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66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661B1
KR102545661B1 KR1020160001928A KR20160001928A KR102545661B1 KR 102545661 B1 KR102545661 B1 KR 102545661B1 KR 1020160001928 A KR1020160001928 A KR 1020160001928A KR 20160001928 A KR20160001928 A KR 20160001928A KR 102545661 B1 KR102545661 B1 KR 102545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information
vehicle
lane chang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82761A (en
Inventor
박병준
강정규
김경호
윤창락
이정우
황윤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61B1/en
Publication of KR2017008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Guidance using head up displays or projectors, e.g. virtual vehicles or arrows projected on the windscreen or on the road itse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시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중 도로 및 주행 상황 정보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안내하기 위한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선을 인식하는 차선 인식부;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 상황을 인식하는 주행 상황 인식부; 상기 차선 인식부에서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차선을 판단하는 주행 차선 판단부; 및 상기 수집된 경로 안내 정보, 상기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a lane by using road an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during route guidance to a destination using a navigation system while driving a vehicle, and providing guidance thereof, The device includes: a lan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the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driving lan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urrent driving lane by using lane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ad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zing unit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generate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clude

Description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운전시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 중 도로 및 주행 상황 정보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안내하기 위한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for determining and guiding a lane change by using road an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while guiding a route to a destination using a navigation system while driving a vehic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현재 출시되고 있는 내비게이션은 현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를 음성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The currently released navigation system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current vehicle and provides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map data through voice and display.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경로안내는 차량 진행방향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교차로나 분기점까지의 거리와 방향만을 안내하고 있다. However, currently provided route guidance only guides the distance and direction to an intersection or junction where a vehicle's traveling direction is changed.

따라서, 고령운전자, 초보운전자, 초행길운전자와 같이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 적절한 차선변경 시점을 놓치고 무리하게 변경을 시도하거나 변경 지점을 지나치면서 새로운 안내 정보를 받을 때까지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고 주의력을 떨어트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drivers with inexperienced driving such as elderly drivers, novice drivers, and first-time drivers, they miss the appropriate lane change timing and try to change excessively, or pass by the changing point, making the driver anxious and losing their attention until they receive new guidance information. There is a problem with dropping i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및 주행 상황 정보와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중인 차량의 주행차선을 기반으로 차선 변경 안내를 위한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목적지까지 경로 안내 중 진행 방향 변경 시점에서 주행차선 및 주변 차량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차선변경 안내 또는 경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고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lane change guidance based on the driving lane of the vehicle in which the driver is driving using road an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It is to provide a guid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driving lane and nearby vehicles at the time of changing the driving direction during route guidance to the destination, and provides lane change guidance or warning information, so that the lane can be safely changed and the driving direction can be changed. Its object is to provide a provid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는,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선을 인식하는 차선 인식부;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 상황을 인식하는 주행 상황 인식부; 상기 차선 인식부에서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차선을 판단하는 주행 차선 판단부; 및 상기 수집된 경로 안내 정보, 상기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at collects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lane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driving lan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urrent driving lane by using lane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ad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zing unit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generate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includ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A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s further included.

상기 안내 정보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 계기판, HUD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한다.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an be changed output from the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output to at least one information delivery medium among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terminal.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는 카메라, LIDAR, RADA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집한다.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LIDAR, and RADAR,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현 주행차선의 위치가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고, 급회전 구간인 경우 급회전 구간에 따른 차선 변경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urrent driving lane is a sharp turn section by using the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warn of a danger of lane change due to the sharp turn section in the case of a sharp turn section. gener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 주행 차선의 구간이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 경로 안내 정보와 상기 차선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선 인식 정보 및 주행 차선 판단부에서의 주행 차선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When the section of the current driving lane is not a sharp turn section, the control unit provides destination route guidance us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tion unit, and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information b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lane for route guidanc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if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In this case,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warn of the danger of lane change.

상기 제어부는,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하며, 해당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해당 객체와의 거리를 기 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 주의 또는 차선 변경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When there is no other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using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object exists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and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compared with a preset safety distance, and based on the result,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warn of lane change warning or danger of lane change. do.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전방에 위치한 객체가 차량이고,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보다 짧은 경우, 차선 변경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이상이고, 상기 주행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차량의 속도가 감속 상태인 경우, 차선 변경 주의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속도가 가속 상태인 경우에는 차선 변경 가능 안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warn of a danger of lane change when the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is a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set lane-changing distance, and When the dist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lane-changable distance and the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decelerating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 control signal for a lane-changing caution warning is generated,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accelerating, a lane change is performed. A control signal for guidance is gener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객체가 차량인 경우 해당 객체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안전거리 보다 짧은 경우 차선 변경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exists behind the lane to be changed when no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using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if the object is a vehicle,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afety distance, a control signal for warning of the danger of lane change is gener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보다 멀고, 상기 주행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차량의 속도가 가속 상태인 경우, 차선 변경 주의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차량의 속도가 감속 상태인 경우에는 차선 변경 가능 안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 lane-changing caution warning when the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rearward vehicle is greater than a preset lane-changable distance and the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in an accel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vehicle When the speed of is in a deceleration state, a control signal for lane change possibility guidance is gene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선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차선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경로 안내 정보, 상기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ogniz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ognizing a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rmining a current driving lane by using lan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riving road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o output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include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the lane can be changed to an information delivery medium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it.

