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942B1 -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942B1
KR102545942B1 KR1020210124733A KR20210124733A KR102545942B1 KR 102545942 B1 KR102545942 B1 KR 102545942B1 KR 1020210124733 A KR1020210124733 A KR 1020210124733A KR 20210124733 A KR20210124733 A KR 20210124733A KR 102545942 B1 KR102545942 B1 KR 10254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rotating
rotating plate
protrusion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1298A (ko
Inventor
나현수
Original Assignee
나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수 filed Critical 나현수
Priority to KR1020210124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94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면에 곡면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돌부와, 곡면형태로 함몰되는 라운드홈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는 회전패널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라운드돌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라운드홈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PIVOT DEVICE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나타내는 장치를 뜻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 옥내/외 광고용 화면, 차량내에 탑재되는 화면 등을 통틀어 일컫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에 의해 테이블이나 벽면 또는 차량 내부 등에 설치되어 지지 및 고정된다.
기존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 상에 가로방향으로만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전시회장 또는 상품매장 등 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회전 방향을 바꿀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스탠드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탠드는, 복수의 링크, 암, 회전축 등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로 형성된 스탠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암을 펼치거나, 회전축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는 등 많은 힘이 필요하고, 여러 단계에 걸쳐 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시키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1298호(2007.01.12)
본 발명은 소정 곡률로 형성되는 함몰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반복 형성된 회전패널과 회전판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서로의 굴곡진 형상을 따라 회전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하여, 테이블이나 벽면 또는 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0도, 90도, 180도 270도 등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함몰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반복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각도마다 회전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탄성부재를 통해 회전패널과 회전판이 서로 맞닿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패널의 마그네틱부와 회전판의 자석부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면에 곡면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돌부와, 곡면형태로 함몰되는 라운드홈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는 회전패널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라운드돌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라운드홈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라운드돌부와 복수의 상기 오목부 각각이 맞물리고, 복수의 상기 라운드홈부와 복수의 상기 볼록부 각각이 맞물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프레임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어느 하나의 상기 볼록부가 맞물려 있던 상기 라운드홈부의 굴곡을 따라 상승하며 회전되어 상기 라운드돌부와 대향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라운드돌부의 굴곡을 따라 다시 하강하여,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상기 라운드홈부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패널에서 상기 라운드돌부는 0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오목부는 0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판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패드; 및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패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전패널의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삽입홀의 직경 크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패드 사이 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패널은, 각각의 상기 라운드돌부 중심점마다 배치되는 마그네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각각의 상기 오목부 중심점마다 배치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 곡률로 형성되는 함몰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반복 형성된 회전패널과 회전판이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서로의 굴곡진 형상을 따라 회전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하여, 테이블이나 벽면 또는 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0도, 90도, 180도 270도 등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함몰된 부분과 돌출된 부분이 반복 형성되어, 기 설정된 각도마다 회전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통해 회전패널과 회전판이 서로 맞닿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패널의 마그네틱부와 회전판의 자석부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프레임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회전프레임이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회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회전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에 따른 회전프레임이 점차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의 고정패드에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따른 회전프레임이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를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돌부와 오목부 다양한 곡률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와 회전프레임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의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나란히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1)의 좌측면도와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1)는 바디부(10) 및 회전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바디부(10)는 벽면이나 테이블 또는 차량 내부 등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위치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10)의 후면(즉, 회전패널(11)의 후면)는 접착제, 볼트체결, 브라켓 등의 다양한 체결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10)의 전방에는 회전프레임(20)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20)은 전면부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20)은 바디부(10)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프레임(20)이 바디부(10)와 회전됨에 따라 회전프레임(20)에 설치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프레임(20)의 전면(즉, 고정패드(21)의 전면)에는 볼트체결, 브라켓 등의 다양한 체결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10)는 회전패널(11), 돌출부(12), 플랜지부(13), 탄성부재(14) 및 마그네틱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패널(11)은 소정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패널(11)이 사각형 형태의 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패널(11)의 크기는 지지해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설치 위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해야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가 큰 경우, 회전패널(11)의 크기도 커질 수 있다.
