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98B1 -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98B1
KR102542698B1 KR1020220042469A KR20220042469A KR102542698B1 KR 102542698 B1 KR102542698 B1 KR 102542698B1 KR 1020220042469 A KR1020220042469 A KR 1020220042469A KR 20220042469 A KR20220042469 A KR 20220042469A KR 102542698 B1 KR102542698 B1 KR 10254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bet
group
present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4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98B1/ko
Priority to PCT/KR2023/003859 priority patent/WO20231956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551,2-Diazoles non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6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BET (Bromodomain Extra-Terminal) 단백질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하기 화학식 1의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Novel benzothiophene derivatives and use as BET inhibitors}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BET (Bromodomain Extra-Terminal) 단백질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하기 화학식 1의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히스톤의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PTM)은 진핵 세포에서 유전자의 발현 및 염색질 체계화의 조절에 관여한다. 특정 라이신 잔기에서의 히스톤 아세틸화는 히스톤 아세틸라아제 및 히스톤 탈아세틸라아제에 의해 조절되는 PTM이다. 히스톤 아세틸화는 브로모도메인이라 불리는 잘 보존된 단백질이 히스톤 및 다른 단백질에서 아세틸화 라이신에 직접 결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동원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제어한다. 인간 게놈에서 60개를 초과하는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이 존재한다.
브로모도메인 함유 단백질 가운데 BET (Bromodomain Extra-Terminal) 패밀리는 BRD2, BRD3, BRD4, 및 BRDT를 포함하며, 정소에 국재하는 BRDT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백질들은 다양한 조직에서 넓게 발현된다. 또한, BET 단백질 패밀리가 암, 대사 질환 및 염증을 비롯한 각종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예를 들어, 염색체 전위에 의해 유발되는 BRD4 또는 BRD3, 및 고환 내 핵 단백질 (NUT) 유전자의 종양원성 융합은 NUT 정중선 암종으로 명명되는 공격성 암을 초래한다 (French et al., J Clin Oncol, 22 (2004), 4135-9; French et al., J Clin Pathol, 63 (2008), 492-6). BRD3/4 브로모도메인은 이들 융합 단백질에서 보존되고, 녹다운 (knockdown) 또는 선택적 BET 브로모도메인 억제제인 JQ1가 시험관내 및 동물 종양 모델 둘다에서 이들 암세포의 사멸을 야기한다 (Filippakopoulos et al., Nature, 468 (2010), 1067-73). JQ1 및 다른 선택적 BET 억제제는 BET 브로모도메인에 결합하여 아세틸-리신 결합을 방지하며, 이는 BET 단백질이 염색질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전사를 조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RD4는 RNAi 스크린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에서 표적으로서 확인되었다 (Zuber et al., Nature, 478 (2011), 524-8). 이러한 발견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BET 억제제 JQ1 및 I-BET151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Dawson et al., Nature, 478(2011), 529-33). 또한, BET 억제제가 급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및 다른 혈액악성종양에서 광범위한 항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러 암 모델에서 BET 억제시 종양원성 전사인자 Myc의 급성 하향조절이 관찰되었다 (Delmore et al., Cell, 146 (2011), 904-17; Mertz et al., Proc Natl Acad Sci US A, 108 (2011), 16669-74). 최근의 연구로부터 BET 억제제가 폐 및 뇌암 등의 다른 암종에 적용될 수 있는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화학구조 및 BET 결합 방식에 있어서 JQ1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다른 BET 억제제인 I-BET762는 마우스 모델에서 주요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내독소성 쇼크 및 박테리아-유발 패혈증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Nicodeme et al., Nature, 468 (2010), 1119-23).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관상 동맥 질환, 이상지혈증, 당뇨병 및 다른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의 임상 시험에서 BET 억제제 RVX-208의 임상 평가를 지지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McNeill, Curr Opin Investig Drugs, 3 (2010), 357-64 및 www.clinicaltrials.gov).
RVX-208 및 I-BET762는 모두 콜레스테롤의 조직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아포지단백질 A-I를 상향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BET 단백질은 여러 바이러스의 증식 및 전사 조절과 관련되어, BET 억제제가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Weidner-Glunde, Frontiers in Bioscience 15 (2010), 537-549).
