 기능이므로(YES), 상기 B아이템과 상응하는 '가'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시험장비(2000)에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이 해당 아이템을 지원함이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에 표기된다(Tru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그정보는 시험이름,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상기 시험단말기능, 시험조건, 시험결과 및 시험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는, 상기 시험장비(2000)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에 포함된 html파일을 크롤링(Crawling)하고, 크롤링된 파일에서 시험자가 필요한 상기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로그정보를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파일에 대해 자동쓰기를 수행하여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장비입력단계(S200)에 의해 생성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기반으로 시험장비(2000)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3000)의 적합성시험이 수행되고, 해당 적합성시험의 시험결과로써 압축파일의 형태로 로그(Log)파일이 출력된다.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시험장비(2000)로부터 출력된 로그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로그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상기 로그파일은 적합성시험에서 도출된 복수의 시험결과 각각에 대한 html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html파일 각각에 대한 html경로를 수집하고, 수집한 html경로에 대해 뷰티풀수프(Beautifulsoup)를 이용하여 html크롤링(Html Crawling)을 수행한다. 즉, 시험용컴퓨터(1000)는 html경로 상에 있는 해당 html페이지를 수신해서, 뷰티풀수프를 이용하여 해당 html페이지의 태그를 파싱(Parsing)한다. 상기 시험용컴퓨터(1000)는 상기 html크롤링이 수행된 각각의 html파일 별로 시험자가 필요한 데이터로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로그정보를 별도의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파일 각각에 대해 한컴 API를 이용해 결과기록지에 자동쓰기를 수행하여 자동적으로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한다.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S300)가 시험자의 수작업으로 수행될 때 통상적으로 4시간이 소요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해당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시험자가 제1결과보고서를 직접 작성할 때 오탈자에 의해 시험 결과가 바뀌는 문제점 등을 방지하여 적합성시험의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검토단계(S400)의 수행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상기 제2결과정보 각각은 시험일자, 시험장비정보,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상기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재검토단계(S400)는, 시험자가 입력한 시험일자에 상응하는 해당 제1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와 해당 제2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제1결과보고서 및 상기 제2결과보고서 각각에,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정보; 및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는 제2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적합성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백 내지 수천개에 이르는 테스트케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시험자는 수천개의 테스트케이스를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해 전산 상에 제1결과보고서를 그대로 입력하고, 상기 제1결과보고서가 필요할 때 전산 상에서 상기 제1결과보고서로써 입력된 상기 제2결과보고서를 찾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험자가 제1결과보고서를 수동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생기는 오탈자나 전산 상 오류로 인해 내용이 일부 변경되어 전산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결과정보가 상기 제1결과정보와 다르게 기록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험자가 전산 상에 기록된 제2결과정보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시험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소모된다. 그러므로 시험용컴퓨터(1000)가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자동으로 비교하고, 재검토를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과정보는 결과보고서 시트에 기재되고, 상기 제2결과정보는 전산입력 시트에 기재된다. 상기 재검토단계(S400)는,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가 일치하는 부분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다른 색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의 일치여부를 색으로 구별하지 않고 시험자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110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시험용컴퓨터(1000)는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1200)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1100)나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상기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상기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상기 프로세서(11100) 및 상기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는 상기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상기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상기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상기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 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5G, 6G,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표준편차되어서, 표준편차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에 필요한 절차 내 존재하는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적합성시험에서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험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주파수밴드에 대한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에 필요한 절차 내 존재하는 수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적합성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가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험자의 실수를 방지하여 시험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적합성시험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정보문서 기준에서의 용어와 시험장비 기준에서의 용어를 일대일 형태로 매칭하는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정보문서의 정보를 시험장비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에 용이하게 반영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통신정보문서에 기재된 주파수밴드와 단말정보문서에 기재된 주파수밴드를 자동으로 비교하고, 일치여부를 빠르게 검토함으로써, 데이터의 문제점이 발견됐을 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을 의뢰한 고객사에게 신속하게 문제점에 대한 통보 및 확인을 요청하고,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시험용컴퓨터가 전산 상에 기록된 결과보고서를 전산 상에 기록되기 전 결과보고서와 비교하고 재검토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 적합성시험의 시험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시험용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으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단계;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장비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단계;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단계;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단계; 및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단계;를 포함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정보는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1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밴드정보는 상기 단말정보문서에서 정의한 복수의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 및 상기 제2주파수밴드카테고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비교단계는,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고,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데이터; 상기 제1밴드정보와 상기 제2밴드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은 제2데이터; 및 상기 제2밴드정보는 포함하지만 상기 제1밴드정보는 포함하지 않는 제3데이터;를 상기 작업시트에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이템은 주파수밴드 혹은 단말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정보문서는 해당 통신정보문서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1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는 해당 시험장비를 기준으로 복수의 아이템 각각에 대하여 명명된 제2아이템명 및 해당 아이템에 대한 시험단말기능여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핑테이블은 복수의 제1아이템명과 복수의 제2아이템명 중 서로 일치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서로 일치하는 시험단말기능에 해당하는 아이템끼리 일대일 형태로 매칭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그정보는 시험이름,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상기 시험단말기능, 시험조건, 시험결과 및 시험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보고서생성단계는,
