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9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090B1
KR102543090B1 KR1020180002414A KR20180002414A KR102543090B1 KR 102543090 B1 KR102543090 B1 KR 102543090B1 KR 1020180002414 A KR1020180002414 A KR 1020180002414A KR 20180002414 A KR20180002414 A KR 20180002414A KR 102543090 B1 KR102543090 B1 KR 102543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erminal
amount
base statio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41A (ko
Inventor
박효열
최밝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90B1/ko
Priority to US16/242,506 priority patent/US10798714B2/en
Priority to PCT/KR2019/000281 priority patent/WO2019135669A1/en
Priority to EP19736195.9A priority patent/EP3735793A4/en
Priority to CN201980006369.4A priority patent/CN111480383B/zh
Publication of KR2019008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BO)을 각 캐리어마다 분배하고, 상기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에 따른 높은 데이터 속도를 충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들을 묶음으로 활용하는 CA(carrier aggregation)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단말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내 데이터들을 처리하기 위해, CC 별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 때, 각 CC에게 할당되는 버퍼 사용량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으면, 효율적으로 자원이 할당되기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CA(carrier aggregation)를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마다 순차적으로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채널 상태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때마다, 버퍼 점유량의 분배를 개시하는 CC의 위치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BO)을 각 캐리어마다 분배하고, 상기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설정된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BO)을 각 캐리어마다 분배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 별 버퍼 사용량을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특정 CC에 버퍼 사용량이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무선 채널 상태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부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carrier) 기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BO) 분배를 통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통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개시 캐리어(initial carrier) 결정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A(carrier aggregation)에서 자원 할당 시, 단말의 버퍼 점유량(buffer occupancy, BO)을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이하, 캐리어)마다 순차적으로(sequentially) 분배함으로써,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전체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점유량의 분배를 위해, 각 캐리어에서의 버퍼 사용량을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자원에 관련된 변수(예: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 주파수, 서브캐리어(subcarrier), 캐리어(carrier), 컴포넌트 캐리어, 대역폭(bandwidth), 시간, 심볼(symbol), 서브프레임(subframe),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레이어(layer), 빔(beam))을 지칭하는 용어, 스케줄링과 관련된 용어(예: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단위 스케줄링 시간(scheduling time), 스케줄링 구간(scheduling interval),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부호율(code rate),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예: 스케줄링부, 중앙 스케줄러, 캐리어 스케줄러)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을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기지국 110은 단말들 120, 130, 14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 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 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 110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단말 120, 단말 130, 또는 단말 140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 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경로 손실(path loss)이 높으므로, 이를 극복 및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은 다수의 아날로그 빔들을 통해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10, 단말 120, 단말 130, 및 단말 14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 110 및 단말들 120, 130, 14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빔들 111, 112, 113 중 빔 탐색 또는 빔 관리 절차를 통해 서빙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서빙 빔 111을 이용하여 단말 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서빙 빔 113을 이용하여 단말 130, 단말 14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빔을 통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자원을 시간으로 분할하여 빔 단위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SU(single user)-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에 따른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하나의 빔을 통해 서비스 되는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하나의 단말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하나의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마다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나의 빔을 통해 서비스 되는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단말들 각각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들 각각에 설정된 캐리어마다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MU(multi user)-MIMO 에 따른 통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다수의 빔들을 통해 서비스되는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수의 빔들은, 공간적으로(spatially) 구별되는 빔들일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공통된(common) 캐리어마다 단말들 각각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동일한 TTI에서 빔을 달리하여 각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110은 MU-MIMO를 위한 단말들에게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시퀀스 또는 다른 직교 코드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자원 할당, 즉 스케줄링을 위한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기지국 110은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즉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즉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이 다른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서 스케줄링을 위한 절차들은 하향링크를 기준으로 서술된다.
스케줄링을 위한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존재한다. 버퍼 점유량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버퍼에 현재 큐잉된(queued)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 기지국 110은,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만큼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마다 스케줄링을 통해 버퍼 점유량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CA 환경에서,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마다 버퍼 점유량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캐리어 별로 분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캐리어에게 분배하는 때, 캐리어에게 분배되는 버퍼 점유량은 상기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으로 지칭된다.
특정 셀(예: primary cell(Pcell))의 캐리어(예: primary CC(PCC))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일률적으로 다른 셀(예: secondary cell(Scell))의 캐리어(예: secondary CC(SCC))의 버퍼 사용량으로 결정하게 되면, 다른 셀의 캐리어를 통해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반영되지 않아 자원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ell에 대한 버퍼 사용량이 특정 단말에게 과도하게 분배되어,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 외에는 패딩(padding)이 채워진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상기 특정 단말에게 분배된 버퍼 사용량으로 인해, 다른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없다. 또한, 캐리어 별 정확한 물리 채널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특정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부족한 반면 다른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보다 크게 되어,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캐리어마다 순차적으로 분배함으로써,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a-4c를 통해, 스케줄링을 위한 절차들 및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의 기능적 구성이 서술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 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기지국 110은 무선통신부 210, 백홀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심벌들을 생성 또는 비트열을 복원하기 위한 변조 방식 또는 코딩 방식은, 제어부 240에서의 스케줄링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 2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 2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 210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부 210은 제어부 240에 의해 설정되는 전력 값에 기반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부 210은 단말로부터, 캐리어들 마다 피드백 정보(예: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는 CA를 위해 설정 가능한 캐리어들일 수 있다.
무선통신부 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 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 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 22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220은 기지국 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간 CA를 지원하기 위해, 백홀통신부 220은 다른 노드에게 해당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 230은 기지국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2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230은 제어부 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 110은 빔 관련 정보(예: 빔 별 단말 정보, 빔 별 캐리어 정보, 빔 별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10은 단말 관련 정보(예: 단말 별 캐리어 정보, 단말 별 채널 정보, 단말 별 버퍼 점유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110은 캐리어 관련 정보(예: 캐리어 별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상태 정보(예: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의 형태 그대로 저장되거나, MCS 레벨 혹은 채널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채널 품질(예: SINR)의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저장부 230은 MCS 레벨 또는 채널 용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 240은 기지국 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40은 무선통신부 2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 220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40은 저장부 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24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2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여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순차적으로 분배 및 분배 결과에 따라 캐리어 별로 자원을 할당하는 스케줄링부 2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부 241은 저장부 230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 240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 240을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240은 기지국 11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제어부 240의 구성은, 제어부 240의 일 예일 뿐,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부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스케줄링부는 도 2의 스케줄링부 241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스케줄링 절차의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스케줄링을 위한 기지국의 계층(layer) 별 프로토콜(protocol) 구성이 스케줄링부의 구성과 함께 서술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251에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 또는 압축 해제(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암호화(ciphering) 또는 암호 해독(deciphering), 또는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ion)가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위해, 데이터에 대응하는 PDCP SDU(service data unit)에 PDCP 헤더가 추가된 PDCP PDU(packet data unit)를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252에게 전달한다.
