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838B1 -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838B1
KR102543838B1 KR1020210030646A KR20210030646A KR102543838B1 KR 102543838 B1 KR102543838 B1 KR 102543838B1 KR 1020210030646 A KR1020210030646 A KR 1020210030646A KR 20210030646 A KR20210030646 A KR 20210030646A KR 102543838 B1 KR102543838 B1 KR 10254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loud resource
usage
state information
averag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963A (ko
Inventor
차오핑 지
시아오수 천
타오 양
시앙 가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1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3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root cause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notifications, alarms or events based on decision criteria, e.g. hierarchy, tree or tim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 virtual computing platform, e.g. logically partition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0
    • G06F2209/5021Prio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5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50
    • G06F2209/5022Workload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일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본 출원의 실시예는 클라우드 컴퓨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리소스에는 엄청난 양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해 작업을 진행할 때, 다수의 클라우드 리소스 간의 연관성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간의 연관성은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해 작업하기 전에 생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해 작업한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 유닛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비교 유닛;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를 제공한다.
제3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1양태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4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제5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우선,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다음,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결정하며, 그 다음,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태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안전성 및 클라우드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데 유익하다.
아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비 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열독 및 참조를 통해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가 응용될 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쳐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에 따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정보 획득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적합한 전자 기기의 구조 개략도이다.
아래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관련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해당 발명과 관련된 부분만이 도시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충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 또는 정보 획득 장치를 구현할수 있는 예시적 시스템 아키텍처(100)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아키텍처(100)는 단말 기기(101, 102, 103), 네트워크(104) 및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4)는 단말 기기(101, 102, 103)와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사이에서 통신 링크의 매체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104)는 다양한 연결 타입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유선, 무선 통신 링크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이 있다.
사용자는 단말 기기(101, 102, 10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104)를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와 인터랙션함으로써 메시지 등을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에는 다양한 통신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클라우드 리소스 방문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리소스 검색류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리소스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우드 리소스 조작 애플리케이션 등 등이다.
단말 기기(101, 102, 103)는 하드웨어일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하드웨어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고 클라우드 리소스 처리를 지원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식 랩톱 및 데스크톱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기기(101, 102, 103)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상기 나열된 전자 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면 분산식 서비스를 제공함)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단말 기기(101, 102, 103)의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 등 데이터에 대해 분석 등 처리를 진행하고 처리 결과(예를 들면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단말 기기(101, 102, 103)에 피드백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획득 방법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에 의해 수행되고, 이에 따라, 정보 획득 장치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에 설치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가 하드웨어인 경우 복수의 서버로 구성된 분산식 서버 클러스터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가 소프트웨어인 경우 복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예를 들면 분산형 서비스를 제공함)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1 중의 단말 기기,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실제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개수의 단말 기기,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실시예 따른 프로세스(200)를 도시한다.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획득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유선 연결 방식 또는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조작을 진행하는 단말기로부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단말 기기(101, 102, 103)를 통하여 수행 주체에 송신될 수도 있거나, 또는 수행 주체에 의해 사용자의 클라우드 자료에 대해 주기적으로 조회하여 획득한 것일 수도 있다.
단계 202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한다.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가 클라우드 리소스 안전 또는 사용 효율에 영향주는 가능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사용률 임계값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해 기본적인 판정을 내리기 편리하도록 작게 설정된다.
단계 203에서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률 임계값보다 높은 비교 결과를 획득한 후,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에 대해 진일보의 데이터 처리를 진행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의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정상, 경고 및 고위험 중 어느 하나이다.
단계 204에서 수행 주체는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결정한 후, 수행 주체는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매칭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하는 방식으로는,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상에서 클라우드 리소스의 우선 등급,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상에서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 등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리소스가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상에서의 우선 등급에 따라 사용 상태 정보를 매칭할 때, 사용자의 각 사용 상태 정보의 우선 순위의 수량 및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클라우드 리소스가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상에서의 사용률에 따라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정보 획득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300)를 도시한다.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획득 방법의 수행 주체(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유선 연결 방식 또는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조작을 진행하는 단말기로부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적해야 할 것은, 상기 무선 연결 방식은 3G/4G 연결, WiFi 연결, 블루투스 연결, WiMAX 연결, Zigbee 연결, UWB(Ultra Wideband) 연결 및 기타 현재 이미 알고 있거나 또는 미래에 개발되는 무선 연결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행 기술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수요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상이한 클라우드 리소스 사이에는 연관성이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보의 공유, 데이터의 인용 관계 및 배척 관계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 사이의 연관성을 조회하는 권한이 없으며, 클라우드 리소스 사이의 연관성을 수정할 권한도 없어,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시 데이터 안전성에 영향주고, 클라우드 리소스의 이용률을 저하시킨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의 수행 주체는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엑세스하는 것을 감지할 때,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그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한 후,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상응한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 결과는 사용률 임계값보다 높거나 또는 사용률 임계값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률 임계값은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나타낸다.
