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610B1 -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6610B1 KR102546610B1 KR1020210029235A KR20210029235A KR102546610B1 KR 102546610 B1 KR102546610 B1 KR 102546610B1 KR 1020210029235 A KR1020210029235 A KR 1020210029235A KR 20210029235 A KR20210029235 A KR 20210029235A KR 102546610 B1 KR102546610 B1 KR 102546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ercise
- exercise device
- detection sensor
- handle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47—Visualisation of executed mov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로 이용하는 운동기구;와, 상기 운동기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상기 운동기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운동기구를 바닥에 대해 부상한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현가기구;와,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운동기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롤러에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롤러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자세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의 포텐시오미터에서 발생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각각의 와이어의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운동기구의 기울기 벡터를 계산하여 이를 컴퓨팅 장치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chine-linked input device, which includes an exercise machine used by a user in a sitting or standing state; at least three or more posts surrounding the exercise machine; and a plurality of posts connecting the posts and the exercise machine. A suspension mechanism including a spring member of which the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exercise device in a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and, one end fixed to the post while the other e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exercise device. A plurality of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s having a wire wound around a fixed roller and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the potentiometer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calculating the length of each wire from the electrical signals, and calculating the gradient vector of the exercis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an arithmetic unit that outputs this as an input signal of the comput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상에 현시된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이용하는 운동기구의 3차원 움직임을 그대로 디스플레이상의 객체의 움직임으로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displayed on a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pu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on a display as it is in a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an exercise machine used by a user while sitting or standing.
PC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 등에서 디스플레이상에 현시된 특정 개체의 움직임, 즉 캐릭터의 상하좌우 걷기나 뛰기, 점프, 구르기 등의 다양한 동작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레이싱 휠과 페달 등의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된다. 다양한 종류의 입력 디바이스가 개발되는 것은 사용자가 캐릭터의 동작 제어를 좀더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PC games or video games, the movement of a specific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that is, various actions such as walking, running, jumping, and rolling of a character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rough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 mouse, joystick, racing wheel, and pedals. controlled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are being developed so that users can mor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control motions of characters.
다른 한편으로, 게임의 몰입감을 향상하기 위해 그래픽의 해상도는 날로 상향되고 있으며, 또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하드웨어도 고사양으로 개발되고 특정 물리 현상을 최대한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물리 엔진도 놀라울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연장선에 정교한 시뮬레이션이나 가상현실이 있으며, 이들은 실제에 매우 유사한 체험 환경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solution of graphics is increasing day by day to improve the immersion of the game, and to support this, hardware is also developed with high specifications, and the physics engine to realize certain physical phenomena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is also developing surprisingly. As an extension of this trend, there are sophisticat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which provide an experience environment very similar to real life.
시뮬레이션이나 가상현실은 그 구현도에 있어서 다양한 수준이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제공된 환경으로부터 사용자가 실제에 유사한 체험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특별한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고글처럼 생긴 HMD(Head mounted Display)를 출력 디바이스로 사용하는 경우에, 글러브 타입의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스쳐나 버튼 등으로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다.Simulation or virtual reality has various levels of implementation, but in common, the purpose is to allow users to feel similar experiences in the real world from the provided environment. Accordingly, a need arises for a special input device that meets this purpose. For example, when a head mounted display (HMD) shaped like goggles is used as an output device, a user can manipulate a character with gestures or buttons by using a glove-type input device.
이러한 입력 디바이스의 개발에 있어서, 스포츠나 레저에 관련된 컨텐츠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최대한 현실의 스포츠나 레저처럼 활용하는 것이 몰입감과 운동효과 등의 여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키 관련 컨텐츠라면,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몸 전체를 사용하면서 실제 스키를 타는 것처럼 행동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그대로 디스플레이상의 캐릭터(객체)의 동작 제어로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development of such an input device, it is preferable in various aspects such as immersion and exercise effect that the user utilizes his or her body as much as possible in real sports or leisure in sports or leisure-related cont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ki-related content, the user behaves as if he or she is actually skiing while using the whole body in a standing state, and the user's movement is reflected as motion control of a character (object) on the display.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운동기구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상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 object on a display in conjunction with an exercise machin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이용하는 운동기구의 3차원 움직임 자체를 디스플레이상에 현시된 객체의 움직임으로서 제어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device that controls a three-dimensional motion of an exercise machine used by a user while sitting or standing as a motion of an object displayed on a display.
