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835B1 -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35B1
KR102542835B1 KR1020210093742A KR20210093742A KR102542835B1 KR 102542835 B1 KR102542835 B1 KR 102542835B1 KR 1020210093742 A KR1020210093742 A KR 1020210093742A KR 20210093742 A KR20210093742 A KR 20210093742A KR 102542835 B1 KR102542835 B1 KR 10254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rm
radiation
detection unit
collim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905A (ko
Inventor
최현준
민철희
박효준
김혜미
이민재
유세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3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 A61B6/444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coupled by a rigid structure the rigid structure being a C-arm or U-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2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 A61N5/104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e.g.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or IM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7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dose delivered by the treatment pl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49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 A61N2005/1061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the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respect to the radiation beam using an x-ray imaging system having a separate imaging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C-암 프레임, 상기 C-암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조사부,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외부의 치료용 방사선원을 상기 대상체의 체내로 공급되게 하는 삽입기구, 상기 C-암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에 조사된 엑스선 중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엑스선을 검출하거나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공급된 치료용 방사선원에서 방출되어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C-ARM IMAGE-GUIDED BRACHY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암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선치료의 한 종류로서 근접방사선치료법이 있다. 근접방사선치료는 삽입기구를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는 동위원소를 체내 치료 부위 근처에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치료부위에는 높은 방사선량을 전달하면서 체외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치료 방법에 비해 정상조직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선량을 전달할 수 있어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근접 방사선치료는 치료부위 및 시술하는 방법에 따라 강내치료, 관내치료 혹은 조직 내 치료 등으로 나누어지며, 대표적으로 자궁경부암의 치료에서 시행되고 있다.
자궁경부암에 대한 근접방사선치료의 경우, 5~10회에 걸쳐 처방 선량을 분할하여 치료 부위에 전달하며, 1회 치료당 종양 조직에 약 300~700 cGy(외부 방사선치료의 1.5~3.9배)의 고선량을 전달하기에, 치료부위가 아닌 잘못된 위치(e.g. 방사선에 민감한 직장(rectum) 등)에 과도한 선량이 전달될 경우, 출혈, 감염, 조직 괴사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 체내의 기구 삽입 위치 및 정상조직 위치에 대한 재현성이 중요하나, 현실적으로는 기구를 삽입하는 시술자의 변화, 환자가 느끼는 통증에 의한 자세 변화,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환자 체내에서 기구의 위치 변화, 종양 크기 변화, 정상조직의 위치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치료 재현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즉, 환자의 인체에 생물학적인 손상을 방지하여 환자의 안전과 치료효과 제고를 위해 체내 삽입기구 위치 및 정상 조직 위치 검증과 정확한 체내 선량분포 검증 기술이 필요하다.
JP 2014-000128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 및 환자 체내 선량분포의 실시간 검증이 가능한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는, 대상체를 지지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C-암 프레임, 상기 C-암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조사부,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외부의 치료용 방사선원을 상기 대상체의 체내로 공급되게 하는 삽입기구, 상기 C-암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에 조사된 엑스선 중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엑스선을 검출하거나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공급된 치료용 방사선원에서 방출되어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할 때 상기 검출부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검출부 상부를 벗어나도록 이동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암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콜리메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부는, 상기 C-암 프레임의 내측 두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콜리메이터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검출부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수직하게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 사이에서 통과되는 상기 엑스선 또는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상기 검출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료용 방사선원은, Cs(세슘)-137, Ir(이리듐)-192, Co(코발트)-60인 감마선원일 수 있다.
상기 콜리메이터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할 때 상기 검출부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검출부 상부를 벗어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는, 엑스선 조사부와 검출부가 C-암에 연결되어 있어 환자 자세 변화 및 치료 테이블 이동에 따라 유연하게 설치 가능하며, 낮은 피폭선량으로 단층 영상을 촬영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는, 근접방사선 치료 중 체내 선량분포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어 환자의 안전 확보 및 치료효과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암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콜리메이터의 평면도이고, (b)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암의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콜리메이터의 평면도이고, (b)는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1)는 치료실(100), 테이블(200), C-암(300) 및 삽입기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실(1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실(100)에는 대상체(P)를 지지하는 테이블(200), 대상체의 단층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C-암(300)이 설치될 수 있다.
테이블(200)은 치료실(100)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할 대상체(P)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테이블(200)은 판 형상으로 상부면에는 대상체(P)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200)과 인접하게 C-암(300)이 설치되어 테이블(200) 상의 대상체(P)로 엑스선(331)을 조사할 수 있다.
