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862B1 -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862B1
KR102540862B1 KR1020210011437A KR20210011437A KR102540862B1 KR 102540862 B1 KR102540862 B1 KR 102540862B1 KR 1020210011437 A KR1020210011437 A KR 1020210011437A KR 20210011437 A KR20210011437 A KR 20210011437A KR 102540862 B1 KR102540862 B1 KR 10254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upport member
sealing member
inner holder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435A (ko
Inventor
안범모
김문현
전영운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1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8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3Conne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의 침투가 차단되는 구조를 갖고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갖는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STERILIZING MODULE AND STERILIZ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LED(Light Emitting Diode)는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친환경성 광원으로 전기 전자 분야 뿐만 아니라 살균 처리 분야로도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살균 처리 분야에서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가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의 경우, 단파장의 자외선은 살균, 정화 등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 처리 분야에 적용되는 UV LED는 단파장의 UV LED일 수 있다.
UV LED는 패키지화되어 UV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UV LED 모듈은 유체 챔버와 결합되고, 유체 챔버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이 때, UV LED 모듈의 내부로 유체가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UV LED 모듈의 내부로 유체가 침투할 경우, 불량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UV LED 동작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UV LED 모듈의 유체 살균 기능 수행시, UV LED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UV LED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면, UV LED의 온도가 높아져서 그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V LED 수명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UV LED 모듈은 UV LED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방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397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24951호
본 발명은 유체의 침투가 차단되는 구조를 갖고, 우수한 방열 기능을 갖는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살균 모듈은,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측면에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기 나선부의 상부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선부의 하부 영역을 통해 상기 외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홀더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투과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살균 모듈은,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 영역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투과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홀더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 영역과,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 영역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투과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실링 부재는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끼움부 및 내부에 구비되는 제2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부를 통해 챔버의 일면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제2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끼움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살균 모듈은,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제1내부 홀더; 상기 제1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부 홀더; 상기 외부 홀더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내부 홀더; 및 상기 제2내부 홀더 및 상기 외부 홀더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홀더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나선부 및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나선부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측 나선부를 통해 상기 제2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홀더는, 외곽부에 상기 제1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홀더와 상기 투과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과 체결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모듈은,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는, 구성 요소들의 결합 부위와 유체가 맞닿는 위치에 실링 부재를 구비하여 광소자 모듈의 실장 공간으로 유체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여 우수한 방습 및 방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광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부재를 광소자 모듈의 하부에 구비하여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변형 예의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의 측 단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폭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UV LED를 포함하여 광을 방출하는 각종 소자를 총칭하여 '광소자'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의 측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개구부(1a) 및 제1수용 공간(SP1)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1)와, 내부 홀더(1)의 하부에 구비되고 나선부(2a)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2)와, 지지 부재(2)상에 구비되어 제1수용 공간(SP1)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LM)과, 제1수용 공간(SP1)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11)와, 투과 부재(11)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6)와,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10) 및 내부 홀더(1)와 외부 홀더(10)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부 홀더(1)는 상부에 개구부(1a)를 구비하고, 내부에 개구부(1a)와 연통되는 제1수용 공간(SP1)이 구비될 수 있다. 내부 홀더(1)는 개구부(1a) 및 제1수용 공간(SP1)에 의해 상, 하 관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1a)는, 제1수용 공간(SP1)보다 도 2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의 단면 폭이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수용 공간(SP1)은 개구부(1a)보다 가로 방향 단면 폭이 클 수 있다. 개구부(1a) 및 제1수용 공간(SP1)의 서로 다른 가로 방향 폭으로 인해 개구부(1a)와 제1수용 공간(SP1) 사이에는 내측 돌출부(1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1c)의 하면에는 원형 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1실링홈(1d)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홈(1d)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링홈(1d)은 내측 돌출부(1c)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실링홈(1d)이 내측 돌출부(1c)의 하면에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실링 부재(6)는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2)는 제1수용 공간(SP1)에 돌리면서 결합될 수 있고, 투과 부재(11)를 밀어서 제1실링 부재(6)를 압착시킬 수 있다. 압착된 제1실링 부재(6)는 투과 부재(11)와 내측 돌출부(1c) 사이의 계면을 밀폐하여 광소자 모듈(LM)로 유체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c)의 하면에 제1실링홈(1d)이 형성될 경우, 제1실링홈(1d)은, 제1수용 공간(SP1)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11)와 내부 홀더(1) 사이에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내부 홀더(1)는 제1수용 공간(SP1)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홀더(1)는 제1수용 공간(SP1)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내부 홀더(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SA)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이 구비될 경우, 유체가 존재하는 챔버(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내부 홀더(1)는, 유체에 노출되더라도 내식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홀더(1)는, PP, PVC등을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 또는 스테인리스 류, Al 합금 및 Cu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홀더(1)는 폴리머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2)는 제1수용 공간(SP1)의 가로 방향 단면 폭보다 작은 단면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의 하부이면서, 제1수용 공간(SP1)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외측면에 나선부(2a)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나선부(2a)를 통해 내부 홀더(1)의 제1수용 공간(SP1)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는 나선부(2a)의 상부 영역(UF)을 통해 내부 홀더(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나선부(2a)의 상부 영역(UF)이 내부 홀더(1)의 제1수용 공간(SP1)의 내측면의 나사산과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수용 공간(SP1)에는 지지 부재(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수용 공간(SP1)에는 지지 부재(2)의 상부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그 상부가 제1수용 공간(SP1)에 위치하며 광소자 모듈(LM)이 제1수용 공간(SP1)내에 위치하도록 광소자 모듈(LM)의 구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는 상단부에 광소자 모듈(LM)을 구비하기 위한 실장 공간(3)이 형성될 수 있다. 실장 공간(3)은, 일 예로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장 공간(3)은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부재(2)는 외곽부에 실장 공간(3)의 측벽을 구성하는 돌출부(2b)를 구비할 수 있다.
