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89B1 - 송전철탑 금구 - Google Patents

송전철탑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89B1
KR102539789B1 KR1020220065969A KR20220065969A KR102539789B1 KR 102539789 B1 KR102539789 B1 KR 102539789B1 KR 1020220065969 A KR1020220065969 A KR 1020220065969A KR 20220065969 A KR20220065969 A KR 20220065969A KR 102539789 B1 KR102539789 B1 KR 10253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vis
pin
head portion
curved suppor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수
김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2006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레비스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 금구에 관한 것으로, 클레비스(30)를 상하로 분할해서 형성되는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형성되는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 하부분할면(34)의 좌우측 모서리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노치부(34n); 상부분할면(33)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노치부(34n)와 만나 서로 맞물리는 각형돌기(33a); 연결핀(40)과 헤드부(41)가 만나는 경계의 코너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41)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모양의 환형원추홈(44);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에 형성되고, 연결핀(4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35); 클레비스(30)의 내측에 위치된 반원홈(35)의 원호형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고, 환형원추홈(44)과 만날 때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전달하는 반달모양의 경사돌기(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철탑 금구{Pylon Bracket}
본 발명은 송전선로의 이도를 조절하는데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의 이도조절에 사용되는 클레비스의 고정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송전철탑 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은 철탑에 설치된 송전선로를 통해 변전소로 전송되고 있다. 이와 같은 송전선로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송전선로들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선로에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태풍 등의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선로들이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송전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보수 작업을 수행하여 송전선의 처짐현상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에 대처하고 있으나 잦은 보수 작업은 전력 사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송전선로에 장력측정용 센서를 설치해서 송전선로의 장력을 원격으로 측정하고 송전선로가 규정이상으로 이완된 것으로 판정될 때만 보수인력을 투입해서 송선선로를 보수함으로써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때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장력측정용 센서를 송선선의 양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송전선로의 길이가 연장되면서 처짐이 발생하는 새로운 문제를 있으며, 이에 따라 송전선로의 이도가 규정치보다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처럼, 장력센서로 인해 송전선로의 이도가 증가하면, 수목, 건물, 기타 장애물과의 지락사고의 위험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로 말단을 절단해서 길이를 축소한 후 재접속 해야 하므로 보수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력측정용 센서를 송전선이 아닌 철탑에 연결되는 금구에 설치하도록 된 종래기술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343722호(공고일 2021.12.27.)로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애자련에 연결되는 클레비스가 장력센서를 중심으로 요크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클레비스에 형성된 볼트구멍과 요크에 형성된 원호형의 장공을 통과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클레비스를 요크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서 클레비스를 고정할 때 클레비스의 사이가 탄성변형에 의해 좁아지면서 클레비스의 사이에 위치된 요크를 압박에 의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클레비스와 요크가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밀착면에 들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요크와 클레비스 간의 불완전 접촉은 태풍시 심하게 흔들리는 송전선과 애자련을 통해 클레비스에 강한 힘이 작용되면 클레비스가 강품에 의한 힘을 견디지 못하고 쉽게 회전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또, 종래기술은 볼트와 너트에만 의존해서 클레비스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이 조금이라도 풀리면 클레비스가 쉽게 회전되면서 송전선의 이도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69106호(공개일 2016.06.16.) 국내 등록특허 제10-2343722호(공고일 2021.12.27.) 국내 등록특허 제10-0958945호(공고일 2010.05.