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257B1 - 수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257B1
KR102545257B1 KR1020210139245A KR20210139245A KR102545257B1 KR 102545257 B1 KR102545257 B1 KR 102545257B1 KR 1020210139245 A KR1020210139245 A KR 1020210139245A KR 20210139245 A KR20210139245 A KR 20210139245A KR 102545257 B1 KR102545257 B1 KR 10254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ser
mobile phone
circadian rhyth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806A (ko
Inventor
박금성
김기순
김기율
도영국
이용석
전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3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2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7Indicating the phase of biorhyth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한 개인형 맞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수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핸드폰(100)과, 수면시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획득된 수면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1웨어러블기기(200)와, 사용자의 활동시간 동안의 광량을 파악하여 획득된 광량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2웨어러블기기(300)와,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맞는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와, 상기 핸드폰과 통신하면서 상기 일주기 리듬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수면 유도조명(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관리 시스템{Sleep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반한 개인형 맞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수면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지구 자전에 의해서 24시간의 주기를 가지고 발생하는 낮과 밤, 온도의 높낮음과 같은 반복적인 현상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인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자 외부환경에 맞춰서 생리학적인 과정이 적절한 시기에 일어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생체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생활방식의 변화로 인하여 이러한 생체주기를 따르는데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많은 현대인들이 생체시계에 가해지는 유전적 혹은 환경적인 교란에 의해서 수면-비수면 리듬이 비정상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는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s)를 겪고 있다.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환자들은 사회적으로 필요한 시간에 잠들거나 깨어나는 것에 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수면부족에 의한 증상을 호소하게 되며, 이러한 수면부족은 개인의 건강상 문제 뿐만 아니라 일의 능률을 떨어뜨리고 각종 사건 사고를 유발시키는 등 개인의 삶과 사회전반에 걸쳐 많은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심각한 사회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는바, 수면부족 개선을 위한 여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사용자가 손목에 차고 수면을 취하게 되면, 내장된 센서(Sensor)들을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와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수면상태를 측정해 주거나, 미리 설정한 취침시각과 기상시각에 맞추어 자동으로 조명이 꺼지거나 켜지는 스마트기기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면 상태에 대한 전문의료진에 의한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기기들은 이러한 점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단순히 사용자의 심박수와 움직임 등에 기초한 수면시간과 수면상태와 같은 단순한 정보만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기능을 수행하는데 그치고 있어 일주기 리듬장애로 인한 수면장애를 개선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91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 상태에 대한 정밀한 측정 및 전문의료진에 의한 정확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공되는 개인형 맞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수면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핸드폰과, 수면시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획득된 수면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1웨어러블기기와, 사용자의 활동시간 동안의 광량을 파악하여 획득된 광량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와,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맞는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와, 상기 핸드폰과 통신하면서 상기 일주기 리듬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수면 유도조명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웨어러블기기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는 안경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는 의료기관과 통신하며, 상기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은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분석한 상기 의료기관의 전문의료진들을 통해 처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몸체부와, 상기 안경테의 상단에 설치된 광량센서와, 상기 안경다리를 펼칠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마주하는 각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기 안경다리에 설치되어 각 접속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과, 상기 광량센서로부터 광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광량정보를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핸드폰은 제2웨어러블기기로부터 광량정보가 입력되는 시각을 상기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에 사용자의 취침개시 시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웨어러블기기와 제2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정밀하게 측정된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수면 유도조명이 자율적으로 동작되도룩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불균일해진 일주기 리듬이 바로 잡히면서 수면장애를 매우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의료기관의 전문의료진들을 통해 프로그래밍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료기관을 따로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수면 상태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진단과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며, 웨어러블 환경에서 의료기관과의 새로운 이익모델을 창출할 수도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요부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면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웨어러블기기의 요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핸드폰(100)과, 사용자의 수면정보를 상기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는 제1웨어러블기기(200)와, 사용자의 광량정보를 상기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는 제2웨어러블기기(300)와, 상기 핸드폰(100)과 통신하는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와, 상기 핸드폰(100)과 통신하는 수면 유도조명(5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웨어러블기기(200)는 밴드나 시계와 같이 손목에 착용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획득된 수면정보를 상기 핸드폰(100)으로 