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190B1 -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190B1
KR102545190B1 KR1020200141725A KR20200141725A KR102545190B1 KR 102545190 B1 KR102545190 B1 KR 102545190B1 KR 1020200141725 A KR1020200141725 A KR 1020200141725A KR 20200141725 A KR20200141725 A KR 20200141725A KR 102545190 B1 KR102545190 B1 KR 10254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user
user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6994A (en
Inventor
김화경
Original Assignee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190B1/en
Publication of KR2022005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1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A control method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a consumer terminal, including the steps of processing product data for each category of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오프라인 리테일 환경에서의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trol method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오프라인 상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viding processed data to consumers based on data collected offline.

각종 온라인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면서, 전통적인 유통 사업도 차별화된 프로모션 방법의 개발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상품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기도 하고, 온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쇼핑의 91%는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 여정에 대한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어떤 자극과 정보를 접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정보이다. As various online businesses are active, traditional distribution businesses are also under pressure to develop differentiated promotion methods. However, many products are still sold in offline stores or online stores. In addition, 91% of shopping worldwide is still done in offline stores,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s purchase journey is the main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what stimulation and information they have encountered in offline stores.

그러나,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얻게 되는 데이터는 온라인 데이터에 비해 수집이 어려우며, 실제 소비자의 오프라인 라이프가 담긴 데이터이기 때문에 매우 가치 있는 데이터로 주목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매장 모두 소비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구매 여정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었고, 이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구매 활동을 하는 소비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도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However, data obtained through offline stores is difficult to collect compared to online data, and although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very valuable data because it contains actual consumers' offline lives, both offline stores and online stores provide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purchase journey, and accordingly, it was difficult to derive products suitable for consumers who purchase offline.

오프라인 상에서 탐색된 소비자의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로그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된 서비스 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can collect log data of consumers searched offline and effectively provide servi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collected log data to users.

일 측면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A control method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of products stored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a consumer terminal, the stor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is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 동안 누적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processing the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a period selected by the user.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및 하나 이상의 개인 정보의 요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조합 결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품 검색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product categories stored in a database and one or more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to generate a user's product search keyword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result.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수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measuring the number of product views for each product category, 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consume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number of product views for each product category to the consumer terminal. can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 및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구매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The processing of the product data includes processing the product data based on the product category-specific attribute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is included in the purchase receipt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may have been created based on

속성 정보는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하고,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프로모션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와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tribute information may include promotion information, and 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calculating a ratio of a user who visits a preset store during a promotion period and a user who visits a store during a non-promotion period.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 정보의 요소들을 조합하여 요소 별 관계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generating a relationship diagram for each element by combining elements of a plurality of pieces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개인 정보 요소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피부타입, 피부고민, 피부톤, 피부 컬러, 및 취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ersonal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gender, age, skin type, skin concern, skin tone, skin color, and taste.

다른 측면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processes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of products stored in a database, and provides the processed data to a consumer terminal;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the database may be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 동안 누적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process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a period selected by the user.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및 하나 이상의 개인 정보의 요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조합 결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품 검색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generate a user's product search keyword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result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product categories stored in the database and one or more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다.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method including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of products stored in a database and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a consumer terminal is recorde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the database is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간 동안 누적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ocessing the product data may include processing the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a period selected by the user.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소비자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다양한 구매 여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구매 여정에 기반하여 상품 판매자에게 의미 있는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로 가공함으로써 개인 맞춤형 상품 기획 등이 비즈니스 전반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various purchase journeys of consumers offline and processing meaningful data to product sellers into structured data based on the collected purchase journeys, personalized product planning, etc. can be used throughou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품 정보 이미지가 포함하는 다양한 객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데이터 수요자 단말에 표시되는 가공된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objects included i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3 to 7 are exemplary diagrams of processed data displayed on a data consumer terminal.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상품 정보 검색 장치는 상품 정보 이미지를 촬영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를 수신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과 교환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품 정보 검색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구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may be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takes a product information image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receives a product information image taken from the user terminal,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and exchanges data with the user terminal. It can also be a server that doe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a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is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사용자 단말은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a slate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has portability and mobility. As a guarante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Smart Phone) based on all types of handhelds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such as a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glasses,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상품에는 상품명이나 고유의 식별 코드가 기재되어 있다. 또는, 상품과 인접한 부분에 상품정보가 기재된 프라이스택 등이 위치할 수 있다. A product name or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written on the product. Alternatively, a price tag with product information written thereon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produc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 및 상품 정보 수신 장치(300-1, 300-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 and product information receiving devices 300 - 1 and 300 - 2 .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과 함께 인접한 주변 물체를 함께 촬영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가 촬영한 상품 정보 이미지에는 상품명, 고유의 식별 코드 또는 기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photograph a product and an adjacent object together.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may include a product nam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r other information.