몇 가지 브로모도메인 저해제가 임상 및 전 임상에서 알려져 있지만, 질병의 재발 및 치료제에 대한 내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부작용을 줄인 새로운 브로모도메인 저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산화환원 반응은 많은 생리학적 과정에 존재하고, 산소 분자는 생명에 필요하지만 질병으로 이어지는 반응성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자유 라디칼을 포함하여 다른 반응성 화학종도 병리학적 상태를 초래한다. 이전부터 조직 손상과 관련된 호기성 대사가 활성산소종 (ROS)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ROS 및 최근에 알려진 반응성질소종 (RNS)은 호르몬과 마찬가지로 세포 신호 전달의 메신저로서 효소의 화학적 변형 등을 야기하고 산화제 수준의 변화를 일으킨다.
또한, 20 가지 필수 아미노산 중 시스테인, 메티오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은 특히 산화되기 쉽다. 따라서, 인체 내에서 대사작용을 하는 이러한 단백질성 물질들은 금속 결합 (metal binding), 다이설파이드 결합 (disulfide bond) 형성, 메틸화 (methylation), 아세틸화 (acetylation) 등 다양한 변형을 야기한다.
현재까지 세포의 신호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가 인산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산화 및 질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하여 "리독스 상태 (redox state)"에 따른 산화 (oxidation), 니트로실화 (S-nitrosylation) 등 리독스 조절 메카니즘을 고려한 리독스 화학 (redox chemistry) 기술을 적용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자들은 BET 저해제가 히스톤 단백질의 라이신 잔기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리독스 상태에 따른 신호전달 물질 간의 결합 정도가 달라지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리독스 상태를 고려하여 새로운 브로모도메인 저해제를 연구 및 개발하였다.
French et al., J Clin Oncol, 22 (2004), 4135-9; French et al., J Clin Pathol, 63 (2008), 492-6
본 발명은 BET 단백질에 대하여 저해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1
상기 식에서,
X 또는 Y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Ra)C(=O)Rb, -(Ra)C(=O)N(Rb)(Rc), -(Ra)C(=O)ORb,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피리딘, 알킬 피리딘, 피페리딘, 피페리디노피리딘, 인다졸, 또는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2
이고,
Z는 H, C1-C6알킬, -ORa, -SRa,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피리딘, 피라졸, 알킬피라졸, 및 하이드록시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Ra,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1은 H, 할로, 시아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할로겐화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은 암; 자가면역 또는 염증성 질환; 대사 질환; 및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은 BET 단백질에 대한 저해 활성이 우수하여 상기 BET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14는 합성된 화합물 1 내지 7의 구조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AML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암효력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인간 췌장암 세포에 대한 in vivo 항암효력시험 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ET 단백질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하기에 개시되는 의미를 가진다.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관습에 따라, 본원의 화학식에서 "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3
"은 잔기 또는 치환기 "R"이 골격 구조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알킬"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이며, 직쇄형, 분지형 또는 환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 포화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알킬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1-C20 알킬),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1-C10 알킬),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1-C6 알킬)를 가질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알킬은 C1-C6 알킬을 지칭한다. 적합한 알킬 기의 예로는 메틸 (Me, -CH3), 에틸 (Et, -CH2CH3), 1-프로필 (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 (i-Pr, i-프로필, -CH(CH3)2), 1-부틸 (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 (i-Bu, i-부틸, -CH2CH(CH3)2), 2-부틸 (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 (t-Bu, t-부틸, -C(CH3)3), 1-펜틸 (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 (-CH(CH3)CH2CH2CH3), 3-펜틸 (-CH(CH2CH3)2), 2-메틸-2-부틸 (-C(CH3)2CH2CH3), 3-메틸-2-부틸 (-CH(CH3)CH(CH3)2), 3-메틸-1-부틸 (-CH2CH2CH(CH3)2), 2-메틸-1-부틸 (-CH2CH(CH3)CH2CH3), 1-헥실 (-CH2CH2CH2CH2CH2CH3), 2-헥실 (-CH(CH3)CH2CH2CH2CH3), 3-헥실 (-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 (-C(CH3)2CH2CH2CH3), 3-메틸-2-펜틸 (-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 (-CH(CH3)CH2CH(CH3)2), 3-메틸-3-펜틸 (-C(CH3)(CH2CH3)2), 2-메틸-3-펜틸 (-CH(CH2CH3)CH(CH3)2), 2,3-디메틸-2-부틸 (-C(CH3)2CH(CH3)2), 3,3-디메틸-2-부틸 (-CH(CH3)C(CH3)3), 및 옥틸 (-(CH2)7CH3)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항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알킬"은 비치환된 및 치환된 알킬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중 후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과 같은 할로알킬기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골격의 1개 이상의 탄소 상의 수소를 대체하는 치환기를 갖는 알킬 잔기를 지칭한다.
