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100B1 -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 Google Patents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100B1
KR102547100B1 KR1020220071840A KR20220071840A KR102547100B1 KR 102547100 B1 KR102547100 B1 KR 102547100B1 KR 1020220071840 A KR1020220071840 A KR 1020220071840A KR 20220071840 A KR20220071840 A KR 20220071840A KR 102547100 B1 KR102547100 B1 KR 10254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unit
organic matter
vannamei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무창
조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바다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바다,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바다
Priority to KR102022007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1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를 실린더형으로 하여 유기물 침적을 관리 가능한 형태로 유도할 수 있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단위 수조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단위 수조; 단위 수조의 내부 양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단위 수조의 양측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수류를 형성하는 에어송출관; 및 단위 수조의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형유기물 배출기;를 포함하고, 소단위 수조는 눕혀진 원기둥에서 반지름보다 높은 위치에서 길이를 따라 절단한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면이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shrimp, which can induce de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a manageable form by making the tank a cylinder shape, and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shri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sub-unit tank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nit tank; At least one or more air delivery pipes install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unit tank to form a water flow rising along the wal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unit tank; And a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center of the unit tank; the small unit tank has a shape cut along the length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adius of the flat cylinder, and the water surface filled therein is the radius of the cylin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Description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본 발명은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양식에 필요한 중간종묘(약 0.3-0.5g)를 실내에서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사육시설에 관한 것이다. 흰다리새우는 종묘생산 특성상 실내에서 중간양성이 필요한 시기가 있는데, 통상 후기유생(PL10 기준)을 약 1개월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해당한다. 이 기간은 생물 대사활동이 왕성하여 먹이 섭취량이 많아서, 대사산물, 사료 찌꺼기 등의 고형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중간육성 성공여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eeding facility capable of mass-producing intermediate seedlings (about 0.3-0.5g) required for breeding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ndoors. Due to the nature of seedling production, vannamei requires intermediate breeding indoors, which usually corresponds to a period of about 1 month or longer for later larvae (based on PL10). During this period, biological metabolism activity is vigorous and food intake is high, so the technology to efficiently remove solid organic matter such as metabolites and feed residu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ccess of intermediate breed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흰다리새우 중간육성 시 발생하는 고형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다루고 있으며, 규모는 산업성을 갖춘 대규모 사육시설(단위수조 용량, 100∼300톤)에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기술은 중간육성 시 유용하게 활용되는 바이오플락 기술(biofloc technology)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als with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for efficiently removing solid organic matter generated during intermediate breeding of vannamei shrimp, focusing on large-scale breeding facilities (unit tank capacity, 100 to 300 tons) with industrial scale there is. In addition, this technology has a structure that can apply biofloc technology, which is usefully used during intermediate cultivation.

흰다리새우는 중남미 원산의 열대성이 강한 종이며, 현재 새우 양식의 약 80%(2021년 기준)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양식대상으로 잇점이 많은 종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대하양식에 폐사문제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2000년대 초부터 미국에서 흰다리새우의 어미를 수입하여 양식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양식하는 흰다리새우는 미국에서 개발한 무병새우(SPF, specific pathogen free spawners)이며, 따라서 매년 미국으로부터 SPF 어미를 수입하여 실내에서 특정시기에 인공종묘생산을 거친 후 양식하고 있다. Whiteleg shrimp is a tropical species native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it is a species with many advantages as a farming target, accounting for about 80% of current shrimp farming (as of 2021). In Korea,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a frequent mortality problem in prawn farming, so since the early 2000s, vannamei shrimp have been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and farmed. The vannamei cultivated in Korea are disease-free shrimp (SPF, specific pathogen free spawner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refore, SPF broodstock are im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every year and cultivated after artificial seed production at a specific time indoors.

흰다리새우 인공종묘생산이 특정시기에 제한되는 이유는 이 종이 열대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흰다리새우를 양식함에 있어 온도는 본 양성은 약 27℃, 5g 미만의 소형개체의 경우 30℃ 또는 그 이상이 최적 온도가 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흰다리새우가 크기에 따라 선호 온도를 달리한다는 점은 온대성이 강한 대한민국에서 양식하는데 있어 다소 불리한 점이 된다. The reason why artificial seed production of vannamei shrimp is limited at certain times is because this species is highly tropical. In the cultivation of vannamei, the optimum temperature is about 27 ° C for this breed, and 30 ° C or higher for small individuals weighing less than 5 g [see Non-Patent Document 1]. The fact that vannamei varies in preferred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size is a disadvantage for farming in Korea, where the temperature is strong.