회전패널(11)의 후면은 접착제, 볼트체결, 브라켓 등의 다양한 체결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패널(11)의 전면에는 라운드돌부(111) 및 라운드홈부(112)가 기 설정된 각도마다 교번하며 반복 형성되어, 회전프레임(20)의 회전판(21)에 형성된 오목부(211)와 볼록부(212)와 맞물려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라운드돌부(111)는 회전패널(11)의 전면에서 곡면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돌부(111)는 회전패널(11)에서 일정 각도마다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라운드돌부(111)는 회전패널(11)에서 0시 방향(즉, 상측 방향), 3시 방향, 6시 방향(즉, 하측 방향) 및 9시 방향마다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돌부(111)는 제1 라운드돌부(1111), 제2 라운드돌부(1112), 제3 라운드돌부(1113) 및 제4 라운드돌부(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운드돌부(1111)는 회전패널(11)의 중심점에서 상측으로 수직방향인 0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라운드돌부(1112)는 제1 라운드돌부(1111)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3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라운드돌부(1113)는 제2 라운드돌부(1112)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6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4 라운드돌부(1114)는 제3 라운드돌부(1113)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9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운드돌부(1111), 제2 라운드돌부(1112), 제3 라운드돌부(1113) 및 제4 라운드돌부(1114)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홈부(112)는 회전패널(11)의 전면에서 곡면 형태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홈부(112)는 회전패널(11)에서 일정 각도마다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라운드홈부(112)는 복수의 라운드돌부(111) 사이사이 마다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운드홈부(112)는 제1 라운드홈부(1121), 제2 라운드홈부(1122), 제3 라운드홈부(1123) 및 제4 라운드홈부(1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라운드홈부(1121)는 제1 라운드돌부(1111)와 제2 라운드돌부(1112)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제2 라운드홈부(1122)는 제2 라운드돌부(1112)와 제3 라운드돌부(1113)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라운드홈부(1123)는 제3 라운드돌부(1113)와 제4 라운드돌부(1114)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제4 라운드홈부(1124)는 제4 라운드돌부(1114)와 제1 라운드돌부(1111)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운드홈부(1121), 제2 라운드홈부(1122), 제3 라운드홈부(1123) 및 제4 라운드홈부(1124)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라운드돌부(111)와 복수의 라운드홈부(112) 모두 동일한 곡률로 돌출 및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패널(11)의 전면에는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가 기 설정된 각도마다 교번하여 형성되며,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 사이에 이루는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즉, 곡면 형상의 라운드돌부(111)의 가장 돌출된 지점과, 곡면 형상의 라운드홈부(112)의 가장 함몰된 지점 사이의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4개의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가 90도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에 따라 다양한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12)는 회전패널(11)의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는 후술할 회전판(21)의 삽입홀(213)로 삽입될 수 있다.
플랜지부(13)는 돌출부(12)의 단부에서 돌출부(12)의 직경 및 삽입홀(213)의 직경 크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3)는 돌출부(12)의 단부에서 방사형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4)는 돌출부(12)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그네틱부(15)는 각각의 라운드돌부(111) 중심점마다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마그네틱부(15)는 라운드홈부(112)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라운드돌부(111)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회전프레임(20)은 회전판(21), 고정패드(22), 연결부(23) 및 자석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21)은 소정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판(21)은 회전패널(11)과 동일한 사각형 형태의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은 회전패널(11)과 마주보는 후면부에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기 설정된 각도마다 교번하며 반복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은 바디부(10)의 회전패널(11)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오목부(211)는 회전판(21)의 후면에서 라운드돌부(111)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1)는 회전판(21)에서 일정 각도 마다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오목부(211)는 회전판(21)에서 0시방향(즉, 상측 방향), 3시 방향, 6시 방향(즉, 하측 방향) 및 9시 방향마다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211)는 제1 오목부(2111), 제2 오목부(2112), 제3 오목부(2113) 및 제4 오목부(2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2111), 제2 오목부(2112), 제3 오목부(2113) 및 제4 오목부(2114)가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오목부(2111)는 