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048B1 -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 Google Patents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048B1
KR102542048B1 KR1020210068461A KR20210068461A KR102542048B1 KR 102542048 B1 KR102542048 B1 KR 102542048B1 KR 1020210068461 A KR1020210068461 A KR 1020210068461A KR 20210068461 A KR20210068461 A KR 20210068461A KR 102542048 B1 KR102542048 B1 KR 10254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inger
curved
oral care
ca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0346A (en
Inventor
설재호
Original Assignee
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호 filed Critical 설재호
Priority to KR102021006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48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taining only one dose of substance, e.g. single-use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아영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10),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20), 및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includes a thimble-shaped head portion 10 with one end open so as to be inserted into a finger, and a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It includes a texture part 20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and a curved part 3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ead part 10 and curved such that the end faces the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faces. .

Description

영아용 구강관리기{ORAL CARE IMPLEMENT FOR BABY}Oral care device for infants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본 발명은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에 끼워서 영아의 구강을 마사지하고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는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finger to massage the oral cavity of an infant and remove residues in the oral cavity.

치태 제거 방법 중 하나인 칫솔질은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 후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칫솔은 치은의 맛사지, 구강 내의 불쾌감 제거, 심리적 심미적 효과, 구취제거, 국소적인 혈액공급의 증진, 치은 상피의 각화 증가, 치은의 생리적 형태의 수복과 유지, 세포의 대사율 증진, 치은 세포의 성숙 촉진 등의 다양한 부수적인 기능을 한다. 효과적인 치태 제거를 위해 칫솔질 방법, 치약의 성분, 칫솔의 재료 및 형태, 칫솔모의 강도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결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었다.Tooth brushing, one of the plaque removal methods, is recommended as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al method for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and maintaining the condition after treatment. The toothbrush massages the gingiva, removes discomfort in the mouth, has psychological and aesthetic effects, removes bad breath, enhances local blood supply, increases keratinization of the gingival epithelium, restores and maintains the physiological shape of the gingiva, increases the metabolic rate of cells, and promotes the maturation of gingival cells. It performs various auxiliary functions such as In order to effectively remove plaqu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brushing methods, ingredients of toothpaste, materials and shapes of toothbrushes, and strength of bristles, and as a result,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치아가 많이 없는 유아를 위해서는 칫솔모 대신 스펀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유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는 유아기부터 사용하게 되므로, 치아가 없는 영아의 경우에는 칫솔을 이용한 구강 관리가 불가능하고, 깨끗한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를 사용하여 수유 후 잇몸, 혀 등에 낀 잔여물을 제거한다.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documents below, a sponge may be used instead of a toothbrush bristle for infants without many teeth. In general, toothbrushes are used from infancy, when baby teeth begin to erupt, so oral care using a toothbrush is not possible for infants without teeth. Remove

그러나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를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으로 구강 내를 훑어 내기 때문에, 충분하게 잔여물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구강 내 세균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맹출하는 치아에 충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영아의 구강 내를 직접 느낄 수 없으므로, 제대로 구강을 관리할 수도 없다.However, when gauze or mouthwash tissue is used, since the oral cavity is mechanically swept, the residue cannot be sufficiently removed. Therefore, oral cavity bacteria may not be properly managed, and tooth decay may occur in the erupting tooth. In addition, since the guardian cannot directly feel the inside of the infant's oral cavity, he or she cannot properly manage the oral cavity.

이에 영아용 구강관리를 위한 종래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problems such as conventional gauze or oral cleaning tissue for oral care for infants.

KRKR 20-2013-000415620-2013-0004156 U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로 형성되어 보호자가 손가락에 낄 수 있고, 영아의 구강에 접촉되도록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일단이 향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만곡된 영아용 구강관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mble with one end open so that the guardian can put it on the finger, and a number of projections on the surface to contact the oral cavity of the infant It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is to provide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curved so as to 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one end fa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포함한다.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mble-shaped head portion with one end open so as to be fitted to a finger; a textur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a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ead portion and having an end portion bent toward a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fa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may have elasticity so as to adhere to the fing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릴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head portion may be peeled off from the finger and rol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의 표면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압력이 가해질 때에 파열되는 치약수용막;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dge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the toothpaste accommodating film that rupture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toothpas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단이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in the second direction toward which one end of the head portion is directed, the curved portion As the distal end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the head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fing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 of the curved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are connected, a clos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urved part and the head, and the toothpaste is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ated lin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are connected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력돌출부; 및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의 중심부에 탄성돌출부의 말단이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elasticity; and a shock absor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end of the elastic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enter of one surface, an end of the curved part connected to an edge, and having elastic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ated lin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an edg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an end of the curved portion are connected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있어서, 다수 개가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배열되어, 상기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ar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uni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손가락에 끼고, 다수의 표면 돌기를 접촉시켜 영아의 구강 내 잔여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촉감으로 영아의 구강을 느끼면서 구강을 마사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can easily remove residues in the infant's oral cavity by wearing it on a finger and contacting a plurality of surface protrusions, and can massage the oral cavity while feeling the infant's oral cavity with the touch of a finger.