용어 "Cx-y" 또는 "Cx-Cy"는, 아실, 아실옥시,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와 같은 화학적 잔기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사슬 내에 x 내지 y개의 탄소를 함유하는 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0 알킬은 기가 말단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수소,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결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C1-C6)알킬기는 사슬 내에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알콕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해 모 화합물에 부착된 것인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지칭한다. 알콕시 기의 알킬 잔기는 예를 들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1-C20 알콕시),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1-C12 알콕시),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1-C10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 기의 예로는 메톡시 (-O-CH3 또는 -OMe), 에톡시 (-OCH2CH3 또는 -OEt), 및 t-부톡시 (-OC(CH3)3 또는 -O-tBu)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케닐"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고, 직쇄형, 분지형 및 환형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불포화 영역, 즉, 탄소-탄소 sp2 이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어, 알케닐기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2-C20 알케닐),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2-C12 알케닐),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2-C10 알케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2-C6 알케닐)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케닐 기의 예로는 비닐 (-CH=CH2), 알릴 (-CH2CH=CH2), 시클로펜테닐 (-C5H7), 및 5-헥세닐 (-CH2CH2CH2CH2CH=CH2)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키닐"은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탄소 원자를 갖고, 직쇄형, 분지형 및 환형 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1개 이상의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어, 알키닐 기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즉, C2-C20 알키닐),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즉, C2-C12 알키닐),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즉, C2-C10 알키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즉, C2-C6 알키닐)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키닐 기의 예로는 아세틸레닉 (-C≡CH) 및 프로파르길 (-CH2C≡CH)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고리의 원자 각각이 탄소인,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방향족 탄화수소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릴 고리는 6- 내지 20-원고리, 6- 내지 14-원 고리, 6- 내지 10-원 고리,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6-원 고리이다. 아릴 기는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시클릭 고리를 갖는 폴리시클릭 고리계일 수 있으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시클릭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일 수 있다. 아릴 기로는 벤젠, 나프탈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인덴, 인단, 페놀, 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르보시클릴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알킬"은 카르보사이클기 또는 시클로알킬 기로 치환된 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르보사이클", "카르보시클릴", "카르보시클릭" 또는 "시클로알킬"은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일 수 있고 고리의 원자 각각이 탄소인 비방향족 포화 또는 불포화, 1가 또는 2가 고리를 지칭한다. 시클로알킬 기는 모노사이클로서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 바이사이클로서 7 내지 12개의 탄소원자, 및 폴리사이클로서 약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모노시클릭 시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고리 원자, 보다 전형적으로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다. 바이시클릭 시클로알킬은 7 내지 12개의 고리원자를 가질 수 있고, 융합 고리계, 스피로시클릭 고리계 또는 다리 고리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시클로알킬기에서, 원자는 바이시클로[4,5], [5,5], [5,6], 또는 [6,6] 시스템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시클로알킬은 3 내지 20개의 원자, 또는 3 내지 10개의 원자,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개의 원자를 함유한다. 시클로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을 들 수 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시클로알킬은 본원에 기재된 1개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시클릴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시클로알킬" 은 고리 구조가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포화 또는 부분 포화 비방향족 고리 구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원 고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원 고리를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릭," 및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또한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시클릭 고리를 갖는 폴리시클릭 고리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헤테로시클릭이고, 예를 들어 다른 시클릭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바이시클릭 및 폴리시클릭 헤테로시클릭 고리계는 융합, 다리, 또는 스피로 고리계일 수 있다. 치환된 헤테로사이클은 예를 들어, 카르보닐 기를 포함하여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 기는 예를 들어,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롤리딘, 모르폴린, 락톤, 락탐 등을 포함한다. 추가로 예시적인 헤테로사이클로는 디히드로피리딜, 디히드로인돌릴, 테트라히드로피리딜(피페리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황-산화된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인돌레닐, 피페리디닐, 4-피페리디닐, 피롤리디닐, 2-피롤리도닐, 피롤리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데카히드로퀴놀리닐, 옥타히드로이소퀴놀리닐, 6H-1,2,5-티아디아지닐, 2H,6H-1,5,2-디티아지닐, 피라닐, 크로메닐, 크산테닐, 페녹사티닐, 2H-피롤릴, 3H-인돌릴, 4H-퀴놀리지닐,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프테리디닐, 4aH-카르바졸릴, 카르바졸릴, β-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푸라자닐, 페녹사지닐, 이소크로마닐, 크로마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페라지닐, 퀴누클리디닐, 모르폴리닐, 및 옥사졸리디닐 (이들 각각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음)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아릴"은 고리 내에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바이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인,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2가 방향족 기를 지칭한다. 방향족 고리에 함유될 수 있는 적합한 헤테로원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산소, 황 및 질소를 들 수 있다. 폴리시클릭 헤테로아릴 고리계에서, 고리계는 2개 이상의 탄소가 2개의 인접한 고리에 공통인 2개 이상의 시클릭 고리를 가지며, 여기서 고리 중 1개 이상은 헤테로방향족이고, 예를 들어 다른 시클릭 고리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시클로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또는 헤테로시클릴일 수 있다. 헤테로기는 예를 들어,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피롤, 푸란, 티오펜, 이미다졸, 인돌, 이소인돌, 이속사졸, 이소티아졸, 옥사졸, 티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및 피리미딘 등 (이들 각각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할로겐을 의미하고,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함한다.
