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694B1 -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694B1
KR102546694B1 KR1020220078348A KR20220078348A KR102546694B1 KR 102546694 B1 KR102546694 B1 KR 102546694B1 KR 1020220078348 A KR1020220078348 A KR 1020220078348A KR 20220078348 A KR20220078348 A KR 20220078348A KR 102546694 B1 KR102546694 B1 KR 10254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unit
unit
current coding
quantization parame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847A (ko
Inventor
박민수
최웅일
박민우
정승수
최기호
최나래
템즈아니쉬
표인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9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비트스트림 내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decoding}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영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 또는 복호화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효과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재생,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부호화 또는 복호화 하는 코덱(codec)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부호화된 영상 컨텐트는 복호화됨으로써 재생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고해상도 또는 고화질 영상 컨텐트를 효과적으로 압축하기 위한 방법들이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부호화 하려는 영상을 임의적 방법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통한 효율적 영상 압축 방법이 실시되고 있다.
영상을 압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데이터 단위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단위들 간에 포함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압축에 이용되는 데이터 단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에 의해 데이터 단위가 분할될 수 있으며 영상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영상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비트스트림 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 내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비트스트림 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비트스트림 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 내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때,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 내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때, 상기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부호화 블록 플래그,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부호화 블록 플래그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시그널링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활성화함을 나타내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에 log2를 취한 값이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log2를 취한 값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1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에 log2를 취한 값이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log2를 취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2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uQpDeltaCode의 값 및 상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식별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시그널링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활성화함을 나타내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에 1을 더한 값과 같은 경우이거나,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1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1값으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식별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PPS(Picture Parameter Set)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값과 소정의 값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비트스트림 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때,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때, 상기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최대 변환 단위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는 상기 비트스트림의 PPS(Picture Parameter Set)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값과 소정의 값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형태 모드는 바이너리 분할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포함하는 분할 타입에 기초한 모드이고,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는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한 넓이이거나,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이고,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상기 소정의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상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트스트림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는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값과 소정의 값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는, 도 4a 내지 4c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순서 플래그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 간의 부(복)호화 순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정하는 SUCO 기법을 설명하고, SUCO 기법에 기초한 부(복)호화 순서에 따라 우측 주변 블록이 이용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이하, "영상"은 비디오의 정지영상와 같은 정적 이미지이거나 동영상, 즉 비디오 그 자체와 같은 동적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샘플"은, 영상의 샘플링 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로서 프로세싱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의 영상에서 픽셀값, 변환 영역 상의 변환 계수들이 샘플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는, 해당 데이터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는 부호화 단위별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부호화 단위보다 작은 서브 블록 단위별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루마 및 크로마 성분 모두에 대하여 하나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성분별로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루마 및 크로마 성분 모두에 대한 하나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각 성분별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와 함께 생성될 수 있다. 즉, 루마 및 크로마 성분 모두에 대한 하나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의 값이 1인 경우에, 각 성분 별로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루마 및 크로마 성분 모두에 대한 하나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의 값이 0인 경우에 각 성분 별로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이하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화 장치,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이 상술된다. 도 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데이터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설명되고,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또는 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된다.
이하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상술된다.
도 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획득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획득부(105)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획득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역양자화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역양자화부(115)는 영상 복호화부(11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분할 형태 모드는 분할 여부,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 타입, 트라이 분할 타입(터너리 분할 타입), 쿼트 분할 타입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수직 방향(또는 수평 방향)로 바이너리 분할을 수행한 후에, 수평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바이너리 분할을 수행하는 경우, 쿼드 분할을 수행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 타입, 트라이 분할 타입 중 하나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분할 방향과 바이너리 분할 타입 또는 트라이 분할 타입의 분할 타입에 따라,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를 하위 뎁스의 두개 또는 세 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기법을 BTT(Binary and Ternary Tree) 기법이라 한다. BTT(Binary and Ternary Tree) 기법이 이용되지 않는 경우, QT(Quad Tree)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쿼드 트리 기법은 쿼드 분할의 분할 타입만을 이용하여,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를 하위 뎁스의 네 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기법일 수 있다.
획득부(105)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부호(sign) 정보 및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절대값(absolute valu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또는 '면적'이라 함)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는 더 이상 낮은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특히,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CBF)란 원본 영상의 신호와 예측 신호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레지듀얼 신호가 변환/양자화됨에 따라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어,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현재 블록에 0이 아닌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가 존재함을 나타내므로,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는 현재 블록의 변환 계수에 대한 엔트로피 부호화(변환/양자화 포함)가 수행됨을 나타낸다.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가 현재 블록에 모든 변환 계수가 0임을 나타내는 경우(예를 들어,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현재 블록에 대해서는 별도로 엔트로피 부호화(변환/양자화 포함)가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즉, 영상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를 비트스트림에 포함시켜 출력하고,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를 획득하고, 부호화 블록 플래그 정보를 기초로, 현재 블록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변환/양자화 포함)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획득부(105)는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변환 단위에 대한 부호화 블록 플래그를 각각 획득할 수 있고, 루마 성분/크로마 성분별로 각각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블록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 역양자화 및 역변환)가 필요한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복호화부(110)는 CBF의 값이 0인 변환 단위에 대해서는, 역양자화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획득부(105)는 해당 변환 단위의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파라메터 관련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획득부(105)가 CBF의 값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경우, CBF의 값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 및 CBF 의 값이 1인지를 식별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파싱 딜레이 및 조건의 만족 여부 식별을 위한 복잡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대한 식별을 하지 않고, 복호화 순서상 첫번째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복호화 순서상 첫번째 변환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변환 단위(두번째 이후의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각 변환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획득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싱 딜레이 및 조건의 만족 여부 식별을 위한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최대 변환 단위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획득부(105)는 부호화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포함된 변환 계수의 값이 0이므로, 역양자화를 수행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획득부(105)는 역양자화를 위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획득부(105)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역양자화를 위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되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부호화 블록 플래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부호화 블록 플래그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트리 타입이 싱글 트리 타입인 경우, 영상 복호화부(110)는 성분들 간에 공통된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트리 타입이 싱글 트리 타입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제 1 부호화 블록 플래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제2 부호화 블록 플래그 및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제3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트리 타입이 듀얼 트리 타입인 경우, 영상 복호화부(110)는 루마 성분, 크로마 성분 별로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루마 성분, 크로마 성분별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듀얼 트리 타입은 듀얼 루마 타입, 듀얼 크로마 타입을 포함할 수 있고, 듀얼 루마 타입인 경우, 영상 복호화부(110)는 루마 성분의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듀얼 크로마 타입의 경우, 영상 복호화부(110)는 크로마 성분의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는 크로마 성분(Cb 또는 Cr)의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 또는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해당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최대 변환 단위의 크기보다 작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변환 단위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를 획득하고, 그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을 막을 수 있다. 즉, 부호화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에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을 막을 수 있다.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을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의 부호화 단위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하면서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경우,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인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넓이의 부호화 단위가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획득된 해당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되지 않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인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CBF의 값이 0인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역양자화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획득부(105)는 해당 부호화 단위의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파라메터 관련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획득부(105)가 CBF의 값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경우, CBF의 값을 획득하기 위한 동작 및 CBF 의 값이 1인지를 식별하는 동작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파싱 딜레이 및 조건의 만족 여부 식별을 위한 복잡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하지만, 획득부(105)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대한 식별을 하지 않고, 복호화 순서상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복호화 순서상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변환 단위 및 나머지 부호화 단위(두번째 이후의 부호화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부호화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획득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파싱 딜레이 및 조건의 만족 여부 식별을 위한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11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역양자화부(115)는 현재 타일(Tile) 또는 슬라이스(Slice) 내에 복호화 순서상 이전에 복호화된 양자화 파라메터를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파라메터로 획득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115)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타일 또는 슬라이스의 첫번째 부호화 단위인 경우, 슬라이스 레벨의 양자화 파라메터를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파라메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 파라메터는 성분 별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양자화부(115)는 루마 성분의 비트 뎁스 또는 크로마 성분의 비트 뎁스를 기초로 루마 성분 또는 크로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 범위의 오프셋의 값을 결정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합을 기초로 획득된 성분별 값에, 성분별 양자화 파라메터 범위의 오프셋의 값을 합하여 성분별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루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 QpY 와 크로마 성분 Qpcb(cr) 의 양자화 파라메터 간의 관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1
