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013B1 -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013B1
KR102546013B1 KR1020180096734A KR20180096734A KR102546013B1 KR 102546013 B1 KR102546013 B1 KR 102546013B1 KR 1020180096734 A KR1020180096734 A KR 1020180096734A KR 20180096734 A KR20180096734 A KR 20180096734A KR 102546013 B1 KR102546013 B1 KR 10254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conduct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put terminal
leak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228A (ko
Inventor
이진성
Original Assignee
(주)비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테크 filed Critical (주)비젼테크
Priority to KR102018009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013B1/ko
Priority to EP18207963.2A priority patent/EP3614499B1/en
Priority to PH12019000316A priority patent/PH12019000316A1/en
Publication of KR2020002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를 이용해 송전 선로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감전 위험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Device for limiting leakage current of power electric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누설 전류 제한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전은 송전선로 등으로부터 누설되는 전류가 인체를 통하여 접지면인 지면으로 일정치 이상 흐를 때 인체가 반응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15mA 이상이면 경련을 일으키며, 50mA 이상이 흐르면 사망에 이르게 된다.
주된 사망 원인은 심장을 통해 흐르는 전류가 신경을 손상시킴에 따라 심장이 작동을 멈추는 심장마비이다. 감전의 위험은 통전 당시 인체의 저항에 관련되는데 이는 피부의 상태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인체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누설 전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에서 평판 형상의 두 도전체간의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작아지는 것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선출원 기술에서의 도전체간의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누설전류가 작아지는 현상을 이용해 송전 선로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
본 발명은 송전 선로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낮출 수 있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에 연결되는 제1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에 연결되는 제2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에 연결되는 제3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에 연결되는 제1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에 연결되는 제2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에 연결되는 제3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제1입력단자와 제1출력단자간에 연결되는 제1도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제2입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제2도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제3입력단자와 제3출력단자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제3도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를 외부에서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 및 제3도전체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가 제2입력단자와 제3입력단자간에 연결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오류 체크부가 전류 제한용 저항과; 제2입력단자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알리고, 제2입력단자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지 않아 선로 연결이 정상임을 알리는 LE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를 이용해 송전 선로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감전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선로 연결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100)는 입력측 송전 선로(도면 도시 생략)와 출력측 송전 선로(도면 도시 생략) 간에 연결되어, 송전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과 중성선(N)간 단면적비 차이를 통해 누설 전류를 제한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100)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와, 제1입력단자(121)와, 제2입력단자(122)와, 제3입력단자(123)와, 제1출력단자(131)와, 제2출력단자(132)와, 제3출력단자(133)와, 제1도전체(141)와, 제2도전체(142)와, 제3도전체(143)를 포함한다.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는 장방향 4면 중 제1면에는 제1도전체(141)가 수납되어 고정되는 제1홈(111)이, 제2면에는 제2도전체(142)가 수납되어 고정되는 제2홈(112)이, 제3면에는 제3도전체(143)가 수납되어 고정되는 제3홈(113)이 각각 장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제1홈(111)의 넓이에 비해 제2홈(112) 및 제3홈(113)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또는/및 제1홈(111)의 깊이에 비해 제2홈(112) 및 제3홈(113)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3 의 (a)는 제1홈(111)의 넓이에 비해 제2홈(112) 및 제3홈(113)의 넓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b)는 제1홈(111)의 깊이에 비해 제2홈(112) 및 제3홈(113)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c)는 제1홈(111)의 넓이와 깊이에 비해 제2홈(112) 및 제3홈(113)의 넓이와 깊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이다.