상기 출력되는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 계기판, HUD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한다. The output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is output to at least one information delivery medium among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terminal.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는 카메라, LIDAR, RADA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집한다.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LIDAR, and RADAR,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현 주행차선의 위치가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급회전 구간인 경우 급회전 구간에 따른 차선 변경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l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current driving lane is a sharp turn section using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warning of a danger of lane change according to a sharp turn section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a sharp turn section.

상기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현 주행 차선의 위치가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 경로 안내 정보와 상기 인식된 차선 인식 정보 및 주행 차선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한 경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it is the sharp turn section, if the current driving lane position is not the sharp turn section, whether to change lanes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is determined us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driving lane determination information. judg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warning of a danger of lane change when there is a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상기 타차량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해당 객체가 차량인 아닌 경우, 해당 객체와의 거리를 기 설정된 안전거리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 주의 또는 차선 변경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if there is no 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using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exists,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object is a vehic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corresponding object is not a vehicle, comparing the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object with a preset safety distance and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warning of lane change caution or lane change risk according to the result .

상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전방에 위치한 객체가 차량이고,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보다 짧은 경우, 차선 변경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주행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차량의 속도가 감속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차량의 속도가 감속 상태인 경우, 차선 변경 주의 경고를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차량의 속도가 가속 상태인 경우에는 차선 변경 가능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object is a vehicle, if the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is a vehicle and the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lane-changable distance, guidance information for warning of a danger of lane change outputting; determining whether the speed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ane-changing dista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a lane change warning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and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lane change possibility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in an acceleration state.

상기 차선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객체가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안전거리 보다 짧은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안전거리 보다 짧은 경우, 차선 변경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in front of the lane to be changed,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behind the lane to be chang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exists,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object is a vehicle; If the object is a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set safety dista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determined safety distanc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warning of a danger of lane change.

상기 객체가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안전거리 보다 짧은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당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선 변경 가능 거리 보다 먼 경우, 상기 주행 상황 정보에 따라 해당 차량의 속도가 가속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해당 차량이 가속 상태인 경우, 차선 변경 주의 경고를 위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차량의 속도가 감속 상태인 경우에는 차선 변경 가능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f the object is a vehicle,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istance to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shorter than a preset safety distance, if the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longer than the preset lane changeable distance, the corresponding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speed of is in an acceleration stat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outputting guidance information for a lane change warning when the corresponding vehicle is in an acceleration state, and outputting lane change possibility guidance informatio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in a deceleration state.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영상을 이용한 차선인식 정보와 내비게이션 주행 도로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주행차선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목적지 경로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정보 및 경고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고령운전자, 초보운전자, 초행길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고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ing lan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using image-based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navigation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lane change information and warning information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are provided to the driver, thereby reducing the elderly Drivers, novice drivers, and first-time drive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afely change lanes and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차선 변경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1A to 1E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lane chang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state in which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operational flowcharts of a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so that the person can easi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Meanwhil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 not rule out addition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차량 주행 상황에 따른 차선 변경의 예 및 차선 변경시 차선 변경 안내 정보의 표시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a lane change according to vehicle driving conditions and a display state of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when changing a la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른 차선 변경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A to 1E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lane change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본 발명은 차량(1)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 중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경로 안내(2)를 제공 받았을 때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차선을 인식한 차선 정보(3)와 내비게이션 장치의 주행도로 속성정보를 맵핑하여 주행차선을 판단하고 경로안내(2)에 따라 진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주행차선 변경 안내정보(5)를 제공한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ane information (3) by recognizing a lane from an image input from a camera when route guidance (2) is provided from a navigation device as shown in FIG. 1A while moving to a destination using a vehicle (1) and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are mapped to determine the driving lane and provide driv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5) so that the driving direc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ute guide (2).

그리고, 차선 변경 안내 시 안전한 차선 변경 정보 제공을 위하여 차선 변경 안내정보(5)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회전(6) 구간이거나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의 전방 차량(7) 또는 후방 차량(8)이 주행 차량 (1)과 일정거리(9) 내에 있거나, 도면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7)이 감속 (10)하는 경우 또는 후방 차량(8)이 가속(11)하는 경우,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차량(1)의 측면에 타 차량(12)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험도에 따라 단계별 경고정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safe lane change information when guiding a lane change, th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5) is a sharp turn (6) section as shown in FIG. ) or when the rear vehicle 8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9 from the traveling vehicle 1, or when the front vehicle 7 decelerates 10 as shown in FIG. 1d or when the rear vehicle 8 accelerates ( 11), when another vehicle 12 exists on the side of the driving vehicle 1 as shown in FIG. 1E, step-by-step warning information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nger.