상품 정보 이미지는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특정 상품을 다른 상품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이미지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명, 가격, 프로모션 정보, 및 고유의 식별 코드 등 다양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품 정보 이미지는 상품 정보가 기재된 프라이스택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상품 정보가 표면에 기재된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상품 정보가 기재된 포장재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refers to a photographed image includ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oduct or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a specific product from other products.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various objects such as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information, and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at is,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may be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price tag having product information written thereon,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product having product information written thereon, or an image obtained by photographing a packaging material having product information written thereon.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서 상품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may identify product information from a captured product information image.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specify at least one object in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도 2는 상품 정보 이미지가 포함하는 다양한 객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objects included i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에서 상품명(ob1), 가격(ob2, '할인 전 가격', '할인 후 가격' 등), 프로모션 정보(ob3, '1+1', '할인', '적립', '사은품 증정' 등), 및 고유의 식별 코드(ob4) 중 적어도 어느 한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모델을 사용하여 객체를 특정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딥러닝 R-CNN ("Rich Feature Hierarchies for Accurate Object Detection and Semantic Segmentation, Ross Girshick, Jeff Donahue, Trevor Darrell and Jitendra Malik, in CVPR 2014" 참고) 모델에 기반하여 객체 탐지 기술(Object Detection)로써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roduct name (ob1), a price (ob2, 'price before discount', 'price after discount', etc.), promotion information (ob3, '1+1', 'price after discount', etc.) in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At least one of 'discount', 'accumulation', 'gift presentation', etc.), an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b4 may be specified.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100 may specify an object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s an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100 may use a deep learning R-CNN (" Rich Feature Hierarchies for Accurate Object Detection and Semantic Segmentation, Ross Girshick, Jeff Donahue, Trevor Darrell and Jitendra Malik, in CVPR 2014") An object can be specified by object detection technology based on the model.

합성곱 신경망 모델에서의 '합성곱(Convolution)' 연산은 이미지의 구성 요소를 추출내는 연산으로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convolution' operation in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is an operation that extracts components of an image and can be implemented based on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20115086502-pat00001
Figure 112020115086502-pat00001

수치화 된 이미지 매트릭스에 커널 매트릭스를 통과시켜 자신의 위치 픽셀과 주변에 인접한 픽셀의 데이터를 계산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출력 매트릭스로서 저장된 데이터가 이미지의 특징을 갖는다.The result is derived by passing the kernel matrix through the digitized image matrix to calculate the data of the pixel at its own location and the pixels adjacent to the periphery, and the data stored as the output matrix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다만, 합성곱 연산만을 지속하면 특정 시점부터 정확도가 떨어지는 오버 피팅이 발생하게 되는데, 오버 피팅을 방지하기 위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출력 매트릭스의 인접값에서 큰 값으로 풀링(Pooling)할 수 있고, 드롭아웃(Dropout)을 수행할 수 있다.However, if only the convolution operation is continued, overfitting with low accuracy occurs from a certain point in time. In order to prevent overfitting,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pool with large values from adjacent values of the output matrix. Yes, and dropout can be performed.

이후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데이터 분류 알고리즘(예를 들어, SVM(Support Vector Machine), SoftMax)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 이미지에서 객체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고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extract the location of an object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using a data classification algorithm (eg, Support Vector Machine (SVM), SoftMax) and may specify the object.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객체를 특정하기 이전에, 상품 정보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어, 이미지 이진화 변환, 노이즈 제거, 주변 배경 제거, 및 해상도 변경 등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before specifying the object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Pre-processing may be, for example, performing image binarization conversion, noise removal, surrounding background removal, resolution change, and the like.

일 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에서 프라이스택 이미지를 추출하고, 프라이스택 이미지를 균일 사이즈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라이스택 내 객체들의 좌표를 계산하여 좌표 별 수치데이터로 객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이러한 좌표에 따른 이미지의 수치 데이터에 기반하여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extract a price stack image from a product information image and convert the price stack image into a uniformly sized image. In addition, by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objects in the price stack, the image data of the object can be converted into numerical data using numerical data for each coordinat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specify an object based on numerical data of an image according to these coordinates.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 내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전체 이미지 영역을 판독하여 텍스트를 식별하거나, 특정된 객체 별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identify text in a photographed image and extract text data.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identify text by reading the entire image area or may identify text for each specified object.

