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332B1 - 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332B1
KR102541332B1 KR1020197008578A KR20197008578A KR102541332B1 KR 102541332 B1 KR102541332 B1 KR 102541332B1 KR 1020197008578 A KR1020197008578 A KR 1020197008578A KR 20197008578 A KR20197008578 A KR 20197008578A KR 102541332 B1 KR102541332 B1 KR 102541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lay
training
user
adap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7404A (en
Inventor
박성용
노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덴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덴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덴룩스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7/01109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62979A1/en
Publication of KR2019008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모양체근에 대한 훈련의 효율이 비교적 높은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안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의 이동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ion training apparatus having relatively high training efficiency for the ciliary muscles.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eyepiece corresponding to a user's eyeball; a display for displaying a target image in front of the user's visual direction; a lens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and the display unit; a moving unit capable of mov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long the viewing dir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training period within a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nd control the moving unit to mov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within the training period.

Description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기초로 안구 근육을 훈련하는 시력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 training device for training eye muscles based on a user's eyesight characteristics.

시력은 여러 안구 근육들 중 모양체근과 관련성이 높다. 그래서 이 모양체근을 수축 또는 이완시키는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시력을 향상시키거나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의 모양체근은 개인별로 서로 다른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람마다의 시력에 상응하는 맞춤화된 시력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Vision is highly related to the ciliary muscle among several eye muscles. Therefore, by training to contract or relax this ciliary mus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or maintain visual acuity. However, since human ciliary muscles have different abilities for each individual, it is effective to conduct customized vision training corresponding to each person's eyesight.

그러나 종래의 시력훈련장치들은 사람마다의 시력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 안구의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모양체근에 대한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래서 사용자에 따라서는 훈련 효율이 낮거나 훈련 적응이 힘든 경우가 많았다. However, conventional vision training apparatuses simply change the focal length of the user's eyes without considering each person's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to train the ciliary muscles. So, depending on the user, training efficiency was low or training adaptation was difficult.

본 발명의 목적은 모양체근에 대한 훈련의 효율이 비교적 높은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sion training apparatus having relatively high training efficiency for the ciliary musc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안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의 이동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eyepiece corresponding to a user's eyeball; a display for displaying a target image in front of the user's visual direction; a lens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and the display unit; a moving unit capable of mov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long the viewing direc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training period within a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nd control the moving unit to mov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within the training perio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범위 내에서 소정의 조절근점위치 및 조절원점위치 사이에 해당하는 선명시역구간을 설정하며,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선명시역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sets a clear viewing range sec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and an adjustment origin position within the movement range, and the training section includes the clear viewing range section.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근점위치와 상기 조절원점위치는 상기 사용자입력신호의 입력을 통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that receives a user input signal from a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origin are set through the input of the user input signal.

또한, 상기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화하거나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체크하여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절근점 위치와 상기 조절원점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module for generating a visibility change confirmation signal by checking whether the user's eyeball changes from an emmetropic state to a non-emmetropic state or a change from a non-emetropic state to an emmetropic state,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visibilit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location of the control near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control origin based on the confirmation signal.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명시역 구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 또는 센서모듈을 통한 연속적 또는 단속적 조절적응 속도 측정을 하며, 상기 측정된 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의 상기 훈련구간내 훈련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control unit measures the continuous or intermittent accommodative adaptation spe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or sensor module within the clear viewing range, and determines the training speed of the display and the lens within the training period by reflecting the measured speed it is desirab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명시역 범위 내에서 소정의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 및 원격조절적응 임계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 및 상기 원격조절적응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고조절반응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sets predetermined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s and remote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s within the clear field of view range, and the training section is a high level corresponding to a gap between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critical position and the remote control adaptive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control response section.

그리고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 또는 상기 렌즈와 상기 접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cond lens disposed between the lens and the display or between the lens and the eyepiece along the viewing direction.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는 피에조 액츄에이터, VCM 액츄에이터, 엔코더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ing unit includes a second mov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lens, and the second moving unit is preferably any one of a piezo actuator, a VCM actuator, and an encoder actuator.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unit may selectively move at least one of the lens and the second lens.

또한, 상기 타겟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상의 크기가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target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마다의 시력 특성을 고려하여 모양체근에 대한 훈련의 효율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시력 회복의 효과가 우수하다.The eyes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high efficiency in training the ciliary muscles in consideration of the eyesight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so the eyesight recovery effect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조절근점위치 및 조절원점위치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이동 방식에 따른 측정 및 훈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3 (A)에 따른 조절근점위치 및 조절원점위치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과정을 나타낸 순서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9은 렌즈의 이동에 따른 훈련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0은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시력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origin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easurement and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display m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origin according to FIG. 3 (A);
6 is a flow chart showing a training mode process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training mode process us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10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sion train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en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시력훈련장치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를 갖는다. 하우징(110)은 좌안 및 우안의 시야를 서로 차단하기 위해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 사이에 배치되는 가림판(122)을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시력훈련유니트(120)는 개별 하우징 구조로 가림판(122)을 대체 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is sight training device has a housing 110 indicated by a virtual line, and a pair of sight training units 120 disposed side by side inside the housing 110 side by side. The housing 110 has a shielding plate 122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ight training units 120 to block the views of the left and right eyes from each other. Here, each sight training unit 120 may replace the cover plate 122 with an individual housing structure.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하여 하우징(110)의 내부를 볼 수 있게끔 관통된 접안공을 갖는 한 쌍의 접안부(124)를 갖는다. 여기서, 한 쌍의 접안부(124)는 분리되지 않고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관통공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160)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훈련조건, 훈련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의 스트랩 혹은 머리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has a pair of eyepieces 124 having eyepieces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can be seen corresponding to both eyes of the user. Here, the pair of eyepieces 124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eing separated and provided in the form of one through hole. A user input unit 160 capable of receiving a signal from a user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user may input necessary information or select training conditions and training modes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strap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a head fixing device that helps to be fixed to the user's face.

