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316B1 -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316B1
KR102544316B1 KR1020200073355A KR20200073355A KR102544316B1 KR 102544316 B1 KR102544316 B1 KR 102544316B1 KR 1020200073355 A KR1020200073355 A KR 1020200073355A KR 20200073355 A KR20200073355 A KR 20200073355A KR 102544316 B1 KR102544316 B1 KR 10254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duction
data
fus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890A (ko
Inventor
최진영
최재성
임동완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7/00Fuze-setting apparatus
    • F42C17/04Fuze-setting apparatus for electric fuz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1/00Electric fuzes
    • F42C11/001Electric circuits for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 F42C11/002Smart ammunition fuzes, i.e. having an integrated scanning, guiding and fir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4/00Mechanical fuzes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유도 장입 대상인 신관이 삽입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상부 유도코일부,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하부 유도코일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와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를 통해 신관 중 유도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이종의 신관에 대한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하여 각 종류에 따른 신관에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능하므로 각 신관 종류에 따른 별도의 데이터 유도 장입 장치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INDUCTIVE SETTING APPARATUS FOR DATA OF FUSE WITH DUAL COIL}
본 발명은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관은 탄환, 폭탄, 어뢰 등에 충전된 화약을 점화시키는 장치이다.
신관은 포탄이 발사된 후 후퇴관성력과 원심력 등에 의해 작동되며 발사 후 누적 회전수, 발사 후 경과된 시간, 탄착(충격) 시점, 탄착 후 경과된 시간, 목표물과의 근접 거리 등의 작동데이터에 의해 정해진 시점에 기폭관을 폭발시키게 된다.
신관은 발사 전에 작동 조건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며 통상적으로 탄의 발사 전에 작전요구성능이나 포탄에 충전된 장약의 특성, 그리고 자탄 또는 발생파편의 비산특성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입력된다.
신관의 데이터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에 의해 전자기 유도현상을 이용한 유도장입방법으로 입력된다.
종래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는 단일 코일을 이용하여 신관 내부의 코일과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하여 장입시 필요한 전력 및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유도코일과 신관 내 유도코일의 결합 위치를 상호 인턱턴스가 최대로 발생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신관의 유도코일이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유도코일 간의 결합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장입에 필요한 전력효율이 낮아지고 데이터 교환시 데이터 왜곡 및 에러율이 증가하여 장입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허 0001)한국특허등록 제1890362호 "유도장입형 신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2018.08.14.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유도코일부와 하부 유도코일부를 통해 신관 중 유도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이종의 신관에 대한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능한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유도 장입 대상인 신관이 삽입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상부 유도코일부,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하부 유도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내부에 콘 형상의 신관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외주면에 상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상부코일 권선부 및 하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하부코일 권선부가 높이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는 각각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 하 방향으로 평면의 직선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의 직경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의 사이에는 하부코일 권선부에서 감겨진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의 상부 측에는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때 상부 유도코일부는 전기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때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는 전기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일단부 측 한쪽 인출선은 커넥터의 B, C단자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타단부 측 인출선은 각각 커넥터의 A단자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되며,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고 B단자는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때 C 단자가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장입신호 인가가 차단되며,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고, B단자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고 C단자를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장입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져 위치되는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 및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져 위치되는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상부코일 승하강부 및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하부코일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부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1승하강 스크류 및 상기 제1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부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2승하강 스크류, 상기 제2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는 안쪽에 상기 제1승하강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1승하강 이동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는 상기 제1승하강 이동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승하강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안내 슬릿부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는 안쪽에 제2승하강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2승하강 이동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는 상기 제2승하강 이동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승하강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승하강 안내 슬릿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유도코일부와 하부 유도코일부를 통해 신관 중 유도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이종의 신관에 대한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하여 각 종류에 따른 신관에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능하므로 각 신관 종류에 따른 별도의 데이터 유도 장입 장치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유도 장입 대상인 신관이 삽입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를 포함한다.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는 내부에 콘 형상의 신관 삽입 공간(100a)이 형성된다.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는 외측면에 신관으로 데이터 유도 장입을 위한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가 각각 높이 차이를 두고 위치된다.
상부 유도코일부(200)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의 상부 측에 코일이 복수회 감겨진 형태로 신관 삽입 공간(100a) 내에 삽입되는 신관에 유도 기전력을 통해 데이터를 유도 장입한다.
또한, 하부 유도코일부(300)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코일이 감겨진 형태로 신관 삽입 공간(100a) 내에 삽입되는 신관에 유도 기전력을 통해 데이터를 유도 장입한다.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통한 유도장입방법은 신관과 장입기에 각각 전자기유도 코일(이하 데이터 코일)을 설치하고 양 코일간 전자기 유도작용에 따라 신관쪽 데이터코일에 기전력을 유기시키면서 장입기쪽 데이터코일을 통해 데이터를 담은 펄스파를 전송한다.