"아미노"는 -NH2기를 나타낸다.
"시아노"는 -CN기를 나타낸다.
"니트로"는 -NO2기를 나타낸다.
"카복시"는 -C(O)OH기를 나타낸다.
"알데하이드"는 -CHO기를 나타낸다.
"알콕시카르보닐"은 -C(O)O(알킬) 또는 -C(O)O(사이클로알킬) 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알킬 및 사이클로알킬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아실 할라이드"는 -C(O)-할로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4
상기 식에서,
X 또는 Y는 각각 독립적으로 H, 할로, 시아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Ra)C(=O)Rb, -(Ra)C(=O)N(Rb)(Rc), -(Ra)C(=O)ORb,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피리딘, 알킬 피리딘, 피페리딘, 피페리디노피리딘, 인다졸, 또는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5
이고,
Z는 H, C1-C6알킬, -ORa, -SRa,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피리딘, 피라졸, 알킬피라졸, 및 하이드록시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Ra, Rb 및 R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알킬이고,
R1은 H, 할로, 시아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할로겐화 메틸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X는 -(Ra)C(=O)Rb 또는 -(Ra)C(=O)N(Rb)(Rc)이고, Y는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6
이고, Z는 -ORa 및 하이드록시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이고, R1은 H, 할로, 시아노,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할로겐화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X는 -(Ra)C(=O)N(Rb)(Rc)이고, R1은 할로겐화 알킬로서 플루오로알킬, 클로로알킬, 또는 브로모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Z는 -ORa 및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7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하나 이상이고, R2는 H 또는 알킬인 것일 수 있다.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표 1과 같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번호 화합물 명칭 화학구조식
2 BBC1115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8
3 BBC1114
Figure 112022036470378-pat00009
4 BBC1117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0
5 BBC1118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1
6 BBC1131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2
7 BBC1674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3
8 BBC1680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을 들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BET (Bromodomain Extra-Terminal)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그에 포함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BET 단백질을 저해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상기 BET 단백질 관련 질환은 암; 자가면역 또는 염증성 질환; 대사 질환; 또는 바이러스성 질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암은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재생불량성 빈혈, 흉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간암, 위암, 췌장암, 결장암, 복막 전이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폐암, 골육종, 섬유성 종양 및 뇌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자가면역 또는 염증성 질환은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제1형 당뇨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근무력증, 크론병, 강직성 척추염, 건선, 자가면역성 악성빈혈 및 쇼그렌 증후군,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관절염,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퇴행성 관절 질환, 피부염, 장기 거부, 습진, 간염, 염증성 장 질환, 패혈증, 패혈증 증후군, 패혈성 쇼크 및 비알콜성 지방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대사 질환은 고중성지방혈증, 비만, 고지혈증,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동맥경화증,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및 인슐린 저항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이러스성 질환은 소아마비, 급성출혈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수족구병, 간염, 근육염, 심근염, 췌장염, 유행성 근육통, 뇌염, 감기, 포진성 구협염, 구제역, 천식, 모세기관지염, 기관지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축농증, 중이염, 단순포진, 대상포진, 구내염, 및 수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또는 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주사제 등의 근육 내, 정맥 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 형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형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제제는 유효성분 외에 통상의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담체, 첨가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첨가되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의 합성 (BBC1115)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5
DCM(3 mL) 내의 tert-butyl 4-formylbenzylcarbamate (200 mg, 850 umol) 으로부터 N-[[4-(difluoromethyl)phenyl]methyl]-4-methoxy-N-[3-(methylamino)-3-oxo-propyl]-7-(1-methyl-6-oxo-3-pyridyl)benzothiophene-2-carboxamide (BBC1115) (20.9 mg, 37.8 umol, 20.5% yield, 97.7% purity)을 상기의 반응식으로 수득하였다.