비교 결과가 사용률 임계값보다 낮을 경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해 거의 영향주지 않음을 설명하므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해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 비교 결과가 사용률 임계값보다 높을 경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해 영향 줄 가능성이 있음을 설명하므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해 진일보의 처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단계 303에서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표기한다.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와 상응한 제1 사용 등급 임계값 및 제2 사용 등급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응한 클라우드 리소스가 자주 사용되지 않아, 기타 클라우드 리소스에 영향주지 않음을 설명한다. 이때,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표기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304를 수행한다.
단계 304에서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고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경고로 표기한다.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빈도가 높지 않아, 기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거나 또는 기타 클라우드 리소스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음을 설명한다. 이때, 수행 주체는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경고로 표기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305를 수행한다.
단계 305에서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가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고위험으로 표기한다.
비교 결과가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을 때,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 기타 클라우드 리소스에 영향 줄 가능성이 매우 큼을 설명한다. 이때, 수행 주체는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고위험으로 표기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 상태 정보를 통해 상응한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를 질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클라우드 리소스의 안전성을 판정하는데 유익하다.
단계 306에서 수행 주체는 사용 상태 정보가 하나일 경우, 사용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한다.
하나의 클라우드 리소스만 존재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하나의 사용 상태 정보만 존재한다. 이때, 수행 주체는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직접 상기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간소화한다.
단계 307에서 수행 주체는 사용 상태 정보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가 존재할 경우, 수행 주체는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 상태 정보는, 정상, 경고 및 고위험을 포함하고, 상응한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는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8에서 수행 주체는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와 상응한 가중값의 곱의 합을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한다.
상이한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는 상이한 가중값이 설정될 수 있다. 가중값은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의 중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행 주체는 각각의 대응되는 평균값 정보와 가중값을 곱한 다음 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는 사용자 현재 클라우드 리소스의 데이터 안전성과 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획득 방법에 따른 응용 시나리오의 일 개략도이다. 도 4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기기(103)와 데이터 통신을 진행한다.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각각의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상응한 사용 등급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마지막으로,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매칭을 진행하여, 사용자의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단말 기기(103)에 송신하여,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선택하는 사용 상태를 적시에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는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자발적으로 추천함으로써,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합리성 및 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르면, 우선,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고, 다음,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여,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결정하며, 그 다음,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상태를 결정하고, 마지막으로, 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안전성 및 클라우드 리소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키는데 유익하다.
나아가,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정보 획득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의 프로세스(500)를 도시한다.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의 프로세스(500)는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01의 내용은 단계 201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502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한다.
단계 502의 내용은 단계 202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503에서 수행 주체는 비교 결과에 따라,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03의 내용은 단계 203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504에서 수행 주체는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504의 내용은 단계 204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505에서 수행 주체는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조회한다.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획득 후, 수행 주체는 현재의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조회하고, 사용자 기존의 클라우드 리소스에 따라, 사용 가능한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할 수 있는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결정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사용하는 합리성과 유효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여기서,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는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 상의, 사용사 실제 수요를 만족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인스턴스일 수 있다.