또한, 만곡된 타단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용이하게 손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때 내면과 외면이 뒤집히므로 외면에 묻어있는 구강 내 잔여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rved other e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nger by pulling or pushing, and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turned over, the remaining oral cavity on the outer surface can be neatly t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long line AA′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A-A' 라인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영 구강관리기는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10),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20), 및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infant oral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mble-shaped head portion 10 with one end open to fit a finger, and a number of It includes a texture part 20 having protrusions arranged thereon, and a curved part 3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ead part 10 and having the end curv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faces.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서 영아의 구강을 마사지하고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는 영아용 구강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영아의 경우 수유 후 잇몸, 혀 등에 잔여물이 남지만, 일반적으로 칫솔은 유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는 유아기부터 사용하게 되므로, 치아가 없는 유아의 구강 관리 도구로 활용하기 곤란하고, 거즈 또는 구강청결 티슈는 구강 내 잔여물의 제거 내지 구강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는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which can massage an infant's oral cavity and remove residues in the oral cavity by inserting it on a finger. In the case of infants, residues remain on the gums, tongue, etc. after feeding, but toothbrushes are generally used from infancy, when baby teeth begin to erupt, so it is difficult to use them as an oral care tool for infants without teeth, and gauze or mouthwash tissues a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val of residues in the oral cavity or oral care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헤드부(10), 텍스처부(20), 및 만곡부(3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10, a texture part 20, and a curved part 30.

헤드부(10)는 일단이 개방되고 그 반대쪽 타단이 폐쇄된 골무 형태로서, 영아의 보호자가 자신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헤드부(10)의 일단으로 삽입되는 보호자의 손가락은 집게손가락(검지)이 적합하지만, 반드시 집게손가락에 한정되어 헤드부(10)의 크기가 정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운데손가락, 약손가락, 새끼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도록 헤드부(10)의 크기가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헤드부(10)는 보호자의 손가락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head part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mble with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so that the guardian of the infant can insert his/her finger. The index finger (index finger) is suitable for the guardian's finger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head portion 10, but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ndex finger, the middle finger, the ring finger, and the little finger. The size of the head portion 10 may be determined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head portion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ardian's finger. As an example, it may be made of silicon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텍스처부(20)는 헤드부(1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되어 형성된다. 텍스처부(20)는 헤드부(10)의 표면 전체 또는 일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텍스처부(20)가 형성되는 영역은 손가락의 끝마디 바닥면에 대응되는 위치가 적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텍스처부(20)는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므로, 영아의 구강 내, 예를 들어 잇몸이나 혀 등에 접촉되어 기계적으로 그곳에 낀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잔여물은 수유 후에 남은 잔존물 등 구강 내 남아있는 모든 이물을 포함한다. 또한, 텍스처부(20)는 구강 내 잔여물 제거 외에, 구강을 마사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구강 내 마사지는 텍스처부(20) 뿐 아니라, 헤드부(10)의 표면으로도 가능하다. The texture part 20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 At least one texture part 20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r one area of the head part 10 . The area where the texture part 20 is formed is suitable fo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of the fing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Since the texture part 2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it can contact the infant's oral cavity, for example, the gum or tongue, and mechanically remove residues there. Residue includes all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in the oral cavity, such as remnants left after feeding. In addition, the texture unit 20 may be used for massaging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o removing residues in the oral cavity. At this time, intraoral massage can be performed not only on the texture part 20 but also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

텍스처부(20)를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호자가 손가락을 펴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쉽게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다수의 돌기가 손가락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텍스처부(20)가 손가락의 끝마디 바닥면 말단부에 하나, 그 끝마디 바닥면 양측부에 하나씩 배치되고, 말단부에는 손가락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부에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의 돌기가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말단부의 텍스처부(20)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 양측부의 텍스처부(20)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거나 손가락이 회전 운동할 때에 각각 구강 내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ing the texture part 20 are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In this case, the guardian can easily remove the residue while spreading the finger and reciprocat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ger. For example, one texture part 20 is disposed on the distal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and one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joint, and a plurality of texture part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ger at the distal end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on both sides. Protrusions may be arranged. In this case, when the texture part 20 at the distal end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the texture part 20 on both sides reciproc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or when the finger rotates, respectively, in the oral cavity. Residue can be removed.