통상 대한민국에서 흰다리새우 인공종묘생산은 춘계에 해당하며, 따라서 온도관점에서 볼 때 실내에서 생산된 종묘가 본 양성장에 입식될 때의 저수온은 흰다리새우 양식에 있어서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실내에서 중간 양성에 대한 기술, 특히 중간육성용 사육시설은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흰다리새우 양식의 현실적인 애로인 중간육성 문제 해결을 위해 창안되었다. Normally,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s of vannamei in Korea corresponds to the spring season, and therefore, from a temperature point of view, the low water temperature when seedlings produced indoors are stocked in this breeding farm is a limiting factor in vannamei farming. Nevertheless, since the technology for intermediate breeding indoors, especially breeding facilities for intermediate breeding, has not yet been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mediate breeding, which is a practical difficulty in vannamei farming.

흰다리새우의 인위적 관리 극대화를 위해, 특히 종묘생산과 연계하여 중간육성용 실내 사육시스템은 기 개발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기 개발 시스템은 전체 규모면에서는 충분한 크기를 하고 있으나, 세분화된 단위수조의 조합에 의한 다단형 구조로서, 운영 과학화는 가능하나 현실성과 경제성에서 선호도가 떨어지는 시스템이다. 특히 사육수조의 바닥이 편편형으로 되어 있어, 대형 시스템 운영시 난제인 고형유기물 배출에 대한 기능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흰다리새우 중간육성용 실내 사육시스템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아직 산업 활용도가 낮거나 거의 없는 실정이다. In order to maximize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vannamei, an indoor breeding system for intermediate breeding has been previously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seed production [see Patent Document 1]. Although the existing developed system has a sufficient size in terms of overall scale, it is a multi-stage structure by combining subdivided unit tanks,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scientifically, but it is a system with low preference in terms of practica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n particular, since the bottom of the breeding tank is fl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ality for discharging solid organic matter, which is a difficult problem when operating a large system, is low. Therefore, the indoor breeding system for intermediate breeding of vannamei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still in low or almost non-industrial utilization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other countries.

흰다리새우를 실내에서 대량으로 생산할 때 고밀도 양식이 요구되며, 기술적으로 바이오플락 기술 적용이 바람직하며, 적용기술은 잘 정립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바이오플락 기술은 유용한 수단이나, 유기물 총량 지수가 높아 수조의 사각 또는 수조 내 수류의 역학적 구조에 따라 저면 곳곳에서 유기물이 축적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그 결과 질소 대사산물(암모니아, 아질산 등)의 급증으로 유독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형수조에서는 더욱 빈번해진다.When producing vannamei in large quantities indoors, high-density culture is required, and the application of biofloat technology is technically desirable, and the application technology is well established [see Non-Patent Document 2]. Biofloat technology is a useful means, but it has a high total organic matter index, so it is unavoidable that organic matter accumulates in various parts of the bottom depending on the square of the tank or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water flow in the tank. As a result, a surge in nitrogen metabolites (ammonia, nitrite, etc.) can create a toxic environment. This phenomenon becomes more frequent in large tanks.