삽입기구(400)는 대상체(P)의 체내에 삽입되는 기구로써, 치료용 방사선원이 공급됨에 따라 체내 특정부위에 치료용 방사선(420)을 조사하여 치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실(100) 내에는 치료용 방사선원을 저장해두는 치료용 방사선원 공급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치료용 방사선원 공급부(410)는 케이블 등을 통해 삽입기구(400)로 치료용 방사선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구(400)는 체내 종양 근처에 설치하거나 종양에 직접 삽입되어, 종양에 치료용 방사선(420)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삽입기구(400)는 삽입될 치료부위에 따라 실린더, 튜브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자궁에 삽입될 삽입기구(400)는 자궁강 내로 삽입되는 속이 빈 긴 막대기형태의 탠덤(Tandem) 및 끝이 동그랗게 형성되어 자궁경부 및 질 위쪽에 배치되는 난형체(Ovoid)로 이루어진 기구일 수 있다.
한편, 삽입기구(400)에 공급되는 치료용 방사선원은 감마선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되는 치료용 방사선(420)은 감마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용 방사선원은 Cs(세슘)-137, Ir(이리듐)-192, Co(코발트)-6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C-암(300)은 본체부(310), C-암 프레임(320), 엑스선조사부(330), 검출부(340), 회전부(350) 및 콜리메이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본체(311), 고정부(312), 연결부(313) 및 지지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1)는 테이블(200) 일측에 배치되며 전방에는 C-암 프레임(32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311)는 C-암(30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거나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궤도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312)는 본체(311)의 상면에 형성되며, 본체(311)와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313)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후단은 고정부(312)에 연결되고 전단에는 지지부(314)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314)는 연결부(313)의 전단에 연결되며, 전방이 개방된 C자 형태의 원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14)의 전면에는 C-암 프레임(320)이 안착되어 이를 지지할 수 있다.
C-암 프레임(320)은 전방이 개방된 C자 형태의 원호 형상일 수 있고, 지지부(314)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C-암 프레임(320)은 원호 곡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태일 수 있다. C-암 프레임(320)은 본체(311)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내측에 테이블(200)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C-암 프레임(320)은 지지부(3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암 프레임(320)은 지지부(314)를 따라 슬라이딩 하면서 제1 방향(R1)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암 프레임(320)은 테이블(200)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C-암 프레임(320)은 상부측 단부 및 하부측 단부에 각각 엑스선조사부(330) 및 검출부(340)가 설치되어, 엑스선조사부(330) 및 검출부(340)가 서로 마주보면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엑스선조사부(330)는 C-암 프레임(320)의 상부측 단부에 설치되어 대상체(P)를 향해서 엑스선(331)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엑스선조사부(330)는 내부에 엑스선(331)을 발생하는 엑스선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엑스선 소스는 고전압에 의해 가속된 고속의 전자를 물체에 충돌시킬 때 방출되는 파장이 짧고, 투과력이 강한 전자기파인 엑스선(331)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엑스선(331)은 대상체(P)를 통과하여 검출부(340)로 입사될 수 있다.
검출부(340)는 C-암 프레임(320)의 하부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검출부(340)는 엑스선조사부(330)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엑스선조사부(330)로부터 조사되어 대상체(P)를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340)는 C-암 프레임(320)으로 인해 테이블(200) 주위를 회전하면서, 삽입기구(400)의 치료용 방사선원으로부터 발생하여 대상체(P)를 투과한 치료용 방사선(420)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검출부(340)는 엑스선의 에너지범위 및 치료용 방사선의 에너지범위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340)는 검출한 엑스선(331) 및 치료용 방사선(420)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며, 테이블(200) 주위를 회전하는 검출부(340)에서 발생된 신호를 바탕으로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회전부(350)는 제1 방향(R1) 및 제2 방향(R2)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제1 회전부재(351) 및 제2 회전부재(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351)는 봉 형상으로 C-암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부재(351)는 C-암 프레임(320) 내측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양단이 C-암 프레임(320)의 내측면 두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회전부재(351)의 양단부는, C-암 프레임(320)의 내측면 중 C-암 프레임(320)의 원호 곡률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부분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부재(351)는 C-암 프레임(320)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제1 방향(R1)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제1 회전부재(351) 자체가 제2 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R1) 및 제2 방향(R2)은 수직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352)는 봉 형상으로 일단이 제1 회전부재(3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콜리메이터(36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부재(352)는 검출부(340) 상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회전부재(352)는 제1 회전부재(35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부재(352)는 C-암 프레임(320)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제1 방향(R1)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한 제1 회전부재(351) 가 제2 방향(R2)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께 제2 방향(R1)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R1) 및 제2 방향(R2)은 수직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재(351)가 회전됨에 따라, 제2 회전부재(352)는 검출부(340)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352)는 콜리메이터(360)를 검출부(340) 상면에 위치시키거나 검출부(340)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콜리메이터(360)는 회전부(350)에 의해 C-암 프레임(320)에 연결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360)는 대상체(P)로부터 방출되는 치료용 방사선(420) 중 특정 방향의 방사선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방향에서 오는 방사선은 차단하여 조준기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콜리메이터(360)는 특정 방향의 방사선만을 검출부(340)에 입사시킬 수 있다.
