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603B1 -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603B1
KR102542603B1 KR1020220044119A KR20220044119A KR102542603B1 KR 102542603 B1 KR102542603 B1 KR 102542603B1 KR 1020220044119 A KR1020220044119 A KR 1020220044119A KR 20220044119 A KR20220044119 A KR 20220044119A KR 102542603 B1 KR102542603 B1 KR 10254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displacement detection
detection device
power generation
gen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스마트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603B1/en
Priority to KR1020220092641A priority patent/KR1026705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변위 발생을 검출하여 경고하는 변위 검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변위 검출 장치:는 변위 검출 대상의 제 1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변위 검출 대상의 제 2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작동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의 움직임에 간섭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 그리고 상기 발전 유닛이 작동하였을 때 발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해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alerting displacement occurrences.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 b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an actuat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generates power by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And a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us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operates.

Description

구조물 변위 검출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본 개시는 구조물 변위 검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전원 공급이 필요 없는 무선 구조물 변위 검출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tructur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structur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a system applying the same.

교량 이나 건축물의 균열을 검출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There are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cracks in bridges or buildings.

이들 방법에는 레이저 펄스를 이용하는 방법, 광학적 거리 센서를 이용하는방법, 기계적 변위계를 이용하는 방법, 라이다에 의한 점군 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영상에 의한 방법, MEMS 소자를 이용하는 방법, 광파이버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These methods include a method using a laser pulse, a method using an optical distance sensor, a method using a mechanical displacement meter, a method using point cloud data by LIDAR, a method using images, a method using MEMS devices, and a method using optical fibers. do.

이들 기존의 방법들은 변위량 또는 변형량을 정량적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균열의 정도를 모니터링 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치 및 운용이 쉽지 않으면 또한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These existing methods apply a system that monitors and manages the degree of cracks by quantitatively and continuously monitor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or deformation. If installation and operation are not easy, the cost is also high.

보다 저렴하고 운용이 용이한 시스템의 연구는 이들 검출 시스템의 연구에서의 주요한 과제이며, 특히 변형량을 정량적 모니터링하는 고가의 방법 외에 균열의 상태를 임계적으로 검출하는 간단한 시스템의 연구 또한 바람직하다.The research of a cheaper and easier-to-operate system is a major task in the research of these detection systems. In addition to the expensive method of quantitatively monito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the research of a simple system that critically detects the state of cracks is also desirable.

KRKR 10-2012-008504010-2012-0085040 AA KRKR 10-2010-004867510-2010-0048675 AA KRKR 10-125502210-1255022 BB KRKR 10-2021-005466610-2021-0054666 AA

류승기, 문학룡-교량구조물의 구조적 변형을 측정하는 무선통신기반 변위센서모듈 개발-한국 ITS 학회 논문지-제9권 제5호, pp.87~95Ryu Seung-gi, Munhak-ryong - Develop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based displacement sensor module for measuring structural deformation of bridge structures - Journal of the Korean ITS Society - Vol. 9, No. 5, pp.87~95

본 개시는 구조물의 변위 발생을 검출하는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모니터링시스템을 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device for detecting displacement of a structure and a monitoring system applying the same.

본 개시는 외부전원 공급이 없이 작용하는 변위 검출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that operates without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a monitoring system applying the same.

또한, 본 개시는 외부 공급 전력이 없이 자가 전력에 의해 작용하는 무선 변위 검출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wireless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that operates by its own power without externally supplied power and a monitoring system applying the same.

본 개시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는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변위 발생 감시 대상 구조물의 제 1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베이스;a b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monitoring target structure;

상기 변위 검출 대상의 제 2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작동체;an actuat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의 움직임에 간섭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 그리고a power generation unit that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generates power by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and

상기 발전 유닛이 작동하였을 때 발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해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A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isplacement generating signal us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operates; may be provided.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신호 송신부는, 작동 시 변위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와 상기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signal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during operation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체는 상기 발전 유닛을 작동하는 작동 버튼이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발전 유닛을 고정하는 기판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actuator may be an operating button for opera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base may be a substrate for fix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변위 요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ingle-joint or multi-joint suppo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and the base.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신호 송신부는, 상기 경고신호 송신부는, 상기 발전 유닛의 작동에 의해 변위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선신호 송출부, 그리고 상기 발전 유닛으로 부터의 전력을 사용 전력으로 전환하는 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ignal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 line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And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converts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into used power.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송출부로 송출되는 신호에는 해당 변위 검출 장치의 고유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 신호 송신부는 무선 신호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radio signal transmission unit.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제 1 지지암과 제 2 지지암, 제 1 지지암과 제 2 지지암 사이의 볼 조인트와 상기 제 1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암은 상기 베이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암은 상기 제 1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arm and a second support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support arm and the second support arm, and a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 The first support arm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second support arm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xture.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변위 요소와 상기 작동체의 사이에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가압부가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essing unit having a single-joint or multi-joint structur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and the actuator.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사이의 볼 조인트와 상기 제 2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암은 상기 작동체에 근접하여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ㅠ상기 제 2 가압암은 상기 제 2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ssing unit includes a first pressing arm and a second pressing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pressing arm and the second pressing arm, and a second fixing table fix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 The first pressure arm is installed close to the actuator to be contactable and detachable, and the second pressure arm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ture.