여기서, 돌기는 헤드부(10)의 표면에 울퉁불퉁하게 거친 면을 제공하는데, 그 말단은 마찰에 의해 영아의 구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그 말단이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다만, 돌기의 말단 형상이 반드시 라운드진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뿔, 원뿔, 다면체, 기둥 및 이들의 절두체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provides a bumpy rough surface on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and its end is preferably formed in a convexly rounded shap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is directed so as not to damage the oral cavity of the infant by friction. . However, the shape of the end of the protrus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round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triangular pyramid, a cone, a polyhedron, a pillar, and a frustum thereof.

만곡부(30)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헤드부(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그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방향의 반대쪽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헤드부(10)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다가 그 역방향으로 뒤집힌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만곡부(30)의 말단은 제1 방향을 향하고, 그 만곡된 중심부는 제2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The curved part 30 extends from one end of the head part 10 in which an opening into which a finger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end is formed in a curved shape such that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faces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t extends from the edge of one end of the head part 10 along the second direction,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is formed in an inverted form in the opposite direction. Thus,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face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urved center portion is formed convexly in the second direction.

만곡부(30)는 헤드부(10)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The curved portion 3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d portion 10 and may have elasticity.

이러한 만곡부(30)에 의해 영아의 보호자는 쉽게 헤드부(10)를 손가락에 끼우고 벗길 수 있으며, 간단하고 위생적으로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에 묻은 잔여물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By such a curved part 30, the guardian of the infant can easily put the head part 10 on and take off the finger, and can simply and hygienically handle the residue on the head part 10 and/or the texture part 20. It can,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치약(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치약(40)은 영아의 구강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약으로서, 치아를 닦는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치약(40)은 헤드부(1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0)의 표면에 형성된 텍스처부(20)에 도포되어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oothpaste 40 (see FIG. 2). Toothpaste 40 is a medicine used for oral care of infants, and is not limited to brushing teeth. This toothpaste 40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 Here, it may be applied to the texture part 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치약(40)은 헤드부(10)의 표면에 기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다만, 필요한 경우 보호자가 치약(40)을 헤드부(10)의 표면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a one-time use, and at this time, the toothpaste 40 may be pre-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unit 10 . However, if necessary, the guardian may apply toothpaste 40 to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 use it.

또한, 헤드부(10)의 두께 내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그 수용공간에 치약(40)이 수용되었다가,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의 외측과 그 공간이 연통되도록 파열되면서 치약(40)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파열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의 헤드부(10) 표면에 절취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toothpaste 4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the outside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space communicate Toothpaste 40 may be applied while bursting as much as possible. At this time, to facilitate rupture, a perforation lin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ace.

또한, 헤드부(10)의 표면에 치약(40)을 수용할 수 있는 치약수용막(45)이 마련될 수 있다. 치약수용막(45)은 가장자리가 헤드부(10)의 표면에 결합되되, 그 중심부는 헤드부(10)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치약수용막(45)의 내면과 헤드부(10)의 표면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그 수용공간의 내부에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약수용막(45)은 압력이 가해질 때에 파열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손가락을 낀 채로 헤드부(10)의 일단을 잡아당길 때에 압력이 치약수용막(45)에 가해지므로, 치약수용막(45)이 파열되면서 치약(40)이 헤드부(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면서 그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약수용막(45)의 파열이 용이하도록, 치약수용막(45) 표면에 절취선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치약수용막(45)의 가장자리를 잡아당겨 벗겨냄으로써 파열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toothpaste 40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has edge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and its center porti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Thus,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oothpaste accommodating film 45 and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toothpaste 40 can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Here,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ruptures when pressure is applied. Therefore, since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when the guardian presses with a finger or pulls one end of the head portion 10 while holding the finger,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is ruptured and the toothpaste 40 is removed from the head. I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art 10 while flowing along it. Here, a perforated line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so that the rupture of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is easy. In addition, the protector may be ruptured by pulling the edge of the toothpaste receiving film 45 and peeling it off.