시력훈련유니트(120)는 시선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를 갖는다. 시력훈련유니트(120)는 렌즈(140)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홀더(142)를 갖는다. 각 렌즈홀더(142)는 접안부(124)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사용자는 렌즈홀더(142)에 지지된 렌즈(14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를 볼 수 있다.The sight training unit 120 has a display 130 and a lens 14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viewing direction. The vision training unit 120 has a lens holder 142 for supporting the lens 140. Each lens holder 142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eyepiece 124 . A user may view the display 130 through the lens 140 supported by the lens holder 142 .

디스플레이(130)는 시력훈련을 위한 타겟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0)는 LCD, LED 등 전자적인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종이, 플라스틱판 등과 같은 단순 표시판일 수 있다. 타겟이미지는 풍경, 도형, 점, 기하학적 형상 등 정적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The display 130 displays target images for vision training. The display 130 may be an electronic display device such as LCD or LED or a simple display panel such as paper or plastic plate. The target image may be a static image or moving image such as a landscape, a figure, a dot, or a geometric shape.

렌즈(140)는 렌즈홀더(142)에 장착되어 접안부(124)와 디스플레이(130) 사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접안부(124)과 렌즈(140)를 통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타겟이미지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렌즈(140)는 볼록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렌즈는 사용자의 안구와 타겟이미지 사이의 초점거리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실제 거리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여 이미지의 원근감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렌즈(140)는 볼록렌즈에 한정되지 않고 편광렌즈, 컬러렌즈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렌즈로 채택될 수 있다. 편광렌즈 또는 컬러렌즈를 채택할 경우, 사용자는 타겟이미지의 일부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 lens 140 is mounted on the lens holder 142 and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124 and the display 130 . A user may view a target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30 through the eyepiece 124 and the lens 140 . Here, the lens 140 is preferably a convex lens. The convex lens can change the focal length between the user's eyeball and the target imag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mage as being located farther than the actual distance, thereby expanding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However, the lens 140 is not limited to a convex lens and may be adopted as various types of lenses such as polarized lenses and color lenses. In case of adopting a polarized lens or a color lens, the user may filter a part of the target image.

디스플레이(130)와 렌즈홀더(142)는 이동부(1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동부(150)는 리드스크류(151)와 이동체(152) 및 구동모터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체(152)는 디스플레이(130)측에 결합되고 구동모터부(153)는 렌즈홀더(142)측에 결합되거나 반대인 경우도 가능하다. 리드스크류(151)는 구동모터(153)와 이동체(152)를 연결한다.The display 130 and the lens holder 142 are interconnected by the moving unit 150 . The moving unit 150 includes a lead screw 151, a moving body 152, and a driving motor unit 153. Here, the movable body 152 is coupled to the display 130 side and the driving motor unit 153 is coupled to the lens holder 142 side, or vice versa. The lead screw 151 connects the driving motor 153 and the moving body 152 .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153)가 구동되면 리드스크류(151)가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가 시선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적인 접근 또는 이격 이동을 한다. 즉, 디스플레이(130)가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53)를 구동하면 렌즈(140)가 디스플레이(130)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하고, 렌즈홀더(142)가 하우징(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53)를 구동하면 디스플레이(130)가 렌즈(140)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을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가 동시에 개별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130)와 렌즈홀더(142) 각각을 하우징(110)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수동 구동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rive motor 153 is driven, the lead screw 151 rotates and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move relative to each other or move apart along the viewing direction. That is, when the drive motor 153 is driven while the display 130 is fixed to the housing 110, the lens 140 moves relative to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holder 142 moves relative to the housing 110. When the drive motor 153 is driven in a fixed state, the display 130 moves relative to the lens 140 . Meanwhile,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holder 142 may be moved relative to the housing 110 so that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can move individually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 manual driving method by user's manipulation may be adopted.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시력훈련장치는 복수의 사용자입력버튼(161 내지 166)을 갖는 사용자입력부(160)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수령하는 제어부(190)을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60)의 각 버튼은 전원버튼, 사용자선택버튼, 전방이동버튼, 후방이동버튼, 측정모드버튼 및 훈련모드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유선 혹은 무선 리모트컨트롤러로 대체되거나 음성인식방식 혹은 자이로센서나 영상인식센서를 이용한 시선추적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ogether with FIG. 1 ,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190 that receives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input unit 160 having a plurality of user input buttons 161 to 166 . Each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power button, a user selection button, a forward movement button, a backward movement button, a measurement mode button, and a training mode button. The user input unit 160 may be replaced with a wired or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may be implemented in a voice recognition method or an eye tracking method using a gyro sensor or an image recognition sensor.

본 시력훈련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용자서버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시력훈련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This vision training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70 that enable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s, PCs, user servers,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70 may transmit data generated by the vision training device to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정보, 디옵터 환산 데이터, 시력데이터, 훈련데이터 및 시력훈련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80)를 포함한다. 디옵터환산데이터는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의 이동범위 내에서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의 각 위치를 디옵터값으로 환산한 데이터를 의미한다.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unit 180 that stores user information, diopter conversion data, vision data, training data, and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The diopter conversion data refers to data obtained by converting each position of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into a diopter value within a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

제어부(190)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130) 및 렌즈(14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좌안, 우안 또는 양안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에 따른 시력훈련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190 may individuall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pair of displays 130 and lenses 140 . Due to this, the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sight training according to a free selection for the left eye, right eye, or both eyes.

도 3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이동 방식에 따른 측정 및 훈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도 3 (A)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A)와 같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원격위치(P2)로부터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us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measurement and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display mov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FIG. 3 (A).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S. 3 and 4,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control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s shown in FIG. 3(A). It can be measured while moving from the position (P2)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측정모드선택버튼을 눌러 측정모드를 선택한다(S110).First, the user presses the power input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160 to apply power. After wearing the vision training device, the user presses the measurement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160 to select a measurement mode (S110).