실장 공간(3)의 깊이 방향의 높이는, 광소자 모듈(LM)의 수직 방향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장 공간(3)은 내부에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될 경우, 높이 방향으로 광소자 모듈(LM)과의 여유 높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제1수용 공간(SP1)의 상단부에 배치되면서 지지 부재(2)의 상부에 구비되는 투과 부재(11)가 실장 공간(3)의 광소자 모듈(LM)의 광소자(L)의 상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장 공간(3)은 광소자 모듈(LM)과의 여유 높이가 구비됨으로써, 지지 부재(2)의 상부에 투과 부재(11)가 구비되더라도, 광소자(L)의 상면과 투과 부재(11)가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소자(L)의 파손 및 손상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이 높은 재질(예를 들어,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2)의 돌출부(2b)에 의해 측벽이 형성되는 실장 공간(3)의 높이는 내부 홀더(1)에 대한 지지 부재(2)의 결합력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실장 공간(3)의 높이, 즉, 실장 공간(3)의 깊이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가 내부 홀더(1)와 결합될 경우, 지지 부재(2)는 지지 부재(2)의 상부에 배치된 투과 부재(11)를 밀어서 투과 부재(11)와 내측 돌출부(1c) 사이의 제1실링 부재(6)를 압착시킬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가 압착되면서 투과 부재(11)와 내측 돌출부(1c)는 가까워질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2)는 강성이 높은 특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실장 공간(3)의 높이는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투과 부재(11)와 실장 공간(3)에 구비되는 광소자 모듈(LM)의 광소자 간의 여유 높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과 부재(11)와 광소자(L)의 접촉에 의한 광소자(L)의 파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지지 부재(2)의 돌출부(2b)를 통해 실장 공간(3)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실장 공간(3)에는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되어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이 지지 부재(2)로 전달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은 실장 공간(3)의 측벽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2)의 돌출부(2b)를 통해 신속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2b)의 상면에 접촉되는 투과 부재(11)는 쿼츠 재질, 글라스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쿼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쿼츠 재질은 광투과 측면에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돌출부(2b)를 통해 방열되는 열이 제1실링 부재(6)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의 지지 부재(2)에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되는 실장 공간(3)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링 부재(6)와 돌출부(2b) 사이에 구비되는 투과 부재(11)에 의해 광소자(L)에서 방출된 열이 제1실링 부재(6)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실링 부재(6)가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열화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제1실링 부재(6)의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실장 공간(3)에 광소자 모듈(LM)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실장 공간(3)은 광소자 모듈(LM)의 수평 방향의 가로 및 세로 단면 폭보다 큰 수평 방향의 가로 및 세로 단면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광소자 모듈(LM)은, 회로 기판(P), 회로 기판(P)의 상면에 구비되는 절연층, 절연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금속층(MT), 금속층(MT)상에 구비되어 광소자(L)의 단자와 연결되는 광소자 접속 패드,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는 전선 접합부(WD) 및 정전압 소자로 사용되는 제너다이오드(Z) 및 제너다이오드(Z)가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실장 공간(3) 내에 광소자 모듈(LM)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예를 들어, 볼트(BT))를 삽입하기 위한 제1결합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광소자 모듈(LM)의 회로 기판(P)에는 실장 공간(3)의 제1결합홀(H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광소자 모듈(LM)은 실장 공간(3)의 제1결합홀(H1)에 제2결합홀(H2)이 대응되게 위치하여 지지 부재(2)상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실장 공간(3) 내의 일측에 전선 통과부(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선 통과부(4)는 제1결합홀(H1)과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전선 통과부(4)는 광소자 모듈(LM)의 전선 접합부(WD)에 접합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광소자 모듈(LM)로 전기를 인가하기 위해 외측에서 내부로 전선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전선은, 전선 통과부(4)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전선은 전선 통과부(4)를 통과하여 광소자 모듈(LM)의 회로 기판(P)에 구비된 전선 접합부(WD)에 연결될 수 있다. 광소자 모듈(LM)은 전선 통과부(4)를 통과한 전선과 연결되기 위해 전선 접합부(WD)와 전선 통과부(4)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실장 공간(3)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는, 실장 공간(3)의 하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바닥면(2c)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이와 같은 형태의 지지 부재(2)를 구비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는, 바닥면(2c)이 평평한 면을 이루면서, 실장 공간(3)을 제외한 내부의 나머지 영역이 지지 부재(2)를 구성하는 재료로 인해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광소자 모듈(LM)의 실장 공간(3)을 형성하면서 광소자 모듈(LM)의 하부의 부피가 큰 벌크(bulk)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PP, PVC 등 폴리머 계열 또는 스테인리스 류, Al 합금 및 CU합금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재(2)는 금속 계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경우, 실장 공간(3)에 구비된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이 실장 공간(3)의 하부에 존재하는 금속 재질로 채워진 면적을 통해 신속하게 방열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2)는,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되는 실장 공간(3)을 제공하면서,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를 연결하는 연결 구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의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과, 상면에서 광소자 모듈(LM)을 지지하고, 실장 공간(3)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지지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어 벌크형의 하부를 통해 열전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의 지지 부재(2)는 우수한 방열 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광소자 모듈(LM)을 구비하는 지지 부재(2)의 실장 공간(3)의 하부를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벌크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방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제1수용 공간(SP1)의 상단부에는 투과 부재(11)가 구비될 수 있다. 