본 발명은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로 이용하는 운동기구;와, 상기 운동기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상기 운동기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운동기구를 바닥에 대해 부상한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현가기구;와,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운동기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롤러에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롤러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자세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의 포텐시오미터에서 발생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각각의 와이어의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운동기구의 기울기 벡터를 계산하여 이를 컴퓨팅 장치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machine-linked input device, which includes an exercise machine used by a user in a sitting or standing state; at least three or more posts surrounding the exercise machine; and a plurality of posts connecting the posts and the exercise machine. A suspension mechanism including a spring member, wherein the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exercise device in a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and, one end is fixed to the post while the other end is rotatably fixed with respect to the exercise device. A plurality of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s having a wire wound around the roller and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roller;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the potentiometer of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unit, calculating the length of each wire from the electrical signals, and calculating the gradient vector of the exercis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an arithmetic unit that outputs this as an input signal of the computing device.
여기서, 상기 롤러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토 텐셔너가 구비된다.Here, the roller is provided with an auto tensioner that maintains a constant tension of the wir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운동기구에는 3축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상기 연산부로 입력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상기 기울기 벡터의 크기로 하여 출력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with a 3-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is input to the calculation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an output value of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It can be output as the magnitude of the gradient vecto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member is a coil spring, and the wire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il spring.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 및 자세감지 센서부의 양단은 볼 조인트 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볼 조인트 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re fixed to a ball joint member, and the ball joint member can freely rotate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pring member so that the coil spring and the wire do not contact each other. .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에 대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저면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And, a bottom surface spring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ercis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거나 선 상태로 이용하는 운동기구;와, 상기 운동기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상기 운동기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운동기구를 바닥에 대해 부상한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현가기구;와, 상기 운동기구에 장착된 자세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에서 발생한 상기 운동기구의 수평도에 관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상기 운동기구의 기울기 및 방향을 계산하여 이를 컴퓨팅 장치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를 제공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ercise device used by a user in a sitting or standing state; at least three or more posts surrounding the exercise device; and a plurality of spring members connecting the post and the exercise device. and a suspension mechanism in which the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exercise device in a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and a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exercise device; And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the horizontality of the exercise device generated by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calculates the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exercise device from the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it as an input signal to a computing device. Provided is an input device linked to exercise equipment.
여기서,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Here,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may be a gyro sensor.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의 핸들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트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Also, a detachable tray may be provided at the handle of the exercise device.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의 핸들과 좌석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nd,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seat of the exercise equipment is adjustable.
그리고, 상기 좌석의 양옆에는 암 레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과 암 레스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rm res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and at least one of the handle and the arm rest can be rotated up and down.
또한, 상기 핸들과 좌석이 몸체에 대해 슬라이딩을 하는 접촉면에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과 암 레스트의 회동동작이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에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brake means may be provided on a contact surface on which the handle and the seat slide with respect to the body,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andle and the armres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the brake means.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에 대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저면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And, a bottom surface spring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ercise devic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체중이동과 움직임 그대로를 디스플레이상에 현시된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입력신호로서 만들어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객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exercise equipment-linked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generates the user's weight movement and movement as input signal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control the object using his/her body.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체 전체를 움직여야 디스플레이상의 객체를 제어할 수 있기에, 운동활동에 재미를 느끼고 몰입감을 가지게 됨으로써 운동효과가 향상되고 꾸준한 운동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고 강화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control objects on the display only when the user moves the entire body, the exercise effect is improved and steady exercise is induced by having fun and immersion in the exercise activ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of great help in improving and strengthening the user's health condition through exercise.
