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518B1 -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518B1
KR102543518B1 KR1020210042023A KR20210042023A KR102543518B1 KR 102543518 B1 KR102543518 B1 KR 102543518B1 KR 1020210042023 A KR1020210042023 A KR 1020210042023A KR 20210042023 A KR20210042023 A KR 20210042023A KR 102543518 B1 KR102543518 B1 KR 102543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agnet
unit
caulk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5831A (ko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영테크
Priority to KR1020210042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5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5Objects of complex shape, e.g. examined with use of a surface follower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2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 F01M2001/1042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urification comprising magnetic part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마그넷 삽입부가 형성된 볼트가 저장된 볼트 저장부;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볼트에 마그넷 결합을 위해 개별 단위로 볼트를 공급하는 볼트 공급부;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볼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공급부로부터 상기 볼트 삽입홈으로 공급된 볼트를 각 작업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볼트 이송부; 상기 볼트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볼트의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마그넷을 삽입하는 마그넷 결합부; 상기 마그넷 결합부를 통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삽입된 마그넷을 가압하는 마그넷 고정부; 상기 마그넷 고정부를 통해 가압된 마그넷을 볼트에 일체로 결합하여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는 코킹 결합부; 및 상기 코킹 결합부를 통해 제조된 마그넷 볼트의 합부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CAULKING APPARATUS FOR MAKING MAGNET BOLT}
본 발명은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자동으로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진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 등의 기계 장치에는 회전 또는 직선 운동을 하는 금속부품이 구비되며, 이러한 금속부품들은 운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접촉으로 인해 마모가 불가피하게 발생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금속부품의 마모와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에는 엔진오일을 공급하여 엔진오일의 순환을 통해 금속부품의 윤활과 냉각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엔진오일은 시간이 지나면서 성능과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금속부품들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완전히 방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차량 엔진오일에는 마모된 금속미분들이 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부품들로부터 발생되는 금속미분들은 엔진오일과 함께 순환되는 과정에서 엔진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오일의 순환과정에서 금속미분으로 인한 엔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마그넷 볼트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마그넷 볼트는 볼트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엔진오일에 잔류된 금속미분을 자력을 통해 포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엔진오일의 순환과정에서 엔진오일에 포함된 금속미분은 마그넷 볼트에 의해 포집되어, 금속미분으로 인한 엔진부품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그넷 볼트는 볼트와 마그넷이 핀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마그넷 볼트의 결합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마그넷 볼트의 사용중에 핀이 이탈되는 경우, 마그넷이 볼트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마그넷 볼트를 제조함에 있어, 작업자가 일일히 볼트와 마그넷을 핀으로 결합해야되기에, 작업 과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마그넷 볼트의 구조가 단순하며,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진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1313호(2019.06.2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자동으로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도록 이루어진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마그넷 삽입부가 형성된 볼트가 저장된 볼트 저장부;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볼트에 마그넷 결합을 위해 개별 단위로 볼트를 공급하는 볼트 공급부;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볼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공급부로부터 상기 볼트 삽입홈으로 공급된 볼트를 각 작업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볼트 이송부; 상기 볼트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볼트의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마그넷을 삽입하는 마그넷 결합부; 상기 마그넷 결합부를 통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삽입된 마그넷을 가압하는 마그넷 고정부; 상기 마그넷 고정부를 통해 가압된 마그넷을 볼트에 일체로 결합하여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는 코킹 결합부; 및 상기 코킹 결합부를 통해 제조된 마그넷 볼트의 합부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공급부는,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볼트가 수용되는 볼트 수용부; 나선을 이루며 상기 볼트 수용부에 구비된 지지벽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볼트 수용부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를 이동시키는 나선 이동 가이드부; 상기 볼트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 수용부에 회전 진동을 가하여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가 진동에 의해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진동 제공부;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볼트 이송부로 공급 가능한 볼트를 선별하는 볼트 선별라인; 및 상기 볼트 선별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을 통해 선별된 볼트를 상기 볼트 삽입홈으로 공급하는 개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의 폭은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 선별라인은 볼트의 머리부가 상기 볼트 선별라인에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볼트에 대해서만 상기 개별 공급부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의 폭은 볼트 머리부의 대변 길이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이송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볼트 삽입홈이 형성된 원판 플레이트; 상기 원판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 삽입홈에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원판 플레이트의 중심 하부에 결합된 