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클레비스의 고정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송전철탑 금구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송전철탑 금구는, 요크에 설치된 장력센서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클레비스; 클레비스에 설치되고, 애자련과 연결되는 연결핀; 장력센서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요크에 형성되는 호형장공; 클레비스와 호형장공을 관통해서 클레비스를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너트; 호형장공과 동심을 이루도록 요크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록한 곡형지지면; 연결핀의 단부에서 곡형지지면을 향해 형성되고, 클레비스의 내측에 걸리는 헤드부; 헤드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피스톤 안내구멍; 피스톤 안내구멍에 삽입되어 곡형지지면을 향해 돌출되는 피스톤로드; 피스톤 안내구멍의 내측에 위치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드경사면;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형성되고, 곡형지지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 마찰패드에 형성되는 톱니; 헤드부의 외주면에서 피스톤 안내구멍을 향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탭구멍; 탭구멍에 나사결합되는 세트스크류; 세트스크류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의 방향을 90도 전환해서 피스톤로드로 전달하는 방향전환핀; 방향전환핀의 단부에 형성되고, 로드경사면과 만나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클레비스를 상하로 분할해서 형성되는 상부클레비스와 하부클레비스; 상부클레비스와 하부클레비스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분할면과 하부분할면; 하부분할면의 좌우측 모서리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노치부; 상부분할면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노치부와 만나 서로 맞물리는 각형돌기; 연결핀과 헤드부가 만나는 경계의 코너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모양의 환형원추홈; 상부분할면과 하부분할면에 각각 형성되고, 연결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 클레비스의 내측에 위치된 반원홈의 원호형 모서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고, 환형원추홈과 만날 때 상부클레비스와 하부클레비스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전달하는 반달모양의 경사돌기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클레비스(30)가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조이면,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요크(20)의 표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상호간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아 클레비스(30)를 요크(2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분할면(33)에 형성된 각형돌기(33a)와 하부분할면(34)에 형성된 노치부(34n)에 의해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클레비스(30)의 각도를 변경한 후 세트스크류(60)를 잠금방향으로 돌리면 피스톤로드(50)와 마찰패드(52)가 곡형지지면(26)을 향해 돌출되면서 마찰패드(52)가 곡형지지면(26)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레비스(30)의 정지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찰패드(52)의 오목한 곡면에 형성된 톱니(53)에 의해 마찰패드(52)와 곡형지지면(26) 간의 마찰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세트스크류(60)에 의해 발생된 힘을 방향전환핀(70)을 통해 힘의 전달 경로를 90도 전환해서 피스톤로드(5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트스크류(60)의 위치를 조작이 편리한 클레비스(30)의 옆에 둘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방향전환핀(70)을 지지하는 센터링핀(80)에 의해 방향전환핀(70)의 경로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터링핀(80)에 형성된 콘형지지부(81)가 피스톤 안내구멍(42)의 내측 끝부분 중심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센터링핀(80)을 셀프센터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센터링핀(80)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한 호형홈(82)에 의해 방향전환핀(7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방향전환핀(70)을 직선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찰패드(52)가 곡형지지면(26)에 밀착되었을 때 작용되는 반력에 의해 헤드부(41)에 형성된 환형원추홈(44)이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형성된 경사돌기(36)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확대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를 반대편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 피스톤로드, 센터링핀, 방향전환핀, 세트스크류, 마찰패드 및 톱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경사면과 톱니 및 주변 구성들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확대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확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요크(20)에 설치된 장력센서(2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클레비스(30); 클레비스(30)에 설치되고, 애자련과 연결되는 연결핀(40); 장력센서(21)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요크(20)에 형성되는 호형장공(23); 클레비스(30)와 호형장공(23)을 관통해서 클레비스(3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포함한다.
장력센서(21)는 요크(20)와 클레비스(30)에 각각 형성된 구멍을 관통해서 설치되고, 고정볼트(24)는 호형장공(23)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클레비스(3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호형장공(23)으로 삽입된 후 너트(25)와 결합된다.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느슨하게 풀면 클레비스(30)는 장력센서(21)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클레비스(30)가 회전될 때 고정볼트(24)는 호형장공(23)을 따라 움직인다.
클레비스(30)의 회전을 멈추기 위해서는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타이트 하게 조이면 가압력에 의해 클레비스(30)가 요크(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호형장공(23)과 동심을 이루도록 요크(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록한 곡형지지면(26); 연결핀(40)의 단부에서 곡형지지면(26)을 향해 형성되고, 클레비스(30)의 내측에 걸리는 헤드부(41); 헤드부(41)의 중심에 형성되는 피스톤 안내구멍(42)을 포함한다.