회전판(21)의 중심점에서 상측으로 수직방향인 0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목부(2112)는 제1 오목부(2111)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9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제3 오목부(2113)는 제2 오목부(2112)와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6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제4 오목부(2114)는 제3 오목부(2113)외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3시 방향에서 소정의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목부(2111), 제2 오목부(2112), 제3 오목부(2113) 및 제4 오목부(2114)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212)는 회전판(21)의 후면에서 라운드홈부(112)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212)는 회전판(21)에서 일정 각도마다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볼록부(212)는 복수의 오목부(211) 사이사이 마다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반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부(212)는 제1 볼록부(2121), 제2 볼록부(2122), 제3 볼록부(2123) 및 제4 볼록부(2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록부(2121)는 제1 오목부(2111)와 제2 오목부(2112)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되고, 제2 볼록부(2122)는 제2 오목부(2112)와 제3 오목부(2113)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볼록부(2123)는 제3 오목부(2113)와 제4 오목부(2114)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4 볼록부(2124)는 제4 오목부(2114)와 제1 오목부(2111) 사이에서 소정의 곡률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볼록부(2121), 제2 볼록부(2122), 제3 볼록부(2123) 및 제4 볼록부(2124)의 곡률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4개의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90도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에 따라 다양한 각도 간격마다 복수의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에 대응되는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판(21)의 후면에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기 설정된 각도마다 교번하여 형성되며, 오복부와 볼록부(212) 사이에 이루는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즉, 곡면 형상의 오목부(211)의 가장 함몰된 지점과, 곡면 형상의 볼록부(212)의 가장 돌출된 지점 사이의 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또한, 회전패널(11)에 형성되는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의 개수 및 곡률과, 회전판(21)에 형성되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2)의 개수 및 곡률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회전패널(11)의 전면과 회전판(21)의 후면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었을 때, 라운드돌부(111)와 오목부(211)가 맞물리고, 라운드홈부(112)와 볼록부(212)가 맞물릴 수 있다.
회전판(21)의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13)은 돌출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플랜지부(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패드(22)는 회전판(21)과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23)는 서로 이격된 회전판(21)과 고정패드(22)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23)는 회전판(21)의 상단과 고정패드(22)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는 회전판(21)의 하단과 고정패드(22)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23)는 하나 이상이 회전판(21) 및 고정패드(22)에 연결되어, 회전판(21)과 고정패드(22)을 연결할 수 있다.
자석부(24)는 각각의 오목부(211) 중심점마다 배치될 수 있다. 자석부(24)는 마그네틱부(15)와 자기력이 발생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체결된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서로 마주보도록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운드돌부(111)와 라운드홈부(112)가 형성된 회전패널(11)의 전면과, 오목부(211)와 볼록부(212)가 형성된 회전판(21)의 후면이 서로 마주보며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의 돌출부(12), 플랜지부(13) 및 탄성부재(14)는 회전판(21)의 삽입홀(213)로 삽입되어, 회전판(21)과 고정패드(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3)는 회전판(21)과 고정패드(22)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부재(14)는 플랜지부(13)와 회전판(21)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맞닿은 상태가 처음 기준이 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라운드돌부(1111)와 제1 오목부(2111)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프레임(20)이 전방으로 당겨지며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이격되면, 삽입홀(213)에서 돌출부(12)가 돌출되며, 플랜지부(13)가 회전판(21)과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랜지부(13)와 회전판(2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14)가 회전판(21)과 플랜지부(13)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3)와 회전판(21) 사이에서 가압되어 있던 탄성부재(14)의 복원력에 의해, 플랜지부(13)에 압축력이 가해지며, 플랜지부(13)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가압된 탄성부재(14)는 다시 원상복귀되고, 회전판(21)과 회전패널(11)이 다시 맞닿게 된다.
