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343B1 -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343B1
KR102547343B1 KR1020210113410A KR20210113410A KR102547343B1 KR 102547343 B1 KR102547343 B1 KR 102547343B1 KR 1020210113410 A KR1020210113410 A KR 1020210113410A KR 20210113410 A KR20210113410 A KR 20210113410A KR 102547343 B1 KR102547343 B1 KR 10254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istance
air traffic
control unit
urba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1041A (ko
KR102547343B9 (ko
Inventor
김명현
박선욱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3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343B1/ko
Publication of KR10254734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34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을 선별하는 제1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를 산출하는 제1거리 산출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지역에서 상기 제1거리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는 제2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 내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제어부와 제1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take-off and landing areas for urban air mobilty(UAM)}
본 발명은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통해 제1지역, 제1거리, 제2지역,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 복수 개의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은 드론을 포함한 에어 모빌리티(air mobilty)를 통해 사람과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으로, 대도시 지역에서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장래의 모빌리티 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는 운송수단이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은 기존 도로, 철도 등 선 개념의 교통 인프라와 달리, 버티포트(Vertiport)라는 이착륙장을 기반으로 하는 점 개념의 인프라이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은 버티포트를 통해 이착륙이 진행되며,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은 상공을 비행하기 때문에 교통 혼잡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운송수단이다.
그러나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이 아직 실제 도심 모빌리티 수단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을 운행하는 것에는 다양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을 이착륙시키는 이착륙장(버티포트, Vertiport) 후보지를 선정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도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의 이착륙장을 선정하는 것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통해 제1지역, 제1거리, 제2지역,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 복수 개의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을 선별하는 제1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를 산출하는 제1거리 산출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지역에서 상기 제1거리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는 제2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는 제2거리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거리 보정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과 상기 제1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는 제2거리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심항공교통의 평균 이동 가능 거리를 상기 제1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접근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수속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3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을 통해 상기 제1지역을 선별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을 선별하고,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1지역에서 상기 제1거리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제어부;와, 특정 지역 내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를 통해 제1지역, 제1거리, 제2지역,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 복수 개의 제2지역 중 적합한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 지상교통수단과 도심항공교통의 이동 소요시간 정보,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정보 등과 같이 현재 도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최적의 위치에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제1통신부, 제2통신부, 제3통신부를 통해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예시 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거리에 따라 제2지역을 선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거리에 따라 제2지역을 선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거리가 산출되지 않았을 때 제2지역이 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거리가 산출되었을 때, 제2지역에서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거리 보정 제2지역이 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어부를 통해 제1지역, 제1거리, 제2지역,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 복수 개의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서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ty)이라 함은, 드론을 포함한 에어 모빌리티(air mobilty)일 수 있으며, 사람과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제어부(110)와 제1통신부(151)를 포함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51)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통신부(151)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사람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제2통신부(152)와 제3통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152)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2통신부(152)는 승용차, 지하철, 택시, 철도 등과 같은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지역을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3통신부(153)는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3통신부(153)는 특정 지역으로 사람이 유입되는 수치나 특정 지역에서 사람이 유출되는 수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 상기 제2통신부(152), 상기 제3통신부(153)를 통해 정보를 제공받아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1통신부(151), 상기 제2통신부(152), 상기 제3통신부(153)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통신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부(110), 상기 제1통신부(151), 상기 제2통신부(152), 상기 제3통신부(151)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제1지역 선별 단계(S110), 제1거리 산출 단계(S120), 제2지역 선별 단계(S130), 선정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S11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120)을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S11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행정구역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지역(120)을 선별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제어부(110)는 읍, 면, 동 등과 같이 행정 구역으로 분리된 지역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지역(120)으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지역(120)을 선별할 때,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3통신부(153)를 통해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서 상기 제1지역(120)을 선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3통신부(153)는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3통신부(153)는 하루에 특정 지역으로 사람이 유입되는 수치나, 하루에 특정 지역에서 사람이 유출되는 수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S11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3통신부(153)로부터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3통신부(153)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통해,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이 많은 특정 지역을 상기 제1지역(120)으로 선별할 수 있다.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S12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130)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S12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심항공교통의 평균 이동 가능한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S12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도심항공교통의 최대 이동 가능한 거리 또는 최소 이동 가능한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S12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152)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아서 상기 제1거리(130)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2통신부(152)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2통신부(152)는 승용차, 지하철, 택시, 철도 등과 같은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지역을 이동할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통신부(152)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고, 이를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거리(130)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S12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역(120)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할 때,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도심항공교통을 이용하는 장점이 없어지게 된다.