사용자에 의해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킨다(S120). 원격위치(P2)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이동범위(MR) 중 접안부(124)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이지만 소정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When the measuremen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e motor 153 to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 the remote location P2 (S120). The remote position P2 is a position farthest from the eyepiece 124 in the movement range MR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but may be adjus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원격위치(P2)로부터 접안부(124)를 향하여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접근 이동시킨다(S130). 이때 연속적인 경우 이동속도, 단속적인 경우 유지속도는 설정된 속도로 조정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ing motor 153 to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ward the eyepiece 124 from the remote location P2 (S130). At this time, the moving speed in the case of continuous and the maintenance speed in the case of intermittent can be adjusted to the set speed.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입력있는지 확인한다(S140). 조절적응확인 입력은 사용자의 안구가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제어부(190)에 전송되는 신호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함에 따라 타겟이미지(TI)가 흐리다가 선명하게 보이는 순간, 즉 사용자의 타겟이미지(TI)에 대한 시인도가 변하는 순간에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다.The control unit 190 checks whether there is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S140). The accommodative confirmation input i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when the user's eyeballs change from the non-emmetropic state to the emmetropic state. 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the user inputs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TI is seen clearly after being blurred,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user's visibility of the target image TI changes. By pressing the user selection butto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임계위치를 조절원점위치(P6)로 저장한다(S150).When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the threshold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t the time whe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is set as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Save (S150).

이후,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접안부(124)를 향하여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접근 이동 시킨다(S160). 이때 연속적인 경우 이동속도, 단속적인 경우 정지상태에서의 대기시간이 조정이 가능하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e motor 153 to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ward the eyepiece 124 (S16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ving speed in the case of continuous and the waiting time in the stopped state in the case of intermittent.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S170). 이때의 조절적응확인 입력은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제어부(190)에 전송되는 신호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함에 따라 타겟이미지(TI)가 선명하다가 흐리게 보이는 순간, 즉 사용자의 타겟이미지(TI)에 대한 시인도가 변하는 순간에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다.The control unit 190 checks whether there is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S170).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at this time i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when the user's eyeballs change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A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the user uses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TI looks blurry from clear,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user's visibility of the target image TI changes. B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조절적응확인 입력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임계위치를 조절근점위치(P5)로 저장한다(S180). 상술한 조절원점위치(P6) 및 조절근점위치(P5)는 개별적으로 측정 가능하다.When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the threshold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t the time whe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signal is input is set as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Save as (S180). The above-mentioned control origin position (P6) and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can be individually measured.

본 발명에 따른 조절원점위치(P6)와 조절근점위치(P5)는 상술한 원격위치(P2)에서 근접위치(P1)에 대해 접근이동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nd the control near position P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method of approaching and moving from the above-described remote position P2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B)와 같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근접위치(P1)로부터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from the proximity position P1 to the remote position P2 as shown in FIG. 3(B). You can measure while doing it.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킨다. 근접위치(P1)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 중 접안부(124)에 가장 가까운 위치이거나 또는 접안부(124)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ing motor 153 to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The proximity position P1 is preferably a position closest to the eyepiece 124 in the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130 or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eyepiece 12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킨 후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접안부(124)로부터 원격위치(P2)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격 이동시킨다. 이때 연속적인 경우 이동속도, 단속적인 경우 대기시간은 조정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190 moves the display 130 or lens 140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and then controls the drive motor 153 to move the display 130 or lens 140 from the eyepiece 124 to a remote position ( It move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the direction of P2). At this time, the moving speed in the case of continuous and the waiting time in the case of intermittent can be adjusted.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함에 따라 타겟이미지(TI)가 흐리다가 선명하게 보이는 순간, 즉 사용자의 타겟이미지(TI)에 대한 시인도가 변하는 순간에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위치를 조절근점위치(P5)로 저장한다. The control unit 190 checks whether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 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the user inputs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TI is seen clearly after being blurred,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user's visibility of the target image TI changes. By pressing the user selection butto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s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t the time whe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

계속해서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원격위치(P2)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격 이동 시킨다. 이때 연속적인 경우 이동속도, 단속적인 경우 대기시간의 조정이 가능하다.Subsequently,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rive motor 153 to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n the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P2.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ving speed in the case of continuous and the waiting time in the case of intermittent.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함에 따라 타겟이미지(TI)가 선명하다가 흐리게 보이는 순간, 즉 사용자의 타겟이미지(TI)에 대한 시인도가 변하는 순간에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이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위치를 조절원점위치(P6)로 저장한다. 조절근점위치(P5) 또는 조절원점위치(P6)는 연속적 측정이 아니라 둘 중 어느 하나만 측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90 checks whether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 A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the user uses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TI looks blurry from clear, that is, at the moment when the user's visibility of the target image TI changes. By pressing the selection butto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When receiving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t the time when this signal is input as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or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can be measured not continuously but either one of the two.

본 발명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C)와 같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사용자맞춤위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근접위치(P1) 또는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키면서 측정할 수 있다.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display 130 or lens 140 based on the user-customized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lens 140 as shown in FIG. 3 (C). It can be measured while moving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or remote position (P2).

사용자의 나이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평균적인 명시역 범위의 중심점을 임의로 미리 설정하거나 설정된 속도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시선범위내 접근이격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위치를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맞춤위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접안부(124)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정시안상태에서 비정시안상태로 전이될 때 사용자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조절근점위치(P5)를 결정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절원점위치(P6)를 결정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 160), when moving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ward the eyepiece 124 and transitioning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based on the user-customized posi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 near point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may be determined while determining the position P5 or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D)와 같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원격위치(P2)에서 근접위치(P1)로 이동시키면서 조절근점위치(P5)를 결정하고, 연속적으로 근접위치(P1)에서 원격위치(P2)로 이동시키면서 조절원점위치(P6)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justed while moving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from the remote position P2 to the near position P1 as shown in FIG. 3 (D). The near point position (P5) is determined,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can be determined while continuously moving from the proximity position (P1) to the remote position (P2).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원격위치(P2)에서 근접위치(P1)로 접근이동하는 경우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상태로 전이 및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 도 3 (D)와 같은 방식에서는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될 때 사용자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조절근점위치(P5)를 결정한다.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pproaches and moves from the remote position P2 to the near position P1, a transition from the non-emmetropic state to the emmetropic state and the transition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occur. Here, in the method shown in FIG. 3(D), when the emmetropic state is transitioned to the non-emetropic state, the accommodation near point position P5 is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그리고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근접위치(P1)에서 원격위치(P2)로 이격 이동하는 경우도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전이 및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 도 3 (D)와 같은 방식에서는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전이될 때 사용자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조절원점위치(P6)를 결정한다. 이때,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이동속도를 점점 느리게 반복적으로 측정하면서, 수렴하는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s moved from the proximity position P1 to the remote position P2, a transition from the non-emetropic state to the emmetropic state and the transition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occur. . Here, in the method shown in FIG. 3 (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is determined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when transitioning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that converge while repeatedly measuring the moving speed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gradually slowly.