1H NMR: EB5637-22-P1H1 (400 MHz, CD3OD)δ 7.88 (s, 1H), 7.76-7.90 (m, 2H), 7.56 (d, J = 8.0 Hz, 2H), 7.40-7.44 (m, 2H), 7.32 (d, J = 8.0 Hz, 2H), 6.61-6.93 (m,3H), 4.80-4.94 (m, 2H), 3.92 (s, 3H), 3.78-3.79 (m, 2H), 3.60 (s, 3H), 2.68 (s, 3H), 2.57 (t, J = 6.8 Hz, 2H) (도 1)
LCMS: EB5637-22-P1L1, m/z = 540.4 (M+H)+, Rt = 1.685 min (도 2)
실시예 2: 화합물 2의 합성 (BBC1114)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6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4-methoxy-N-[3-(methylamino)-3-oxo propyl]-7-(1-methyl-6-oxo-3-pyridyl)-N-[(2-methyl-4-pyridyl)methyl]benzothiophene-2-carboxamide (BBC1114) (21.6 mg, 42.6 umol, 14.8% yield, 99.5% purity)를 (2 methylpyridin 4 yl) methanamine (100 mg, 825 umol)으로부터 얻었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3, 4).
H NMR: EB1433-145-P1N2, (400 MHz, CDCl3)
δ8.5-8.5 (m, 1H), 7.6-7.7 (m, 3H), 7.2-7.3 (m, 1H), 7.0-7.1 (m, 2H), 6.8 -6.9 (m, 1H), 6.7-6.8 (m, 1H), 4.8-5.0 (m, 2H), 3.9-4.0 (m, 3H), 3.7-3.9 (m, 2H), 3.6-3.7 (m, 3H), 2.8-2.9 (m, 3H), 2.5-2.7 (m, 5H)
LCMS: EB1433 145 P1Z (M + H)+: 505.3
실시예 3: 화합물 3의 합성 (BBC1117)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7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4-methoxy-7-(1-methyl-6-oxo-1, 6-dihydropyridin-3-yl)-N-(3-(methylamino)-3-oxopropyl)-N-(1-(pyridine-2-yl)piperidin-4-yl)benzo[b]thiophene-2-carboxamide (BBC1117) (11.7 mg, 20.0 umol, 28.0% yield, 96.0% purity)을 1-(pyridine-2-yl)piperidin-4-amine (165 mg, 930 umol)으로부터 수득하였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 5, 6).
H NMR: EB2096-65-P1A1, (400MHz, MeOD)
δ8.07 (s, 1H), 7.99 (d, J = 2.4 Hz, 1H), 7.88 (dd, J = 2.4, 1H), 7.77 (s, 1H), 7.58 - 7.50 (m, 1H), 7.40 (d, J = 8.0, 1H), 7.03 (d, J = 8, 1H), 6.85 (d, J = 8.8, 1H), 6.70 (d, J = 9.2, 1H), 6.65 (dd, J = 4.8, 1H), 4.61 (s, 4H), 4.38 (br d, J = 12.8, 2H), 4.02 (s, 3H), 3.71 (br s, 1H), 3.67 (s, 3H), 2.71-2.72 (m, 1H), 2.70 (s, 2H), 2.55-2.61 (m, 2H), 1.93-2.05 (m, 2H), 1.83-1.90 (m, 2H)
LCMS: EB1745-65-P1A1, [M+H] +, 560.4
실시예 4: 화합물 4의 합성 (BBC1118)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8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N-((1H-indazol-3-yl)methyl)-4-methoxy-7-(1-methyl-6-oxo-1,6-dihydropyridin-3-yl)-N-(3-(methylamino)-3-oxopropyl)benzo[b]thiophene-2-carboxamide (BBC1118) (6.30 mg, 11.9 umol, 11.4% yield, 99.7% purity)을 1H-indazole-3-carbaldehyde ( 500 mg, 3.42 mmol)로부터 수득하였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 7, 8).