그리고, 본 발명은 운동구의 핸들과 좌석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조정하고, 핸들에 장착된 트레이에 키보드나 마우스, 각종 게임 컨트롤러를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가기구에 매달려 적당한 탄력으로 지지되는 운동기구를 게이밍 체어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lose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seat of the exercise equipment, and place and use a keyboard, mouse, or various game controllers on a tray mounted on the hand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ercise device suspended from a suspension mechanism and supported with appropriate elasticity can be utilized like a gaming ch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상세히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의 연산부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운동기구에 저면 스프링이 구비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운동기구의 핸들과 좌석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ports equipment-linke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enlarged view of part "A"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part "A" in FIG. 2;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unction of the calculation unit of the exercise equipment-linked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ottom spring is provided in an exercise device.
6 is a view showing an exercise equipment-linked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andle and a seat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ow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xercise equipment-linked
본 발명의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10)는, 크게 나누어 운동기구(100)와 현가기구(200), 그리고 복수의 자세감지 센서부(300)와 연산부(400)를 포함한다.The exercise machine-linked
운동기구(100)는 실내에 놓고 운동을 할 수 있는 각종 기구를 말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가 안장에 앉아서 핸들을 잡고 페달을 돌리는 자전거가 운동기구(100)의 일례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100)로는 사용자가 앉아서 운동을 하는 타입의 오토바이, 제트스키, 스노우모빌, 승마기구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서서 운동을 하는 타입의 스키나 스노우보드, 스케이트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100)가 적용될 수 있다.The
운동기구(100)는 현가기구(200)에 매달려 바닥에 대해 떠 있는 부상상태로서 설치된다. 현가기구(200)는 운동기구(100)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220)와, 포스트(220)와 운동기구(100)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한다. 운동기구(100)를 3차원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포스트(220)와 스프링 부재(230)는 적어도 3개 이상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도 1에서는 각 4개의 포스트(220)와 스프링 부재(230)가 운동기구(100) 둘레에 균등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스트(220)를 지탱하는 프레임(2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운동기구(100)는 프레임(210)과 포스트(220)가 형성하는 공간안에 놓여진다.The
스프링 부재(230)는 포스트(220)와 운동기구(100)의 일 지점을 연결하며, 운동기구(100)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230)에 의해 탄력적으로 매달린 상태에 있다. 즉, 현가기구(200)는 스프링 부재(230)를 통해 운동기구(100)를 바닥에 떠 있는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운동기구(100)는 현가기구(200)에 매달린 상태이므로, 운동기구(100)에 탑승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운동기구(100)는 힘의 방향에 따라 매우 자유롭게 자세가 바뀐다. 예를 들어, 운동기구(100)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좌측으로 밀리면서 우측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된다. 이러한 운동기구(100)의 자세 변화는 마치 자건거를 타고 우측 커브를 달릴 때의 자세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운동기구(100)의 움직임을 디스플레이(500)상의 객체의 움직임으로 제어하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자세감지 센서부(300)와 연산부(400)를 구비한다.The
자세감지 센서부(300)는 운동기구(100)의 자세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에 "A"로 표시된 스프링 부재(230) 부분을 상세히 보여준다. 자세감지 센서부(300)는 포스트(220)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단은 운동기구(10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롤러(320)에 권취되는 와이어(310)와, 롤러(32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포텐시오미터(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롤러(320)에는 와이어(3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토 텐셔너(3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ture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와이어(310)는 포스트(220)와 운동기구(100)의 각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롤러(320)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특히, 롤러(320)에 오토 텐셔너(340)가 구비됨으로써 와이어(3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로써 와이어(310)는 적당하게 팽팽히 당겨진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310)는 포스트(220)와 운동기구(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장력에 의한 신장율이 작으면서도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는 재질로 선정하는 것이 좋다.The
