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989B1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89B1
KR101895989B1 KR1020170038317A KR20170038317A KR101895989B1 KR 101895989 B1 KR101895989 B1 KR 101895989B1 KR 1020170038317 A KR1020170038317 A KR 1020170038317A KR 20170038317 A KR20170038317 A KR 20170038317A KR 101895989 B1 KR101895989 B1 KR 101895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andwidth
bandwidth comparison
carrier combination
maximum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8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8
    • H04W72/085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반송파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스루풋 및 셀 수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 장치로 무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확인하고,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한 후,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한다.

Description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set in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활용하여 사용자 스루풋 및 셀 수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이 진화함에 따라서, 최근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간의 최대 전송률을 높이기 위하여, 둘 이상의 서비스 대역을 하나로 묶어 동시에 사용하는 CA 기술, 고차원 코딩 기술(예를 들어, 65QAM, 256QAM 등), 멀티 안테나 기술(예를 들어, 4×4 MIMO(Multi-input Multi-output) 등) 등과 같은 다양한 전송률 개선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CA 기술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여 광대역을 만들어 통신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850MHz, 1.8GHz의 두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기지국에서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850MHz 또는 1.8GHz의 단일 주파수 대역을 통해서 최대 75Mbps까지 통신할 수 있던 것을, CA를 이용하여 850MHz와 1.8GHz로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최대 150Mbps의 전송률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주파수 대역별 커버리지가 다르기 때문에, 단말은 위치나 전파 수신 상태에 따라 850MHz와 1.8GHz를 동시에 사용할 수 도 있고, 850MHz 또는 1.8GHz 중 어느 하나의 단일 대역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CA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망은, 반송파 별 커버리지(Coverage), 사용자 정책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예를 들어, 850MHz (F1)과 1.8GHz (F2)를 결합한 CA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망 구성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선으로 그려진 영역은 850MHz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그려진 영역은 1.8GHz의 주파수 대역에 의한 통신 커버리지를 의미한다.
도 1의 (a)는, F2 주파수의 커버리지 전체가 F1 주파수의 커버리지와 중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 경우 커버리지 내에서의 전체적인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 1의 (b)는 F2 주파수의 방사 방향이 F1 셀의 경계를 향하도록 구성되어, F1 셀의 에지 스루풋(edge throughput)을 향상킬 수 있으며, 도 1의 (c)는 F2 셀을 F1 셀의 핫 스팟(hot spot) 영역에 RRH(Remote radio head) 셀로 구성하여 핫 스팟 영역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CA 기술은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LTE-a 표준에서 LTE에서 정의된 1.4, 3, 5, 10, 15, 20 MHz 대역폭의 여러 반송파를 각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로 정의하고 이러한 CC들을 묶어서 동시에 사용하는 CA 기술을 정의하고 있으며, 동일 서비스 대역에 존재하는 반송파 간을 조합하는 인트라 밴드 CA (Intra-band CA)와, 서로 다른 서비스 대역에 존재하는 반송파 간을 조합하는 인터 밴드 CA (Inter-band CA)와 같은 기본적인 조합 방식 및 주파수 별 설정 가능 정보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반송파 조합 선택 기준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각 사업자는 CA 기술 구현 시, 집성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두고, 단말의 접속 시,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을 수신한 후, 수신된 반송파 조합들 중 하나를 사전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서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기 우선순위는 대역폭(Bandwidth) 크기나 기지국과 단말 간에 연결되는 수신 링크를 의미하는 레이어(layer)의 수에 따라서 부여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순히 대역폭 크기나, 레이어 수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할 경우, 용량(Throughput) 및 수용능력(Capacity)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본래의 의도를 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B1(10MHz), B3(20MHz), B7(20MHz)를 서비스 대역으로 포함하는 기지국에 접속하고자 할 때, B1(10MHz)+B3(20MHz)+B7(20MHz)와, B1(10MHz)+B3(20MHz, w/4×4MIMO)의 두 반송파 조합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이 단순히 대역폭 크기에만 우선하여 선택할 경우, 전자의 조합 B1(0MHz)+B3(20MHz)+B7(20MHz)이 선택되고, 반대로 레이어의 수에 우선하여 선택할 경우에는 두 조합의 레이어수가 6으로 동일하므로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의 예시에서, 전자의 조합, B1(10MHz)+B3(20MHz)+B7(20MHz)는, 전체 대역폭 60MHz 대역을 모두 이용하여 최대 600Mbps(256QAM 기준)의 전송률을 기대할 수 있으나, 4×4 MIMO가 활용되지 못하므로 주파수 리소스의 효율적 이용 측면에서 부족하며, 후자의 경우는 4×4 MIMO를 활용할 수 있으나, 4×4 MIMO가 실제 동작하는 영역이 일반적으로 전체 셀 영역의 30% 이하인 점을 고려할 때, 사용자 스루풋을 완전히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2943호, 2015년 10월 07일 공개 (명칭: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함)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으로 주파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반송파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스루풋 및 셀 수용량을 개선할 수 있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로 무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를 추출하고, 각 반송파 조합에 속하는 모든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와 제1 가중치의 곱을 합산하여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수신 링크의 수인 레이어 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제1 가중치의 곱에 상기 레이어 수를 더 곱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거나,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제1 가중치의 곱에,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를 더 곱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하여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거나,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은,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뿐만 아니라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거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은,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대역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후보 반송파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 및 그 이후의 과정은 상기 후보 반송파 조합을 