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033B1 -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033B1
KR102541033B1 KR1020220161415A KR20220161415A KR102541033B1 KR 102541033 B1 KR102541033 B1 KR 102541033B1 KR 1020220161415 A KR1020220161415 A KR 1020220161415A KR 20220161415 A KR20220161415 A KR 20220161415A KR 102541033 B1 KR102541033 B1 KR 102541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roup
time
weekl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락
Original Assignee
프로티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티앤에스(주) filed Critical 프로티앤에스(주)
Priority to KR102022016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033B1/ko
Priority to KR1020230071140A priority patent/KR102624825B1/ko
Priority to KR1020230071138A priority patent/KR10262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eth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단말식별계정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식별계정 및 상기 단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C RIGHTS BASED ON USER POSITION AND TASK}
본 발명은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업에서는 PC를 통하여 영업비밀 등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정근로시간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PC 사용을 제어할 필요성은 더욱 크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직책 및 업무에 따라 PC의 제어권한의 부여 및 네트워크의 접속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8994호 (2015.05.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단말식별계정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식별계정 및 상기 단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은,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주간근무시간에서 현재시점까지 상기 사용자단말을 이용한 PC사용시간을 뺀 나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기설정된 주간기준시간,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들의 평균 주간 PC 사용시간에 대응하는 기본사용시간,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의 제1 사용자의 수, 상기 그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수, 상기 프로젝트마다 기설정된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직급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아래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되되,
Figure 112022127103417-pat00001
WWH(Weekly Working Hout)는 상기 주간근무시간을 의미하고, WSH(Weekly Standard Hous)는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의미하고, BUH(Basic Usage Hour)는 상기 기본사용시간을 의미하고, NoP(Number of Projects)는 상기 그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수를 의미하고, EPH(Estimated Processing Hour)_n은 n번째 프로젝트의 상기 예상진행시간을 의미하고, DL(DeadLine)_n은 주(week)로 구분되는 n번째 프로젝트의 상기 마감기간을 의미하고, PC(Promotion Coefficient)는 직급별 업무할당량에 따라 기설정된 진급계수를 의미하고, NoR(Number of Rank)은 상기 그룹에 소속된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직급의 개수를 의미하고, k는 상기 그룹에서 최고 직급을 1로 설정하고, 한 단계 아래 직급으로 갈수록 1이 증가하도록 설정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직급에 대응하는 수를 의미하고, HAC(Hour Allocation Constant)는 기설정된 시간할당상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간할당상수는, 아래 수학식에 의하여 산출되되,
Figure 112022127103417-pat00002
NoGM(Number of Group Members)은 상기 그룹에 소속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수를 의미하고, NoU(Number of User)_m은 상기 그룹에서 최고 직급을 1로 설정하고, 한 단계 아래 직급으로 갈수록 1이 증가하도록 설정했을 때, m번째 직급에 해당하는 제1 사용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간근무시간이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간근무시간과 상기 주간기준시간의 차이시간에 기반하여 야근신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야근신청정보를 상기 그룹의 그룹장이 사용하는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그룹의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전체주간근무시간의 평균이 기설정된 법정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예상진행시간 및 상기 마감기간의 변경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하여, 상기 그룹에 할당된 그룹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에 상기 그룹NAS의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임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기설정된 사정거리내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단말의 제1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 중 다른사용자에 의하여 제어중인 제2 사용자단말의 제2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는 동일그룹사용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고, 상기 그룹장단말로 상기 그룹NAS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기설정된 제2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을 사용중인 상기 제1 사용자 중에서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제2 사용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 상기 그룹NAS의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상기 제2 임계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별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과 직급별 차등 형성되는 업무시간 할당비율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NAS에 접근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을 사용하려는 사용자에게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단말(200)의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100)는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100)'로 