이때, slice_cb(cr)_qp_offset은 슬라이스 레벨에서 획득된 루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와 크로마 성분 cb 또는 cr의 양자화 파라메터 간의 오프셋으로, cb 또는 cr별로 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SUCO(Split Unit Coding Unit) 기법을 고려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SUCO 기법은 부호화 단위의 부/복호화 순서를 변경하여 부호화 성능을 높이는 기법이다. 즉, SUCO 기법에 의하면, 제1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경우, 분할된 제2 부호화 단위의 부/복호화 순서를 좌측에서 우측의 부호화 단위의 순서 또는 우측에서 좌측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SUCO 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SUCO 기법에 의하면,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기 위해 참조되는 주변 블록(예를 들어, 주변 부호화 단위 또는 주변 양자화 그룹)이 복호화 순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양자화 그룹은 양자화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뎁스, 특정 면적 또는 특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거나 같은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의 좌측 블록, 상측 블록, 우측 블록이 참조를 위해 모두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때,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현재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 QP가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2
이때, pred QP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이고, delta QP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pred QP는 좌측, 상측, 또는 우측 양자화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 그룹의 QP를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상측 또는 우측 양자화 그룹의 QP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prev QP를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prev QP는 부(복)호화 순서상 이전 양자화 그룹의 마지막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prevQ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스 레벨의 양자화 파라메터(slice QP)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pred QP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SUCO 인덱스(SUCO index)의 값이 1(on)인 경우(즉, 복호화 순서가 오른쪽 부호화 단위에서 왼쪽 부호화 단위의 순서라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3
이때, QP_above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고, QP_right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우측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한편, SUCO 인덱스의 값이 0(off)인 경우(즉, 복호화 순서가 왼쪽 부호화 단위에서 우측 부호화 단위의 순서라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4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SUCO 활성화 플래그가 on인 경우(SUCO를 이용한다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5
또는, SUCO 활성화 플래그가 on인 경우(SUCO를 이용한다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6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6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블록이 이용가능한 경우(즉, 좌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고, 먼저 부(복)호화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 하기의 수학식 7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7
한편, 좌측 블록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좌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지 않거나, 먼저 부(복)호화되지 않은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8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8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측 블록이 이용가능한 경우(우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고, 먼저 부(복)호화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9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09
우측 블록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우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지 않거나, 먼저 부(복)호화되지 않은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0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0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블록 -> 상측 블록 -> 우측 블록의 순으로 검색하여, 이용가능한 양자화 그룹의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1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1
이용가능한 양자화 그룹이 1개 이하인 경우, prev QP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블록을 검색하는 순서는 상측->좌측->우측, 좌측->상측->우측, 우측->상측->좌측, 좌측->우측->상측, 우측->좌측->상측의 순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및 상측 블록의 신뢰도에 따라, 가중 합(Weighted Sum)을 통해 예측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12에 따라,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2
이때, 신뢰도에 따라, N,M,L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수학식 13에 따라,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3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 크기가 주변 블록의 면적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이용하여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주변 블록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에 따라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현재 부호화 블록이 소정의 부(복)호화 툴(tool)로 부(복)호화되어 있는데, 주변 블록이 이미 그 소정의 부(복)호화 툴로 부(복)호화된 경우, 그 주변 블록의 신뢰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가 인터 모드 중에 스킵(Skip), 머지(Merge), 또는 어파인 모드(Affine mode), MMVD(Merge with Motion Vector Difference) 모드에 따라 부(복)호화될 때, 주변 블록 중 스킵(Skip), 머지(Merge) 또는 어파인 모드, MMVD(Merge with Motion Vector Difference) 모드에 따라 부(복)호화된 블록이 있으면, 해당 블록의 신뢰도가 높게 결정되거나, 다른 블록의 QP에 비해 우선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어파인 모드는 어파인 모델에 기초한 움직임 보상이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MMVD 모드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미리 정해진 MVD(Motion Vector Difference)들을 인덱스화하여 새로운 움직임 벡터 후보를 생성한 후에, 움직임 벡터 후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정보를 유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획득부(10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과 관련하여, 도 3a 내지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하에서는,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시그널링되는 소정의 면적 단위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획득부(105)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Slice, Tile 또는 Tile Group 단위로 소정의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넓이 값을 나타내거나, 소정의 넓이 값을 2의 승수로 표현한 값(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log2를 취한 값)을 나타내거나, 넓이값을 가진 테이블의 인덱스 값을 나타내거나, 특정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는 넓이 값의 2의 승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7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7=128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8x16,16x8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8=256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16x16, 8x32, 32x8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9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9=512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32x16, 16x32, 64x8, 8x64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0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10=1024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32x32, 16x64, 64x16, 128x8, 8x128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하기 표 1 및 표 2의 넓이 값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일 수 있다.
인덱스 0 1 2 3 ...
넓이 값 128 256 512 ... ...
인덱스 0 1 2 3 ...
넓이 값 256 512 1024 ... ...
다만, 표 1 및 표 2에 제한되지 않고, 인덱스의 값과 넓이 값의 대응관계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는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4x4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16)=4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delta_qp_area - log2_min_cu_are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 -4 = 4를 나타낼 수 있다.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Minimum delta QP area)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최소 블록의 넓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크기(넓이)가 16x16(25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delta_qp_area - log2_min_delta_qp_area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 -8 = 0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대 부호화 단위(또는 부호화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의 크기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128x128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16384)=14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max_cu_area - log2_delta_qp_are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4 -8 = 6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Maximum delta QP area)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최대 블록의 넓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크기(넓이)가 64x64(409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4096)=12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max_delta_qp_area - log2_delta_qp_area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2 -8 = 4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레벨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가 시그널링될 때, 특정 프레임에서는, 부호화 단위별 QP의 변화없이 하나의 QP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레벨로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획득부(105)는 프레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빈들 중 첫번째 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첫번째 빈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0인지 아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부(105)는 프레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 중 첫번째 비트에 대하여, 컨텍스트 모델을 기초로 하는 이진 산술 복호화를 수행하여 첫번째 산술 복호화된 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획득부(105)는 첫번째 산술 복호화된 빈이 0일 경우, 0이 아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역양자화부(115)는 이전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메터와 동일한 현재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첫번째 산술복호화된 빈이 0이 아닐 경우, 획득부(105)는 0이 아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빈들 중 첫번째 이후의 나머지 빈)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획득부(105)는 프레임 레벨로 default_zero_dqp_signal을 획득하고, default_zero_dqp_signal의 값을 기초로 프레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에 대한 확률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fault_zero_dqp_signal의 값이 1일 경우, 0일 확률을 1에 가깝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이전의 프레임과 다른 컨텍스트 인덱스(ctxIdx)가 이용될 수 있다.
default_zero_dqp_signal의 값이 0일 경우, 이전의 프레임에 대한 확률과 동일한 확률이 이용된다. 즉, 동일한 컨텍스트 인덱스(ctxIdx)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확률 테이블이 2개가 이용될 수 있다. 즉, default_zero_dqp_signal이 1일 경우의 확률 테이블 및 default_zero_dqp_signal이 0일 경우의 테이블을 구분하고, 구분된 확률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획득부(105)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11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획득부(105)에서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일 수 있고, 영상 복호화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 블록을 역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포함하는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계수는 공간 도메인 상의 계수일 수 있다. 한편, 역변환 동작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역양자화된 계수는 공간 도메인 상의 계수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역변환 동작없이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즉, 공간 도메인 상의 계수)를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부(11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 내 샘플들의 샘플값들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블록 내 샘플들의 샘플값들을 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 내 샘플들의 샘플값들을 획득하고, 복원 블록내 샘플들의 샘플값들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블록은 인터 모드 또는 인트라 모드의 다양한 예측 기법에 따라 예측된 블록일 수 있다.