도심항공교통의 속도는 지상교통수단보다 속도는 빠를 수 있으나,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을 고려하면, 상기 제1지역(120)에서 특정 지역으로 이동할 때 지상교통수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빠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 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하공교통의 이착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 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하공교통의 이착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접근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수속시간을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개발 여건 및 서비스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속도에 따라서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도심항공교통의 개발 여건, 서비스 여건, 이동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제1거리(130)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역 선별 단계(S130)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에서 상기 제1거리(130)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지역 선별 단계(S130)는 상기 제1거리(130)를 기준으로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이 될 수 있는 상기 제2지역(140)을 복수 개 선별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0)는 대도시에서 상기 제1지역(120)을 선별하고,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1거리(130)를 산출하여, 상기 제1지역(120)에서 상기 제1거리(130) 이상 떨어진 복수 개의 지역을 상기 제2지역(140)으로 선별할 수 있다.
도 3은 대도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제1거리(130)가 10km 로 산출되었을 때 상기 제2지역(140)으로 선정되는 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제1거리(130)가 20km로 산출되었을 때 상기 제2지역(140)으로 선정되는 지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거리(130)는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과,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심항공교통의 개발 여건, 서비스 여건,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제1거리(130)는 도심항공교통의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선정 단계(S15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지역 내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통신부(151)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1통신부(151)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사람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 처리하여 보관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1지역(120)과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도심항공공항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함에 따라 도심항공공항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는 제2거리 산출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거리는 특정 지역(상기 제2지역(140))에 이착륙장이 건설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착륙장을 이용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거리이다. 상기 제2거리는 도보나 교통 수단을 통해 지정된 시간 안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역(140)을 기준으로 상기 제2거리 내의 지역이 도심항공교통의 잠재 이용 가능 수요 지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시간 안에 상기 제2지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상기 제2거리는 접근 가능한 교통 여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거리 보정 제2지역(141)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과 상기 제1지역(120)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정된 시간 안에 상기 제2지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상기 제2거리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선정하면, 상기 제2지역(140)의 영향권(상기 제2거리 만큼의 영향권)을 고려하여 이착륙장의 위치를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거리가 산출되지 않았을 때의 상기 제2지역(140)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2지역(140)의 영향권이 0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거리가 산출되었을 때,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이 선정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제2지역(140)의 영향권을 0으로 선정하면, 상기 제2지역(140) 이외의 주변 지역이 영향권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과 동시에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 시각적으로 면적이 작은 지역이 눈에 띄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과 같이 상기 제2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을 산출하면, 수요가 많은 지역을 기준으로, 등고선 형태의 그림이 그려짐과 함께 주요 입지 가능 지역에 대한 시각화 결과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를 선정하면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을 선정하면, 상기 제2지역(140)에 대한 영향권을 포함시켜 이착륙장을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주요 입지 가능 지역에 대한 시각화 결과를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이라 함은, 상기 제2지역(140)을 기준으로 상기 제2지역(140)에 이착륙장이 건설되었을 때 도심항공교통을 잠재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는 이동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정 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 상기 제1거리(130), 상기 제2지역(140), 상기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 하나의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의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에서 함수 f(제1지역, 제1거리, 제2거리)를 적용시켜,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중 어느 하나를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110)와 상기 제1통신부(15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상기 제1지역(120)을 선별하고,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상기 제1거리(130)를 산출하며, 상기 제1지역(120)에서 상기 제1거리(130) 이상 떨어진 상기 제2지역(140)을 복수 개 선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통신부(151)는 특정 지역 내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상기 제2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만큼 떨어진 지역을 포함한 상기 거리 보정 제2지역(141)과 상기 제1지역(120)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10)는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140)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상기 제2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통신부(151)를 통해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140) 중에서, 상기 제2지역(140)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120)과 상기 제2지역(140)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도심항공교통의 평균 이동 가능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2통신부(152)와 상기 