대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은,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통한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반송파 조합의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주파수 이용률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이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가면,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다른 반송파 조합으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서, 기지국으로 무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기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는,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 및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산출된 대역폭 비교 변수를 비교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상기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은,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 각 요소 반송파 별 수신 링크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수,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한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레이어 수를 조합한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고,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한 후,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거나,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더 비교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간의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반송파 조합의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주파수 이용률을 확인하여, 상기 주파수 이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가면,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다른 반송파 조합으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기지국의 한정된 무선 자원을 주파수 대역들을 집성하여 광대역화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의 무선 품질을 기반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여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함으로써, 최대의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는 반송파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전송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속, 대용량 서비스 요구 증가에 따라서 사업자의 운용 주파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 늘어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256QAM이나 MIMO와 같은 속도 개선 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최적의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가된 서비스 대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서비스 대역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CA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무선 접속 망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 접속 완료 후 이용율에 따른 반송파 조합 변경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기술이 적용되는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 장치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들을 각각 서비스 대역이라 하며, 이러한 서비스 대역들은 단일 대역으로 선택되어 단말에 할당될 수 있고, CA를 통해서 복수의 서비스 대역이 하나의 대역으로 집성되어 단말에 할당될 수도 있다. 이때, CA 기술의 적용 시 선정된 주파수 대역들을 각각 요소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라 하며, 집성되도록 선택된 복수의 요소 반송파를 반송파 조합이라고 한다. 참고로, 상기 서비스 대역은 중심 주파수와 상기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대역폭을 갖는다.
본 발명은 기지국에 접속을 요청한 단말 별로 CA 기술을 기반으로 집성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기술이 적용될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접속망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접속망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서, 부호 100은 복수의 서비스 대역을 무선 자원으로 보유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대역을 통해서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들(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200)는 예를 들어, B1, B3, B5, B7_D, B7_E 5개의 서비스 대역을 지원한다고 가정한다. 참고로, B1, B3, B5, B7_D, B7_E은 이동통신사업자에게 할당된 서비스 대역 중 일부로서, 각각 10MHz 또는 20MHz의 대역폭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기지국 장치(100)는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CA 및 64QAM/256QAM과 같은 고차원 코딩 기술 또는 4×4 MIMO와 같은 멀티 안테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CA 기술이 지원 가능한 통신 커버리지 영역을 A1이라 할 때, 상기 64QAM/256QAM과 같은 고차원 코딩 기술 또는 4×4 MIMO 등의 기술들은 무선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들이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영역은 상기 전체 통신 커버리지 영역(A1)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실시 예에서, 64QAM/256QAM과 같은 고차원 코딩 기술 또는 4×4 MIMO 등의 전송률 개선 기술이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영역은 A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부호 20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로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서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기지국 장치(100)의 통신 커버리지 영역(A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커버리지 영역(A1) 내에 위치하면, 기지국 장치(100)에 접속을 요청하여, 기지국 장치(100)에서 할당된 서비스 대역을 통해서 접속 수행 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200)도 단말 사양에 따라서 전송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 즉, CA, 및 64QAM/256QAM과 같은 고차원 코딩 기술 또는 4×4 MIMO 중 적어도 하나 혹은 이외에 다른 통신 기술들을 다양하게 지원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CA를 위한 반송파 조합 선택에 관련된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단말(200)은 CA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200)은 CA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100)로의 접속 요청 시, 상기 기지국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 대역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요소 반송파로 선택 조합하여,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추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기지국 장치(100)로 제공한다. 상기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은 단말(200)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1)은 3CC(Component Carrier)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라 가정하면, 5개의 서비스 대역 중 3개 이내의 서비스 대역 선택 조합하여 이루어진 반송파 조합들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말(202)은 5CC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이라 가정하면, 상기 3CC의 반송파 조합에 더하여, 4개, 5개의 요소 반송파를 조합한 반송파 조합까지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은 해당 단말(200)에서의 멀티 안테나 기술, 예를 들어, 4?4 지원 여부에 따라서 더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사양에 따라서 상기 단말(200)로부터 기지국 장치(100)로 제공되는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은 달라진다.
