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604B1 -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 Google Patents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604B1
KR102541604B1 KR1020220092048A KR20220092048A KR102541604B1 KR 102541604 B1 KR102541604 B1 KR 102541604B1 KR 1020220092048 A KR1020220092048 A KR 1020220092048A KR 20220092048 A KR20220092048 A KR 20220092048A KR 102541604 B1 KR102541604 B1 KR 10254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livery
drone
shock absorb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해울
홍형표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정
Priority to KR1020220092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20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 A47G29/22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having rotatable or reciprocabl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5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a deposit; Deposits carry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층마다 다섯면의 적재 공간을 갖는 육각기둥 형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택배이동부; 및 육각뿔에서 상단이 잘린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택배이동부의 상부에 좁은 부분이 결합되어 드론으로부터 낙하하는 택배를 입고시키는 입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Unmanned smart drone port logistics box that can deliver logistics without drone landing}
본 발명은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상거래 산업 등의 급성장으로 택배 산업은 도시 물류 측면에서 상당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있다. 즉, 도시면적은 18% 수준인데, 인구의 9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전체 물동량의 30% 이상이 도시권 내에서 움직이며, 이로 인해 화물 운송차량이 전체 교통량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향후 택배 산업이 더욱 활성화되면 도시 내 물동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시 내 교통 체증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증가하는 물동량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존 트럭으로 배송하는 방법 이외에 다른 운송방법이 요구되며, 그 중 하나로 드론을 이용한 배송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드론은 4차 산업의 핵심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센서, 5G 등이 접목된 융복합 기술의 집약체로 무인기의 별칭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기존 군수용에서 벗어나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응용 분야가 물류, 건설·교통, 에너지, 농·임업 등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또한, 물류 부문에서는 지형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과 구매 자들의 성향이 대량의 물품이 아닌 소량의 물품 구매를 선호하고 있고 빠른 배송이라는 경쟁으로 인해 드론 택배 배송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다양한 형태의 드론 배송 서비스를 시험하거나 실시 중이며, 물류기업을 중심으로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형, 저중량의 물품을 빠르게 배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제약 사항들이 점차 극복됨에 따라 드론 택배 배송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물품 수령 문제 해소가 시급하다.
선행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8411호에는 무인택배 보관함이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에는 실내 공간의 벽면 또는 창문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과 상기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는 내부 도어, 및 상기 케이스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과 실외 공간을 연통시키는 외부 도어를 포함함으로써, 집안 내부에서도 택배물을 손쉽게 수령할 수 있는 무인택배 보관함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무인택배 보관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내력벽의 파손 및 철거 등을 수반할 수 있어 공동주택 건축물의 구조 안전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설치시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나 공동주택 주민의 동의를 얻어야 설치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관통되는 공동주택 구조물과 본 장치가 접하는 부위가 취약하여 단열, 방음, 누수에 문제 발생 가능성이 크며, 설치가 복잡하고 어렵다. 나아가, 설치 및 유지보수시 외부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므로, 고가의 비용 소요 및 안전상의 문제 발생 우려가 있다.