곡형지지면(26)은 예를 들면 수직방향으로는 직선을 이루고 수평방향으로만 곡선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헤드부(41)에 형성되는 피스톤 안내구멍(42)은 헤드부(41)의 단부 중심으로 노출되고, 하기 피스톤로드(50)를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피스톤 안내구멍(42)에 삽입되어 곡형지지면(26)을 향해 돌출되는 피스톤로드(50); 피스톤 안내구멍(42)의 내측에 위치된 피스톤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드경사면(51); 외부로 노출된 피스톤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고, 곡형지지면(26)에 밀착되는 마찰패드(52); 마찰패드(52)에 형성되는 톱니(53)를 포함한다.
마찰패드(52)는 곡형지지면(26)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마찰패드(52)의 오목한 곡면에 톱니(53)를 형성해서 마찰패드(52)와 곡형지지면(26) 간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41)의 외주면에서 피스톤 안내구멍(42)을 향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탭구멍(43); 탭구멍(43)에 나사결합되는 세트스크류(60); 세트스크류(60)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의 방향을 90도 전환해서 피스톤로드(50)로 전달하는 방향전환핀(70); 방향전환핀(70)의 단부에 형성되고, 로드경사면(51)과 만나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경사면(7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핀경사면(71)의 경사각도를 방향전환핀(70)의 중심에 대해 30도로 형성하면, 로드경사면(51)의 경사각도는 피스톤로드(50)의 중심에 대해 60도를 갖도록 형성해서 핀경사면(71)과 로드경사면(51)이 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레비스(30)를 상하로 분할해서 형성되는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 하부분할면(34)의 좌우측 모서리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노치부(34n); 상부분할면(33)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노치부(34n)와 만나 서로 맞물리는 각형돌기(33a)를 포함한다.
클레비스(30)를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로 분할 한 이유는 고정볼트(24)와 너트(25)에 의해 압력을 받을 때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요크(20)의 상하면에 개별적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클레비스(30)와 요크(20) 간의 밀착력을 크게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노치부(34n)와 각형돌기(33a)는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연결핀(40)과 헤드부(41)가 만나는 경계의 코너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41)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모양의 환형원추홈(44);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에 각각 형성되고, 연결핀(4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35); 클레비스(30)의 내측에 위치된 반원홈(35)의 원호형 모서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고, 환형원추홈(44)과 만날 때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전달하는 반달모양의 경사돌기(36)를 포함한다.
환형원추홈(44)과 경사돌기(36)는 곡형지지면(26)과 피스톤로드(50)로부터 작용되는 반력에 의해 헤드부(41)가 곡형지지면(2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환형원추홈(44)과 경사돌기(36)가 서로 밀착되는데, 이때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피스톤 안내구멍(42)의 안쪽 끝에 위치되고, 방향전환핀(70)을 지지하는 센터링핀(80); 센터링핀(8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고, 피스톤 안내구멍(42)의 안쪽 끝에 지지되는 콘형지지부(81); 센터링핀(8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고, 방향전환핀(7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호형홈(82)을 포함한다.
센터링핀(80)은 방향전환핀(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환봉을 이용해서 선삭가공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센터링핀(80)의 단부에 형성된 콘형지지부(81)는 센터링핀(80)의 중심을 피스톤 안내구멍(42)의 중심에 일치시키는 셀프 센터링 작용을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안내구멍(42)을 드릴링 가공하는 과정에서 드릴 비트의 선단부와 같은 V자 형태로 피스톤 안내구멍(42)의 내측 끝부분에 남은 원추홈에 콘형지지부(81)가 밀착되면서 셀프센터링 작용이 일어난다.
호형홈(82)은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핀(70)의 외주면을 지지해서 방향전환핀(70)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느슨하게 풀면 장력센서(21)를 중심으로 클레비스(3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 연결핀(40)에 의해 애자련과 열견된 클레비스(30)에 의해 애자련의 이도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레비스(30)의 각도를 조절한 다음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는 경우 풀어져 있던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타이트 하게 조이면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향해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요크(20)의 상하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클레비스(30)가 요크(20)에 고정된다.
