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025B1 -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025B1
KR102539025B1 KR1020220097562A KR20220097562A KR102539025B1 KR 102539025 B1 KR102539025 B1 KR 102539025B1 KR 1020220097562 A KR1020220097562 A KR 1020220097562A KR 20220097562 A KR20220097562 A KR 20220097562A KR 102539025 B1 KR102539025 B1 KR 10253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hologram
unit
user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리
Priority to KR102022009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1Devices for lighting, humidify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중인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음성, 제스처, 스크린 터치를 인식한 후 인식한 정보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정보를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는,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에 대한 설명이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장치; 상기 홀로그램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동실; 및 상기 냉동실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Refrigerating Showcase Having Hologram Device And Hologram Display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냉동 쇼케이스에 진열된 제품 및 제품 정보가 홀로그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Showcase)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식품을 판매하는 매장에서는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도록 식품을 진열 및 전시하게 되는데, 이때 진열되는 식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품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쇼케이스에 식품을 보관한 상태로 진열한다. 쇼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창을 통해 상품을 보호하고 투시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데, 쇼케이스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상품을 조명함으로써 상품을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홀로그램(Hologram)은 사물이 가지는 모든 빛에 대한 정보를 홀로그래피의 원리로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통해 실제와 같은 입체영상을 재현하는 콘텐츠 기술을 말한다.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하여 입체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며, 이러한 홀로그래피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내는 홀로그램은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식에 따라 유사 홀로그램, 아날로그 홀로그램, 디지털 홀로그램 등으로 분류한다. 첫째로, 유사 홀로그램은 플로팅(Floating) 홀로그램이라고도 불리며, 디지털 영상합성 기술을 통해, 투명한 막 뒤에 이미지가 생성되게 투사하여 실제 사람이나 물체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옆에 있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는 기술이다. 둘째로, 아날로그 홀로그램은 사진촬영을 응용하여 광원으로 레이저를 사용하여 촬영한 3차원 영상 생성 기술이다. 셋째로, 디지털 홀로그램은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을 디지털화된 기록이 가능한 형태로 생성을 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다시 전자식 홀로그래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동영상 홀로그램, 즉 입체적으로 제작한 기술이다.
홀로그램의 기술을 여러 분야에 응용하고 있는데, 키오스크 분야에 응용하는 것은 보편화가 되어 있다. 홀로그램 기술을 상품의 보관 및 판매를 위한 쇼케이스 분야에 응응하게 되면 소비자의 관심을 끌어 판매를 증진시키 수 있는데, 따라서 홀로그램을 쇼케이스 분야에 응용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91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91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55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47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하여 냉장 또는 냉동 보관 중인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음성, 제스처, 스크린 터치를 인식한 후 인식한 정보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사용자에 맞는 정보를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는,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에 대한 설명이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장치; 상기 홀로그램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동실; 및 상기 냉동실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 패널은 홀로그램 장치의 하부에 터치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대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홀로그램 장치와 냉동실 사이에 위치하여 터치 패널을 통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홀로그램을 1 페이스, 3 페이스 및 4 페이스의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내부에 모형 제품이 보관되는 모형 제품 보관부 및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공간인 제품 전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전시부는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할 때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보관 중인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공간인 제품 전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 전시부는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에 보관 중인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할 때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터치 스크린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스크린 터치 인식부,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제품 선택부, 사용자가 구입할 제품의 결제를 실시할 수 있는 결제부, 상기 음성 인식부, 제스처 인식부, 스크린 터치 인식부 및 제품 선택부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홀로그램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동실은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을 전시할 수 있는 복수의 냉동 진열대 및 상기 복수의 냉동 진열대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냉동 진열대에 전시된 제품이 상기 홀로그램 장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냉동 공백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냉동 진열대는 각각의 제품에 할당되는 냉동 할당 영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제품은 상기 냉동 할당 영역에 전시되며, 상기 냉장실은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을 전시할 수 있는 복수의 냉장 진열대 및 상기 복수의 냉장 진열대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냉장 진열대에 전시된 제품이 상기 홀로그램 장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냉장 공백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냉장 진열대는 각각의 제품에 할당되는 냉장 할당 영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제품은 상기 냉장 할당 영역에 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임의의 