RLC 계층 252에서는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재분할(resegmentation) 시퀀스 넘버링(sequence numbering), 또는 재결합(reassembly)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별로 하나의 RLC 엔티티(entity)가 존재할 수 있다. RLC 엔티티는 RLC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RLC 버퍼는 단말을 위한 데이터를 큐잉할 수 있다. 여기서 큐잉된 데이터의 양은 버퍼 점유량을 의미한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에 구성된 무선 베어러의 버퍼 점유량이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 지칭되어 서술된다.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위해,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MAC 계층 253으로 제공한다.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 253에서는, 논리 채널(logical channel)과 전송 채널 간의 맵핑,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한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우선 순위 핸들링(priority handling) 또는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 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 블록으로의 다중화(multiplexing)/역다중화(demultiplexing)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논리 채널을 통해 RLC 계층 252에서 MAC 계층 253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논리 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MAC 계층 253으로 제공한다. 기지국은 MAC 계층 253에서, 자원의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MAC 계층 253의 일부분으로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의 할당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는, 중앙 스케줄러와 각 캐리어 스케줄러가 동작적으로(operably) 결합되는 스케줄러의 구조가 예로 서술된다. 중앙 스케줄러는, 캐리어마다 버퍼 점유량을 정확히 분배하기 위해,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물리 채널 정보(예: 빔 정보, 빔 별 채널 정보, 가용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각 캐리어에서 처리될 데이터의 양을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버퍼 점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는 각 캐리어에 분배된 버퍼 점유량만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는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병렬적으로 각 캐리어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캐리어 별로 병렬적으로 스케줄링이 수행됨에 따라, 캐리어 별 직렬적인 스케줄링에 비해 전체 스케줄링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스케줄러는 CA를 위해 설정된 복수의 캐리어들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 스케줄러(central scheduler) 260과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을 포함할 수 있다. CA를 위해 단말들에 설정된 총 캐리어들이 n개(예: CC #0부터 CC #n-1)인 상황이 가정된다. 중앙 스케줄러는, 주 스케줄러(main scheduler)로 지칭될 수도 있다.
중앙 스케줄러 260은 채널 용량 결정부 261, 단말 식별부 263, BO 분배부 265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용량 결정부 261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예: CQI, HARQ 피드백)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을 계산할 수 있다. 채널 정보는 캐리어 별 채널 정보,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 또는 전체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일 수 있다. 채널 품질은 캐리어 별 채널 품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품질은 빔 별 캐리어 별 채널 품질일 수 있다. 채널 용량 결정부 261은 채널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용량 결정부 261은 계산된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채널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용량은 단위 자원(예: 톤)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을 의미한다. 여기서, 톤은 하나의 서브캐리어(subcarrier)에 대응하는 자원을 가리킬 수 있다.
단말 식별부 263은 스케줄링을 위한 단말(이하,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 식별부 263은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하기 전, 스케줄링을 위한 빔(이하, 스케줄링 빔)을 식별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는 동일한 물리적 안테나가 공유됨에 따라,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동일한 빔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식별부 263은 각 캐리어 별로 사용할 스케줄링 빔을 식별할 수 있다. 단말 식별부 263은 스케줄링 빔에 의해 서비스받는 단말들을 스케줄링 단말들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 식별부 263은 결정된 스케줄링 단말들 중에서 BO 분배를 위한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식별부 263은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의 베어러(bearer)의 우선 순위 (priority)에 따라 스케줄링 단말을 순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BO 분배부 265는, 단말의 캐리어 별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여,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캐리어마다 분배할 수 있다. BO 분배부 265는 실제 물리 채널에서의 자원 할당을 고려하여, 각 캐리어 별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BO 분배부 265는,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해당 캐리어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각 캐리어에게 분배됨으로써, 주파수 자원이 각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중앙 스케줄러 260은, 분배된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 각각은, 중앙 스케줄러 270으로부터 분배된 버퍼 사용량, 즉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는 단말의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따라, 해당 단말의 MCS 레벨을 결정하고, 할당될 자원 블록들(resource blocks, RBs)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에서, 캐리어 단위로 각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즉,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 각각이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의 스케줄링 시간이 중첩될 수 있으므로, 전체 캐리어들에 대한 스케줄링 시간은 감소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중앙 스케줄러 260과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의 구성은, 일 예일 뿐,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10은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 내 CA(예: intra-eNB CA)가 지원되는 경우, 기지국 110은 P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 및 S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들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 110은 캐리어 스케줄러들 2701- 내지 270-n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과 다른 기지국간 CA(예: inter-eNB CA)가 지원되는 경우, 기지국 110은 P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를 포함하고 다른 기지국은 S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하는 각 캐리어 스케줄러는 서로 다른 버퍼 사용량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캐리어 스케줄러들 각각에 전달되는 버퍼 사용량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Pcell 및 Scell에 동일하게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캐리어 스케줄러가 할당하는 자원의 양이 서빙 셀 별로 다를 수 있다.
도 2b에서는, 각 캐리어 스케줄러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캐리어 스케줄러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자원을 할당, 즉 크로스-캐리어(cross-carrier)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스케줄러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위해 중앙 스케줄러와 각 캐리어 스케줄러를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스케줄링 시간이 단축되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효과적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 120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을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 310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임의의 신호로부터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통신부 310은 CA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310은, 대역 간 CA를 위해,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각각을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310은 대역 내 CA를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각 캐리어 별 채널 정보를 기지국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 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38GHz, 60GHz 등)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 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 320은 단말 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 330은 단말 12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3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3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 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 3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의 일부 및 제어부 330은 CP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 330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330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도 2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a의 통신부 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4c는 도 2a의 무선통신부 210 또는 도 3a의 통신부 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예시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 210 또는 통신부 310은 부호화 및 변조부 402, 디지털 빔포밍부 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를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한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 402는 성상도 맵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 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한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 404은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 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는 도 4b 또는 도 4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서로 다른 안테나 집합들 즉,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c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 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동일한 안테나 집합, 즉,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된다. 첫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 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되고, 증폭기들 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다. 그리고,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되도록, 증폭된 신호들은 안테나 요소를 기준으로 합산부들 416-1-1 내지 416-1-M에 의해 합산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4b는 송신 경로 별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는 예를, 도 4c 송신 경로들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일부 송신 경로들은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고, 나머지 송신 경로들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경로들 및 안테나 어레이들 간 스위치 가능한(switchable)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에게 전송될 데이터 또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달되기 위해, 물리적인 자원(physical resource)의 할당이 요구된다. 필요한 자원보다 적은 자원을 할당하게 되면 데이터의 전송률이 낮아지고, 지나치게 많은 자원을 할당하게 되면 불필요한 자원이 낭비된다. 따라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스케줄러는, 최적의 자원 사용 효율을 위해, 실제 전송될 데이터에 할당될 자원을 보다 정확히 예상할 것이 요구된다.
