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243B1 -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243B1
KR102541243B1 KR1020220101998A KR20220101998A KR102541243B1 KR 102541243 B1 KR102541243 B1 KR 102541243B1 KR 1020220101998 A KR1020220101998 A KR 1020220101998A KR 20220101998 A KR20220101998 A KR 20220101998A KR 102541243 B1 KR102541243 B1 KR 10254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stribution line
power supply
vertical sup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0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있어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된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운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의 설치 또는 운영의 관리를 위하여 관리유닛이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설치된 현장주변에 배치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Operating method for a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 제어설비의 취급상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오류를 초기에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여 사전 처리하고, 화재발생과 누전발생 예방을 위하여 공동주택에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와 변압기 및 해당 선로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배전함은 가공 또는 지중선로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또 다른 배전함 또는 각 가정으로 전기를 분배한다. 한편, 종래의 배전함은 화재에 취약하여 화재가 발생할 시 전선을 타고 화염이 번질 위험이 컸다. 또한, 종래의 배전함은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될 시, 유입된 물이 전선을 타고 배전반으로 이동하여, 누전이 발생할 수 있었다. 러한 누전은 감전사고의 원인이 되거나,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어, 안전상 매우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발생 및 누전발생을 예방을 위하여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과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하여 사전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어설비의 제공을 위하여 초창기 설치와 유지보수 등에서 대상 감시와 대상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 대상 촬영와 대상에 대한 방역을 위한 수단이 복수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수단들이 모듈화되어 장착과 탈거가 용이하고 위치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방역의 수준 강화하거나 혹은 대상물 감시의 수준을 강화하도록 그 수량을 증가시켜 설치하거나 반대로 그 수량을 감소시켜 그 수준을 저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패키지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적재적소에 위치되도록 하여 광역적인 설치시공과 유지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키지 자체의 안정적인 설치고정 및 각 구성부의 연동된 고정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관리 유지 보수 이동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있어서, 설치현장에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상기 설치현장에 하적되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12);를 갖춘 배전함케이스(1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배전선배출홀(21)을 구비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전선인출홀(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밀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있어 취급상의 문제점과 절차위반, 결합 설치 등의 오류 등 초기 준비과정과 중간과정을 전반적으로 관리하고 조기에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설비의 제공을 위하여 초창기 설치와 유지보수 등에서 대상 감시와 대상에 대한 살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 대상 촬영와 대상에 대한 방역을 위한 수단이 복수로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수단들이 모듈화되어 장착과 탈거가 용이하고 위치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방역의 수준 강화하거나 혹은 대상물 감시의 수준을 강화하도록 그 수량을 증가시켜 설치하거나 반대로 그 수량을 감소시켜 그 수준을 저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단을 패키지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적재적소에 위치되도록 하여 광역적인 설치시공과 유지관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키지 자체의 안정적인 설치고정 및 각 구성부의 연동된 고정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관리 유지 보수 이동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선 일부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Y-Y선 일부 부분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선 일부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Y-Y선 일부 부분 단면도로서,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은 배전함케이스(10)와, 기밀부재(20)와, 고정부재(30)와, 배전반(40)과, 다수의 배전선지지부재(50)와, 다수의 고정지지부재(60)와, 습도센서(80)와, 응축기(70) 및 소화기구(90)를 포함한다.
배전함케이스(10)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와, 도어(12)를 갖추고서, 배전을 위한 장소에 설치된다. 배전함케이스본체(11)는 상부에 구비되고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배전선인출홀(11a)과, 하부 후방에 구비되고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배수홀(11b)을 갖추며, 상부 내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고, 하부 내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다.
도어(12)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전방에 구비된다. 이때 도어(12)는 회전가능하게 배전함케이스본체(11)에설치되어 배전함케이스본체(11)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부재(20)는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배전선배출홀(21)을 구비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전선인출홀(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기밀부재(20)의 배전선배출홀(21)에는 배전선(DL)이 삽입되어 배전함케이스(10) 외부로 인출된다.