본 발명에 따른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상술한 네 가지 방법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원격위치(P2)에서부터 근접위치(P1)로 또는 근접위치(P1)에서부터 원격위치(P2)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하는 속도를 다르게 할 경우 측정되는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의 위치가 달리 측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이동속도가 빠를수록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 사이의 폭이 좁게 측정되며,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 사이의 폭이 넓게 측정된다.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by various methods other than the above four methods. For example, measurement may be performed while continuously moving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from the remote position P2 to the proximity position P1 or from the proximity position P1 to the remote position P2. Here, when the speed at which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is different, the positions of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may be measured differently. The faster the movement speed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s, the narrower the width between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int P6 is measured, and the slower the movement speed,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The width between positions P6 is measured as wid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복수의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절근점위치(P5)는 도 3 (B)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결정된 것을 선택하고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A)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결정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And, as described above, an appropriate one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ontrol near point positions P5 and control origin positions P6 measur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can be determ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 3(B)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can be determin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FIG. 3(A).

도 3 (A) 내지 (D)에서 측정된 각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는 서로 그 위치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이때, 조절근점위치(P5)는 도 3 (B)에서 측정된 조절근점위치(P5)가 바람직하며, 조절원점위치(P6)는 도 3 (A)에서 측정된 조절원점위치(P6)가 바람직하지만, 도 3 (C) 또는 도 3 (D)에서 측정된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선택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each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control origin position P6 measured in (A) to (D) of FIG. 3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is preferably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measured in FIG. 3 (B),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is preferably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measured in FIG. 3 (A). However,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measured in FIG. 3(C) or FIG. 3(D) can be selected.

신뢰성 있는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술한 측정과정을 반복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균하여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liably determine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the user repeatedly performs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process and averages the results to determine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It is desirable to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상술한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마다 고유의 시인도 임계정보로 환산할 수 있다. 시인도 임계정보는 상술한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 값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그 위치 값을 그대로 설정하거나, 기준위치로부터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거리값으로 표현되거나 또는 해당 위치에서의 디옵터 환산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근점 및 조절원점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조절력과 관련되는 요소로 사용자의 시력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시력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시력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시력 개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rt information determined by various methods of measuring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nd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into visibility threshold information unique to each user. The visibility threshold information is set based on the values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control origin position (P6), and either the position value is set as it is or the distance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from the reference position. It can be expressed as a value or as a diopter equivalent at that lo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near point and the control origin is a factor related to the user's control power and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arameter for evaluating the user's eyesight.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e user's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measurement mode and providing user-customized visual acuity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fied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visual acuity improvement can be maximized.

한편, 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안구를 향하여 적외선 혹은 빛을 출력하고 안구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혹은 빛을 수령하여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 있는지 또는 비정시안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은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안구의 시인도가 변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하는지를 체크하고 비정시안 상태로 변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혹은 안구가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하는지 체크하고 정시안 상태로 변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90)로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기초로 조절근점위치(P5)와 조절원점위치(P6)를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vision training device may include a sensor module that outputs infrared light or light toward the user's eyeball and receives the infrared light or light reflected from the eyebal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eyeball is in an emmetropic state or a non-emetropic state. can The sensor module repeatedly checks whether the visibility of the user's eyes changes at each set period.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yeball changes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non-emmetropic stat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eyeball changes from the emmetropic state to the emmetropic stat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yeball changes from the non-emmetropic state to the emmetropic state, the controller ( 190) may transmit a visibility change confirm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190 sets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based on the visibility change confirmation signal.

센서모듈은 자동 굴절 검사기의 검사원리와 같은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은 적외선 혹은 빛을 사용자의 안구를 향해 출력하는 광출력부와 사용자의 안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탐지하는 광탐지부 및 탐지된 반사광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구를 향하여 출력된 적외선 혹은 빛이 안구에서 맺히는 위치를 계산하는 굴절확인부를 포함한다.The sensor module may use the same mechanism as the inspection principle of an automatic refraction inspection machine. That is, the sensor module calculates the focal length of the light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rared rays or light toward the user's eyeball, the ligh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user's eyeball, and the detected reflected light, and uses this to calculate the output toward the eyeball. It includes a refraction confirmation unit that calculates a location where infrared light or light is focused on the eyeball.

제어부(190)는 측정모드를 통해 결정된 조절근점 위치(P5)와 조절원점 위치(P6)에 기초하여 선명시역 구간(AR)을 설정한다. 선명시역 구간(AR)은 조절근점 위치(P5)와 조절원점 위치(P6) 사이의 영역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이동범위(MR)내에서 선명시역 구간(AR)을 벗어난 구간(NAR1, NAR2)은 불명시역 구간이다.The controller 190 sets the clear viewing area AR based on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determined through the measurement mode. The clear field of view section AR corresponds to an area between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The sections NAR1 and NAR2 outside the clear viewing area AR within the movement range MR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re the unclear viewing area areas.

도 6는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튼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 후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하고 사용자입력부(160)의 훈련모드선택버튼을 누름으로써 훈련모드를 선택한다(S210). 6 is a flow chart showing a training mode process using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pplying power to the vision training device by pressing the power input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160, the user wears the vision training device and selects a training mode by pressing the training mode selection button of the user input unit 160 (S210).

사용자에 의해 훈련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범위(MR)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한다(S220). 훈련구간은 선명시역 구간(AR)을 포함하는 것이 시력향상에 효과적이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이동범위(MR) 내에서 선명시역 구간(AR)을 포함하여, 불명시역 구간(NAR1, NAR2)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더 포함하여 훈련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When a training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90 sets at least one training section within the movement range MR of the display 130 (S220). It is effective to improve visual acuity if the training section includes the clear vision section (AR). Here, the control unit 19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unclear vision section sections NAR1 and NAR2, including the clear view section section AR, within the movement range MR to set the training section as a training section.