본 개시에 따른 변위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은Displacement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ilver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다수 분산 설치되는 것으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변위 검출 장치; 그리고,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ich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s in a distributed manner; and,

상기 다수 분산된 변위 검출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서의 변위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수신기를 갖추는 관제 시스템;을 포함 수 있다.and a control system having a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s and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displacement in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

본 개시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기 가압부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사이의 볼 조인트와 상기 제 2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대를 구비하며,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first pressure arm and a second pressure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pressure arm and the second pressure arm, and a second fixture fix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상기 제 1 가압암은 상기 작동체에 근접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The first pressing arm is installed close to the actuator to be able to contact and separate, and

상기 제 2 가압암은 상기 제 2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pressure arm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holder.

본 개시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검출 장치는 다수의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대한 변위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s, and the control system may monitor displacement of the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s.

본 개시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위 검출 장치는 와이파이, 블루트스, 지그비 통신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may apply any one of Wi-Fi, Bluetooth, and ZigBee communication methods.

본 개시는 전원이 없이 작동하는 무전원 원격 변위 검출 장치를 제시한다. 변위 검출 장치는 변위 발생 시 변위 발생 부분에 의해 작동하는 소형 발전기를 적용한다. 소형 발전기에 의한 발생 전력은 변위 발생 신호의 트리거링 신호이며, 이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전송하는 회로부의 동작 전류로 이용된다. 즉, 변위발생은 소형 발전기를 작용시키고 여기에서 발생되는 전력은 상기 회로부를 동작시켜 변위 발생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무전원 원격 변위 검출 장치는 자가발전형으로서 독립 설치형 모듈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변위 검출 대상에 대한 설치 환경에 크게 제약되지 않는다.The present disclosure presents a non-powered remot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that operates without power.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pplies a small generator operated by a displacement generating part when displacement occurs. The power generated by the small generator is a triggering signal of the displacement generating signal, and is used as an operating current of a circuit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this signal. That is, displacement generation operates a small generator, and power generated therein operates the circuit unit to transmit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wired or wirelessly. This non-powered remot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is a self-powered type and has an independent installation module structure, and therefore is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for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것으로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는 변위 검출 장치의 개략적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 따른 변위 검출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변위 발생 검출 장치의 사용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 발생 장치를 예시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변위 발생 장치를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변위 검출 장치의 설치 예를 보인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개하여 보인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의 본체 내부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변위 검출 장치의 본체 내부 구조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기판-발전 유닛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기판-발전 유닛의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12은 도 10에 도시된 기판-발전 유닛의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ㅓ른 발전 유닛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고정 코일부(302)의 센터 코어(302c)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having a bas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use example of the displacement occurrenc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4 illustrates a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4 viewed from the bottom.
6 shows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S. 4 and 5 .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anded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body of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ody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y of a substrate-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of the substrate-power generation unit shown in FIG. 10;
12 is a bottom view of the assembly of the substrate-power generation unit shown in FIG. 10;
1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wer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front view of the center core 302c of the stationary coil unit 302 viewed from the front.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 개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 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 개념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 개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 지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inventive concept are preferably interpreted as being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inventive concept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The same sign means the same element throughout. Further, various elements and area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drawn. Accordingly, the inventive concept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s or spacings dra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개념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반대로 제 2 구성 요소는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converse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 개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 등의 표현은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expression “comprises” or “has”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 number,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s not precluded.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terms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what they mean in the context of the technology to which they relate, and in an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When an embodiment is otherwise embodied,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reverse to the order described.

본 개시는 건물, 교량, 암벽, 비계 등의 가설물물 등 다양한 위험 구조물에 설치되는 자가 발전형 변위 검출 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self-powered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installed in various dangerous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bridges, rock walls, and temporary structures such as scaffolding and a system applying the same.

도1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것으로 기본적인 구조를 가지는 변위 검출 장치(100)의 개략적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2는 상기 변위 검출 장치(100)의 내부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appearance of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having a basic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am.

도1을 참조하면, 변위 검출 장치(100)의 본체(110)에, 베젤(1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동작하는 작동체의 한 요소로서의 작동 버튼(10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변위 검출 장치(100)는 스위치와 유사한 외형 구조를 가지며, 베젤(111) 내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 버튼(101)이 움직였을 때 내장된 내부에 내장된 발전 유닛(300) 및 변위 발생에 따른 경고신호 송신부(103)가 작동된다.Referring to FIG. 1 , an operating button 101 as an element of an operating body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ezel 111 and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has an external structure similar to a switch, and when the operation button 101 installed in the bezel 111 moves,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built inside and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displacement occurrence The transmitter 103 is activated.

상기 작동 버튼(101)은 본체(110)의 베젤(111) 내에 마련되는 소전력 발전 유닛(3001, 도2)을 작동시킨다. 상기 베젤(111)은 발전 유닛(300) 및 이에 연결되는 신호 생성부(103, 도2)를 보호하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 된다. 상기 높이는 변위 검출 대상인 구조물(200)의 틈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ing button 101 operates the small power generation unit 3001 (FIG. 2) provided in the bezel 111 of the main body 110. The bezel 111 protects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and the signal generator 103 (FIG. 2) connected thereto and is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height may have a size that can fit into a gap of the structure 200 to be displacement detected.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100)에는 작동 버튼(101)에 의한 외력에 의해 소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300)은 전원부(102)에 연결되며, 전원부(102)는 변위 발생 경고 신호 송신부(103)에 연결되어 이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As shown in FIG. 2 , in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ower generation unit 300 generating low power by an external force by an operation button 101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102. The power supply unit 102 is connected to the displacement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103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its operation.