또한, 직접 드론이 착륙하여 택배를 배송하는 시스템의 경우, 착륙 위치의 대기 상황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이착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점, 도난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점, 도서 산간의 경우 경로 지정의 어려움이 있고 수령자가 배송 시까지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점, 드론의 이착륙시 사고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점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은 입고부의 상공에서 물류를 낙하하여 이착륙간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방지하고 적재부의 높이조절을 이용해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많은 물류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적재부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수령자가 드론 운행을 기다려야하는 시간의 절약이 가능하고 수령인에게 택배 수령을 위한 난수 번호를 생성 및 전달하여 오배송의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은, 내부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층마다 다섯면의 적재 공간을 갖는 육각기둥 형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육각기둥 형상의 택배이동부; 및 육각뿔에서 상단이 잘린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택배이동부의 상부에 좁은 부분이 결합되어 드론으로부터 낙하하는 택배를 입고시키는 입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은, 상기 적재부에서 적재 공간이 없는 일면에 설치되는 출고부; 및 상기 출고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론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통제서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택배이동부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45도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입고부로부터 입고된 택배를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고부는, 택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면에 얇게 완충소재가 덧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통제서버부는, 오배송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택배 입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때 난수 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고부는, 일측에 적재 상황을 확인하고 택배 출고 명령을 상기 적재부와 상기 택배이동부로 하달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의 진동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지지부는, 제1 수직지지체; 제2 수직지지체; 및 단면이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상기 지지프레임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제2 수직지지체의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지지체; 상기 수평지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수평지지체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제2 수직지지체와 상기 조절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충격완화부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2 커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완화재는,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충격완화부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내부에는 각각 외부의 충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며 외부의 충격을 완하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드론은 입고부의 상공에서 물류를 낙하하여 이착륙간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방지하고 적재부의 높이조절을 이용해 제한적인 공간에서도 많은 물류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수령자가 드론 운행을 기다려야하는 시간의 절약이 가능하고 수령인에게 택배 수령을 위한 난수 번호를 생성 및 전달하여 오배송의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입고부로의 입고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입고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완충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통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입고부로의 입고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입고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완충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10)은, 적재부(100), 택배이동부(200) 및 입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부(100)는, 내부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층마다 다섯면의 적재 공간을 갖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육각기둥 내부에 한 면은 택배의 출고를 위하여 비워두고, 나머지 다섯면을 택배보관함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찾아가기 전의 택배를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육각 기둥의 층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택배이동부(200)는, 상기 적재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육각기둥의 중앙에 택배 이동을 위해 상기 적재부보다 작은 육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택배이동부(200)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45도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210)를 포함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입고부(300)로부터 입고된 택배를 상기 적재부(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바닥부터 천장까지 레일 등의 시스템을 통하여 상하운동을 할 수 있고 하부에 회전판이 장착되어 좌우 회전도 할 수 있으며, 45도까지의 이동플레이트의 각도 조절을 통해 이동플레이트(210) 상부에 안착된 택배를 택배 적재함으로 이동시키거나 택배 적재함에 안착된 택배를 이동플레이트(210)로 회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고부(300)는, 육각뿔에서 상단이 잘린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택배이동부(200)의 상부에 좁은 부분이 결합되어 드론으로부터 낙하하는 택배를 입고시킬 수 있다.
또한, 낙하되는 택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면에 얇게 완충소재가 덧대어져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드론이 상공에서 입고부(300)에 택배를 낙하하는 경우,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GPS 및 그 위치값이 약간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입고부(300)는 이러한 오차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상부를 넓게 형성해야 하고, 하부는 택배이동부(200)로의 정확한 전달을 위하여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또한, 택배의 낙하 시 상기 입고부(300)의 표면이 단단하다면 택배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고무, 스펀지, 스티로폼 등의 완충소재를 적용하여 최대한 택배가 사용자에게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여기서, 완충소재는 상기 언급한 소재 이외에 향후 개발될 완충 효과가 뛰어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10)은, 출고부(400) 및 중앙통제서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고부(400)는, 상기 적재부(100)에서 적재 공간이 없는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고부(400)는 사용자가 적재된 택배를 수령하는 장소로서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도록 문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본인의 택배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상기 출고부(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론(D) 또는 사용자 단말기(U)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상기 드론(D)과 무선 통신하여 상기 드론(D)의 현재위치 또는 택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U)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드론(D)의 현재위치 또는 택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상기 드론(D) 또는 사용자 단말기(U)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적외선 통신, RFID, NFC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통제서버부(500)는 근 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드론(D)과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10)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사용자의 택배가 입고되어 전산망으로 입력되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U)로 택배 입고 알림 메시지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택배 입고 알림 메시지는, 문자, 알림, 알림톡 등의 다양한 알림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오배송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택배 입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때 난수 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난수 번호는, 알파벳과 숫자를 함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난수는 예를 들어, “9D4T6V7Z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생성된 난수 번호를 문자로 전송받고 이를 출고부(400)에서 입력해야지만 본인 앞으로 배송된 택배를 출고할 수 있으므로, 타인이 사용자의 택배를 잘못 찾아가는 오배송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중앙통제서버부(500)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개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다수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 개발 시스템은 개발 자의 제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다. 