실시간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제1웨어러블기기(200)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 신호를 측정 및 수집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과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들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심박수측정센서, 혈압측정센서, 코골이 감지용 음향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수면시간 및 수면상태를 측정하는 기술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며, 상기 센서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선 및 신호선의 배치에 관한 기술구성 역시 이하 기술하는 작동관계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300)는 사용자의 활동시간 동안의 광량을 측정하여 획득된 광량정보를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300)는 착용이 용이한 안경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300)는 일반 안경과 마찬가지로 안경테(311)와 상기 안경테(311)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312)로 이루어진 안경몸체부(3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300)는 안경몸체부(310)에 설치된 광량센서(320)와, 상기 안경다리(312)를 펼칠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경테(311)와 안경다리(312)의 마주하는 각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330)와, 상기 안경테(311)와 안경다리(312)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 접속단자(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340)과, 상기 광량센서(320)로부터 광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접속단자(330)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광량정보를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3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350)은 태양광 전지판(340)에서 생상되는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와, 사용자의 핸드폰(100)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안경다리(312)에는 제어모듈(350)이 삽입되는 삽입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13)에는 밀폐용 방수마개(314)가 결합되어 상기 제어모듈(350)이 삽입공(3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상기 삽입공(313)으로 습기나 먼지가 유입되어 제어모듈(350)이 손상되는 것을 막는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312)에는 태양광 전지판(340)이 설치되는 제1안착공(3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공(315)은 삽입공(313)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태양광 전지판(340)은 제1안착공(315)을 통과하여 삽입공(313)에 삽입된 제어모듈(3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접속핀부(341)를 가진다. 상기 태양광 전지판(340)이 제1안착공(31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태양광 전지판(340)에는 제1안착공(315)과 접촉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접속단자(330)는 안경테(311)와 마주하는 안경다리(31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접속단자(331)와 상기 제1접속단자(331)와 마주하도록 상기 안경테(311)에 설치되는 제2접속단자(33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경다리(312)의 단부에는 제1접속단자(331)가 끼워지는 제1끼움공(3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공(316)은 삽입공(31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접속단자(331)는 제1끼움공(316)을 통과하여 삽입공(313)에 삽입된 제어모듈(3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접속핀부(331a)를 가진다. 상기 제1접속단자(331)가 제1끼움공(31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접속단자(331)에는 삽입공(313)과 접촉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안착공(315)과 삽입공(313)과 제1끼움공(316)으로 각각 태양광 전지판(340)과 제어모듈(350)과 제1접속단자(331)를 삽입시키기만 하면 상기 제어모듈(350)에 태양광 전지판(340)과 제1접속단자(3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태양광 전지판(340)과 제어모듈(350)과 제1접속단자(331)의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311)의 단부에는 제2접속단자(332)가 끼워지는 제2끼움공(3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311)의 상단에는 광량센서(320)가 끼워지는 제3끼움공(318)이 형성된다. 상기 광량센서(320)가 안경테(311)의 상단에 설치되는 이유는 안경다리(312)부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모발에 가려 정확한 광량을 측정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끼움공(317)과 제3끼움공(318)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접속단자(332)는 제2끼움공(317)을 통과하여 제3끼움공(318)에 끼워진 광량센서(3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3접속핀부(332a)를 가진다. 상기 제2접속단자(332)가 제2끼움공(3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접속단자(332)에는 제2끼움공(317)과 접촉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광량센서(320)는 제3끼움공(318)을 통과하여 제2끼움공(317)에 끼워진 제2접속단자(332)의 제3접속핀부(33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4접속핀부(321)를 가진다.상기 광량센서(320)가 제3끼움공(31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에는 제3끼움공(318)과 접촉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상기 제2끼움공(317)과 제3끼움공(318)으로 각각 제2접속단자(332)와 광량센서(320)를 삽입시키기만 하면 상기 제2접속단자(332)와 광량센서(3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제2접속단자(332)와 광량센서(320)의 조립이 매우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300)는 비수면시 사용자가 착용하고 다니면서 사용자가 수면에 들기 전까지 사용자가 조사받은 광량 및 광조사시간 등을 측정한다.
즉, 사용자가 제2웨어러블기기(300)를 착용하게 되면 상기 안경테(311)와 안경다리(312)의 마주하는 각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330)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어모듈(350)은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비수면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수면을 위하여 착용하고 있던 제2웨어러블기기(300)를 벗어서 안경다리(312)를 접게 되면 접속단자(330)의 접속이 끊어지게 되고 상기 제어모듈(350)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수면을 개시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잠에서 깨어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접속단자(330)들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광량센서(32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광량센서(320)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되며, 광량센서(320)가 측정한 광량 및 광조사시간 등의 광량정보는 실시간으로 제어모듈(350)에 입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취침시 안경을 벗어서 안경다리(312)를 접게 되면 접속단자(330)들 사이의 접속이 끊어지게 되며, 상기 제어모듈(350)이 사용자가 수면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하고 수면에 들기 전까지 비수면 상태 하에서 사용자에게 조사되었던 광량 및 광조사시간 등의 광량정보를 핸드폰(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핸드폰(100)은 제2웨어러블기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광량정보를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핸드폰(100)은 제어모듈(350)로부터 광량정보가 입력된 시각을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에 사용자의 취침개시 시각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제1웨어러블기기(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이상 멈춘 상태를 수면시간으로 측정하는 에러가 방지된다.