상기 작동 버튼(101)은 눌린 상태에서 원래 상태의 정상 위치로 튀어 나오거나, 아니면 그 반대로 튀어 나온 정상 위치에서 눌리면서 내장된 발전 유닛(300)이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가 작동 버튼(101)은 외부 간섭에 의해 운동하는 작동체 또는 피동체(被動體)로서, 변위 요소에 의한 외부 간섭에 의해 돌출된 정상 상태에서 눌리거나 또는 반대로 눌려있다가 베젤(111) 외부 드러나게 정상 상태로 복원되며, 외력의 형태에 따라 상기 동작이 1회 또는 수회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에 따르면, 발전 유닛(300)는 ?裏? 기간 동안 펄스 형태의 전력을 발생한다. The operation button 101 may protrude to a normal position in an original state in a pressed state, or vice versa, the built-in power generation unit 300 may be operated while being pressed in a protruded normal position. That is, the upper operation button 101 is an actuator or a driven body that moves by external interference, and is pressed in a normal state protruded by external interference by a displacement element or pressed on the contrary, and then the bezel 111 The normal state is restored to the outside, and the above operation may be repeated once or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type of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裏? It generates power in the form of a pulse during a period of time.

상기 전원부(102)는 펄스성 교류를 직류화하는 정류부, 전력을 손실 없이 저장하기 위한 캐패시터 또는 수퍼 캐패시터, 입력된 전력을 사용 전위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등을 갖춘 전원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 발생 경고 신호 송신부(103)는 변위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생성부(103a),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103b)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 생성부(103a)는 변위 발생 신호에 해당 변위 발생 장치의 고유 번호를 포함시킬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2 may include a power supply circuit equipped with a rectifier for converting pulsed alternating current into direct current, a capacitor or supercapacitor for storing power without loss, and a DC-DC converter for converting input power into a usable potential. . The displacement occurrence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 includes a signal generator 103a that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displacement has occurred and a signal transmitter 103b that transmits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The signal generating unit 103a may include a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in the displacement generating signal.

신호 생성부(103a)는 변위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변위 발생 신호를 ?P생하고, 신호 송출부(103b)는 상기 변위 발생 신호를 입력 받아 관리 주체인 관제 센터의 관리 서버(미도시)로 송출하며, 이때 유선 또는 안테나(103c)를 이용한 무선 송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ion unit 103a generates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indicating that displacement has occurred,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3b receives the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of the control center, which is the management subject, , In this case, a wired or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using an antenna 103c may be applied.

이러한 본 개시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100)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위의 값을 검출하여 송출하는 것이 아니고, 안전상 허용되는 임의의 임계 치 이상으로 변위가 발생되어 있을 때에 비정상적 변위 발생을 검출하여 송출한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detect and transmit a displacement value that continuously changes, but detects and transmits an abnormal displacement when the displacement exceeds a certain threshold value allowed for safety.

상기 작동 버튼(101)에 의해 작동하는 발전 유닛(300)은 전력 신호로서 변위 발생을 검출하고 그 전력을 전원부(102)로 전송하여 회로 구동에 필요한 전력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operated by the operation button 101 detects displacement as a power signal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so that it can be used as power necessary for circuit driving.

상기 신호 생성부(103a)는 전원부로부터 전력이 인가되었을 때, 변위 발생에 대응하는 임의의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며,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은 신호 송출부(103b)는 검출 변위 발생에 대응하여 변위발생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부호 형태의 신호를 발생하여 안테나(103c)를 통해 관리 주체의 서버로 전송한다.The signal generation unit 103a generates an arbitrary trigger signal corresponding to displacement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3b receiving the trigger signal receives displacement gen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isplacement. A signal in the form of a specific code corresponding to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of the management entity through the antenna 103c.

도3은 기본적인 형태를 가지는 도1의 변위 발생 검출 장치(100)가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수 있는 변위 검출 대상인 구조물(200)의 두 개의 제 1 변위요소(201) 및 제 2 변위요소(202)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FIG. 3 shows the displacement occurrence detection device 100 of FIG. 1 having a basic form in two first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second displacement elements 202 of a structure 200 that is a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in which relative displacement may occur. Illustrate the installed state.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두 변위, 즉 제 1 , 제 2 변위 요소(201)(202)의 사이에 본 개시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100)가 설치된다. 이때에 작동 버튼(101)이 완전히 눌리거나 적절한 탄력으로 눌려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두 변위 요소(201)(202) 간에 간격 변화가 생기면 변위 검출 장치(100)의 작동 버튼(101)이 눌리거나 아니면 눌린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이렇게 작동 버튼(101)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신호 발생 및 송출 과정을 통해서 원거리로 변위 발생 신호가 송출된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between two displacements, that is, first and second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is time, the operation button 101 may be completely pressed or pressed with appropriate elasticity. In this state, when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occurs, the operation button 101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may be pressed or released from the pressed state. When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button 101 occurs in this way,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signal generation and transmiss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도3에 예시된 변위 발생 장치(100)의 설치 구조는, 상대적인 변위가 발생할 수 있는 상기 구조물(200)의 두 변위 요소(201)(202)가 인접한 경우로서, 가까이 붙어 있는 건축물의 두 기둥, 또는 근접하여 일정한 갭을 유지하고 두 비계 파이프, 또는 교량 등에 적용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3 is a case where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of the structure 200 that can cause relative displacement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ternatively, it can be applied to two scaffolding pipes, bridges, etc., with a constant gap in close proximity.