스케줄러는 전송을 위한 데이터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 버퍼 점유량을 참조할 수 있다. CA를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기지국은 데이터를 각 캐리어에게 분산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를 통해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의 양만큼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버퍼 점유량 중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정확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무선 채널 상태 변화에 적응하여, 기지국이 서비스하는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각 캐리어에게 분배하기 위한 기법(이하, 캐리어 기반 BO 분배)이 서술된다.
캐리어 기반 BO 분배(carrier-based BO distribution)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carrier) 기반 버퍼 점유량 분배를 통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기지국 110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5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은, 단말의 CA를 위해 설정된 캐리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복수의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채널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RI(channel resource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CQI는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RI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될 레이어들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PMI 또는 CRI는 스케줄링 빔 또는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채널 정보는 HARQ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ARQ 정보는 이전에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포함할 수 있다. HARQ 정보는 채널 변화에 따른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개선된 채널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5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버퍼 점유량을 각 캐리어에게 분배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버퍼 점유량을 각 캐리어에게 분배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sequentially)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각 캐리어에게 분배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단말을 위해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캐리어에 대한 채널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채널 정보(예: 채널 상태 정보 또는 HARQ 피드백 정보)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 대한 채널 품질(예: 빔 별 SINR)을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채널 품질과 채널 정보 간의 관계는 단말의 수신 성능에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품질은,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BRSRP(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EVM(error vector magnitude), BER(bit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채널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의 각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예: CQI)로부터 채널 품질(예: SINR)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의 특정 캐리어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로부터 단말의 다른 캐리어의 채널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채널 품질에 단말의 ACK/NACK 여부에 따른 OLRC의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채널 품질을 결정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채널 품질(예: 빔 별 캐리어 별 SINR)에 캐리어 별 HARQ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셋을 결정하고, 결정된 오프셋을 가감하여 실제 수신 성능을 고려한 채널 품질을 재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결정된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캐리어에 대한 채널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빔 별 캐리어 별 채널 품질로부터, 빔 별 캐리어 별 채널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채널 품질과 채널 용량 간의 관계는 단말의 수신 성능에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채널 용량은, 단위 자원당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용량은 변조 기법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널 용량은 부호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널 용량은 MCS 레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채널 용량은 변조 기법의 레벨(즉, 변조 차수)와 부호율을 곱한 값으로 0부터 임의의 정수와 소수를 포함한 값이며, 한 개의 주파수 톤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이다. 다시 말해, 채널 용량은 OFDM 심볼당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변조 기법이 64 QAM(변조 차수: 6)이고 부호율이 0.5라면 채널 용량은 3(6*0.5)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변조 기법이 16 QAM(변조 차수: 4)이고 부호율이 0.75이면 채널 용량은 (4*0.75)로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마다 빔 별 채널 용량 또는 캐리어 별 채널 용량(예: MPR(modulation order product code rate)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결정된 채널 용량에 기반하여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때까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반복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해 순차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버퍼 사용량이 결정됨으로써, 무선 채널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버퍼 점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5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캐리어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시 요구되는 정보들(예: 제어 채널, 동기 신호, 기준 신호, 채널 코딩))에 따라 추가되는 비트들(이하, 추가 비트들)을 고려하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비트들과 추가 비트들을 포함하는 패킷의 크기만큼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의 크기는 전송 블록 크기 또는 전송 블록 크기들의 합 일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채널 정보에 따라 변조 방식 또는 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채널 정보에 따라 MCS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송 블록 크기 및 MCS 레벨에 기반하여,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블록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한 MCS 레벨 및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따라, 단말에게 각 캐리어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단말을 위해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위해 분배하고, 자원을 할당하는 구성이 서술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하나의 단말뿐만 아니라 다수의 단말들을 스케줄링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캐리어 기반 BO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복수의 단말들 각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복수의 단말들 간 자원들이 공유될 수 있다. 특정 단말의 특정 캐리어에 대한 스케줄링 결과는 다른 단말의 상기 특정 캐리어에 대한 스케줄링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단말 내 특정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단말 내 다른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들 간 공유되는 가용 자원의 변화, 캐리어들 간 공유되는 단말의 버퍼 점유량의 변화를 순시적으로 갱신(update)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복수의 단말들 각각을 위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 및 스케줄링을 위한 절차가 서술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통해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하여,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을 각 캐리어마다 분배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6은 기지국 110과 단말들 120, 130, 140 간 신호 교환을 예시한다. 단말 120 및 단말 130은 2개의 서빙 셀들(serving cells) 로 구성된 CA가 지원되는 단말(이하, CA 단말)이고, 단말 140은 1개의 서빙 셀로 구성된 단말(이하, non-CA 단말)인 상황이 예로 서술된다.
도 6을 참고하면, 601 단계에서, 기지국 110은 단말 120, 단말 130 또는 단말 140으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601 단계는, 도 5의 501 단계에 대응되므로, 상기 501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설명이 생략된다.
기지국 110은 단말 120으로부터, 단말 120에 설정된 복수의 서빙 셀들(예: CC #0, CC #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단말 120으로부터 복수의 서빙 셀들 각각에 대한 채널 정보(예: CQI), 즉 캐리어 별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특정 캐리어(예: PCC)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캐리어는 단말 120의 CA를 위해 설정된 캐리어일 수 있다. 단말 120에 대한 설명은, 단말 13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40으로부터, 단말 140에 설정된 서빙 셀(예: CC #1)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603 단계에서, 기지국 110은 단말 별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603 단계는, 도 5의 503 단계에 대응되므로, 상기 503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설명이 생략된다.
기지국 110은 각 단말에 대한 버퍼 점유량을 획득할 수 있다. PDCP 계층 또는 RLC 계층에서 MAC 계층으로 각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전달된다. 기지국 110은 MAC 계층에서, 각 단말에 대한 버퍼 점유량을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자원이 할당될, 스케줄링 단말(예: 단말 130, 단말 140)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예: CC #0, CC #1)를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분배하기 위해, 식별된 캐리어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모든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스케줄링 단말을 순차적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스케줄링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각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각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은, 스케줄링 단말들간 공유될 수 있다. 기지국은 110은, 특정 단말(예: 단말 130)의 특정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한 경우, 상기 결정된 버퍼 사용량 및 가용 자원량에 기반하여, 다른 단말(예: 단말 140)의 특정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기지국 110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605 단계는, 도 5의 505 단계에 대응되므로, 상기 505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설명이 생략된다.