도 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10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 신택스 구조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특히,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의 값의 식별 동작 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되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1 부호화 블록 플래그,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2 부호화 블록 플래그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제3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는 비트스트림의 PPS(Picture Parameter Set)으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과 소정의 값 간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시그널링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활성화 플래그가 활성화함을 나타내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1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제1값은 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2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제2값은 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을 식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cuQPDeltaCode의 값이 소정의 제1값임을 식별하고, 해당 부호화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해당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소정의 제2값임을 식별하고, 해당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기초하여(예를 들어, 성분별 CBF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 해당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이고,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에 1을 더한 값과 같은 경우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과 동일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소정의 제1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소정의 제1값임을 식별하고, 해당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1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비트스트림 내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를 역양자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역양자화된 계수를 획득하고, 역양자화된 계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S125 단계에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을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c 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획득부(105) 및 영상 복호화부(11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비트스트림(6050)으로부터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 정보를 파싱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로서, 역양자화부(6200) 및 역변환부(62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 데이터를 복원한다.
인트라 예측부(6400)는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부(6350)는 블록 별로 복원 픽처 버퍼(63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6400) 또는 인터 예측부(6350)에서 생성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레지듀 데이터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가 복원되고, 디블로킹부(6450) 및 SAO 수행부(6500)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660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원 픽쳐 버퍼(63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참조 영상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영상 복호화부(11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양자화부(6200)의 작업은 역양자화부(115)의 작업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영상 부호화부(155)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부(155)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비트스트림 생성부(170)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양자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부(160)는 영상 부호화부(155)와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분할 형태 모드는 분할 여부,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 트라이 분할, 쿼드 분할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수직 방향(또는 수평 방향)로 바이너리 분할을 수행한 후에, 수평 방향(또는 수직 방향)으로 바이너리 분할을 수행하는 경우, 쿼드 분할을 수행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 타입, 트라이 분할 타입 중 하나만을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원본 블록 내 원본 샘플값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블록 내 예측 샘플값 간의 차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 내 레지듀얼 샘플값을 획득할 수 있다. 레지듀얼 블록 내 레지듀얼 샘플값은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예측 블록은 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에 따른 예측을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양자화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부(155)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부호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및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또는 '면적'이라 함)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는 더 이상 낮은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이때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특히,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최대 변환 단위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되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리 타입이 싱글 트리 타입인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성분들 간에 공통된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트리 타입이 싱글 트리 타입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 및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영상 부호화부(155)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b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크로마 성분 Cr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트리 타입이 듀얼 트리 타입인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루마 성분, 크로마 성분 별로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를 기초로, 루마 성분, 크로마 성분별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듀얼 트리 타입은 듀얼 루마 타입, 듀얼 크로마 타입을 포함할 수 있고, 듀얼 루마 타입인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루마 성분의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듀얼 크로마 타입의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크로마 성분의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는 루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는 크로마 성분(Cb 또는 Cr)의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응하는 루마 성분 또는 크로마 성분의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해당 성분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영상 부호화부(155)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양자화부(160)는 현재 타일(Tile) 또는 슬라이스(Slice) 내에 부호화 순서상 이전에 부호화된 양자화 파라메터를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파라메터로 획득할 수 있다. 양자화부(16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타일 또는 슬라이스의 첫번째 부호화 단위인 경우, 슬라이스 레벨의 양자화 파라메터를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파라메터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양자화 파라메터는 성분 별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화부(160)는 루마 성분의 비트 뎁스 또는 크로마 성분의 비트 뎁스를 기초로 루마 성분 또는 크로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 범위의 오프셋의 값을 결정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합을 기초로 획득된 성분별 값에, 성분별 양자화 파라메터 범위의 오프셋의 값을 합하여 성분별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루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 QpY 와 크로마 성분 Qpcb(cr) 의 양자화 파라메터 간의 관계는, 수학식 14와 같을 수 있다. 이때, slice_cb(cr)_qp_offset은 슬라이스 레벨에서 획득된 루마 성분의 양자화 파라메터와 크로마 성분 cb 또는 cr의 양자화 파라메터 간의 오프셋으로, cb 또는 cr별로 그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4
이하에서는, SUCO(Split Unit Coding Unit) 기법을 고려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SUCO 기법은 부호화 단위의 부/복호화 순서를 변경하여 부호화 성능을 높이는 기법이다. 즉, SUCO 기법에 의하면, 제1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향이 수직 방향인 경우, 분할된 제2 부호화 단위의 부/복호화 순서를 좌측에서 우측의 부호화 단위의 순서 또는 우측에서 좌측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SUCO 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SUCO 기법에 의하면,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기 위해 참조되는 주변 블록(예를 들어, 주변 부호화 단위 또는 주변 양자화 그룹)이 부호화 순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양자화 그룹은 양자화 파라메터를 결정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하고,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뎁스, 특정 면적 또는 특정 크기의 부호화 단위보다 크거나 같은 부호화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의 좌측 블록, 상측 블록, 우측 블록이 참조를 위해 모두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이때, 하기 수학식 15와 같이, 현재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 QP가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5
이때, pred QP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이고, delta QP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pred QP는 좌측, 상측, 또는 우측 양자화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 그룹의 QP를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상측 또는 우측 양자화 그룹의 QP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 prev QP를 이용하여 예측될 수 있다. prev QP는 부(복)호화 순서상 이전 양자화 그룹의 마지막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prevQP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슬라이스 레벨의 양자화 파라메터(slice QP)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pred QP는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부호화 순서가 오른쪽 부호화 단위에서 왼쪽 부호화 단위의 순서라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6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6
이때, QP_above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측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고, QP_right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우측 부호화 단위의 양자화 파라메터일 수 있다. 한편, 부호화 순서가 왼쪽 부호화 단위에서 우측 부호화 단위의 순서라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7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7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SUCO를 이용한다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8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8
또는, SUCO를 이용한다고 식별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19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19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블록이 이용가능한 경우(즉, 좌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고, 먼저 부호화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 하기의 수학식 20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0
한편, 좌측 블록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좌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지 않거나, 먼저 부호화되지 않은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21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1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측 블록이 이용가능한 경우(우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고, 먼저 부호화된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22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2
우측 블록이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우측 양자화 그룹이 존재하지 않거나, 먼저 부호화되지 않은 경우),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23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3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블록 -> 상측 블록 -> 우측 블록의 순으로 검색하여, 이용가능한 양자화 그룹의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는 하기의 수학식 24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4
이용가능한 양자화 그룹이 1개 이하인 경우, prev QP를 이용하여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블록을 검색하는 순서는 상측->좌측->우측, 좌측->상측->우측, 우측->상측->좌측, 좌측->우측->상측, 우측->좌측->상측의 순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및 상측 블록의 신뢰도에 따라, 가중 합(Weighted Sum)을 통해 예측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식 25에 따라,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5
이때, 신뢰도에 따라, N,M,L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수학식 26에 따라,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pred QP가 획득될 수 있다.
Figure 112022067024704-pat00026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 크기가 주변 블록의 면적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이용하여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주변 블록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모드(인트라 모드 또는 인터 모드)에 따라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 예로, 현재 부호화 블록이 소정의 부호화 툴(tool)로 부호화되어 있는데, 주변 블록이 이미 그 소정의 부호화 툴로 부호화된 경우, 그 주변 블록의 신뢰도가 높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가 인터 모드 중에 스킵(Skip), 머지(Merge), 또는 어파인 모드(Affine mode), MMVD(Merge with Motion Vector Difference) 모드에 따라 부호화될 때, 주변 블록 중 스킵(Skip), 머지(Merge) 또는 어파인 모드, MMVD(Merge with Motion Vector Difference) 모드에 따라 부호화된 블록이 있으면, 해당 블록의 신뢰도가 높게 결정되거나, 다른 블록의 QP에 비해 우선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어파인 모드는 어파인 모델에 기초한 움직임 보상이 인터 예측에 이용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MMVD 모드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 미리 정해진 MVD(Motion Vector Difference)들을 인덱스화하여 새로운 움직임 벡터 후보를 생성한 후에, 움직임 벡터 후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의 움직임 정보를 유도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부호화부(15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과 관련하여, 도 3a 내지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하에서는,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시그널링되는 소정의 면적 단위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PPS(Picture Parameter Set), Slice, Tile 또는 Tile Group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소정의 넓이 값을 나타내거나, 소정의 넓이 값을 2의 승수로 표현한 값(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log2를 취한 값)을 나타내거나, 넓이값을 가진 테이블의 인덱스 값을 나타내거나, 특정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는 넓이 값의 2의 승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7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7=128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8x16,16x8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8=256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16x16, 8x32, 32x8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9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9=512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32x16, 16x32, 64x8, 8x64 등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0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넓이는 2^10=1024일 수 있고, 소정의 면적 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부호화 단위는 32x32, 16x64, 64x16, 128x8, 8x128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하기 표 3 및 표 4의 넓이 값들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일 수 있다.