포텐시오미터(330)는 롤러(320)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전기소자를 의미한다. 롤러(320)의 직경은 정해진 상수이므로, 롤러(320)의 회전량을 알게되면 와이어(310)의 길이(또는 길이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포텐시오미터(330)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연산부(400)로 입력된다.The
연산부(400)는 포텐시오미터(330)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신호로부터 각각의 와이어(310)의 길이를 산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10)의 연산부(400)의 기능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자세감지 센서부(300)는 포스트(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3개 이상으로 구비된다. 포스트(220)에 고정된 와이어(310)의 일단은 고정점에 해당하고, 운동기구(100)에 연결된 타단은 이동점에 해당하는데, 3차원 공간상에서 3개 이상의 이동점이 모두 포함되는 평면은 하나로 정의된다. 따라서, 3개 이상으로 측정된 와이어(310)의 길이로부터 운동기구(100)의 자세를 대표하는 하나의 평면이 결정될 수 있다. The calculating
운동기구(100)에 하중이 전혀 가해지지 않은 상태, 즉 사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의 평면을 기준이 되는 수평면으로 하면, 어떤 일 시점에서 와이어(310)의 길이로부터 계산된 평면은 수평면 대비 어떤 방향을 향하는 기울기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기울기 벡터는 운동기구(100)의 평면 위에 있는 3차원 벡터로서, 기울기 벡터는 결국 운동기구(100)의 자세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If the plane in which no load is applied to the
연산부(400)에서 산출한 운동기구(100)의 기울기 벡터는 사용자가 운동기구(100)에 어떤 방향으로 하중을 줬는지를 나타낸다. 이를 컴퓨팅 장치(6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500)에 나타난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예를 들어 어떤 길을 주행하는 자전거를 운전하는 사용자의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라면, 이러한 운동기구(100)의 기울기 벡터를 디스플레이(500)상의 객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산부(400)는 계산된 운동기구(100)의 기울기 벡터를 컴퓨팅 장치(600)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구(100)를 다루는 동작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500)에 나타난 객체를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 inclination vector of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500)는 단순히 PC 모니터나 TV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VR 고글과 같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디스플레이(500)에 포함된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는 1인칭 게임에서 특히 탁월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10)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접목되면 그 상승효과 기대된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착용하고 운동기구(100)에 탑승하여 현실적인 동작을 취함으로써 생생하게 가상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에 컴퓨팅 장치(600)까지 탑재되어 있다면,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와 통신,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을 하여 제어신호와 영상신호를 주고받는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도 4를 보면, 운동기구(100)에는 3축 가속도 센서(350)가 구비되고, 3축 가속도 센서(350)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연산부(400)로 입력된다. 3축 가속도 센서(350)는 운동기구(100)의 자세 변화시에 나타나는 가속도를 측정한다. 이 가속도 측정값은 연산부(400)에서 기울기 벡터의 크기로서 통합된다. 즉,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출력값으로부터 계산된 기울기 벡터는 운동기구(100) 평면의 방향을 특정하는데, 여기에 3축 가속도 센서(350)의 출력값을 기울기 벡터의 크기로 결합함으로써 얼마나 빠르게 자세가 변화했는지에 대한 정보도 컴퓨팅 장치(600)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정교하게 디스플레이(500)에 나타난 객체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And, referring to FIG. 4 , the
그리고, 도 2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스프링 부재(230)는 코일 스프링(23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와이어(310)는 코일 스프링(23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32)인 스프링 부재(230)의 내부를 이용하여 와이어(310)를 연결함에 따라, 운동기구(100)와 현가기구(200), 그리고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연결구조가 외관상으로 잘 정돈된다. 다만, 와이어(310)가 코일 스프링(232) 내부를 지나가기에 코일 스프링(232)의 변형이 순간적으로 크게 일어나면 코일 스프링(232)과 와이어(310)가 서로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접촉은 와이어(310)의 길이변화를 감지함에 있어 오류를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코일 스프링(232) 및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양단을 볼 조인트 부재(360)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볼 조인트 부재(360)는 스프링 부재(23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볼 조인트 부재(360)가 외력에 반응하여 자유 회동함에 코일 스프링(232)과 와이어(310)가 서로 접촉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여기서, 도 3은 코일 스프링(232)이 포스트(220)에 연결된 일단을 도시한 것이며, 도시되지 않은 코일 스프링(232)의 타단에도 동일한 구조의 볼 조인트 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And, returning to FIG. 2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도 5는 운동기구(100)의 아래에 저면 스프링(240)이 구비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저면 스프링(240)은 운동기구(100)를 바닥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저면 스프링(240)에 의해 운동기구(100)의 출렁거림이 줄어들어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과도반응이 억제되고, 또한 운동기구(100)가 본래의 자세로 빠르게 돌아감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500)상의 객체를 제어하는 반응성이 향상된다.And,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자세감지 센서부(300)의 구성은 단순화하면서, 그 대신에 운동기구(100)를 좀더 게이밍 환경에 적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FIGS.