여기서, 위험도에 따라 단계별로 경고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Here, an example of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play state in which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또는 계기판 (15)을 통해 제공되는 차선 변경 정보(13)를 제공한다. 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2B , lane change information 13 provided through a navigation or dashboard 15 is provided.

차선 변경에 대한 단계별 위험정보(14)는 차선 변경 방향에 대하여 위험(적색), 주의(노란색), 안전(녹색), 변경 없음(회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차선 변경시 판단된 위험 정보(14)와 차선변경 안내 정보(13)는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15)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선 변경에 대한 단계별 위험정보(14)는 상기한 컬러 이외에 다른 컬라로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15)에는, 네비게이션 및 계기판 이외에도 스마트 폰, HUD 단말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anger information 14 for lane change may be expressed as danger (red), caution (yellow), safety (green), and no change (grey) with respect to the lane change direction. The hazard information 14 and th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13 determined when changing lanes may be provided to the driver through vario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15 . Here, the step-by-step danger information 14 for lane change may be displayed in a color other than the above, and the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dia 15 may include a smart phone and a HUD terminal in addition to navigation and dashboard. .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정보 안내 제공 장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자.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 an apparatus for providing guidance for lane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정보 안내 제공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lane change information guid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1), 센서부(102), 차선 인식부(103), 주행 상황 인식부(104), 주행 차선 판단부(105), 차선 변경 판단부(106) 및 주행 안내 정보 처리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a navigation system 101, a sensor unit 102, a lane recognition unit 103, a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a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105, a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and A driving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may be included.

센서부(102)는 카메라, Lidar, Radar 등과 같은 센서로부터 주행도로 및 주행 환경의 인식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차선 인식부(103) 및 주행 상황 인식부(104)로 제공한다. The sensor unit 102 collects information necessary for recognition of the driving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from sensors such as a camera, lidar, and radar,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lane recognition unit 103 and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

차선 인식부(103)는, 상기 센서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 차랑의 현 주행 도로의 차선을 인식한 후, 인식된 차선 정보를 주행 차선 판단부(105)로 제공한다. The lane recognizing unit 103 recognizes a lane of the current driving road of the vehicl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02 and then provides the recognized lane information to the driving lane determining unit 105 .

주행 상황 인식부(104)는 센서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 주변의 전방 및 후방 운행 차량, 보행자, 장애물 등과 같은 객체에 대한 존재 여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들과의 거리 정보 및 해당 객체가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의 현재 주행상태(감속, 가속 등)를 인식하여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들을 상기 차선 변경 판단부(106)으로 제공한다.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uses the collec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or unit 102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objects such as front and rear vehicles, pedestrians, obstacles, etc. If the object is a vehicle, the distance to the vehicle and the current driving state (deceleration, acceleration, etc.) of the vehicle are recognized, and the recognized driving stat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

주행 차선 판단부(104)는 상기 차선 인식부(103)에서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내비게이션(101)으로부터 제공되는 주행 도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현 주행 차선을 판단하여 해당 주행 차선 정보를 차선 변경 판단부(106)으로 제공한다.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104 determines the current driving lane using the lane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ad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zing unit 103 and the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101 and converts the corresponding driving lane information to the lane It is provided to th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내비게이션(101)으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 주행 상황 인식부(104)에서 제공되는 주행 상황 인식 정보 및 주행 차선 판단부(105)로부터 제공되는 주행 차선 판단 정보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결정한 후, 결정된 차선 변경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determin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101,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and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lane determining unit 105. Aft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for route guidance to a destination,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gui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is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

안내 정보 처리부(107)는 상기 차선 변경 판단부(106)에서 제공되는 안내 정보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현 주행차선을 기준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차선 변경 여부와 경고 정보를 생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계기판, 스마트폰, HUD 단말기 등 정보 전달 매체에 따라 시각, 청각, 촉각 정보 전달을 위한 차선 변경 안내 및 경고 정보를 제공한다.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generates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and warning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driver based on the current driving lan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or generation of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and is shown in FIG. 2 . As illustrated, lane change guidance and warning information for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information delivery media such as a navigation system, instrument panel, smart phone, and HUD terminal.