상기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에 포함된 html파일을 크롤링(Crawling)하고, 크롤링된 파일에서 시험자가 필요한 상기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로그정보를 텍스트파일로 저장하고, 저장된 텍스트파일에 대해 자동쓰기를 수행하여 상기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상기 제2결과정보 각각은 시험일자, 시험장비정보, 상기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재검토단계는,
시험자가 입력한 시험일자에 상응하는 해당 제1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와 해당 제2결과정보의 해당 시험장비정보, 시험주파수밴드, 시험조건 및 시험결과를 비교하고,
상기 제1결과보고서 및 상기 제2결과보고서 각각에,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는 제1정보; 및 상기 제1결과정보 및 제2결과정보 간의 일치하지 않는 제2정보;를 시각적으로 구별해서 출력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고,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험용컴퓨터로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통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통신정보문서에 포함된 제1밴드정보 및 해당 무선통신단말의 전체적인 사항이 기록된 단말정보문서에 포함된 제2밴드정보를 작업시트에 입력하고, 상기 작업시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밴드정보 및 상기 제2밴드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주파수밴드 정보에 대한 일치여부를 검토하여 출력하는 밴드비교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을 찾아내고, 시험기기에 입력되는 시험장비작업시트와 상기 통신정보문서에서의 용어의 관계에 대한 매핑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무선통신단말이 지원하는 시험주파수밴드 혹은 시험단말기능이 기록된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시험장비작업시트를 시험장비에 입력하는 시험장비입력부;
시험을 수행한 시험장비에서 출력되는 로그파일 중 필요한 로그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정보에 기반하여 제1결과보고서를 생성하는 결과보고서생성부;
상기 제1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1결과정보 및 시험자에 의해 전산 상에 입력된 제2결과보고서에 포함된 제2결과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결과정보와 상기 제2결과정보의 일치여부를 출력하는 재검토부; 및
상기 결과보고서에 기록된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비용청구서를 생성하는 비용청구부;를 포함하는, 적합성시험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험용컴퓨터.
KR1020230045091A 2023-04-06 2023-04-06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4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91A KR102547698B1 (ko) 2023-04-06 2023-04-06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5091A KR102547698B1 (ko) 2023-04-06 2023-04-06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698B1 true KR102547698B1 (ko) 2023-06-26

Family

ID=869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5091A KR102547698B1 (ko) 2023-04-06 2023-04-06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6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4852A (ja) * 2008-02-18 2009-08-27 Ntt Software Corp 仕様適合性検証装置
KR20100080965A (ko) * 2009-01-04 2010-07-14 남종철 통방 융합 테스트베드 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KR20180018101A (ko) * 2016-08-12 2018-02-21 (주)에이치시티 테스트 디바이스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테스트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20210056814A (ko) * 2019-11-11 2021-05-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문헌 내 전자기장 주파수 대역 정보 추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50017A (ko) * 2020-10-15 2022-04-22 (주)큐랩스 설계된 회로도에서의 회로 및 부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4852A (ja) * 2008-02-18 2009-08-27 Ntt Software Corp 仕様適合性検証装置
KR20100080965A (ko) * 2009-01-04 2010-07-14 남종철 통방 융합 테스트베드 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KR20180018101A (ko) * 2016-08-12 2018-02-21 (주)에이치시티 테스트 디바이스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테스트 디바이스의 테스트 장치
KR20210056814A (ko) * 2019-11-11 2021-05-2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문헌 내 전자기장 주파수 대역 정보 추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050017A (ko) * 2020-10-15 2022-04-22 (주)큐랩스 설계된 회로도에서의 회로 및 부품 검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609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systems comprising computer-readable media, and electronic devices for secure multi-datasource query job status notificaion
US10649881B2 (en) Determining compliance of software applications to compliance standards based on mapped application capabilities
CN105431819A (zh) 异步处理器消除亚稳态的方法和装置
US9026580B2 (en) Validation pipeline
US9298906B2 (en) Analyzing apparatus validating system and program for the system
KR101553478B1 (ko) IoT 장치 및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367432B2 (en) Testing system
US10289522B2 (en) Autonomous information technology diagnostic checks
Bicaku et al. Security standard compliance and continuous verification for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KR102202108B1 (ko) 클라우드 인프라 자산의 취약점을 자동진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9635016A (zh) 数据转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163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ty driven error handling system for platform users
KR102547698B1 (ko) 무선통신단말의 적합성시험 전주기를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430595B2 (en) Managing model checks of sequential designs
US961959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lectronic design configuration space determination and verification
CN113778834A (zh) 一种应用软件的系统性能测试方法、装置与计算设备
CN106909511A (zh) 一种基于RedwoodHQ的自动化测试方法
WO2016021184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トリスク検知方法
WO2022031369A1 (en) Integrated diagnostic test requisition and clinical decision support
US107690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formal metastability fault analysis in an electronic design
US1127005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tection of direct and indirect connectivity shorts in an electronic circuit design
US10521531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nge-based clock analysis associated with the formal verification of an electronic circuit design
CN115905065A (zh) 外接设备的访问方法、客户端外设访问装置及电子设备
CN114065461A (zh) 设备自定义模型的设计方法、系统、介质及设备建模平台
CN115904954A (zh) 接口通用性用例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