기지국 장치(100)는 단말(200)로부터 접속요청과 함께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을 수신하면,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 중 해당 단말(200)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된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에 대응하는 서비스 대역들을 하나의 서비스 대역으로 집성하여 상기 단말(200)과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된 서비스 대역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200)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방법을 통해서 최적의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지국 장치(100)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수행을 위해서, 우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200)에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을 확인한다(S105).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에 대한 정보는 단말(200)이 기지국 장치(100)에 접속을 요청하면 사전 정보를 보내는 과정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최적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해서, 단말(2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무선 품질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확인한다(S110).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단말(200)에서 소정 주기로 측정되어 기지국 장치(100)로 전송되는 무선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무선 채널의 품질 상태를 1~15의 숫자로 표시하며, 여기서, 최대값 15는 기지국 장치(100)에서 전송된 전파가 감쇄 없이 수신되었음을 의미하며, 전송거리 혹은 주변 환경에 따른 전파의 크기 감소에 따라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도 감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최적의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해서,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별로 레이어 수를 확인한다(S115). 여기서, 레이어는 단말(200)의 수신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일 경로이면 1, 2×2 MIMO인 경우 2, 4×4 MIMO인 경우 4가 된다.
그리고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확인된 채널 품질 정보 또는 채널 품질 정보 및 레이어 수를 고려하여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별로 실제 유효한 대역폭을 비교하기 위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고(S120), 상기 산출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 중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한다(S125).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는, 접속 위치에서 단말(200)이 해당 반송파 조합으로 집성된 서비스 대역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시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대역폭을 비교할 수 있도록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대역폭이 아닌 상대적인 대역폭 크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역폭 비교 변수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7029775327-pat00001
수학식 1에서 X는 대역폭 비교 변수, B/W는 해당 요소반송파에 설정된 최대 대역폭, RI는 해당 반송파 조합의 레이어 수를 나타내는 랭크 인덱스(Rank Index)이고, W1은 무선 환경 품질에 따른 영향도를 나타내는 제1 가중치이고, W2는 256QAM, 4×4 MIMO와 같은 전송률 개선 기술의 국소 활용률을 나타내는 제2가중치로서, 대역폭 비교 변수 X는 해당 반송파 조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별 대역폭, 레이어 수,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의 곱을 합산하여 구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RI는 MIMO가 아닌 경우 1, 2×2 MIMO는 2, 4×4 MIMO는 4가 되고, W1는 채널 품질 정보(CQI)에 비례하여 1~2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W2는 단말의 접속 후 전송률 개선 기술, 예를 들어, 4×4MIMO의 활성화 비율을 0~1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는, 대역폭 비교 변수의 산출을 위해서, W2는 운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변수로서, 경우에 따라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산출 시 W2는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에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이 B1(2×2MIMO)+B3(2×2MIMO)+B7_D(4×4MIMO)일 때, 특정 단말(201)의 각 요소 반송파별 채널 품질 정보는 10, 10, 10고, 다른 위치에 있는 단말(202)의 각 요소 반송파별 채널 품질 정보는 15,15,15라 가정할 때 각 단말별 상기 반송파 조합에 대한 대역폭 비교 변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실시에서, 제2 가중치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B1, B3, B7_D의 대역폭은 각각 10MHz, 20MHz, 20MHz이고, RI는 각각 2, 2, 4로, 단말(201) 및 단말(202)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반면, 하기의 표 1과 같이 채널 품질 정보 별 제1 가중치가 부여된다고 할 때, 단말(201)의 요소 반송파별 채널 품질 정보는 10, 10, 10이므로, 요소 반송파 별 제1 가중치는, 1, 1, 1이고, 단말(202)의 요소 반송파별 채널 품질 정보는 15,15,15이므로, 요소 반송파별 제1 가중치는 2, 2, 2 이다.