상기한 기술적 특징중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차선 변경 판단부(106)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하자. Among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above, a detailed operation of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key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차선 인식부(103)에서 인식된 자 차량의 주행 차선의 도로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 경우, 주행 차선 판단부(105)에서 제공되는 자 차량의 주행 차선과는 관계없이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급회전 구간 경고 안내 정보의 발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First, when the road section of the driving lane of the own vehicle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tion unit 103 is a sharp turn section,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iffers from the driving lane of the own vehicle provided by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105. Regardles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the warning guide information for a sharp turn section is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

따라서, 안내 정보 처리부(107)는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계기판, 스마트폰, HUD 단말기 등)의 표시장치에 급회전 경고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경고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Accordingly,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displays the sudden turn warning guidance information on display devices of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dia (eg, navigation, instrument panel, smart phone, HUD terminal, etc.) or outputs the warning guidance information by voice.

한편,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차선 인식부(103)에서 인식된 자 차량의 주행 차선의 도로 구간이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내비게이션(101)으로부터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 및 도로 속성 정보와 상기 차선 인식부(103)에서 인식된 차선 인식 정보 및 주행 차선 판단부(105)에서의 주행 차선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Meanwhile, when the road section of the driving lane of the host vehicle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tion unit 103 is not a sharp turn section,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provid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road attribu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101 and Using the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zing unit 103 and the driving lane determination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lane judging unit 10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차선 변경 여부 판단 결과,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조작 신호 즉, 방향 지시등, 조향각 및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선변경 시도를 확인한다. The lane change determiner 106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lane, and when a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the driver changes the lane by using a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that is, direction indicators, steering angle, and lane information. check the attempt

만약, 운전자 의도에 의한 차선 변경이 아닌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자 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하여 차선 이탈인 경우에는 차선 이탈 경고 정보의 생성을 위한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하여 차선 이탈에 대한 경고를 수행한다. 여기서, 차선 이탈 여부의 판단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f the lane change is not caused by the driver's intention,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has departed from the lane, and in the case of lane departure, send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departure warning information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 107) to warn of lane departure. Here, since the determination of lane departure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만약,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하여 차선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운전자 의도에 의하여 차선을 변경한다고 판단되면,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을 확인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the destination route guidance or that the lane is changed due to the driver's intention,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identifies the direction of the lane to be changed.

먼저,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주행 상황 인식부(104)에서 제공되는 주행 상황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하려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First, the lane change determiner 106 uses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to check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확인 결과, 차선 변경하려는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차선 변경 위험 경고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a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direction to be changed,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provides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with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danger warning guidance information.

그러나, 만약 차선변경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주행 상황 인식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주행 상황 정보 즉,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타 차량, 보행자, 시설물 등이 될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no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 change direction,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that is,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change direction. decide what to do Here, the object may be other vehicles, pedestrians, facilities, and the like.

상기 판단 결과,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임의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n arbitrary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change direction, the lane change determiner 106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보행자나, 시설물일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주행 상황 인식부(104)에서 제공되는 주행 상황 인식 정보로부터 해당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해당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차선 변경 주의 경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object is not a vehicle, for example, a pedestrian or a facility,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to the corresponding object. A safety distance for a preset vehicle speed i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changing warning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한편, 상기 인식된 객체까지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안전거리보다 가까운 거리인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차선 변경 위험 경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Meanwhile, when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objec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afety distance,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provides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with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danger warning information. .

그러나, 상기 주행 상황 인식부(104)에서 인식된 객체가 차량인 경우에,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인식된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기 설정된 차선 변경을 위한 안전 거리)인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차선 변경을 위한 충분한 거리가 아닌 경우에는 차선 변경 판단부(106)은 차선변경 위험 경고 정보의 생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However, when the object recognized by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is a vehicle,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s a sufficient distance for lane change (preset safety for lane change). distance),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distance is not sufficient for lane change,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danger warning information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한편, 상기 인식된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인 경우에는, 인식된 타차량 현재 감속 중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타 차량의 속도가 감속중인지의 여부는 주행 상황 인식부(104)를 통해 주변 차량의 속도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s sufficient for lane ch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gnized other vehicle is currently decelerating. Here, whether or not the speed of another vehicle is decelerating can be determined by recognizing a change in speed of surrounding vehicles through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

상기 판단 결과, 인식된 측 전방 즉, 차선 변경방향의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감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차선 변경 주의 경고를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하고, 인식된 측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가속중일 경우에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목적지 경로안내를 위한 차선 변경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As a result of the abov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ahead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decelerating, the lane-change determining unit 106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a lane-changing caution warning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recognized side is accelerating, the lane change determining unit 106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한편,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주행 상황 인식부(104)로부터 제공되는 주행 상황 정보로부터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Meanwhile, the lane change determiner 106 determines whether an object exists behind in the lane change direction from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4 .

판단 결과,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an object exists behind the lane change direction, the lane change determiner 106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object is a vehicle.

판단 결과, 후방에 있는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목적지 경로 안내를 위한 차선변경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ar object is not a vehicle,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for guidance of a destination route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

그리고,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서 인식된 객체가 차량인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인식된 상기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기 설정된 차선 변경을 위한 안정 거리)인지를 확인한다. And, if the object recognized from the rear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a vehicle, the lane-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a sufficient distance for lane-changing (preset stable distance for lane-changing). Check the

확인 결과, 상기 인식된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가 아닌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차선 변경 위험 경고 정보 생성을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in the recognized lane-changing direction is not a sufficient distance for lane-changing, the lane-change determining unit 106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changing danger warning information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 is provided.