고정부재(30)는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후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30)는 바 형상을 이루며 다수 개가 구비된다. 배전반(40)은 배전부(41)와, 배전부(41)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전인입부(42)를 갖추며, 지중 또는 가공으로부터 인입된 전선의 전기를 분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전반(40)이 지중전선(UL)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분배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배전부(41)는 상하방으로 구비되어, 고정부재(30)에 설치되며, 누전차단기(41a)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전부(41)는 통상의 전기 분배에 사용되는 주지의 구조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실시예의 배전부(41)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배전선인입부(42)는 배전선안내부(42a)와, 배전선가이드부(42b)를 갖추고서, 배전부(41)로부터 분기되는 배전선(DL)을 안내한다. 배전선안내부(42a)는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되며 누전차단기(41a)로부터 인출되는 배전선(DL)이유입되는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과,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의 하부에 구비되고 후방으로 개구되며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2a2)과,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슬라이드홈(42a2)의 전방에 구비되어 슬라이드홈(42a2)과 연통되며 하방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되는 배전선안내부고정홀(42a3)을 갖춘다.
배전선가이드부(42b)는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과 슬라이드홈(42a2) 사이에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배전선가이드부(42b)는, 배전선(DL)이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에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고, 배전선지지부재(50)의 이동부(51)의 이동을 제한한다.
배전선지지부재(50)는 이동부(51)와, 배전선꺾임부(52)를 갖추고서, 배전반(40)의 배전선인입부(42)에설치된다. 이동부(51)는 하부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되고 배전선안내부고정홀(42a3)과 연통되는 이동부체결홀(51a)을 구비 하여 배전선안내부(42a)의 슬라이드홈(42a2)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51)는 상하방으로 형성된 패널 형상을 이룬다.
배전선꺾임부(52)는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며 배전선안내부(42a)의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으로부터 인출된 배전선(DL)이 상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인입홀(52a)과, 제1인입홀(52a)과 이웃되게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되고 제1인입홀(52a)을 통과한 배전선(D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52b)을 구비하여, 이동부(51)에 상하방으로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후방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전선꺾임부(52)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고정지지부재(60)는 이동부고정체(61)와, 지지체(62)를 갖추고서, 배전선지지부재(50)의 이동부(51)를 고정하고, 배전선지지부재(50)의 배전선꺾임부(52)를 지지한다. 이동부고정체(61)는 상하방으로 관통된 헤드부체결홀(61전원공급 제어설비)을 구비한 헤드부(61a)와, 배전선지지부재(50)의 이동부체결홀(51a)을 통과하여 배전반(40)의 배전선안내부고정홀(42a3)에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61b)를 갖춘다.
지지체(62)는 이동부고정체(61)의 헤드부(61a)의 헤드부체결홀(61전원공급 제어설비)에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전선꺾임부(52)를 지지한다. 습도센서(80)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전함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며, 측정 습도값이 기준 값 이상이면 냉각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습도센서(80)는 응축기(70)의 냉각케이스(71) 상부에 위치하며, 습도센서(80)의 습도측정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응축기(70)는 냉각케이스(71)와, 냉각기(72)를 갖추고서, 배전함케이스(1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다. 냉각케이스(7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후면 하부에 설치된다.
이때 냉각케이스-(71)는 배전함케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배전반(40)의 배전부(41)에 접촉되지 않아, 응축수에 의한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케이스(71)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수홀(11b)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응축수가 신속하게 배출된다.
냉각기(72)는 배전함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습도센서(80)로부터 냉각신호를 수신하면 냉기를 생산하는 냉기공급기(72a)와, 냉기공급기(72a)로부터 인출되고 배전함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냉각케이스(71)와 연결되는 냉기공급라인(72b)와, 냉각케이스로(71)부터 인출되고 배전함케이스본체(11)를 관통하여 냉기공급기(72a)로 인입되며 냉각케이스(71)를 통과한 냉기가 배출되는 냉기배출라인(72c)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냉기공급기(72a)의 냉기 생산 구조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소화기구(90)는 소화케이스(91)와, 소화분말튜브(92)를 갖추고서, 배전선(DL)을 따라 이동하는 화염의 진행을 막는다.