제1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원판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결합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마그넷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투입봉; 상기 마그넷 투입봉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고정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 일측에 개방부가 마련된 마그넷 투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넷 투입봉의 하부에 배치된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푸셔; 일단부는 상기 볼트 이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된 마그넷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가이드부; 및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된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삽입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는 마그넷과 대응되는 직경을 이루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마그넷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코킹 결합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볼트의 상부면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마그넷 삽입부 내에 삽입된 마그넷과 볼트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 측정부는, 마그넷과 볼트가 일체로 결합된 마그넷 볼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기초로 마그넷 볼트를 평가 분석하는 평가 분석부; 및 상기 평가 분석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마그넷 볼트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합부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분석부는 마그넷의 결합 배치 상태, 마그넷의 크랙 유무 및 코킹 작업 불량을 분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공급부는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의 양을 측정하는 볼트 수용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 수용량 측정부는, 상기 볼트 공급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 케이싱에 고정 설치된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바의 기울기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으로 상기 회전바가 회전된 경우,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상기 볼트 공급부로 공급되는 볼트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는 마그넷 볼트의 전 제조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에, 작업이 간편하다. 그리고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에는 검사 측정부가 구비되기에, 최종적으로 제조된 마그넷 볼트에 대한 정확한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저장부와 볼트 공급부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공급부에 구비된 볼트 선별라인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이송부와 마그넷 결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이송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결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고정부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킹 결합부의 사진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 측정부로부터 마그넷 볼트를 평가 분석하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마그넷 및 볼트와 마그넷이 결합된 마그넷 볼트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저장부와 볼트 공급부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공급부에 구비된 볼트 선별라인을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이송부와 마그넷 결합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 이미지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이송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결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미지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넷 고정부의 사진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킹 결합부의 사진 이미지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사 측정부로부터 마그넷 볼트를 평가 분석하는 사진 이미지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트, 마그넷 및 볼트와 마그넷이 결합된 마그넷 볼트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1000)는 볼트 저장부(100), 볼트 공급부(200), 볼트 이송부(300), 마그넷 결합부(400), 마그넷 고정부(500), 코킹 결합부(600) 및 검사 측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1000)는 볼트(10)에 형성된 마그넷 삽입부(11)에 마그넷(20)을 삽입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볼트(10)와 마그넷(20)이 일체로 결합된 마그넷 볼트(30)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볼트(10)와 마그넷(20)의 결합과정은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볼트 저장부(100)에는 마그넷 삽입부(11)가 형성된 볼트(10)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저장부(100)에는 마그넷(2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볼트(10)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볼트 저장부(100)는 볼트 저장부(100)에 수용된 볼트(10)를 볼트 저장부(100)에 이웃하게 배치된 볼트 공급부(2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볼트 공급부(200)는 볼트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10)를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볼트 공급부(200)는 볼트 이송부(300)로 마그넷 결합을 위한 볼트(10)를 개별 단위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 공급부(200)는 미리 정해진 형태로 배치된 볼트(10)에 대해서만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볼트 공급부(200)는 볼트(10)의 머리부(12)가 바닥면을 바라보고, 볼트(10)의 나사부(13)가 상부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된 볼트(10)에 대해서만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볼트 공급부(200)가 특정 형태로 배치된 볼트(10)에 대해서만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은 마그넷 결합부(400)에서 마그넷(20)을 마그넷 삽입부(11)에 삽입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볼트 공급부(200)는 작업자가 직접 볼트(10)의 상, 하 위치를 바꾸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 가능한 형태의 볼트(10)만을 선별하여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볼트 공급부(200)는 볼트 수용부(210),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 진동 제공부(230), 볼트 선별라인(240), 개별 공급부(250) 및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수용부(210)는 볼트 저장부(100)로부터 공급된 볼트(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볼트 저장부(100)에 수용된 볼트(10)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볼트 수용부(2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는 나선을 이루며 지지벽(201)에 설치된다. 이러한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는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를 볼트 선별라인(240)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의 일단은 볼트 수용부(210)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의 타단은 볼트 선별라인(240)에 연결된다.