각 개발 시스템은 신뢰 플랫폼 모듈(TPM: Trusted Platform Module) 표준기술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사용 허가된 개발 시스템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신뢰 플랫폼 모듈(TPM)은 일종의 보안 장치로서, 데이터 암호화를 위한 보안키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사용에 대한 개발자의 권한을 제한하고, 개발자가 사용하는 개발 시스템에 대한 보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개발 시스템으로부터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생성 또는 수정 허가 요청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소스코드,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디버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순수 바이너리, 코드에 대한 상세설명을 위한 문서, 코드의 이해를 위한 공정 수식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권한 정보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읽을 수 있는 읽기 권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생성 및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권한,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를 만족하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가 생성 또는 수정되는 경우, 이를 저장하여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도 공유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개발 시스템에 의해 빌드한 모듈을 다른 개발 시스템에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 또는 수정 이력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단계별로 추적할 수 있고, 그 특정 변수 가 임의의 다른 변수의 값 변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여부,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해당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빈도, 해당 소프트 웨어 컴포넌트를 생성/수정한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를 포함하여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를 생성할 때마다 인덱스를 부여하여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중요도에 따라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중요도가 가장 높은 종류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성/수정 일자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특정 일자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권한 정보 별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예로,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에 해당하는 개발 시스템에 의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베 이스 갱신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저장 공간 관리를 위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가 미리 설정된 인덱스에 도달하면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인덱스를 오름차순으로 하여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낮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오랜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 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낮으므로 조건 없이 삭제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 류에 따라 중요도를 분류할 수 있으며,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종류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만을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생 성/수정 빈도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생성/수정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높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유지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또는,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개발 시스템의 권한 정보에 따라 삭제 또는 유지 여부를 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즉, 3 개의 구간 중 가운데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 중 그 권한 정보가 최고 권한 정보로 간주되는 권한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권한조정 권한인 이력 정보는 그 대로 유지하고, 나머지 이력 정보는 모두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력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
개발 환경 관리 시스템은 3 개의 구간 중 가장 높은 인덱스를 포함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는 생성/수정 일자가 비교적 최근의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이력 정보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은 높으므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서버 등의 장치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관리자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관리자 관리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입력되는 순서에 따른 순위에 따라 나열된 관리자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관리자 관리 모듈은, 관리자의 관리 능력에는 상관없이 모듈로 등록되는 순서에 따라, 즉 최초 입력되는 관 리자를 일 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최선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차순위 관리자로 선정하고, 차순위 관리자의 다음에 입력되는 관리자를 삼순위 관리자로 인정되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관리 모듈은, 일 장치의 유지/보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관리자를 기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관리 모듈은, 등록된 관리자의 관리자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집 주소 등)를 관리자 별로 등록하여 두어야 할 것이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선택된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경우에는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나,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지 못한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를 해결할 다른 관리자를 기 생 성된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 중에 선택하여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의 선택은, 별도의 순위 없이 무작위로 선택하여도 무방하나, 이하에서 와 같이 관리자 선택에 순위를 두어 이벤트 해결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관리 모듈에 따른 관리자 선택의 우선순위 선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자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 중에서 최선순위(이때, 최초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최선순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관리 능력의 우열에 따라 선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관리자 리스트에 추가되는 순위에 따른 것임)로부터 관리자를 선택하여 해당 이벤트의 해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최초 선택받은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기 못하거나, 이벤트 해결에 불응하는 경우에는 차순위로 리스트에 올라 있는 관리자에게 동일한 해결 요청을 전송하며, 이러한 과정은 해당 이벤트가 해결될 때까지 진행하게 된다.