LCMS: (EB1359-132-P1A1), (M+1) +, 529.1
H NMR: EB1359-132-P1A1 (400MHz, CDCl3)
실시예 5: 화합물 5의 합성 (BBC1131)
Figure 112022036470378-pat00019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N(2-(1H-pyrazol-1-yl) ethyl)-4-methoxy-7-(1-methyl-6-oxo-1,6-dihydropyridin-3-yl)-N-(3-(methylamino)-3-oxopropyl) benzo[b]thiophene-2-carboxamide (BBC1131) (8.5 mg, 100% purity)을 DMF (2 mL) 내의 methyl 3-((2-(1H-pyrazol-1-yl)ethyl)amino) propanoate (79.9 mg, 253 umol)로부터 수득하였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 9, 10).
LCMS: EB1363-125-P1A1 (M+H) +, 494.4
H NMR: EB1363-125 P1N1, (400 MHz, MeOD)
δ7.95 (d, 1H, J = 2.4 Hz), 7.85 (dd, 1H, J = 2.4, 9.3 Hz), 7.63 (br s, 1H), 7.50 (br s, 1H), 7.36 (d, 1H, J = 8.0 Hz), 6.98 (d, 1H, J = 8.0 Hz), 6.68 (d, 1H, J = 9.2 Hz), 6.31 (s, 1H), 4.9-4.9 (m, 1H), 4.9-4.9 (m, 1H), 4.63 (s, 1H), 4.44 (br s, 2H), 3.9-4.1 (m, 5H), 3.6-3.7 (m, 5H), 2.69 (br s, 3H), 2.3-2.6 (m, 2H).
실시예 6: 화합물 6의 합성 (BBC1680)
Figure 112022036470378-pat00020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N-[[4-(difluoromethyl)phenyl]methyl]-3-methyl-N-[3-(methylamino)-3-oxo-propy]-5-(2-methylpyrazol-3-yl)benzothiophene-2-carboxamide (BBC1680) (15.0 mg, 30.1 umol, 17.4% yield, 99.5% purity)을 MeOH (5 mL) 내의 [4-(difluoromethyl)phenyl] methanamine (500 mg, 2.58 mmol, 1.0 eq, HCl)로부터 수득하였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 11, 12).
LCMS: EB2777-5-P1A5, m/z = 497.3 (M+H) +, Rt = 1.617 min.
H NMR: EB2777-5-P1A, 400 MHz, MeOD
δ 8.01 (d, J = 7.2 Hz, 1H), 7.90 (s, 1 H), 7.47-7.65 (m, 5H), 7.27 - 7.42 (m, 1 H), 6.77 (t, J = 56.8 Hz, 1H), 6.46 (s, 1H), 4.68-4.82 (m, 2H), 3.91 (s, 3 H), 3.65-3.83 (m, 2H), 2.51-2.91 (m, 5H), 2.44 (s, 3H).
실시예 7: 화합물 7의 합성 (BBC1674)
Figure 112022036470378-pat00021
상기 합성 경로에 나타난 바와 같이, 3-methyl-5 -(1-methyl-1H-pyrazol-5-yl)-N-(3-(methylamino)-3-oxopropyl)-N-(1-(pyridine-2-yl)piperidin-4-yl)benzo[b]thiophene-2-carboxamide (BBC1674) (27.9 mg, 53.0 umol, 30.7% yield, 98.1% purity)을 Methyl 2-sulfanylacetate (978 mg, 9.22 mmol, 836 uL, 2.0 eq)로부터 수득하였다. 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고 순도는 LCMS로 확인하였다 (도 13, 14).
LCMS: EB2777-7-P1B1, m/z = 517.4 (M+H) +, Rt = 1.460 min.
H NMR: EB2777-7-P1A, 400 MHz, MeOD
δ 7.99-8.10 (m, 2H), 7.89-7.96 (m, 2H), 7.51-7.65 (m, 2H), 7.36-7.48 (m, 1H), 6.99 (t, J = 6.4 Hz, 1H), 6.46 (d, J = 2.0 Hz, 1H), 4.05-4.35 (m, 3H), 3.91 (s, 3H), 3.70 (t, J = 7.2 Hz, 2H), 2.93-3.29 (m, 2H), 2.65-2.83 (m, 3H), 2.50-2.64 (m, 2H), 2.47 (s, 3H), 1.73-2.29 (m, 4H).
