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85B1 - 전기 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85B1
KR102540685B1 KR1020160175948A KR20160175948A KR102540685B1 KR 102540685 B1 KR102540685 B1 KR 102540685B1 KR 1020160175948 A KR1020160175948 A KR 1020160175948A KR 20160175948 A KR20160175948 A KR 20160175948A KR 102540685 B1 KR102540685 B1 KR 10254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hea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container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2414A (ko
Inventor
허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4Arrangements of connectors, grounding, supply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가열부,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1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내부 영역에 상기 제1 패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전도성을 갖는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컴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레인지 {ELECTRIC RANGE}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를 인식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전기 레인지는 가스레인지에 비해 가스 누출이나 화염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적어 점차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1-0076166호는 이러한 전기 레인지에서 용기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한다. 요컨대 버너의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용기의 유무나 크기를 판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가스 레인지를 한 번 사용하여 버너의 온도가 높아진 후, 그 온도가 초기 상태로 고려된 온도로 내려가기 이전에 다시 사용하게 될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2011-0076166 A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의 위치나 크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전기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가열부,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1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내부 영역에 상기 제1 패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2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전도성을 갖는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컴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아래에서 상기 제1 가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가열부 및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둘레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3 패턴을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이 상기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더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아래에서 상기 제1 가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가열부 및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2 가열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4 패턴을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이 상기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더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4 패턴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상판 위에 전도성을 갖는 잉크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패턴이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되, 그 연결되는 양상들을 분간함으로써 용기의 위치나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소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중형 용기가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서 대형 용기가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작동 방식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의 개요도로서, 전기 레인지(100)의 일부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레인지(100)는 제1 가열부(111), 제2 가열부(112),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제4 패턴(124) 및 마이컴(130)을 포함한다.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는 전기 저항에 의해 직접 발열함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제조된 용기가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기 레인지(100)는 하이라이트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인덕션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가 복수 개로 설치되어, 어느 하나는 하이라이트로 작동하고 다른 하나는 인덕션으로 작동하는 복합적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이를 위한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가열부(11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판(P)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열부(112)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판(P) 아래에서 제1 가열부(1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열부(112)는 내경이 제1 가열부(111)의 직경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제1 가열부(111)와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는 필요에 따라 다각형 등과 같은 적절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은 상판(P) 위에 전도성을 갖는 잉크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패턴(121)은 제1 가열부(111)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때 제1 패턴(121)은 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턴(122)은 제1 가열부(111)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데, 제1 패턴(12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 패턴(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직경이 제1 가열부(111)의 직경보다 작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제1 가열부(111)와 동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패턴(123)은 제1 가열부(111)의 둘레에 형성된다. 이때 제3 패턴(1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제1 가열부(111)의 직경에 상응하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제1 가열부(111)와 동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 여기서 제3 패턴(123)이 제1 가열부(111)의 둘레에 형성된다는 말은 제3 패턴(123)이 제1 가열부(111)의 엄밀한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우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1 가열부(111)의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그 내부나 외부로 벗어나도록 형성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제3 패턴(123)은 필요에 따라 직경이 제1 가열부(111)의 직경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작거나 큰 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4 패턴(124)은 제2 가열부(112)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다. 이때 제4 패턴(12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제1 가열부(111)나 제3 패턴(123)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2 가열부(112)의 외경보다는 작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제1 가열부(111)와 동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은 마이컴(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그 전기적 연결 역시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으로부터 마이컴(130)으로 이어지도록 전도성 잉크가 도포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잉크의 구체적인 조성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이컴(130)은 적절한 전기 저항을 거쳐,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이 연결된 노드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DC(Direct Current) 5V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121)이 연결된 노드는 접지될 수 있다.