특정 관리자가 해당 이벤트를 해결하면 관리자 선택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해당 관리자에게 이벤트 해결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포인트 부여가 완료되면, 관리자 관리 모듈은,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데, 이때 관리 자들 간의 순위 판단에 상기 이벤트 해결에 따라 주어진 포인트를 고려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소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에는 후순위에 위치하였던 관리자라도 특정 이벤트 해결에 따라 수여된 포인트로 인하여 선순위로 순위가 상승할 수 있고, 선순위에 있던 관리자라도 이벤트 해결에 대응하지 못한 경 우에는 다른 관리자의 이벤트 해결로 인하여 해당 관리자의 후순위로 밀려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된 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역량은 평가하여 이벤트가 발생된 장치의 이벤트 해결에 보다 적합한 관리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평가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평가 모듈은, 우선 이벤트 해결에 참가한 회수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기 설정된 점수의 포인트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관리자가 특정 장치에 발생된 수리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게 되고, 차후 다른 장치에 발생된 보수 이벤트에 참가하여 해당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 이에 따라 역시 10점의 포인트를 부여받았다고 할 경우, 총 20점의 포인트를 통해 A의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다만, 이때, 이벤트 해결에 따라 부여받는 포인트는 모든 이벤트에 동일하게 산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벤트 해결에 필요로 하는 전문성 또는 이벤트 해결에 따라 동원해는 노동 정도에 따라 각 이벤트마다 다르게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장치의 순찰하는 등과 같이 특별한 노동력이나 전문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이벤트의 경 우에는 해당 이벤트 해결에 비교적 낮은 점수인 1점을 산정하는 반면, 서버교체작업 등과 같이 일반 저숙련 관 리자의 해결을 기대할 수 없어 고숙련자의 투입이 필요로는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점수인 10점을 부여하는 등과 같이 정비의 난이에 따라 부여되는 포인트의 고저를 산정하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다른 장비에 대하여 기존 장비와 동일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 장비의 이벤트를 해결한 관리자에게 우선적으로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되며, 해당 이벤트를 요청받은 관리자가 해결할 경우 관리자 평가 모듈은 이에 따른 포인트를 부여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관리자 관리 모듈은, 각각의 장치 별로 해당 장치에 보다 전문성을 갖출 관리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각 장치 별로 관리자 리스트를 따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통제서버부(500)는, 시스템에 새로운 장비가 도입되는 경우, 해당 새로운 장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기존에 생성된 관리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의 유무를 판독하며,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기 생성된 리스트를 그대로 유지시키고, 새롭게 도입된 장비가 존재하는 경우 기 생성된 리스트를 업 데이트를 수행하기 위한 이하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리스트 업데이트 모듈은,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 지식이 있는 관리자 유무를 판독한다. 이때, 사전 지식의 유무 판단은, 관리자 관리 모듈에 의하여 저장된 관리자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 스트에서 해당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기 생성된 리스트에 새롭게 도입된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없는 경우, 해당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비를 판독하고, 판독된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와 관련된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있는 경우, 해당 관리자에게 해당 새롭게 도입된 장비에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최우선하여 이벤트 해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해당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관리자를 최선순위로 순위를 상승시킴으로써 기 생성될 리스트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따라서, 새롭게 도입되는 모든 장치 각각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는 못하였지만, 새롭게 도입되는 장치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장치에 전문성을 갖춘 관리자로 하여금 정비를 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새로운 관리자를 선별하여 스카우트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고부(400)는, 일측에 적재 상황을 확인하고 택배 출고 명령을 상기 적재부(100)와 상기 택배이동부(200)로 하달하는 디스플레이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0)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0)과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의 진동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지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완충지지부(600)는, 제1 수직지지체(610), 제2 수직지지체(620) 및 하부프레임(60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1)은 단면이 대체로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지지프레임(420)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1)은, 지지프레임(42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하부프레임(601)은 지지프레임(420)의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출고부(400)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410)를 거치할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프레임(601)의 내측 양단에는 지지프레임(420)이 상단에 위치한 채 바닥면과 접촉되는 충격완화부(616)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부(616)의 중앙에는 기둥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기둥(미도시)에는 충격완화부(616)의 기둥을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즉, 충격완화부(616)는 중앙에 위치한 기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미도시)를 통하여 바닥면과 접촉되더라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완화부(616)는 하부프레임(601)의 양단 내측에 삽입 관통된 후 외측에서 결합볼트(619)에 의해 하부프레임(60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완화부(616)에 의해, 하부프레임(601)이 지지프레임(420)이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1)의 상부 표면에는 거치되는 지지프레임(420)을 좌우 양측에서 가로막아 지지하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1 수직지지체(610)와 제2 수직지지체(620)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지지체(610)와 제2 수직지지체(620)는 하부프레임(601) 상부 표면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직지지체(610)와 제2 수직지지체(620)는 상단부에 거치되는 지지프레임(42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수직지지체(610)와 제2 수직지지체(620) 중 최소한 어느 하나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프레임(601)은 수평지지체(630), 조절부(640) 및 고정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지체(630)는 제2 수직지지체(620)의 