또한, 콜리메이터(360)는 회전부(3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리메이터(360)는 검출부(340)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검출부(340)와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또는 검출부(34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340)가 치료용 방사선(420)을 검출하는 과정이 아닌 경우에는 콜리메이터(360)를 검출부(340) 상부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검출부(340)가 치료용 방사선(420)을 검출하는 과정일 경우에는 콜리메이터(360)를 검출부(340)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콜리메이터(360)의 회전동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콜리메이터(360)는 콜리메이터몸체(361), 제1 격벽(362) 및 제2 격벽(363)을 포함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몸체(361)는 소정의 박스형태로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몸체(361) 측면에는 제2 회전부재(352)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콜리메이터몸체(361)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1 격벽(362) 및 제2 격벽(36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격벽(362)은 콜리메이터몸체(361)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격벽(363)은 콜리메이터몸체(361)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제1 격벽(362)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잇다. 이때, 제2 격벽(363)은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362) 및 제2 격벽(363)은 격자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격벽(362) 및 제2 격벽(363)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부(364)로 치료용 방사선(420)이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36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이고,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콜리메이터(360)는 관통부(364)를 통과한 치료용 방사선(420)을 검출부(340)에 입사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1)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1)는 C-암(300)을 통해 대상체(P)를 CT촬영할 수 있다.
먼저, 대상체(P)의 체내에 삽입기구(400)를 삽입하여 치료부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구(400)는 체내 종양 근처에 설치하거나 종양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기구(400)는 치료용 방사선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C-암(300)을 테이블(200)과 인접하게 배치시키고, 콜리메이터(360)는 회전부(350)에 의해 검출부(340)의 상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엑스선조사부(330)를 작동시켜 엑스선(331)을 대상체(P)에 조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C-암 프레임(320)을 대상체(P) 주변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여러 각도에서 대상체(P)를 향해 엑스선(331)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암 프레임(320)의 회전각도는 200도이며, 종래의 360도 CT촬영보다 작은 각도의 회전을 통해 대상체(P)에 대한 피폭선량을 낮출 수 있다.
이때, 엑스선(331)은 대상체(P)를 통과하여 검출부(340)로 입사될 수 있다. 검출부(340)는 여러 각도에서 대상체(P)에 조사된 엑스선(331)을 검출함으로써, 대상체(P)의 CT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직전에 C-암(300)을 통해 대상체(P)를 저선량으로 CT촬영할 수 있다. 이후, 치료계획 초기단계에서 촬영된 CT영상과 치료직전 C-암(300)에 의해 촬영된 CT영상을 분석하여, 대상체의 위치, 자세, 상태 변화, 삽입기구(400)의 위치, 치료부위 조직의 위치 등을 검증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1)는, C-암(300)을 통해 대상체(P) 치료 중 실시간으로 3차원적 치료용 방사선(420) 발생 분포를 측정 및 재구성하여 대상체(P) 체내 선량분포를 예측할 수 있다.
먼저, 콜리메이터(360)를 회전부(350)에 의해 회전시켜 검출부(340)의 상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치료실(100) 내 설치되어 있는 치료용 방사선원 공급부(410)를 통해서 대상체(P)의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기구(400)에 치료용 방사선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되는 치료용 방사선원은 Cs(세슘)-137, Ir(이리듐)-192, Co(코발트)-60 등 감마선원일 수 있다.