만약 상판(P) 위에서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의 내부 영역에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용기가 놓인다면,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은 그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이때 용기의 개별적인 위치나 크기에 따라, 예를 들어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만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1 패턴(121)과 제3 패턴(123)이 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 패턴(121)과 제4 패턴(124)도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가 용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면, 전압이나 전류가 달라지게 되는데, 마이컴(130)은 이러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이 서로 연결되는 양상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한 마이컴(130)의 구체적인 회로 배치는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나아가 마이컴(130)은 정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전압이나 전류가 달라지는 형태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 디지털 신호에 기초할 수도 있다. 즉 전압이나 전류가 특정 값 이상으로 되면 이를 HIGH 신호로 변환하고, 전압이나 전류가 특정 값 미만으로 되면 이를 LOW 신호로 변환하여, HIGH 신호가 출력되었는지 아니면 LOW 신호가 출력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이 서로 연결되는 양상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한 마이컴(130)의 구체적인 회로 배치 역시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욱이 마이컴(130)은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이 서로 연결되는 양상에 따라 용기의 위치와 크기를 판단하는데, 이하 그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에서 소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에서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에서 중형 용기가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에서 대형 용기가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 이해의 편의상 일부 구성 요소의 크기나 비율을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100)의 작동 방식에 대한 순서도로서, 그 순서는 임의로 지정한 것일 뿐이며, 시간적 선후 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P) 위에서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상대적으로 소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다면, 즉 용기가 제1 가열부(111)의 내부 영역에 제1 가열부(111)와 실질적인 동심으로 놓인다면,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은 그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30)은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소형 용기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큰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P) 위에서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지 않는다면, 즉 용기가 제1 가열부(111)와 과도한 편심으로 놓인다면,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30)은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마이컴(130)은 사용자에게 용기를 정 위치에 다시 배치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마이컴(130)은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이기 전까지 안전을 위해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가 작동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P) 위에서 상대적으로 중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다면,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제1 패턴(121)과 제3 패턴(123)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30)은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패턴(121)과 제3 패턴(123)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중형 용기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큰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제1 패턴(121)과 제3 패턴(12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도 2 참조), 마이컴(130)은 최종적으로 상기 소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마이컴(130)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가열부(111)만 작동하고, 제2 가열부(112)는 작동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P) 위에서 상대적으로 대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다면,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제1 패턴(121)과 제4 패턴(124)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따라서 마이컴(130)은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패턴(121)과 제4 패턴(124)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감지하면, 최종적으로 상기 대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마이컴(130)은 사용자가 제2 가열부(112)의 작동을 중단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만약 제1 패턴(121)과 제2 패턴(1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패턴(121)과 제3 패턴(123)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제1 패턴(121)과 제4 패턴(12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도 4 참조), 마이컴(130)은 최종적으로 상기 중형 용기가 정 위치에 놓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마이컴(130)은 제1 가열부(111)만 작동할지 아니면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를 함께 작동할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상판(P)을 채용하지 않고,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의 하우징의 상면에 제1 패턴(121), 제2 패턴(122), 제3 패턴(123) 및 제4 패턴(124)을 형성하고, 그 하우징의 상면에 용기를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제1 가열부(111)와 제2 가열부(112)의 하우징의 상면이 상판(P)의 역할을 대체하게 된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가열부,
    상기 상판 아래에서 상기 제1 가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가열부,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1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내부 영역에 상기 제1 패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2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열부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3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 또는 상기 제3 패턴이 전도성을 갖는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컴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전기 레인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전기 레인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전기 레인지.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3 패턴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 여부에 대해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청하는 전기 레인지.
  6. 상판,
    상기 상판 아래에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1 가열부,
    상기 상판 아래에서 상기 제1 가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가열부,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1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내부 영역에 상기 제1 패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2 패턴,
    상기 상판 위에서 상기 제1 가열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열부의 외경보다 작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열부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전도성을 갖는 제4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 또는 상기 제4 패턴이 전도성을 갖는 용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컴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용기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4 패턴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가열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전기 레인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4 패턴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가열부와 제2 가열부를 함께 작동하는 전기 레인지.
  8. 제1 항 또는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상판 위에 전도성을 갖는 잉크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전기 레인지.
KR1020160175948A 2016-12-21 2016-12-21 전기 레인지 KR10254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948A KR102540685B1 (ko) 2016-12-21 2016-12-21 전기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948A KR102540685B1 (ko) 2016-12-21 2016-12-21 전기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414A KR20180072414A (ko) 2018-06-29
KR102540685B1 true KR102540685B1 (ko) 2023-06-07

Family

ID=6278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948A KR102540685B1 (ko) 2016-12-21 2016-12-21 전기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8533A (ja) * 2014-01-29 2014-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166A (ko) 2009-12-29 2011-07-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전기렌지의 조리용기 감지에 따른 버너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8533A (ja) * 2014-01-29 2014-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414A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8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load of electric cooker
US11655984B2 (en) Induction cooktop
EP2531000B1 (en) Cooking device
KR20140124106A (ko) 인덕션레인지
KR101203114B1 (ko) 용기 확인 기능을 갖는 인덕션 렌지
RU2664077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JP5699185B2 (ja) 拡大した加熱範囲を有する電磁誘導加熱器
KR101597173B1 (ko) 언더레인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화재발생차단장치
CA2681846C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cooking vessel on an induction cooking hob and hob using such method
US20190268979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US20200323048A1 (en) Induction heating apparatus
KR102540685B1 (ko) 전기 레인지
WO2018029002A1 (en) Thin film heating cooker detecting cooking utensils with improved heating methods
US11006485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102069581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478866Y1 (ko) 언더레인지가 부착된 탁자의 화재차단안전장치
KR200406925Y1 (ko) 전자식 쿡탑
CN205197778U (zh) 土耳其咖啡机的控制系统
KR102040390B1 (ko) 유도 가열 기기의 온도 설정 장치
CN209415526U (zh) 一种电磁低汤灶的功率开关保护装置
KR102213164B1 (ko) 화구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가열 장치
JP5966155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9054602U (zh) 电磁炉
CN202521671U (zh) 电磁炉底座的测温装置
KR20240030927A (ko) 유도가열장치 및 유도가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