CQI 제1 가중치 W1
1~10 0
11 1
12 1.2
13 1.5
14 1.8
15 2
따라서, 단말(201)에서의 반송파 조합 B1(2×2MIMO)+B3(2×2MIMO)+B7_D(4×4MIMO)에 대한 대역폭 비교 변수는, 10MHz×2×1+20MHz×2×1+20MHz×4×1=140이고, 단말(201)에서의 대한 반송파 조합 조합 B1(2×2MIMO)+B3(2×2MIMO)+B7_D(4×4MIMO)에 대한 대역폭 비교 변수는 10MHz×2×2+20MHz×2×2+20MHz×4×2=280로서, 무선 품질이 좋은 경우 유효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더 큼을 의미한다.
상기 예시에서는 무선 품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대역폭 비교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서, 단말의 위치를 다르게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는 서로 다른 단말에 대해서 비교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서로 다른 복수의 반송파 조합에 대해서 비교되는 것이다.
즉 상기 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단말(201)에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이, B1(2×2MIMO)+B3(2×2MIMO)+B7_D(4×4MIMO)과, B3(4×4MIMO)+B7_D(4×4MIMO)라고, 상기 두 반송파 조합 별 대역폭 비교 변수는 각각 10MHz×2×1+20MHz×2×1+20MHz×4×1=140과 20MHz×4×1+20MHz×4×1=160이 된다. 즉, 단말(201)의 경우, 무선 품질을 고려할 때 반송파 조합 B3(4×4MIMO)+B7_D(4×4MIMO)의 유효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201)에 대해서는 B3(4×4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이 선택되어 할당된다.
반면, 상기 예시에 더하여, 제2 가중치를 더 고려하는 경우, B3, B7의 4×4 MIMO에 대한 제2 가중치가 각각 0.4, 0.3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두 반송파 조합 별 대역폭 비교 변수는 각각 10MHz×2×1+20MHz×2×1+20MHz×4×1×0.3=84과 20MHz×4×1×0.4+20MHz×4×1×0.3=56으로서, 반송파 조합 B1(2×2MIMO)+B3(2×2MIMO)+B7_D(4×4MIMO)의 유효 대역폭이 B3(4×4MIMO)+B7_D(4×4MIMO)의 유효 대역폭보다 커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말(201)에 대해서는 B1(2×2MIMO)+B3(2×2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이 선택되어 할당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단말(200)의 무선 품질을 더 고려하여 반송파 조합을 선정함으로써, 사용자 스루풋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3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조합 선정 기준과 기존의 반송파 조합 선정 기준을 함께 고려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먼저,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대역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S205).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00)가 B1, B3, B5, B7_D, B7_E 5개의 서비스 대역을 제공한다고 할 때, 상기 5 개의 서비스 대역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순위를 부여하거나, 사업자의 정책 혹은 기지국의 상황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는 서비스 대역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단말(200)로부터 접속 요청이 발생하면(S210), 기지국 장치는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200)에서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확인한다(S215).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장치(100)는 상기 기 설정된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상기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 중 후보 반송파 조합을 1차적으로 추출한다(S220). 예를 들어, 사업자의 정책 혹은 기지국의 상황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어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된 서비스 대역이 요소 반송파로 포함된 반송파 조합을 후보 반송파 조합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후보 반송파 조합의 수를 기 설정하고, 요소 반송파로 포함된 서비스 대역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반송파 조합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그 순서에 따라서 순위가 높은 소정 수의 반송파 조합의 후보 반송파 조합으로 추출할 수 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반송파 조합에 요소 반송파로 포함된 각 서비스대역의 우선순위 합산하고, 합산 값이 높은 순서로 소정 수의 반송파 조합 혹은 합산 값이 일정 기준값 이상인 반송파 조합을 후보 반송파 조합으로 추출할 수 도 있다.