위의 경우에, 헤드부(10)를 따라 흐르는 치약(40)은 헤드부(10)의 일단에 형성된 만곡부(30)에 고이게 되므로, 보호자의 손가락에 묻지 않게 된다.In the above case, the toothpaste 40 flowing along the head portion 10 is pooled in the curved portion 30 formed at one end of the head portion 10, so that it does not get on the guardian's fingers.

이하에서는 보호자의 손가락에서 헤드부(10)가 벗겨지고, 그 손가락에 씌워지는 내용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head unit 10 being removed from the guardian's finger and covered with the finger.

도 3을 참고로, 제1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는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릴 수 있다. 여지서, 제1 방향은 헤드부(10)의 타단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외력(F)은, 만곡부(30)의 만곡된 중심부를 밀어올리거나, 만곡부(30)의 말단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만곡부(30)에 가해질 수 있다. 일례로, 오른손의 집게손가락에 헤드부(10)가 씌워진 경우,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동그랗게 말아서 만곡부(30)의 중심부를 밀어올리거나, 또는 왼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만곡부(30)의 말단을 잡아당겨 헤드부(10)를 벗겨낼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가 말리면서 헤드부(10)의 내면과 외면이 뒤집어지고, 이로 인해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에 묻은 잔여물이 자연스럽게 헤드부(10)의 내부에 봉입되므로, 잔여물의 처리가 용이해진다.Referring to FIG. 3 ,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in the first direction, the head portion 10 may be peeled off from the finger and rolled. Here, the first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head unit 10 faces. The external force F may be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by pushing up the curved central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30 or pulling an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 For example, when the head portion 10 is covered with the index finger of the right hand, the forefinger of the left hand is rolled round to push up the center of the curved portion 30, or the thumb and forefinger of the left hand push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The head portion 10 can be peeled off by pulling. At this time, as the head part 10 is rolle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ead part 10 are turned over, and as a result, residues on the head part 10 and/or the texture part 20 are naturally formed on the head part 10. Since it is sealed inside, the disposal of the residue is facilitated.

한편, 도 4를 참고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헤드부(10)가 손가락에 씌워질 수 있다. 최초에 헤드부(10)는 만곡부(30)와 함께 말려있다가, 만곡부(30)에 외력(F)이 가해질 때에 펴지면서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헤드부(10) 및/또는 만곡부(30)의 탄성에 의해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헤드부(10)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 즉 제1 방향의 반대쪽 방향을 의미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head portion 10 may be covered by the finger. Initially, the head portion 10 is rolled together with the curved portion 30, and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the head portion 10 is unfolded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nger.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1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head portion 10 and/or the curved portion 30 . Here, the secon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of the head unit 10 is directed, that i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가 손가락에 끼고, 다수의 표면 돌기를 접촉시켜 영아의 구강 내 잔여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촉감으로 영아의 구강을 느끼면서 구강을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된 타단을 잡아당기거나 밀어내어 용이하게 손가락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때 내면과 외면이 뒤집히므로 외면에 묻어있는 구강 내 잔여물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Over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can easily remove residues in the infant's oral cavity by wearing it on his finger and contacting a plurality of surface protrusions, and can massage the oral cavity while feeling the infant's oral cavity with the touch of his fingers . In addition, the curved other e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nger by pulling or pushing, and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turned over, the remaining oral cavity on the outer surface can be neatly treated.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만곡부(30)의 말단이 헤드부(10)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헤드부(10)의 내부로 손가락을 삽입하고,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을 가하면,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을 감싸면서 씌어진다. 이때, 헤드부(10) 및/또는 만곡부(30)의 탄성에 의해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밀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in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art 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end of the curved part 30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so that the head part 10 can be inserted into the finger. That is,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ead portion 10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curved portion (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are separated, and the head portion 10 is covered while covering the finger.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10 ma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head portion 10 and/or the curved portion 30 .