인덱스 0 1 2 3 ...
넓이 값 128 256 512 ... ...
인덱스 0 1 2 3 ...
넓이 값 256 512 1024 ... ...
다만, 표 3 및 표 4에 제한되지 않고, 인덱스의 값과 넓이 값의 대응관계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는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4x4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16)=4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delta_qp_area - log2_min_cu_are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 -4 = 4를 나타낼 수 있다.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Minimum delta QP area)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최소 블록의 넓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크기(넓이)가 16x16(25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delta_qp_area - log2_min_delta_qp_area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8 -8 = 0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대 부호화 단위(또는 부호화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의 크기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128x128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16384)=14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max_cu_area - log2_delta_qp_area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4 -8 = 6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Maximum delta QP area) 관련 값과의 차분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넓이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최대 블록의 넓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크기(넓이)가 64x64(409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4096)=12이고, 소정의 넓이 값이 256(예를 들어, 그 크기는 16x16)인 경우, 그 넓이가 나타내는 값은 log2(256)=8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log2_max_delta_qp_area - log2_delta_qp_area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넓이 값에 대한 정보(delta_QP_area)는 12 -8 = 4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레임 레벨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가 시그널링될 때, 특정 프레임에서는, 부호화 단위별 QP의 변화없이 하나의 QP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레벨로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프레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빈들 중 첫번째 빈을 컨텍스트 모델을 기초로 하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여, 이진 산술 부호화된 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첫번째 빈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0인지 아닌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전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메터와 동일한 현재 프레임의 양자화 파라메터가 획득된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0임을 나타내는 첫번째 빈을, 컨텍스트 모델을 기초로 하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여, 이진 산술 부호화된 빈을 획득할 수 있다.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 부호화부(155)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0이 아님을 나타내는 첫번째 빈을, 컨텍스트 모델을 기초로 하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하여, 이진 산술 부호화된 빈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부호화부(155)는 0이 아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하여 컨텍스트 모델을 기초로 하는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프레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delta QP)에 관한 정보(첫번째 빈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가 0인지 0이 아닌지를 나타내고, 나머지 빈은 차분 양자 파라메터의 값을 나타냄)에 대한 확률 정보를 업데이트하거나 유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프레임 레벨로 default_zero_dqp_signal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fault_zero_dqp_signal의 값이 1일 경우, 0일 확률을 1에 가깝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default_zero_dqp_signal의 값이 0일 경우, 이전의 프레임에 대한 확률과 동일한 확률이 이용된다. 이때, 확률 테이블이 2개가 이용될 수 있다. 즉, default_zero_dqp_signal이 1일 경우의 확률 테이블 및 default_zero_dqp_signal이 0일 경우의 테이블을 구분하고, 구분된 확률 테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변환 동작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양자화된 계수는 공간 도메인 상의 계수일 수 있다. 영상 부호화부(155)는 변환 동작없이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계수(즉, 공간 도메인 상의 계수)를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블록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 생성부(17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15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S16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7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택스 엘리먼트란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영상 양자화 파라메터 또는 영상 내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신택스 엘리먼트란, 비트스트림에서 표현되는 데이터의 엘리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S18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9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는,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영상 부호화부(155)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17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7200)는 현재 영상(7050) 중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인터 예측부(7150)는 블록별로 현재 영상(7050) 및 복원 픽처 버퍼(71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현재 영상(7050)의 인코딩되는 블록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빼줌으로써 레지듀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부(7250) 및 양자화부(7300)는 레지듀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블록별로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7450), 역변환부(750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여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는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7050)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디블로킹부(7550) 및 SAO 수행부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복원 영상은 복원 픽쳐 버퍼(7100)에 저장된다. 복원 픽처 버퍼(71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다른 영상의 인터예측을 위한 참조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계수가 비트스트림(7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가 영상 부호화 장치(150)에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화부(7300)의 작업은 양자화부(160)의 작업에 대응될 수 있다.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신택스 구조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비트스트림 내 함께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신택스 엘리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단위란, 분할 중인 부호화 단위를 의미하고, 분할 단위에서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를 획득한 후에,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지 또는 더 분할되는지가 식별될 수 있다. 이때, 분할 단위는 분할 플래그 등의 분할 형태 정보를 기초로, 재귀적으로(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00)에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한 후에,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특정 면적 단위 cuQpDeltaArea마다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SPS, PPS, Slice, Tile, Tile group 등의 단위마다 획득될 수 있다. 특정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넓이 값이거나, 넓이값을 2의 승수로 표시한 값이나, 다양한 넓이 값과 인덱스 간의 대응관계를 가진 테이블의 인덱스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특정 면적은, 영상 복호화 장치(100)과 영상 부호화 장치(150) 간에 미리 결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블록이 픽처 바운더리에 걸쳐 있을 때, cu_qp_delta를 획득하는 면적은 블록의 픽처 외부 영역을 포함한 면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cu_qp_delta를 획득하는 면적은 픽처 내부의 영역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x0, y0)에 대한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획득하고,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btt_split_flag[x0][y0]==0),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획득하고,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의 2배(+1)와 동일한 경우이고,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ternary split type)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과 동일한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 내지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10)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cuQpDeltaCode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20)에서 CBF를 획득한 후에, cuQpDeltaCode의 값(및 CBF의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cuQPDeltaCode의 값에 기초한 조건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가 현재 부호화 단위(x0, y0)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cu_qp_delta_enabled_flag는 부호화 단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활성화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sps_dquant_flag는 SPS 레벨에서 획득되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은, 경우에 따라 변환 단위의 CBF 값에 상관없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의 2배(+1)와 동일한 경우이고,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ternary split type)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과 동일한 경우,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Y,U,V)(cbf_luma,cbf_cb,cbf_cr) 중 하나의 값이 1인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BF(Y,U,V)(cbf_luma,cbf_cb,cbf_cr)의 값이 모두 0이라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cbf_luma,cbf_cb,cbf_cr)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CBF 획득 후에,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첫번째 부호화 단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가 획득되면, cuQpdeltaCode의 값을 0으로 결정하고, 따라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경우, 나머지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획득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일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에도,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cbf_luma,cbf_cb,cbf_cr)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1인 경우에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CBF 값이 모두 0인 경우, 두번째 부호화 단위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경우, CBF의 값이 0이기 때문에, 양자화 파라메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부호화 단위의 CBF의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1인 경우에, 해당 부호화 단위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4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cuQpDeltaCode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신택스 구조(240)에서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한 변환 단위를 획득(이때, 변환 단위 신택스 구조에 포함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하거나,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변환 단위를 획득한 후에, 변환 단위 신택스 구조(250)로부터 CBF(cbf_luma, cbf_cb, cbf_cr)의 획득 후에, cuQpDeltaCode의 값(및 CBF의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cuQPDeltaCode의 값에 기초한 조건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btt_split_flag[x0][y0]==0),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log2CbWidth + log2CbHeight >= cuQpDeltaArea),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log2CbWidth, 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log2CbWidth > 6 || log2CbHeight > 6),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btt_split_flag[x0][y0]==0),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log2CbWidth + log2CbHeight >= cuQpDeltaArea),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log2CbWidth, 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작은 경우(else),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지를 식별하는 이유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2배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되어 획득된 부호화 단위 중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와 동일한 넓이의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게 되고, 이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cuQPDeltaCode의 값이 2인지를 식별하지 않으면, 다시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cuQPDeltaCode의 값이 1인 경우,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함을 의미하고,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첫번째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를 통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isCuQPDeltaCoded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isCuQPDeltaCoded이 0인 경우에만, 해당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후에는, 그 값을 1로 설정함으로써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한번만 획득하고, 후속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더 이상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고(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cuQpDeltaArea)의 2배(+1)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cuQpDeltaArea)와 동일하고,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isCuQPDeltaCoded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1인 경우, 분할 타입 및 분할 방향에 따라 결정된 분할 형태 모드(SplitMode[x0][y0])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하위뎁스의 부호화 단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들과 관련된 분할 단위 레벨의 부호화 단위 신택스 구조(24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즉, 재귀적으로,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1인 경우, 분할 타입 및 분할 방향에 따라 결정된 분할 형태 모드(SplitMode[x0][y0])가 수평 방향의 터너리 분할에 따른 모드인 경우(SplitMode[x0][y0] == SPLIT_TT_HOR),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하위 뎁스의 3개의 부호화 단위(x0,y0 또는 x0,y1 또는 x0,y2)에 대한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설정된 cuQpDeltaCode 값이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0인 경우(else),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4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cbf_all)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한다면(if(cbf_all)),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에 따라 복수의 서브 블록(변환 단위)으로 분할되는지를 나타내는 isSplit의 값을 설정한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log2CbWidth)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크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 isSplit의 값을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한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 및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log2CbWidth, log2CbHeight)를 기초로 변환 단위의 크기(log2TbWidth, log2TbHeight)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log2CbWidth)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 변환 단위의 너비를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변환 단위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와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기준 좌표(x0,y0) 및 변환 단위의 크기(log2TbWidth, log2TbHeight)를 기초로, 변환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이 