제1입력단자(121)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에 연결된다. 이 때, 제1입력단자(121)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1입력단자(121)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1입력단자(121)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홈(111)에 수납되는 제1도전체(141)간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입력단자(121)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입력단자(121)가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입력단자(122)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에 연결된다. 이 때, 제2입력단자(122)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입력단자(122)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2입력단자(122)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홈(112)에 수납되는 제2도전체(142)간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입력단자(122)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입력단자(122)가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3입력단자(123)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에 연결된다. 이 때, 제3입력단자(123)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3입력단자(123)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3입력단자(123)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형성되는 제3홈(113)에 수납되는 제3도전체(143)간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3입력단자(123)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3입력단자(123)가 입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출력단자(131)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310)에 연결된다. 이 때, 제1출력단자(131)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1출력단자(131)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1출력단자(131)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홈(111)에 수납되는 제1도전체(141)간에 출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3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출력단자(131)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출력단자(131)가 출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310)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출력단자(132)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320)에 연결된다. 이 때, 제2출력단자(132)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출력단자(132)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2출력단자(132)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홈(112)에 수납되는 제2도전체(142)간에 출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3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출력단자(132)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출력단자(122)가 출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320)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3출력단자(133)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330)에 연결된다. 이 때, 제3출력단자(133)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3출력단자(133)의 중앙 부위에 굴곡부를 형성하고, 제3출력단자(133)의 중앙 부위의 굴곡부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형성되는 제3홈(113)에 수납되는 제3도전체(143)간에 출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33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3출력단자(133)의 양단을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3출력단자(133)가 출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330)과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도전체(141)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설치되되, 제1입력단자(121)와 제1출력단자(131)간에 연결된다. 이 때, 제1도전체(141)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1도전체(141)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홈(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통해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에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도전체(142)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설치되되, 제2입력단자(122)와 제2출력단자(132)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141)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141)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다. 이 때, 제2도전체(142)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2도전체(142)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홈(112)에 수납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통해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에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3도전체(143)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설치되되, 제3입력단자(123)와 제3출력단자(133)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141)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141)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다. 이 때, 제3도전체(143)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제3도전체(143)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제3면에 형성되는 제3홈(113)에 수납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을 통해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에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제1도전체(141)의 단면적에 비해 제2도전체(142) 및 제3도전체(143)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도록 하기 위해, 제1도전체(141)는 평판형으로 구현되고, 제2도전체(142) 및 제3도전체(143)는 굴곡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5493호(2016.05.24)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원의 (+)단에 연결되는 도전체에 비해 (-)단에 연결되는 도전체의 단면적이 크면 클수록 누설 전류가 점점 작아지므로, 송전 선로에서 (+)단 역할을 하는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과, (-)단 역할을 하는 중성선(N)과, 접지선(G) 각각에 단면적 차이를 가진 도전체들을 연결하여 송전 선로를 통해 누설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식)
Figure 112018082041233-pat00001
한편, 위의 식과 같이 전류가 흐르는 통로(선로, 인체 등)의 저항(R)은 통로의 길이(l)에 비례하고, 단면적(S) 및 도전율(σ)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제3도전체(143)의 단면적은 제2도전체(142)의 단면적에 비해 크면 클수록 유리하다.
인체가 누설 전류에 노출되었을 때 인체와 제3도전체(143)는 대지에 대해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 관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제3도전체(143)의 단면적이 크면 클수록 제3도전체(143)의 내부 저항이 인체 저항 보다 작아지게 되어 혹시 누설 전류가 발생하더라도 누설 전류가 인체로 흐르지 않고, 제3도전체(143)를 통해 대지로 흐르거나 제3도전체(143)에 누설 전류가 머물러 인체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장방향 4면 중 3면 각각에 송전선로의 상 전압선과, 중성선 및 접지선이 연결되는 도전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들이 배치되어 결합되므로, 도전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들이 서로 대향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완전히 격리되게 되어, 전기적인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100)가 차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150)는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를 외부에서 차폐한다.
예컨대, 차폐부(150)가 흑연 등의 재질로 된 차폐재를 이용해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를 외부에서 차폐함으로써 직육면 형상 부도체(110)의 장방향 4면 중 3면 각각에 배치되는 결합되는 도전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들을 외부에서 차폐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의 외부 유출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100)가 오류 체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류 체크부(160)는 제2입력단자(122)와 제3입력단자(123)간에 연결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체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의 선로 연결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류 체크부(160)가 전류 제한용 저항(161)과, 제2입력단자(122)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알리고, 제2입력단자(122)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지 않아 선로 연결이 정상임을 알리는 LED(16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연결되어야 하는 제2입력단자(122)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이 잘못 연결되면, 제2입력단자(122)와, 전류 제한용 저항(161)과, LED(162)와, 제3입력단자(123)를 통해 접지(Ground)로 전류가 흘러 LED(162)가 점등된다.