대형 수조에서 생물을 사육할 때 수질관리, 특히 사육이 진행됨에 따라 불가피 형성되는 고형유기물 관리는 종묘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종묘생산용 수조는 원형이거나, 사각(정사각형, 직사각형, 레이스웨이 등)인데, 수조의 형태와 상관없이 면과 면이 교차하는 선(사각지역)이 형성되고, 이 선을 따라 고형유기물이 침적된다. 대형수조에서는 수조바닥이 평평한 경우 수류에 따라 수조바닥에도 고형물이 산발적으로 형성된다. 사각지역이든 수조바닥에서든 일단 소량의 유기물이 침적되기 시작하면 이것을 핵으로 고형유기물은 점차 커진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바이오플락 사육기술을 접목 할 때 더욱 뚜렷이 나타난다. When breeding organisms in a large tank, water quality management, in particular, solid organic matter management, which is inevitably formed as breeding progresse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seed production. In general, a tank for seed production is circular or square (square, rectangular, raceway, etc.), an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tank, a line (square area) is formed where the surfaces intersect, and solid organic matter is formed along this line. is submerged In a large tank, when the bottom of the tank is flat, solids are sporadic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ank according to the water flow. Once a small amount of organic matter starts to be deposited, whether in a blind area or at the bottom of the tank, the solid organic matter gradually grows as a nucleus. This phenomenon is especially evident when applying biofloat breeding technology.

본 발명은 대규모 사육 시스템 운영 시 관리 애로 사항 중의 하나로 남아 있었던 고형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은 구조적으로 지금까지 적용된 바 없는 실린더 형으로, 단위수조의 용량이 대형으로 기존 사육시스템에 비해 환경요소의 미세 변화에 대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and discharge solid organic matter remaining as one of the management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a large-scale breeding system. In addition, the system is structurally a cylinder type that has never been applied so far,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against minute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existing breeding systems due to the large capacity of the unit tank.

[특허문헌 1] WO 2016/077928 A1(Budd, M.) 2016. 05. 26.[Patent Document 1] WO 2016/077928 A1 (Budd, M.) 2016. 05. 26.

[비특허문헌 1] Wyban et al., 1995. Aquaculture, 138: 267-279.[Non-Patent Document 1] Wyban et al., 1995. Aquaculture, 138: 267-279. [비특허문헌 2] 친환경 새우양식을 위한 바이오플락 양식기술. 2014. 국립수산과학원. pp. 208.[Non-Patent Document 2] Biofloat aquaculture technology for eco-friendly shrimp farming. 2014.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pp. 208.

본 발명은 수조를 실린더형으로 하여 유기물 침적을 관리 가능한 형태로 유도할 수 있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ylinder-type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which can induce de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a manageable form by making the tank a cylinder-type tank.

또한, 본 발명은 수조 양측 옆면을 따라 에어송출관을 설치하여 수조 가운데를 중심으로 환류를 일으켜 유기물을 가운데로 침적하고 침적된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er type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lings of vannamei that can deposit organic matter in the center and effectively discharge the deposited organic matter by installing air delivery pipes along the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ank to create reflux around the center of the tank.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reeding tank.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단위 수조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단위 수조; 상기 단위 수조의 내부 양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단위 수조의 양측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수류를 형성하는 에어송출관; 및 상기 단위 수조의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형유기물 배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단위 수조는 눕혀진 원기둥에서 반지름보다 높은 위치에서 길이를 따라 절단한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면이 상기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nit tank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sub-unit tanks are connected in a state of mutual communic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air delivery pipe installed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unit tank to form a water flow rising along the wal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unit tank; And a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unit tank, wherein the small unit tank has a shape cut along the length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adius of the laid cylinder, and the water surface filled therein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cylinder.

상기의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있어서, 상기 소단위 수조의 정면 단면에서 수조의 내면과 직경라인이 만나는 점과 수조의 내면과 수면라인이 만나는 점을 이은 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θ)가 소정의 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소단위 수조의 양 측면은 각각 상기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중앙을 향한 휨 작업을 통해 상기 각도(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the line connecting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diameter line meet and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water line meet in the front section of the small tank is a vertical line When the angle θ forme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both sides of the small unit tank increase the size of the angle θ through a bending operation toward the cente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cylinder, respectively. do.

상기의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있어서, 상기 고형유기물 배출기는 상기 단위 수조의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홈 형상을 갖는 수집공간; 상기 단위 수조에서 침적되는 고형유기물을 상기 수집공간으로 통과시키는 메시패드; 및 상기 수집공간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흡입구를 통해 침적된 고형유기물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를 포함한다.In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middle seedlings of vannamei,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includes a collection space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center of the unit tank; a mesh pad through which the solid organic matter deposited in the unit water tank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space; and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collection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discharging the deposited solid organic matter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provided at the bottom.