그러나, 상기 인식된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인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상기 후방 차량이 현재 가속 중인지를 판단한다. However, if the distance from the rearward vehicle in the recognized lane-changing direction is sufficient to enable lane-changing, the lane-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determines whether the rearward vehicle is currently accelerating.

판단 결과, 상기 후방 차량이 가속 상태인 경우, 차선 변경 판단부(106)는 차선 변경 주의 경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ar vehicle is accelerating,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provides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warning warning information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

반대로, (253) 상기 후방 차량이 감속상태로 판단되면, 목적지 경로안내를 위한 차선변경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안내 정보 처리부(107)로 제공한다. Conversely, when it is determined (253) that the rear vehicle is decelerating, a control signal for generat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is provided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따라서, 안내 정보 처리부(107)은 상기 차선 변경 판단부(106)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선 변경 안내정보, 주의 경고 정보, 위험 경고 정보, 차선 이탈 경고 정보, 급회전 구간 정보를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HUD 단말기, 표시장치를 구비한 계기판 등 정보 전달 매체에 따라 시각, 청각, 촉각 정보 전달 방법을 활용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07 provides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danger warning information, lane departure warning information, and sharp turn s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6 for navigation,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livery medium, such as a HUD terminal, a dashboard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etc.,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are used to enable the driver to check.

상기한 본 발명에 따란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의 동작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4A and 4B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차량의 주변 도로 및 주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센서(카메라, Lidar, Radar 등)로부터 주행 상황을 수집한다 (S201). First, as shown in FIG. 4A , driving conditions are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camera, lidar, radar, etc.) to determine surrounding roads and driving conditions of the driving vehicle (S201).

또한, 경로안내를 위하여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주행 도로 속성 정보와 경로 안내 정보를 수집한다(S203).In addition,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re collect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for route guidance (S203).

이서, 상기 S201 단계에서 수집된 주행 상황 정보로부터 주행도로의 차선을 인식한다(S205).Subsequently, lanes of the driving road are recognized from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201 (S205).

한편, 상기 S203 단계에서 수집된 주행 도로 속성 정보와 상기 S205 단계에서의 차선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선을 기준으로 현 차량의 주행 차선을 판단한다(S207).Meanwhile, the driving lane of the current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enter line using the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203 and the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in step S205 (S207).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의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고(S209), 판단결과,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 경우, 자 차량의 현재 주행 차선과는 관계없이 현 구간이 급회전임을 경고한다(S211). 즉, 상기 급회전 구간 경고는 다양한 정보 전달 매체(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계기판, 스마트폰, HUD 단말기 등)의 표시장치에 급회전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경보 메시지를 출력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tion of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s a sharp turn section (S209),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a warning is given that the current section is a sharp turn regardless of the current driving lane of the user vehicle (S211). . That is, the sharp turn section warning displays a sharp turn warning message on a display device of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dia (eg, navigation, instrument panel, smart phone, HUD terminal, etc.) or outputs a warning message by voice.

한편, 상기 S209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자 차량의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상기 S203 단계에서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경로 안내 정보 및 주행 도로 속성 정보와, 상기 S205 단계와 상기 S207단계에서 인식된 차선 인식 정보 및 주행 차선 판단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212, S213).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9, when the driving lane section of the own vehicle is not a sharp turn section,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navigation system in step S203 and the driving road attribute information in steps S205 and S207 Using the recognized lan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driving lane determination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S212 and S213).

상기 차선 변경 여부 판단 결과,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선택에 따른 조작 신호 즉, 방향 지시등, 조향각 및 차선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차선변경 시도를 확인한다(S214).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lanes, if a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the driver's attempt to change lanes is confirmed using a manip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that is, direction indicators, steering angle, and lane information (S214).

만약, 운전자 의도에 의한 차선변경이 아닌 경우, 자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한다(S215).If the lane change is not caused by the driver's intention, whether or not the own vehicle departs from the lane is determined (S215).

판단 결과, 차선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차선 이탈이 이루어졌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17). 여기서, 차선 이탈 여부에 대한 판단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has departed, the driver is warned that lane departure has occurred as shown in FIG. 4B (S217). Here,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lane departure is already know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나, 상기 S213단계에서,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하여 차선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S214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운전자 의도에 의하여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을 확인한다(S219).However, in step S213,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or if the lane is changed due to the driver's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4, the direction of the lane to be changed is checked (S219).