도 9 및 도 10b와 같이, 각각의 라운드돌부(111)와 오목부(211)가 서로 맞물리고, 각각의 라운드홈부(112)와 볼록부(212)가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서로 맞닿을 때, 마그네틱부(15)와 자석부(14)가 서로 부착 고정된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도 11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이 점차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의 고정패드(22)에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따른 회전프레임(20)이 회전되어, 디스플레이를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회전프레임(20)이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복수의 라운드돌부(111)와 복수의 오목부(211)가 각각 맞물리고, 복수의 라운드홈부(112)와 복수의 볼록부(212)가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프레임(2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어느 하나의 볼록부(212)는 맞물려 있던 라운드홈부(112)의 굴곡을 따라 상승하며 회전되어, 라운드돌부(111)와 대향하며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후, 라운드돌부(111)의 굴곡을 따라 다시 하강하여,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라운드홈부(112)와 맞물리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마주보며 각각의 라운드돌부(111)와 각각의 오목부(211)가 서로 맞물리고, 각각의 라운드홈부(112)와 각각의 볼록부(212)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회전프레임(20)을 일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1)의 각각의 볼록부(212)가 회전패널(11)의 라운드홈부(112)의 굴곡을 따라 상승하며 회전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록부(212)가 각각의 라운드돌부(111)와 대향하며 마주보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패널(11)이 회전된 각도는 45도 각도일 수 있다. 또한, 회전패널(11)의 돌출된 부분인 라운드돌부(111)와 회전판(21)의 돌출된 부분인 볼록부(21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이 도 10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4)는 플랜지부(13)와 회전판(21) 사이에서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볼록부(212)가 라운드돌부(111)의 굴곡을 따라 회전 방향 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볼록부(212)가 라운드돌부(111)의 굴곡을 따라 하강될 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4)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패널(11)이 회전판(21)과 맞닿도록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면서 더욱 빠르게 볼록부(212)가 하강하게 되며 회전되어, 볼록부(212)가 다른 하나의 라운드홈부(112)에 안착되어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볼록부(212)는 회전방향을 따라 맞물려있던 라운드홈부(112)보다 다음 순서에 형성된 라운드홈부(112)에 맞물리게 된다. 일 예로, 제1 라운드홈부(1121)와 맞물려 있던 제1 볼록부(2121)는 제2 라운드홈부(1122)와 맞물리게 되고, 제2 라운드홈부(1122)와 맞물려 있던 제2 볼록부(2122)는 제3 라운드홈부(1123)와 맞물리게 되고, 제3 라운드홈부(1123)와 맞물려 있던 제3 볼록부(2123)는 제4 라운드홈부(1124)와 맞물리게 되고, 제4 라운드홈부(1124)와 맞물려 있던 제4 볼록부(2124)는 제1 라운드홈부(1121)와 맞물리게 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회전프레임(20)이 회전됨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 도 16 및 도 17과 같이, 각각의 라운드돌부(111)와 오목부(211)가 맞물리고 각각의 라운드홈부(112)와 볼록부(212)가 맞물리도록 배치된 경우, 마그네틱부(15)와 자석부(24)가 서로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어, 회전패널(11)과 회전판(21)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마그네틱부(15)와 자석부(24)의 부착에 의해 사용자가 회전 각도 마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돌부(111)와 오목부(211) 다양한 곡률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라운드돌부(111), 라운드홈부(112),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의 곡률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회전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a와 도 18b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8a와 같이, 라운드돌부(111), 라운드홈부(112),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의 곡률을 낮게 제작하는 경우 경사가 완만하여, 서로 맞물려 있는 라운드돌부(111)가 오목부(211)에서의 이동이 원만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볼록부(212)가 라운드홈부(112)에서의 이동이 원만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21)을 회전시킬 때, 보다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18b와 같이, 라운드돌부(111), 라운드홈부(112),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의 곡률을 크게 제작하는 경우 경사가 높아져서, 서로 맞물려 있는 라운드돌부(111)가 오목부(211)에서의 이동이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하고, 서로 맞물려 있는 볼록부(212)가 라운드홈부(112)에서의 이동이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21)을 회전시킬 때, 보다 큰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이 어렵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4)의 강도를 조절하여 회전 시 필요한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a와 도 19b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9a는 탄성부재(14)가 보다 많은 횟수로 돌출부(12)의 외측 둘레에 감겨 있는 상태이고, 도 19b는 탄성부재(14)가 보다 적은 횟수로 돌출부(12)의 외측 둘레에 감겨 있는 상태이다.