수평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601)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되어 용접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하부프레임(601)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하부프레임(601) 표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체(630)의 둘레에는 수평지지체(6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조절부(64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640)는 내측에 수평지지체(630)가 삽입되는 관통홈이 구비된 납작한 블록 형상이거나, 수평지지체(63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금속 판 또는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640)는 수평지지체(630)를 둘러싸고, 수평지지체(630)와 하부프레임(601)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지지체(6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조절부(640)의 상부 표면에는 제2 수직지지체(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수직지지체(620)는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조절부(640)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간격 조절 후 위치가 정해지면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650)에 의해 조절부(640)와 함께 수평지지체(63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650)는 제2 수직지지체(620)와 조절부(64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너트 및 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절부(640)와 제2 수직지지체(620)의 하부 수평 절곡 부분에 각각 고정부(650)가 관통 가능한 관통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각 관통홈(미도시)에 고정부(650)가 관통하여 너트 및 볼트가 서로 맞물려 조여져, 제2 수직지지체(620)와 조절부(640)가 수평지지체(630) 상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수직지지체(620)의 이동시에는 결합볼트를 약간 풀어 조절부(640)와 수평지지체(63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한 후 조절부(640)를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동후에는 다시 결합볼트를 조여 조절부(640) 및 제2 수직지지체(620)를 수평지지체(630)에 고정할 수 있다.
제2 수직지지체(62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제1 수직지지체(610)는 수평지지체(630)에 용접 기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수직지지체(620)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수직지지체(610) 및 제2 수직지지체(620)는 지지프레임(420)의 서로 마주보는 변에 각각 장착되어 지지프레임(420)의 양단을 수용한 채로 디스플레이부(410)를 거치하며, 하부프레임(601) 하부에 구비된 충격완화부(616)에 의해 하부프레임(601) 자체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2 수직지지체(620)가 수평지지체(6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지지프레임(420)의 너비에 따라 수용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평지지체(630)를 하부프레임(601)과 고정 결합하지 않고, 수평지지체(630)가 하부프레임(60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수평지지체(630)와 하부프레임(601)을 경첩으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평지지체(630)를 하부프레임(601) 상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평지지체(6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6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재(660)는 하부프레임(60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비된 결합부(662)와, 수평지지체(630)에 천공된 결합홈(66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지지체(630)를 하부프레임(601) 상에 장착하는 경우에 결합부(662)가 결합홈(66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형성할 수 있고, 수평지지체(630)를 회동시켜 하부프레임(601)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결합부(662)를 결합홈(663)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를 위하여, 결합부(662)는 결합홈(663)에 억지 끼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되, 결합홈(66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410)의 위치 조정 및 높이 조정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부(41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거치가 필요 하지 않은 경우 결합부재(660)를 회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410)의 지지프레임(420)을 완충지지부(60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는, 결합부재(660)로 결합부 결합 수단을 예로 들었으나, 수평지지체(630)를 고정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완화부는 충격완화부(800)의 내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 상부지지대(880) 및 하부지지대(870)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는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충격완화부(80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와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사이에는 각각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스펀지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는 각각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외부의 충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10)에 충격이 가해져 완충지지부(600)에도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완화부(8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 가 수축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디스플레이로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사이마다 마련되어 있는 스펀지 등의 장치가 충격완화부(800)에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시킬 수 있다.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는 개별로 각각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으나, 하나의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수축 또는 이완하는 경우 구비되어 있는 모든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가 함께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장치로 실린더 또는 스프링 등의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흡수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지대(880) 및 하부지지대(870)는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의 상부 및 하부에 위 치하며 충격완화재(810, 820, 830, 840, 850, 860)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10)은,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설치 가능 공간과 사용자의 이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한 개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가 맞닿도록 다양한 위치 구성으로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입고부(300)는 해당 지역의 택배 입고량 등을 고려하여 일부에만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출고부(400)의 개수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100. 적재부
200. 택배이동부
300. 입고부
400. 출고부
500. 중앙통제서버부
600. 완충지지부

Claims (4)

