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787B1 -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 Google Patents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787B1
KR102539787B1 KR1020220136075A KR20220136075A KR102539787B1 KR 102539787 B1 KR102539787 B1 KR 102539787B1 KR 1020220136075 A KR1020220136075 A KR 1020220136075A KR 20220136075 A KR20220136075 A KR 20220136075A KR 102539787 B1 KR102539787 B1 KR 10253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ides
leg
wing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주)나비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비북스 filed Critical (주)나비북스
Priority to KR102022013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후방의 몸체부에는 일정 높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동물 형상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머리부의 일단은 일정 높이의 목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목부의 타단은 삽입홈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여 연결되게 하여 상기 머리부와 목부가 삽입홈에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의 외측면으로는 각각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두께의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는 회전 또는 축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Transformation toys for text learning}
본 발명은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면으로는 알파벳과 같은 문자나 숫자가 표현되게 함으로써 학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분적으로 다양한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인출과 같은 변환에 의해 다양한 동물이나 캐릭터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변환 조작의 재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문자의 형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입체모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런 입체모형은 어린아이들이 영문의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 등을 익히는데 널리 사용된다.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을 익히는데 사용되는 문자 입체모형을 개량한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둘레가 문자의 둘레 형상 또는 숫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알파벳이나 숫자나 한글과 같은 문자와 동일한 형상의 입체모형으로 어린아이들이 문자를 익히게 되면 단순히 문자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흥미가 떨어질 수가 있으므로 지루함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문자의 학습 효과를 줄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다.
등록특허 제1223971호(2013.01.14.)의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에서는 알파벳이나 숫자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면서 로봇으로도 변환이 가능하게 하여 문자 학습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줄 수가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방에 알파벳이나 숫자 등의 문자부가 형성되어 중앙에 구비되어 양측에 함몰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이 몸체부의 상부에 수직 힌지부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얼굴부와, 몸체부의 하부에 수직 힌지부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리 연결부와, 이 다리 연결부의 양측에 횡형 힌지부로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삽우 후방에 후방 함몰공간이 형성되는 다리부와, 양 함몰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종형 힌지부를 통해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함몰공간과 후방 함몰공간에 삽입되는 양 팔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상부의 얼굴부와 그 하부의 몸체부와 이 몸체부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다리부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형상 자체가 사람이나 로봇의 모형으로만 변형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로 표현이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223971호(2013.01.1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몸체부에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축회전되도록 하면서 몸체부로부터는 양측에서 전후방 또는 측방으로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다리나 날개가 전개되도록 함으로써 좀더 다양한 동물형상으로의 변환이 가능한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면으로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이 표현되도록 하고, 타면으로는 다양한 동물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좀더 흥미로운 학습 효과를 갖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는,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후방의 몸체부에는 일정 높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동물 형상의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머리부의 일단은 일정 높이의 목부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목부의 타단은 삽입홈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여 연결되게 하여 상기 머리부와 목부가 삽입홈에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의 외측면으로는 각각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두께의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는 회전 또는 축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후방에는 동물 형상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팔부 또는 날개부와 다리부가 동시에 축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팔부의 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손부 또는 갈고리 또는 날개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는 수평 또는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후방에는 동물 형상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의 상부와 양측부에서는 내부로부터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삽입 또는 돌출되게 귀부와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 양측에서는 내부로부터 수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동물 형상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몸체부에서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가 노출되도록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일정 각도로 꼬리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꼬리 날개부가 개방되거나 상기 날개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단부가 측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의 하단부로부터 삽입 및 노출되도록 다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는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양측의 단면에는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호 대응하는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삽입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돌기홈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에 의해 다양한 동물의 특징적인 형상에 따라 동물의 머리부에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이 몸체부로부터는 양측면에서 양측면의 중간부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다리부나 다리부와 함께 팔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여 전방에서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게 함으로써 학습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몸체부로부터는 머리부가 일체로 또는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양측면에는 수직의 방향으로 다리부가 축지지되도록 하여 전방의 표면으로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물로의 다양한 변환에 의해 아이들의 호기심과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1 실시예의 조립된 형상을 예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2 