여기서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의 폭은 볼트(10)의 머리부(12) 보다 큰 폭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벽(201)에 설치된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는 지지벽(201)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지게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볼트(10)의 이동과정에서 볼트(10)가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는 볼트 선별라인(240)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제공부(230)는 볼트 수용부(2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진동 제공부(230)는 볼트 수용부(210)에 회전 진동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진동 제공부(230)는 볼트 수용부(210)에 하면에 진동을 제공하되, 볼트 수용부(210)의 하부면 전체에 동일한 진동을 가하는 것이 아니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위치를 달리하며 볼트 수용부(210)의 하부면으로 진동을 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진동 제공부(230)로부터 발생된 진동은 볼트 수용부(210)를 비롯한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로 진동이 전달되어,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는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진동 제공부(230)가 시계 방향을 따라 진동을 가하도록 이루어진 경우,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도 시계 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가 진동에 의해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진동 제공부(230)의 작동을 통해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를 따라 이동되는 볼트(10)는 볼트 선별라인(240)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볼트 선별라인(240)은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되어야 하는 요구되는 형태로 배치된 볼트(10)에 대해서만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볼트 선별라인(240)은 볼트(10)의 머리부(12)가 볼트 선별라인(240)에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10)의 나사부(13)가 상부를 바라보고 있는 형태의 볼트(10)에 대해서만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트 선별라인(240)의 폭(W1)은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의 폭(W2) 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때, 볼트 선별라인(240)의 폭(W1)은 머리부(12)의 대변 길이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선 이동 가이드부(220)로부터 볼트 선별라인(240)으로 진동에 의해 볼트(1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볼트(10)의 머리부(12)가 볼트 선별라인(24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한 볼트(10)를 걸러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볼트 선별라인(240)으로부터 이탈된 볼트(10)는 볼트 수용부(210)로 재이동된다.
이때, 볼트 선별라인(240)은 지지벽(201)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지게 경사지도록 이루어져, 볼트(10)의 이동과정에서 볼트(10)의 머리부(12)가 볼트 선별라인(240)에 안착된 볼트(10)가 볼트 선별라인(2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 선별라인(240)은 볼트(10)의 머리부(12)가 볼트 선별라인(240)에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볼트(10)에 대해서만 개별 공급부(250)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별 공급부(250)는 볼트 선별라인(240)과 연결된다. 이러한 개별 공급부(250)는 볼트 선별라인(240)을 통해 선별된 볼트(10)를 볼트 이송부(300)로 공급하게 된다. 즉, 개별 공급부(250)는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원판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볼트 삽입홈(311)으로 각각의 볼트(10)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는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의 양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는 측정된 볼트(10)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을 초과하는 경우, 볼트 저장부(100)로 볼트 공급부(200)로 볼트(10)의 공급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에 의해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되는 볼트(10)의 수량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는 설치 프레임(261), 회전바(262) 및 센서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프레임(261)은 예를 들어 볼트 공급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투명 프레임 형태의 외부 케이싱(미도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바(262)는 설치 프레임(261)에 설치된 회전축(264)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바(262)는 볼트 수용부(210)에 수용된 볼트(10)의 수량에 따라 회전축(264)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264)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회전바(262)는 볼트 수용부(210)로 채워지는 볼트(10)의 수량에 따라 회전축(264)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센서부(263)는 회전바(262)의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바(262)가 회전되는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센서부(263)는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으로 회전바(262)가 회전된 경우, 볼트 수용부(210) 내에는 일정 이상의 볼트(10)가 채워진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센서부(263)는 볼트 저장부(100)로 해당 센싱 정보를 제공하여 볼트 저장부(100)로부터 