이후, 삽입기구(400)로 공급된 치료용 방사선원에서 방출된 치료용 방사선(420)은 대상체(P)의 치료부위에 조사되어 종양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치료용 방사선(420)은 대상체(P)의 치료부위에 조사된 후 대상체(P)를 투과하여 콜리메이터(360)를 통해 검출부(340)로 입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C-암 프레임(320)을 대상체 주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C-암 프레임의 회전경로는 엑스선(331)을 통한 CT촬영 시 C-암 프레임(320)의 회전경로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340)는 여러 각도에서 대상체(P)에서 방출된 치료용 방사선(420)을 검출함으로써, 대상체(P)의 SPECT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중에 획득된 SPECT영상을 통해 체내 방사선원의 이동경로와 3차원적 방사선 발생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치료가 완료된 이후에는, 치료직전 C-암(300)에 의해 촬영된 CT영상 및 치료 도중 C-암(300)에 의해 촬영된 SPECT영상을 토대로 획득한 CT/SPECT 융합 영상을 통해 체내 3차원 선량분포를 평가함으로써, 근접방사선 치료에 따른 치료 효과 및 부작용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100: 치료실 200: 테이블
300: C-암 310: 본체부
311: 본체 312: 고정부
313: 연결부 314: 지지부
320: C-암 프레임 330: 엑스선조사부
331: 엑스선 340: 검출부
350: 회전부 351: 제1 회전부재
352: 제2 회전부재 360: 콜리메이터
361: 콜리메이터몸체 362: 제1 격벽
363: 제2 격벽 364: 관통부
400: 삽입기구 410: 치료용 방사선원 공급부
420: 치료용 방사선 P: 대상체
R1: 제1 방향 R2: 제2 방향

Claims (8)

  1. 대상체를 지지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 일측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C-암 프레임;
    상기 C-암 프레임의 일단에 연결되어 엑스선을 대상체에 조사하는 엑스선조사부;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외부의 치료용 방사선원을 상기 대상체의 체내로 공급되게 하는 삽입기구;
    상기 C-암 프레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체에 조사된 엑스선 중에서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엑스선을 검출하거나 상기 대상체의 체내에 공급된 치료용 방사선원에서 방출되어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는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 상부에 위치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리메이터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할 때 상기 검출부 상부로 이동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검출부 상부를 벗어나도록 이동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암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콜리메이터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부는,
    상기 C-암 프레임의 내측 두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 회전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콜리메이터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검출부의 상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는,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과 수직하게 연결되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격벽 및 상기 제2 격벽 사이에서 통과되는 상기 엑스선 또는 상기 치료용 방사선을 상기 검출부로 입사되도록 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용 방사선원은,
    Cs(세슘)-137, Ir(이리듐)-192, Co(코발트)-60인 감마선원인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8. 삭제
KR1020210093742A 2021-07-16 2021-07-16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KR102542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42A KR102542835B1 (ko) 2021-07-16 2021-07-16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42A KR102542835B1 (ko) 2021-07-16 2021-07-16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05A KR20230012905A (ko) 2023-01-26
KR102542835B1 true KR102542835B1 (ko) 2023-06-12

Family

ID=8511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42A KR102542835B1 (ko) 2021-07-16 2021-07-16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13A (ja) * 2008-03-14 2011-05-06 リフレクション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誘導の放射線治療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000128A (ja) * 2012-06-15 2014-01-09 Accuthera Inc リアルタイム3次元放射線治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4210A (ja) * 1974-11-08 1976-05-13 Hitachi Ltd Sutaatayomaguneteitsukusuitsuchi
KR101501101B1 (ko) * 2012-11-1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 촬영 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13A (ja) * 2008-03-14 2011-05-06 リフレクション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誘導の放射線治療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4000128A (ja) * 2012-06-15 2014-01-09 Accuthera Inc リアルタイム3次元放射線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905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06950B2 (en) Rapid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apid radiation therapies
US9149656B2 (en) Real-time three-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US7519151B1 (en) Online igrt using digital tomosynthesis
US78177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and treatment of tumorous tissue in breasts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radiotherapy
JP5238242B2 (ja) 放射線治療用線量分布測定装置及び放射線治療用線量分布測定プログラム
US20160256713A1 (en) Radiation Therapy Guided Using PET Imaging
US8712012B2 (en) Combined imaging and radiation therapy
US10500420B2 (en) Small beam area, mid-voltage radiotherapy system with reduced skin dose, reduced scatter around the treatment volume, and improved overall accuracy
US200600743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ormal radiation brachytherapy for prostate gland and other tumors
JP2006239403A (ja) イオンビーム治療装置及びそのベッド位置決め方法
JP2010075338A (ja) X線治療機能を備える乳房用画像撮影及び治療装置
US7346144B2 (en) In vivo planning and treatment of cancer therapy
KR102117680B1 (ko) 방사선 치료기 및 방사선 치료기의 정도 관리 방법
JP2017516579A5 (ko)
KR20140063192A (ko)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복합형 의료용 방사선 장치
JP5121482B2 (ja) 放射線治療用線量分布測定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用線量分布測定プログラム
RU2753639C1 (ru) Аппарат для корпускулярной лучевой терапии
JP2011528273A (ja) 電子ビームスキャナを含む照射システム
KR101788468B1 (ko) 방사선 치료 시 광조사야 및 광반사체를 이용한 환자정렬 방법 및 시스템
KR101872226B1 (ko) 교정 유닛, 방사선 치료장치 및 방사선 치료장치의 교정 방법
KR102542835B1 (ko) C-암 영상유도 근접방사선 치료장치
KR102080162B1 (ko) 방사선 치료기 및 방사선 치료기의 정도 관리 방법
KR102558719B1 (ko) C-암 영상유도 중입자 치료장치
JP7082366B2 (ja) 放射線治療装置及びベッド位置決め装置並びにベッドの位置決め方法
US20120213332A1 (en) Radiation therapy system with a telescopic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