상기의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있어서, 상기 메시패드는 후기유생기의 새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가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the mesh pad is covered with a cover sheet to prevent loss of shrimp in the late larval stage.

상기의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수조를 병렬도 배치하여 1세트의 사육수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a plurality of unit tank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form one breeding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흰다리새우 양식에 있어 조기 종묘생산과 본 양성을 연결하는 중간단계로서 양성기간을 늘릴 수 있는 수단이 되는 실내 중간육성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대한민국과 같이 온대성 기후를 갖는 나라에서도 양성기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조기출하, 또는 2모작이 가능하게 하여, 양식운영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추구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termediate step connecting early seed production and main breeding in vannamei farming, by providing an indoor intermediate breeding technology that is a means to increase the breeding period, it is cultivated even in countries with temperate climates such as Korea. It enables early shipment or double cropping regardless of period, enabling efficiency and economic feasibility of aquaculture operation.

도 1은 흰다리새우 중간육성 단위 사육조(unit tank)를 구성하는 소단위 수조(subunit tank)의 기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소단위 수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단위 수조의 측면도(a)와 정면도(b)이다.
도 4는 도 3의 소단위 수조에서 고형유기물 수집을 위한 에어송출관 시설 및 수조내 수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위 수조에서의 고형유기물 배출기의 측면도(a), 정면도(b) 및 평면도(c)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고형유기물 배출기를 구성하는 메시패드, 패드홀더 그리고 배수관의 세부적인 입체구조도이다.
1 is a basic conceptual diagram of a subunit tank constituting a vannamei intermediate breeding unit tank.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small unit water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lings of vanname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the small unit tank of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 delivery pipe facility for collecting solid organic matter in the small unit tank of FIG. 3 and a water flow in the tank.
5 is a side view (a), a front view (b) and a plan view (c) of a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in a uni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three-dimensional structural diagram of a mesh pad, a pad holder, and a drain pipe constituting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사육수조의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소단위 수조(subunit tank)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 수조(unit tank)를 만들고, 4개의 단위 수조를 병렬로 배치하여 1세트의 사육수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사육수조 1세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12개의 소단위 수조가 합쳐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s of vannamei. In one embodiment of the breeding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subunit tanks are connected in a state of mutual communic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ake one unit tank, and four unit tanks are arranged in parallel One set of breeding tanks is formed. In other words, to make one set of breeding tanks, 12 subunit tanks must be combin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단위 수조(100)의 형태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 소단위 수조(100)는 눕혀진 원기둥(실린더) 형태의 원통을 반지름 이상의 높이에서 길이를 따라 절단할 때 만들어지는 형태의 구조이다. 이 때 소단위 수조(100)의 높이는 절단면(1∼4에 의해 생성되는 면)까지의 높이가 된다, 절단면의 위치 선정 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하는 사육수면(5∼8에 의해 형성되는 면) 보다는 높아야 한다. 둘째, 사육수면은 직경면(원통의 반지름 높이 또는 원형 단면에서의 중심을 수평으로 지나는 면으로, 9∼12에 의해 생성되는 면)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높아야 한다. 1 illustrates the basic concept of the shape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is a structure formed when a cylinder in the form of a flattened column (cylinder) is cut along the length at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adius.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becomes the height to the cutting plane (the plane created by 1 to 4).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cutting plane are as follows. First, it must be higher than the desired breeding water surface (the surface formed by 5 to 8). Second, the breeding water surface must be higher tha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plane (the height of the radius of the cylinder or the plane that passes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ular section, the plane created by 9 to 12).