이어,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확인되면, 주행 상황 인식 정보 예를 들면, 카메라 및 각종 센서들을 이용하여 주행하고 있는 차선의 주변 객체 존재여부, 객체와의 거리, 주변 객체가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의 가속 및 감속 정보 등을 이용하여 변경하려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타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21). Then, when the lane to be changed is confirmed,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re is an object around the driving lane using a camera and various sensors, the distance to the object, and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if the surrounding object is a vehicle and deceleration information, etc.,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other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lane direction to be changed (S221).

판단 결과, 변경하려는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차선 변경시 위험함 상태임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2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re is a vehicle driving on the side of the direction to be changed, the driver is warned that the lane change is dangerous (S223).

그러나, 만약 차선변경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행 상황 정보 즉, 자차량의 주변 차선에 객체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25, S227). 여기서, 상기 객체는 차량, 보행자, 시설물 등이 될 수 있다. However, if there is no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using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whether an object exists in the lane around the host vehicle. It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exists (S225, S227). Here, the object may be a vehicle, a pedestrian, or a facility.

상기 판단 결과,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임의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229).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an arbitrary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 change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S229).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예를 들면, 보행자나, 시설물일 경우, 주행 상황 인식 정보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231).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for example, a pedestrian or a facilit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a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S231).

판단 결과,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 보다 큰 경우에는 차선 변경시 주의하라고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3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the driver is warned to be careful when changing lanes (S233).

한편, 상기 S231 단계에서,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 보다 가까운 경우, 차선 변경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35).Meanwhile, in step S231,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shorter than the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the driver is warned of the danger of lane change (S235).

그러나, 상기 S229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객체가 차량인 경우, 상기 인식된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기 설정된 차선 변경을 위한 안전 거리)인지를 판단한다(S237).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9, if the recognized object is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s sufficient for lane change (a preset safety distance for lane change) (S237).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가 아닌 경우, 차선 변경 위험성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3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s not sufficient for lane change, the driver is warned of the danger of lane change (S235).

그러나, 상기 S237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인 경우, 인식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해당 차량이 현재 감속 중인지를 판단한다(S230).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7, if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s sufficient for lane change, the speed of the recognized vehicle is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hicle is currently decelerating (S230).

상기 판단 결과, 인식된 측 전방 즉, 차선 변경방향의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감속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선 변경시 주의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241).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ahead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decelerating, a caution warning is provided to the driver when changing lanes (S241).

한편, S23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인식된 측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감속중이지 않을 경우, 즉, 가속중일 경우 목적지 경로안내를 위한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는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247).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0,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recognized side is not decelerating, that is, when it is accelerating,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ne change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is possible is provided to the driver (S247).

그리고, 상기 S227단계에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행 상황 정보로부터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43). And, if the object does not exist in step S227,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object at the rear of the lane change direction from th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S243).

확인 결과,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객체가 차량인지를 판단한다(S245). As a result of the check, if an object exists behind the lane change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S245).

판단 결과, 후방에 있는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목적지 경로 안내를 위한 차선 변경 가능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247).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ar object is not a vehicle, lane change possibility guidance information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is provided to the driver (S247).

그러나, 상기 S245 단계에서,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서 인식된 객체가 차량인 경우, 인식된 상기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기 설정된 차선 변경을 위한 안정 거리)인지를 판단한다(S249). However, in step S245, if the object recognized from the rear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sufficient for lane-changing (preset stable distance for lane-changing). (S249).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가 아닌 경우, 차선 변경시 위험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2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ognized distance from the rear vehicle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not a sufficient distance for lane-changing, the driver is warned of the danger of lane-changing (S223).

그러나, S249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충분한 거리인 경우, 상기 후방 차량이 현재 가속 중인지를 판단한다(S251). However, in step S249, if the distance from the rearward vehicle in the recognized lane-changing direction is a sufficient distance for lane-changing,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arward vehicle is currently accelerating (S251).

판단 결과, 상기 후방 차량이 가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차선 변경시 주의를 요할 것을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253).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vehicle is accelerating, the driver is warned to pay attention when changing lanes (S253).

그러나, S251단계에서, 상기 후방 차량이 가속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감속중일 경우, 목적지 경로안내를 위한 차선변경이 가능하다는 안내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S247). However, in step S25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vehicle is not accelerating, that is, decelerating, guidanc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is provided to the driver (S247).

상기한 바와 같은 차선 변경 가능 안내 정보, 차선 변경 주의 경고, 차선 변경 위험 경고, 차선 이탈 경고, 급회전 구간 경고는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HUD 단말기, 표시장치를 구비한 계기판 등 정보 전달 매체에 따라 시각, 청각, 촉각 정보 전달 방법을 활용하여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lane change caution warning, lane change hazard warning, lane departure warning, and sharp turn warning ar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information transfer methods are used to enable the driver to check.