상기 훈련구간내에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는 설정된 훈련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소정의 이격거리 만큼 이동한 후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단속적 이동 동작이 반복 수행된다(S230). 이때,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이동하는 속도 및 이동 후 대기하는 대기시간을 개별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경우, 시력훈련을 통한 시력개선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ithin the training sectio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continuously moves through the set training section or by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and then the intermittent moving operation of waiting for the set waiting time is repeatedly performed (S230). At this time, when the speed at which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and the waiting time after the movement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eyesight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sers, vision improvement through sight training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과정을 나타낸 순서이도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훈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별 시력특성을 반영하여 연속적 이동 속도 및 단속적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훈련구간내 복수의 측정위치 중 어느 한 측정위치에 위치시킨다(S310).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제1측정위치(MP1)에서 제2측정위치(MP2)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7 is a sequence diagram showing a training mode process us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rain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 Referring to these drawings, in order to set the continuous movement speed and the intermittent waiting time by reflecting the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first,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so that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s positioned at any one measurement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within the training section (S3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from the first measurement position MP1 to the second measurement position MP2.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 또는 센서모듈(200)을 통해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확인한다(S320). 조절적응 확인입력은 사용자가 인식하는 타겟이미지가 선명해졌음 또는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가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The control unit 190 checks whether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or the sensor module 200 (S320). The accommodative confirmation inpu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target image recognized by the user has become clearer or that the user's eyes have become emmetropic.

사용자는 제2측정위치(MP2)에서 타겟이미지가 선명해지는 순간 사용자입력부(160)를 누름으로써 조절적응 확인입력신호가 입력된다. 센서모듈(200)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 센서모듈(200)은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안구의 정시안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인 경우 제어부(190)로 조절적응 확인입력 신호를 전송한다.The user presses the user input unit 160 at the moment when the target image becomes clear at the second measurement position MP2, and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signal is input. When the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200, the sensor module 200 repeatedly checks the emmetropia state of the user's eyeballs at set intervals, and if the user's eyeballs are in the emmetropia state, the control unit 190 receives an accommodative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signal. send

조절적응확인 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측정위치(MP2)에 대한 적응시간을 저장한다(S330). 여기서, 조절적응 시간이란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제2측정위치(MP2)로 이동한 후 조절적응 확인입력이 입력되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절적응 시간은 사용자의 시력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에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위치는 소정의 디옵터값으로 환산될 수 있으며, 디옵터 환산값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When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adaptation time for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position MP2 (S330). Here,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 means the time from 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oves to the second measurement position MP2 until an accommodative adaptation confirmation input is input. These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s have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visual acuity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 the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may be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diopter value, and the diopter converted valu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이러한 조절적응 시간의 측정은 복수의 측정위치(MP1 내지 MP10) 모두에 대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각 측정위치들에 대한 조절적응 시간의 측정은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이동방향에 따라 구분되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한 측정위치에 대한 조절적응 시간이라도 타겟이미지를 인식하기 전에 위치하고 있던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위치에 따라 그 조절적응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Measurement of the adaptation time may be performed for all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MP1 to MP1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measure the adjustment adaptation time for each measurement position separately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his is because the adjustment adaptation tim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located before recognizing the target image, even if the adjustment adaptation time is for the same measurement position.

복수의 측정위치 각각에 대한 조절적응 시간이 결정된 경우, 제어부(190)는 결정된 조절적응 시간을 반영하여 위치별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단속적 유지시간 또는 연속적 이동속도(V)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S340). 단속적 유지시간은 해당 위치에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머무르는 시간이며, 연속적 이동속도(V)는 해당 위치를 통과하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속도를 의미한다.When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90 reflects the determined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 to select one of the display 130 for each position or the intermittent holding time of the lens 140 or the continuous moving speed V. One is set (S340). The intermittent holding time is the tim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stays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continuous moving speed V means the speed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passing the corresponding position.

단속적 유지시간 또는 연속적 이동속도(V)가 결정된 후,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해당 위치에서 설정된 유지시간 동안 머무르거나 해당 위치를 설정된 이동속도로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제어한다(S350).After the intermittent holding time or the continuous moving speed (V) is determined, the controller 190 display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 sta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for the set holding time or pass the corresponding position at the set moving speed ( 130) or the lens 140 is controlled (S350).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측정위치에 대한 적응시간을 고려하여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것은 사용자의 해당 위치에서의 조절적응 시간을 고려하여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력훈련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시력훈련을 통한 모양체근의 강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erforming vision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he adaptation time for each measurement location is performing vision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djustment adaptation tim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refore, vision trai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ciliary muscle strengthening through vis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조절적응 시간이 짧은 구간에서는 타겟이미지(T1)에 적응하는 시간이 짧아 사용자의 안구의 적응력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적응시간이 짧은 영역에서는 훈련구간의 폭을 비교적 크게 하고, 적응시간이 길게 걸리는 영역에서는 훈련구간의 폭을 비교적 작게 하여 사용자가 훈련 중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훈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section where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 is short, the adaptability of the user's eyeballs is relatively high as the time to adapt to the target image T1 is short. Therefore, the width of the training section is relatively large in the area where the adaptation time is short and the width of the training section is relatively small in the area where the adaptation time is long, so that the user can obtain an effective training effect without excessive load during training.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훈련구간 내에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의 연속적 이동속도 및 단속적 유지시간과 훈련구간의 폭을 사용자의 적응시간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시력개선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variably setting the continuous moving speed and intermittent holding time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n each training section and the width of the training s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daptation time, the effect of improving eyesight is more effective. can be maximized.