상기 S205 단계 및 S215단계는 사업자의 운용 정책에 따라서 불필요한 경우, 삭제될 수 도 있다. 상기 S205 단계 및 S215단계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단말의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들 전체를 후보 반송파 조합으로 간주하여 이하의 과정을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보 반송파 조합들이 추출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후보 반송파 조합 별로 전송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데, 이때, 대역폭 비교 변수는, 제1,2,3 대역폭 비교 변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후보 반송파 조합별로, 해당 후보 반송파 조합에 속하는 요소 반송파 들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하여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한다(S225). 즉,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는 레이어 수 등 다른 전송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요소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서비스 대역에 설정된 대역폭으로 산출되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B1(2×2)+B3(2×2)+B7_D(4×4)과, B3(4×4)+B7_D(4×4)의 반송파 조합의 경우, 각각의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는 10MHz+20MHz+20MHz=50MHz와, 20MHz+20MHz=40MHz가 된다. 즉,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로 판단 시, B1(2×2)+B3(2×2)+B7_D(4×4)의 전송률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후보 반송파 조합별로 각각의 레이어 수를 고려한 제2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한다(S230). 2×2 MIMO의 레이어 수는 2이고, 4×4 MIMO의 레이어 수는 4 이므로, 상기 B1(2×2MIMO)+B3(2×2MIMO)+B7_D(4×4MIMO)과, B3(4×4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의 경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는 각각 10MHz×2+20MHz×2+20MHz×4=140MHz와, 20MHz×4+20MHz×4=160MHz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과,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2)를 추출하여(S235),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이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2) 보다 작은 지를 확인한다(S240).
상기 확인 결과,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이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2) 보다 작지 않으면, 기지국 장치(100)는 최대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X1을 갖는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고(S245), 상기 선택한 반송파 조합을 접속을 요청한 단말(200)에 할당하여 연결을 수행한다(S270)
반면에, 상기 S240 단계에서,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이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2) 보다 작으면, 기지국 장치(100)는 요소 반송파 별로 무선 품질을 고려한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한다(S250).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는 앞서 설명한 도 3의 과정 및 수학식 1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단말(200)에서 측정된 B1, B3, B7_D의 채널 품질 정보가 10으로 제1가중치는 1이고, B3, B7의 4×4 MIMO에 대한 제2 가중치가 각각 0.4, 0.3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B1(2×2MIMO)+B3(2×2MIMO)+B7_D(4×4MIMO)과, B3(4×4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의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는 각각, 10MHz×2×1+20MHz×2×1+20MHz×4×1×0.3=84과 20MHz×4×1×0.4+20MHz×4×1×0.3=56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예시에서 산출된 B1(2×2MIMO)+B3(2×2MIMO)+B7_D(4×4MIMO)과, B3(4×4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에 대한 제1,2,3 대역폭 비교 변수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된다.
B1(2×2MIMO)+B3(2×2MIMO)+
B7_D(4×4MIMO)
B3(4×4MIMO)+
B7_D(4×4MIMO)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50MHz 40MHz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140MHz 160Mhz
제3 대역폭 비교 변수 84MHz 56MHz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제3 대역폭 비교 변수가 산출되면, 제3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3)를 추출하고(S255), 상기 추출한 제3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3)과 앞서 산출된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을 비교한다(S260).
비교 결과, 제3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3)이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 이상이 아니면, 기지국 장치(100)는 S245 단계를 수행하여, 최대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갖는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고(S245), 선정한 반송파 조합으로 단말과의 연결을 수행한다(S270).
반대로, 상기 비교 결과, 제3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3)이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 이상이면, 최대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갖는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여(S265), 상기 단말(200)과의 연결을 수행한다(S27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B1(2×2MIMO)+B3(2×2MIMO)+B7_D(4×4MIMO)과, B3(4×4MIMO)+B7_D(4×4MIMO)의 반송파 조합의 경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1) 50Mhz는 제2 대역폭 비교 변수 중 최대값(X2) 140MHz 보다 작고,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X3) 84MHz 보다도 작으므로, 최대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갖는 반송파 조합 B3(4×4MIMO)+B7_D(4×4MIMO)이 단말(200)을 위해 선정되어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단말(200)의 초기 접속 시, 해당 환경에서 최적의 반송파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한 반송파 조합을 집성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단말(200)과 기지국 장치(100) 간에 연결이 완료된 후에는, 서비스 대역, 즉, 반송파 조합의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만, 도 5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활용도를 확인하여 기지국(100)의 수용성능 개선 측면에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반송파 선정 과정을 통한 단말 접속 후, 사용자의 주파수 활용도를 고려하여 반송파 조합 변경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100)는 도 3 또는 도 4a 및 도 4b의 과정을 통해서 초기 접속한 단말(200)에 대해 반송파 조합을 할당하고, 할당된 반송파 조합으로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반송파 조합을 동시에 활용하여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장치(100)는 기연결된 단말(200)에 대해서 할당된 요소 반송파별로 이용률을 확인한다(S310). 상기 이용률은, 각 요소 반송파에 대해 설정된 RLC(Radio Link Control) 버퍼의 점유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장치(100)는 할당된 각 요소 반송파 이용률을 기 설정된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횟수를 측정하고(S315), 측정 횟수가 기 설정된 제2 임계값을 넘기는 지를 확인한다(S320).
