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103B1 -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 Google Patents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103B1
KR102547103B1 KR1020210145079A KR20210145079A KR102547103B1 KR 102547103 B1 KR102547103 B1 KR 102547103B1 KR 1020210145079 A KR1020210145079 A KR 1020210145079A KR 20210145079 A KR20210145079 A KR 20210145079A KR 102547103 B1 KR102547103 B1 KR 10254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resource
offloading
platform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644A (ko
Inventor
이석준
성낙명
최충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21/0152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4939A1/ko
Priority to KR1020210145079A priority patent/KR1025471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83Techniques for rebalancing the load in a distributed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고,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며,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면,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요청에 따라 단위작업을 처리한다. 이에 의해, oneM2M 플랫폼을 이용하는 IoT-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오프로딩 절차를 구체적으로 정의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oneM2M platform-based computing offloading method}
본 발명은 oneM2M 플랫폼 응용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oneM2M 플랫폼을 기반으로 컴퓨팅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오프로딩은 가용 연산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연산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단위작업을 다른 디바이스에서 처리하게 하여 가용 연산 자원을 확보하는 기법이다.
IoT 환경에서는 게이트웨이에 수많은 IoT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동작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게이트웨이의 처리량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발생하거나 단위작업 수행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게이트웨이의 성능이 저하되면서 원활한 IoT t서비스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웨이의 단위작업을 클라우드 혹은 다른 게이트웨이로 오프로딩하여 게이트웨이로 하여금 가용 연산 자원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oneM2M 플랫폼을 이용하는 IoT-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오프로딩 절차를 구체적으로 정의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인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으로, oneM2M 플랫폼 기반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요청에 따라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가용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가용 네트워크 자원으로 오프로딩이 불가능하면,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요청 단계는, 네트워크 자원이 확보되면, 수행될 수 있다.
확보 단계는, 데이터 통신 주기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고, 선별 단계는, 자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위작업을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으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게이트웨이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클라우드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결과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 종료를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가용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프로딩 종료 요청단계는, 파악된 가용 네트워크 자원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프로딩 종료 요청단계는,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클라우드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며,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고,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며,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의 오프로딩 요청을 클라우드로 전달하는 M2M 플랫폼; 오프로딩 요청에 따라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클라우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은,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IoT 디바이스들 및 M2M 플랫폼과 통신하는 통신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고,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며,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oneM2M 플랫폼을 이용하는 IoT-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오프로딩 절차를 구체적으로 정의함으로써, IoT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S250단계와 S260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4는 oneM2M 플랫폼의 리소스 체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 종료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
도 6은, 도 5의 S440단계와 S450단계의 상세 순서도,
도 7은 클라우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oneM2M 플랫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가용 연산 자원이 부족한 게이트웨이가 자신의 단위작업을 오프로딩함에 있어, 게이트웨이와 클라우드 사이에 위치하는 oneM2M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IoT-클라우드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110), oneM2M 플랫폼(120), 다수의 게이트웨이들(130) 및 다수의 IoT 디바이스들(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oT 디바이스들(140)은 다양한 사물에 부착 또는 내장되는 디바이스로, 필요와 목적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센서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들(130)은 IoT 디바이스들(14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oneM2M 플랫폼(120)으로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게이트웨이들(130)은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oneM2M 플랫폼(12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oneM2M 플랫폼(120)은 게이트웨이들(130)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M2M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110)는 oneM2M 플랫폼(120)에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게이트웨이(130)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가용 연산 자원이 부족한 경우, 클라우드(110)에 컴퓨팅 오프로딩을 요청하며, 클라우드(110)는 이를 처리하여 주는 바,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게이트웨이(130)가 자신의 현재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한다(S210). 여기서, 연산 자원이란 CPU, GPU, 메모리 등의 자원을 말한다. 그리고, 가용 연산 자원이 부족한 것은 게이트웨이(130)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연산 자원 보다 가용 연산 자원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S210-Y), 게이트웨이(130)는 자신이 처리하고 있는 단위작업들 중 연산 자원 사용량이 가장 많은 단위작업을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으로 선별한다(S220).