상술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190)는 효과적인 훈련구간 설정을 위해 선명시역구간(AR)내에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와 원격조절반응임계위치(P4)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선명시역구간(AR)의 폭과 사용자의 연령대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수치를 조합하여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와 원격조절반응임계위치(P4)를 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명시역구간(AR)의 폭이 넓은 경우 고조절적응구간(FAR)이 더 넓게 설정 될 수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고조절적응구간(FAR)의 폭을 더 좁게 설정 할 수 있다.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와 원격조절반응임계위치(P4) 사이의 구간을 고조절적응구간(FAR)로 설정 하며, 선명시역구간(AR)내 고조절적응구간(FAR) 이외의 구간(SAR1, SAR2)를 저조절적응구간으로 설정 할 수 있다. 고조절적응구간(FAR)은 측정된 위치(MP1 내지 MP10) 중 선택하여 설정 할 수도 있다. 고조절적응구간(FAR)은 사용자의 안구가 조절반응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구간으로, 훈련을 한다는 인식을 하지 않은 상태로 조절훈련을 통한 눈의 피로도를 낮추어 주는 방법으로 VR(Vertual Reality)에 접목하여 사용가능하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90 may set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control response threshold position P4 within the sharp viewing area AR for effective training section setting. The control unit 190 may set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control response threshold position P4 by combining the width of the clear viewing area AR and a numerical valu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clear visual range (AR) is wide, the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can be set wider, and the higher the age, the narrower the width of the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can be set. . The section between the proximity control adaptation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control response threshold position (P4) is set as the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and the interval other than the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within the clear vision range (AR) ( SAR1, SAR2) can be set as a low-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The high adjustment adaptation period (FAR) may be set by selecting one of the measured positions (MP1 to MP10). The high accommodative adaptation period (FAR) is a section in which the user's eyes can comfortably adjust the accommodative response, and it is a method of reducing eye fatigue through accommodative training without recognizing that the training is being performed. It can be used by grafting.

또 다른 훈련구간 설정 방법은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조절근점위치(P5) 또는 조절원점위치(P6)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가 조절근점위치(P5)로 이동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In another training section setting method, the controller 190 move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 one of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has moved to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제어부(190)는 조절근점위치(P5)에 위치한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설정된 이격단위만큼 원격위치(P2) 방향으로 이격시킨 후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그 위치를 유지하는 측정동작을 반복하도록 이동부(150)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렌즈(140)를 통해 인식되는 타겟이미지(TI)가 설정된 대기시간 안에 선명해지지 않는 경우,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입력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측정동작을 정지시키고 조절적응확인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의 디스플레이(130) 및 렌즈(140)의 위치를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로 설정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도 설정한다.The control unit 190 separate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located at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in the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P2 by a set distance unit, and then performs a measurement operation of maintaining the position for a preset waiting time. The moving unit 150 is controlled to repeat. When the target image TI recognized through the lens 140 does not become clear within a set waiting time, the user inputs an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 When receiving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60, the control unit 190 stops the measurement operation and remotely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adjustment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Set to the critical position (P4). In the same way,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is also set.

또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190)는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및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나이에 따른 통계학적으로 평균적인 명시역 범위의 중심점을 임의로 미리 설정하거나 설정된 속도로 디스플레이(130) 혹은 렌즈(140)를 시선범위내 접근이격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위치를 사용자입력부(160)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맞춤위치를 기준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인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및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및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는 사용자의 연령을 기초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90 may automatically set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4. The control unit 190 arbitrarily presets the center point of the statistically average bright field range according to the user's age, or when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s approached and separated within the gaze range at a set speed, the user feels most comfortable. A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and a remote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4, which are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erence user-customized position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160, may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4 may be set based on the age of the user.

결정된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및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에 의해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및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이 정해진다. 여기서,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은 조절근점위치(P5)와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사이 영역에 해당하며,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은 조절원점위치(P6)와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 사이 영역에 해당한다. 각 저조절적응구간(SAR1, SAR2)은 사용자의 안구가 가지고 있는 조절여력(accommodation reserve power)의 범위를 반영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저조절적응구간(SAR1, SAR2)에서 시력훈련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절여력 및 조절력을 보다 확장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개선할 수 있다.The proximity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1 and the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2 are determined by the determined proximity accommodation adaptation threshold position P3 and remote accommodation adaptation threshold position P4. Here, the proximity low adjustment adaptation period (SAR1) corresponds to the area between the control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proximity control adaptation threshold position (P3), and the remote low adjustment adaptation period (SAR2) corresponds to the control origin position (P6) and the remote control It corresponds to the area between the adaptation critical position (P4). Each of th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s SAR1 and SAR2 is an interval reflecting the range of accommodation reserve power of the user's eyeball. When vision training is performed in these low accommodative adaptation intervals (SAR1, SAR2), the user's eyesight can be improved by further expanding the user's accommodative power and accommodative power.

제어부(190)는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및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이 설정된 경우,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및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훈련구간에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훈련구간은 고조절적응구간(FAR)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및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시력향상에 효과적이다.When the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1 and the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2 are set, the control unit 190 selects at least some of the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1 and the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2 as a training period.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be included in . That is, the training section may include only the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but including at least one partial interval of the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1) and the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2) is effective in improving eyesight. .

훈련구간은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내지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으로 설정되거나,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내지 고조절적응구간(FAR)으로 설정되거나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 내지 고조절적응구간(FAR)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또는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만을 훈련구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훈련구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이 없을 경우, 제어부(190)가 임의로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선택할 수도 있다.The training section is set to a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1) to a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2), or set to a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1) to a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or a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2). ) to high accommodative adaptation intervals (FAR). Of course, only the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1) or the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period (SAR2) may be set as the training period.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se training sections or combine them. If there is no user selection, the controller 190 may arbitrarily set and select a training section.

훈련구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훈련구간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훈련구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왕복 이동시키거나,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를 설정된 이격거리만큼 이동시킨 후 설정된 훈련시간 동안 대기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시선방향으로의 이동은 렌즈(140)의 디옵터 값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일으킨다. 즉, 굴절률을 변화시키게 된다.When the training section is set,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to move within the training section. The controller 190 may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e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 That is, after the controller 190 continuously reciprocate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within the training range, or move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by the set separation distance within the set training range, During the set training time, the waiting operation can be repeatedly performed. Movement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in the viewing direction causes the same effect as changing the diopter value of the lens 140 . That is, the refractive index is changed.