이후 강풍의 영향 또는 고정볼트(24)와 너트(25)의 풀림에 의해 클레비스(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트스크류(6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세트스크류(60)의 선단에 접촉되어 있는 방향전환핀(70)이 세트스크류(60)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방향전환핀(70)에 형성된 핀경사면(71)과 피스톤로드(50)에 형성된 로드경사면(51)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피스톤로드(50)가 곡형지지면(26)을 향해 움직이고, 피스톤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된 마찰패드(52)가 곡형지지면(26)에 밀착되면서 마찰패드(52)와 곡형지지면(26) 간의 마찰력에 의해 클레비스(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찰패드(52)에 형성된 톱니(53)에 의해 마찰패드(52)와 곡형지지면(26) 간의 마찰력은 더욱 증대되어 클레비스(30)의 회전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핀경사면(71)과 로드경사면(51)이 상반된 방향으로 미끄러질 때 방향전환핀(70)은 센터링핀(80)에 형성된 호형홈(82)에 지지되고, 센터링핀(80)은 피스톤 안내구멍(42)의 내측 끝부분에 지지된 콘형지지부(81)에 의해 지지되어 방향전환핀(70)을 직선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또, 마찰패드(52)가 곡형지지면(26)에 밀착된 상태에서 세트스크류(60)에 의해 잠금방향으로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되면, 피스톤로드(50)의 반력에 의해 헤드부(41)에 형성된 환형원추홈(44)이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형성된 경사돌기(36)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각각 형성된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클레비스(30)를 다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세트스크류(6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곡형지지면(2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스톤로드(50)와 마찰패드(52)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클레비스(30)의 잠금이 해제되고, 이때 고정볼트(24)와 너트(25)를 풀면 클레비스(3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다.
20 : 요크 21 : 장력센서
23 : 호형장공 24 : 고정볼트
25 : 너트 26 : 곡형지지면
30 : 클레비스 31 : 상부클레비스
32 : 하부클레비스 33 : 상부분할면
33a : 각형돌기 34 : 하부분할면
34n : 노치부 35 : 반원홈
36 : 경사돌기 40 : 연결핀
41 : 헤드부 42 : 피스톤 안내구멍
43 : 탭구멍 44 : 환형원추홈
50 : 피스톤로드 51 : 로드경사면
52 : 마찰패드 53 : 톱니
60 : 세트스크류 70 : 방향전환핀
71 : 핀경사면 80 : 센터링핀
81 : 콘형지지부 82 : 호형홈

Claims (3)

  1. 삭제
  2. 요크(20)에 설치된 장력센서(2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클레비스(30);
    상기 클레비스(30)에 설치되고, 애자련과 연결되는 연결핀(40);
    상기 장력센서(21)의 중심과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요크(20)에 형성되는 호형장공(23);
    상기 클레비스(30)와 호형장공(23)을 관통해서 상기 클레비스(3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4)와 너트(25);
    상기 호형장공(23)과 동심을 이루도록 상기 요크(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볼록한 곡형지지면(26);
    상기 연결핀(40)의 단부에서 상기 곡형지지면(26)을 향해 형성되고, 클레비스(30)의 내측에 걸리는 헤드부(41);
    상기 헤드부(41)의 중심에 형성되는 피스톤 안내구멍(42);
    상기 피스톤 안내구멍(42)에 삽입되어 상기 곡형지지면(26)을 향해 돌출되는 피스톤로드(50);
    상기 피스톤 안내구멍(42)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피스톤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는 로드경사면(51);
    외부로 노출된 상기 피스톤로드(5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곡형지지면(26)에 밀착되는 마찰패드(52);
    상기 마찰패드(52)에 형성되는 톱니(53);
    상기 헤드부(41)의 외주면에서 상기 피스톤 안내구멍(42)을 향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탭구멍(43);
    상기 탭구멍(43)에 나사결합되는 세트스크류(60);
    상기 세트스크류(60)로부터 전달받은 압력의 방향을 90도 전환해서 상기 피스톤로드(50)로 전달하는 방향전환핀(70);
    상기 방향전환핀(7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경사면(51)과 만나서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핀경사면(71);
    을 포함하는 송전철탑 금구에 있어서,

    상기 클레비스(30)를 상하로 분할해서 형성되는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
    상기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
    상기 하부분할면(34)의 좌우측 모서리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는 노치부(34n);
    상기 상부분할면(33)의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노치부(34n)와 만나 서로 맞물리는 각형돌기(33a);
    상기 연결핀(40)과 헤드부(41)가 만나는 경계의 코너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41)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원추모양의 환형원추홈(44);
    상기 상부분할면(33)과 하부분할면(34)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4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홈(35);
    상기 클레비스(3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반원홈(35)의 원호형 모서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환형원추홈(44)과 만날 때 상기 상부클레비스(31)와 하부클레비스(3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전달하는 반달모양의 경사돌기(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철탑 금구.