시험예 1 : BRD3 단백질에 대한 결합억제능 시험
BET 단백질 중 BRD3 단백질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결합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백색 옵티플레이트에서 DMSO 중의 10 mM 스톡으로부터의 분석 버퍼에서 화합물을 1:5 계대 희석으로 희석시켰다. 100 nM GST BRD2 (BD1, BD2, BD1 + BD2) 및 100 nM 바이오티닐화된 아세틸 히스톤 H4 (Lys5, 8, 12, 16) 펩티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희석액에 가한 후, 각 샘플들을 어두운 곳에서 실온에서 30 분 동안 30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이후, 퍼킨엘머의 알파스크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퍼킨엘머 인비전 HTS 멀티라벨 리더 (PerkinElmer Envision HTS MultilabelReader)로 신호를 측정하였다. IC50 값의 결정은 그래프 패드 프리즘 3.0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화합물 IC50: BRD3(BD1)
실시예 1 BBC1115 43.95
비교예 1 JQ1 251
비교예 2 RVX-208 23398
실시예 2 BBC1114 35.81
실시예 3 BBC1117 61.12
실시예 4 BBC1118 29.68
실시예 5 BBC1131 51.47
실시예 6 BBC1680 98.73
실시예 7 BBC1674 84.77
상기 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합물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BRD3 BD1에 대한 IC50 값이 각각 약 5.71 배, 532.38 배 낮아 우수한 BRD 단백질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7의 화합물도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와 비교하여 BRD3 BD1에 대한 IC50 값이 현저히 낮아, BRD 단백질 억제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 인간 췌장암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암효력시험
인간 췌장암 세포주인 HPAF를 96well plate에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농도별 (1 nM, 0.01 μM, 0.1 μM, 1 μM, 10 μM, 100 μM)로 각 well 에 10 u l 씩 처리하여 96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well 에 CCK assay kit(동인 LS, D Plus?? CCK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이용하여 시약을 처리한 뒤 37℃ 5% CO2 배양기에서 30분~1시간 정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SpectraMax i3x, USA) 를 이용하여 450 nm 파장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얻어진 결과값을 GraphPad Prism 5(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C50 값을 확인하였다.
구분 화합물 IC50
실시예 1 BBC1115 0.13 uM
비교예 1 JQ1 2.3 u M
상기 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인간 췌장암 세포주인 HPAF에 대한 IC50 값이 약 17.69배 낮아 우수한 항암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AML 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암효력시험
마우스 유래 AML 세포주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처리 전후 나타나는 MYC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Realtime quatitative PCR(qRT PCR)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시예 (BBC1115) 및 비교예 1 (JQ1)을 동일농도 (1 uM)로 세포주에 6시간 동안 처리한 후 Trizol을 이용하여 RNA를 추출하고 qRT PCR을 통해 시험물질 처리에 의한 MYC 및 HEXIM1 발현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5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은 마우스 AML 세포주에 비교예 1 과 동일 조건으로 처리 시 mRNA 수준에서 BET 단백질의 핵심 타겟 유전자로 잘 알려진 종양촉진인자인 Myc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BET 저해제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HEXIM1 의 발현을 비교예 대비 더욱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화합물이 우수한 B ET 저해 항암물질인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in vivo 항암효력시험
인간 췌장암 세포인 AsPC-1 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37°C,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주 이식일에 배양된 세포를 튜브에 넣은 후 원심분리 (1,000 rpm, 5 분) 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PBS로 세포 부유액(4Х107 cells/mL)을 만들어 Matrigel을 동량 첨가하여 혼합한 (2Х107 cells/mL) 후 일회용 주사기에 충진하여 동물의 우측 등 부위의 피하에 0.2 mL 씩 투여하여 이식하였다 (0.4 Х107 cells/head). 세포주를 이식하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 동물의 건강상태에 이상이 없는 동물에 대해 종양의 부피를 측정하여 100 ~ 150 mm3에 도달한 동물을 선별하였다. 음성대조군 및 실시예(BBC1115), 비교예 (JQ1) 투여군으로 나누어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이 때 실시예(BBC1115)는 12, 5, 25 mg/kg 으로, 비교예(JQ1) 는 50 mg/kg 으로 투여하여 35 일간 종양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6과 같이 인간 유래의 췌장암 세포주인 AsPC-1 이 이식된 수컷 누드마우스를 이용한 항암 효능시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은 투여용량 유의적인 항암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JQ1)대비 우수한 종양성장 억제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BET 억제제보다 더 우수한 억제 효과를 가지므로, BET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20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 [S3029615]

Claims (11)

  1.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112022119094417-pat00026
    ,
    Figure 112022119094417-pat00027