투과 부재(11)는 제1수용 공간(SP1)의 가장 상단부에 배치되어 지지 부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일 수 있다. 투과 부재(11)는 지지 부재(2)의 돌출부(2b)의 상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투과 부재(11)의 외곽부에는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과 부재(11)의 외곽부 상면에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실링 부재(6)는 내측 돌출부(1c)의 제1실링홈(1d)에 구비되어 투과 부재(11)의 외곽부 상면에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 부재(6)는 제1실링홈(1d)에 구비되어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일 예로서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일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내부 홀더(1)에 대한 지지 부재(2)의 결합력에 의해 압착되면서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는, 지지 부재(2)의 나선부(2a)의 상부 영역(UF)이 내부 홀더(1)의 내측면의 나사산에 대응되도록 돌리면서 제1수용 공간(SP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를 돌리면서 삽입할 때, 돌출부(2b)의 상면에 접촉된 투과 부재(11)를 밀면서 제1실링 부재(6)를 압착시킬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지지 부재(2)와 내부 홀더(1)가 결합됨에 따라 투과 부재(11)와 내측 돌출부(1c)가 밀착되는 힘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유체가 존재하는 챔버(12)와 체결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SA)를 구성할 경우, 내부 홀더(1)가 챔버(1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를 밀폐하는 제1실링 부재(6)를 통해 광소자 모듈(LM)로 유체가 침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달리,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사이에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개구부(1a) 및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에 존재하는 계면을 통해 유체가 광소자 모듈(LM)이 위치하는 실장 공간(3)으로 침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의 계면에 제1실링홈(1d)을 형성하고, 제1실링 부재(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개구부(1a) 및 내측 돌출부(1c)와 투과 부재(11) 사이의 계면을 통해 침투되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우수한 방습 및 방수 기능을 구비할 수 다.
지지 부재(2)의 외측에는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10)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내측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내측 나선부(10a)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지지 부재(2)의 나선부(2a)의 하부 영역을 통해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PP, PVC 등을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 또는 스테인리스 류, Al 합금 및 Cu 합금 등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홀더(10)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지지 부재(2)의 하부 외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챔버(12)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홀더(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경우, 지지 부재(2)와 접촉되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의 방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2)는 벌크형 하부를 가지며 연결 구성 및 지지 구성이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되는 외부 홀더(10)에 의해 방열 면적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소자(L)에서 발생된 열의 열전도량이 높아지면서 신속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의 사이이면서, 지지 부재(2)의 나선부(2a)의 상부 영역(UF) 및 하부 영역(LF) 사이의 중간 영역(MF)의 주변에는 제2실링 부재(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일 예로서 수평 단면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일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단면 형상이 'C'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지지 부재(2)의 나선부(2a)의 상부 영역(UF) 및 하부 영역(LF)을 통해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지지 부재(2)를 통해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는 이격 거리를 두고 지지 부재(2)에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격 거리는, 제2실링 부재(7)가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챔버(12)의 일면이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챔버(12)의 일면은, 챔버(12)의 상면, 하면 및 좌, 우측을 포함하는 양측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 챔버(12)의 일면은 일 예로서 하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SA)에서, 챔버(12)와 체결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내부 홀더(1)가 챔버(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외부 홀더(10)가 챔버(12)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챔버(12)의 일면은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 사이의 이격 거리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2)의 일면은 제2실링 부재(7)의 하부이면서 그 하면이 외부 홀더(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달리,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 사이의 이격 거리에 제2실링 부재(7)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내부 홀더(1)의 주변에 위치하는 유체가 내부 홀더(1)와 챔버(12)의 일면과의 결합 부위 및 외부 홀더(10)와 챔버(12)의 일면과의 결합 부위를 통해 새어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 사이에 제2실링 부재(7)를 구비하되, 제2실링 부재(7)하면과 외부 홀더(10)의 상면 사이에 챔버(12)의 일면이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지지 부재(2)의 외측으로 외부 홀더(10)를 돌리면서 결합하는 결합력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제2실링 부재(7)의 하면과 외부 홀더(10)의 상면에 개재된 챔버(12)의 일면을 밀면서 제2실링 부재(7)를 