이 방법은 어떠한 전기적 접촉구성 없이도 신관의 제어부(데이터 입력부)를 활성화시켜 기폭시한 데이터를 원격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는 상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콘 형상의 외부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부 유도코일부(200)가 감겨지는 상부코일 권선부(110) 및 하부 유도코일부(300)가 감겨지는 하부코일 권선부(120)가 위치된다.
상부코일 권선부(110)와 하부코일 권선부(120)는 각각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의 외측면에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 하 방향으로 평면의 직선부를 가져 코일의 직경이 동일하게 감겨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코일 권선부(110)의 직경은 하부코일 권선부(1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유도 기전력을 통해 데이터가 장입되는 신관에 충분한 유도 기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유도코일부(200)를 통해 데이터가 장입되는 신관 즉, 상부코일 적용신관(10)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첨두부 유도코일부(11)는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통해 데이터가 장입되는 신관 즉, 하부코일 적용신관(20)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오자이브 유도코일 대비 직경이 작게 구성된다.
이에 첨두부 유도코일부(11)와 유도 기전력을 통해 상호 인덕턴스를 발생시키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직경이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와 유도 기전력을 통해 상호 인덕턴스를 발생시키는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보다 직경이 작은 첨두부 유도코일(11)과의 상호 인덕턴스가 원활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코일 권선부(110)와 하부코일 권선부(120)의 사이에는 하부코일 권선부(120)에서 감겨진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130)가 위치된다.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130)는 세로로 세워져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되어 상단부가 상부코일 권선부(110)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부코일 권선부(120)와 연결된다.
또한, 상부코일 권선부(110)의 상부 측에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140)가 위치된다.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130)와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140)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각 인출선이 기구적으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하부코일 인출선(420)과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상부코일 인출선(410)은 공통 연결선을 통해 커넥터(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상부코일 인출선(410),하부 유도코일부(300)의 하부코일 인출선(420),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인출선과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인출선을 연결하는 커넥터(500)에 연결하는 커넥터 인출선(430)은 하나의 피복으로 감싸져 인출선 케이블(400)을 구성하고, 인출선 케이블(400)은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130)와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140)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을 참고하면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상부코일 인출선(410)과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하부코일 인출선(420)은 커넥터(500)의 3개 단자와 연결된다.
이때 상부 유도코일부(200)과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일단부 측 한쪽 인출선은 커넥터(500)의 B, C단자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부 유도코일부(200)과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타단부 측 인출선은 각각 커넥터 인출선(430)을 통해 커넥터(500)의 A단자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부 유도코일부(200)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커넥터(500)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고 B단자는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때 C 단자는 전기적으로 개방시켜 장입신호 인가를 막는다.
반대로 하부 유도코일부(300)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커넥터(500)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는 것은 동일하나 B단자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고 C단자를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부 유도코일부(200)에 장입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 중 어느 하나와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신관에 위치되는 신관용 코일부 간에 상호 인덕턴스를 형성하여 장입 시 필요한 전력 및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에 신관에 위치되는 신관용 코일부는 상부 유도코일부(200) 또는 하부 유도코일부(300)와 마주보고 위치되어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로 발생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는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통해 형상이 다르고 유도코일의 위치가 다른 이종의 신관에 대한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능하게 된다.
유도 기전력을 통해 발생되는 상호 인덕턴스로 신관 내에 장입 시 필요한 전력 및 데이터를 교환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도 4는 상부 유도코일부(200)를 이용하여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이용하여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이중 코일 중 상부 유도코일부(200)를 이용한 유도장입은 첨두부에 유도장입 코일이 배치된 상부코일 적용신관(10)의 유도장입시 사용할 수 있다.
유도 장입이 이루어지는 신관의 경우 탄두 내에 설치되므로 콘 형상을 가지고, 콘 형상의 신관 몸체에 유도장입을 위한 코일이 감겨질 수 있는 권선돌기부가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코일 적용신관(10)은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첨두부 유도코일(1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신관의 구조상 첨두부 유도코일(11)의 상부면적은 상대적으로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통해 유도장입되는 신관의 유도코일 즉, 도 5의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며 상부코일 적용신관(10)에 충분한 유도기전력 전달이 제한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첨두부 유도코일부(11)가 권선의 깊이를 증가시킨 구조로 제작하였고,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직경이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부 유도코일부(200)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이 첨두부 유도코일부(11)로 원활하게 전달되어 전력 및 데이터 장입을 위한 충분한 상호 인덕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유도코일부(200)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때 하부 유도코일부(300)는 도 3을 참고하여 기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첨두부 유도코일부(11) 간의 상호 인덕턴스 발생에 따른 전기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이중 코일 중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이용한 유도장입은 신관오자이부에 유도장입 코일이 배치된 하부코일 적용신관(20)의 유도장입시 사용할 수 있다.