나아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한 방법에 대한 구현으로서, 본 출원은 정보 획득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며, 상기 장치는 구체적으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획득 장치(600)는, 정보 획득 유닛(601), 정보 비교 유닛(602),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3) 및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획득 유닛(601)은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내며, 정보 비교 유닛(602)은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3)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4)은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정상, 경고 및 고위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3)은 제1 검사 서브 유닛(미도시), 제2 검사 서브 유닛(미도시) 및 제3 검사 서브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검사 서브 유닛은,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표기하도록 구성되고, 제2 검사 서브 유닛은,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고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경고로 표기하도록 구성되며, 제3 검사 서브 유닛은, 상기 비교 결과가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고위험으로 표기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4)은,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하나일 경우,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서브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604)은 정보 연산 서버 유닛(미도시) 및 제2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서브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연산 서버 유닛은,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고,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는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와 대응하는 가중값의 곱의 합을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정보 획득 장치(600)는,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 조회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본 출원의 인스턴스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전자 기기 (예를 들어 도 1 중의 클라우드 리소스 서버(105))의 컴퓨터 시스템(700)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일 예시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능 및 사용 범위를 제한하지 않아야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70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702)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저장 장치(708)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03)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고 적절한 동작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처리 장치(예를 들어 중앙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등)(701)를 포할 수 있다. RAM(703)에는 또한 전자 기기(7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처리 장치(701), ROM(702) 및 RAM(703)은 버스(704)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705)도 버스(704)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키보드, 마우스, 카메라, 마이크,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706);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707);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 하드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는 저장 장치(708); 및 통신 장치(709)는 I/O 인터페이스(705)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장치(709)는 전자 기기(700)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다른 기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된다. 비록 도 7에서 다양한 장치를 갖는 전자 기기(700)를 나타냈으나, 모든 도시된 장치를 실시하거나 구비할 필요는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장치를 대체적으로 실시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각 블록은 하나의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고, 수요에 따라 복수 개의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앞에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적재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신 장치(709)를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거나, 저장 장치(708)로부터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ROM(702)로부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처리 장치(801)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방법에 한정된 상기 기능들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도선을 구비한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장치,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소자 또는 이들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매체일 수 있다.할 수 있으나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전기, 광섬유 케이블, RF(무선 주파수) 등, 또는 상기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매체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상기 전자 기기에 포함될 수 있거나 상기 전자 기기에 조립되지 않고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베어링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전자 기기에 의해 실행시 상기 전자 기기로 하여금,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내고;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 Smalltalk, C++를 비롯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C" 언어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비롯한 기존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완전히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실행되거나, 일부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일부는 원격 컴퓨터에서 실행되거나, 또는 완전히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격 컴퓨터의 경우 원격 컴퓨터는 LAN 또는 WAN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되거나 외부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연결).
도면의 흐름도 및 블록도는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구현 가능한 아키텍처, 기능 및 동작을 도시한다. 이 점에서, 흐름도 또는 블록도의 각 블록은 지정된 논리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모듈, 프로그램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에서, 블록에 표기된 기능은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표현된 2개의 블록은 실제로 병렬 실행될 수 있고, 관련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의 각 블록, 및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에서 블록의 조합은 지정된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전용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전용 하드웨어와 컴퓨터 명령어를 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설명된 유닛들은 소프트웨어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된 유닛은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정보 획득 유닛, 정보 비교 유닛,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 및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들 유닛의 명칭은 경우에 따라서 유닛 자체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은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를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유닛"으로 기술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적용된 기술의 원리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에 언급된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기술적 특징의 특정 조합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시에 본 출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기술적 특징 또는 그 등가 특징에 대해 임의로 조합하여 형성된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 예를 들어, 상기 특징과 본 출원에 공개된(단 이에 한정되지 않음)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기술적 특징을 서로 교체하여 형성된 기술적 해결수단을 포함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3)

  1. 정보 획득 방법으로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는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함 -; 및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값의 곱의 합을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정상, 경고 및 고위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표기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고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경고로 표기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가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고위험으로 표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하나일 경우,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조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획득 방법.
  6. 정보 획득 장치로서,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획득 유닛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는 설정 시간 내 대응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률을 나타냄 -;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와 사용률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비교 유닛;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 및
    상기 사용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사용 상태 정보에 대해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연산 서버 유닛 -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는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함 -; 및
    정상 평균값 정보, 경고 평균값 정보 및 고위험 평균값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 상태 평균값 정보에 대응하는 가중값의 곱의 합을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상태 정보는 정상, 경고 및 고위험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사용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은,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정상으로 표기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검사 서브 유닛;
    상기 비교 결과가 제1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크고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경고로 표기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검사 서브 유닛; 및
    상기 비교 결과가 제2 사용 등급 임계값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사용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사용 상태 정보를 고위험으로 표기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검사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 상태 정보가 하나일 경우, 상기 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
  9. 삭제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리소스 상태 정보에 따라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대상 클라우드 리소스 인스턴스 조회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획득 장치.