    ,
    Figure 112022119094417-pat00028
    ,
    Figure 112022119094417-pat00029
    ,
    Figure 112022119094417-pat00030
    ,
    Figure 112022119094417-pat00031

    Figure 112022119094417-pat00032
    .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BET (Bromodomain Extra-Terminal) 단백질 관련 질환인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다발성 골수종, 급성 골수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재생불량성 빈혈, 흉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유방암, 대장암, 간암, 위암, 췌장암, 결장암, 복막 전이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폐암, 골육종, 섬유성 종양 및 뇌종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20042469A 2022-04-05 2022-04-05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KR10254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469A KR102542698B1 (ko) 2022-04-05 2022-04-05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PCT/KR2023/003859 WO2023195669A1 (ko) 2022-04-05 2023-03-23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469A KR102542698B1 (ko) 2022-04-05 2022-04-05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698B1 true KR102542698B1 (ko) 2023-06-14

Family

ID=8674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469A KR102542698B1 (ko) 2022-04-05 2022-04-05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2698B1 (ko)
WO (1) WO2023195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20332B (zh) * 2024-03-04 2024-05-14 烟台大学 苯并噻吩-硫脲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8579A1 (en) * 2010-07-14 2013-04-10 National Institute of Immunology Benzothiophene carboxamide compounds,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9482A (en) * 1994-12-14 1996-12-31 Pfizer Inc. Benzo-thiophene estrogen agonists to treat prostatic hyperplasia
PT1347963E (pt) * 2000-12-05 2004-12-31 Hoffmann La Roche Derivados de benzofurano e de benzotiofeno como inibidores selectivos da cox-2
EP3194366A1 (en) * 2014-09-15 2017-07-26 E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Benzothiophene, benzyloxybenzylidene and indoline derivative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uberculosis
CN112041307B (zh) * 2018-02-06 2024-02-09 伊利诺伊大学评议会 作为选择性雌激素受体降解剂的取代的苯并噻吩类似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8579A1 (en) * 2010-07-14 2013-04-10 National Institute of Immunology Benzothiophene carboxamide compounds,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ench et al., J Clin Oncol, 22 (2004), 4135-9; French et al., J Clin Pathol, 63 (2008), 49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5669A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8857B2 (ja) リジン特異的なデメチラーゼ−1の阻害剤
US20010006975A1 (en) Raf kinase inhibitors
MXPA04011246A (es) Compuestos de amidas de acido 3-amino-tieno[2,3-b]piridin-2-carboxilico sustituido y procesos para preparar y sus usos.
US10562912B2 (en) Heterocyclic derivatives and use thereof
KR20160144506A (ko) 리신 특이적 데메틸라제-1의 억제제
AU2014249050A1 (en) Histone dementhylase inhibitors
WO2002032872A1 (en) Nitrogenous aromatic ring compounds
AU2021269397B2 (en) Compoun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JP2011516589A (ja) Fxrのモジュレーターとしてのベンゾフラン、ベンゾチオフェン、ベンゾチアゾール誘導体
JP2004521915A (ja) Tgf過剰発現に対するピラゾール誘導体
DK2599774T3 (en) DEHYDRATED pyridine AS CB2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AU2018236290A1 (en) MK2 inhibitors, synthesis thereof, and intermediates thereto
JP2010514820A (ja) 新規な2,4−ジアニリノピリミジン類、薬剤としてのこれらの調製、医薬組成物および基本的にikk阻害剤としてのこれらの使用
KR20130077390A (ko) 단백질 키나아제 저해활성을 가지는 6-아미노-3-카복스아미도인다졸 유도체
KR102420263B1 (ko) 신규한 퀴나졸린 리독스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US7329764B2 (en) Substitute benzothiophene compounds
JPWO2010007944A1 (ja) 含窒素二環性複素環化合物
AU2014347126A1 (en) Pyrido[2,3-d]pyrimidin-4-one compounds as tankyrase inhibitors
KR102542698B1 (ko) 신규한 벤조사이오펜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JP2012211085A (ja) ヘッジホッグシグナル阻害剤
WO2023016540A1 (zh) 脲类多靶点酪氨酸激酶抑制剂及其医药应用
CN114341135A (zh) 雌激素相关受体α(ERRα)调节剂
KR102420262B1 (ko) 신규한 퀘르세틴 리독스 유도체 및 bet 억제제로서의 용도
WO2017034377A1 (en) Pyridopyrimidinone compounds for modulating the catalytic activity of histone lysine demethylases (kdms)
JP6045573B2 (ja) 5−カルバモイルアダマンタン−2−イルアミド誘導体、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