탄성부재(14)가 회전판(21)과 플랜지부(13) 사이에 가압되는 경우, 도 19a가 도 19b 보다 많은 횟수의 탄성부재(14)가 회전판(21)과 플랜지부(13) 사이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4)가 복원되면서 회전프레임(2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도 19b에 비하여 많은 힘의 세기가 필요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이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바디부(10)와 회전프레임(20)은 상술한 구성 및 구조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고,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10: 바디부 11: 회전패널
111: 라운드돌부 1111: 제1 라운드돌부
1112: 제2 라운드돌부 1113: 제3 라운드돌부
1114: 제4 라운드돌부 112: 라운드홈부
1121: 제1 라운드홈부 1122: 제2 라운드홈부
1123: 제3 라운드홈부 1124: 제4 라운드홈부
12: 돌출부 13: 플랜지부
14: 탄성부재 15: 마그네틱부
20: 회전프레임 21: 회전판
211: 오목부 2111: 제1 오목부
2112: 제2 오목부 2113: 제3 오목부
2114: 제4 오목부 212: 볼록부
2121: 제1 볼록부 2122: 제2 볼록부
2123: 제3 볼록부 2124: 제4 볼록부
213: 삽입홀 22: 고정패드
23: 연결부 24: 자석부
D: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6)

  1. 일 면에 곡면형태로 돌출되는 라운드돌부와, 곡면형태로 함몰되는 라운드홈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는 회전패널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라운드돌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라운드홈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가 기 설정된 각도 마다 교번하여 형성되어, 상기 회전패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회전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판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패드; 및
    서로 이격 배치된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패드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전패널의 중심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서 상기 돌출부의 직경 및 상기 삽입홀의 직경 크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과 상기 고정패드 사이 내에 배치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라운드돌부와 복수의 상기 오목부 각각이 맞물리고, 복수의 상기 라운드홈부와 복수의 상기 볼록부 각각이 맞물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프레임이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어느 하나의 상기 볼록부가 맞물려 있던 상기 라운드홈부의 굴곡을 따라 상승하며 회전되어 상기 라운드돌부와 대향하며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라운드돌부의 굴곡을 따라 다시 하강하여,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상기 라운드홈부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패널에서 상기 라운드돌부는 0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오목부는 0시, 3시, 6시 및 9시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패널은,
    각각의 상기 라운드돌부 중심점마다 배치되는 마그네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각각의 상기 오목부 중심점마다 배치되는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KR1020210124733A 2021-09-17 2021-09-17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KR10254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33A KR102545942B1 (ko) 2021-09-17 2021-09-17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33A KR102545942B1 (ko) 2021-09-17 2021-09-17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298A KR20230041298A (ko) 2023-03-24
KR102545942B1 true KR102545942B1 (ko) 2023-06-20

Family

ID=858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733A KR102545942B1 (ko) 2021-09-17 2021-09-17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9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7206A1 (en) 2004-03-17 2010-09-23 John Christopher Barker Magnetic-based releasable, adjustable camera or other device mount apparatus
KR101285960B1 (ko) 2013-06-24 2013-07-12 이종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298B1 (ko) 2004-09-22 200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설치장치
KR101097968B1 (ko) * 2009-12-04 2011-12-22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US10206522B2 (en) * 2014-01-24 2019-02-19 Apple Inc. Display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7206A1 (en) 2004-03-17 2010-09-23 John Christopher Barker Magnetic-based releasable, adjustable camera or other device mount apparatus
KR101285960B1 (ko) 2013-06-24 2013-07-12 이종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298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2309B (zh) 可卷曲的显示装置
US7283354B2 (en) Monitor apparatus
US20080011927A1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US20020149906A1 (en) Display device with pivotable base
CN1937091A (zh) 显示装置
US6918562B2 (en) Device for combining electronic appliances and displaying apparatuses employing the same
US11520553B2 (en) Gap adjusting device of multi-display and multi-display including the same
JP5589118B2 (ja) 可変式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83005A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140435A1 (en) Lift System for a Panel and Method for Releasing and Retracing a Panel
KR102545942B1 (ko) 디스플레이용 피벗 장치
US20110198467A1 (en) Adjustable mount holder
KR102103869B1 (ko) 높이 가변형 tv 스탠드
US20120104204A1 (en) Adjustable display screen hanging device
US20090201661A1 (en) Angle regulating apparatus of a display device
EP2557776B1 (en) Display device
TWM246959U (en) Base assembly for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494164B1 (ko)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 장치
JP2014236390A5 (ko)
KR101751055B1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0784728B1 (ko) 전방향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어 벽걸이장치
WO2007027030A1 (en) Banner station for glassy surface
KR100703003B1 (ko)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TWI399162B (zh) 鉸鏈結構
KR102590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