볼트 공급부(200)로 볼트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 수용부(210) 내의 볼트 수량이 줄어 미리 정해진 기울기 미만으로 회전바(262)가 회전된 경우, 센서부(263)는 볼트 저장부(100)로 해당 센싱 정보를 제공하여 볼트 저장부(100)로부터 볼트 공급부(200)로 볼트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트 수용량 측정부(260)는 볼트 저장부(100)로부터 볼트 공급부(200)로 공급되는 볼트(10)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볼트 이송부(300)는 볼트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10)를 각 작업 공정으로 이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볼트 이송부(300)는 원판 플레이트(310),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 및 제1 회전 동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판 플레이트(310)의 둘레에는 볼트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볼트(10)를 각 작업 공정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 볼트 삽입홈(31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볼트 삽입홈(311)은 원판 플레이트(310)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는 원판 플레이트(3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는 볼트 삽입홈(311)에 삽입된 볼트(10)가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볼트(1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회전 동력부(330)는 원판 플레이트(310)를 제1 회전축(331)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회전 동력부(330)는 원판 플레이트(310)의 중심 하부에 결합된 제1 회전축(331)으로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원판 플레이트(310)는 미리 정해진 각도 단위로 회전되며, 각 작업 공정으로 볼트(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원판 플레이트(310)의 볼트 삽입홈(311)에 삽입된 볼트(10)는 예를 들어, 볼트(10)에 마그넷(20)을 삽입하는 공정, 마그넷 삽입부(11)에 삽입된 마그넷(20)을 가압하는 공정, 마그넷(20)을 볼트(10)에 코킹 결합하는 공정 및 볼트(10)에 결합된 마그넷(20)의 결합 상태를 파악하는 각 공정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넷 결합부(400)는 볼트 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볼트(10)의 마그넷 삽입부(11)에 마그넷(20)을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그넷 결합부(400)는 마그넷 투입봉(410), 회전 플레이트(420), 푸셔(430),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 및 삽입 가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넷 투입봉(410)은 내부에 복수개의 마그넷(20)이 삽입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마그넷 투입봉(410)은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회전 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마그넷 투입봉(410)으로부터 공급되는 마그넷(20)이 볼트(10)에 마그넷(20)을 삽입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두 사용된 경우, 회전 플레이트(420)는 회전을 통해 이웃하게 배치된 마그넷 투입봉(410) 내에 수용된 마그넷(20)이 볼트(10) 삽입 결합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플레이트(420)는 제2 회전 동력부(460)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동력부(460)는 회전 플레이트(420)의 중심 하부에 결합된 제2 회전축(461)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플레이트(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푸셔(430)는 마그넷 투입봉(410)으로부터 제공되는 마그넷(20)을 마그넷 삽입부(11)의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푸셔(430)에는 일측 개방된 개방부(431)가 마련되고, 마그넷 투입봉(410)으로부터 제공된 마그넷(20)이 삽입되는 마그넷 투입홈(432)이 형성되어, 마그넷 투입봉(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마그넷(20)은 푸셔(430)에 의해 마그넷 삽입부(11)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는 푸셔(430)로부터 이동되는 마그넷(20)이 개방부(43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서 마그넷 삽입부(11)의 상부에 마그넷(20)이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마그넷(2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의 일단부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의 타단부가 푸셔(430)에 의해 이동되는 마그넷(20)을 누르며 마그넷(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예를 들어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삽입 가압부(450)는 푸셔(430)에 의해 마그넷 삽입부(11)의 상부로 이동된 마그넷(20)을 마그넷 삽입부(11)의 내부로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삽입 가압부(450)는 푸셔(430)와 이탈 방지 가이드부(440)에 의해 마그넷 삽입부(11)의 상부로 위치되는 마그넷(20)을 가압하여 마그넷 삽입부(11) 내로 삽입하게 된다.
한편, 마그넷 고정부(500)는 마그넷 결합부(400)를 통해 마그넷 삽입부(11)로 삽입된 마그넷(20)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마그넷 고정부(500)는 마그넷 삽입부(11)에 삽입된 마그넷(2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며 볼트(10) 내에 마그넷(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마그넷 고정부(500)에는 마그넷(20)과 대응되는 직경을 이루는 가압부재(5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압부재(510)는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마그넷(2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함으로써, 예를 들어 마그넷 삽입부(11) 내에 삽입되는 마그넷(20)은 기울어짐 없이 마그넷 삽입부(11)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고정부(500)에서 마그넷(20)의 가압 작업이 이루어진 볼트(10)는 코킹 결합부(600)로 이동된다.