압착시킬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제2실링 부재(7)를 압착시키면서 내부 홀더(1) 방향으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은, 제2실링 부재(7)를 통해 지지 부재(2)의 나선부(2a)의 중간 영역(MF)의 상방향으로 주변에 위치하는 내부 홀더(1)의 내측면의 나사산과 지지 부재(2)의 상부 영역(UF)간의 결합 부위를 밀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부 홀더(1)의 주변에 존재하는 유체가 제2실링 부재(7)에 의해 차단되어 외측으로 새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제2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지지 부재(2')와 내부 홀더(1)를 체결하는 연결 부재(5)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차이가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동일한 구성들의 형상 및 위치에 일부 차이가 있으나, 그 효과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내부 홀더(1)의 하부에 지지 부재(2')가 구비되고, 지지 부재(2')의 외측에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를 체결하는 연결 부재(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홀더(1)는 개구부(1a)와 제1수용 공간(SP1) 사이에 내측 돌출부(1c)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c)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과 부재(11)의 상면에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내측 돌출부(1c)의 경우, 제1수용 공간(SP1)의 상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나,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강성 유지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지지 부재(2')의 상부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상부의 나사산을 통해 연결 부재(5)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 영역(C1) 및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 영역(C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상, 하 관통되는 형상에 의해 내부에 제2수용 공간(SP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내측면의 제2체결 영역(C2)을 통해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 부재(2')와 연결 부재(5)는,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과 지지 부재(2')의 상부의 나사산이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수용 공간(SP2)은 내부 홀더(1)의 내측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용 공간(SP2)은 제1수용 공간(SP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는 제2수용 공간(SP2)으로 지지 부재(2')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제2수용 공간(SP2)에 돌리면서 삽입되고 상부의 나사산을 통해 연결 부재(5)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제2체결 영역(C2)을 통해 제2수용 공간(SP2)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2')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수용 공간(SP2)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2')의 외측면은,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과 대응되는 지지 부재(2')의 상부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외측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 부재(2')는 상부의 나사산을 통해 연결 부재(5)와 결합되므로, 연결 부재(5)의 제2수용 공간(SP2)에는 지지 부재(2')의 상부만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의 하부는 연결 부재(5)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2')의 하부는 지지 부재(2')의 상부보다 가로 방향 단면 폭이 큰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5)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 부재(2')의 하부의 상면에는 여유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여유 영역에는 연결 부재(5)의 하면이 접촉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연결 부재(5)의 하면이 지지 부재(2')의 여유 영역에 접촉되고,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과 지지 부재(2')의 상부 나사산이 접촉되면서 연결 부재(5)와 지지 부재(2')간에 2면의 접촉면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연결 부재(5)와 지지 부재(2')를 통해 방열 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방열 특성을 높일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상면에 광소자 모듈(LM)을 구비하여 실장 공간(3)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연결 부재(5)는 실장 공간(3)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2') 및 연결 부재(5)는 광소자 모듈(LM)의 실장 공간(3)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성들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2') 및 연결 부재(5)는 방열 성능이 주요하게 요구되는 구성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연결 부재(5)의 하면이 지지 부재(2')의 여유 영역에 접촉되고, 연결 부재(5)의 제1체결 영역(C1)과 지지 부재(2')의 상부 나사산이 접촉되어 지지 부재(2') 및 연결 부재(5)간에 2면의 접촉면이 존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장 공간(3)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 부재(2') 및 연결 부재(5)를 통해 방열 면적이 커지고 열전도량을 높아짐으로써 방열 특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는, 일측에 지지 부재(2')를 상, 하 관통하는 전선 통과부(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선 통과부(4)는 지지 부재(2')의 상부의 나사산의 일측이 절개되는 형태를 이루면서 지지 부재(2')의 일측에서 지지 부재(2')를 상, 하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2')의 상부의 나사산은 전선 통과부(4)에 의해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 통과부(4)는 지지 부재(2')의 상부의 나사산을 절개하며 형성되어 상부의 수평 단면 형상이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선 통과부(4)의 상부의 일측은 지지 부재(2')의 상부 나사산의 절개된 부위에 의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전선 통과부(4)의 하부는 지지 부재(2')의 상부보다 가로 방향 단면 폭이 큰 하부를 그대로 관통하며 형성되므로 수평 단면 형상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선 통과부(4)는 개구된 부위를 구비하며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열 구멍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 통과부(4)는 개구된 부위를 통해 공기 접촉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선 통과부(4)는 연결 부재(5)에서 발생하는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외측면에 제1체결 영역(C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체결 영역(C1)은 내부 홀더(1)의 내측면의 나사산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5)는 