전달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log2CbWidth, log2CbHeight) 및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에 따른 조건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환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큰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추가적인 변환 단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변환 단위의 각 성분별로 CBF(cbf_luma, cbf_cb_,cbf_cr)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0이거나(!sps_dquant_flag), cuQpDeltaCode의 값이 1이고, isdeltaCoded의 값이 0인 경우, 각 성분별 CBF(cbf_luma, cbf_cb_,cbf_cr)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cbf_luma||cbf_cb||cbf_cr),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의 값이 1이고, cuQpDeltaCode의 값이 2이고, isdeltaCoded의 값이 0인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각 성분별 CBF(cbf_luma, cbf_cb_,cbf_cr)의 값에 관계없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신택스 구조에 의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레벨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때,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를 기초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Code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계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변환 단위)로 분할된다면, 첫번째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변환 단위에 대해서는,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 변환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변환 단위에서 획득된 cu_qp_delta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보다 작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 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의 2배이면서 분할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서브블록(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해당 부호화 단위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블록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의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를 제외한 변환 단위 및 첫번째 부호화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에서 획득된 cu_qp_delta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이때, log2를 취한 값은 6임)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는 다양한 2의 승수 중 하나일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도 4d는, 도 4a 내지 4c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26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의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부호화 단위(260)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260)과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60)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블록 플래그가 획득되고, 그 값이 1인 경우에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하고, 0인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27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의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부호화 단위(270)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270)를 분할하여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를 갖는 변환 단위(275)를 포함하는 변환 단위들을 획득하고, 이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275)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7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80)로부터 다양한 분할 타입(예를 들어, 터너리 분할 타입 또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85)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부호화 단위(28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하다면, 부호화 단위(280)에 포함된 2개 또는 3개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285)에 포함된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8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부호화 단위(28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부호화 단위(285)는 추가적으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을 수 있고,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변환 단위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90)로부터 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들 중 작은 크기의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95)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부호화 단위(29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와 동일하다면, 부호화 단위(290)에 포함된 3개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295)에 포함된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9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부호화 단위(29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부호화 단위(295)는 추가적으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을 수 있고,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변환 단위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도 4d를 참조하여, SUCO 기법의 활성화 없이 복호화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SUCO 기법이 활성화되는 경우,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위치는 도 4d와 달리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 내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순서 플래그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 간의 부(복)호화 순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정하는 SUCO 기법을 설명하고, SUCO 기법에 기초한 부(복)호화 순서에 따라 우측 주변 블록이 이용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최대 부호화 단위(2950)는 복수 개의 부호화 단위들(1956, 1958, 1960, 1962, 1968, 1970, 1972, 1974, 1980, 1982, 1984, 1986)로 분할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1950)는 트리 구조의 최상위 노드(1900)에 대응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부호화 단위들(1956, 1958, 1960, 1962, 1968, 1970, 1972, 1974, 1980, 1982, 1984, 1986)은 각각 복수 개의 노드들(1906, 1908, 1910, 1912, 1918, 1920, 1922, 1924, 1930, 1932, 1934, 1936)에 대응된다. 트리 구조에서 부호화 순서를 나타내는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 1914, 1926)는 화살표(1952, 1964, 1976)에 대응되고,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4, 1916, 1928)는 화살표(1954, 1966, 1978)에 대응된다.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네 개의 동일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 중 상단에 위치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순서를 나타낸다. 만약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0일 경우, 부호화는 정방향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1일 경우, 부호화는 역방향으로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네 개의 동일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단에 위치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순서를 나타낸다. 만약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0일 경우, 부호화는 정방향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1일 경우, 부호화는 역방향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4)가 0이므로 부호화 단위들(1968, 1970) 간의 부호화 순서는 정방향인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가 1이므로 부호화 단위들(1972, 1974) 간의 부호화 순서는 역방향인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가 1로 결정될 경우,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에 대응되는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4)도 1로 결정될 수 있다. 1비트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의 값이 결정되므로 부호화 순서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현재 부호화 단위보다 심도가 낮은 부호화 단위에 적용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 및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단위(1980, 1982, 1984, 1986)에 적용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6)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8)는 부호화 단위들(1972, 1974)에 적용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6)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8)는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와 동일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의 값을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위 부호화 단위로부터 결정하므로, 부호화 순서 정보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호화 순서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1986)보다 이전에 복호화된 우측의 인접 부호화 단위(1958)에 포함된 샘플들의 데이터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우측 인접 부호화 단위(1958)의 데이터(바람직하게는,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을 통해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S15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영상의 분할 형태 모드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을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S16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S16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계수에 대한 변환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할 수 있다.
S17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7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8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택스 엘리먼트란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영상 양자화 파라메터 또는 영상 내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신택스 엘리먼트란, 비트스트림에서 표현되는 데이터의 엘리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현재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적어도 하나의 0이 아닌 변환 계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초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S185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90 단계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및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는,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영상 부호화부(155) 및 비트스트림 생성부(17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7200)는 현재 영상(7050) 중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인터 예측부(7150)는 블록별로 현재 영상(7050) 및 복원 픽처 버퍼(71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현재 영상(7050)의 인코딩되는 블록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빼줌으로써 레지듀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부(7250) 및 양자화부(7300)는 레지듀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블록별로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7450), 역변환부(750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여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공간 영역의 레지듀 데이터는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7050)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디블로킹부(7550) 및 SAO 수행부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복원 영상은 복원 픽쳐 버퍼(7100)에 저장된다. 복원 픽처 버퍼(71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다른 영상의 인터예측을 위한 참조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계수가 비트스트림(7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가 영상 부호화 장치(150)에 적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화부(7300)의 작업은 양자화부(160)의 작업에 대응될 수 있다.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신택스 구조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비트스트림 내 함께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신택스 엘리먼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 단위란, 분할 중인 부호화 단위를 의미하고, 분할 단위에서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를 획득한 후에,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지 또는 더 분할되는지가 식별될 수 있다. 이때, 분할 단위는 분할 플래그 등의 분할 형태 정보를 기초로, 재귀적으로(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00)에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한 후에,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특정 면적 단위 cuQpDeltaArea마다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SPS, PPS, Slice, Tile, Tile group 등의 단위마다 획득될 수 있다. 특정 면적 단위에 관한 정보는 넓이 값이거나, 넓이값을 2의 승수로 표시한 값이나, 다양한 넓이 값과 인덱스 간의 대응관계를 가진 테이블의 인덱스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특정 면적은, 영상 복호화 장치(100)과 영상 부호화 장치(150) 간에 미리 결정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블록이 픽처 바운더리에 걸쳐 있을 때, cu_qp_delta를 획득하는 면적은 블록의 픽처 외부 영역을 포함한 면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cu_qp_delta를 획득하는 면적은 픽처 내부의 영역으로만 제한될 수 있다.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x0, y0)에 대한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획득하고,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btt_split_flag[x0][y0]==0),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를 획득하고,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의 2배(+1)와 동일한 경우이고,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ternary split type)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과 동일한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 내지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내지 3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10)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cuQpDeltaCode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20)에서 CBF를 획득한 후에, cuQpDeltaCode의 값(및 CBF의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cuQPDeltaCode의 값에 기초한 조건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가 현재 부호화 단위(x0, y0)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cu_qp_delta_enabled_flag는 부호화 단위 레벨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활성화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고, sps_dquant_flag는 SPS 레벨에서 획득되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은, 경우에 따라 변환 단위의 CBF 값에 상관없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플래그가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의 2배(+1)와 동일한 경우이고,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ternary split type)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이 차분 양자화 파라미터를 시그널링하는 특정 면적(cuQpDeltaArea)과 동일한 경우,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Y,U,V)(cbf_luma,cbf_cb,cbf_cr) 중 하나의 값이 1인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BF(Y,U,V)(cbf_luma,cbf_cb,cbf_cr)의 값이 모두 0이라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cbf_luma,cbf_cb,cbf_cr)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와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의 CBF 획득 후에,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첫번째 부호화 단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가 획득되면, cuQpdeltaCode의 값을 0으로 결정하고, 따라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경우, 나머지 부호화 단위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획득된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일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에도, 현재 변환 단위에 대한 CBF(cbf_luma,cbf_cb,cbf_cr)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1인 경우에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된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CBF 값이 모두 0인 경우, 두번째 부호화 단위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경우, CBF의 값이 0이기 때문에, 양자화 