도 2는 도 1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실제 크기의 소단위 수조(100)를 보여주고 있다. 소단위 수조(100)의 크기는 직경(10, 12)과 길이(9. 11) 모두 5m이다(단, 직경은 흰다리새우 생산 규모에 따라 4∼6m 범위에서 조정가능하다). 수면(5∼8)은 흰다리새우를 사육할 때 소단위 수조(1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표면을 말한다. 수면(5∼8)은 직경면(9~12)에서 20∼50cm 위가 될 수 있도록 한다(즉, 제1 높이차이(x1)는 20∼50cm). 소단위 수조(100)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소단위 수조(100)의 높이(1∼4)는 수면(5∼8)에서부터 약 25cm(즉, 제2 높이차이(x2)은 약 25cm) 위가 되게 한다. 수면과 수조 높이의 차이(x2)는 수조의 안전성 및 관리 등을 고려하여 달리 정할 수 있다. Figure 2 shows the actual size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FIG. The size of the small tank 100 is 5 m in diameter (10, 12) and length (9. 11) (however, the diameter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of 4 to 6 m depending on the production scale of vannamei). The water surface (5 to 8) refers to the surface of the water filled inside the small tank (100) when breeding vannamei. The water surfaces 5 to 8 are allowed to be 20 to 50 cm above the diameter planes 9 to 12 (ie,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is 20 to 50 cm). The upper edge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or the height (1 to 4)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is about 25 cm above the water surface (5 to 8) (i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x 2 ) is about 25 cm) .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water surface and the tank (x 2 )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considering the safety and management of the tank.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단위 수조(100)의 직경과 길이를 각각 5m로 했을 때의 측면도(a)와 정면도(b)를 보여주고 있다. 직경면(9~12)을 형성하는 직경라인과 수면(5∼8)을 형성하는 수면라인의 제1 높이차이(x1)은 전체 사육수량 뿐만 아니라 수류와도 관련이 있다. 도 2에서 제시된 20∼50cm 범위 내에서 제1 높이차이(x1)가 작으면 하부로부터 올라오는 수류의 방향성(수면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흐름)이 줄어들고, 반면 제1 높이차이(x1)이 크면 전체 수량이 증가하여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두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3 shows a side view (a) and a front view (b) when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5 m, respectively.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between the diameter line forming the diameter planes 9 to 12 and the water surface line forming the water surface 5 to 8 is related not only to the total number of breeding water but also to the water flow. If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is small within the range of 20 to 50 cm shown in FIG. 2, the directionality of the water flow coming up from the bottom (flow from the edge of the water surface to the center) is reduced, whereas if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is large Management problems may occur due to an increase in the total quantity, so the decision can be made by considering two issues.

수류의 방향성은 θ와 관계가 있다. 여기서, θ는 소단위 수조(100)의 정면도(도 3의 (b))에서 수조의 내면과 직경라인이 만나는 점과 수조의 내면과 수면라인이 만나는 점을 이은 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이다.The directionality of the water flow is related to θ. Here, θ is the angle formed by the line connecting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diameter line meet and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water line meet in the front view of the small unit tank 100 (FIG. 3(b)) with the vertical line.

여기서, 수면라인이 낮으면(즉, 제1 높이차이(x1)가 작으면) θ의 각도가 작아져 수류의 방향성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흐름의 균등성이 떨어지고, 수조 내에서 고형유기물이 산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높이차이(x1)가 작을 경우 소단위 수조(100)의 양 측면은 각각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중앙을 향한 휨 작업을 통해 각도(θ)를 올려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θ는 5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water surface line is low (ie, when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is small), the angle of θ becomes small,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water flow is reduced. In this case, the uniformity of the flow is reduced, and solid organic matter may be scattered in the tank. Therefore, when the first height difference (x 1 ) is small, both sides of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need to raise the angle θ through bending work toward the cente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cylinder. In the present invention, θ is preferably 5 to 10 °.