제1체결 영역(C1)을 통해 내부 홀더(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는 제1수용 공간(SP1)으로 돌리면서 삽입되고 제1체결 영역을 통해 내부 홀더(1)의 내측면의 나사산과 결합되면서 내부 홀더(1)와 체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5)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체결 영역(C1)과 대응되는 연결 부재(5)의 내측면은, 지지 부재(2)상에 구비된 광소자 모듈(LM)의 실장 공간(3)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은, 제1체결 영역(C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5)는,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을 통해 결합되는 지지 부재(2')보다 일정만큼 지지 부재(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돌출되는 부위를 통해 지지 부재(2')상에 구비되는 광소자 모듈(LM)이 실장되는 실장 공간(3)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PP, PVC 등을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 또는 스테인리스 류, Al 합금 및 Cu합금 등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 재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5)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경우,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된 연결 부재(5)가 실장 공간(3)을 측벽을 형성할 경우, 실장 공간(3)의 높이는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 재질의 연결 부재(5)를 통해 실장 공간(3)의 높이가 변형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장 공간(3)의 높이가 변형되어 투과 부재(11)의 하면과 광소자(L)가 접촉되면서 광소자(L)가 파손 및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는 제1체결 영역(C1)을 통해서 제1수용 공간(SP1)으로 돌려서 삽입되고, 제1수용 공간(SP1)의 가장 상단부에 구비되는 투과 부재(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연결 부재(5)의 외곽부의 상면에는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되는 제2실링홈(5a)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과 부재(11)와 연결 부재(5) 사이에는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홈(5a)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링홈(5a)은 연결 부재(5)의 외곽부 상면에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실링홈(5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제1실링 부재(6)는 연결 부재(5)의 외곽부 상면에 그 하면이 접촉되고, 그 상면이 투과 부재(11)의 하면에 접촉되면서 투과 부재(11)와 연결 부재(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제1수용 공간(SP1)에 돌리면서 결합되고, 결합력에 의해 제1실링 부재(6)가 압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실링홈(5a)이 연결 부재(5)의 외곽부 상면에 형성되어 제2실링홈(5a)에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내부 홀더(1)에 대한 연결 부재(5)의 결합력에 의해 투과 부재(1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로 압착될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투과 부재(11)와 연결 부재(5) 사이의 계면을 밀폐하여 실장 공간(3)으로 유체가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어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실링 부재(6)가 압착되면서 투과 부재(11)의 하면과 접촉되더라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장 공간(3)과 투과 부재(11) 사이의 일정한 이격 거리는 변화없이 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실장 공간(3)의 높이가 변형되어 투과 부재(11)와 광소자(L)의 접촉에 의해 광소자(L)가 파손 및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 사이에는 제2실링 부재(7')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실링 부재(7')는 그 상면이 내부 홀더(1)의 하면과 접촉되고 그 하면이 지지 부재(2')의 여유 영역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의 하면이 접촉되는 지지 부재(2)의 여유 영역은, 여유 영역 중 연결 부재(5)의 하면이 접촉된 영역의 외측 영역일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구비되되, 연결 부재(5)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실링 부재(7')는 연결 부재(5)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되, 연결 부재(5)의 제1체결 영역(C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링 부재(7')의 하면이 접촉되는 지지 부재(2')의 여유 영역은, 연결 부재(5)의 하면이 접촉된 영역의 외측 영역일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연결 부재(5)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어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구비되고, 제2실링 부재(7')의 외측면을 통해 챔버(12)의 일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실링 부재(7')는,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끼움부(7b) 및 내부에 구비되는 제2끼움부(7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제1끼움부(7b)를 통해 챔버(12)의 일면이 끼움 결합되고, 제2끼움부(7a)를 통해 연결 부재(5)가 끼움 결합되어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바람직하게는 제2실링 부재(7)를 수직 단면 형상이 'c'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내부 홀더(1)에 연결 부재(5)가 결합되고 난 다음, 제1수용 공간(SP1)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5)의 하부가 제2끼움부(7a)에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 부재(5)의 하부 외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연결 부재(5)의 제2수용 공간(SP2)으로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된 지지 부재(2')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실링 부재(7')는 내부 홀더(1)와 지지 부재(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의 외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제1끼움부(7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끼움부(7b)에는 챔버(12)의 일면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제1끼움부(7b)에 챔버(12)의 일면이 끼움 결합된 다음, 제2수용 공간(SP2)에 위치한 지지 부재(2')를 내부 홀더(1) 방향으로 돌려서 지지 부재(2')와 연결 부재(5) 간의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함에 따라 압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 방향으로 돌려서 결합되면서 내부 홀더(1)와 가까워짐과 동시에 제1끼움부(7b)에 끼움 결합된 챔버(12)를 밀면서 제2실링 부재(7')를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지지 부재(2')는 벌크한 형태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는 높은 강성을 갖고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부재(2')는 내부 홀더(1) 방향으로 더욱 강한 결합력을 갖도록 돌리면서 결합될 때 제2실링 