만일,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수면시간으로 기록되는 경우, 이후 설명할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 실제와 다른 수면시간이 입력되면서 정확한 수면장애 진단과 처방을 내릴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모듈(350)로부터 광량정보가 입력되는 시각을 취침개시 시각으로 전송하게 되면 실제 사용자의 수면시간이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 정확하게 반영되므로 수면장애를 개선을 위한 진단과 처방의 정확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조사되는 광량 및 광조사시간을 측정하는 이유는 수면활동이 일주기 생체리듬에 따라 분비되는 멜라토닌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멜라토닌은 인체의 뇌간에 있는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서, 낮에 햇볕에 노출이 되어야 생성이 되고 밤에 왕성하게 분비가 이루어지며 오전이 되면 분비가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성되기 시작해서 15시간이 경과하면 신체는 수면욕을 느끼게 되고, 밤에 왕성하게 분비가 이루어지는 동안 빛을 쬐게 되면 급감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수면시 사용자에게 조사된 광량 및 광조사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시간에 멜라토닌의 분비가 촉진되도록 광량 및 광조사시간을 인위적으로 조정해 주면 일주기 생체 리듬이 정상화되면서 수면장애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경다리(312)에는 접속단자(330)들 사이의 접속이 해제될 때 점등되는 LED램프(3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램프(350)는 안경다리(312)에 설치된 태양광 전지판(34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된다.
이와 같이 LED 램프(350)가 설치되면, 사용자는 수면시 LED 램프(350)가 점등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2웨어러블기기(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이 경우, 상기 안경다리(312)의 단부에는 LED 램프(350)가 끼워지는 제4끼움공(319)이 형성된다. 상기 제4끼움공(319)은 삽입공(31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LED 램프(350)는 제4끼움공(319)을 통과하여 삽입공(313)에 삽입된 제어모듈(3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5접속핀부(351)를 가진다. 상기 LED 램프(350)가 제1끼움공(31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LED 램프(350)에는 제4끼움공(319)과 접촉되는 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전송해 준다.
이 경우, 상기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는 의료기관(600)과 통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은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에 입력된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면밀히 분석한 상기 의료기관(600)의 전문의료진들을 통해 프로그래밍된다.
이렇게 프로그래밍된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는 개인별 생활 및 생체리듬에 맞춘 적정 취침시간과 수면시간 등의 정보가 입력되며, 이를 실현시킬 수 있도록 최적의 수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적정 광량과 조명시간이 시간대 별로 쳬계적으로 수립되어 있다.
상기 수면 유도조명(500)은 사용자의 핸드폰(100)과 통신하면서 상기 일주기 리듬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광량의 세기와 조명시간이 시간대별로 자율적으로 조절된다. 이러한 수면 유도조명(500)의 동작제어는 사용자의 핸드폰(100)을 통해 원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부터 조명패턴을 다운받아 수면 유도조명(500)에서 자체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면 유도 조명(500)에는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부터 조명동작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부터 다운받은 조명패턴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면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웨어러블기기(200)와 제2웨어러블기기(300)를 착용하고 생활하게 하면 제1웨어러블기기(200)가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파악한 수면정보를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실시간 전송하게 되고 제2웨어러블기기(300)가 비수면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조사된 광량을 파악하여 매일 취침전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광량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전송된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는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로 전송된 후에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 업데이트 된다.
이후, 연계된 의료기관(600)의 전문의료진들이 상기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에 입력된 각 개인별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면밀히 분석하고, 개인별 생활 패턴과 생체리듬에 맞춘 적정 취침시간과 수면시간 등을 설정한 후에, 최적의 수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적정 광량과 조명시간 등을 시간대 별로 입력하여 불균일해진 일주기 리듬을 정상적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한다.