그리고, 게이트웨이(130)는 자신의 현재 가용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하여, 선별된 단위작업의 오프로딩이 불가능한지 판별한다(S230). 게이트웨이(130)가 현재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자원이 많아 가용 네트워크 자원이 작은 경우에는, 오프로딩을 위한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하므로 오프로딩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될 수 있다.
오프로딩이 불가능하다고 판별되면(S230-Y), 게이트웨이(130)는 데이터 통신 주기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한다(S240). 반면, 가용 네트워크 자원이 충분하여 오프로딩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S230-N), S240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 게이트웨이(130)는 S220단계에서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oneM2M 플랫폼(120)을 통해 클라우드(110)에 요청한다(S250). 그리고, 클라우드(110)는 S250단계에서 요청된 오프로딩을 처리한다(S260).
S250단계와 S260단계의 상세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S250단계와 S26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30)는 먼저 도 2의 S220단계에서 선별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oneM2M 플랫폼(120)에 생성 요청한다(S305). 이에, oneM2M 플랫폼(120)은 게이트웨이(130)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한다(S310).
도 4는 oneM2M 플랫폼(120)의 리소스 체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S310단계에서 생성하는 결과 리소스는 도 4에 도시된 oneM2M 플랫폼(120)의 리소스들 중 두 번째 행에 있는 컨테이너 리소스들(CNT)이며, 여기에 저장되는 컨테이너 인스턴스들(CIN)이 결과 데이터에 해당한다.
다음, 게이트웨이(130)는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oneM2M 플랫폼(120)을 통해 클라우드(110)에 요청한다(S315,S320).
S315단계는 도 4에 도시된 oneM2M 플랫폼(120)의 리소스들 중 첫 번째 행에 있는 컨테이너 리소스들(CNT)에 오프로딩 속성을 수록한 컨테이너 인스턴스(CIN)를 생성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되고, S320단계는 S315단계에서 해당 컨테이너 인스턴스(CIN)가 생성되었음을 oneM2M 플랫폼(120)이 클라우드(110)에 통지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오프로딩 요청을 수신한 클라우드(110)는 오프로딩 될 단위작업을 처리할 태스크를 생성한다(S325). 그리고, 클라우드(110)는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oneM2M 플랫폼(120)에 생성 요청한다(S330). 이에, oneM2M 플랫폼(120)은 클라우드(110)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한다(S335).
S335단계에서 생성되는 입력 리소스는 도 4에 도시된 oneM2M 플랫폼(120)의 리소스들 중 세 번째 행에 있는 컨테이너 리소스들(CNT)이며, 여기에 저장되는 컨테이너 인스턴스들(CIN)이 입력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후, 게이트웨이(130)는 S335단계에서 생성된 입력 리소스에 도 2의 S220단계에서 선별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면(S340), oneM2M 플랫폼(120)은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클라우드(110)로 전달한다(S345).
클라우드(110)는 S345단계에서 전달받은 입력 데이터를 S325단계에서 생성한 태스크로 처리하여(S350), 결과 데이터를 S310단계에서 생성된 결과 리소스에 저장한다(S355). 그러면, oneM2M 플랫폼(120)은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결과 데이터를 게이트웨이(130)로 전달하여 준다(S360).
S340단계 내지 S360단계는, 단위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단위작업의 오프로딩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딩 종료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오프로딩 된 단위작업에 대해, 향후 오프로딩을 수행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게이트웨이(130)가 자신의 현재 가용 네트워크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한다(S410). 여기서, 가용 네트워크 자원이 부족한 것은 게이트웨이(130)가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보다 가용 네트워크 자원이 작은 것을 의미한다.
가용 네트워크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S410-Y), 게이트웨이(130)는 오프로딩 된 단위작업이 있는지 확인한다(S420).
오프로딩 된 단위작업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420-Y), 게이트웨이(130)는 현재 자신의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지 판별한다(S430).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별되면(S430-Y), 게이트웨이(130)는 S420단계에서 확인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의 종료를 oneM2M 플랫폼(120)을 통해 클라우드(110)에 요청한다(S440).
그러면, 클라우드(110)는 S440단계에서 종료 요청된 오프로딩을 종료한다(S450).