부재(7')의 밀착력 및 압착력을 향상시키면서 변형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은, 제2수용 공간(SP2)에 의해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5)에 대해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벌크한 형태의 지지 부재(2')를 돌리면서 결합하므로 결속 유지력이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의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는, 연결 부재(5)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는 제1체결 영역(C1)이 형성되는 상부의 가로 방향 단면 폭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제2체결 영역(C2)이 형성되는 하부의 가로 방향 단면 폭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5)의 하부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는 제1체결 영역(C1)의 하부이면서, 제2체결 영역(C2)이 형성되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외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5)는, 제1체결 영역(C1)이 형성되는 상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체결 영역(C2)이 형성되는 하부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 영역(C2)이 존재하는 연결 부재(5)의 하부는, 내측면은 경사지지 않는 수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 영역(C2)이 존재하는 내측면과 대응되는 연결 부재(5)의 하부의 외측면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는, 제1체결 영역(C1)의 하방향으로 위치하는 연결 부재(5)의 하부가 하방향으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부재(5)의 하부는 제2실링 부재(7)의 제2끼움부(7a)에 끼움 결합되는 부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는, 제2끼움부(7a)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 부재(5)의 하부를 하방향으로 갈수록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는, 제2끼움부(7a)에 대한 끼움 결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는, 연결 부재(5)와, 제2실링 부재(7')간의 밀착력을 더욱 높여 보다 우수한 밀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5)가 제2끼움부(7a)로 끼움 결합되기 전,제2실링 부재(7')의 내측면은 수직한 일직선 형태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2)의 변형 예의 연결 부재(5)가 제2실링 부재(7')에 끼움 결합되면, 연결 부재(5)의 제1체결 영역(C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5)의 하부의 외측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인해 제2실링 부재(7')의 내측면이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실링 부재(7')는, 연결 부재(5)의 제1체결 영역(C1)의 바로 아래의 외측면과 동일한 형태로 내측면이 변형되면서, 연결 부재(5)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재(5)는, 연결 부재(5)의 제2체결 영역(C2)이 존재하는 연결 부재(5)의 하부가 하방향으로 갈수록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2끼움부(7a)로 끼움 결합될 때, 제2실링 부재(7')를 더욱 압착시키면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체결 영역(C1)의 바로 아래의 외측면과 제2실링 부재(7')의 내측면 사이는, 틈새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면서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제3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제1내부 홀더(1) 및 제2내부 홀더(9)를 구비하고, 실장 공간(3)의 측벽이 외부 홀더(10)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차이가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동일한 구성들의 형상 및 위치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효과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과 비교하여 특징적인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들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개구부(1a) 및 제1수용 공간(SP1)을 포함하는 제1내부 홀더(1)의 하부에 지지 부재(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내부 홀더(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2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의 내부 홀더(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a) 및 제1수용 공간(SP1)을 포함하는 제1내부 홀더(1)는 내부 홀더(1)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지지 부재(2)는 외측면에 외부 홀더(10)와 결합을 구현하는 나선부(2a)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상에는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될 수 있다. 광소자 모듈(LM)은 지지 부재(2)상에 구비됨에 따라 제1수용 공간(SP1)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광소자 모듈(LM)의 하부에 구비되되, 그 하부의 부피가 크게 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부재(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는 광소자 모듈(LM)의 광소자(L)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키기에 유리할 수 있다.
지지 부재(2)의 외측에는 외부 홀더(10)가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는 하부의 부피가 크게 형성되면서 벌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2)는 외측으로 결합되는 외부 홀더(10)와의 접촉 면적이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열전도율이 높아지고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에 대한 우수한 방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나선부(10a) 및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나선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홀더(10)는 상부 외측면에 외측 나선부(10b)를 구비하고, 하부 내측면에 내측 나선부(1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홀더(10)는 내측면 중 외측 나선부(10b)와 대응되는 상부의 내측면에는 나선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 홀더(10)는 외측면 중 내측 나선부(10a)와 대응되는 하부의 외측면에는 나선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내측 나선부(10a)를 통해 지지 부재(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내측 나선부(10a)의 상부의 나선부가 구비되지 않은 내측면은 지지 부재(2)의 상면보다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지지 부재(2)의 상면보다 돌출되며, 나선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부의 내측면을 통해 실장 공간(3)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홀더(10)가 제2내부 홀더(9) 내측으로 돌리면서 결합되어 내부 홀더 방향으로 가까워지며 밀착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실장 공간(3)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과 부재(11) 및 광소자(L) 간의 이격 거리가 항상 유지되어 광소자(L)의 파손 및 손상 방지에 유리할 수 있다.