그 결과, 이용률이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횟수가 제2 임계값을 넘기는 경우, 즉, 해당 단말(100)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이 너무 큰 경우, 특허 서비스 대역이 특정 사용자에게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사용자들 간에 주파수 활용률이 공평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한다(S325).
상기 S325 단계에서 변경될 반송파 조합의 선택은, 기존 도 3 및 도 4a, 도 4b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도 있고, 기존에 확인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 중, 전송률 개선 기술, 예를 들어, 4×4 MIMO를 포함하는 반송파 조합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도 접속된 단말의 주파수 이용률만을 고려하였으나, 이외에 단말의 수, 즉, 이용자 수를 더 고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이 적용되는 기지국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100)는 제어부(110)와, 저장부(120), 무선 송수신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10)는 정보 혹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여 정보 혹은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인터프리터, 컴파일러, 어셈블러를 포함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기지국 장치(100)에 할당된 무선 자원의 관리,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200)과의 무선 접속 처리, 접속된 단말(200)과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기지국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 기능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단말(200)로부터의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조합 선정 방식에 따라서 단말(200)에서 지원 가능한 반송파 조합 중, 하나의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고, 선정한 반송파 조합을 통해서 상기 단말(200)과의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정보 혹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서, 휘발성 메모리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20)는 제어부(110)에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조합 선정 방식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된 프로그램 모듈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10)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 모듈을 읽어와 실행함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로 기술되어, 상기 메모리(120)에 기록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구현 형태로서, 상기 프로그램 모듈 이외에,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부(130)는 기지국 장치(100)와 단말(200) 간의 무선 연결 및 무선 송수신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130)는 단말(200)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채널)을 통해서 단말(200)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송신되거나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단말(200)과 이동통신시스템 간에 교환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40)는 기지국 장치(100)와 이동통신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구성으로서, 코어 네트워크와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추어 단말(200)의 송신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역으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단말(200)의 수신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전달하여, 무선 송수신부(130)를 통해 단말(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지국 장치(100)의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은,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기지국 장치(100)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7에 도시된 각 모듈은, 도 6의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거나 제어부(110)에 포함되는 구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는, 정보 수집 모듈(111)과,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과,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모듈(111)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 장치(100)에 접속을 요청한 단말(200)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정보 수집 모듈(111)에 의해 수집된 정보들은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로 전달되며,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은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 각 요소 반송파 별 수신 링크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수,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별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대역폭 비교 변수의 산출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한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레이어 수를 조합한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112)에 의해 산출된 대역폭 비교 변수는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로 전달되며,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산출된 대역폭 비교 변수를 비교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상기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한다.
특히,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도 4a 및 도 4b의 과정을 통해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한 후,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고,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더 비교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한다.