소단위 수조(100)에서 수면라인에서 수조높이에 이르는 부위(x2 영역)은 x1 영역과는 달리 관리방식에 따라 수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Unlike the x 1 area, the area (x 2 area) from the water surface line to the tank height in the small unit water tank 100 may be form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도 4는 소단위 수조(100)의 측면도(a)와 정면도(b)에 수조에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송출관의 위치와 그에 따른 수조 내에서 수류와 고형유기물이 주로 침적되는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에어송출관(120_1 내지 120_6)은 수조의 직경면(9~12) 아래의 벽면을 따라 양쪽에 3열로 설치한다. 에어송출관(120_1 내지 120_6)에 의해 생성되어 수조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수류(21)는 수면(20) 근처에서 수조의 구조에 의해 안쪽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수조의 가운데로 이동하게 된다. 방향성은 수조의 양쪽에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수류는 수조의 가운데쯤에서 수렴하게 된다. 이러한 수류 구조는 수조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수조의 양쪽에서 2개의 수류 싸이클(23)을 형성하고, 수류 싸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수중에 부유하는 고형유기물(25)은 수조의 바닥 중앙 부위에서 길이 방향으로 침적된다. 4 is a side view (a) and a front view (b) of the small unit tank 100 showing the position of the air delivery pipe supplying oxygen or air to the tank and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flow and solid organic matter are mainly deposited in the tank accordingly. are giving The air delivery pipes 120_1 to 120_6 are installed in three rows on both sides along the wall below the diameter planes 9 to 12 of the water tank. The water flow 21 generated by the air delivery pipes 120_1 to 120_6 and rising along the wall of the water tank moves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near the water surface 20 with an inward direc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water tank. Since directionality occurs from both sides of the tank, the water flow converges around the middle of the tank. This water flow structure forms two water flow cycles 23 on both sides of the tank based on the center of the tank, and as the water flow cycle progresses, the solid organic matter 25 floating in the water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ank. is submerged

도 5는 도 4의 에어송출관(120_1 내지 120_6) 배치결과 침적되는 고형유기물(25)을 배출하기 위한 고형유기물 배출기(130)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130 for discharging the solid organic matter 25 deposited as a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air delivery pipes 120_1 to 120_6 of FIG. 4, (a) is a side view, and (b) is a side view. Front view, (c) shows a plan view.

고형유기물 배출기(130)는 고형유기물(25)이 침적되는 수조 바닥 중앙 라인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조의 하단 중앙에는 길이 방향의 홈 형상을 갖는 수집공간(141)이 형성된다. 고형유기물 배출기(130)는 기능적으로 라인을 따라 침적되는 고형유기물(25)을 수집, 집적 그리고 배출의 과정을 거친다.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13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bottom of the tank where the solid organic matter 25 is deposited. Accordingly, a collection space 141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130 functionally collects, accumulates, and discharges the solid organic matter 25 deposited along the line.

첫째, 수집은 수조 바닥 중앙 라인을 따라 설치된 메시패드(mesh pad(131)가 침적되는 유기물을 수집공간(141)으로 통과시킨다. First, in the collection, a mesh pad (131) install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bottom of the tank passes the deposited organic matter into the collection space (141).

둘째, 메시패드(131)를 통과한 유기물은 수집공간(141)에 침적된다. 즉, 수집공간(141)은 메시패드(131) 아래에 위치하며, 메시패드(131)는 패드홀드(pad holder)(133)에 의해 위치하게 된다. Second, the organic matter passing through the mesh pad 131 is deposited in the collection space 141 . That is, the collection space 141 is located under the mesh pad 131, and the mesh pad 131 is located by a pad holder 133.

셋째, 수집공간(14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관(135)의 밸브(137)를 조절하여 배출시킨다. Third, the valve 137 of the discharge pipe 135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ollection space 141 is adjusted and discharged.

도 6은 메시패드(131), 패드홀더(133) 그리고 배수관(135)의 세부적인 입체구조로 보여주고 있다. 고형유기물 배출기(130)는 단위수조 전체의 길이(소단위 수조의 길이가 5m일 경우 총 15m)를 따라 설치한다. 메시패드(131)의 눈금(mesh)은 가로세로가 다르게 하며, 작은 쪽의 길이는 2∼5mm 정도로 한다. 메시패드(131) 눈금의 가로세로 길이가 다르게 하는 이유는 침적물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자 함에 있고, 따라서 눈금이 클 경우 가로세로 길이가 같아도 된다. 6 shows a detail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mesh pad 131, the pad holder 133, and the drain pipe 135.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130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unit tank (15 m in total when the length of the small unit tank is 5 m). The mesh of the mesh pad 131 has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and the length of the smaller one is about 2 to 5 mm. The reason wh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engths of the scales of the mesh pad 131 are different is to facilitate passage of deposits, and therefore, if the scales are larg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engths may be the same.