실시예의 조립된 형상을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3 실시예의 조립된 형상을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4 실시예의 조립된 형상을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들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환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변환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변환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1 실시예의 조립된 형상을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환 상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과 함께 다양한 동물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면으로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한 자씩 표현되도록 하면서 타면을 통해서는 변환에 의해 다양한 동물이 입체적으로 형상화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일면으로는 "H"자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타면으로는 말을 형상화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면이 "H"자 외에도 다양한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이 표시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말과 같이 네발로 걷는 동물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몸체부(11)와 머리부(12)와 목부(13)와 다리부(14) 및 발부(15)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의 몸체부(11)는 사각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몸체부(11)에는 일정 깊이로서 후방으로 삽입홈(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몸체부(11)의 삽입홈(110)에는 동물의 머리부(12)와 함께 목부(13)가 삽입되도록 하며, 머리부(12)에 목부(13)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머리부(12)에 대해 목부(13)는 삽입홈(110)에 겹쳐져 삽입되도록 하거나 직각의 각도로 휘어지게 하여 삽입홈(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머리부(12)에 일단이 연결되는 목부(13)의 타단은 몸체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게 함으로써 삽입홈(110)으로부터 이탈시켜 몸체부(11)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고, 목부(13)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한 상태에서 재차 머리부(12)를 회전시켜 몸체부(11)와 나란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1)의 양측면에는 전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다리부(14)가 형성되도록 하고, 각 다리부(14)의 하단부로부터는 수직의 방향으로 발부(15)가 회전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다만, 각 다리부(14)에서 발부(15)는 다리부(14)의 하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인출입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다리부(14)는 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측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하여 상하로 적층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각 다리부(14)는 몸체부(11)와는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거나 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몸체부(11)의 표면으로부터 더 이상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는 몸체부(11)로부터 일단부에는 머리부(12)와 목부(13)가 상향 세워지도록 하고, 양측면에는 4개의 다리가 세워지도록 한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방의 표면에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동물의 머리부(21)와 몸체부(2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몸체부(22)의 양측에는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팔부(23) 또는 갈고리 또는 날개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팔부(23) 또는 날개부가 축지지되는 축지지부에는 다리부(2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팔부(23) 또는 날개부의 단부에는 손부(230) 또는 갈고리 또는 재차 연장 날개가 팔부(23) 또는 날개부에 접혀지도록 하거나 펼쳐지도록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며, 다리부(24)의 하단부에는 수평 또는 수직의 방향으로 발부(2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함으로써 몸체부(22)의 하단에 접혀져 있다가 전방으로 펼쳐지게 할 수도 있다.
전방의 표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도 5 및 도 6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동물의 머리부(31)와 몸체부(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머리부(31)의 상부면과 양측의 단면에는 각각 내부로부터 일정 각도가 회전되도록 하면서 삽입 또는 돌출되게 귀부(33)와 날개부(34)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귀부(33)는 동물의 귀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날개부(34)는 원호형의 날개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각각 머리부(31)에 일단이 축지지되어 머리부(3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거나 머리부(31)로부터 외측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32)의 하단부 양측에서는 내부로부터 수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다리부(35)가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 외에 본 실시예에서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전방의 표면에 표현되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동물 형상의 머리부(41)와 몸체부(42)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들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몸체부(42)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일체로 이루어지는 머리부(41)와 몸체부(42)는 후방에서는 노출되도록 하며, 이 원형의 몸체부(42)에는 양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날개부(43)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날개부(43)는 내부가 빈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원형의 몸체부(42)에 연결되는 하부의 일측면을 축으로 외측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다만, 머리부(41)에는 일정 각도로 꼬리 날개부(41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따라서 날개부(43)가 양측으로 펼쳐지게 되면 꼬리 날개부(410)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42)에는 상단부가 측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 쌍의 다리부(44)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대응하는 양측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한 쌍의 다리부(44)는 양측 날개부(43)의 하단부 내에 삽입되고, 각각 하향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워지게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런 다리부(44)의 하단에는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발부(4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다리부(44)와 함께 날개부(43)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하다 다리부(44)를 하향 회전시키게 되면 머리부(41)가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직립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양측의 단면으로 일측의 단면에는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결합홈(50)을 형성하고, 상호 대응하는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51)가 형성되도록 하며, 결합돌기(51)는 삽입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돌기홈(52)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4발로 보행하는 동물들에 적용되는 구성으로서, 도시한 말 외에도 코끼리나 그 외의 다양한 동물들을 표현할 수가 있다.
즉, 4발로 보행하는 동물들은 몸체부(12)가 길게 형성되고, 이 몸체부(12)에서 일단부로는 머리부(11)와 목부(13)가 상부로 세워지게 형성되고, 몸체부(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하부로는 각각 다리부(14)와 함께 발부(15)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4발 보행 동물들의 특징을 보여주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몸체부(12)로부터 간단히 목부(13)와 머리부(11)가 순차적으로 세워지도록 하고, 다리부(14)와 각 다리부(14)로부터 발부(15)가 회전 또는 하향 인출되게 하여 입체적으로 형상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2발로 직립할 수 있는 동물 즉 곰이나 원숭이 또는 새와 같은 동물을 표현할 수가 있다.