이러한 코킹 결합부(600)는 코킹 결합을 통해 마그넷 삽입부(11) 내에 수용된 마그넷(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킹 결합부(600)는 볼트(10)의 상부면 테두리를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여 마그넷 삽입부(11) 내에 수용된 마그넷(20)이 볼트(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코킹 결합부(600)는 볼트(10)의 상부면 테두리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가압하여 볼트(10)와 마그넷(20)이 일체를 이루는 마그넷 볼트(30)를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코킹 결합부(600)를 통해 제조된 마그넷 볼트(30)는 코킹 결합부(600)와 이웃하게 배치된 검사 측정부(700)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된 마그넷 볼트(30)에 대한 제품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검사 측정부(700)는 카메라부(710), 평가 분석부(720) 및 합부 판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710)는 마그넷(20)과 볼트(10)가 일체로 결합된 마그넷 볼트(30)를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710)를 통해 촬영된 마그넷 볼트(30)의 이미지 영상은 평가 분석부(72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분석부(720)는 카메라부(71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기초로 마그넷 볼트(30)를 분석하게 된다. 이러한 평가 분석부(720)는 예를 들어, 볼트(10) 내에 결합된 마그넷(20)의 결합 배치 상태, 마그넷(20)의 크랙 발생 유무 및 코킹 작업의 불량 상태 등 다양한 작업 불량 유무를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합부 판정부(730)는 평가 분석부(720)로부터 분석된 마그넷 볼트(30)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최종적으로 제조된 마그넷 볼트(30)의 합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합부 판정부(730)는 불량으로 제조된 마그넷 볼트(30)를 자동으로 선별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볼트
11: 마그넷 삽입부
12: 머리부
13: 나사부
20: 마그넷
30: 마그넷 볼트
100: 볼트 저장부
200: 볼트 공급부
201: 지지벽
210: 볼트 수용부
220: 나선 이동 가이드부
230: 진동 제공부
240: 볼트 선별라인
250: 개별 공급부
260: 볼트 수용량 측정부
261: 설치 프레임
262: 회전바
263: 센서부
264: 회전축
300: 볼트 이송부
310: 원판 플레이트
311: 볼트 삽입홈
320: 이탈 방지 플레이트
330: 제1 회전 동력부
331: 제1 회전축
400: 마그넷 결합부
410: 마그넷 투입봉
420: 회전 플레이트
430: 푸셔
431: 개방부
432: 마그넷 투입홈
440: 이탈 방지 가이드부
450: 삽입 가압부
460: 제2 회전 동력부
461: 제2 회전축
500: 마그넷 고정부
510: 가압부재
600: 코킹 결합부
700: 검사 측정부
710: 카메라부
720: 평가 분석부
730: 합부 판정부
1000: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Claims (7)

  1. 마그넷 삽입부가 형성된 볼트가 저장된 볼트 저장부;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볼트에 마그넷 결합을 위해 개별 단위로 볼트를 공급하는 볼트 공급부;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볼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공급부로부터 상기 볼트 삽입홈으로 공급된 볼트를 각 작업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볼트 이송부;
    상기 볼트 이송부로부터 이송된 볼트의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마그넷을 삽입하는 마그넷 결합부;
    상기 마그넷 결합부를 통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에 삽입된 마그넷을 가압하는 마그넷 고정부;
    상기 마그넷 고정부를 통해 가압된 마그넷을 볼트에 일체로 결합하여 마그넷 볼트를 제조하는 코킹 결합부; 및
    상기 코킹 결합부를 통해 제조된 마그넷 볼트의 합부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결합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마그넷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복수개의 마그넷 투입봉; 상기 마그넷 투입봉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고정 설치된 회전 플레이트; 일측에 개방부가 마련된 마그넷 투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그넷 투입봉의 하부에 배치된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푸셔; 일단부는 상기 볼트 이송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된 마그넷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가이드부; 및 상기 푸셔에 의해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상부로 이동된 마그넷을 상기 마그넷 삽입부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삽입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탈 방지 가이드부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인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공급부는,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공급된 볼트가 수용되는 볼트 수용부;
    나선을 이루며 상기 볼트 수용부에 구비된 지지벽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상기 볼트 수용부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를 이동시키는 나선 이동 가이드부;
    상기 볼트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볼트 수용부에 회전 진동을 가하여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가 진동에 의해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진동 제공부;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볼트 이송부로 공급 가능한 볼트를 선별하는 볼트 선별라인; 및
    상기 볼트 선별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을 통해 선별된 볼트를 상기 볼트 삽입홈으로 공급하는 개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의 폭은 상기 나선 이동 가이드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 선별라인은 볼트의 머리부가 상기 볼트 선별라인에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볼트에 대해서만 상기 개별 공급부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 선별라인의 폭은 볼트 머리부의 대변 길이의 절반 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이송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볼트 삽입홈이 형성된 원판 플레이트;