  11. 전자 기기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가 제1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기기.
  12.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 일시적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에 따른 정보 획득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30646A 2020-03-09 2021-03-09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KR102543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57552.9 2020-03-09
CN202010157552.9A CN111385150A (zh) 2020-03-09 2020-03-09 用于获取信息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963A KR20210113963A (ko) 2021-09-17
KR102543838B1 true KR102543838B1 (ko) 2023-06-15

Family

ID=7121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46A KR102543838B1 (ko) 2020-03-09 2021-03-09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04157B2 (ko)
EP (1) EP3879795A1 (ko)
JP (1) JP7216757B2 (ko)
KR (1) KR102543838B1 (ko)
CN (1) CN1113851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8381B (zh) * 2021-02-26 2024-03-2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为云资源生成优化信息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442248B1 (ko) * 2022-03-18 2022-09-13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된 DaaS의 자원 관리 및 자원 사용량에 대한 예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9108A1 (en) * 2016-11-11 2018-05-17 Connectw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 service
US20190020711A1 (en) * 2017-07-12 2019-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cription-based resource throttling in a cloud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4426A1 (en) * 2008-05-20 2013-02-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Provisioning in a Utility Computing Platform
US8886788B2 (en) 2009-08-31 2014-11-11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Enterprise-level management, control and information aspects of cloud console
WO2012029289A1 (ja) 2010-09-03 2012-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処理システム、表示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94557B2 (en) 2013-04-19 2016-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rdware level generated interrupts indicating load balancing status for a node in a virtualized computing environment
CN104426876B (zh) * 2013-09-02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云中安全信息方法、云中安全信息上报的方法及装置
US9548971B2 (en) * 2014-03-19 2017-01-17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ipher selection
KR20170001792A (ko) * 2015-06-25 2017-01-05 주식회사 엔알피시스템 개인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5426254A (zh) * 2015-12-24 2016-03-23 北京轻元科技有限公司 一种分级别的云计算资源定制方法及系统
US10587490B2 (en) * 2016-02-05 2020-03-10 Red Hat, Inc. Evaluating resource performance from misaligned cloud data
CN107872499B (zh) * 2016-09-28 2021-05-25 北京金山云网络技术有限公司 业务创建方法、装置及系统
CN107612737B (zh) * 2017-09-21 2021-05-04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告警方法及其装置
JP7040319B2 (ja) * 2018-06-26 2022-03-23 富士通株式会社 運用管理装置、移動先推奨方法及び移動先推奨プログラム
CN110138883B (zh) * 2019-06-10 2021-08-31 北京贝斯平云科技有限公司 混合云资源分配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9108A1 (en) * 2016-11-11 2018-05-17 Connectw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loud service
US20190020711A1 (en) * 2017-07-12 2019-01-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subscription-based resource throttling in a cloud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85150A (zh) 2020-07-07
US20210279109A1 (en) 2021-09-09
JP2021170319A (ja) 2021-10-28
EP3879795A1 (en) 2021-09-15
JP7216757B2 (ja) 2023-02-01
US11704157B2 (en) 2023-07-18
KR20210113963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9348B (zh) 一种数据查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98859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43838B1 (ko)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8810047B (zh) 用于确定信息推送准确率的方法、装置及服务器
CN110619078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9342606B2 (en) Intelligent software installation
KR102545045B1 (ko) 정보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9317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information
CN111278085B (zh) 用于获取目标网络的方法及装置
CN110928594A (zh) 服务开发方法和平台
CN111274104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44864B (zh) 用于测试窗口的方法及装置
CN111581356A (zh) 用户行为路径分析方法和装置
CN111488386A (zh) 数据查询方法和装置
CN113220705A (zh) 慢查询识别的方法和装置
CN112507676B (zh) 能源报表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9587066B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及装置
CN110750424B (zh) 资源巡检方法和装置
CN110084298B (zh) 用于检测图像相似度的方法及装置
CN110727692A (zh) 用于设置联动图表的方法及装置
CN112883410B (zh) 用于显示信息的方法及装置
CN111625692B (zh) 特征抽取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4040014B (zh) 内容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20352B (zh) 用于获取信息的方法及装置
CN112764652A (zh) 基于工作流引擎的数据存储方法、装置、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