파라메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부호화 단위의 CBF의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1인 경우에, 해당 부호화 단위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4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소정의 조건에 따라 cuQpDeltaCode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 신택스 구조(240)에서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한 변환 단위를 획득(이때, 변환 단위 신택스 구조에 포함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하거나, 부호화 단위로부터 복수의 변환 단위를 획득한 후에, 변환 단위 신택스 구조(250)로부터 CBF(cbf_luma, cbf_cb, cbf_cr)의 획득 후에, cuQpDeltaCode의 값(및 CBF의 값)을 식별하고, 식별된 cuQPDeltaCode의 값에 기초한 조건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 cu_qp_delta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btt_split_flag[x0][y0]==0),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log2CbWidth + log2CbHeight >= cuQpDeltaArea),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log2CbWidth, 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log2CbWidth > 6 || log2CbHeight > 6),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고(btt_split_flag[x0][y0]==0),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면적(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면적(cuQPDeltaArea)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log2CbWidth + log2CbHeight >= cuQpDeltaArea),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및 너비(log2CbWidth, 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작은 경우(else),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지를 식별하는 이유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2배의 부호화 단위로부터 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되어 획득된 부호화 단위 중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와 동일한 넓이의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게 되고, 이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cuQPDeltaCode의 값이 2인지를 식별하지 않으면, 다시 cuQPDeltaCode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cuQPDeltaCode의 값이 1인 경우,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함을 의미하고, cuQPDeltaCode의 값이 2인 경우,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첫번째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를 통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시그널링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isCuQPDeltaCoded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isCuQPDeltaCoded이 0인 경우에만, 해당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 후에는, 그 값을 1로 설정함으로써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한번만 획득하고, 후속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더 이상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에서 cu_qp_delta_enabled_flag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1인 경우(cu_qp_delta_enabled_flag && sps_dquant_flag), 현재 부호화 단위(x0,y0)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고(else if),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cuQpDeltaArea)의 2배(+1)인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인 경우(btt_split_type[x0][y0]==1)이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log2CbWidth + log2CbHeight)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cuQpDeltaArea)와 동일하고, cuQpdeltaCode의 값이 2가 아닌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QpdeltaCode의 값을 2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isCuQPDeltaCoded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1인 경우, 분할 타입 및 분할 방향에 따라 결정된 분할 형태 모드(SplitMode[x0][y0])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하위뎁스의 부호화 단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들과 관련된 분할 단위 레벨의 부호화 단위 신택스 구조(24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즉, 재귀적으로,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1인 경우, 분할 타입 및 분할 방향에 따라 결정된 분할 형태 모드(SplitMode[x0][y0])가 수평 방향의 터너리 분할에 따른 모드인 경우(SplitMode[x0][y0] == SPLIT_TT_HOR),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하위 뎁스의 3개의 부호화 단위(x0,y0 또는 x0,y1 또는 x0,y2)에 대한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설정된 cuQpDeltaCode 값이 분할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플래그 btt_split_flag의 값이 0인 경우(else),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부호화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4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획득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cbf_all)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0이 아닌 변환 계수를 포함한다면(if(cbf_all)),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에 따라 복수의 서브 블록(변환 단위)으로 분할되는지를 나타내는 isSplit의 값을 설정한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log2CbWidth)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크거나,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log2CbHeight)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 isSplit의 값을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한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 및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log2CbWidth, log2CbHeight)를 기초로 변환 단위의 크기(log2TbWidth, log2TbHeight)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log2CbWidth)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보다 큰 경우, 변환 단위의 너비를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변환 단위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와 동일하게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기준 좌표(x0,y0) 및 변환 단위의 크기(log2TbWidth, log2TbHeight)를 기초로, 변환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이 전달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log2CbWidth, log2CbHeight) 및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6)에 따른 조건에 따라, 추가적으로 변환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큰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추가적인 변환 단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이 전달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변환 단위의 각 성분별로 CBF(cbf_luma, cbf_cb_,cbf_cr)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의 값이 1이고, sps_dquant_flag의 값이 0이거나(!sps_dquant_flag), cuQpDeltaCode의 값이 1이고, isdeltaCoded의 값이 0인 경우, 각 성분별 CBF(cbf_luma, cbf_cb_,cbf_cr)의 값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cbf_luma||cbf_cb||cbf_cr),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cu_qp_delta_enabled의 값이 1이고, cuQpDeltaCode의 값이 2이고, isdeltaCoded의 값이 0인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각 성분별 CBF(cbf_luma, cbf_cb_,cbf_cr)의 값에 관계없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신택스 구조에 의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레벨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때,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를 기초로, 차분 양자화 파라메Code터에 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계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블록(변환 단위)로 분할된다면, 첫번째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를 제외한 나머지 변환 단위에 대해서는,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 변환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변환 단위에서 획득된 cu_qp_delta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보다 작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소정 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크기의 2배이면서 분할에 의하여 생성된 복수의 서브블록(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해당 부호화 단위의 크기보다 작아지는 경우(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되는 경우), 복수의 서브블록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의 변환 단위 레벨의 신택스 구조(250)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CBF의 값에 관계없이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를 제외한 변환 단위 및 첫번째 부호화 단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는, cu_qp_delta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 정보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나머지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는, 첫번째 부호화 단위의 첫번째 변환 단위에서 획득된 cu_qp_delta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는 64(이때, log2를 취한 값은 6임)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는 다양한 2의 승수 중 하나일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도 4d는, 도 4a 내지 4c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의 시그널링을 위한 분할 단위, 부호화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신택스 구조에 따라,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기초로,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26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의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부호화 단위(260)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작거나 같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260)과 동일한 크기의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60)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블록 플래그가 획득되고, 그 값이 1인 경우에만,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하고, 0인 경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하지 않을 수 있다.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27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의 단위의 넓이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부호화 단위(270)의 크기가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보다 크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270)를 분할하여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를 갖는 변환 단위(275)를 포함하는 변환 단위들을 획득하고, 이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275)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7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80)로부터 다양한 분할 타입(예를 들어, 터너리 분할 타입 또는 바이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85)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부호화 단위(28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와 동일하다면, 부호화 단위(280)에 포함된 2개 또는 3개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285)에 포함된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8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부호화 단위(28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부호화 단위(285)는 추가적으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을 수 있고,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변환 단위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90)로부터 터너리 분할 타입에 따라 분할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들 중 작은 크기의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295)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보다 작은 경우, 부호화 단위(290)의 넓이가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의 2배와 동일하다면, 부호화 단위(290)에 포함된 3개의 부호화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295)에 포함된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부호화 단위(29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에 관계없이 부호화 단위(290)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신택스 엘리먼트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부호화 단위(295)는 추가적으로 하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을 수 있고,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로부터 변환 단위가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변환 단위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도 4d를 참조하여, SUCO 기법의 활성화 없이 복호화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SUCO 기법이 활성화되는 경우,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부호화 단위의 위치는 도 4d와 달리 상위 뎁스의 부호화 단위 내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순서 플래그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 간의 부(복)호화 순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정하는 SUCO 기법을 설명하고, SUCO 기법에 기초한 부(복)호화 순서에 따라 우측 주변 블록이 이용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최대 부호화 단위(2950)는 복수 개의 부호화 단위들(1956, 1958, 1960, 1962, 1968, 1970, 1972, 1974, 1980, 1982, 1984, 1986)로 분할된다. 최대 부호화 단위(1950)는 트리 구조의 최상위 노드(1900)에 대응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부호화 단위들(1956, 1958, 1960, 1962, 1968, 1970, 1972, 1974, 1980, 1982, 1984, 1986)은 각각 복수 개의 노드들(1906, 1908, 1910, 1912, 1918, 1920, 1922, 1924, 1930, 1932, 1934, 1936)에 대응된다. 트리 구조에서 부호화 순서를 나타내는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 1914, 1926)는 화살표(1952, 1964, 1976)에 대응되고,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4, 1916, 1928)는 화살표(1954, 1966, 1978)에 대응된다.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네 개의 동일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 중 상단에 위치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순서를 나타낸다. 만약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0일 경우, 부호화는 정방향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1일 경우, 부호화는 역방향으로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네 개의 동일 심도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단에 위치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부호화 순서를 나타낸다. 만약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0일 경우, 부호화는 정방향으로 수행된다. 반대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1일 경우, 부호화는 역방향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4)가 0이므로 부호화 단위들(1968, 1970) 간의 부호화 순서는 정방향인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가 1이므로 부호화 단위들(1972, 1974) 간의 부호화 순서는 역방향인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결정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가 1로 결정될 경우,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2)에 대응되는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04)도 1로 결정될 수 있다. 1비트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의 값이 결정되므로 부호화 순서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실시 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는 현재 부호화 단위보다 심도가 낮은 부호화 단위에 적용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 및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화 단위(1980, 1982, 1984, 1986)에 적용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6)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8)는 부호화 단위들(1972, 1974)에 적용된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6)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1928)는 부호화 순서 플래그(1916)와 동일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와 하단 부호화 순서 플래그의 값을 현재 부호화 단위의 상위 부호화 단위로부터 결정하므로, 부호화 순서 정보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호화 순서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한다.