일 실시 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광학적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방식 등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 이미지 내의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detect text i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method or the like.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정확하게 텍스트를 검출하기 위해, 인식된 텍스트 결과 중 오탈자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나눈 후 오인식된 상품명과 보정된 상품명을 매칭하여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ext,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learn a deep learning model by matching the misrecognized product name with the corrected product name after classifying cases with and without typos among the recognized text results.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메타 정보로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촬영시간에 대한 정보 또한 메타 정보로서 획득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는 상품 정보 이미지로부터 촬영좌표를 추출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고, 별개의 GPS 등을 수집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a place where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was photographed as meta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shooting time may also be obtained as meta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shooting coordinates from a product information image, or may be obtained by collecting a separate GPS or the like.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인식된 객체 별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 이미지가 촬영된 상품의 속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store attribute information of a product in which a product information image is captured based on text data for each recognized object in a 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에 포함된 것일 수 있고 별도의 서버 또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적 위치가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베이스가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에 포함된 것으로서 설명한다.The database may be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or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server or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nd the hardware location is not limit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atabase is included i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의 카테고리 별로 해당 상품의 속성 정보(예를 들어, 상품명, 가격, 프로모션 정보, 성분, 및 고유의 식별 코드 등)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상품 정보 이미지가 촬영된 장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 이미지에 상응하는 매장정보를 특정하고, 매장 정보 또한 속성 정보로서 함께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store attribute information (eg,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information, ingredients, unique identification code, etc.) of a corresponding product for each product category in a database. 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specify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place where the product information image was photographed, and store the store information as attribute information as well.

일례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딥러닝 기반 예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품의 속성 정보를 벡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vectorize and store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using a deep learning-based prediction algorithm.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Word2Vec을 활용하여 화장품 유형별 성분, 속성 정보를 벡터화하고, CBOW(Continuous Bag-of-Words) 모델을 활용하여 화장품 성분 사이의 거리를 벡터화할 수 있다. Word2Vec과 CBOW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추후 유저의 촬영 기록과 검색 내역 등의 기입 내용에 근거하여 산출된 속성 정보와 벡터상 가까운 거리의 성분이 포함된 제품이 추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vectorize ingredient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cosmetic type by using Word2Vec, and vectorize the distance between cosmetic ingredients by using a Continuous Bag-of-Words (CBOW) model. Since Word2Vec and CBOW are 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This is to allow a product including a component that is close to the property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photographing record and search history to be recommended later.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촬영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촬영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수신하여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과 교환하는 서버가 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로 구현되어 구매 영수증 이미지를 획득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capture a purchase receipt image or obtain it from an external device. Similarly in this cas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be a user terminal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that takes a purchase receipt image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or receives a purchase receipt image captur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xample in which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and obtains a purchase receipt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구매 영수증에는 다양한 상품의 구매와 관련된 정보가 기재되어 있다.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가 촬영한 구매 영수증에는 매장 정보, 상품명, 가격, 프로모션 정보, 수량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자 정보, 및 고유의 식별 코드 등 다양한 구매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The purchase receipt contain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rchase of various products. The purchase receipt photographed b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may include various purcha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store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information, quantity information, purchase time information, buyer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

구매 영수증 이미지는 소비자의 구매 내역에 대해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매 영수증 이미지는 구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정보는 매장 정보, 구매자 정보(성명, 전화번호 등), 상품명, 가격, 프로모션 정보, 수량 정보, 구매 시기 정보, 구매자 정보, 및 고유의 식별 코드 등 다양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 영수증 이미지는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촬영된 지면 영수증을 촬영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온라인 상에서 발행된 온라인 영수증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The purchase receipt image refers to an image in which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a consumer's purchase details is photographed. For example, the purchase receipt image may include purchase information. Purchas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various objects such as store information, buyer information (name, phone number, etc.),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information, quantity information, purchase time information, buyer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The purchase receipt image may be an image of a paper receipt directly photographed offline or an image of an online receipt issued online.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촬영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서 구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identify purchase information from the captured purchase receipt image.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specify at least one object in the purchase receipt image.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서 매장 정보, 상품명, 가격, 프로모션 정보, 수량 정보, 구매 시기 정보, 및 고유의 식별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한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모델을 사용하여 객체를 특정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MobileNet ("MobileNets: Effici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Mobile Vision Applications, Howard AG, Zhu M, Chen B, Kalenichenko D, Wang W, Weyand T, Andreetto M, Adam H, arXiv:1704.04861, 2017.; MobileNetV2: Inverted Residuals and Linear Bottlenecks, Sandler M, Howard A, Zhu M, Zhmoginov A, Chen LC. arXiv preprint. arXiv:1801.04381, 2018." 참고) 모델에 기반하여 객체 탐지 기술(Object Detection)로써 객체를 특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specify at least one of store information, product name, price, promotion information, quantity information, purchase time information, and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 the purchase receipt image.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100 may specify an object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s an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100 may use MobileNet ("MobileNets: Efficien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Mobile Vision Applications, Howard AG, Zhu M, Chen B, Kalenichenko D, Wang W, Weyand T, Andreetto M, Adam H, arXiv:1704.04861, 2017.; MobileNetV2: Inverted Residuals and Linear Bottlenecks, Sandler M, Howard A, Zhu M, Zhmoginov A, Chen LC. arXiv preprint. arXiv:1801.04381, 2018.") An object can be specified by object detection technology based on the model.