기지국 110은 각 캐리어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캐리어 단위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버퍼 점유량의 분배는 단말 단위로 수행되었으나, 자원 할당은 캐리어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각 단말의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각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전달한다. 기지국 110은 각 캐리어에 대한 단말들 각각의 버퍼 사용량을 각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CC #0에 대한 단말 130의 버퍼 사용량은 CC #0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제공한다. 또한, 기지국 110은 CC #1에 대한 단말 130의 버퍼 사용량 및 CC #1에 대한 단말 140의 버퍼 사용량은 CC #1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제공한다.
기지국 110은 캐리어에 대한 전체 가용 자원들을, 각 단말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게 분배 및 할당할 수 있다. 동일 캐리어 내에서는, MU-MIMO를 제외하고, 가용 자원이 공유되는 바, 기지국 110은 각 단말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비례하여, 각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만큼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 110 내 캐리어 스케줄러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병렬적으로 각 캐리어에 대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 #1에 대한 단말 140의 스케줄링과 CC #0에 대한 단말 130의 스케줄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스케줄링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캐리어 스케줄러는, 각 캐리어에서 해당 단말의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전체 패킷 크기에 따라 MCS 레벨 및 자원 블록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 110은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결과에 따라 할당된 캐리어 별 가상 BO, 즉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대한 실제 스케줄링을 각 캐리어 스케줄러를 통해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607 단계에서, 기지국 110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스케줄링된 단말들(예: 단말 130, 단말 140) 각각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통해 각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605 단계의 스케줄링 결과의 자원 블록들의 개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영역을 통해, 데이터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공유 채널(예: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제어 채널(예: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에서 자원 블록의 할당을 지시하는 DCI(예: RB assignment 필드)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DCI를 디코딩하여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영역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DCI를 통해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실시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DCI는 단말에게 할당되는 자원의 양을 가리킬 수 있다.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스케줄링되는 캐리어에서는 최대로 전송 가능한 비트들의 개수, 즉 최대 패킷 크기 내에서 버퍼의 잔여량 모두가 할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변경되는 경우, 단말에게 가장 마지막으로 분배되는 버퍼 사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특정 캐리어를 통해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의 변화를 통해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실시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스케줄링 절차를 통해, 기지국의 셀 내 전송 용량 또는 총 처리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자원이 할당되는 단말들의 수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되는 단말들 중 가장 낮은 우선 순위의 단말의 변화를 통해,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에 따른 단말들의 수의 증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통한 스케줄링 절차가 서술되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상세 동작들이 서술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함으로써, BO를 각 캐리어마다 분배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기지국은 도 1의 기지국 110일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503 단계 또는 도 6의 603 단계를 예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스케줄링 빔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예: Pre 5G(5th generation) 및 NR(new radio))은 빔포밍을 지원하므로, 기지국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빔 단위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하나 이상의 빔에 의해 서비스되는 단말들을 스케줄링 단말로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현재 단위 스케줄링 시간에 대응하는 빔, 즉 스케줄링 빔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빔들 중에서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빔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도 1의 빔 113을 스케줄링 빔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MU-MIMO가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2개 이상의 스케줄링 빔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예로, 빔 111과 빔 113이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동일한 스케줄링 시간 동안 할당되는 경우, 기지국은 도 1의 빔 111 및 빔 113 모두를 스케줄링 빔들로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빔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스케줄링 빔에 대응하는 단말이란, 스케줄링 빔을 통해 서비스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들은 스케줄링 단말 집합(set)으로 지칭되고, 각 단말은 스케줄링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스케줄링 빔으로 도 1의 빔 113이 식별된 경우, 단말 130 및 단말 140을 스케줄링 단말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스케줄링 빔으로 도 1의 빔 111이 식별된 경우, 단말 120을 스케줄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SU-MIMO가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빔을 통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스케줄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20은 다른(예: 빔 111)을 통해 서비스되므로, 기지국 110은 단말 130과 다른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단말 120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20을 스케줄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MU-MIMO가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빔들을 통해 서비스되는 단말들 각각을 스케줄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동일한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단말 130 및 단말 140과 함께 단말 120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기지국 110은 동일한 단위 스케줄링 시간에서, 단말 130, 단말 140뿐만 아니라 단말 120도 스케줄링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703 단계에서,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 집합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 중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될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단말들 중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될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우선 순위는 단말 별로 설정된 무선 베어러의 우선 순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우선 순위는 각 단말의 채널 상태에 기반한 우선 순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우선 순위는 공평성(fairness)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우선 순위일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 130의 무선 베어러의 우선 순위가 단말 140의 무선 베어러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경우, BO 분배를 위해 단말 130을 식별한 뒤, 단말 140을 식별할 수 있다. 스케줄링 빔에 대응하는 단말들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기지국은 상기 하나의 단말을 스케줄링 단말로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후술하는 707 단계의 판단 절차에 따라,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술한 지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705 단계에서, 기지국은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에 대해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될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단말 130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 130에 설정된 CC #0, CC #1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단말 140에 대한 BO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 140에 설정된 CC #1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식별된 캐리어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단말의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제외함으로써,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잔여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다음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체 버퍼 점유량에 대응하는 총 버퍼 사용량이 결정될 때까지 각 캐리어에 대해 반복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130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CC #0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CC #0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제외하여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잔여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CC #1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707 단계에서, 기지국은 703 단계에서 식별된 스케줄링 단말이 마지막 스케줄링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701 단계에서 결정된 스케줄링 집합 내 단말(들) 모두에 대해 BO 분배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스케줄링 빔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단말들 모두에 대해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130 및 단말 140 각각에 대해 캐리어 기반 BO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703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이 마지막 스케줄링 단말인 경우, 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기지국은 703 단계에서 식별된 단말이 마지막 스케줄링 단말이 아닌 경우, 70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703 단계에서 다른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 집합 내 단말들 중 다른 스케줄링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사이클(cycle)의 703 단계에서 단말 130이 식별된 경우, 현재 사이클의 7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 140을 스케줄링 단말로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모든 스케줄링 단말들에 대해 상기 BO 분배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들 각각에 대해 반복적으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 130에 대해 BO 분배를 수행한 뒤, 단말 140에 대해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마다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실제 0이 아닌 BO가 분배되는 사이클(상술한 703 단계 내지 707 단계를 포함)의 반복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빔에 대한 스케줄링 단말들을 결정하고, 703 단계 내지 707 단계를 각 스케줄링 단말마다 반복하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단위 스케줄링 동안 복수의 스케줄링 빔들이 구성되는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빔들 각각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단말 별 BO 분배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도 1의 기지국 110일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503 단계 또는 도 7의 705 단계를 예시한다. 