이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1986)보다 이전에 복호화된 우측의 인접 부호화 단위(1958)에 포함된 샘플들의 데이터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우측 인접 부호화 단위(1958)의 데이터(바람직하게는,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호화 단위의 예측 파라메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복호화 장치(15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효율적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을 통해 명시적으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영상은 최대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동일 크기의 정사각형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분할 방향 정보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분할 타입 정보는 부호화 단위를 바이너리 분할(binary split), 트라이 분할(tri split; 또는 터너리 분할(tenary split)이라 함) 또는 쿼드 분할(quad split) 중 하나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빈 스트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빈 스트링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지 여부,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와 같은 크기를 가진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는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 될 수 있다. 또한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는 더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 될 수 있다. 다만, 영상의 분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대 부호화 단위 및 부호화 단위는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는 영상의 예측을 위한 예측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예측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는 영상의 변환을 위한 변환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변환 단위는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변환 단위와 예측 단위의 모양 및 크기는 서로 관련 없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와 구별될 수도 있지만,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분할은 부호화 단위의 분할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9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현재 블록 및 주변 블록은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복호화 또는 부호화가 진행되는 블록 또는 현재 분할이 진행되고 있는 블록이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 이전에 복원된 블록일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하측, 좌측, 좌상측, 상측, 우상측, 우측, 우하측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블록 형태는 4Nx4N,4Nx2N, 2Nx4N, 4NxN 또는 Nx4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 방향, 너비 및 높이의 비율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정사각형(square) 및 비-정사각형(non-square)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같은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4N 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을 비-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다른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2N, 2Nx4N, 4NxN 또는 Nx4N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비-정사각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이 비-정사각형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 중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을 1:2, 2:1, 1:4, 4:1, 1:8 또는 8:1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및 높이의 길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가 수평 방향인지 수직 방향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높이의 길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이용하는 블록 형태 정보가 어떤 블록 형태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쿼드 분할(quad split)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분할하지 않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256x256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쿼드 분할로 결정할 수 있다. 쿼드 분할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분할 형태 모드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256x256 크기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128x128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4x4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수직으로 분할할지, 수평으로 분할할지,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300)의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부(11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3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310a)를 분할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310b, 310c, 310d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b)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네 개의 부호화 단위(310d)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분할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형태들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비-정사각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소정의 방법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410 또는 460)를 결정하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420a, 420b, 430a, 430b, 430c, 470a, 470b, 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두 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두 개의 부호화 단위(420a, 420b, 또는 470a, 47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을 분할하는 방향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트라이 분할; tri split)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또는 1:4 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길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1:4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홀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분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400)가 수직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 하여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부호화 단위(450)가 수평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5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 하여 부호화 단위(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의 크기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430b 또는 480b)의 크기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들과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결정될 수 있는 부호화 단위는 복수의 종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하여 생성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생성된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하여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달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만 분할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5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제3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간의 분할 전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면 제2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면 제3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및 제3 부호화 단위의 관계는 상술한 특징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결정된 비-정사각형의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적어도 하나의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10)를 분할할 수 있으며, 제2 부호화 단위(51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된 방식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500)가 제1 부호화 단위(50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로 분할된 경우, 제2 부호화 단위(510) 역시 제2 부호화 단위(510)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20a, 520b, 520c, 520d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에서 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비-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는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하나인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530a, 530b, 530c, 530d) 중 하나인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다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다시 분할될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 각각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제3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하여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 가능한 횟수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 형태로 분할(예를 들면 4개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로만 분할(예를 들면 n회만 분할, n>0)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한 상기 제한은 단순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가 다른 부호화 단위(520b, 520d)와 다르게 복호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 이용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현재 부호화 단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샘플 중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 690))에서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가 도 6에서 도시하는 가운데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소정 위치에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예를 들면, 최상단, 최하단, 좌측, 우측,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또는 우측하단 등)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 위치로부터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그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 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고,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를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또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에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너비 또는 높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좌표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좌표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a, ya)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b, yb)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c, yc)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30b)의 좌표인 (xb, yb)를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픽쳐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나아가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b, dyb)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c, dyc)좌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샘플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샘플의 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술적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고,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크기가 다른 부호화 단위(620b)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a, ya)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b, yb) 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c, yc)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a, ya), (xb, yb), (xc, yc)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높이를 yb-ya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높이를 yc-yb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단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와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d, yd)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e, ye) 좌표,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f, yf)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d, yd), (xe, ye), (xf, yf)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너비를 xe-xd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를 xf-xe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너비 또는 높이와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단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하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좌측 상단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샘플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바이 분할; binarysplit)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에서 상술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예를 들면,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일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가운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샘플에 저장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형태 정보 및 상기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된 경우 상기 샘플(640)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블록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위치의 샘플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이 포함된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샘플(640)이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620b)를 복호화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제한을 두기 위해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620b)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의 샘플들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가 정사각형인지 또는 비-정사각형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대한 정보 및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 상에 위치하는 샘플을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을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에 인접하는 샘플 중 하나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및 블록 형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되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8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호화되는 순서를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수평 방향(710c)으로 처리되도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의 처리 순서를 수직 방향(730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된 후 다음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 또는 z 스캔 순서(z scan order)(750e)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분할하는 방법은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각각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로 분할할 수 있고,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는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분할되기 직전의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처리되는 순서를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결정되었으므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는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 및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되는 순서는 수평 방향(710c)에 해당하므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된 후에 우측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부호화 단위들이 각각 분할 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좌측 부호화 단위(810a)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3 부호화 단위들(820a, 820b, 820c, 820d, 820e)이 소정의 순서로 처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또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분할되는 형태 중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중 우측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z-스캔 순서(z-scan order)(830))가 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가 홀수개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가 상기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의 경계에 따라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810a)의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를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들의 경계가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의 너비 또는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부(105)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는 4개의 정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을 참조하면, 블록 형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정사각형임을 나타내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복수개의 비-정사각형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에 포함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의 경계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30 또는 950)를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부(105)를 통해 획득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로 분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는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각각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1014a, 1014b)가 결정된 경우,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됨으로써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 1014a, 1014b)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며 이는 영상 복호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20a 또는 1020b)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 1024a, 1024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하나(예를 들면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상술한 이유에 따라 다른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하단 부호화 단위(1020b))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에는 정사각형 형태의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하지 못한다.