외부 홀더(10)의 외곽부의 상면에는 제1실링 부재(6)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 예로서, 제1실링홈(1d)일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제1실링홈(1d)에 삽입되어 외부 홀더(10)와 투과 부재(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일 수 있다.
제1실링 부재(6)는 외부 홀더(10)와 제2내부 홀더(9)간의 결합력에 의해 압착되어 투과 부재(11)와 외부 홀더(10) 사이의 계면을 밀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홀더(10)는 외측 나선부(10b)를 통해 제2내부 홀더(9)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내부 홀더(9)는 내측면에 제1나선부(9a)가 구비되고, 외측면에 제2나선부(9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내부 홀더(9)는 제1나선부(9a)를 통해 제2내부 홀더(9)와 결합되고, 제2나선부(9b)를 통해 내부 홀더(1)와 결합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제2내부 홀더(9)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되, 제1나선부(9a)와 외측 나선부(10b)에 의해 돌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홀더(10)의 내부에는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된 지지 부재(2)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실링홈(1d)에 제1실링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제2내부 홀더(9)의 내부에 돌리면서 결합되어 투과 부재(11)와 외부 홀더(10) 사이의 제1실링 부재(6)를 압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실링 부재(6)는 외부 홀더(10)와 내부 홀더(1)간의 결합력에 의해 압착되어 투과 부재(11)와 연결 부재(5) 사이의 계면을 밀폐할 수 있다.
제2내부 홀더(9)는 PP, PVC 등을 포함하는 폴리머 계열 또는 스테인리스 류, Al 합금 및 Cu 합금 등을 포함하는 금속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내부 홀더(9)는 챔버(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체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내부 홀더(9)는 바람직하게는, 유체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폴리머 계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챔버(12)와 체결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2)만이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제2내부 홀더(9)를 통해 제1내부 홀더(1) 및 외부 홀더(10)가 챔버(12)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은, 챔버(12)와 체결된 상태에서, 광소자 모듈(LM)과 결합되는 지지 부재(2)만을 분리하여 광소자(L)의 수명 저하 및 광소자(L)의 고장 시 챔버(12) 내부의 유체를 비우지 않고도 광소자(L)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제2내부 홀더(9)와 외부 홀더(10) 사이에는 제2실링 부재(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수평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 재료의 링일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그 상면이 제2내부 홀더(9)의 하면과 접촉되고, 그 하면이 외부 홀더(10)의 하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하부로 갈수록 가로 방향 단면 폭이 커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홀더(10)는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의 가로 방향 단면 폭이 크게 형성되어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에 의해 여유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제2내부 홀더(9)와 외부 홀더(10) 사이에 구비되어 그 하면이 이러한 외부 홀더(10)의 여유 영역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홀더(10)는 제2내부 홀더(9)의 제1나선부(9a)를 통해 돌리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 부재(7)는 외부 홀더(10)의 하부의 여유 영역이 제2내부 홀더(9)의 하면과 가까워지면서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SA)에 구비될 경우, 챔버(12)의 일면은 제2실링 부재(7)의 하면과 외부 홀더(10)의 하부의 여유 영역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3)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SA)에 구비될 경우, 제2실링 부재(7)는 제2내부 홀더(9)와 챔버(12)의 일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외부 홀더(10)는 제2내부 홀더(9)의 내측으로 돌려서 결합될 때 외부 홀더(10)의 상부 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를 통해 챔버(12)의 일면을 밀어서 제2실링 부재(7)를 압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실링 부재(7)는 외부 홀더(10)와, 챔버(12)의 일면 사이에서 더욱 밀착되어 밀폐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살균 장치(S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 중 적어도 하나는, 챔버(12)와 체결되어 챔버(12) 내부에 저장된 유체에 대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은, 일부 구성 요소들의 결합 부위와 유체가 맞닿는 위치에 제1실링 부재(6) 및 제2실링 부재(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가 광소자 모듈(LM)이 구비되는 실장 공간(3)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은, 광소자 모듈(LM)을 구비하는 실장 공간(3)의 바닥면(2c)을 형성하는 지지 부재(2)를 부피가 큰 벌크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소자 모듈(LM)의 하부가 지지 부재(2)에 의해 부피가 큰 금속 계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은, 광소자 모듈(LM)의 하부가 지지 부재(2)에 의해 벌크한 형태의 금속 계열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광소자(L)에서 발생한 열에 대한 방열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실시 예에 따른 살균 모듈(S1, S2, S3)은, 유체가 내부로 침투되지 않는 구조를 갖고, 내부에 구비되는 광소자(L)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방열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SA: 살균 장치
S1, S2, S3: 살균 모듈
L: 광소자 LM: 광소자 모듈
1: 내부 홀더 2: 지지 부재
3: 실장 공간 5: 연결 부재
6: 제1실링 부재 7: 제2실링 부재
10: 외부 홀더

Claims (13)

  1.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 사이이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나선부의 중간 영역의 주변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홀더 및 상기 외부 홀더는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2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공간과 챔버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외부 홀더는 돌리면서 결합하는 결합력에 의해 상기 제2실링 부재를 압착하되, 상기 제2실링 부재의 하면과 상기 외부 홀더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챔버의 하면을 밀면서 상기 제2실링 부재를 압착하며 상기 내부 홀더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살균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외측면에 나선부가 구비되고,
    상기 나선부의 상부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나선부의 하부 영역을 통해 상기 외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홀더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1수용 공간 사이에 형성된 내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내측 돌출부와 상기 투과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
  4.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실링 부재는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끼움부 및 내부에 구비되는 제2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끼움부를 통해 챔버의 일면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제2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살균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 영역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투과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홀더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살균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 영역과, 상기 연결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 영역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내부 홀더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 영역을 통해 상기 제2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살균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투과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끼움부에 상기 연결 부재가 끼움 결합되는, 살균 모듈.