이때 타겟이미지(T1)은 거리에 따라서 이미지 상의 크기가 변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가 접안부(124)로 가까이 접근 할수록 이미지 상의 크기를 점점 작게하고, 반대로 원격위치(P2)로 멀어 질수록 이미지 상의 크기를 점점 크게 설정한다. 이를 통해 좀더 정확한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arget image T1 may change according to the distance. For example, the closer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pproaches the eyepiece 124, the smaller the size of the image is, and conversely, the closer the distance to the remote location P2 is, the larger the size of the image is set. Through this, more accurate control power measurement and training are possible.

이러한 훈련에 의해, 사용자의 모양체근은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타겟이미지(TI)와의 초점거리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며, 이에 따라, 모양체근이 강화된다.Through this training, the user's ciliary muscle contracts or relaxes to adapt to the change in focal length with the target image TI,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nd thus the ciliary muscle is strengthened. .

시력훈련이 완료되면, 시력훈련장치는 훈련을 종료하고 훈련데이터를 메모리(180)에 저장한다. 훈련 데이터는 한 사이클의 훈련이 종료되기까지의 시간정보, 훈련모드, 훈련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훈련데이터는 사용자별로 저장되며, 저장된 훈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훈련에 따른 시력 개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력개선정도를 확인하여 앞으로의 훈련계획 및 훈련방향을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When the vision training is completed,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ends the training and stores the training data in the memory 180. The training data includes information about time until one cycle of training ends, training mode, training conditions, and the like. Training data is stored for each user, and the degree of visual acu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raining may be confirmed by analyzing the stored training data.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degree of visual acuity improvement and effectively set a future training plan and training direc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시력에 대응하는 조절근점위치(P5) 및 조절원점위치(P6)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훈련구간을 설정하므로 시력개선효과가 높다.The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near point P5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origin P6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visual acuity, and sets the training sec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so the visual acuity improvement effect is high.

도 9은 렌즈(140)의 이동에 따른 훈련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디스플레이(130)의 이동 및/또는 렌즈(140)를 이동시킴으로써 타겟이미지(TI)와 안구 사이의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시력과 관계되는 모양체근을 강화할 수 있다. 렌즈(140)의 이동을 통한 시력훈련도 상술한 디스플레이(130)의 이동에 따른 측정모드 및 훈련모드에 대한 설명 내용과 같다. 즉, 렌즈(140)를 이동함으로써, 렌즈(140)의 위치를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P3),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P4), 조절근점위치(P5), 조절원점위치(P6)를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고조절적응구간(FAR)과 근접저조절적응구간(SAR1) 및 원격저조절적응구간(SAR2)을 설정하여 시력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trai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ens 140. As can be seen in FIG. 9, the vis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focal distance between the target image TI and the eyeball by moving the display 130 and/or the lens 140 so as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visual acuity. can strengthen the ciliary muscles. Vision train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lens 140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measurement mode and training mo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30 described above. That is, by moving the lens 140, the position of the lens 140 is measured as the proximity adjustment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3), the remote adjustment adaptive threshold position (P4), the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P5), and the adjustment origin position (P6). Based on this, vis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by setting a high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FAR), a near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1), and a remote low accommodation adaptation interval (SAR2).

이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의 이동 모두가 타겟이미지(T1)와 안구 사이의 초점 거리를 변화시킨다는 동일한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물론, 디스플레이(130)와 렌즈(140)를 함께 이동시킴으로써 타겟이미지(TI)와 안구 사이의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시력과 관계되는 모양체근을 강화할 수도 있다.This is due to the same characteristic that movement of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both changes the focal distance between the target image T1 and the eyeball. Of course, by moving the display 130 and the lens 140 together, the focal distance between the target image TI and the eyeball may be changed to strengthen the ciliary muscle related to visual acuity.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시력훈련장치는 시선방향을 따라 복수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시력훈련장치는 시선방향을 따라 접안부(124)와 렌즈(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렌즈(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단일 렌즈일 때보다 더욱 다양한 굴절률 변화를 통한 시력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제2렌즈(145)는 렌즈(140)와 디스플레이(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렌즈(145)는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150)는 렌즈(140) 및 제2렌즈(145)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거나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150)는 피에조 액츄에이터, VCM 액츄에이터, 엔코더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로 채택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0)는 제2렌즈(145)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이동부는 피에조 액츄에이터, VCM 액츄에이터, 엔코더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할 수 있다. 제2렌즈(145)에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초점거리의 조절에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정 또는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추가될 수 있다.10 is an explanato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ision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10, this vision train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along the gaze direction. The vision training device may include a second lens 145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124 and the lens 140 along the gaze direc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lenses in this way, vis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through more diverse refractive index changes than when using a single lens. The second lens 14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ns 140 and the display 130 .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145 may be fixed or movable. Here, the mov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move at least one of the lens 140 and the second lens 145 or may move together. To this end, the moving unit 150 may be adopted as any one of a piezo actuator, a VCM actuator, and an encoder actuator. Also, the moving unit 150 may include a second mov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lens 145, and the second moving unit may adopt any one of a piezo actuator, a VCM actuator, and an encoder actuator. At least one fixed or movable lens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econd lens 145 to additionally influence the adjustment of the focal length.

본 발명에 따른 타겟이미지(TI)는 디스플레이(130)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의 상의 크기가 상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30) 또는 렌즈(140)가 접안부(124)로 접근할수록 타겟이미지(TI)의 이미지 상의 크기를 작게하고, 접안부(124)로부터 이격될수록 타겟이미지(TI)의 이미지의 상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정확한 조절력 측정 및 훈련이 가능하다.The size of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rrespondingly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isplay 130 . For example, the size of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I is reduced as the display 130 or the lens 140 approaches the eyepiece 124, and the image of the target image TI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eyepiece 124 increase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and train the accommodative power.

본 발명에 따른 타겟이미지는 상하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안구 근육을 운동시킬 수 있다.The target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up, down, left and right. Through this, various eye muscles can be exercised.