한편,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연결되어야 하는 제2입력단자(122)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올바르게 연결되면, 중성선과 접지선은 전위차가 없어 제2입력단자(122)와, 전류 제한용 저항(161)과, LED(162)와, 제3입력단자(123)를 통해 접지(Ground)로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LED(162)가 점등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류 체크부(160)의 LED(162) 점등 상태에 따라 선로 연결 오류를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를 이용해 송전 선로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누설 전류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감전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관련된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누설 전류 제한장치
110 : 직육면 형상 부도체
121 : 제1입력단자
122 : 제2입력단자
123 : 제3입력단자
131 : 제1출력단자
132 : 제2출력단자
133 : 제3출력단자
141 : 제1도전체
142 : 제2도전체
143 : 제3도전체
150 : 차폐부
160 : 오류 체크부
161 : 전류 제한용 저항
162 : LED

Claims (5)

  1. 직육면 형상 부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에 연결되는 제1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에 연결되는 제2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입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에 연결되는 제3입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R 또는 S 또는 T)에 연결되는 제1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N)에 연결되는 제2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출력측 송전 선로의 접지선(G)에 연결되는 제3출력단자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1면에 설치되되, 제1입력단자와 제1출력단자간에 연결되는 제1도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2면에 설치되되, 제2입력단자와 제2출력단자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제2도전체와;
    직육면 형상 부도체의 제3면에 설치되되, 제3입력단자와 제3출력단자간에 연결되고, 제1도전체와 길이는 동일하며 제1도전체 단면적의 4배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제3도전체를;
    포함하는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가:
    직육면 형상 부도체를 외부에서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도전체와, 제2도전체 및 제3도전체가: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인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4. 제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가:
    제2입력단자와 제3입력단자간에 연결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 체크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오류 체크부가:
    전류 제한용 저항과;
    제2입력단자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상 전압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어 선로 연결 오류를 알리고, 제2입력단자에 입력측 송전 선로의 중성선이 연결되면 점등되지 않아 선로 연결이 정상임을 알리는 LED를;
    포함하는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KR1020180096734A 2018-08-20 2018-08-20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KR10254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34A KR102546013B1 (ko) 2018-08-20 2018-08-20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EP18207963.2A EP3614499B1 (en) 2018-08-20 2018-11-23 Device for limiting leakage current of power transmission line
PH12019000316A PH12019000316A1 (en) 2018-08-20 2019-08-20 Device for limiting leakage current of power transmiss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34A KR102546013B1 (ko) 2018-08-20 2018-08-20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28A KR20200021228A (ko) 2020-02-28
KR102546013B1 true KR102546013B1 (ko) 2023-06-22

Family

ID=6457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34A KR102546013B1 (ko) 2018-08-20 2018-08-20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14499B1 (ko)
KR (1) KR102546013B1 (ko)
PH (1) PH1201900031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33A2 (ko) 2013-01-10 2014-07-17 (주)비젼테크 침수, 감전방지 고전압 차단기
US20150357742A1 (en) 2013-01-09 2015-12-10 Vision Tech. Inc.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791B1 (ko) * 2000-03-03 2002-09-16 한국전력공사 무 유도성 초전도 사고 전류제한기
KR101625493B1 (ko) 2015-11-11 2016-05-30 (주)비젼테크 도전체의 배치와 형상에 제한이 없는 감전방지 및 누설전류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57742A1 (en) 2013-01-09 2015-12-10 Vision Tech. Inc. Electrode structure with electric-shock prevention function
WO2014109433A2 (ko) 2013-01-10 2014-07-17 (주)비젼테크 침수, 감전방지 고전압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4499A1 (en) 2020-02-26
EP3614499B1 (en) 2022-02-23
PH12019000316A1 (en) 2020-07-13
KR20200021228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170C (en) Travel outlet device
ES2445320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erminal para un cable eléctrico
RU2013126216A (ru)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зряда
MX2013015293A (es) Dispositivo de cableado con salida de corriente continua integrada.
US8937441B1 (en) Surge suppressor
FI20065247A (fi) Sähköinen liitos ja sähkökomponentti
US9944406B2 (en) Safety device for an extension socket
US6414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magnetic field associated with an energized power cable
KR102546013B1 (ko) 송전 선로의 누설 전류 제한장치
JP5615406B2 (ja) コネクタ回路及びサージ防護機器
KR101812695B1 (ko) 누설 전류 제한 기능을 구비한 직류 승압 장치
CN105636261B (zh) 用于发光二极管的浪涌保护
AU2001254760B2 (en) Three-phase high voltage cable arrangement having cross-bonded cable screens and cross-bonded water sensing wires
US20160036238A1 (en) Multipor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400711B1 (ko) 전기 설비용 감전 방지 장치
KR101513265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구비한 콘센트
FI113718B (fi) Häiriösuojausjärjestely liittimessä ja liitin
US20180375228A1 (en) Electrical Connector
RU2680961C2 (ru) Вставной элемент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защиты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с таким вставным элементом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AU2015266301A1 (en) Device for conducting electrical direct current
US10354783B2 (en) Mismatched MOV in a surge supression device
KR200490639Y1 (ko) 어스를 내장한 교류 조명등
KR101547139B1 (ko) 변압기
EP2833154A1 (en) Voltage sens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