제품의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단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중인 홀로그램을 보고 음성, 제스처 및 스크린 터치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제2 단계; 및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2 단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스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제품 선택부를 통해 관심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단계;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을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시켜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제품 선택부를 통해 구입할 제품을 선택하고 결제하는 제4 단계; 디스플레이 중인 모형 제품이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로 이동되는 제5 단계; 및 구입한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을 수취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냉장·냉동 쇼케이스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판매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에 의한 가상 인간과의 인터랙티브 대화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과 모형 제품을 같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1 (b) 및 도 1(c)는 사람과 대응 가능한 인공지능 구현된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3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4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홀로그램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형 제품 보관부 및 제품 전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a)는 홀로그램 장치에 의해 임의의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b)는 제품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c)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한 후, 모형 제품이 모형 제품 저장부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며, 도 13(d)는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이 제품 전시부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도 1 (b) 및 도 1(c)는 사람과 대응 가능한 인공지능 구현된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는 홀로그램 장치(100), 터치 패널(200), 냉동실(300) 및 냉장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는 냉장실(400) 또는 냉동실(300)에 보관 및 판매되는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에 대한 설명을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는 냉장·냉동 쇼케이스(10)에 보관되어 판매되는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 관련 정보를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 관련 정보는 가상 인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난 것처럼, 메타버스 공간과 같은 가상 인간에 의해 사용자와 대화가 가능한 인터랙티브 홀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가상 인간이 수화에 의하여 제품을 설명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1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의 개략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3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의 개략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4 페이스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의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는 홀로그램을 1 페이스, 3 페이스 및 4 페이스 중에 어느 하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 페이스는 홀로그램이 일반 디스플레이처럼 평면에 표시되는 것인데, 유사 홀로그램의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유사 홀로그램은 디지털 영상합성 기술을 통해 투명한 막 뒤에 이미지가 생성되게 투사하여 실제 사람이나 물체가 이미지를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옆에 있는 것과 같은 착시를 일으키는 기술이다. 1 페이스는 홀로그램 장치(100)의 중앙에 투명한 막을 설치하여 홀로그램이 투명에 막에 생성되게 하여 전면에서만 홀로그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3 페이스는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3면에서 홀로그램을 볼 수 있고, 아날로그 홀로그램 또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4 페이스는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4면에서 홀로그램을 볼 수 있고, 또한 아날로그 홀로그램 또는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어부의 인공지능에 의해 1 페이스, 3 페이스 또는 4 페이스의 홀로그램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홀로그램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정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상기 1 페이스 또는 3 페이스 또는 4 페이스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의 홀로그램을 통해 음성, 제스처, 스크린 터치 등을 통해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가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치킨을 선택하면 치킨과 관련된 양계장 정보, 사료 가격, 병아리 가격 등의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100)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로그램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는 내부에 모형 제품이 보관되는 모형 제품 보관부(100) 및 모형 제품 보관부(110) 상부에 위치하며,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공간인 제품 전시부(12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중 관심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면,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 장치(100)로 이동하여 홀로그램과 함께 모형 제품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실(400) 또는 냉동실(300)에 보관되어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모형 제품이나 이러한 제품을 조리한 형태의 모형 제품을 홀로그램과 같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제품과 관련된 최대한의 정보을 제공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100)는 내부에 냉장실(400) 또는 냉동실(300)에서 보관되어 판매되는 제품의 모형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모형 제품 보관부(110)를 구비하며, 모형 제품 보관부(110)는 각각의 모형 제품에 할당된 모형 제품 할당 영역(111)을 가지고 있다. 