MobileNet 모델은 깊이 방향으로 나눈 합성곱 레이어를 이용하여 간소화된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모델로서, 전체 이미지에 대한 합성곱을 연산하되, 채널별 합성곱과 1 x 1 합성곱으로 인수분해함으로써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들을 탐지할 수 있게 된다. MobileNet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방식보다 이미지의 크기 및 형태 측면에 비교적 적은 제약을 받으면서, 빠른 속도로 객체 탐지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모바일 기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모델 활용성이 높아진다.The MobileNet model is a model based on a simplified structure using a convolutional layer divided in the depth direction. The convolutional product for the entire image is calculated, but factored into convolutional products per channel and 1 x 1 convolutional product, so that the purchase receipt image Included objects can be detected. In the case of using the MobileNet model, it is possible to detect objects at high speed while being relatively less constrained in terms of size and shape of images than conventional methods. In particular, the usability of the model in a user terminal such as a mobile device is increased.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객체를 특정하기 이전에,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처리는 예를 들어, 이미지 이진화 변환, 노이즈 제거, 주변 배경 제거, 및 해상도 변경 등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perform pre-processing on the purchase receipt image before specifying the object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purchase receipt image. Pre-processing may be, for example, performing image binarization conversion, noise removal, surrounding background removal, resolution change, and the like.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촬영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 내의 텍스트를 식별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전체 이미지 영역을 판독하여 텍스트를 식별하거나, 특정된 객체 별 텍스트를 식별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identify text in the captured purchase receipt image and extract text data.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identify text by reading the entire image area or may identify text for each specified object.

일 실시 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광학적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방식 등을 이용하여 구매 영수증 이미지 내의 텍스트를 검출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detect text in the purchase receipt image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method or the like.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perform post-processing on text data.

일 실시예로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의 글자 단위 정보 및 텍스트 문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후처리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post-process text data based on at least one of character unit information and text context information of the purchase receipt image.

예를 들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프로모션 정보가 훼손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서 % (퍼센트) 혹은 - (차감) 부호를 통해 가격 할인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프로모션 정보로서 추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infer, as promotion information, that a price discount event has occurred through a % (percent) or - (minus) sign in the purchase receipt image in which the promotion information is damaged.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특정 객체 정보가 훼손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서 주변 텍스트들 간의 문맥 정보를 활용해 특정 객체가 어떤 객체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매칭시켜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mat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by utilizing contextual information between surrounding texts in a purchase receipt image in which specific object information is damaged.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의 속성 정보와 구매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구매 정보를 사용자에 매칭시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match user purchase information acquired from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a user terminal and a purchase receipt image to a user, and store the matched product information in a database.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별도의 개인 정보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개인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나이, 피부타입, 피부고민, 피부톤, 피부 컬러, 취향 등)과 상품의 속성 정보 및 구매 정보를 매칭시켜 최종적으로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회원가입 정보로서 획득 또는 입력된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obtain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from a separate personal information server, and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eg, the user's gender, age, skin type, skin concern, skin tone) , skin color, taste, etc.) and attribute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of the product are matched to finally store product information of interest for each user.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cquired or input as membe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의 속성 정보보다 구매 영수증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구매 정보에 더 가중치를 두어 저장할 수도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촬영하여 검색한 상품보다 실제로 구매한 상품이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반영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place more weight on the user's purchas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urchase receipt image than the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fact, this is because the product actually purchased reflects the user's preference more than the product photographed and searched for by the user.