여기서,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만곡부(30)와 헤드부(10) 사이에 밀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밀폐 공간(S) 내에 전술한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치약(40)은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의 표면에 도포된 상태이거나, 또는 단순히 밀폐 공간(S)에 저장되었다가 사용 전에 보호자가 그 밀폐 공간(S)을 누르거나 문지른 경우에 헤드부(10) 및/또는 텍스처부(20)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Here, when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are connected, a closed space S may be formed between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head portion 10, and within the closed space S The toothpaste 40 described above may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toothpaste 40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or the texture part 20, or is simply stored in the closed space (S) and then the protector cleans the closed space (S) before use. When pressed or rubbed, i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and/or the texture portion 20 .

한편,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취선(50)이 구비될 수 있다. 절취선(50)은 오목하게 함몰된 블라인드 홀(blind hole) 형태의 점선으로 형성되어, 밀폐 공간(S) 내 치약(40)의 누출을 방지하고, 작은 외력에 의해 절취되어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Meanwhile, a perforated line 5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are connected. The perforated line 50 is formed as a dotted line in the form of a blind hole recessed concavely, prevents leakage of the toothpaste 40 in the closed space S, and is cut by a small external force to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can be easily sepa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탄력돌출부(60), 및 충격흡수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rotrusion 60 and a shock absorber 70 .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직접 연결되는 방식인 데 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탄력돌출부(60), 및 충격흡수부(70)를 매개로 만곡부(30)의 말단과 헤드부(10)의 타단이 서로 연결된다.The above-described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end of the curved part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are directly connected, whereas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al care device connects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10 via the elastic protrusion 60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to each other.

여기서, 탄력돌출부(60)는 헤드부(10)의 타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진다. 충격흡수부(70)는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지는 부재이다. 충격흡수부(70)의 일면의 중심부는 탄력돌출부(60)의 돌출된 말단에 연결되고, 충격흡수부(70)의 가장자리는 만곡부(30)의 말단과 분리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2 방향으로 만곡부(30)에 외력이 가해지면,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의 말단이 서로 분리되면서, 헤드부(10)가 손가락에 끼워진다. Here, the elastic protruding part 60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s elasticity. The shock absorber 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a member having elasticity. A central portion of one surfac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elastic protruding portion 60, and an edg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He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ortion 3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and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hea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finger.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의 말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만곡부(30)와 헤드부(10) 사이에 밀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밀폐 공간(S) 내에 치약(40)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70)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30)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취선(5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밀폐 공간(S) 및 절취선(5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ends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and the curved por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airtight space S may be formed between the curved portion 30 and the head portion 10, and toothpaste within the airtight space S. (40) may be acceptable. In addition, a perforated line 5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edg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70 and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30 are connected. Since the closed space S and the perforated line 50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충격흡수부(70)와 만곡부(30)가 서로 분리된 경우, 헤드부(10)의 타단으로부터 탄력돌출부(60)가 돌출되고, 탄력돌출부(60)의 말단에 플랜지 형태로 충격흡수부(70)가 배치된다. 본 발명은 손가락에 끼워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용해 영아의 구강을 관리하는 것이므로, 과도한 힘으로 손가락을 움직이는 경우에, 헤드부(10)의 타단이 입천장이나 잇몸 등 구강 내부와 부딪히면서 손상이나 고통을 줄 수 있는데, 탄성이 있는 탄력돌출부(60)와 충격흡수부(70)가 구비되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흡수부(7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에 의해 중심부를 중심으로 휘어지며, 탄력돌출부(60)도 탄성을 가지므로, 구강 내부와 부딪힐 때에 압력이 특정 지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한다.When the shock absorbing part 70 and the curved part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elastic protruding part 60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and the shock absorbing part 70 is formed in a flange shape at the end of the elastic protruding part 60. ) is plac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ut on a finger and used to manage the oral cavity of an infant using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finger is moved with excessive force,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0 may cause damage or pain while colliding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roof of the mouth or gums. However, an elastic protruding part 60 and a shock absorbing part 70 are provided to prevent this. Here, the shock absorber 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bent around the center by elasticity, and the elastic protrusion 60 also has elasticity so that the pressure does not concentrate on a specific point when colliding wit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dissipates and absorbs shock.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아용 구강관리기는 흡착판(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착판(80)은 다수 개로, 헤드부(10)의 내면에 배열되어,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로써, 헤드부(10)는 손가락에 강력하게 밀착되므로, 사용 중에 헤드부(10)가 벗겨지거나 헛돌지 않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용해 미세하게 영아의 구강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late 80 .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80 ar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As a result, since the head part 10 strongly adheres to the finger, the head part 10 does not come off or run idle during use, and the infant's oral care can be carried out minutely using the movement of the finger.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 헤드부 20: 텍스처부
30: 만곡부 4 0: 치약
50: 절취선 60: 탄력돌출부
70: 충격흡수부 80: 흡착판
10: head part 20: texture part
30: curved part 4 0: toothpaste
50: perforated line 60: elastic protrusion
70: shock absorber 80: suction plate