본 발명에 따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Although th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scope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rela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내비게이션 102 : 센서부
103 : 차선 인식부 104 : 주행 상황 인식부
105 : 주행 차선 판단부 106 : 차선 변경 판단부
107 : 안내 정보 처리부
101: navigation 102: sensor unit
103: lane recognition unit 104: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105: driving lane determination unit 106: lane change determination unit
107: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laims (20)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선을 인식하는 차선 인식부;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 상황을 인식하는 주행 상황 인식부;
상기 차선 인식부에서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차선을 판단하는 주행 차선 판단부; 및
상기 수집된 경로 안내 정보, 상기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는 정보인 차선변경 안내정보와, 차선변경 주의경고 및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위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의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 경우, 자 차량의 현재 주행 차선과는 관계없이 현 구간이 급회전임을 경고하고,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선 변경 여부 판단 결과,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차선변경 시도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의도에 의한 차선변경이 아닌 경우, 자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차선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선 이탈이 이루어졌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판단 결과 운전자의 의도에 의한 차선변경인 경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을 확인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확인되면,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존재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차선변경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객체 존재 판단에 의해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 객체가 차량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가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인 경우,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이 현재 감속 중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감속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가속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차선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가 차량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가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인 경우,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현재 가속 중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가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감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lane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 driving situ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driving lane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urrent driving lane by using lane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ad recognized by the lane recognizing unit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that determines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indicates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lane change cau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generat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including a warning and a lane change risk warning,
The control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a warning is given that the current section is a sharp turn regardless of the vehicle's current driving lane, and the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If it is not a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lanes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When a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lane, the driver's attempt to change the lane is checked, and if the lane change is not intentional by the driver, whether or not the own vehicle departs from the lan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has departed, the driver is warned that the lane departure has occur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the route guidance or the lane change is intentional by the dri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driver must be changed. check which lane direction to do;
When the lane to be changed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ehicle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and if there is a vehicle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the lane change risk warning is issued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create;
When there is no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object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safety distance for the preset vehicle speed,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safety distance for the preset vehicle speed generates a lane change warning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lane change danger warning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shorter than a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bject present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a distance at which a lane change is possibl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the lane If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lane, a lane change risk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if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a lane changeable distance, the speed of the recognized preceding vehicle is sensed and th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preceding vehicle is currently decelera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is decelerating, a lane change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is accelerating, the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if there is no object in front,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behind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if there is an object in the rea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the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f the object is recognized as a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distance to a rear vehicle is a distance at which a lane change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not a lane changeable distance, a lane change risk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ward vehicle is a lane changeable distance. If so,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currently accelerat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accelerating, a lane change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decelerating, the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Device for providing change guida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information processor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lane change is possib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정보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 계기판, HUD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herein the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lane change is possible output from the guidanc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s output to at least one information delivery medium se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a smartphone,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는 카메라, LIDAR, RADA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LIDAR, and RADAR,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 및 경로 안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중인 차선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에 따라 주행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주행 도로의 차선 정보와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행 차선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경로 안내 정보, 상기 인식된 주행 상황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 정보에 따라 차선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는 정보인 차선변경 안내정보와, 차선변경 주의경고 및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포함하는 차선변경 위험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주행 차선의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인 경우, 자 차량의 현재 주행 차선과는 관계없이 현 구간이 급회전임을 경고하고, 주행 차선 구간이 급회전 구간이 아닌 경우, 목적지 경로 안내에 대한 차선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선 변경 여부 판단 결과,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 변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의 차선변경 시도를 확인하여 운전자의 의도에 의한 차선변경이 아닌 경우, 자차량의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차선이 이탈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선 이탈이 이루어졌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해 차선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판단 결과 운전자의 의도에 의한 차선변경인 경우, 변경되어야 할 차선 방향을 확인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이 확인되면,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존재하는 차량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차선 방향의 측면에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차선변경 방향의 측면에 주행하는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 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객체 존재 판단에 의해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객체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차량 속도에 대한 안전거리보다 가까운 경우에는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차선 변경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 객체가 차량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가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변경이 가능한 거리인 경우,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이 현재 감속 중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감속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전방 차량의 속도가 가속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차선변경 방향의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전방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차선 변경 방향의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후방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객체가 차량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객체가 차량이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객체가 차량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이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가 아닌 경우,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위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과의 거리가 차선 변경이 가능한 거리인 경우,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현재 가속 중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가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위험정보 중 차선변경 주의경고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된 후방 차량이 감속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차선변경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
Collecting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ognizing a driving lane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ognizing a driving situation according to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determining a current driving lane by using lane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driving road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that determines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collec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recognized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driving lane information, and indicates that a lane change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ontrolling to generate lane change hazard information including a caution warning and a lane change hazard warning,
The control step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a warning is given that the current section is a sharp turn regardless of the vehicle's current driving lane, and the driving lane section is a sharp turn section. If it is not a section, determining whether to change lanes for destination route guidance;
When a lane change is not necessary for route guidance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lane, the driver's attempt to change the lane is checked, and if the lane change is not intentional by the driver, whether or not the own vehicle departs from the lan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ane has departed, the driver is warned that the lane departure has occurred, and it is determined that a lane change is necessary for the route guidance, or if the lane change is intentional by the dri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change identify the lane direction to be in;
When the lane to be changed is confi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vehicle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and if there is a vehicle on the side of the lane to be changed, the lane change risk warning is issued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create;
When there is no vehicle traveling on the side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safety distance for the preset vehicle speed,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greater than the safety distance for the preset vehicle speed generates a lane change warning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lane change danger warning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shorter than a preset safety distance for the vehicle spe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bject present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is a vehicl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a distance at which a lane change is possibl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the lane If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lane, a lane change risk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if the distance to the recognized vehicle in front is a lane changeable distance, the speed of the recognized preceding vehicle is sensed and th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preceding vehicle is currently decelera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is decelerating, a lane change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danger informati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speed of the preceding vehicle is accelerating, the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in front of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if there is no object in front, determining whether an object exists behind in the lane-changing direc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a vehicle if there is an object in the rea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object is not a vehicle, the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if the object is recognized as a vehicle, determining whether the recognized distance to a rear vehicle is a distance at which a lane change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 vehicle is not a lane changeable distance, a lane change risk warning is generated from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the recognized distance to the rearward vehicle is a lane changeable distance. If so,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currently accelerating;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accelerating, generating a lane change warning among the lane change risk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ognized rear vehicle is decelerating How to provide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를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nd outputting the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lane change is possible to an information delivery medium so that a driver can check the guidance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차선 변경 가능 여부에 대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 스마트폰, 계기판, HUD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전달 매체로 출력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method of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wherein the output guidance information on whether a lane change is possible is output to at least one information delivery medium se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a smartphone, an instrument panel, and a HUD termin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로 및 주행 환경 정보는 카메라, LIDAR, RADA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하고, 상기 경로 안내 정보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것인 차선 변경 안내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method of providing lane change guidance information, wherein the road and dr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camera, LIDAR, and RADAR, and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collected from a navig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01928A 2016-01-07 2016-01-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KR102545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28A KR102545661B1 (en) 2016-01-07 2016-01-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28A KR102545661B1 (en) 2016-01-07 2016-01-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61A KR20170082761A (en) 2017-07-17
KR102545661B1 true KR102545661B1 (en) 2023-06-21