한편, 오프로딩 된 단위작업이 없는 경우(S420-N) 또는 현재 자신의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S430-N), 게이트웨이(130)는 오프로딩 종료가 아닌 데이터 통신 주기 조절을 통해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여(S460), 가용 네트워크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S440단계와 S450단계의 상세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S440단계와 S450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130)는 도 4의 S420단계에서 확인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 종료를 oneM2M 플랫폼(120)을 통해 클라우드(110)에 요청한다(S510,S520).
S510단계는 도 4에 도시된 oneM2M 플랫폼(120)의 리소스들 중 첫 번째 행에 있는 컨테이너 리소스(CNT)에 생성된 오프로딩 속성을 수록한 컨테이너 인스턴스(CIN)를 삭제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되고, S520단계는 S510단계에서 해당 컨테이너 인스턴스(CIN)가 삭제되었음을 oneM2M 플랫폼(120)이 클라우드(110)에 통지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게이트웨이(130)는 오프로딩을 종료할 단위작업의 입력 리소스의 삭제를 oneM2M 플랫폼(120)에 요청한다(S530). 이에, oneM2M 플랫폼(120)은 게이트웨이(130)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삭제한다(S540).
한편, S520단계에서 오프로딩 종료 요청을 수신한 클라우드(110)는 오프로딩을 종료할 단위작업을 처리하였던 태스크를 삭제하여, 오프로딩을 종료 한다(S550).
그리고, 클라우드(110)는 오프로딩을 종료한 단위작업의 결과 리소스의 삭제를 oneM2M 플랫폼(120)에 요청한다(S560). 이에, oneM2M 플랫폼(120)은 클라우드(110)가 삭제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삭제한다(S570).
도 7은 클라우드(1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우드(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자원(111), 컴퓨팅 자원(112) 및 스토리지 자원(113)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다.
네트워크 자원(111)은 oneM2M 플랫폼(12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고, 컴퓨팅 자원(112)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며, 스토리지 자원(113)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컴퓨팅 자원(112)은 오프로딩 또는 오프로딩 종료 과정에서 클라우드(110)가 수행하여야 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도 8은 oneM2M 플랫폼(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oneM2M 플랫폼(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21), 프로세서(122) 및 저장부(123)를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다.
통신부(121)는 클라우드(110) 및 게이트웨이들(13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고,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AE(Application Entitr)와 CSE(Common Service Entity)를 포함한다. AE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22)는 오프로딩 또는 오프로딩 종료 과정에서 oneM2M 플랫폼(120)이 수행하여야 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저장부(123)는 리소스들에 수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도 9는 게이트웨이(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게이트웨이(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31), 프로세서(132) 및 저장부(113)을 포함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가능하다.
통신부(131)는 IoT 디바이스(140) 및 oneM2M 플랫폼(120)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고, 프로세서(132)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며, 저장부(113)는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32)는 오프로딩 또는 오프로딩 종료 과정에서 게이트웨이(130)가 수행하여야 하는 절차들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oneM2M 플랫폼(120)은 oneM2M 표준을 따르는 M2M 플랫폼을 의미한다. oneM2M 플랫폼(120)을 다른 표준에 입각한 다른 M2M 플랫폼으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130)의 단위작업을 클라우드(110)에 오프로딩하는 상황을 상정하였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클라우드(110)가 아닌 다른 게이트웨이에 오프로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클라우드
120 : oneM2M 플랫폼
130 : 게이트웨이
140 : IoT 디바이스

Claims (12)

  1.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는 단계;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게이트웨이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클라우드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결과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가용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가용 네트워크 자원으로 오프로딩이 불가능하면,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요청 단계는,
    네트워크 자원이 확보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확보 단계는,
    데이터 통신 주기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고,
    선별 단계는,
    자원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위작업을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 종료를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가용 네트워크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프로딩 종료 요청단계는,
    파악된 가용 네트워크 자원으로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게이트웨이가,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지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오프로딩 종료 요청단계는,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현재 가용 연산 자원으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을 처리할 수 없다고 판별한 경우, 게이트웨이가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10. IoT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며,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 여부를 탐지하고,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며,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요청하는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의 오프로딩 요청을 클라우드로 전달하는 M2M 플랫폼;
    오프로딩 요청에 따라 단위작업을 처리하는 클라우드;를 포함하고,
    게이트웨이는,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며,
    M2M 플랫폼은,
    게이트웨이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하고,
    클라우드는,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며,
    M2M 플랫폼은,
    클라우드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는,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리소스에 저장하며,
    클라우드는,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결과 리소스에 저장하고,
    게이트웨이는,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클라우드 시스템.