상기 본체(110)는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설치 보조 구조물에 의해설치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w)을 두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두 변위 요소(201)(202)의 사이에 끼워 넣을 수 도 있다.The main body 110 is installed by a separate installation auxiliary structure as shown in FIG. 2, or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 as shown in FIG. ) can also be inserted between them.

그러나, 도3에 예시된 설치 구조와는 달리, 상기 두 변위 요소(201)(202) 간의 간격은 현장 마다 달리하며, 따라서 거리 조정, 각도 조정, 자세 조정 등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아암 장치 또는 힌지(경첩) 연결 구조에 의한 힘 전달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installation structure illustrated in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varies from site to site. A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by an arm device of a joint structure or a hinge (hing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applied.

도4는 두 변위 요소(201)(202)가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한 거리를 유지하는 구조물(2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간접적 힘 전달 구조가 추가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변위 발생 장치를 예시하며, 도5는 상기 변위 발생 장치(100)을 저면에서 바라 본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6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변위 검출 장치(100)의 설치 예를 보인다.4 illustrates a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an indirect force transmission structure is added so that the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can be installed in the structure 200 maintaining an irregular distance therebetwee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100 viewed from the bottom. And, FIG. 6 shows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shown in FIGS. 4 and 5 .

도4 및 도5에 도시된 변위 검출 장치(1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 구조물(200)에서 변위 요소(201)(202) 사이의 다양한 거리에 적응할 수 있는 개량된 구조를 가진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shown in FIGS. 4 and 5 has an improved structure that can adapt to various distances between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in the structure to be monitored 200 as shown in FIG. 6. have

상기 감시 대상 구조물(200)에 설치되는 변위 검출 장치(100)는 임계치 이상의 변위 발생을 검출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대적 변위 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감시 대상 구조물(200)의 두 변위 요소(201)(202)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부(120) 및 지지부(130)를 구비한다.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installed in the structure to be monitored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displacement above a threshold value and the structure to be monitored 200 capable of generating relative displacement by being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A pressing part 120 and a support part 130 are installed on the two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respectively.

상기 지지부(130)는 일 측의 변위 요소(202)에 대해 변위 검출 장치(100)의 본체를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고, 가압부(120)는 상기 지지부(130)에 의해 설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본체(110)에 대해 본체(110)의 작동 버튼(101)을 간섭 또는 가압하는 누름자(핑거 )를 타측의 변위 요소(201)에 대해 위치 고정하는 것이다.The support part 130 fixes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with respect to the displacement element 202 on one side, and the pressing part 120 has a main body whose installation position is fixed by the support part 130. A presser (finger) for interfering with or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101 of the main body 110 with respect to (110)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cement element 201 on the other side.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양측에 상기 가압부(pressing part, 120) 및 지지부(supporting part, 130)가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pressing part 120 and the supporting part 1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상기 지지부(130)는 본체(110)의 베젤(111)에 직접 연결되는 지지암(supporting arm, 132)과 이 지지암(132)을 일 측 변위 요소(202)에 고정하는 제 1 고정대(131)를 갖춘다. The support part 130 includes a supporting arm 132 directly connected to the bezel 111 of the body 110 and a first fixing table 131 fixing the support arm 132 to the displacement element 202 on one side. ) is equipped with

상기 지지암(132)은 중앙의 조인트(132c)와 그 양측의 제 1 지지암(132a) 및 제 2 지지암(132b)을 갖춘다. 여기에서, 제 2 지지암(132b)은 본체(110)의 베젤(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지지암(132a)은 제 1 고정대(131)에 고정된다. The support arm 132 has a central joint 132c and first support arms 132a and second support arms 132b on both sides thereof. Here, the second support arm 132b is fixed to the bezel 111 of the body 110, and the first support arm 132a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table 131.

상기 가압부(120) 역시 조인트(122c)를 중앙으로 하여, 그 양측에 제 1 가압암(122a) 과 제 2 가압암(122b)가 마련되며, 제 1 가압암(122a)을 타측 변위 요소(201)에 고정하는 제 2 고정대(121)를 갖춘다. 상기 제 2 가압암(122b)은 L 형으로 굽어진 형상을 가지며 그 단부에는 변위 검출 장치(100)의 버튼(101)를 가압하는 가압 단부 또는 핑거(122d) 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 핑거(122d)의 작동 방향은 작동 버튼(101)의 동작 방향과 같다.The pressing part 120 also has a joint 122c as a center, and a first pressing arm 122a and a second pressing arm 122b are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first pressing arm 122a is a displacement element on the other side ( 201) is equipped with a second fixing table 121. The second pressing arm 122b has an L-shaped bent shape, and a pressing end or finger 122d for pressing the button 101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at an end thereof.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finger 122d is the same as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button 101 .