메시패드(131)를 사용할 때 카바시트(cover sheet)(139)를 덮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버시트(139)의 목적은 흰다리새우, 특히 후기유생기의 새우가 메시패드(131)를 통과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새우가 성장함에 따라 메시패드(131)를 패드홀더(133)와 분리하여 수조 밖에서 눈금이 큰 카버시트(139)로 교체한 후 다시 패드홀더(133)에 결합한다. 이를 위해 메시패드(131)는 패드홀더(133)와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using the mesh pad 131, it is preferable to use a cover sheet 139 to cover it. The purpose of the cover sheet 139 is to prevent vannamei, especially shrimp in the late larval stage, from being lost through the mesh pad 131. As the shrimp grows, the mesh pad 131 is separated from the pad holder 133, replaced with a large cover sheet 139 outside the tank, and then coupled to the pad holder 133 again. To this end, the mesh pad 131 is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the pad holder 133 and is preferably made of PE material to facilitate work.

배수관(135)은 유기물 수집공간(141) 전체(3개의 소단위 수조를 결합한 길이)를 따라 설치하며, 전체 배수관(135)의 양쪽에 밸브(137)를 설치하여 효율적인 배출이 가능하게 한다. 배수관(135)의 아랫부분에 흡입구(135a)를 뚫어 수집공간(141)에 침적된 고형유기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관(135)의 흡입구(135)는 크기를 달리하여 유기물 배출이 효율적으로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관(135)은 단위수조마다 2개이나, 경우에 따라 1개 또는 3개를 설치할 수도 있다.The drain pipe 135 is installed along the entire organic matter collection space 141 (the length of the three small water tanks combined), and valves 137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ntire drain pipe 135 to enable efficient discharge. A suction port 135a is pierc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ipe 135 to absorb solid organic matter deposited in the collection space 141. The inlet 135 of the drain pipe 135 has a different size so that the organic matter can be discharged efficiently.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ipe 135 is two for each unit tank, but one or three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case.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mainly with its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단위 수조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 연결되는 단위 수조;
상기 단위 수조의 직경면 아래의 내부 양 측면에 각각 다수 개 설치되어 상기 단위 수조의 양측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는 수류를 형성하는 에어송출관; 및
상기 단위 수조의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형유기물 배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단위 수조는 눕혀진 원기둥에서 반지름보다 높은 위치에서 길이를 따라 절단한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면이 상기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소단위 수조의 정면 단면에서 수조의 내면과 직경라인이 만나는 점과 수조의 내면과 수면라인이 만나는 점을 이은 선이 수직선과 이루는 각도(θ)가 소정의 값보다 적은 경우, 상기 소단위 수조의 양 측면은 각각 상기 원기둥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높이에서 중앙을 향한 휨 작업을 통해 상기 각도(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
A unit tank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sub-unit tanks ar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air delivery pipes install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unit tank below the diameter surface to form a water flow rising along the wall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unit tank; and
Including; a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center of the unit tank;
The small unit water tank has a shape cut along the length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radius of the laid cylinder, and the water surface filled therein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cylinder,
When the angle θ formed by the line connecting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diameter line meet and the point w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and the water surface line meet in the front cross section of the small unit tank and the vertical lin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amount of the small unit tank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middle seedlings of vannamei, characterized in that each side increases the size of the angle (θ) through a bending operation toward the center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cylin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유기물 배출기는
상기 단위 수조의 하단 중앙에 길이 방향의 홈 형상을 갖는 수집공간;
상기 단위 수조에서 침적되는 고형유기물을 상기 수집공간으로 통과시키는 메시패드; 및
상기 수집공간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 구비된 다수의 흡입구를 통해 침적된 고형유기물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lid organic matter discharger
a collection space having a groov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center of the unit tank;
a mesh pad through which the solid organic matter deposited in the unit water tank passes through the collection space; and
A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collection sp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bsorbing the deposited solid organic matter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provided at the bottom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cylinder type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lings of vannamei,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eeding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패드는
후기유생기의 새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시트가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sh pad
A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lings of vannamei,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vered with a cover sheet to prevent loss of shrimp in the late larval stage.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단위 수조를 병렬도 배치하여 1세트의 사육수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흰다리새우 중간종묘 대량생산을 위한 실린더형 사육수조.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intermediate seedlings of vannamei,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nit tank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form one breeding tank.
KR1020220071840A 2022-06-14 2022-06-14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KR102547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40A KR102547100B1 (en) 2022-06-14 2022-06-14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840A KR102547100B1 (en) 2022-06-14 2022-06-14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7100B1 true KR102547100B1 (en) 2023-06-26