이와 같이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가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획득된 경우, 잠재적 소비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상품을 특정할 수 있게 되고, 잠재적 소비자의 구매 예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interest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users, it is possible to specify a product of interes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of potential consumers, and to predict purchase of potential consumers.

정확한 구매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들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별 관심 상품 정보를 토대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accurately predict purchase,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may perform a test based on product information of interest for each user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users.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수학식 2와 같은 이분형 로지스틱스 회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100 may perform a test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such as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112020115086502-pat00002
Figure 112020115086502-pat00002

y는 종속변수로서 상품 조회 여부(상품 정보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품을 직접 사용자 단말을 통해 키워드 검색한 것을 포함함) 또는 상품 구매 여부이며 X는 독립변수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로서 독립변수에는 개인 정보의 요소(예를 들어, 성별, 나이, 피부타입, 피부고민, 피부톤, 피부 컬러, 취향 등)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확보되는 다양한 사용자의 온라인 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y is a dependent variable, whether or not a product is viewed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images taken or products directly searched by keyword through a user terminal) or whether a product is purchased, and X is a matrix made up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gender, age, skin type, skin concern, skin tone, skin color, taste, etc.) and online activity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may be included.

이와 같은 테스트를 통해서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같은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들(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나이, 피부타입, 피부고민, 피부톤, 피부 컬러, 취향 등) 중 상품 조회 또는 상품 구매 여부에 유의미한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나아가 특정 상품을 조회하거나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a test, the elements constituting user information (eg, information about the user such a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activity information) (eg, the user's gender, age, skin type, skin concerns, Skin tone, skin color, taste, etc.), which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inquiry or purchas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elect users who are highly likely to view or purchase a specific product.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는 딥러닝 알고리즘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적용한 상품 구매/조회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어느 사용자 정보를 갖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을 조회 또는 구매할 확률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타깃 광고할 사용자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추천할 상품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probability that a user having certain user information searches for or purchases a specific product by using a product purchase/view prediction model to which at least one of a deep learning algorithm an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applied, and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user to be targeted for advertisement and to determine a product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상품 구매 및 조회 예측 모델은 순환 신경망 모델(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LSTM(Long-Short Term Memory)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The product purchase and inquiry prediction model may include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nd may be, for example, one using Long-Short Term Memory (LSTM).

이와 같이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가 오프라인에서의 사용자의 여정의 전과정을 데이터화함으로써 상품의 구매와 조회에 대한 의사결정의 요인을 도출할 수 있게 되고, 오프라인 사용자의 구매 예측을 통해 리테일사나 제조사에게 실무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oduct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100 converts the entire process of the offline user's itinerary into data, thereby deriving decision-making factors for product purchase and inquiry, and providing retailers or manufacturers with purchase predictions of offline users. It can provide practical insights.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오프라인 리테일의 단말(300-1) 또는 상품 제조사의 단말(300-2)과 같은 별도의 데이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cesses product data based on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a database, and transfers the processed data to an offline retail terminal 300-1 or a product manufacturer terminal 300-2. ) can be provided to a separate data consumer terminal such as