소화케이스(91)는 하부에 하방으로 관통형성된 소화분말배출홀(91a)이 구비되고, 배전선인입부(42)의 상부에 설치된다. 소화분말튜브(92)는 연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소화분말이 구비되며, 소화케이스(91)에 내장된다. 이때 소화분말튜브(92)는 화염이 닿을 시 녹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염이 닿을 시 소화분말이 넓게 퍼지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질소 등의 가스가 압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소화분말은 통상의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약제가 사용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도면으로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누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도 6과 같이 배전선(DL)을 따라 화염은 진행한다. 이때화염이 배전선(DL)을 따라 계속적으로 진행할 경우 화염이 각 수용가로 전달되어 대형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화염이 도 6과 같이 배전선(DL)을 따라 진행할 경우, 화염에 의해 소화분말튜브(92)가 찢어지면서 소화분말튜브(92) 내부의 소화분말이 도 7과 같이 분출된다.
따라서 배전선(DL)을 따라 진행하는 화염은 진압되게 된다. 한편, 배전선(DL)의 배전반(40) 연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전선(DL)을 기밀부재(20)에 삽입하여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내부로 유입한다.
그리고, 배전선(DL)을 배전선지지부재(50)의 배전선꺾임부(52)의 제2인입홀(52b)에 삽입하고, 제2인입홀(52b)로부터 인출된 배전선(DL)을 배전선꺾임부(52)의 제1인입홀(52a)에 삽입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배전선꺾임부(52)를 회전시키거나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배전선(DL)을 제2인입홀(52b) 또는 제1인입홀(52a)에 삽입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배전선(DL)을 제2인입홀(52b) 또는 제1인입홀(52a)에 삽입할수 있다. 계속해서, 배전선(DL)을 배전선안내부(42a)의 배전선유입홀(42전원공급 제어설비)에 삽입한 후, 배전부(41)에 배전선(DL)이 연결되기 용이한 위치에 배전선(DL)을 배치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고정지지부재(60)의 이동부고정체(61)를 배전선지지부재(50)의 이동부(51)의 이동부체결홀(51a) 및 배전선안내부(42a)의 배전선안내부고정홀(42a3)에 삽입체결하여, 배전선지지부재(50)의 이동부(51)를 고정한다.
이후, 배전선꺾임부(52)를 후방 하방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킨 후, 고정지지부재(60)의 지지체(62)를 이동부고정체(61)의 헤드부체결홀(61전원공급 제어설비)에 삽입체결하면서, 지지체(62)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하여, 지지체(62)가 배전선꺾임부(52)를 지지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배전부(41)에 위치한 배전선(DL)을 배전부(41)에 연결하여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전선꺾임부(52)에 의해 배전선(DL)이 꺾여진 상태를 유지하면, 도 9과 같이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전선인출홀(11a)과 기밀부재(20) 사이로 물이 유입될 시, 배전반(40) 방향으로 물이 이동하지 않아, 물에 의한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습도센서(80)는 배전함케이스(10)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보다 높을 경우, 응축기(70)의 냉기공급기(72a)로 냉기를 생산하라는 냉각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냉기공급기(72a)는 냉기를 생산하여 냉각케이스(71)로 공급하고, 냉각케이스(71)를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냉기공급기(72a)로 돌아온다.