  11.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게이트웨이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는 단계;
    M2M 플랫폼이, 클라우드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클라우드가,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결과 리소스에 저장하는 단계;
    게이트웨이가,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12. IoT 디바이스들 및 M2M 플랫폼과 통신하는 통신부;
    가용 연산 자원의 부족이 탐지되면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을 선별하며, 선별된 단위작업에 대한 오프로딩을 M2M 플랫폼을 통해 클라우드에 요청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오프로딩 할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결과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며,
    M2M 플랫폼은,
    게이트웨이가 요청한 결과 리소스를 생성하고,
    클라우드는,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저장할 입력 리소스를 M2M 플랫폼에 생성 요청하며,
    M2M 플랫폼은,
    클라우드가 요청한 입력 리소스를 생성하고,
    프로세서는,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입력 데이터를 입력 리소스에 저장하며,
    클라우드는,
    입력 리소스에 저장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결과 리소스에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결과 리소스에 저장된 오프로딩 한 단위작업의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KR1020210145079A 2021-10-28 2021-10-28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KR10254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266 WO2023074939A1 (ko) 2021-10-28 2021-10-28 원엠투엠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KR1020210145079A KR102547103B1 (ko) 2021-10-28 2021-10-28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79A KR102547103B1 (ko) 2021-10-28 2021-10-28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644A KR20230060644A (ko) 2023-05-08
KR102547103B1 true KR102547103B1 (ko) 2023-06-23

Family

ID=8615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79A KR102547103B1 (ko) 2021-10-28 2021-10-28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7103B1 (ko)
WO (1) WO20230749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933B1 (ko) * 2015-10-28 2020-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스트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엣지 기반 로드 쉐딩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773593B1 (ko) * 2015-12-15 2017-08-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에이전트 기반 코드 오프로딩을 수행하는 모바일 포그 컴퓨팅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484211B (zh) * 2016-06-08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接入点的方法及装置
KR101856857B1 (ko) * 2016-09-09 2018-05-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메시지 통신 부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7682B1 (ko) * 2018-02-08 2019-10-02 한국과학기술원 부분적 계산 오프로딩을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로드밸런싱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2368997A (zh) * 2018-07-06 2021-02-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资源管理方法和装置
KR20210072956A (ko) * 2019-12-10 2021-06-18 한국전자기술연구원 IoT 환경에서의 엣지 클라우드 컴퓨테이션 오프로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39A1 (ko) 2023-05-04
KR20230060644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121B2 (en) Symmetrical multiprocessing in multiprocessor systems
EP356209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imeout monitoring
US93920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requests
US20140359084A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file transferring method
CN107026871B (zh) 一种基于云计算的Web漏洞扫描方法
US8271582B2 (en) Relay device, re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318144A1 (en) Network device,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JP7277168B2 (ja) リソース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WO2019128357A1 (zh) 图片请求方法、响应图片请求的方法及客户端
CN111414139A (zh) 在线远程打印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200606A (zh) 深度学习模型任务处理方法、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CN113347269A (zh) 一种工业系统的数据更新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534570B2 (en) Image forming system for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a server on an internet and an image forming device, relay server, communication controll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301084B (zh) 集群服务器的虚拟机迁移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2547103B1 (ko) oneM2M 플랫폼 기반 컴퓨팅 오프로딩 방법
CN111404842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9569149B2 (en) Job processing system, job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600929A (zh) 传输线路探测方法、路由策略生成方法及代理服务器
KR20210072956A (ko) IoT 환경에서의 엣지 클라우드 컴퓨테이션 오프로딩 방법
CN107872498B (zh) 一种业务数据订阅方法、装置及系统
CN108173892B (zh) 云端镜像操作方法和装置
CN105912477B (zh) 一种目录读取的方法、装置及系统
CN113055493B (zh) 数据包处理方法、装置、系统、调度设备和存储介质
CN112073327B (zh) 一种抗拥塞的软件分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590284A (zh) 一种云平台分布式组件交互任务批处理方法、系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