단말은 스케줄링 단말을 의미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 단계에서, 기지국은 스케줄링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단말이 CA를 지원하는 단말 130인 경우, 기지국 110은 두 개의 캐리어들(CC #0, CC #1)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케줄링 단말이 CA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 140인 경우, 기지국 110은 단일 캐리어(CC #1)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식별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 중에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스케줄링 캐리어를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스케줄링 캐리어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식별되는 캐리어를 의미한다. 버퍼 사용량은,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분배 및 할당되는 가상 BO 값으로, 실제 스케줄링을 위해 할당되는 자원 양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은, 식별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 중에서,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될 캐리어(이하, 개시 캐리어(initial carrier))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CA 능력(capability)에 따라, 개시 캐리어부터 순차적으로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스케줄링 시간 마다 개시 캐리어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 캐리어는 PCC에 대한 셀(Pcell)의 인덱스 및 오프셋 값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개시 캐리어는 하기의 <수학식 1>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2263703-pat00001
<수학식 1>에서 i0은 개시 캐리어의 셀의 인덱스를, Pcell index는 Pcell의 인덱스를, offset은 설정된 오프셋 값을, I는 단말에 설정된 전채 캐리어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오프셋 값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오프셋 값을 스케줄링 시간마다 순환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매 스케줄링 시간(또는 air time)마다 1씩 증가된 값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은 오프셋 값을 스케줄링 시간마다 랜덤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후술하는 809 단계의 판단 절차에 따라, 식별된 스케줄링 캐리어들을 반복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단말의 잔여 버퍼 사용량이 0이 될 때까지, 기지국은 개시 캐리어부터 버퍼 사용량이 결정될 스케줄링 캐리어를 순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803 단계에서, 기지국은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식별된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채널 정보로부터,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식별된 캐리어(예: CC #0, CC #1)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식별된 단말 130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각 캐리어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채널 정보는 CC #0 또는 CC #1 에 대한 채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채널 정보는 단말 130을 서비스하는 빔 113에 대한 채널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캐리어 별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캐리어를 위해 할당 가능한 물리적 자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스케줄링 캐리어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 블록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자원 블록들의 개수는 가용 자원 블록들의 개수 또는 잔여 자원 블록들(remaining RBs, RRBs)의 개수로 지칭된다.
가용 자원량은 캐리어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의 절차가 수행되는 단말들 간에는 가용 자원량이 공유될 수 있다. 특정 단말에서 할당되는 자원의 양은, 다른 단말에서 할당되는 자원의 양에 종속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가용 자원량의 초기값은, 스케줄링 캐리어에서 할당 가능한 최대 자원 블록들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스케줄링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되는 때, 가용 자원량은 캐리어에서 할당 가능한 최대 자원 블록들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전 단말은, 각 스케줄링 캐리어에서 아직 어떠한 자원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MU-MIMO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수행되는 때, 가용 자원량은 캐리어에서 할당 가능한 최대 자원 블록들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MU-MIMO 의 단말들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할당되더라도, 신호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단말별로 반복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특정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량이 0일 수도 있다.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량이 0인 경우 상기 스케줄링 케리어에 대한 자원 할당이 수행될 수 없다. 또한,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보다 많은 양의 자원을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해,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각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예: CQI) 또는 HARQ 정보(ACK/NACK)에 기반하여 채널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채널 용량은, 단위 스케줄링 자원 당 데이터 양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 별 단위 자원 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채널 용량은 도 5의 503 단계에서 결정된 채널 용량일 수 있다. 채널 용량은 변조 차수와 부호율을 곱한 값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한 심볼당 전송 가능한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레이어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예: RI)에 기반하여 전송 블록 당 레이어들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RI 값으로부터 전송 블록 당 레이어들의 개수의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기지국-단말 간 통신에 지원되는 통신 규격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레이어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레이어는 순차적으로 전송 블록마다 분배될 수 있다. 일 예로, RI 값이 3(즉, 랭크의 개수가 4)인 경우, 전송 블록 당 레이어들의 개수는 2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체 레이어들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레이어는 일정 개수까지 제1 전송 블록에 모두 분배된 뒤, 이후 레이어는 제2 전송 블록에 분배될 수 있다. 일 예로, RI 값이 1(즉, 랭크의 개수가 2)인 경우, 제1 전송 블록의 레이어들의 개수는 2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RI 값이 3(즉, 랭크의 개수가 4)인 경우, 제1 전송 블록의 레이어들의 개수는 4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RI 값이 6인 경우, 전송 블록 당 레이어들의 개수는 3일 수 있다.
기지국은 유효 자원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효 자원 비율이란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단위 자원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복수의 자원들 중에서 제어 영역, 기준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을 제외한 자원들의 개수에 따라 유효 자원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블록당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톤의 개수(Tone per R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자원 블록당 자원 요소들(resource elements, REs)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자원 요소들의 개수는, 유효 RE들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현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현재 버퍼 점유량이란, 단말의 RLC로부터 전달된 전체 버퍼 점유량 중 캐리어에게 분배되지 않은 버퍼량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809 단계에 따라 반복되어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은 이전 사이클의 잔여 버퍼 점유량을 현재 버퍼 점유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개시 캐리어에 대한 버퍼 점유량은,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캐리어에 대한 버퍼 점유량은, 전체 버퍼 점유량 중에서 이전 캐리어의 버퍼 사용량이 제외된 버퍼량일 수 있다.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 채널 용량, 유효 자원 비율, 현재 버퍼 점유량에 기반하여,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사용량은 하기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2263703-pat00002
<수학식 2>에서 BO( i,n )n번째 단말의 i번째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나타내고, MPR(i)i번째 캐리어에 대한 채널 용량, RRB(i)i번째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 블록들의 개수, E는 자원 블록 당 유효 RE들의 개수, L은 단말 당 레이어들의 개수, BO(n)n번째 단말의 현재 버퍼 점유량을 나타낸다. 'MPR (i) x RRB (i) x E x L'은 전송 가능한 비트들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들이 모두 결정된 경우, 기지국은 이후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들이 모두 결정된 경우, 기지국은 추가적으로 BO 분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추가적인 반복 동작(803 단계 내지 809 단계)을 수행하지 않고, 캐리어 기반 BO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805 단계에서, 기지국은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잔여 버퍼 점유량은 버퍼 잔여량 또는 단말의 BO 잔여량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현재 버퍼 점유량 및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현재 버퍼 점유량에서, 803 단계에서 결정된 버퍼 사용량을 제외함으로써,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버퍼 점유량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 3>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2263703-pat00003
<수학식 3>에서 BO_remain(n)n번째 단말의 잔여 버퍼 점유량을 나타낸다. BO(n)n번째 단말의 현재 버퍼 점유량, BO( i,n )n번째 단말의 i번째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나타낸다. 후술하는 809 단계에 따라 반복되어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은 잔여 버퍼 점유량 BO_remain(n)을 다음 사이클의 현재 버퍼 점유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의 현재 버퍼 점유량인 BO(n)을 갱신(update)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은 가상 BO를 이용하여 스케줄링이 끝나고 난 뒤, 가상 BO가 아닌 실제 스케줄링에 할당된 전송 블록들의 크기(예: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에 기반하여 현재 RLC 계층에 남은 버퍼 점유량을 갱신할 수 있다.