이때, 냉각케이스(71)가 냉각되면, 전함케이스(10)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은 냉각케이스(71)에서 응축되어, 도10과 같이 응축수가 하부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상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으로서 설치현장에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상기 설치현장에 하적되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12);를 갖춘 배전함케이스(1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배전선배출홀(21)을 구비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전선인출홀(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밀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현장에는 복합유닛(1')이 설치되어 상기 설치현장의 상황과 상기 이송수단, 상기 설치현장의 작업자를 포함하는 대상물에 대해 촬영에 기반하는 대상물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상기 복합유닛(1')은, 일측 외곽의 제1외곽지지체(110')와 타측 외곽의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1연결구(11')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2연결구(12')로 연결되는 상판패널부(13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3연결구(13')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4연결구(14')로 연결되는 하판패널부(14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복합구조체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복합구조체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3복합구조체를 포함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된다.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근접하는 제1-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근접하는 제1-2유동을 포함하는 제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이격되는 제2-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이격되는 제2-2유동을 포함하는 제2유동이 수행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제1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1장착고정은 상기 제1-1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고,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제2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2장착고정은 상기 제1-2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된다.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노즐(3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몸체(312')와, 상기 제1몸체(312') 상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유동체(314')와, 상기 제1몸체(312') 하부에 구비되며 제1출몰체(315')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체(316')와, 상기 제1몸체(3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를 포함하는 제1-1복합구조체(310')와, 촬영체(411')를 통해 대상물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제1몸체(3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몸체(412')와, 상기 제2몸체(41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유동체(414')와, 상기 제2몸체(412') 하부에 구비되며 제2출몰체(415')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체(416')와, 상기 제2몸체(4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를 포함하는 제1-2복합구조체(410')와, 노즐(5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며 상기 제2몸체(4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몸체(512')와, 상기 제3몸체(512') 상부에 구비되는 제3-1회전유동체(514')와, 상기 제3몸체(51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회전유동체(515')와, 상기 제3몸체(5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3사이드연결체(513')를 포함하는 제1-3복합구조체(5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판패널부(130')는 하부로 출몰하여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에 삽입되는 사각의 제1삽입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는 상기 제1삽입체(131'')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1삽입체(131'')를 고정한다.
상기 하판패널부(140')는 상부로 출몰하여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에 삽입되는 사각의 제2삽입체(141'')를 포함하며,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는 상기 제2삽입체(141'')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2삽입체(141'')를 고정한다.
상기 제1구동체(316')는 단면이 사각인 상기 제1출몰체(315')를 상기 제2회전유동체(414')로 삽입되도록 구동시키며, 상기 제2구동체(416')는 단면이 사각인 상기 제2출몰체(415')를 상기 제3-1회전유동체(514')로 삽입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제2회전유동체(414')는 상기 제1출몰체(315')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1출몰체(315')를 고정하며, 상기 제3-2회전유동체(515')는 상기 제2출몰체(415')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2출몰체(415')를 고정하며, 상기 제1-1복합체(310') 내지 상기 제1-3복합체(510')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상판패널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서 상호 연동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의 하방단부에는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둘레방향 회전구동되는 제1회전삽입체(1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의 하방단부에는 테이퍼지는 형상으로 둘레방향 회전구동되는 제2회전삽입체(121')가 구비되며,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회전상비체와 상기 제2회전삽입체(121')가 상기 주변현장의 지면에 삽입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는 상기 제1회전삽입체(111')와 제1이격공간(S1')을 두고 구비되는 제1고정구조체(112')(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2회전삽입체(121')와 제2이격공간(S2')을 두고 구비되는 제2고정구조체(122')가 구비되고,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이격공간(S1')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외곽진입체를 파지하는 제1파지체(712')와, 상기 제2이격공간(S2')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2외곽진입체를 파지하는 제2파지체(713')와, 상기 제1파지체(712') 내지 상기 제2파지체(713')를 상호 연동시키는 연동브릿지(711')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브릿지(711')는, 상기 제1이격공간(S1')에서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1파지체(712')에 수평방향 회전힘을 가하며, 상기 제2이격공간(S2')에서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2파지체(713')에 상기 제1파지체(712')와 반대방향으로 수평방향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제1외곽지치체와 상기 제2외곽지치체를 상호간을 연동시켜 고정력이 보강되도록 한다..상기 제1고정구조체(112')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상하회전체(113')가 구비되어, 상기 제1상하회전체(113')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1파지체(712') 상부를 눌러 고정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고정구조체(122')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상하회전체(123')가 구비되어, 상기 제2상하회전체(123')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를 파지한 상태의 상기 제2파지체(713') 상부를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상하회전체(113')는 하방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좌우회전체(1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좌우회전체(1131')는 상기 제1파지체(712') 내부로 삽입되고, 좌우회전을 통해 상기 제1파지체(712') 내부에 연동된 고정힘을 가한다.