  3. 삭제
KR1020220065969A 2022-05-30 2022-05-30 송전철탑 금구 KR10253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69A KR102539789B1 (ko) 2022-05-30 2022-05-30 송전철탑 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969A KR102539789B1 (ko) 2022-05-30 2022-05-30 송전철탑 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789B1 true KR102539789B1 (ko) 2023-06-08

Family

ID=8676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969A KR102539789B1 (ko) 2022-05-30 2022-05-30 송전철탑 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137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실린더의 클레비스 회전방지용 연결장치
KR20030020989A (ko) * 2000-08-17 2003-03-10 티알더블유 인크. 유압 보조식 랙 및 피니언 조향 장치용 피스톤
KR100958945B1 (ko) 2008-01-16 2010-05-1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KR20160069106A (ko) 2014-12-08 2016-06-16 중소기업은행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방법
KR2020014017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팀콥일렉트로닉스 철탑 금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9137A (ko) * 1997-08-29 1999-03-15 양재신 실린더의 클레비스 회전방지용 연결장치
KR20030020989A (ko) * 2000-08-17 2003-03-10 티알더블유 인크. 유압 보조식 랙 및 피니언 조향 장치용 피스톤
KR100958945B1 (ko) 2008-01-16 2010-05-1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의 장력 센서용 철탑부착 금구
KR20160069106A (ko) 2014-12-08 2016-06-16 중소기업은행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시스템 및 실시간 압력계측형 송전선 모니터링 방법
KR20200140173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팀콥일렉트로닉스 철탑 금구
KR102343722B1 (ko) 2019-06-05 2021-12-27 주식회사 팀콥일렉트로닉스 철탑 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960B2 (en) Robot to move a support platform along a flange connection
AU597369B2 (en) A monitoring device for overhead power transmission system
US20190022873A1 (en) Robot with positioning means to move a tool along a flange connection
AU2014277622B2 (en) Environmental protection for lowerable pole
US6679460B2 (en) Pipe clamp arrangement
KR102539789B1 (ko) 송전철탑 금구
KR102333248B1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CN102828898B (zh) 风力涡轮机叶片
US5232250A (en) Adjustable flange for plumbing fixtures
CA2824386A1 (en) Safety line anchor
CN213539887U (zh) 一种应急抢修电杆
RU19030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осадки птиц на сооружения
US2762091A (en) Washer gain for timber structures formed of round wood poles
EP2949927A1 (en) Cable Bushing of wind turbine tower
CN115387657B (zh) 一种高压杆塔拉线装置
CN210490333U (zh) 一种电缆桥架安装结构
CN109000627B (zh) 一种混凝土圆管涵的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508156B (zh) 线缆敷设装置及风力发电机组
CN219980408U (zh) 一种架空线路用的防雷装置
CN211698329U (zh) 一种用于安装oppc光缆接线盒的支架
CN215772465U (zh) 一种稳定性强的u型挂环
CN219696162U (zh) 一种导线耐张绝缘子串
CN213645468U (zh) 一种可调型简易小口径管道弯管装置
CN215908237U (zh) 一种飞机用快速调节钢索松紧的装置
CN220341882U (zh) 用于放线滑车的止挡机构及放线滑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