도 3 내지 도 7은 데이터 수요자 단말에 표시되는 가공된 데이터의 예시도이다.3 to 7 are exemplary diagrams of processed data displayed on a data consum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기간(도 3 및 도 4에서는 10월 2주차 동안) 동안 누적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ocess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period selected by the user (during the second week of October in FIGS. 3 and 4 ).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한 오프라인 리테일 매장(도 3 및 도 4에서는 매장A) 기준으로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also process product data based on a specific offline retail store (store A in FIGS. 3 and 4 ).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 기간 동안 누적된 카테고리 별 상품의 조회/구매 데이터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의 요소 별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generat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el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inquiry/purchase data of products for each category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period.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일주일간 누적된 상품 조회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느 성별, 연령을 가진 사용자들이 스킨케어-에센스 카테고리에 속한 상품을 많이 조회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다. 가공된 데이터는 수요자 단말(300-1, 300-2)로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which gender and age users most frequently searched for products belonging to the skincare-essence category based on product inquiry data accumulated for a week. After determining, product data may be processed. The processed data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상품 별 카테고리, 및 하나 이상의 개인 정보의 요소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하여 조합 결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상품 검색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generate a user's product search keyword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result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categories for each product and at least one el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이라는 상품 카테고리, 및 여성 및 20대가 개인 정보의 요소로서 선택된 경우, 여성 및 20대의 사용자들이 스킨케어-크림 카테고리의 상품을 조회하였을 때 가장 많이 검색한 키워드를 판단하고, 해당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연결관계를 수요자 단말(300-1, 300-2)로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a product category called cream and women and women in their 20s are selected as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women and users in their 20s search for products in the skin care-cream category most frequently. One keyword may be determined,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ing keyword and the keyword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상품 카테고리 별 조회수 또는 구매횟수를 측정하고, 이를 순위화할 수도 있다. Also, 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measure the number of views or purchases for each product category and rank them.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 기간 동안 누적된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구매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매장에 방문한 사용자들의 행동 분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generate a behavioral analysis result of users visiting a specific store based on product search/purchase data for each category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perio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프로모션 기간 동안 특정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예를 들어, 특정 매장의 상품 정보 이미지를 획득한 사용자 또는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 의해 판단된 사용자)와 비 프로모션 기간(평소 기간) 동안 방문한 사용자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a user who visited a specific store during the promotion period (eg, a user who obtained a product information image of a specific store or a user determined by a purchase receipt image). ) and the percentage of users who visited during the non-promotional period (usual period) can be calculated.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프로모션 기간 또는 비 프로모션 기간 별로 사용자의 재방문 횟수를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revisits of the user for each promotion period or non-promotion perio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프로모션 기간 동안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고,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를 분류할 수도 있으며, 분류 결과를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classify a user who has visited only once during a promotion period and a user who has visited multiple times during a promotion period, and a user who has visited only once and a user who has visited multiple times during a non-promotion period. Classification may be performed, and classification results may be provided to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 기간 동안 행해진 각 프로모션 별로 사용자의 방문율과 상품 조회율을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determine a user's visit rate and product inquiry rate for each promotion performed during a specific period.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프로모션A, 프로모션B, 및 프로모션C의 상품 조회율(검색률)과 매장 방문율을 함께 매핑시킬 수 있으며, 매핑된 결과는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map product inquiry rates (search rates) and store visit rates of Promotions A, Promotions B, and Promotions C together, and the mapped result is a consumer terminal. (300-1, 300-2) can be provided.

이를 토대로, 데이터 수요자(오프라인 리테일 담당자 또는 제조업자)는 어느 프로모션이 상품 조회가 많았는지, 또는 매장 방문이 많았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this, the data consumer (offline retail manager or manufacturer) can determine which promotion has the most product inquiries or store visits.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각 프로모션의 방문객 패턴을 시기 별로 데이터화 할 수 있고, 이를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convert visitor patterns of each promotion into data for each period, and provide the data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이에 따라 수요자 단말(300-1, 300-2)은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의 매장 방문율과 프로모션 기간 동안의 매장 방문율을 시간 순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can grasp the store visit rate during the non-promotion period and the store visit rate during the promotion period in chronological order.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개인 정보의 요소들을 조합하여 요소 별 관계도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generate a relationship diagram for each element by combining a plurality of elements of personal information.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의 피부타입(건성, 복합성, 지성)과 피부고민(미백, 주름, 트러블, 건조함, 유분기) 간의 연관 관계를 상품 조회/구매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할 수 있고, 연관 관계를 도표로 도식화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searches products for a relationship between a user's skin type (dry, combination, oily) and skin concerns (whitening, wrinkles, trouble, dryness, oiliness). /You can judge based on the purchase data, and you can diagram the relationship.

구체적으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건성 피부를 갖는 사용자들이 건조함 및 유분기에 대해 가장 많은 피부고민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건성 피부"의 도표 상에 건조함과 유분기에 진한 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합성 피부를 갖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피부고민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각 피부고민을 순위화하여 높은 순위를 기록한 피부고민에 대해서 더 진한 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finds that users with dry skin have the most skin concerns about dryness and oiliness, the dryness and oily spots are displayed on the "dry skin" chart. can be made In addition, if it is recognized that users with combination skin have various skin concern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rank each skin concern and display a darker point for skin concerns with a higher rank.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오프라인 리테일 매장 별 방문율을 집계할 수도 있고, 집계된 방문율을 토대로 오프라인 리테일 매장의 방문율을 순위화하여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aggregate visit rates for each offline retail store, rank the visit rates of offline retail stores based on the aggregated visit rates,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It is also possible to do