상기 제2상하회전체(123')는 하방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좌우회전체(1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좌우회전체(1231')는 상기 제2파지체(713') 내부로 삽입되고, 좌우회전을 통해 상기 제2파지체(713') 내부에 연동된 고정힘을 가하며, 성기 제2복합구조체는, 노즐(17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사이드몸체(172')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 상부에 구비되는 제1-1사이드출몰체(174')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 하부에 구비되는 제1-2사이드출몰체(175')와, 상기 제1사이드몸체(17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로 각각 삽입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173')를 포함하는 제2-1복합구조체(170')와,
촬영체(181')를 통해 대상물을 촬영하는 제2사이드몸체(182')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 상부에 구비되는 제2-1사이드출몰체(184')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 하부에 구비되는 제2-2사이드출몰체(185')와, 상기 제2사이드몸체(182')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로 각각 삽입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183')를 포함하는 제2-2복합구조체(183')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유닛(1')은,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1복합구조체(310') 상부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승하강되는 제1승강패널(15')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1복합구조체(310') 하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2승강패널(16')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2복합구조체(410') 상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3승강패널(17')과, 상기 제1외곽자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3복합구조체(510') 하부에 위치되어 승하강 이동되는 제4승강패널(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패널(15')은 상기 제1-1사이드출몰체(174')측으로 이동하면상기 제1-1사이드출몰체(174')는 상기 제1승강패널(15')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2승강패널(16')은 상기 제1-2사이드출몰체(175')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2사이드출몰체(175')는 상기 제1승강패널(15')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3승강패널(17')은 상기 제2-1사이드출몰체(184')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1사이드출몰체(184')는 상기 제3승강패널(17')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하고, 상기 제4승강패널(18')은 상기 제2-2사이드출몰체(185')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2사이드출몰체(185')는 상기 제4승강패널(18') 내부로 진입하여 압입힘을 가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원공급 제어설비가 설치되는 곳을 제1위치(T')라고 할때 상기 제1위치(T')를 구조물(W')이 둘러싼다. 이러한 상기 구조물(W')의 입구측의 제2위치(1L')와 제3위치(2L')에는 상기 복합유닛(T')이 배치되어 동작된다. 아울러 상기 제1위치(T') 주변의 제4위치(3L')와 제5위치(4L')에도 상기 복합유닛(1')이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전함케이스 20; 기밀부재
30; 고정부재 40; 배전반
90; 소화기구

Claims (2)

  1.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에 있어서,
    설치현장에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는 단계;
    상기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상기 설치현장에 하적되어 설치되는 단계; 및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이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는,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전방에 구비되는 도어(12);를 갖춘 배전함케이스(10)와: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된 배전선배출홀(21)을 구비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며, 배전함케이스본체(11)의 배전선인출홀(11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밀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현장에는 복합유닛(1')이 설치되어 상기 설치현장의 상황과 상기 이송수단, 상기 설치현장의 작업자를 포함하는 대상물에 대해 촬영에 기반하는 대상물 모니터링을 수행하되,
    상기 복합유닛(1')은,
    일측 외곽의 제1외곽지지체(110')와 타측 외곽의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1연결구(11')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2연결구(12')로 연결되는 상판패널부(130')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제3연결구(13')로 연결되며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제4연결구(14')로 연결되는 하판패널부(14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상판패널부와 상기 하판패널부(14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2수직지지체(16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1복합구조체와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제2복합구조체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분사를 수행하는 제3복합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동고정되며,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는,
    상기 제1연결구(11')와 상기 제2연결구(12')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근접하는 제1-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근접하는 제1-2유동을 포함하는 제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상판패널부(130')와 이격되는 제2-1유동과, 상기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4연결구(14')를 매개로 상기 하판패널부(140')와 이격되는 제2-2유동을 포함하는 제2유동이 수행가능하며,
    상기 제2복합구조체는,