하부코일 적용신관(20)은 상부 측에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가 구성되어 도 4의 첨두부 유도코일부(11) 대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코일권선 높이의 축소가 가능하여 하부 유도코일부(300)와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 간의 충분한 상호 인덕턴스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유도코일부(300)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때 상부 유도 코일부(200)는 도 3을 참고하여 기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하부 유코일부와 첨두부 유도코일부(11) 간의 상호 인덕턴스 발생에 따른 전기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코일 권선부(11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부 유도코일부(200)가 감겨져 위치되는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 하부코일 권선부(12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하부 유도코일부(300)가 감겨져 위치되는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는 상부코일 권선부(110) 즉,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 내 유도코일부의 위치에 따라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는 하부코일 권선부(120) 즉,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 내 유도코일부의 위치에 따라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는 상, 하 이동되어 상부코일 적용신관(10)의 첨두부 유도코일부(11)와 마주보고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는 하부코일 적용신관(20)의 오자이브 유도코일부(21)와 마주보고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하부 유도코일부(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상부코일 승하강부(800) 및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하부코일 승하강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코일 승하강부(800)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에 위치되고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1승하강 스크류(810), 제1승하강 스크류(810)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코일 승하강부(900)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100)에 위치되고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2승하강 스크류(910), 제2승하강 스크류(910)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코일 승하강부(800)는 유도 기전력을 신관의 유도 장입을 수행하는 데이터 장입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부 유도코일 적용 신관에서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의 위치를 승하강시켜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위치를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하부코일 승하강부(900)는 유도 기전력을 신관의 유도 장입을 수행하는 데이터 장입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부 유도코일 적용 신관에서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의 위치를 승하강시켜 상부 유도코일부(200)의 위치를 상호 인덕턴스가 최대로 발생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는 안쪽에 제1승하강 스크류(810)가 관통되는 제1승하강 이동부(610)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코일 권선부(110)에는 제1승하강 이동부(610)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승하강 이동부(6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안내 슬릿부(111)가 위치된다.
또한,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는 안쪽에 제2승하강 스크류(910)가 관통되는 제2승하강 이동부(710)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부코일 권선부(110)에는 제2승하강 이동부(710)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승하강 이동부(7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승하강 안내 슬릿부(121)가 위치된다.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는 제1회전모터(820)의 작동에 의해 제1승하강 이동부(610)가 제1승하강 안내 슬릿부(111)를 따라 상, 하 이동하면서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를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700)는 제2회전모터(920)의 작동에 의해 제2승하강 이동부(710)가 제2승하강 안내 슬릿부(121)를 따라 상, 하 이동하면서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600)를 상, 하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 유도코일부(200)와 하부 유도코일부(300)를 통해 신관 중 유도코일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이종의 신관에 대한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하여 각 종류에 따른 신관에 데이터 유도 장입이 가능하므로 각 신관 종류에 따른 별도의 데이터 유도 장입 장치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상부코일 적용신관 11 : 첨두부 유도코일
20 : 하부코일 적용신관 21 : 오자이브 유도코일부
100 :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 100a : 신관 삽입 공간
110 : 상부코일 권선부 111 : 제1승하강 안내 슬릿부
120 : 하부코일 권선부 121 : 제2승하강 안내 슬릿부
130 :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 140 :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
200 : 상부 유도코일부 300 : 하부 유도코일부
400 : 인출선 케이블 410 : 상부코일 인출선
420 : 하부코일 인출선 430 : 커넥터 인출선
500 : 커넥터 600 :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
610 : 제1승하강 이동부 700 :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
710 : 제2승하강 이동부 800 : 상부코일 승하강부
810 : 제1승하강 스크류 820 : 제1회전모터
900 : 하부코일 승하강부 910 : 제2승하강 스크류
920 : 제2회전모터

Claims (12)

  1. 내부에 유도 장입 대상인 신관이 삽입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상부 유도코일부; 및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하부 유도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일단부 측 한쪽 인출선은 커넥터의 B, C단자에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타단부 측 인출선은 각각 커넥터의 A단자에 공통으로 연결하여 되며,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고 B단자는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때 C 단자가 전기적으로 개방되어 장입신호 인가가 차단되며,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커넥터의 A단자에서 장입신호가 인가되고, B단자를 전기적으로 개방시키고 C단자를 장입신호 발생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장입신호가 인가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내부에 콘 형상의 신관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외주면에 상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상부코일 권선부 및 하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하부코일 권선부가 높이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는 각각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 하 방향으로 평면의 직선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의 직경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와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의 사이에는 하부코일 권선부에서 감겨진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1코일선 인출 슬롯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의 상부 측에는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과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의 인출선이 삽입되어 통과되는 제2코일선 인출 슬롯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될 때 상부 유도코일부는 전기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때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는 전기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8. 삭제