상기 양측의 조인트(122c, 132c)는 지지암(132)과 가압부(120)의 전체 길이조정 또는 각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볼 죠인트(122c, 132c)는 공지의 일반적 구조에서와 같이 회동형 볼(ball, J1b, J2b), 상기 볼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일 측이 개방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분화된 (쪼개어진) 둥근 보울(bowl) 형태의 소켓(socket, J1s, J2s) 및 소켓에 대해 볼을 고정하는 락킹 볼트 또는 클램핑 볼트(J1c)를 갖춘다.The joints 122c and 132c on both sides are applied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r angle of the support arm 132 and the pressing part 120. These ball joints 122c and 132c are pivotal balls (ball, J1b, J2b), as in a known general structure, one side into which the ball is rotatably inserted is open and bisected (sp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a round bowl-shaped socket (socket, J1s, J2s) and a locking bolt or clamping bolt (J1c) that fixes the ball to the socket.

상기 가압부(120)와 지지부(130)를 변위 요소(201)(202)에 고정하는 제 1 , 제 2 고정대(121)(131)에는 각각의 해당 변위 요소(201)(202)에 고정되는 체결 부품 장착부, 예를 들어 나사를 끼울 수 있는 플랜지(121f, 131f)가 마련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 요소(201)(202)가 철 등의 자성체일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본체(110) 및 그 양측의 가압부(120) 및 지지부(130)의 저면에는 고정용 영구 자석(110m, 120m, 130m)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121 and 131 fixing the pressing part 120 and the support part 130 to the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respectively. A fastening part mounting portion, for example, a screwable flange 121f, 131f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in preparation for the case where the displacement elements 201 and 202 are magnetic materials such as ir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pressing part 120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support part 130 In the fixed permanent magnet (110m, 120m, 130m) can be installed.

위와 같은 설치 구조에 따라, 제 1 변위 요소(201)와 제 2 변위 요소(202)의 사이에 변위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했을 때 가압 핑거(122d)가 작동 버튼(101)을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변위 발생 신호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된다.According to the above installation structure, when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201 and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202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 pressing finger 122d presses the operation button 101, Therefore, the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wirelessly or wired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도7은 변위 검출 장치(100) 본체(110)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110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도7은 살펴보면, 발전 유닛(300)을 지지하는 베이스의 한 요소로서 작용하는 본체(110)의 하부 케이스(112)는 대략 사각형의 바닥부(112b)과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벽체(112a)를 가지며, 바닥부(112b)의 중앙부에 작동 버튼(101)의 플런저(plunger, 101a)의 지지하면서 수직 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시(guide bush, 112c)가 형성된다.Looking at Figure 7, the lower case 112 of the main body 110, which acts as one element of the base suppor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ttom portion 112b and a wall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its edge. (112a), a guide bush (guide bush, 112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12b) to support the plunger (plunger, 101a) of the operation button (101) while supporting vertical movement.

상기 내부 케이스(112) 위에는 발전 유닛(300)을 지지하는 베이스의 한 요소인 기판(400), 작동 버튼(101) 및 발전 유닛(300) 등이 하나로 결합된 조립체가 위치하고, 그 위에는 상기 조립체를 실링하는 실링부(115)가 마련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위에는 커버 형태의 베젤(111)가 위치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112)와 함께 발전 유닛(300), 경고신호 송신부(103)을 수용하는 박스 또는 인크로져로서의 기능을 갖는다.On the inner case 112, an assembly in which the substrate 400, which is one element of the base suppor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the operation button 101, and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are combined into one is positioned, and thereon the assembly A sealing portion 115 for sealing is provided. A bezel 111 in the form of a cover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case 112, and functions as a box or enclosure for accommoda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and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103 together with the lower case 112. .

본 개시에 따른 변위 검출 장치는 측 대상의 제 1 변위요소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변위 측정 대상의 제 2 변위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작동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의 움직임에 간섭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 그리고 상기 발전 유닛이 작동하였을 때 발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해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신부를 구비한다.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ase corresponding to a first displacement element of a side object, an actuator corresponding to a second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measurement target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a position fixed relative to the base. It is provided with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power by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and a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us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operated.

위에서 설명된 구체적인 구조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발전 유닛(300)이 일측에 장착되는 기판(400) 또는 이를 지지하는 케이스(112)가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체는 상기 버튼(101)을 포함한다. 이에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pecific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base may include the substrate 400 on which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is mounted on one side or the case 112 supporting it, and the operating body includes the button 101. In this case, the base may include a case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상기 작동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압부(120)가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The operating body may include the pressing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support portion 130 may be included in the base.

도8은 변위 검출 장치(100)의 본체(110)의 내부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이며, 도9는 변위 검출 장치(100)의 내부를 보이는 평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a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0.

본체(110)의 내부 케이스(112)는 대략 사각 박스형으로서, 바닥부(112b)과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벽체(112a)를 가지며, 바닥부(112b)의 중앙부에 작동 버튼(101)의 작동간 또는 플런저(plunger, 101a)의 지지하면서 수직 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시(guide bush, 112c)가 형성된다.The inner case 112 of the main body 110 has a substantially square box shape, has a bottom portion 112b and a wall 112a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edge thereof, and has an operation button 101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112b. A guide bush (guide bush, 112c) is formed to support the vertical movement while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 or the plunger (101a).