Family

ID=8694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840A KR102547100B1 (en) 2022-06-14 2022-06-14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10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997U (en) * 1976-01-26 1977-07-28
JPH10304789A (en) * 1997-03-05 1998-11-17 Masuo Maruyama Bottom sand for culturing fish and shells, fish and shells culturing/rearing pipe using this and culturing device connecting many of the pipes
KR200383183Y1 (en) * 2005-02-01 2005-05-03 김용득 Aquatic culture tank
JP2012213351A (en) * 2011-03-31 2012-11-08 Jfe Mechanical Co Ltd Apparatus for onshore cultivation of marine alga and onshore cultivation method for marine alga
KR101229378B1 (en)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An aquarium of eel pre-leptocephalus
KR20210099873A (en) * 2020-02-05 2021-08-13 최태천 Apparatus for eliminating for sludge
KR20220008587A (en) * 2020-07-14 2022-01-21 박근우 System for Farming Shellfis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9997U (en) * 1976-01-26 1977-07-28
JPH10304789A (en) * 1997-03-05 1998-11-17 Masuo Maruyama Bottom sand for culturing fish and shells, fish and shells culturing/rearing pipe using this and culturing device connecting many of the pipes
KR200383183Y1 (en) * 2005-02-01 2005-05-03 김용득 Aquatic culture tank
JP2012213351A (en) * 2011-03-31 2012-11-08 Jfe Mechanical Co Ltd Apparatus for onshore cultivation of marine alga and onshore cultivation method for marine alga
KR101229378B1 (en)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An aquarium of eel pre-leptocephalus
KR20210099873A (en) * 2020-02-05 2021-08-13 최태천 Apparatus for eliminating for sludge
KR20220008587A (en) * 2020-07-14 2022-01-21 박근우 System for Farming Shellfish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Wyban et al., 1995. Aquaculture, 138: 267-279.
[비특허문헌 2] 친환경 새우양식을 위한 바이오플락 양식기술. 2014. 국립수산과학원. pp. 208.
[특허문헌 1] WO 2016/077928 A1(Budd, M.) 2016. 05. 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18571B (en) Culture method of hybrid new variety of Argopecten irradias and Argopecten purpuratus
CN102301971B (en) Method for breeding novel hybrid scallop variety of Argopecten purpuratus and Argopecten irradians irradians
CN103583430A (en) Method for breeding loaches in rice field
CN103371117A (en) Environment-friendly yellow catfish pond culture method
FI125667B (en) Vertical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multi-layer plant comprising vertical plant cultivation devices
CN104621017A (en) Screening purification and scale breeding method for thermocyclops
KR102547100B1 (en) Cylindrical breeding tank for mass production of white shrimp intermediate seedlings
CN103404470A (en) Finless eel net cage ecological breeding method
CN111434222A (en) Three-dimensional aquaculture system of water
CN206182135U (en) Loach seedling collection device
CN213214750U (en) Stereo planting and breeding container
CN104957055A (en) Seed selection method for stichopus japonicas seeds with protosalt resistance
CN212212380U (en) Crab breeding device
CN110178782B (en) Breeding device for improving breeding capacity of Xingkangjie eels and using method
CN209151879U (en) A kind of vertical implant system
CN107371868A (en) Seedling cultivation of rice device
CN102177837B (en) Water surface floating vessel
CN109076947A (en) A kind of vertical implant system
CN208624387U (en) A kind of intensive sublevel culture facility system of Coilia ectenes in Yangtze River
CN109964802A (en) A kind of planting unit of submerged plant
CN103688894A (en) Pleuronectidae fish fry sorting device
CN212306528U (en) Ecological case is planted to fish
Lavitra et al. The effect of food quality and rear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epibenthic juveniles of the sea cucumber Holothuria scabra
CN110367180A (en) A kind of cray cultivation structure and cultural method
CN205511397U (en) Filter device of degeneration -resistant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