한편,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상품 별 레포트를 생성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generate and deliver reports for each product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도 6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특정 기간(예를 들어, 10월) 동안 특정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율(검색량), 특정 상품을 조회한 사용자 정보의 통계적 분석결과, 경쟁사 제품과의 비교 결과를 레포트화 하여 주기적으로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a user's inquiry rate (search amount) for a specific product for a specific period (eg, October), a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f user information that has viewed a specific product, Comparison results with competitors' products can be made into a report and periodically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10월 동안 상품A에 대한 상품 조회수(월간 검색량)를 계산하고, 상품A를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와 상품A가 가장 많이 조회된 매장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calculates the number of product views (monthly search volume) for product A during Octob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stores that sell product A and information on stores where product A is most frequently viewed. may be determin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10월 동안 매장 별 상품A의 상품 조회수를 순차적으로 나열하고, 순위 정보를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sequentially list the number of product views of product A for each store during October and provide ranking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 - 1 and 300 - 2 .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상품A의 조회수를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매장 별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매장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Als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arrange the number of views of product A in chronological orde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rrange by store, or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by summing the number of views of a plurality of stores.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레포팅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경쟁 상품을 판단하고, 경쟁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또한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determine competing products of the product to be reported and provide product information on the competing products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레포팅의 대상이 되는 상품A와 속성 정보가 비슷한 경쟁 상품인 상품B를 판단하고, 경쟁 상품B의 상품 조회수를 계산하고, 경쟁 상품B를 판매하는 매장의 정보와 경쟁 상품B가 가장 많이 조회된 매장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를 수요자 단말(300-1, 300-2)에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7 ,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product B, which is a competitive product having similar attribute information to product A, which is a reporting target, calculates the number of product views of competing product B, and Information on stores selling Product B and information on stores where Competitive Product B is most frequently inquired may be determin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또한,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는 레포팅의 대상이 되는 상품A의 상품 조회수와 경쟁 상품B의 조회수를 시계열적으로 도표화할 수 있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상에서 레포팅의 대상이 되는 상품A에 언급된 횟수를 또한 소셜 지수로서 함께 도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may time-sequentially chart the number of product views of product A and the number of views of competitor product B, which are the subject of reporting, on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number of times a product A is mentioned can also be plotted together as a social index.

이와 같이 시계열적으로 지수를 도표화함으로써 데이터 수요자는 어느 시기에 특정 상품의 프로모션 효과가 증대하는지 예측 가능해 진다.By charting the index in a time series like this, data consumers can predict at what time the promotion effect of a specific product will increas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요자 단말(300-1, 300-2)은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요자(예를 들어, 오프라인 리테일 매장의 관리자, 제조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display the data received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to the data consumer (eg, offline retail store manager or manufacturer). .

수요자 단말(300-1, 300-2)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s or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displays.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a slate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has portability and mobility. As a guarante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Smart Phone) based on all types of handhelds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earable device such as a watch, ring, bracelet, anklet, necklace, glasses, contact lens, or head-mounted-device (HMD).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 및 수요자 단말(300-1, 300-2)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nd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are provided with hardware resources and/or software requir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a single physical component or a single device. That i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refer to a logic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or software provided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necessary, it is installed in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erform each function, thereby pres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logical configuration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또한, 상품 정보 검색 장치(100), 상품 정보 제공 장치(200), 및 수요자 단말(300-1, 300-2)은 각각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duct information search device 100,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200, and the consumer terminals 300-1 and 300-2 are algorith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constituting each or a program reproducing the algorithm.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 memory that stores a database for applications,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the database stored in the memory.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Claims (13)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 - 상기 속성 정보는 프로모션 정보를 포함함 - 및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 및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고,
상기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기간 동안 누적된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정보의 요소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요소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들이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에 대한 조회용으로 가장 많이 검색한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모션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와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중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의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중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의 제3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는,
상기 제1 비율, 상기 제2 비율 및 상기 제3 비율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of products stored in the database, the attribute information including promo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and
Including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consumer terminal,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the database is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a user terminal;
Processing the product data,
Based on product search data for each category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period selected by the user, the most searched keywords for product search of a specific category by specific user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elements selected from among the elemen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generating;
Calculating a first ratio between a user who visits a preset store during a promotion period and a user who visits the store during a non-promotion period;
calculating a second ratio between a user who visited the store only once and a user who visited the store multiple times among users who visited the store during the promotion period; and
calculating a third ratio between a user who visited the store only once and a user who visited the store multiple times among users who visited the store during the non-promotion period;
including,
The processed data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A control method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ratio, the second ratio, and the third ratio.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수를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cessing the product data,
Including the step of measuring the number of product views by category of the product,
Providing the processed data to the consumer terminal,
A control method of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sumer terminal with the number of product views for each category of the produ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 및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구매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구매 영수증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인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cessing the product data,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category-specific attribute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of products stored in the database;
The control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herein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generated based on a purchase receipt image captured by a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개인 정보의 요소들을 조합하여 요소 별 관계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cessing the product data,
The control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 relationship diagram for each element by combining elements of a plurality of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의 요소들은, 성별, 나이, 피부타입, 피부고민, 피부톤, 피부 컬러, 및 취향 중 적어도 둘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men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 at least two of gender, age, skin type, skin concern, skin tone, skin color, and taste.
상품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속성 정보 및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데이터를 수요자 단말에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의 카테고리 별 상품의 속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상품 정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 데이터를 가공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기간 동안 누적된 카테고리 별 상품 조회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개인 정보의 요소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요소에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들이 특정 카테고리의 상품에 대한 조회용으로 가장 많이 검색한 키워드를 생성하고,
프로모션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와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중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의 제2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비 프로모션 기간 동안 상기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 중 1회만 방문한 사용자와 복수 번 방문한 사용자의 제3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수요자 단말에 제공되는 상기 가공된 데이터는,
상기 제1 비율, 상기 제2 비율 및 상기 제3 비율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장치.
In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a processor,
the processor,
Processing product data based on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the database and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Provide the processed data to the consumer terminal,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product category stored in the database is generated based on a product informatio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When the processor processes the product data,
Based on product search data for each category accumulated during a specific period selected by the user, the most searched keywords for product search of a specific category by specific users corresponding to at least two elements selected from among the element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create,
Calculating a first ratio of users visiting a preset store during a promotion period and users visiting the store during a non-promotion period;
Calculate a second ratio between users who visit the store only once and users who visit the store multiple times among users who visit the store during the promotion period;
Calculate a third ratio of users who visit the store only once and users who visit the store multiple times among users who visit the store during the non-promotion period;
The processed data provided to the consumer terminal,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ratio, the second ratio, and the third ratio.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상품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ntrol method of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7 and 8 is recorded. 삭제delete
KR1020200141725A 2020-10-29 2020-10-29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451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25A KR102545190B1 (en) 2020-10-29 2020-10-29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25A KR102545190B1 (en) 2020-10-29 2020-10-29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94A KR20220056994A (en) 2022-05-09
KR102545190B1 true KR102545190B1 (en) 2023-06-20