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ercise equipment-link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운동기구(100)에 대한 현가기구(200)의 구성은 등동하며, 현가기구(200)는 포스트(220)에 연결된 스프링 부재(230)과, 여기에 추가적으로 저면 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저면 스프링(240)이 없는 완전자율형의 구조로서 운동기구(100)를 지지하거나, 또는 저면 스프링(240)을 구비하여 수평방향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구조로서 운동기구(100)를 지지할 수 있다. 6 and 7,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실시형태 대비 운동기구(100) 및 자세감지 센서부(300)에 주된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은 운동기구(1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Sinc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and 7 has a main difference in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자세감지 센서부(300)는 운동기구(100)의 수평도, 즉 기울기 및 그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370)로 구성된다. 운동기구(100)의 수평자세의 변화를 자이로 센서(370)로 감지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370)의 측정값이 연산부(400)로 입력되어 기울기 벡터로 처리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기구(100)를 다루는 동작이 디스플레이(500)에 나타난 객체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and 7 , the posture
자이로 센서(300)는 운동기구(100)에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것은 물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자이로 센서(300)를 내장한 기기, 예를 들어 전자식 수준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기가 본 발명에 구비되는 자이로 센서(30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300)를 내장한 기기는 운동기구(100)에 대해 탈부착될 수 있으며, 연산부(400)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내장된 자이로 센서(300)의 출력값을 전송할 수 있다.The
도 6을 참조하면, 운동기구(100)에는 핸들(120)에 트레이(122)가 구비되어 있으며, 트레이(122)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핸들(120)에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운동기구의 핸들(120)과 좌석(130)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몸체(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들(120)과 좌석(1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120)에 구비된 트레이(122)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비디오 게임기의 각종 컨트롤러(일반 컨트롤러는 물론 스티어링 휠과 같은 전용 컨트롤러를 모두 포함)를 거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사용자는 체감형 내지 반응형의 게임을 할 때에는, 운동기구(100)의 핸들(120)과 좌석(130) 사이의 거리를 표준적인 상태에 놓고, 운동기구(100)를 사용하면서 그 자세변화를 가지고서 디스플레이(500)에 나타난 객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체감형 게임 이외의 게임(운동기구의 자세변화를 제어입력값으로 지원하지 않는 게임)을 할 때에는, 핸들(120)과 좌석(130) 사이의 거리를 좁혀서 편하게 앉은 상태에서 트레이(122)가 사용자의 손에 닿을 수 있도록 조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트레이(122)에 거치된 키보드나 마우스, 게임 컨트롤러를 편하게 앉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운동기구(100)를 일종의 게이밍 체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운동기구(100)는 현가기구(200)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적당한 탄력으로 지지되는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user plays a tangible or responsive game,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좌석(130)의 양옆에는 암 레스트(1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핸들(120)과 좌석(130) 사이의 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핸들(120)과 암 레스트(132)는 사용자를 둘러싸는 일종의 세이프가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석(130)에서 급격한 행동을 취하더라도 떨어지는 위험 없이 안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In addition, arm rests 13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그리고, 핸들(120)과 암 레스트(132)는 상하로 회동할 수 있으며, 위로 핸들(120)이나 암 레스트(132)를 들어올려 출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운동기구(100)에서 내리거나 다시 탑승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핸들(120)과 암 레스트(132)가 상하로 회동가능한 구조인 경우에는, 핸들(120)과 좌석(13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레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즉, 핸들(120)과 좌석(130)이 몸체(110)에 대해 슬라이딩을 하는 접촉면에 브레이크 수단(140)을 구비하고, 핸들(120)과 암 레스트(132)의 회동동작을 브레이크 수단(140)의 작동에 연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120)이나 암 레스트(132)를 들어올리면 브레이크 수단(140)이 해제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핸들(120)과 좌석(13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운동기구(100)에 쉽게 탑승하거나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브레이크 수단(140)은 일종의 편심 캠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편심 캠의 형태를 가진 브레이크 수단(140)은 핸들(120)이나 암 레스트(132)의 회동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는데, 특히 핸들(120)이나 암 레스트(132)를 들어올렸을 때 편심 캠의 노우즈(nose, 중심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가 접촉면을 압박함으로써 제동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