호칭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단말(2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100)는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11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단말식별계정 및 상기 사용자단말(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식별계정은 상기 사용자단말(200) 자체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써, 예를 들면 맥어드레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ID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사용자식별계정 및 상기 단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단말(200)별로 지정된 사용자가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사용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사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업무에 따라 할당된 PC사용시간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기업의 기밀유출방지 및 법정근로시간을 준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은,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주간근무시간에서 현재시점까지 상기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한 PC사용시간을 뺀 나머지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별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과 직급별 차등 형성되는 업무시간 할당비율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기설정된 주간기준시간,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들의 평균 주간 PC 사용시간에 대응하는 기본사용시간,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의 제1 사용자의 수, 상기 그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수, 상기 프로젝트마다 기설정된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직급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기준시간은 근로자의 평균근로시간으로써, 1일 8시간 근무로써, 주간 4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본사용시간은 프로젝트가 진행하지 않아도 기본적인 업무에 의하여 PC를 사용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전체 사용자들이 별도 프로젝트가 없을 때의 PC 사용시간의 평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젝트마다 상기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한을 상기 그룹의 그룹장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직급에 따라 맡는 업무량이 상이하므로, 그에 따라 해당 프로젝트에 따라 PC의 사용시간도 차등적으로 할당될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2127103417-pat00003
이 때, WWH(Weekly Working Hout)는 상기 주간근무시간을 의미하고, WSH(Weekly Standard Hous)는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의미하고, BUH(Basic Usage Hour)는 상기 기본사용시간을 의미하고, NoP(Number of Projects)는 상기 그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수를 의미하고, EPH(Estimated Processing Hour)_n은 n번째 프로젝트의 상기 예상진행시간을 의미하고, DL(DeadLine)_n은 주(week)로 구분되는 n번째 프로젝트의 상기 마감기간을 의미하고, PC(Promotion Coefficient)는 직급별 업무할당량에 따라 기설정된 진급계수를 의미하고, NoR(Number of Rank)은 상기 그룹에 소속된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직급의 개수를 의미하고, k는 상기 그룹에서 최고 직급을 1로 설정하고, 한 단계 아래 직급으로 갈수록 1이 증가하도록 설정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직급에 대응하는 수를 의미하고, HAC(Hour Allocation Constant)는 기설정된 시간할당상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진급계수는 직급의 차등에 따라 업무분배를 얼마만큼 더 많이 하는지에 대한 계수로써, 예를 들어, 사원보다 대리가 1.2배 더 많이 일을 한다면, 상기 진급계수를 1.2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그룹의 그룹장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상기 주간기준시간이 40시간이고, 상기 기본사용시간이 20시간이고, 프로젝트의 수가 3개이고, 각각에 대한, 예상진행시간을 마감기한으로 나눈 값의 합이 70인 경우, 프로젝트 업무시간 할당비율이 적용되지 않은 시간값은 20+23.333 = 43.333일 수 있다.
다만, 상기 23.333은 프로젝트에 따른 업무시간으로써, 직급에 따라 차등하여 정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상기 시간할당상수는, 아래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2127103417-pat00004
이 때, NoGM(Number of Group Members)은 상기 그룹에 소속된 상기 제1 사용자의 수를 의미하고, NoU(Number of User)_m은 상기 그룹에서 최고 직급을 1로 설정하고, 한 단계 아래 직급으로 갈수록 1이 증가하도록 설정했을 때, m번째 직급에 해당하는 제1 사용자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로 예를 들면, HAC가 0.6으로 산출되고, PC가 1.2로 설정되는 경우, 직급별 프로젝트 업무시간 할당비율은 과장, 대리, 사원 각각 0.864, 0.72, 0.6으로 산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사원인 경우, 상기 23.333 * 0.6으로 13.99이 산출되고, 상기 주간기준시간 빼기 기본사용시간인 20시간을 더하여 33.99시간이 주간근무시간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간근무시간이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야근신청을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미리 상기 주간근무시간이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하고, 그룹장에게 야근신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주간근무시간이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간근무시간과 상기 주간기준시간의 차이시간에 기반하여 야근신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야근신청정보를 상기 그룹의 그룹장이 사용하는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정해진 법정근무시간 즉, 주간 52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트의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그룹의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전체주간근무시간의 평균이 기설정된 법정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예상진행시간 및 상기 마감기간의 변경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정근무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간 5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룹NAS에 접근하는 예시도이다.