    상기 제1외곽지지체(110')와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 사이에 제1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1장착고정은 상기 제1-1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며,
    상기 제3복합구조체는,
    상기 제2외곽지지체(12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 사이에 제2장착고정이 수행되되, 상기 제2장착고정은 상기 제1-2유동을 기반으로 장착력이 보강되되,

    상기 제1복합구조체는,
    노즐(3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는 제1몸체(312')와, 상기 제1몸체(312') 상부에 구비되는 제1회전유동체(314')와, 상기 제1몸체(312') 하부에 구비되며 제1출몰체(315')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체(316')와, 상기 제1몸체(3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1사이드연결체(313')를 포함하는 제1-1복합구조체(310')와,
    촬영체(411')를 통해 대상물 촬영을 수행하며 상기 제1몸체(3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몸체(412')와, 상기 제2몸체(412') 상부에 구비되는 제2회전유동체(414')와, 상기 제2몸체(412') 하부에 구비되며 제2출몰체(415')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체(416')와, 상기 제2몸체(4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2사이드연결체(413')를 포함하는 제1-2복합구조체(410')와,
    노즐(511')을 통해 소독액을 분사하며 상기 제2몸체(41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3몸체(512')와, 상기 제3몸체(512') 상부에 구비되는 제3-1회전유동체(514')와, 상기 제3몸체(512') 하부에 구비되는 제3-2회전유동체(515')와, 상기 제3몸체(512')의 양측으로 진퇴되며 상기 상기 제1수직지지체(150')')와 상기 제2수직지지체(160')로 삽입장착되는 제3사이드연결체(513')를 포함하는 제1-3복합구조체(510')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패널부(130')는 하부로 출몰하여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에 삽입되는 사각의 제1삽입체(1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유동체(314')는 상기 제1삽입체(131'')가 삽입되면 수평방향 회전을 일정힘으로 수행하여 삽입된 상기 제1삽입체(131'')를 고정하는 것인,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2. 삭제
KR1020220101998A 2022-08-16 2022-08-16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KR10254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98A KR102541243B1 (ko) 2022-08-16 2022-08-16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1998A KR102541243B1 (ko) 2022-08-16 2022-08-16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243B1 true KR102541243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1998A KR102541243B1 (ko) 2022-08-16 2022-08-16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082B1 (ko) * 2023-07-04 2024-09-04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 사고예방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39B1 (ko) * 2015-06-22 2016-05-10 (주)세종기술단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2303097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용 전원공급장치 구축방법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21359B1 (ko)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339B1 (ko) * 2015-06-22 2016-05-10 (주)세종기술단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2303097B1 (ko) * 2021-05-04 2021-09-16 주식회사 금산전기 배전선로용 전원공급장치 구축방법
KR102413369B1 (ko) * 2022-01-26 2022-06-29 주식회사 전기안전 매설형 지중 배전선로의 접지선 연결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421359B1 (ko) * 2022-03-24 2022-07-19 주식회사 한길이앤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선위치 감시 시스템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2082B1 (ko) * 2023-07-04 2024-09-04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인공지능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 사고예방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2041214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CN102570339B (zh) 用于电路保护的装置和方法
JPH07182953A (ja) 高電圧工業用回路遮断器に使用される搬送可能で遠隔操作されるラッキング装置
CN102926561A (zh) 一种机柜可移动的集装箱数据中心机房
KR102541243B1 (ko) 변압기에 접속된 배전선로의 전원공급 제어설비 구축방법
US20130279083A1 (en) Passive arc management system with a flue chamber
US805462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ealed for life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KR101683769B1 (ko) 지중배전선로의 접속인자 배전반구조
WO2017157204A1 (zh) 集装箱式数据中心的防御电磁脉冲攻击系统
KR100877123B1 (ko) 가공전선 연결형 배전함
CN111524409A (zh) 一种模块化可重构的真火训练设施
CN103747640A (zh) 拼接模块化数据中心基础设施及其拼接模块化数据中心
CN111969536A (zh) 一种电缆沟系统
KR101880296B1 (ko) 345kV 지중송전선로의 연결 차단 장치
KR101962367B1 (ko) 내진기능을 갖춘 배전선로 고정대
JP2024526328A (ja) ウォーターインジェクション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CN211201269U (zh) 一种储能集装箱
EP1761121B1 (en) Arrangement for the cooling of liquid-cooled electrical equipment
CN212973942U (zh) 一种楼宇监控机房防火机柜
KR101619339B1 (ko)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KR102011685B1 (ko)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CN114272532A (zh) 一种变压器运行监测装置
KR102556377B1 (ko) 인공지능 기반 공동주택의 방화문 제어장치 구축방법
KR100842097B1 (ko)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