가이드 부시(112c)을 중심으로 일 측에는 경고신호 송신부(103))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발전 유닛(300)이 설치되는데, 이들은 하나의 기판(400)에 의해 지지된다.A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bush 112c and a power generation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which is supported by one substrate 400.

상기 발전 유닛(300)은 고정 코일부(302)와 이에 대응하는 무빙 마그네트부(304), 그리고 상기 무빙 마그네트부(304)가 장착되는 “ㄷ” 형 회동 레버(303), 그리고 상기 회동 레버(303)의 전단부 중앙에 마련되어 상기 작동 버튼(101)의 플런저(101a)에 의해 가압되는 작동 단부(301)를 갖춘다.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includes a fixed coil unit 302, a moving magnet unit 304 corresponding thereto, a “c”-shaped rotation lever 303 to which the moving magnet unit 304 is mounted, and the rotation lever ( 30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and has an operating end 301 pressed by the plunger 101a of the operating button 101.

상기 작동 단부(301)는 상기 가이드 부시(112c)의 일 측에 형성된 수직의 안내홈에 끼워지며, 이로써 상기 플런저(101a)의 하단에 눌리게 된다. 이때에 가이드 부시(112c)의 하부에는 압축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플런저(101a)에 의해 눌리는 상기 작동 단부(301)는 그 하부의 압축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다.The operating end 301 is inserted into a vertical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bush 112c, and is thereby pressed agains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101a. At this time, a compression spring (not shown) is installed below the guide bush 112c, and thus the operating end 301 pressed by the plunger 101a is elastically biased by the compression spring below it.

상기 기판(400)에는 도2의 설명에서 언급된 전원부(102)와 신호 생성부(103a), 신호 송출부(103b) 및 안테나(103c) 등을 포함하는 경고 신호 송신부(103)가 마련된다.The board 400 is provided with a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 including the power supply unit 102, signal generator 103a, signal transmitter 103b, and antenna 103c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2 .

도10은 기판(400)과 이에 장착된 발전 유닛(300)의 발췌 사시도이며, 도11은 정면도, 그리도 도12은 저면도이다.Fig. 10 is an excerpted perspective view of a substrate 400 and a power generation unit 300 mounted thereon, Fig. 11 is a front view, and Fig. 12 is a bottom view.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플래폼의 역할을 하는 기판(400)은 경고신호 송신부(103)가 형성되는 부분과 발전 유닛(300)이 장착되는 부분을 가진다.10 to 12, the substrate 400 serving as a platform has a portion where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 is formed and a portion where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is mounted.

발전 유닛(300)의 작동 단부(301)의 하부에는 압축 스프링(305)이 배치되어 작동 단부(301)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따라서 고정 코일부(302)의 양측에 위치하는 양 아암을 갖춘 회동 레버(303)는 상방으로 힘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 단부(301)에 위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회동 레버(303)는 압축 스프링(305)의 힘을 극복하고 하향하며, 이때에 회동 레버(303)에 장착되어 있는 무빙 마그네트부(304)가 움직이면서 이에 대면하고 있는 고정 코일부(302)에 유도 전력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생성된 유도 전력은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는 펄스성 전력으로서 상기 경고신호 송신부(103)의 전원부(102)로 공급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흐름에 의해 변위발생경보가 신호 송출부(103b)를 통해 송신된다.A compression spring 305 is disposed under the operating end 301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to elastically support the operating end 301 upward, and thus both arm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coil unit 302. The rotation lever 303 with is being forced upward. In this state,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end 301 from above, the pivoting lever 303 overcomes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305 and moves downward. ) generates induced power in the stationary coil unit 302 facing it while moving. The induced power generated here is pulsed pow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and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2 of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 and then the displacement occurrence alarm is signaled to the signal transmitter 103b by the flow as described above. ) is sent via

도13은 상기 발전 유닛(300)에서, 고정 코일부(302)와 무빙 마그네트부(304)를 분리하여 보인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고정 코일부(302)의 고정 요크(302y)의 양측에 상기 회전핀(303p)이 결합되는 고정홈(302)이 형성되어 있다.1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coil unit 302 and a moving magnet unit 304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3 , fixing grooves 302 to which the rotation pins 303p are coupl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yoke 302y of the fixed coil unit 302 .

그리고, 무빙 마그네트부(304)의 머리 부분에는 영구자석(304m)가 양측(도면에서 상하)의 무빙 요크(304y)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And, the head of the moving magnet part 304 is protected by the permanent magnet 304m by moving yokes 304y on both sides (upper and lower in the drawing).