  1. 내부가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층마다 다섯면의 적재 공간을 갖는 육각기둥 형상의 적재부;
    상기 적재부의 높이 방향으로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육각기둥 형상의 택배이동부; 및
    육각뿔에서 상단이 잘린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택배이동부의 상부에 좁은 부분이 결합되어 드론으로부터 낙하하는 택배를 입고시키는 입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에서 적재 공간이 없는 일면에 설치되는 출고부; 및
    상기 출고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론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중앙통제서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택배이동부는,
    좌우 회전이 가능하고 45도까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입고부로부터 입고된 택배를 상기 적재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고부는,
    택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면에 얇게 완충소재가 덧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통제서버부는,
    오배송 방지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택배 입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때 난수 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출고부는,
    일측에 적재 상황을 확인하고 택배 출고 명령을 상기 적재부와 상기 택배이동부로 하달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으로부터의 진동과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지지부는,
    제1 수직지지체;
    제2 수직지지체; 및
    단면이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할 상기 지지프레임의 너비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제2 수직지지체의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 표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수평지지체;
    상기 수평지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수평지지체의 둘레에 삽입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제2 수직지지체와 상기 조절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충격완화부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의 상부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1 커버; 및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의 하부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충격완화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제2 커버;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재는,
    둥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충격완화부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내부에는 각각 외부의 충격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하며 외부의 충격을 완하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92048A 2022-07-25 2022-07-25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KR10254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48A KR102541604B1 (ko) 2022-07-25 2022-07-25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048A KR102541604B1 (ko) 2022-07-25 2022-07-25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604B1 true KR102541604B1 (ko) 2023-06-13

Family

ID=8676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048A KR102541604B1 (ko) 2022-07-25 2022-07-25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9889A (zh) * 2024-02-29 2024-04-02 苏州物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充电设备及其充电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74A (ko) * 2015-04-10 2016-10-19 허영철 드론 배송함
WO2017081550A1 (en) * 2015-11-12 2017-05-18 Bruni Federico Shipping method, warehouse, drone and system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74A (ko) * 2015-04-10 2016-10-19 허영철 드론 배송함
WO2017081550A1 (en) * 2015-11-12 2017-05-18 Bruni Federico Shipping method, warehouse, drone and system
KR102080226B1 (ko) * 2018-11-21 2020-02-21 이해곤 드론 택배용 스마트 우편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9889A (zh) * 2024-02-29 2024-04-02 苏州物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充电设备及其充电方法
CN117799889B (zh) * 2024-02-29 2024-05-17 苏州物图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机的充电设备及其充电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00B2 (en) Automated mobile vehicle power management and relief planning
US1035123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US9595018B2 (en) Switch network of containers and trailers for transporta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physical items
US20200074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traffic management of intelligent unmanned aerial vehicles
KR102541604B1 (ko) 드론 착륙 없이 물류배송 가능한 무인 스마트 드론 포트 물류함
US9606544B2 (en) System,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unmanned vehicle fleet control
US20180293538A1 (en) Maintaining information facilitating deterministic network routing
CN108922248B (zh) 一种分布式民用无人机空管系统、空管方法及协作方法
US20180364713A1 (en) Drone control system
CN107210000A (zh) 用于限制无人机空域访问的系统和方法
WO202119456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rajectory planning engine for unmanned aircraft
US201802768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based confirmation
KR101938356B1 (ko) 드론을 이용한 물품운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드론을 이용한 물품운송방법
US202200893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vement of materials handling vehicles
US20230305506A1 (en) Remote management of active containers
US20200034791A1 (en) Dynamic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230252902A1 (en) Drone deployment for distributed asset maintenance and repair
US202003075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arty Unlock In An Inventory Transaction
JP2017061363A (ja) ルーティングシステムおよびルーティング方法
US20220246043A1 (en) Aircraft standby zone management system
US20210264702A1 (en) Active container with drone data bridging
WO2021138458A1 (en) Remote management of active containers
Piramuthu Machine Learning for Drone-Based Last Mile Delivery of Perishables
JP2007084319A (ja) 物品配送システム
KR20240016580A (ko) 도심 지역 공유 물류 mfc 운영을 위한 공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