제3통신부(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2통신부(152)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지역(120)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130)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역(120)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접근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수속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3통신부(153)를 통해, 상기 제1지역(120)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을 통해 상기 제1지역을 선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제어부를 통해 제1지역, 제1거리, 제2거리에 대한 조건을 선정하여(함수 f(제1지역, 제1거리, 제2거리)), 복수 개의 제2지역 중 적합한 지역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 지상교통수단과 도심항공교통의 이동 소요시간 정보,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정보 등과 같이 현재 도심의 교통상황을 반영하여 최적의 위치에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장으로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대도시 내 다양한 지점(제1지역)에 도심항공교통 이착륙장이 건설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도심항공교통의 운항 거리와 이착륙장-출도착지 간 영향권을 분석하여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최적의 도심항공교통 이착륙장을 선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제어부 120…제1지역
130…제1거리 140…제2지역
141...거리 보정 제2지역 151…제1통신부
152…제2통신부 153…제3통신부
S110…제1지역 선별 단계
S120…제1거리 산출 단계
S130…제2지역 선별 단계
S140…제2거리 산출 단계
S150…선정 단계

Claims (10)

  1.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을 선별하는 제1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를 산출하는 제1거리 산출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지역에서 상기 제1거리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는 제2지역 선별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선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 사이에서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는 제2거리 산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선정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며,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리 산출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심항공교통의 평균 이동 가능 거리를 상기 제1거리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은, 도심항공교통의 이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이착륙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접근시간, 도심항공교통의 수속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3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의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1지역 선별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일 기준 유입량과 유출량을 통해 상기 제1지역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9.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도심항공교통의 이용이 가능한 제1지역을 선별하고, 도심항공교통의 서비스 거리인 제1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1지역에서 상기 제1거리 이상 떨어진 제2지역을 복수 개 선별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 하나의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는 제어부;와,
    특정 지역 내의 이동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2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인 제2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제2지역 중에서, 상기 제2지역에서 상기 제2거리 내의 이동량과, 상기 제1지역과 상기 제2지역 사이의 이동량의 합이 가장 많은 지역을 이착륙장으로 선정하며,
    특정 지역에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지역에서 지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지상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상기 제1지역에서 도심항공교통을 통해 지정된 거리로 이동하였을 때 소요되는 시간이 작아지는 지정된 거리를 상기 제1거리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시스템.
  10. 삭제
KR1020210113410A 2021-08-26 2021-08-26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4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410A KR102547343B1 (ko) 2021-08-26 2021-08-26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410A KR102547343B1 (ko) 2021-08-26 2021-08-26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041A KR20230031041A (ko) 2023-03-07
KR102547343B1 true KR102547343B1 (ko) 2023-06-23
KR102547343B9 KR102547343B9 (ko) 2024-03-13

Family

ID=8551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410A KR102547343B1 (ko) 2021-08-26 2021-08-26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3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06B1 (ko) * 2017-12-28 2019-12-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물류 기지의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기술로드맵",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한국연구재단, 2021.06, pp.1-58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041A (ko) 2023-03-07
KR102547343B9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977B2 (en) Management of moving objects
US11386785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US11915318B2 (en)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to optimize traffic characteristics
US10043384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and service platform for mobile objects
US10749734B2 (en) Management of events and moving objects
US9805598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US10540895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CN109313032A (zh) 动态车道界定
US20180365994A1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9497591B1 (en) Management of moving objects
US9865163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US11722705B2 (en) Camera support by a vehicular micro cloud for remote driving
US20190180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lays in road traffic
KR101707742B1 (ko) 최대영역집계 질의에 기반한 도로 네트워크에서 최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547343B1 (ko) 도심항공교통(uam)의 이착륙장 입지를 선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9015739A (ja) 交通情報配信サーバ、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交通情報配信方法
CN110889610A (zh) 一种旅客保护方法及系统
CN112991741B (zh) 交通流预测方法和装置
US11983016B2 (en) Smart vehicle highway system
Costanzo Using GPS data to monitor road traffic flows in a metropolitan area: methodology and case study
JP2023166454A (ja) 地図データ管理装置、地図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73540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