예컨대, 야간 근로자의 경우에는 부족한 주간광을 취침시간 전까지 집중적으로 조명받도록 하며, 야외에서 장시간 근무하여 충분한 주간광을 받은 근로자의 경우에는 취침시간 전까지 점진적으로 약해지는 조도로 장시간 조명받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전문의료진은 개인별로 지속적인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 개선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이 완성되면,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의 핸드폰(100)으로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전송하게 되며, 사용자의 핸드폰(100)은 동기화된 수면 유도조명(500)에 대하여 상기 일주기 리듬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설정된 광량과 시간에 맞게 조명되도록 수면유도조명(5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수면시간 동안 활동했던 자신의 일주기 리듬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동작되는 수면 유도조명(500)을 통해 불균일해진 일주기 리듬을 바로 잡을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자연스럽게 취침 준비를 하게 되므로 수면장애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의료기관(600)을 따로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수면 상태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진단과 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되므로 몸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에게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환경에서 의료기관(600)과의 새로운 이익모델을 창출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핸드폰 200...제1웨어러블기기
300...제2웨어러블기기 310...안경몸체부관
311...안경테 312...안경다리
320...광량센서 330...접속단자
340...태양광 전지판 350...제어모듈
400...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 500...수면 유도조명
600...의료기관

Claims (6)

  1. 사용자의 핸드폰과, 수면시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획득된 수면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1웨어러블기기와, 사용자의 활동시간 동안의 광량을 파악하여 획득된 광량정보를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안경형태로 이루어 제2웨어러블기기와,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맞는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와, 상기 핸드폰과 통신하면서 상기 일주기 리듬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수면 유도조명을 포함하며;
    상기 제2웨어러블기기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양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된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몸체부와, 상기 안경테의 상단에 설치된 광량센서와, 상기 안경다리를 펼칠 경우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마주하는 각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기 안경다리에 설치되어 각 접속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과, 상기 광량센서로부터 광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였다가 상기 접속단자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광량정보를 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구비한 수면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어러블기기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수면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는 의료기관과 통신하며;
    상기 개인별 맞춤 일주기 리듬 관리 프로그램은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수면정보와 광량정보를 분석한 상기 의료기관의 전문의료진들을 통해 처방되도록 한 수면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제2웨어러블기기로부터 광량정보가 입력되는 시각을 상기 일주기 리듬 관리 서버에 사용자의 취침개시 시각으로 전송하는 수면관리 시스템,
KR1020210139245A 2021-10-19 2021-10-19 수면관리 시스템 KR10254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45A KR102545257B1 (ko) 2021-10-19 2021-10-19 수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45A KR102545257B1 (ko) 2021-10-19 2021-10-19 수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806A KR20230056806A (ko) 2023-04-28
KR102545257B1 true KR102545257B1 (ko) 2023-06-22

Family

ID=8614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245A KR102545257B1 (ko) 2021-10-19 2021-10-19 수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99B1 (ko) * 2017-04-14 2018-10-0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빛을 이용한 수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627B1 (ko) * 2019-01-23 2020-07-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주기 리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62B1 (ko) * 2014-02-26 2016-06-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It 기반 일주기 생체리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9667B1 (ko) * 2016-04-28 2018-02-14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조도 제어 장치
KR20180080917A (ko) 2017-01-05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수면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수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99B1 (ko) * 2017-04-14 2018-10-0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빛을 이용한 수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627B1 (ko) * 2019-01-23 2020-07-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일주기 리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806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444B2 (en)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US11237409B2 (en) Wearing detection module for spectacle frame
US103150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JP6559666B2 (ja) 光線療法を提供し、概日リズムを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079023B2 (en) Portable device
RU2619645C2 (ru) Персональная система сигнализации
WO2011089540A1 (en) Apparatus for influencing a biological rhythm of a person
KR20190004295A (ko) 배뇨 예측 및 모니터링
WO2011094742A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djusting a circadian pacemaker
US20180264224A1 (en) Wearable health and lifestyle device
CN106842623A (zh) 具有闹钟的电子眼科镜片
EP3857559B1 (en) Controlling light exposure for circadian phase management
WO2014162271A2 (en) Light therapy device and method
TW201446302A (zh) 醫療設備、系統及方法
WO2019153968A1 (zh) 配置调节生物节律光照装置发光参数的方法及装置
CN113993578A (zh) 用于干眼治疗的非侵入性眼周设备和用于操作该设备的闭环方法
US11058349B2 (en) Non-invasive handling of sleep apnea, snoring and emergency situations
KR102545257B1 (ko) 수면관리 시스템
KR101902899B1 (ko) 빛을 이용한 수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062522A (zh) 穿戴式光照活动记录装置
US20200398076A1 (en) Circadian rhythm monitoring and regulation system
CN109862826B (zh) 血压管理
US20230268050A1 (en) Circadian Rhythm Recommendation Model Using Light Sensors and an Intelligent Light Box
US20230200751A1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an optimal bedtime or wakeup time
Appleman A personal mobile system for self-initiated shifts in dim-light melatonin onset (DLMO) produced by the automated reporting and reminding of a light exposure/avoidance prescription (LE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