  10.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제1내부 홀더;
    상기 제1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외측면에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의 가로 방향 단면 폭이 크게 형성되어 하부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외부 홀더;
    상기 외부 홀더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내부 홀더; 및
    상기 외부 홀더의 돌출된 하부에 의해 형성된 여유 영역에 하면이 접촉되고 상면이 상기 제2내부 홀더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제2내부 홀더 및 상기 외부 홀더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챔버의 하면이 상기 여유 영역과 상기 제2실링 부재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홀더를 상기 제2내부 홀더의 내측으로 돌려서 결합할 때 상기 외부 홀더의 돌출된 하부가 상기 챔버의 하면을 밀고 상기 제2실링 부재를 압착시키는, 살균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홀더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나선부 및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나선부를 통해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측 나선부를 통해 상기 제2내부 홀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살균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홀더는, 외곽부에 상기 제1실링 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 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외부 홀더와 상기 투과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살균 모듈.
  13.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살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 모듈과 체결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모듈은,
    개구부 및 제1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내부 홀더;
    상기 내부 홀더의 하부에 구비되고 나선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광소자 모듈;
    상기 제1수용 공간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투과 부재;
    상기 투과 부재의 외곽부에 구비되는 제1실링 부재;
    상기 지지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 홀더; 및
    상기 내부 홀더와 상기 외부 홀더 사이이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나선부의 중간 영역의 주변에 구비되는 제2실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홀더 및 상기 외부 홀더는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제2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공간과 상기 챔버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외부 홀더는 돌리면서 결합하는 결합력에 의해 상기 제2실링 부재를 압착하되, 상기 제2실링 부재의 하면과 상기 외부 홀더의 상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챔버의 하면을 밀면서 상기 제2실링 부재를 압착하며 상기 내부 홀더 방향으로 가까워지는, 살균 장치.
KR1020210011437A 2021-01-27 2021-01-27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KR10254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37A KR102540862B1 (ko) 2021-01-27 2021-01-27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437A KR102540862B1 (ko) 2021-01-27 2021-01-27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35A KR20220108435A (ko) 2022-08-03
KR102540862B1 true KR102540862B1 (ko) 2023-06-07

Family

ID=8284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437A KR102540862B1 (ko) 2021-01-27 2021-01-27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8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951B1 (ko) 2017-02-08 2018-03-14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선박 평형수 살균처리장치
KR20180092633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유닛
KR102506586B1 (ko) * 2017-07-07 2023-03-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KR102103976B1 (ko) 2018-04-13 2020-04-23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자외선 살균 장치
KR20200042824A (ko) * 2018-10-16 2020-04-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이를 갖는 살균 장치
KR20200089179A (ko) * 2019-01-16 2020-07-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원 유닛 및 이를 갖는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435A (ko) 202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34B1 (ko) 광원 유닛
US11688831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module having thereof
EP2775538B1 (en) Light-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016176B2 (ja) 光源ユニット
US11904062B2 (en) Sterilization module
KR102540862B1 (ko)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
KR102533593B1 (ko)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00045247A (ko) 살균 유닛 및 이를 갖는 살균 장치
EP3136456B1 (en) Light emitting device
KR20180092633A (ko) 광원 유닛
US20220223762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emitting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16127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20200038587A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00042824A (ko) 광원 유닛 및 이를 갖는 살균 장치
US20240181100A1 (en) Sterilization module
US12009633B2 (en)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device
KR20180114708A (ko) 광원 유닛
KR102634699B1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00039415A (ko) 광원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 장치
US20210376562A1 (en)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ser device
KR20200034412A (ko)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161273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157065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