도14는 상기 고정 코일부(302)의 센터 코어(302c)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크(302y)의 중심에 전술한 센터 코어(302c)가 마련되고, 센터 코어(302c)는 코일이 감겨있는 보빈(302b)을 관통한다. 상기 센터 코어(302c)의 선단부는 그 상하의 고정 요크 연장부(312)과 상기 무빙 마그네트부(304)의 고자력 영구자석(304m)을 가로지르는 자기 경로를 형성한다.Fig. 14 is a front view of the center core 302c of the stationary coil unit 302 as viewed from the front. As shown, the above-described center core 302c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yoke 302y, and the center core 302c passes through the bobbin 302b around which the coil is wound. The front end of the center core 302c forms a magnetic path that crosses the upper and lower fixed yoke extensions 312 and the high magnetic force permanent magnet 304m of the moving magnet part 304.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발전 유닛(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변위 발생 경고 신호 송신부(103)에서 상기 신호 송출부(103b)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의 다양한 공지 통신 방식 중의 어느 하나가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송출부는 변위 발생 장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할 때에 고유 정보를 같이 송출함으로써 변위가 발생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In the displacement generation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103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3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3b uses any one of various known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Wi-Fi, ZigBee, etc. can be applied. Also,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ransmits the unique information about the displacement generating device together with transmitting the displacement generating signal, so that the location where the displacement has occurred can be specifi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변위 검출 장치는 무선으로 작동하되, 별도의 외부 전원이 없이 변위 발생에 의한 외력에 의해 전력을 발생한다. 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은 실질적으로 1차적으로 변위 발생을 검출하는 기계-전기적 센서에 해당한다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발생된 전력은 변위 발생에 대한 초기 신호이며, 나아가서는 이 신호에 의해 변위 발생을 알리는 경고신호 송신부의 구동 전력으로 이용되며, 경고신호 송신부는 변위 발생 경고 신호를 관제 센타 등으로 전송한다.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perates wirelessly, but generates power by an external force due to displacement without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The power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this power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a mechanical-electrical sensor that primarily detects displacement, and the power generated here is an initial signal for displacement, and furthermore, the displacement is It is used as the driving power of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notifying the occurrence, and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displacement occurrence warning signal to the control center.

상기 변위 검출 장치는 다수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는데, 특정 구조물에서변위 발생에 의해 발생된 변위 기반 전력은 변위 발생 시그널로 인식되고, 이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경고신호 송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변위 발생을 송출하여 변위 발생 경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춘 관제 시스템에 통보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ructures. Displacement-based power generated by displacement in a specific structure is recognized as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driven by this power displaces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 occurrence can be transmitted to notify a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a receiver that receives displacement occurrence warning signals.

이러한 본 발명의 변위 검출 장치는 소형 모듈화가 가능하고 별도의 전원이필요 없으므로, 하나의 구조물에서 변위 발생이 우려되거나 이의 모니터링 되는 요소들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제센터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변위 발생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Since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on elements that are concerned about displacement or monitored in a structure, and the control center detects it and detects displacement. Be aware of it and take action according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범적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 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refore, changes in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deviate from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변위 검출 장치
101: 작동 버튼
101a: 플런저
102: 전원부
103: (유무선 변위 발생) 경고신호 송신부
103a: 신호 생성부
103b: 신호 송출부
103c: 안테나
110: 본체
111: 베젤
112: 하부 케이스
112a: 벽체
112b: 바닥부
112c: 가이드 부시
115: 실링부
120: 가압부
121: 제 2 고정대
122a: 제 1 가압암
122b: 제 2 가압암
122c: 조인트
122d: 핑거
130: 지지부
131: 제 1 고정대
132a: 제 1 지지암
132b: 제 2 지지암
132c: 조인트
132: 지지암
200: 구조물
201: 제 1 변위 요소
202: 제 2 변위 요소
300: 발전 유닛
400: 기판 (베이스)
100: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101: operation button
101a: plunger
102: power supply
103: (wired/wireless displacement occurs) warning signal transmitter
103a: signal generator
103b: signal transmission unit
103c: antenna
110: body
111: bezel
112: lower case
112a: wall
112b: bottom part
112c: guide bush
115: sealing part
120: pressing part
121: second fixture
122a: first pressing arm
122b: second pressure arm
122c: joint
122d: finger
130: support
131: first fixture
132a: first support arm
132b: second support arm
132c: joint
132: support arm
200: structure
201: first displacement element
202: second displacement element
300: power generation unit
400: substrate (base)