Claims (10)

손가락에 끼워지도록 일단이 개방된 골무 형태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가 배열된 텍스처부; 및
상기 헤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향하는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헤드부의 일단이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상기 헤드부의 타단과 분리되면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손가락에 끼워지며,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된 때에, 상기 만곡부와 상기 헤드부의 사이에 밀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 내에 수용되는 치약;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A head portion in the form of a thimble, one end of which is open so as to be fitted to a finger;
a texture part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A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head portion, the end of which is curved in a first direction toward which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faces,
An end of the curv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ead por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art in a second direction toward which one end of the head part is directed, the end of the curved part is separ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and the head part is inserted into the finger,
When the end of the curved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are connected, an airtight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urved part and the head part,
Toothpaste accommodated in the closed spac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지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art has elasticit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만곡부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손가락으로부터 벗겨지면서 말리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part,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rved part in the first direction, peels off from the finger and rolls u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말단과 상기 헤드부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a perforated line provided at a region where the end of the curved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are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는 탄력돌출부; 및
판(plate)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의 중심부에 탄성돌출부의 말단이 연결되며, 가장자리에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고, 탄성을 가지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head in the first direction and having elasticity; and
An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a shock absor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end of the elastic protrusion connected to the center of one surface, an end of the curved part connected to an edge, and having elasticit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만곡부의 말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구비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a perforated lin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an edge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an end of the curved portion are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 개가 상기 헤드부의 내면에 배열되어, 상기 손가락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영아용 구강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ral care device for infant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tion plate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unit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ger.
KR1020210068461A 2021-05-27 2021-05-27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KR102542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61A KR102542048B1 (en) 2021-05-27 2021-05-27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61A KR102542048B1 (en) 2021-05-27 2021-05-27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6A KR20220160346A (en) 2022-12-06
KR102542048B1 true KR102542048B1 (en) 2023-06-12

Family

ID=8440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61A KR102542048B1 (en) 2021-05-27 2021-05-27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4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30Y1 (en) * 2002-04-16 2002-07-23 김성환 a finger-toothbrush equipped with the teethridge massage tools for aninfa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156U (en) 2011-12-28 2013-07-08 이중민 toothbrush for baby
KR20170016124A (en) * 2015-08-03 2017-02-13 이지훈 Disposable toothbrushes for using toothpaste capsule
KR20190088613A (en) * 2018-01-19 2019-07-29 이훈상 Disposable toothbrus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30Y1 (en) * 2002-04-16 2002-07-23 김성환 a finger-toothbrush equipped with the teethridge massage tools for aninf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46A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8869B1 (en) Finger glove comprising areas prepared for oral hygiene
US5320531A (en) Absorbent finger sleeve for use in dentistry or medicine
US4828113A (en) Dental treatment kit
US6019773A (en) Tongue cleaner
MXPA06003394A (en) Applicator for cleaning teeth.
US10264875B2 (en) Dental finger gloves
KR20120016380A (en) Disposable toothbrush
JP2004041260A (en) Soft interdental cleaning implement
US4570653A (en) Tooth cleaning and flossing device
US20160135934A1 (en) Mouth cleaner
US4878508A (en) Dental device for cleaning teeth
US6378698B1 (en) Infant's disposable fluoride tooth wipes
US9032975B2 (en) Dental device
GB2216427A (en) Dental device for cleaning teeth
KR102542048B1 (en) Oral care implement for baby
KR101833425B1 (en) Device for the preventive and acut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WO2002069753A1 (en) Oral cleaning device
US6722805B1 (en) Tongue adhered dentifrice apparatus
KR101865043B1 (en) A Toothbrush
RU104059U1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AND DISPOSABLE KIT ON ITS BASIS
NZ541552A (en) Tooth cleaner and applicator
MXPA04004446A (en) Tooth-cleaning paper combined with dental floss.
KR200348233Y1 (en) apparatus for dental cleaning
RU2672798C1 (en) Disposable edible toothpick for astronauts
CN211834807U (en) Oral cavity cleaning to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