후술하는 809 단계에 따라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해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버퍼 사용량을 제외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10은 단말 130의 전체 버퍼 사용량, 즉 BO에서 빔 별, 반송파 별 분배될 버퍼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단말 130의 BO에서 CC #0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제외하여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 110은 잔여 버퍼 점유량에서 CC #1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제외하여 잔여 버퍼 점유량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
807 단계에서, 기지국은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 및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량 및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스케줄링 캐리어에 대한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가용 자원량 및 잔여 가용 자원량은 스케줄링 단위로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결정된 가용 자원량에서, 할당될 자원의 양을 제외함으로써,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할당될 자원의 양은 실제 스케줄링을 위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할당하는 자원의 양으로,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결정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스케줄링 캐리어를 위해 할당될 자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자원 블록들의 개수로,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 가용 점유량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 4>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02263703-pat00004
<수학식 4>에서 RRB _remain(i)i번째 캐리어에 대한 잔여 가용 자원량으로, 단위는 자원 블록들의 개수일 수 있다. RRB(i)i번째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 블록들의 개수, BO( i,n )n번째 단말의 i번째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 MPR(i)i번째 캐리어에 대한 채널 용량, E는 자원 블록당 유효 RE들의 개수, L은 단말 당 레이어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809 단계 또는 도 6의 607 단계에 따라 단말 별 캐리어 기반 BO 분배가 반복되어 수행되는 경우, 기지국은 잔여 가용 자원량인 RRB _remain(i)를 다른 단말의 i번째 스케줄링 캐리어의 가용 자원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가용 자원량인 RRB(i)를 갱신(update)할 수 있다.
809 단계에서,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결정된 캐리어가 마지막 스케줄링 캐리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들 모두에 대해 BO 사용량이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결정된 캐리어가 마지막 스케줄링 캐리어인 경우, 본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결정된 캐리어가 마지막 스케줄링 캐리어가 아닌 경우, 80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803 단계에서 다른 스케줄링 캐리어를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전체 버퍼 점유량에 대응하는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때까지 각 캐리어에 대해 반복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에 대해 순차적으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함으로써, 단말의 버퍼 점유량을 분배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CA가 지원되는 단말에 대해 기지국이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 별 버퍼 사용량을 반복적으로 결정하는 동작이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CA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 즉 non-CA 단말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캐리어 기반 BO 분배는 기지국 110이 하나의 캐리어를 통해서만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140의 BO를 상기 하나의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809 단계의 판단에 의한 반복 절차는 수행되지 않는다. non-CA 단말의 BO는 하나의 캐리어에 대해서만 분배되더라도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단말의 BO 분배 이후, non-CA 단말의 캐리어에 대한 가용 자원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단말 140의 BO는 CC #1에 대해서만 분배되더라도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 130의 BO 분배 후, non-CA 단말 140의 CC #1에 대한 가용 자원의 존재 확률이 있을 수 있다.
도 8에서는 807 단계가 805 단계보다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잔여 가용 자원량을 결정한 뒤에, 잔여 버퍼 점유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변경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분배되는 버퍼 점유량의 크기, 즉 BO 분배를 위한 마지막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설정된 스케줄링 캐리어들 중 마지막으로 0이 아닌 버퍼 사용량이 결정되는 캐리어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캐리어의 버퍼 사용량은, 해당 사이클에서 단말의 잔여 버퍼량을 모두에 대응하는 크기일 수 있다. 단말의 버퍼 점유량이 변경되는 때, 식별된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단말의 전체 버퍼 점유량의 변화에 따른, 특정 캐리어의 버퍼 사용량 변화를 통해,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실시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버퍼 사용량이 25이고, 상기 단말에 3개의 캐리어들이 CA를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최대 패킷 크기는 10일 수 있다. 기지국은, 2개의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으로 10을 결정하고, 마지막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5로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의 버퍼 사용량이 28으로 변경되는 때, 기지국은 마지막 캐리어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8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기지국-단말 간 스케줄링을 위해,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절차들이 서술되었다. 이하, 도 9를 통해 2개의 단말들에 대한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예가 서술되고, 도 10을 통해 개시 캐리어의 결정의 예가 서술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각각에게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단말과 제2 단말은 같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스케줄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과 제2 단말이 기지국의 동일한 빔에 의해 서비스 되는 상황이 가정될 수 있다. 제1 단말에 대한 우선 순위가 제2 단말에 대한 우선 순위보다 높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 및 모두 동일한 2개의 캐리어들을 위해 CA가 설정된 상황이 서술된다. 2개의 캐리어들은, 각각 Pcell에 대한 PCC 910 및 Scell에 대한 SCC 960일 수 있다.