    상기 원판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 삽입홈에 삽입된 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 및
    상기 원판 플레이트의 중심 하부에 결합된 제1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원판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고정부에는 마그넷과 대응되는 직경을 이루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는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마그넷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코킹 결합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볼트의 상부면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마그넷 삽입부 내에 삽입된 마그넷과 볼트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측정부는,
    마그넷과 볼트가 일체로 결합된 마그넷 볼트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기초로 마그넷 볼트를 평가 분석하는 평가 분석부; 및
    상기 평가 분석부를 통해 최종적으로 마그넷 볼트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합부 판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분석부는 마그넷의 결합 배치 상태, 마그넷의 크랙 유무 및 코킹 작업 불량을 분석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공급부는 상기 볼트 수용부에 수용된 볼트의 양을 측정하는 볼트 수용량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볼트 수용량 측정부는,
    상기 볼트 공급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외부 케이싱에 고정 설치된 설치 프레임;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바의 기울기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미리 정해진 기울기 이상으로 상기 회전바가 회전된 경우, 상기 볼트 저장부로부터 상기 볼트 공급부로 공급되는 볼트 공급을 중단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KR1020210042023A 2021-03-31 2021-03-31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KR102543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23A KR102543518B1 (ko) 2021-03-31 2021-03-31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23A KR102543518B1 (ko) 2021-03-31 2021-03-31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31A KR20220135831A (ko) 2022-10-07
KR102543518B1 true KR102543518B1 (ko) 2023-06-15

Family

ID=8359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023A KR102543518B1 (ko) 2021-03-31 2021-03-31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56B1 (ko) * 2005-04-11 2006-10-12 전병규 리벳볼트 가 조립기
JP2010221380A (ja) * 2009-03-25 2010-10-07 Fuji Xerox Co Ltd 部品組付検査方法および部品組付検査装置
KR101183872B1 (ko) * 2011-04-21 2012-09-19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공급장치
KR101520861B1 (ko) * 2015-03-23 2015-05-18 (주)와이에스더블유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870A (ko) * 2008-09-05 2010-03-15 서종인 볼트와 와셔의 자동 공급 및 조립장치
KR20190071313A (ko) 2017-12-14 2019-06-24 정기선 경질주조합금 볼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756B1 (ko) * 2005-04-11 2006-10-12 전병규 리벳볼트 가 조립기
JP2010221380A (ja) * 2009-03-25 2010-10-07 Fuji Xerox Co Ltd 部品組付検査方法および部品組付検査装置
KR101183872B1 (ko) * 2011-04-21 2012-09-19 주식회사 서울금속 부품 공급장치
KR101520861B1 (ko) * 2015-03-23 2015-05-18 (주)와이에스더블유 드레인 플러그의 자석 코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31A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68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US7364043B2 (en) Fastener inspection system
KR101980860B1 (ko) 스프링 핀 선별장치
US7971703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ed object inspection apparatus
US7777871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of golf balls and cores
KR101485680B1 (ko) 베어링 진단 시스템
KR102543518B1 (ko) 마그넷 볼트 코킹 제조장치
CN111940330B (zh) 一种橡胶轴套组合件检测机
KR20120009835A (ko) 오링볼트 검사장치
EP0085124A1 (en) Screw inspection device
KR102573374B1 (ko)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JP6440881B1 (ja) 中空円筒体の性能評価装置
KR101844505B1 (ko) 소프트렌즈 품질 검사장치
CN213727923U (zh) 一种轴承成品外观缺陷检测装置
CN211802470U (zh) 一种紧固件涡流检测装置
CN112122174B (zh) 一种自动调整轴承距离的轴承成品外观缺陷检测装置
CN213737165U (zh) 一种高效的振动盘
KR102389937B1 (ko) 진공채혈관 선별공급장치
KR20140145708A (ko) 비젼 기반의 강구 자동 분류 장치
KR101399066B1 (ko)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수율의 강구 검사장치
KR101183537B1 (ko) 이미지 처리를 통해 불량 검사 기능을 갖는 스크류 선별장치
KR200337386Y1 (ko) 주화검사 시스템
KR20160092738A (ko) 볼트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자유 낙하식 볼트 선별장치
CN205539233U (zh) 电性能检测机
US11275014B1 (en) Particle characteristic measur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