  9. 내부에 유도 장입 대상인 신관이 삽입되는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상부 유도코일부; 및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의 하부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의 외측면에 감겨져 위치되며 유도 기전력을 통해 신관으로 데이터를 유도 장입하는 하부 유도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내부에 콘 형상의 신관 삽입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는 외주면에 상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상부코일 권선부 및 하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지는 하부코일 권선부가 높이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져 위치되는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 및
    상기 하부코일 권선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하부 유도코일부가 감겨져 위치되는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상부코일 승하강부; 및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하부코일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부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1승하강 스크류; 및
    상기 제1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부는,
    세워져 회전 가능하게 상기 데이터 유도 장입용 하우징부재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제2승하강 스크류;
    상기 제2승하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는 안쪽에 상기 제1승하강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1승하강 이동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는 상기 제1승하강 이동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승하강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승하강 안내 슬릿부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코일 승하강 권선부는 안쪽에 제2승하강 스크류가 관통되는 제2승하강 이동부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코일 권선부에는 상기 제2승하강 이동부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승하강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승하강 안내 슬릿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KR1020200073355A 2020-06-17 2020-06-17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KR102544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55A KR102544316B1 (ko) 2020-06-17 2020-06-17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355A KR102544316B1 (ko) 2020-06-17 2020-06-17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90A KR20210155890A (ko) 2021-12-24
KR102544316B1 true KR102544316B1 (ko) 2023-06-15

Family

ID=7917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355A KR102544316B1 (ko) 2020-06-17 2020-06-17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918A (ja) * 1998-12-22 2002-10-08 レイセオン・カンパニー 無コネクタ型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してエネルギを転送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890362B1 (ko) 2017-10-17 2018-08-21 국방과학연구소 유도장입형 신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66B1 (ko) * 2009-06-04 2012-03-19 주식회사 한화 전자기 유도 시한장입 방식의 근접신관
KR20180098799A (ko) * 2017-02-27 2018-09-05 주식회사 풍산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이용한 일반 포탄용 전자식 신관 및 신관 점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3918A (ja) * 1998-12-22 2002-10-08 レイセオン・カンパニー 無コネクタ型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してエネルギを転送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890362B1 (ko) 2017-10-17 2018-08-21 국방과학연구소 유도장입형 신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90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768A (en) Attenuator for dissipating electromagnetic and electrostatic energy
CN109313003A (zh) 无线起爆雷管、无线起爆系统、以及无线起爆方法
US2264450A (en) Gun perforator
US4651254A (en) Inductive igniters with secondary coil
KR102544316B1 (ko) 이중 코일을 적용한 신관의 데이터 유도 장입장치
US3286947A (en) Wire magazine for missiles
CN110657721A (zh) 一种内环境自适应小口径弹远距离解保mems安全系统及方法
US4638736A (en) Bomblet dispersion system for a cluster bomb
US20110203476A1 (en) Spining projectile converting its spin into electrical energy and utilizing this converted electrical energy to damage electronic devices onboard a target
US9658026B1 (en) Explosive device utilizing flux compression generator
US1235637A (en) Aerial mortar.
US4044682A (en) Ignition current generator for an electrical projectile fuze
RU2675000C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воспламенитель
US4848233A (en) Means for protecting electroexplosive devices which are subject to a wide variety of radio frequency
CN111076627B (zh) 应用于高过载高旋环境的远距延时解保mems安全系统及方法
RU2608648C1 (ru) Артиллерийский снаряд
US4047485A (en) Compact electrical fuze
KR100604343B1 (ko) 공중폭발탄용 약실유도장입형 회전수계수신관 및 그제어방법
CN206177148U (zh) 一种带有金属保险丝的电击发子弹底火
KR20200078302A (ko) 발사체 신관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및 사용 방법
RU2756030C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ДЕТОНАТОР (варианты)
AU2022343884A1 (en) Ignition device for ammunition, in particular medium-caliber ammunition, and associated method for ignition or for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in particular medium-caliber ammunition
EP0045131A1 (en) Method of charging a borehole and method of blasting
US4034674A (en) Compact electrical fuze
US4026216A (en) Arming fuze for artillery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