그룹에서는 상기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자료를 공유할 필요가 있는 경우,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운영하는 경우가 있다. 그룹NAS는 그룹원 모두 무제한으로 접근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특정 업무에 따라 임시적으로만 접근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룹이 모두 모여 있는 때에는 특정 사용자가 그룹NAS에 접근하는 것을 상호 감시할 수 있어, 기업 기밀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자율좌석제로 운영되는 기업이 다수 있어, 상호 감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그룹NAS에 상시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사용자가 상기 그룹NAS에 접속하려는 경우,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단말(200)을 중심으로 근처에 동일한 그룹의 사용자가 일정비율 존재하는 경우에만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200)을 통하여, 상기 그룹에 할당된 그룹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에 상기 그룹NAS의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임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200)과 기설정된 사정거리내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단말(200-1)의 제1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200-1) 중 다른사용자에 의하여 제어중인 제2 사용자단말(200-2)의 제2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200-2)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는 동일그룹사용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고, 상기 그룹장단말로 상기 그룹NAS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주변에 다른 사용자가 없더라도 업무상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그룹장에게 임시로 사용허가를 요청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제1 임계비율은 그룹장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되되, 적절한 보안을 위하여 과반수 50%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기설정된 제2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단말(200-2)을 사용중인 상기 제1 사용자 중에서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제2 사용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200-2)로 상기 그룹NAS의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는, 업무상 필요한 경우, 인접한 다른 사용자 중에서 동일 그룹이면서 상기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을 가진 사람에게 임시적으로 그룹NAS의 접근을 요청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제2 임계비율은 그룹장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되되, 적절한 보안을 위하여 과반수 50%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1 시간은 후술하는 제2 시간보다 적게 설정되되, 그룹장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0분, 1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임시사용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상기 제2 임계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시간은 상술한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되, 그룹장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시간, 8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임시사용이긴 하나, 주변에 감시하는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사용시간을 길게 설정해도 안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단말식별계정 및 상기 사용자단말(200)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을 수신할 수 있다(S10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식별계정 및 상기 단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S105),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07).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S105),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200)의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S109).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S11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개시된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1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된 프로세서(processor);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단말식별계정 및 상기 사용자단말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식별계정 및 상기 단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권한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사용권한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식별계정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제어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는 경우,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이 없음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주간PC사용잔여시간은,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주간근무시간에서 현재시점까지 상기 사용자단말을 이용한 PC사용시간을 뺀 나머지로 설정되고,
    상기 주간근무시간은, 기설정된 주간기준시간,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않을 때 사용자들의 평균 주간 PC 사용시간에 대응하는 기본사용시간,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의 제1 사용자들의 수, 상기 그룹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수, 프로젝트마다 기설정된 예상진행시간 및 마감기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직급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간근무시간이 상기 주간기준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주간근무시간과 상기 주간기준시간의 차이시간에 기반하여 야근신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야근신청정보를 상기 그룹의 그룹장이 사용하는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그룹의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전체주간근무시간의 평균이 기설정된 법정근무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상기 예상진행시간 및 상기 마감기간의 변경을 나타내는 피드백정보를 상기 그룹장단말에게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하여, 상기 그룹에 할당된 그룹NAS(Network Attached Storage)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식별계정에 상기 그룹NAS의 접근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고,