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재귀적인 방법을 통해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 각각이 소정의 순서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분할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2a, 1112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4a, 111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 모두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2a, 1122b)를 결정할 수 있고,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4a, 112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 및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 모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a, 1126b)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가 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고,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10a, 1210b, 1220a, 12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만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는 각각에 대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의 분할 과정은 도 13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순서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처리에 대한 특징은 도 7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되는 형태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2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c)를 수직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21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b, 1216d)를 수직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1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22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를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22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c, 1226d)를 수평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2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가 각각 분할되어 정사각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는 서로 다른 형태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후에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에 따르면 결국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된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서로 다른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은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보다 2n (n>0) 배로 분할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n만큼 심도가 증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도가 증가된 부호화 단위를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0: SQUARE′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제3 부호화 단위(130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크기를 2Nx2N이라고 한다면,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를 1/2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302)는 NxN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너비 및 높이를 1/2크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1304)는 N/2xN/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1/4배에 해당한다.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1: NS_VER′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임을 나타내는 ′2: NS_HOR′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사각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02)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를 결정하거나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4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0, 1302, 1304)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결정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가 부호화 단위의 가장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1/4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긴 변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1400)와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심도는 D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4개의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로 분할한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 또는 142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 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한 변의 길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이므로,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심도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 D보다 한 심도 하위의 심도인 D+1이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의 긴 변의 길이 및 정사각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하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PID)를 결정함에 있어서,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b, 1414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순서에 따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즉 인덱스의 값의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의 불연속성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의 값에 기초하여 특정 분할 형태로 분할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1412a, 1412b)를 결정하거나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인덱스(P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ID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좌측 상단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 각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인덱스들 중 가운데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화 단위(1414b)를,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생성된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균일하게 인덱스가 증가하다가 증가너비가이 달라지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 부호화 단위)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PID)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덱스, 결정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 또는 위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인덱스, 부호화 단위의 위치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이 시작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기준 데이터 단위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데이터 단위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는 MxN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2의 승수로 표현되는 정수일 수 있다. 즉, 기준 데이터 단위는 정사각형 또는 비-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후에 정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각각의 기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 단위의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quad-tree)구조를 이용한 분할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기준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0)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sequence), 픽쳐(picture), 슬라이스(slice), 슬라이스 세그먼트(slice segment), 최대부호화단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획득부(105)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3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고, 비-정사각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7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는 일부 데이터 단위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획득부(105)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단위 등) 중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슬라이스 이하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최대부호화 단위 등 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만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데이터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대신 상기 인덱스만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덱스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인덱스 획득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단위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분할하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번 분할한 크기일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 번 분할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1600)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이란, 영상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는 특정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순서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마다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Z 스캔(Z-scan), N 스캔(N-scan), 우상향 대각 스캔(up-right diagonal scan), 수평적 스캔(horizontal scan), 수직적 스캔(vertical scan) 등 다양한 순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결정될 수 있는 순서는 상기 스캔 순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의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획득부(105)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등의 데이터 단위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획득부(105)는 상기 여러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정수배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1600)에 포함되는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의 가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 가로크기의 4배, 세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의 세로크기의 4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픽쳐(16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은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 또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특정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획득부(105)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프로세싱 블록 등의 데이터 단위로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의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를 나타내므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정수개의 프로세싱 블록을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 단위 마다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부(105)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기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따라 픽쳐(16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1604, 1614)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싱 블록마다 획득되는 경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160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604)가 래스터 스캔(raster scan)순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60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프로세싱 블록(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614)가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61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영상을 복호화 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 하는 방법은 영상을 복호화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와 관련된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에 포함된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기준 부호화 단위, 프로세싱 블록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6)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으로서,
    현재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의 소정 배수와 같으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ternary) 분할 타입이라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바이너리(binary)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지시하고,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은 비트스트림의 PPS(Picture Parameter Set)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시그널링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활성화함을 나타내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 또는 너비에 log2를 취한 값이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log2를 취한 값보다 크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제1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이 상기 변환 단위의 최대 크기에 log2를 취한 값보다 작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제2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uQpDeltaCode의 값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변환 단위의 부호화 블록 플래그의 값을 식별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의 소정 배수와 같으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이라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에 대한 시그널링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활성화함을 나타내고,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상기 소정의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기법이 이용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 분할 타입이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log2를 취한 값과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높이에 log2를 취한 값의 합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에 log2를 취한 값에 1을 더한 값과 같은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제1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cuQpDeltaCode의 값을 식별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4. 현재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최대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정보가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의 소정 배수와 같으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ternary) 분할 타입이라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복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로부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복원 블록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정보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에 바이너리(binary)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지시하고,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은 비트스트림의 PPS(Picture Parameter Set)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되는, 영상 복호화 장치.
  5.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현재 영상에 포함된 최대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는 단계;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제 1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의 소정 배수와 같으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ternary) 분할 타입이라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상기 제 1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binary)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지시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6. 현재 영상에 포함된 최대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계수에 대한 양자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 및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양자화 파라메터 및 예측 양자화 파라메터를 기초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획득하고,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제 1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이 상기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 시그널링 단위의 넓이를 나타내는 값의 소정 배수와 같으면서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타입이 터너리(ternary) 분할 타입이라면,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변환 단위 중 첫번째로 부호화되는 변환 단위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에 대한 차분 양자화 파라메터를 나타내는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부호화 단위의 레지듀얼 정보, 상기 제 1 신택스 엘리먼트 및 상기 제 2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binary) 분할 타입 및 터너리 분할 타입 중 하나를 지시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KR1020220078348A 2019-06-27 2022-06-27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46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67375P 2019-06-27 2019-06-27
US62/867,375 2019-06-27
US201962904108P 2019-09-23 2019-09-23
US62/904,108 2019-09-23
KR1020210025135A KR102416440B1 (ko) 2019-06-27 2021-02-24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135A Division KR102416440B1 (ko) 2019-06-27 2021-02-24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847A KR20220092847A (ko) 2022-07-04
KR102546694B1 true KR102546694B1 (ko) 2023-06-22

Family

ID=740613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20A KR102222480B1 (ko) 2019-06-27 2020-06-26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25135A KR102416440B1 (ko) 2019-06-27 2021-02-24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20078348A KR102546694B1 (ko) 2019-06-27 2022-06-27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20A KR102222480B1 (ko) 2019-06-27 2020-06-26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10025135A KR102416440B1 (ko) 2019-06-27 2021-02-24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078422A1 (ko)
EP (1) EP3993416A4 (ko)
KR (3) KR102222480B1 (ko)
CN (1) CN114026856A (ko)
BR (1) BR112021024064A2 (ko)
TW (1) TW202107896A (ko)
WO (1) WO20202630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01B1 (ko) * 2013-03-07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블록 사이즈 코딩 정보를 이용한 관심영역 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6048183A1 (en) * 2014-09-23 2016-03-31 Intel Corporation Intra-prediction complexity reduction using a reduced number of angular modes and subsequent refinement
US10448011B2 (en) * 2016-03-18 2019-10-15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intra prediction in image and video processing
WO2017219342A1 (en) * 2016-06-24 2017-12-28 Mediatek Inc. Methods of signaling quantization parameter for quad-tree plus binary tree structure
KR101801255B1 (ko) * 2017-02-07 2017-11-2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쿼드트리 구조 기반의 적응적 양자화 파라미터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9050300A1 (ko) * 2017-09-06 2019-03-1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효과적인 차분양자화 파라미터 전송 기반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847A (ko) 2022-07-04
TW202107896A (zh) 2021-02-16
CN114026856A (zh) 2022-02-08
US20220078422A1 (en) 2022-03-10
KR102222480B1 (ko) 2021-03-04
KR20210002040A (ko) 2021-01-06
EP3993416A4 (en) 2023-03-15
BR112021024064A2 (pt) 2022-04-26
EP3993416A1 (en) 2022-05-04
KR20210023954A (ko) 2021-03-04
KR102416440B1 (ko) 2022-07-05
WO2020263022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765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25031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288240B1 (ko)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136149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386291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55466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618499B1 (ko) 하드웨어 설계를 고려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KR102539068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46694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37931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decoding
KR20240034887A (ko)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665187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037383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2024069593A (ja) 映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映像復号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40068791A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