Family

ID=5944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28A KR102545661B1 (en) 2016-01-07 2016-01-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6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120B1 (en) * 2017-08-24 2022-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lane when driving lane is changed
KR101989102B1 (en) * 2017-09-13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78664A (en) 2017-12-11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US10843710B2 (en) 2018-04-11 2020-11-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KR102485352B1 (en) * 2018-04-11 2023-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pparatus,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hanging automatically operable range thereof
KR102508511B1 (en) * 2018-05-24 2023-03-09 한국자동차연구원 System for automatic driving
CN109612496B (en) * 2019-02-20 2021-03-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WO2020226138A1 (en) 2019-05-09 2020-11-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Driving support system, vehicle, and lamp for vehicle
CN113421451B (en) * 2021-06-30 2024-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Navigation processing method, navig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504A (en) * 2002-12-05 2004-07-02 Denso Corp Drive assist system
JP2005189009A (en) * 2003-12-24 2005-07-14 Aisin Aw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system
JP2012221353A (en) * 2011-04-12 2012-11-12 Denso Corp Operation support system
JP2015161966A (en) * 2014-02-26 201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lane change planning device and lane change plan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9975B1 (en) * 2011-01-03 2017-07-24 팅크웨어(주) Navigation for vehicel and land departure warning method of navigation for vehic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504A (en) * 2002-12-05 2004-07-02 Denso Corp Drive assist system
JP2005189009A (en) * 2003-12-24 2005-07-14 Aisin Aw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system
JP2012221353A (en) * 2011-04-12 2012-11-12 Denso Corp Operation support system
JP2015161966A (en) * 2014-02-26 2015-09-07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lane change planning device and lane change plann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61A (en)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ane change guide information
US20210158700A1 (en) Intelligent Driv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6084598B2 (en) Sign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sign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636948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66354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350468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5939226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4967015B2 (en) Safe driving support device
US20160304097A1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device
JP201853691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ing assistance
EP3581452A1 (en) Driving assist control device
CN110799403B (en) Vehicle control device
JP6104342B1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KR102581766B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2019077427A (en) Vehicle control device, interface device, and computer
JP2017068461A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KR201900786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of vehicle
KR1017350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danger in driving section
GB2542942A (en) Tactical threat assessor for a vehicle
US11763681B2 (en) ECU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JP2009051346A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peripheral monitoring and image display control system
JP2016224553A (en) Traff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vehicle
KR101511860B1 (en) Driver assistance systems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2006039806A (en) On-vehicle control device
CN117593874A (en) Traffic light indication system with suppression not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