또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단말(200)에 대한 무선 자원의 할당 후,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자원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113)은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통해 기지국 장치(100)와 단말(200) 간의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반송파 조합의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주파수 이용률을 확인하여, 상기 주파수 이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가면,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다른 반송파 조합으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기지국의 한정된 무선 자원을 주파수 대역들을 집성하여 광대역화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의 무선 품질을 기반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여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함으로써, 최대의 전송률을 제공할 수 있는 반송파 조합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전송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속, 대용량 서비스 요구 증가에 따라서 사업자의 운용 주파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 늘어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256QAM이나 MIMO와 같은 속도 개선 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최적의 반송파 조합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가된 서비스 대역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서비스 대역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100: 기지국 장치
110: 제어부
120: 저장부
130: 무선 송수신부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0, 201, 202: 단말

Claims (17)

  1. 기지국 장치로 무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가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 각 요소 반송파 별 수신 링크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수,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를 추출하고, 각 반송파 조합에 속하는 모든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와 제1 가중치의 곱을 합산하여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제1 가중치의 곱에 상기 레이어 수를 더 곱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제1 가중치의 곱에,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를 더 곱하여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하여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레이어 수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뿐만 아니라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최대 대역폭만을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대역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후보 반송파 조합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 및 그 이후의 과정은 상기 후보 반송파 조합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통한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반송파 조합의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주파수 이용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이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가면,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다른 반송파 조합으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11. 기지국 장치로 무선 접속을 요청한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기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모듈;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 및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산출된 대역폭 비교 변수를 비교하여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상기 단말에 할당할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은, 각 요소 반송파 별 채널 품질 정보에 비례한 제1 가중치, 각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 각 요소 반송파 별 수신 링크에 대응하는 레이어의 수, MIMO 또는 256QAM을 포함하는 전송률 개선 기술의 활성화 비율에 비례하여 설정된 제2 가중치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비교 변수 산출 모듈은,
    상기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별로,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을 합산한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최대 대역폭과 레이어 수를 조합한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와, 각 반송파 조합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채널 품질 정보를 고려한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산출하고,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한 후,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2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과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을 더 비교하여,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도 크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이 상기 제3 대역폭 비교 변수의 최대값 보다 크면, 상기 제1 대역폭 비교 변수를 기준으로 반송파 조합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조합 선정 모듈은,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통해 기지국 장치와 단말간의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반송파 조합의 각 요소 반송파 별로 주파수 이용률을 확인하여, 상기 주파수 이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 범위를 넘어가면, 상기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둘 이상의 반송파 조합 중 다른 반송파 조합으로 상기 선정된 반송파 조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장치.
KR1020170038317A 2017-03-27 2017-03-27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KR101895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17A KR101895989B1 (ko) 2017-03-27 2017-03-27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17A KR101895989B1 (ko) 2017-03-27 2017-03-27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989B1 true KR101895989B1 (ko) 2018-09-06

Family

ID=6359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17A KR101895989B1 (ko) 2017-03-27 2017-03-27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41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748613A (zh) * 2019-03-28 2021-12-03 高通股份有限公司 全维度多输入多输出基带能力指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939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안테나 무선 시스템들에서 플렉서블 rf 구성 장치 및 방법
US20150173094A1 (en) * 2013-12-16 2015-06-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ority Data of Band Combinations for Carrier Aggregation
KR20150112943A (ko) 2013-01-31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33855A (ko) * 2010-04-30 2015-11-30 소니 주식회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855A (ko) * 2010-04-30 2015-11-30 소니 주식회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KR20130142939A (ko) * 2012-06-19 2013-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안테나 무선 시스템들에서 플렉서블 rf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50112943A (ko) 2013-01-31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173094A1 (en) * 2013-12-16 2015-06-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iority Data of Band Combinations for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541A (ko) * 2018-01-08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43090B1 (ko) 2018-01-08 2023-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748613A (zh) * 2019-03-28 2021-12-03 高通股份有限公司 全维度多输入多输出基带能力指示
CN113748613B (zh) * 2019-03-28 2023-12-12 高通股份有限公司 全维度多输入多输出基带能力指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2162B2 (ja) マルチ搬送波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適時的な無線リソース割り付け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407486B (zh) 一种网络扩容的方法及装置
EP2916574B1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haring frequency spectrum
JP5104769B2 (ja) 通信システム
US87879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
CN103874073B (zh) 一种通信系统的载波选择方法、基站和终端设备
EP2421295B1 (en) Downlink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10572847B (zh) 数据传输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P4016913B1 (en) Intelligent carrier aggregation in millimeter wave resources
CN104735785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和相关设备
CN102227932A (zh) 一种载波汇聚的方法和装置
US8731571B2 (en) Radio base station device and radio resource connection switching method
CN111642020B (zh) 干扰处理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95989B1 (ko)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위한 반송파 조합 선정 방법 및 장치
CN104661292A (zh) 用于动态调整小型蜂巢基站功率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947842B (zh) 波束赋形方法及装置
KR10171450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50002316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CN102387578A (zh) 一种资源调度的方法及装置
CN103618591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及系统
EP4072222A1 (en) Interference minimizing cooperative scheduler for orthogonal multiple access (oma)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wireless communications
EP3026975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bandwidth selection
CN105874836A (zh) 一种控制信息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EP3996442A1 (en) Coordinated schedul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WO2022186816A1 (en) User equipment-aborted full-duplex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