Family

ID=8158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725A KR102545190B1 (en) 2020-10-29 2020-10-29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19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2538A (en) * 2012-03-02 2013-09-12 Culture Convenience Club Co Ltd Purchase trend analysis system
JP6607544B1 (en) * 2018-10-31 2019-11-20 ニューラルポケット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program, or method
JP2019220057A (en)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リサーチ・アンド・イノベーション Purchasing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purchasing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206A (en) * 2016-11-02 2016-1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recommending commodity information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service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2538A (en) * 2012-03-02 2013-09-12 Culture Convenience Club Co Ltd Purchase trend analysis system
JP2019220057A (en) * 2018-06-22 2019-12-26 株式会社リサーチ・アンド・イノベーション Purchasing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purchasing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 and program
JP6607544B1 (en) * 2018-10-31 2019-11-20 ニューラルポケット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program, or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94A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761B2 (en) Behavioral prediction for targeted end users
US9836756B2 (en) Emotional engagement detector
CN109582876B (en) Tourist industry user portrait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KR102091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AI model using user's time series behavior data
KR102451099B1 (en) Purchsase inducement system and method through inferencing user's need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22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item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neural network
CN111967924A (en)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commodity recommendation device, computer device, and medium
CN108197980B (en) Method/system for generating portrait of personalized shopper,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11784405A (en) Off-line store intelligent shopping guide method based on face intelligent recognition KNN algorithm
CN115311042A (en)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Mandala et al. Recognition of E-Commerce through Big Data Classification and Data Mining Techniques Inv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77840B1 (en) Device for searching goods information using user inform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45190B1 (en) Device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6777528A (en) Commodity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11634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based cross-domain recommendation service for retail kiosk
US20160148271A1 (en) Personalized Marketing Based on Sequence Mining
KR102508420B1 (en) Device for search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using purchase receipt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42299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deep learning machine vision to conduct product positioning analyses
KR102508419B1 (en) Device for searching goods information in offline retail environment using goods information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399352A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i et al. Predicting consumer in-store purchase using real-time retail video analytics
Alkhodre et al. Employing Video-based Motion Data with Emotion Expression for Retail Product Recognition
Praveen et al. Big Mart Sales using Hybrid Learning Framework with Data Analysis
Gehlot et al. Execution of market basket analysis and recommendation systems in physical retail stores to advance sales revenues
KR202200766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goods information in retail environment based on goods informatio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