100: 운동기구 110: 몸체
120: 핸들 122: 트레이
130: 좌석 132: 암 레스트
140: 브레이크 수단 200: 현가기구
210: 프레임 220: 포스트
230: 스프링 부재 232: 코일 스프링
240: 저면 스프링 300: 자세감지 센서부
310: 와이어 320: 롤러
330: 포텐시오미터 340: 오토 텐셔너
350: 3축 가속도 센서 360: 볼 조인트 부재
370: 자이로 센서 400: 연산부
500: 디스플레이 600: 컴퓨팅 장치10: exercise equipment interlocking input device
100: exercise equipment 110: body
120: handle 122: tray
130: seat 132: arm rest
140: brake means 200: suspension mechanism
210: frame 220: post
230: spring member 232: coil spring
240: bottom spring 300: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310: wire 320: roller
330: potentiometer 340: auto tensioner
350: 3-axis acceleration sensor 360: ball joint member
370: gyro sensor 400: calculation unit
500: display 600: computing device
Claims (13)
상기 운동기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상기 운동기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운동기구를 바닥에 대해 부상한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현가기구;
상기 포스트에 일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단은 상기 운동기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롤러에 권취되는 와이어와, 상기 롤러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자세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의 포텐시오미터에서 발생한 복수의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각각의 와이어의 길이를 산출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의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운동기구의 기울기 벡터를 계산하여 이를 컴퓨팅 장치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Exercise equipment that the user uses while sitting or standing;
A suspension comprising at least three or more posts surrounding the exercise device and a plurality of spring members connecting the posts and the exercise device, wherein the spring members elastically support the exercise device in a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machine;
a plurality of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post and the other end having a wire wound around a roller fix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exercise device, and a potentiometer for detecting a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and
It receives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the potentiometer of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calculates the length of each wire from the electrical signals, and calculates a gradient vector of the exercis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wires. a calculation unit outputting an input signal of a computing device;
Exercise equipment interlocking type input device comprising a.
상기 롤러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오토 텐셔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1,
The roller is provided with an auto tension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of the wire.
상기 운동기구에는 3축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상기 연산부로 입력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을 상기 기울기 벡터의 크기로 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1,
Th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with a 3-axis acceleration sensor,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3-axis acceleration sensor is input to the calculation unit,
The calculating unit outputs the output value o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s the magnitude of the gradient vector.
상기 스프링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member is a coil spring,
The wire is an exercise mechanism-linke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il spring.
상기 코일 스프링 및 자세감지 센서부의 양단은 볼 조인트 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볼 조인트 부재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와이어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4,
Both ends of the coil spring and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are fixed to the ball joint member,
The ball joint member is an exercise mechanism-linke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reely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spring member so that the coil spring and the wire do not contact each other.