기지국은 PDCP 계층 및 RLC 계층로부터 MAC 계층으로 전달되는 제1 단말의 제1 버퍼 점유량 915 및 제2 단말의 제2 버퍼 점유량 965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버퍼 점유량 915는 9000 바이트(byte)이고, 제2 버퍼 점유량 965는 7000 바이트일 수 있다. 각 캐리어의 최대 패킷 크기(모든 레이어들에 대한 전송 블록 크기 또는 전송 블록 크기들의 합)는 8000 바이트일 수 있다. 기지국은, 중앙 스케줄러를 통해, 각 단말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제1 단말에 대해 Pcell 및 Scell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모두 동일하게 8000 바이트로 결정하면, 제1 단말의 우선 순위과 제2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므로, 제1 단말의 Pcell에게 실제로 8000 바이트의 자원이 할당된다. 이 때, Scell에서도 제1 단말의 우선순위가 제2 단말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므로 제1 단말의 Scell에게 8000 바이트의 자원이 할당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8000 바이트 중에서 1000 바이트만 실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므로, 기지국은 나머지 7000 바이트에 대응하는 영역을 패딩(padding)으로 채워 자원을 할당한다. 즉, 나머지 7000 바이트가 제1 단말에게 할당됨에 따라, 기지국은 Scell에서 제2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지 못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제1 단말에 대해 각 캐리어 별로 순차적으로 BO 분배를 수행한다. 기지국은 제1 단말의 Pcell에게는 전체 반송파 용량의 한계인 8000 바이트의 제1 버퍼 사용량 920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제1 단말의 Scell에게는 나머지 1000 바이트의 제2 버퍼 사용량 940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제1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한 뒤, 제2 단말에 대한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스케줄링 우선순위가 낮은 제2 단말의 Pcell에는 잔여 가용 자원(예: RB)이 없으므로, Scell에서의 잔여 가용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은 잔여 가용 자원으로부터 7000 바이트의 제3 버퍼 사용량 970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중앙 스케줄러에서 결정된 버퍼 사용량을 각 캐리어 스케줄러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 스케줄러를 통해, 버퍼 사용량만큼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P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는, 제1 단말에게 제1 퍼버 사용량 920에 대응하는 자원 925를 할당할 수 있다. Scell을 위한 캐리어 스케줄러는 제1 단말에게 제2 버퍼 사용량 940에 대응하는 자원 945를 할당하고, 제2 단말에게 제3 버퍼 사용량 970에 대응하는 자원 975를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통해 동일 스케줄링 시간 동안 2개의 단말들 모두를 스케줄링함으로써, 스케줄링 단말들의 개수의 증가 및 패딩 비트들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셀 전체 처리량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위한 개시 캐리어 결정의 예를 도시한다. 기지국은 개시 캐리어부터 단말에 설정된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개시 캐리어부터 BO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0에서는 단말이 8개의 캐리어들이 결합되는 CA를 지원하는 상황이 서술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평균적으로 4개의 캐리어들을 통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이 필요한 캐리어들의 개수는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개시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위 스케줄링 시간 동안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되는 캐리어, 즉 개시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은 고정적으로 개시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이하, 제1 방식). 예를 들어, 제1 스케줄링 결과 1010과 같이, 기지국은 CC #0을 개시 캐리어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위 스케줄링 시간마다 CC #0부터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은 적응적으로 개시 캐리어를 결정할 수 있다(이하, 제2 방식). 기지국은 각 단위 스케줄링 시간마다 개시 캐리어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변경된 개시 캐리어부터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케줄링 결과 1020과 같이, 기지국은 개시 캐리어의 위치를 매 스케줄링 시간마다 CC #0, CC #1, CC #2, CC #4, CC #5 순으로 결정할 수 있다.
캐리어 별로 자원 할당의 빈도 수가 달라지는 경우, 일부 채널에 대한 링크 적응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의 이동 속도가 120km/h인 경우 평균 2 캐리어 정도의 버퍼 가 계속 발생되는 상황에서, AMC(adaptive modulation coding)이 적용되는 때, 제2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은 제1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 보다 더 높은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 시, 캐리어 별 자원 할당 횟수의 편차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OLRC의 이득이 최대화되기 때문이다. 제1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에서는, 특정 캐리어(예: CC #4 내지 CC #7)의 링크 적응을 위한 정보, 즉 OLRC를 위한 ACK/NACK이 부족할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 즉 개시 캐리어의 위치를 스케줄링 시간마다 변경함으로써, 링크 적응을 위한 정보를 제1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보다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캐리어마다 최적의 MCS 레벨을 빠르게 결정할 수 있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정 캐리어에 자원 할당이 집중되는 경우(제1 방식)에 비해, 모든 캐리어들에 골고루 자원 할당이 분배되는 경우(제2 방식), AMC 기법 이득, 즉 캐리어 당 처리량(throughput, Tput)(단위: bit/s)의 증가가 확인된다. 구체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이득 개시 캐리어 CC #0 CC #1 CC #2 CC #3 Total 효과
Tput/CC 제1 방식 234.3 234.3 177.1 177.9 823.6 Reference
제2 방식 234.2 234.3 234.3 234.7 937.5 114%
각 캐리어 간 채널 품질의 편차가 큰 경우, 또는 Pcell에서만 제공되는 CQI의 리포트가 부정확하거나 수신 및 필터링 주기가 긴 경우, 기지국-단말 간 채널 변화에 따른 링크 적응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링크 적응 시간이 긴 상황에서, 제2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의 효과는 보다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방식을 통한 스케줄링의 효과는 보다 많은 캐리어들이 CA를 위해 설정되는 상황에서 더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는 단일 기지국 내 CA 뿐만 아니라, 기지국 간 CA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ell을 서빙하는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Scell의 캐리어, 즉 SCC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는 하향링크 기준으로 서술되었으나,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버퍼 점유량은,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캐리어 기반 BO 분배를 통해, 기지국은 특정 캐리어에서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캐리어들 각각의 데이터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말의 데이터 전송률의 총합을 최대화할 수 있다. 작은 패킷이 빈번하게 많이 전송하는 단말들 또는 동일 스케줄링 시간에 자원 할당되는 단말들이 많을수록 본 개시의 처리량 증대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특정 캐리어에 대한 자원 할당이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써, 무선 환경 변화가 큰 채널에서도 각 캐리어 별로 최적의 변조 방식 또는 부호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의 변조 방식 또는 부호율은, 지정된 임계 오류율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가장 많은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는 변조 방식 또는 부호율을 의미한다. 최적의 변조 방식 또는 부호율을 통해, 단말의 각 캐리어를 통한 데이터 전송률이 최대화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상 또는 이하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초과 또는 미만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채널 정보 및 제2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채널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채널 정보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1 반송파의 제1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점유량에서 상기 제1 버퍼 사용량을 제외한 잔여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 반송파의 제2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3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 반송파의 제3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1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제3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들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식별하는 과정;
    상기 제2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들에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제외한 잔여 가용 자원 및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점유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i번째 반송파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잔여량으로부터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버퍼 잔여량을 갱신(update)하는 과정;
    i+1번째 반송파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갱신된 버퍼 잔여량으로부터 상기 i+1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i는 반송파의 인덱스(index)이고, 상기 i는 1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며,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에 대응하고, 상기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또는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부호율(code rate) 및 레이어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을 갱신(update)하는 과정;
    상기 변조 차수, 상기 부호율, 상기 레이어들의 개수 및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수학식 BO(i,n) = min(MPR(i) x RRB(i) x T x L, BO(n))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n은 단말의 인덱스이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며, BO(i,n)은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 MPR(i)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변조 차수 및 상기 부호율의 곱, RRB(i)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에 대응하는 자원 블록들의 개수, T는 자원 블록당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의 개수, L은 상기 레이어들의 개수, BO(n)은 n번째 단말의 버퍼 잔여량을 나타내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갱신된 가용 자원량 및 제2 단말의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상기 i번째 반송파에 할당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상기 i번째 반송파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복수의 반송파들 중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되는 반송파이며, 각각의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되는 상기 반송파는 서로 다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에 할당된 자원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동작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1 채널 정보 및 제2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2 채널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반송파에 대응하는 제3 채널 정보를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1 반송파의 제1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점유량에서 상기 제1 버퍼 사용량을 제외한 잔여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 반송파의 제2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3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점유량으로부터 상기 제2 반송파의 제3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1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에 상기 제2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2 단말에 상기 제3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들 중에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들에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자원을 제외한 잔여 가용 자원 및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점유량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i번째 반송파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잔여량으로부터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버퍼 잔여량을 갱신하고,