Claims (13)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의 제 1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베이스;
상기 변위 검출 대상의 제 2 변위 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 운동이 가능한 작동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의 움직임에 간섭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발전 유닛; 그리고
상기 발전 유닛이 작동하였을 때 발전 유닛으로부터의 전력을 이용해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경고신호 송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체는 상기 발전 유닛을 작동하는 작동 버튼이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발전 유닛을 고정하는 기판인, 변위 검출 장치.
a b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
an actuat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and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base;
a power generation unit that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and generates power by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and
And a warning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using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when the power generation unit is operated.
The operating body is an operating button operat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base is a substrate for fixing the power genera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위 요소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 single-joint or multi-joint structure between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and the 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신호 송신부:는
상기 발전 유닛의 작동에 의해 변위 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변위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 그리고
상기 발전 유닛으로 부터의 전력을 사용 전력으로 전환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rning signal transmitter:
a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displacement generation signal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displacement generating signal; and
A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that converts power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into used pow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출부로 송출되는 신호에는 해당 변위 검출 장치의 고유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 송신부는 무선 신호 송출부를 포함하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warning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radio signal transmission unit,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 1 지지암과 제 2 지지암, 제 1 지지암과 제 2 지지암 사이의 볼 조인트와 상기 제 1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지지암은 상기 베이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암은 상기 제 1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upport unit includes a first support arm and a second support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support arm and the second support arm, and a first fixture fixed to the first displacement element,
The first support arm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support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ixing table.
제 1 항, 또는 제3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위 요소와 상기 작동체의 사이에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가압부가 마련되는, 변위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any one of claims 3 to 7,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single-joint or multi-joint pres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and the actu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사이의 볼 조인트와 상기 제 2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암은 상기 작동체에 근접하여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암은 상기 제 2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변위 검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first pressure arm and a second pressure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pressure arm and the second pressure arm, and a second fixture fix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The first pressing arm is installed close to the actuator to be in contact with and detachable from, and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pressure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table.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다수 분산 설치되는 것으로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변위 검출 장치; 그리고,
상기 다수 분산된 변위 검출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서의 변위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수신부를 갖추는 관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변위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7, which is installed in a large number and distributed to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 and,
A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s and monitor the occurrence of displacement in the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위 요소와 상기 작동체의 사이에 단관절 또는 다관절 구조의 가압부가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제 1 가압암과 제 2 가압암 사이의 볼 조인트, 그리고 상기 제 2 변위 요소에 고정되는 제 2 고정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암은 상기 작동체에 근접하여 접촉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가압암은 상기 제 2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물의 변위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A pressing part having a single-joint or multi-joint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and the actuator,
The pressure unit includes a first pressure arm and a second pressure arm, a ball joint between the first pressure arm and the second pressure arm, and a second fixture fixed to the second displacement element,
The first pressing arm is installed close to the actuator to be in contact with and detachable from, and
The second pressure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ixture, the displacement occurrence monitoring system of the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 장치는 다수의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관제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변위 검출 대상 구조물에 대한 변위 발생을 모니터링하는, 구조물의 변위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s,
The control system monitors the occurrence of displacement for the plurality of displacement detection target structures, the displacement occurrence monitoring system of the struc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 장치는 와이파이, 블루트스, 지그비 통신 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구조물의 변위 발생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applies any one of Wi-Fi, Bluetooth, and Zigbee communication methods, a displacement occurrence monitoring system of a structure.
KR1020220044119A 2022-04-08 2022-04-08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KR102542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19A KR102542603B1 (en) 2022-04-08 2022-04-08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KR1020220092641A KR102670521B1 (en) 2022-07-26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119A KR102542603B1 (en) 2022-04-08 2022-04-08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641A Division KR102670521B1 (en) 2022-07-26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603B1 true KR102542603B1 (en) 2023-06-14

Family

ID=8674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119A KR102542603B1 (en) 2022-04-08 2022-04-08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6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9714A (en) * 1986-06-19 1987-12-26 Mitsutoyo Corp Measuring instrument with generating function
KR20050069222A (en) * 2003-12-31 2005-07-05 조선영 3 axial displacement measurement apparatus for pipe and monitoring system
KR20100048675A (en) 2008-10-31 2010-05-11 현대건설주식회사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bridge displacement by measure of strain
KR20120085040A (en) 2011-01-21 2012-07-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KR101255022B1 (en) 2013-01-24 2013-04-23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Detecting method of building crack using point group
KR20210054666A (en) 2019-11-06 2021-05-14 (주)대영구조기술단 Crack Detec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9714A (en) * 1986-06-19 1987-12-26 Mitsutoyo Corp Measuring instrument with generating function
KR20050069222A (en) * 2003-12-31 2005-07-05 조선영 3 axial displacement measurement apparatus for pipe and monitoring system
KR20100048675A (en) 2008-10-31 2010-05-11 현대건설주식회사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bridge displacement by measure of strain
KR20120085040A (en) 2011-01-21 2012-07-3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isplacement detection device
KR101255022B1 (en) 2013-01-24 2013-04-23 주식회사 금강이엔지 Detecting method of building crack using point group
KR20210054666A (en) 2019-11-06 2021-05-14 (주)대영구조기술단 Crack Detec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류승기, 문학룡-교량구조물의 구조적 변형을 측정하는 무선통신기반 변위센서모듈 개발-한국 ITS 학회 논문지-제9권 제5호, pp.87~9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919A (en)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2044B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RU2537993C2 (en) Safety device and pipes monitoring system
US96294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false negative tamper detection
KR20150103261A (en) An improved load-indicating device
DE502004010709D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OF A DATA CONNECTION BETWEEN INTELLIGENT DEVICES
KR102542603B1 (en)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CN108098732B (en) Automatic maintenance system for server
KR102670521B1 (en) structural displacement detect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adopting the device
CN103456528B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and the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switching device
CN107843777B (en) Wire spring type protection pressing plate on-off state detection device and protection pressing plate with same
JP7136621B2 (en) water spray head
WO2004087440A1 (en) Sensor system for tire
US11441630B2 (en) Stop buffer
US20060239603A1 (en) Distributed sensor system coupled with a plurality of secondary sensors
WO2014024559A1 (en) Vibration detecting apparatus
CN209342041U (en) Through-hole station detection device
KR20160027327A (en) Device for detecting lens position of camera module
JP6582625B2 (en) Status monitoring method, status monitoring program, and status monitoring device
KR20190043370A (en) Potable rail neutral temperature detection apparatus
CN11424249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key device
KR101709913B1 (en) A Device for Detecting Malfunction Using Automatic Lighting on Malfunctioning
WO2021100870A1 (en) Resin container and monitoring device
US20190368632A1 (en) Event monitoring solenoid actuator, system, and method
KR102341099B1 (en) Monitoring system for lines
JP4914238B2 (en) Storage state detection device and storage state de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