상기 운동기구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에 대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저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1,
An exercise device-linke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spring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상기 운동기구를 둘러싸는 적어도 3개 이상의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상기 운동기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운동기구를 바닥에 대해 부상한 상태로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현가기구;
상기 운동기구에 장착된 자세감지 센서부; 및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에서 발생한 상기 운동기구의 수평도에 관한 전기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기신호로부터 상기 운동기구의 기울기 및 방향을 계산하여 이를 컴퓨팅 장치의 입력신호로서 출력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감지 센서부는, 상기 운동기구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자이로 센서를 내장한 기기로서, 상기 자이로 센서를 내장한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내장된 자이로 센서의 출력값을 상기 연산부에 전송하며,
상기 운동기구의 핸들과 좌석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하고, 상기 좌석의 양옆에는 암 레스트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핸들과 암 레스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핸들과 좌석이 몸체에 대해 슬라이딩을 하는 접촉면에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핸들과 암 레스트의 회동동작이 상기 브레이크 수단의 작동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Exercise equipment that the user uses while sitting or standing;
Suspension including at least three or more posts surrounding the exercise device and a plurality of spring members connecting the posts and the exercise device, wherein the spring member elastically supports the exercise device in a flo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loor machine;
a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mounted on the exercise device; and
a calculation unit that receives an electric signal related to the horizontality of the exercise machine generated by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calculates the inclination and direction of the exercise machine from the electric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as an input signal to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The posture detection sensor unit is a device having a built-in gyro sensor that is detachable from the exercise equipment, and the device having the built-in gyro sensor transmits an output value of the built-in gyro sensor to the calculation unit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handle and the seat of the exercise machine is adjustable, arm rest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t, while at least one of the handle and the arm rest is rotatable up and down, and the handle and the seat are relative to the body An input device interlocked with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 brake means is provided on a sliding contact surface, and a rotational motion of the handle and the arm rest interlocks with an operation of the brake means.
상기 운동기구의 핸들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7,
An exercise equipment interlocking type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detachable tray is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exercise equipment.
상기 운동기구의 저면에는 상기 바닥에 대해 탄력적으로 연결된 저면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According to claim 7,
An exercise device-linked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spring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l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235A KR102546610B1 (en) | 2021-03-05 | 2021-03-05 |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9235A KR102546610B1 (en) | 2021-03-05 | 2021-03-05 |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439A KR20220125439A (en) | 2022-09-14 |
KR102546610B1 true KR102546610B1 (en) | 2023-06-21 |
Family
ID=8327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9235A KR102546610B1 (en) | 2021-03-05 | 2021-03-05 |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6610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489B1 (en) * | 2020-03-03 | 2020-10-23 | 김동수 | Bicycle exercis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30521A1 (en) * | 2000-10-06 | 2002-04-18 | Toshiyuki Hasegawa | Training machine for function reinforcement |
KR101662635B1 (en) * | 2013-11-19 | 2016-10-06 | 정진화 | a skateboard with sensors and skateboard simulation system using thereof |
-
2021
- 2021-03-05 KR KR1020210029235A patent/KR10254661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489B1 (en) * | 2020-03-03 | 2020-10-23 | 김동수 | Bicycle exercis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5439A (en) | 2022-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12602B2 (en) | Variable-resistance exercise machine with network communication for smart device control and interactive software applications | |
US10549153B2 (en) | Virtual reality and mixed reality enhanced elliptical exercise trainer | |
ES2532835T3 (en) | Game controller | |
US20130130798A1 (en) | Video game controller | |
US11684819B2 (en) | Indoor bicycle training device | |
KR101545518B1 (en) | Bicycle for interactive game | |
US106883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ange of motion analysis and balance training while exercising | |
JP2006167094A (en) | Compound athletic equipment | |
US20130316827A1 (en) |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 |
KR20220051254A (en) | indoor bike training device | |
US2020039810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ange of motion analysis and balance training while exercising | |
WO2017192628A1 (en) | Variable-resistance exercise machine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or smart device control and interactive software applications | |
US11191996B2 (en) | Body joystick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reality or mixed reality machines or software applications | |
KR102358011B1 (en) | Operation Pedal and Method of Simulation Device | |
KR20160021009A (en) | Balance board and system using the same | |
US2020017975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ange of motion analysis and balance training while exercising | |
KR102546610B1 (en) | Input device interconnected with exercise equipment | |
US10345896B2 (en) | Alignment sensor system and alignment sensor system method for a movement instrument | |
KR101364594B1 (en) | Tangible Snowboard Apparatus based on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motion of user and Motion Platform | |
US20220096897A1 (en) | Body joystick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reality or mixed reality machines or software applications | |
WO2014016781A1 (en) | A video game controller | |
TW200840608A (en) | Interactive-type balance training device | |
WO2024142418A1 (en) | Balance board and balance board system | |
WO2012007936A1 (en) | A video game controller | |
JP7300162B2 (en) | Operation device with center of gravity measurement function and oper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