Claims (11)

시력훈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안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 전방에 타겟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접안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의 이동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범위 내에서 소정의 조절근점위치 및 조절원점위치 사이에 해당하는 선명시역구간을 설정하며,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선명시역구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근점위치 및 조절원점위치는 상기 사용자의 안구가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경되는 조절적응확인에 따라서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명시역구간내의 복수의 측정위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복수의 측정위치 각각으로 이동한 후 상기 조절적응확인신호가 입력되기까지의 시간인 조절적응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조절적응 시간을 바탕으로 상기 훈련구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렌즈를 이동시키는 훈련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In the sight training device,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eyepiece corresponding to a user's eyeball;
a display for displaying a target image in front of the user's visual direction;
a lens disposed between the eyepiece and the display;
a moving unit capable of moving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long the viewing direction;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et at least one training period within a movement rang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and control the moving unit to mov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within the training period,
The control unit sets a clear viewing area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djustment near point position and an adjustment origin position within the movement range,
The training section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clear viewing area section,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accommodation origin are se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accommodative adaptation in which the user's eyeball is changed from a non-emetropic state to an emmetropic stat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which is the time until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after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nd the lens move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positions in the sharp viewing area section. Time is measured, and a training speed for moving the display or the lens in the training s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accommodative adaptation tim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근점위치와 상기 조절원점위치는 상기 사용자입력신호의 입력을 통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signal from a user,
The sight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origin are set through the input of the user inpu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가 정시안 상태에서 비정시안 상태로 변화하거나 비정시안 상태에서 정시안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체크하여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인도 변경 확인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절근점위치와 상기 조절원점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or module for generating a visibility change confirmation signal by checking whether the user's eyeball changes from an emmetropic state to a non-emmetropic state or from a non-emmetropic state to an emmetropic state,
The sight trai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near point and the position of the adjustment origin based on the visibility change confirma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명시역 구간 내에서 사용자입력부 또는 센서모듈을 통한 연속적 또는 단속적 조절적응 속도 측정을 하며,
상기 측정된 속도를 반영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렌즈의 상기 훈련구간내 훈련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measures continuous or intermittent adjustment and adaptation speed through a user input unit or sensor module within the clear visual range,
Sight trai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ining speed of the display and the lens within the training section is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measured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명시역 범위 내에서 소정의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 및 원격조절적응 임계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근접조절적응임계위치 및 상기 원격조절적응임계위치의 사이에 해당하는 고조절반응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sets predetermined proximity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s and remote control adaptive threshold positions within the clear viewing range;
The training section includes at least a part of a high accommodation response section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proximity accommodative adaptation critical position and the remote accommodative adaptation critic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 또는 상기 렌즈와 상기 접안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Sight train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lens disposed between the lens and the display or between the lens and the eyepiece along the viewing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제2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7,
Sight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nit selectively moves at least one of the lens and the second le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피에조 액츄에이터, VCM 액츄에이터, 엔코더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8,
Sight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nit is any one of a piezo actuator, a VCM actuator, an encoder actu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vis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unit comprises a second mov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l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에 따라 상의 크기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rget image is a vis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KR1020197008578A 2016-12-15 2017-10-02 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KR1025413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739 WO2018110743A1 (en) 2016-12-15 2016-12-15 Device for training vision by means of ciliary muscle exercise
KRPCT/KR2016/014739 2016-12-15
PCT/KR2017/011094 WO2018062979A1 (en) 2016-09-30 2017-10-02 Visual training device for training ocular muscles based on user's visual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404A KR20190087404A (en) 2019-07-24
KR102541332B1 true KR102541332B1 (en) 2023-06-09

Family

ID=6255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578A KR102541332B1 (en) 2016-12-15 2017-10-02 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1332B1 (en)
WO (1) WO201811074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227B1 (en) * 2020-08-27 2024-03-08 김성진 Methods of Prism Prescription Using The Difference in the Monocular Response Amplitude
KR102645226B1 (en) * 2020-08-27 2024-03-08 김성진 Methods of Calculation for A Presbyopia Addition
WO2024025055A1 (en) * 2022-07-29 2024-02-01 주식회사 에덴룩스 Vision training apparatus and vision train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636A (en) * 2001-05-28 2003-02-18 Nikon Corp Eye fatigue relieving apparatus
JP2010148738A (en) * 2008-12-25 2010-07-08 Panasonic Corp Visual acuity improvement training apparatus and visual acuity improvement training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1688A (en) * 1976-04-26 1977-11-04 Hirobumi Hayashi Eyesight recovery driller
JPH08257078A (en) * 1995-03-24 1996-10-08 Minolta Co Ltd Sight recovery training device
DE112004000144T5 (en) * 2003-01-16 2006-01-12 Horie, Hidenori, Yokohama Device for improving eyesight
JP2009153658A (en) * 2007-12-26 2009-07-16 Hollywood Mirror:Kk Visual acuity training system and apparatus
JP2010088539A (en) * 2008-10-06 2010-04-22 Panasonic Corp Eyesight recovery training apparatus
JP5255152B1 (en) * 2012-07-19 2013-08-07 孝郎 林 Variable focus glas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636A (en) * 2001-05-28 2003-02-18 Nikon Corp Eye fatigue relieving apparatus
JP2010148738A (en) * 2008-12-25 2010-07-08 Panasonic Corp Visual acuity improvement training apparatus and visual acuity improvement training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743A1 (en) 2018-06-21
KR20190087404A (en)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74401B2 (en) Vision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KR102414777B1 (en) Vision training device
US11793707B2 (en) Vision improving device
TWI619967B (en) Adjustable virtual realit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display modules
KR102541332B1 (en) Vision training device that trains the eye muscles based on the user's vision characteristics
US67428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xercising eyes
JP7168285B2 (en) Vision training device for improving fusion function
CN107307981B (en) Control method of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10177528B (en) Vision training device
CN105431765A (en) Focal length adjustment
US20200323728A1 (en) Vision training device with refractive index-adjustable lens
JP2014130204A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183398B1 (en) Ocular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KR102116564B1 (en) Ocular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JP2021196379A (en) Autofocus spectacle, and method and program for adjusting diopter thereof
KR101862381B1 (en) Mobile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image matching with focus of user's two eyes
JP2005198719A (en) Eye function training device
CN114236851B (en) Head-mounted display photo-electro-mechanical cooperatio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head-mounted display
JP2006055271A (en) Ocular function training apparatus and binoculars
KR20230065846A (en) Smart glasses
CN117289459A (en) Headset for achieving myopia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