다만, 곰이나 원숭이의 팔과 손 대신 새의 경우는 날개를 형성하도록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제3 실시예는 부엉이를 표현한 것으로서, 사각의 머리부(31)와 몸체부(32)로부터 간단히 귀부(33)와 날개부(34)가 회전 조작에 의해 펼쳐지도록 하고, 다리부(35)는 하향 인출되도록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3에서와 같은 제4 실시예는 부엉이에 못지않게 특이한 형상을 갖는 공작새를 표현한 것으로서, 공작새는 날개가 특징적이므로 날개부(43)를 몸체부(42)로부터 측방으로 회전시키거나 접혀지게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몸체부(42)로부터 하향 회전시켜 다리부(44)가 인출되도록 하게 되면 좀더 사실적인 공작새가 표현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다양한 문자를 학습하면서 단순한 학습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에 의한 문자의 변형으로 다양한 동물로 변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좀더 흥미를 갖고 학습과 함께 재미를 동시에 제공할 수가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구조물들은 상호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결합홈(50)과 결합돌기(51)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분실의 위험이 줄어들게 하는 관리의 유용함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 21, 31, 41 : 머리부
12, 22, 32, 42 : 몸체부
13 : 목부 14, 24, 35, 44 : 다리부
15, 25, 45: 발부
23 : 팔부 33 : 귀부
34, 43 : 날개부
50 : 결합홈 51 : 결합돌기

Claims (5)

  1. 일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네발로 걷는 동물의 몸체부에서 후방의 일정 높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는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머리부의 일단은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목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목부의 타단은 삽입홈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여 연결되면서 상기 머리부와 목부가 삽입홈으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에서 양측의 외측면에서는 상기 몸체부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져 전후방 단부를 축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하여 네개의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다리부의 단부로부터는 전후방으로 회전 또는 축방향으로 인출입이 가능하게 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호 대응하는 단면 중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인출되도록 하여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2. 일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동물 형상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팔부 또는 날개부와 다리부가 동시에 축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팔부의 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손부 또는 갈고리 또는 날개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는 수평 또는 수직의 방향으로 회전 또는 승강 가능하도록 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서 상호 대응하게 형성되는 상기 팔부의 단면 중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인출되도록 하여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3. 일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동물 형상의 머리부와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의 상부와 양측부에서는 내부로부터 일정 각도를 회전하여 삽입 또는 돌출되게 귀부와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 양측에서는 내부로부터 수직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다리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일체로 연결된 상호 대응하는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의 단면 중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인출되도록 하여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4. 일면에는 알파벳이나 숫자 또는 한글의 자음과 같은 문자가 표현되도록 하고,
    타면에는 동물 형상의 머리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부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원형의 몸체부에서 상기 머리부와 몸체부가 노출되도록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날개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일정 각도로 꼬리 날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꼬리 날개부가 개방되거나 상기 날개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단부가 측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날개부의 하단부로부터 삽입 및 노출되도록 다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는 수평 회전이 가능하게 발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양측의 상기 날개부의 상호 대응하는 단면 중 일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을 형성하고, 타측의 단면에는 결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단면으로부터 회전에 의해 인출되도록 하여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5. 삭제
KR1020220136075A 2022-10-21 2022-10-21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KR10253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75A KR102539787B1 (ko) 2022-10-21 2022-10-21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75A KR102539787B1 (ko) 2022-10-21 2022-10-21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787B1 true KR102539787B1 (ko) 2023-06-07

Family

ID=8676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75A KR102539787B1 (ko) 2022-10-21 2022-10-21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383A (en) * 1984-12-29 1986-08-12 Mattel, Inc. Toy block transformed into a robot
KR101223971B1 (ko) 2010-12-17 2013-01-21 (주)나비북스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CN103127722A (zh) * 2013-02-08 2013-06-05 王跃辉 一种数字变形的组合玩具
CN207101891U (zh) * 2017-06-29 2018-03-16 广东新乐新科教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字母变形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5383A (en) * 1984-12-29 1986-08-12 Mattel, Inc. Toy block transformed into a robot
KR101223971B1 (ko) 2010-12-17 2013-01-21 (주)나비북스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CN103127722A (zh) * 2013-02-08 2013-06-05 王跃辉 一种数字变形的组合玩具
CN207101891U (zh) * 2017-06-29 2018-03-16 广东新乐新科教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字母变形玩具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공보 US4605383(1986.8.12.) 1부.*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7101891호(2018.3.16. 공고) 1부.*
콩쿵맘, [6살 장난감] 어린이날 선물 추천_알파벳 변신로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563B2 (en) Transformable toy
JP6303051B1 (ja) 人形玩具
JPS61159980A (ja) ロボットに変形できる文字表示ブロック玩具
JP6971175B2 (ja) 人形玩具
US9555340B2 (en) Manually posable figure animation system and method
US3952449A (en) Articulated figure toy
KR102539787B1 (ko) 문자 학습용 변환 완구
EP2903706B1 (en) Container with articulatable statuette
US20170144081A1 (en) Themed building toy
US3422563A (en) Elements with base having recesses for storing or standing same
JPS649876B2 (ko)
JP6005711B2 (ja) 組立構造体
US6551164B1 (en) Toy horse with self-storable components thereof
US2780030A (en) Toy figure with articulated leg members
US3050902A (en) Novelty
KR101223971B1 (ko)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AU2013100034A4 (en) Concertina Toy Figure
CN217489737U (zh) 一种可变形成数字3的玩具机器人
KR940002452B1 (ko) 다중 코어의 가동 장식품
US20230285845A1 (en) Three Dimensional Puzzle Assembly
CN214913360U (zh) 可变形字母j智力玩具
US20230012049A1 (en) Wooden Human Figurine
CN210131377U (zh) 幼儿园木制变形组图玩具
JPH02159292A (ja) 変形カード状玩具
Piehl Books in toy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