    상기 접근권한이 상기 그룹NAS에 임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과 기설정된 사정거리내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단말의 제1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사용자단말 중 다른사용자에 의하여 제어중인 제2 사용자단말의 제2 단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단말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들의 수에 대응하는 동일그룹사용자수를 도출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기설정된 제1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고, 상기 그룹장단말로 상기 그룹NAS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기설정된 제2 임계비율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단말을 사용중인 상기 제1 사용자들 중에서 상기 그룹NAS에 상시접근을 허용하는 레벨인 제2 사용자를 도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기 제2 사용자단말로 상기 그룹NAS의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의 접근신청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단말수 대비 상기 제2 단말수가 상기 제1 임계비율을 초과하고, 상기 제2 단말수 대비 상기 동일그룹사용자수가 상기 제2 임계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제2 시간동안 상기 그룹NAS의 접근을 허용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61415A 2022-11-28 2022-11-28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41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415A KR102541033B1 (ko) 2022-11-28 2022-11-28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30071140A KR102624825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업무시간 및 그룹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0230071138A KR102629361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제어 및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415A KR102541033B1 (ko) 2022-11-28 2022-11-28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140A Division KR102624825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업무시간 및 그룹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0230071138A Division KR102629361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제어 및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033B1 true KR102541033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2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415A KR102541033B1 (ko) 2022-11-28 2022-11-28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230071140A KR102624825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업무시간 및 그룹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0230071138A KR102629361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제어 및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140A KR102624825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식별계정을 기반으로 업무시간 및 그룹 접근 권한 관리 시스템
KR1020230071138A KR102629361B1 (ko) 2022-11-28 2023-06-01 사용자 인증을 통한 제어 및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410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KR101518994B1 (ko) 2013-07-25 2015-05-15 주식회사 테르텐 Pc 사용 권한 부여 방법, 이를 포함하는 모듈, 서버, 및 시스템
KR20170104145A (ko) * 2014-12-30 2017-09-14 페이스북, 인크. 모바일 장치 리소스에 접근하는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8011A (ko) * 2018-10-29 2020-05-08 (주)코리센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문서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0943A (ja) * 2017-05-26 2018-12-20 株式会社平間理化研究所 現像液の濃度管理装置、及び、基板の現像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KR101518994B1 (ko) 2013-07-25 2015-05-15 주식회사 테르텐 Pc 사용 권한 부여 방법, 이를 포함하는 모듈, 서버, 및 시스템
KR20170104145A (ko) * 2014-12-30 2017-09-14 페이스북, 인크. 모바일 장치 리소스에 접근하는 권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48011A (ko) * 2018-10-29 2020-05-08 (주)코리센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문서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825B1 (ko) 2024-01-15
KR102629361B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095B2 (en) Correlating a task with a command to perform a change ticket in an it system
US11475147B2 (en) Implementing policy-based container-level encryption
US9747581B2 (en) Context-dependent transactional management for separation of duties
US8392547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hardware inventory in virtualized environments
US8051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storage firewall on data storage unit
US9904484B2 (en) Securing protected information based on software designation
US9208332B2 (en) Scoped resource authorization policies
US11095652B2 (en) Implementing a separation of duties for container security
US20200314109A1 (en) Time-based server access
CN109766708B (zh) 数据资源的访问方法、系统、计算机系统及存储介质
US20150143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okens authorizing on-device operations
US20140237625A1 (en) Method for unified end user license management in a drm system
US10628489B2 (en) Controlling access to one or more datasets of an operating system in use
US10867047B2 (en) Booting user devices to custom operating system (OS) images
KR102541033B1 (ko) 사용자 직책 및 업무 기반 pc 권한 제어 장치 및 방법
RU264349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щиты критических данных бортовой системы самолета
CN104871165A (zh) 固件实现的软件许可
US11182492B2 (en) Secure portable data apparatus
CN116992476B (zh) 应用权限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08030178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multiple role userid
US9245105B1 (en) Verification of remote job state for access control
US10571982B2 (en) Resettable write once read many memory
KR101620685B1 (ko) 타임-아웃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