    i+1번째 반송파에 대응하는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갱신된 버퍼 잔여량으로부터 상기 i+1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i는 반송파의 인덱스(index)이고, 상기 i는 1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며,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에 대응하고,
    상기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또는 RI(rank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 부호율(code rate) 및 레이어들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을 갱신하고,
    상기 변조 차수, 상기 부호율, 상기 레이어들의 개수 및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은 수학식 BO(i,n) = min(MPR(i) x RRB(i) x T x L, BO(n))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여기서, n은 단말의 인덱스이고, 상기 n은 1 이상의 정수 값을 가지며, BO(i,n)은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버퍼 사용량, MPR(i)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변조 차수 및 상기 부호율의 곱, RRB(i)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가용 자원량에 대응하는 자원 블록들의 개수, T는 자원 블록당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요소들의 개수, L은 상기 레이어들의 개수, BO(n)은 n번째 단말의 버퍼 잔여량을 나타내는 기지국.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갱신된 가용 자원량 및 제2 단말의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채널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번째 반송파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사용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의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상기 i번째 반송파에 할당하고,
    상기 제2 단말의 버퍼 사용량에 대응하는 자원을 상기 i번째 반송파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는 복수의 반송파들 중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되는 반송파이며, 각각의 스케줄링 구간에서 상기 버퍼 사용량이 가장 먼저 결정되는 상기 반송파는 서로 다른 기지국.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반송파 및 상기 제2 반송파에 할당된 자원들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80002414A 2018-01-08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3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4A KR102543090B1 (ko) 2018-01-08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6/242,506 US10798714B2 (en) 2018-01-08 2019-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00281 WO2019135669A1 (en) 2018-01-08 2019-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736195.9A EP3735793A4 (en) 2018-01-08 2019-01-08 DEVICE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06369.4A CN111480383B (zh) 2018-01-08 2019-01-08 无线通信系统中分配资源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14A KR102543090B1 (ko) 2018-01-08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41A KR20190084541A (ko) 2019-07-17
KR102543090B1 true KR102543090B1 (ko) 2023-06-14

Family

ID=6714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14A KR102543090B1 (ko) 2018-01-08 2018-01-0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98714B2 (ko)
EP (1) EP3735793A4 (ko)
KR (1) KR102543090B1 (ko)
CN (1) CN111480383B (ko)
WO (1) WO2019135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1095A (zh) * 2019-02-28 2021-10-08 苹果公司 用于在分组数据汇聚协议(pdcp)处压缩和解压缩信息中心网络名称的方法和系统
US11146987B1 (en) * 2020-03-26 2021-10-12 Sprint Spectrum L.P. Dynamically adjusting extent of MU-MIMO service based on buffer occupancy
CN116868520A (zh) * 2021-02-09 2023-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89B1 (ko) 2017-03-27 2018-09-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2372D0 (sv) 2004-09-30 2004-09-30 Ericsson Telefon Ab L M Signal coding
US8005041B2 (en) 2006-05-08 2011-08-23 Ipwireles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 and method therefor
CN101291514B (zh) * 2007-04-20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WO2010081388A1 (zh) * 2009-01-14 2010-07-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协同传输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网络侧设备
KR20100085713A (ko) 2009-01-21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률 제어 장치 및 방법
EP2237633A1 (en) * 2009-04-03 2010-10-06 Panasonic Corporation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932019B (zh) * 2009-06-19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上报缓冲区状态报告的方法、终端及网络系统
JP5559786B2 (ja) * 2009-06-25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リソース割り当て方法、ならびに無線通信方法
US8625415B2 (en) * 2010-04-02 2014-01-07 Nokia Siemens Networks Oy Dynamic buffer status report selection for carrier aggregation
KR101757383B1 (ko) * 2010-06-29 201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csi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2413571A (zh) * 2010-09-21 2012-04-11 日电(中国)有限公司 下行中继回程资源分配设备和方法
EP2667673B1 (en) * 2011-11-17 2016-05-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rrier aggregation scheduling device, carrier aggregation schedul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3391582B (zh) * 2012-05-08 2016-12-21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缓冲状态的联合调度方法和装置
US9083479B2 (en) * 2012-05-11 2015-07-14 Intel Corporation Signaling for downlink coordinated multipoi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874208B (zh) * 2012-12-14 2017-07-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于多载波系统的共享信道资源分配方法和设备
CN103931262B (zh) * 2013-01-30 2018-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调度方法和设备
EP2997674B1 (en) * 2013-05-15 2018-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9462592B2 (en) * 2013-08-0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for transmission over multiple carriers
EP2854444A1 (en) * 2013-09-27 2015-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uplink scheduling mechanism for dual connectivity
EP3016466A1 (en) 2014-10-31 2016-05-04 Alcatel Lucent Method to operate a radio access network and radio access network
US9788233B2 (en) * 2014-11-14 2017-10-10 Aricent Holdings Luxembourg S.A.R.L. Fair distribution of radio resources between guaranteed bit rate (GBR) and non-GBR data bearers
US9668171B2 (en) 2014-11-18 2017-05-30 Aricent Holdings Luxembourg S.A.R.L. Maximization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a carrier aggregated user equipment
KR102355785B1 (ko) * 2015-01-19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EP3048847B1 (en) * 2015-01-26 2019-11-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Improved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US20160227540A1 (en) * 2015-01-30 2016-08-04 Qualcomm Incorporated Soft buffer management for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CN105991273B (zh) * 2015-02-13 2020-08-21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待调度数据的分配方法和装置
CN106572536B (zh) * 2015-10-08 2020-04-17 北京大学 一种上行共享信道中多簇资源的调度方法及系统
KR102448173B1 (ko) 2015-11-19 202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90256B1 (ko) 2015-12-21 2021-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스케줄링 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26928A1 (ko) * 2016-01-20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연결 모드 변경 방법 및 이동성 관리 개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89B1 (ko) 2017-03-27 2018-09-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5793A1 (en) 2020-11-11
KR20190084541A (ko) 2019-07-17
WO2019135669A1 (en) 2019-07-11
CN111480383A (zh) 2020-07-31
US10798714B2 (en) 2020-10-06
CN111480383B (zh) 2024-04-23
EP3735793A4 (en) 2021-01-20
US20190215840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30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00391B1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an efficient tbs table design for 256qam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KR1025430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8432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216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503692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US107783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5430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258650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管理软缓存的装置和方法
JP519484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14896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ensity of PT-RS
EP3777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n and relating to reference signal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900986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381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퓨팅 구조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 구조의 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014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12647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077658B (zh) 空分多址传输的指示方法及基站
US113953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843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들 간 간섭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979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1546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01039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594383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