제품 전시부(120)는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부(121)를 구비하며, 도어부(121)는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할 때만 열린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형 제품 보관부(110) 및 제품 전시부(120)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형 제품 보관부(110)의 하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1 컨베이어 벨트(114)가 구비되어 모형 제품은 제1 컨베이어 벨트(114)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 대응되는 모형 제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동하여 제1 승강부(112)에 적재되고, 모형 제품 보관부(110)와 도어부(121)를 연결하는 제1 승강봉(11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1 승강부(112)가 구비되어 모형 제품은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서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가능하며, 제1 승강부(112)가 제1 승강봉(11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때 도어부(121)가 열린 상태에서 제1 승강부(112)는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며, 상기 제1 승강부(112)에 위치한 모형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제1 승강부(112)는 모형 제품 보관부(110)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며, 제품 전시부(120)의 모형 제품은 홀로그램으로 관련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베이어 벨트(114)에서 제1 승강부(112)에 적재에 적재되는 것은 예를 들어 제1 컨베이어 벨트(114)의 영역이 아닌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 내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1 수평봉에 의하여 모형 제품을 제1 컨베이어 벨트(114)에서 제1 승강부(112)에 적재되도록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승강부(112)에 위치한 모형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1 승강부(112)에 위치한 모형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예를 들어 제품 전시부(120)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2 수평봉에 의하여 제1 승강부(112)의 상부에 위치한 모형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의 일정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1 승강부(112)는 모형 제품 보관부(110)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게 된다. 한편, 제1 컨베이어 벨트(114), 제1 승강부(112) 및 제1 승강봉(113)의 이동과 도어부(121), 제1 수평봉, 제2 수평봉 등의 개폐의 제어는 모두 터치 패널(200)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 전시부(120)에서는 냉동실(300) 및 냉장실(400)에 보관 중인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제품 전시부(120)는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부(121)를 구비하여 냉동실(300) 및 냉장실(400)에 보관 중인 제품이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할 때만 열리게 할 수 있다.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디스플레이된 후 사용자는 관심 제품의 구입를 결정하고 제품 선택부(240)에서 제품의 구입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200)은 홀로그램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음성 또는 제스처의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널(200)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패널(200)은 음성 인식부(210), 제스처 인식부(220),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 제품 선택부(240), 결제부(2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2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음성 인식부(210)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음성으로 선택하거나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음성으로 요청하였을 때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음성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제어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스처 인식부(22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제스처 인식부(220)는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어 사용자가 홀로그램에 반응하여 손동작을 하게되면 손동작을 센서가 내장된 카메라가 인식하여 인공지능이 분석할 수 있도록 녹화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를 인식한다.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다양한 항목에 대해 터치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제품을 제품 선택부(240)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선택된 제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요청은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데이터는 인공지능이 분석할 수 있도록 제어부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품 선택부(240)는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터치하거나 또는 버튼을 눌러 선택할 수 있다. 냉장실(400) 또는 냉동실(300)에 보관되어 판매되는 다양한 제품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순서에 따라 정렬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메뉴를 사용자가 눌러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의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된다.
본 별명의 결제부(250)에서는 사용자가 구입할 제품의 결제를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를 결제부(250)에 삽입하고 제품 구입에 대한 결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음성 인식부(210), 제스처 인식부(220), 터치 인식부 및 제품 선택부(240)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홀로그램 정보를 선별하여 홀로그램 장치(100)로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는 인공지능 분석부 및 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 분석부는 음성 인식부(210), 제스처 인식부(220), 터치 인식부 및 제품 선택부(240)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한다. 인공지능 분석부는 음성 및 제스처와 관련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이미 학습된 상태이며, 홀로그램 장치(100)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제품 홀로그램 또는 가상 인간 홀로그램에 대해 사용자가 반응하여 나타내는 음성 또는 제스처를 이미 학습된 데이터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석부는 인공지능을 구비하여 음성 또는 제스처에 의한 데이터 분석과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 및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정보를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제어부는 인공지능 분석부에서 추천한 정보가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홀로그램 장치(100)를 제어한다. 또한, 모형 제품 및 구입한 제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모형 제품 및 구입한 제품이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부(121)의 개폐를 제어한다. 장치 제어부는 냉동실(300) 및 냉장실(400)이 구동되도록 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펌프, 증발기 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냉동실(300)은 터치 패널(200) 하부에 위치하며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된다. 예를 들어, 냉동 보관이 필요한 고기류, 생선류, 냉동 만두 등이 냉동실(300)에 보관될 수 있다. 냉동실(300)의 전면은 유리로 처리되어 있어 사용자는 냉동실(300)에 보관된 제품의 실물을 직접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동실(300)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냉동실(300)은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을 전시할 수 있는 복수의 냉동 진열대(310) 및 복수의 냉동 진열대(310)의 후면에 위치하며, 냉동 진열대(310)에 전시된 제품이 홀로그램 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냉동 공백 영역(320)을 구비하며, 냉동 진열대(310)는 각각의 제품에 할당되는 냉동 할당 영역(311)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제품은 냉동 할당 영역(311)에 전시된다. 냉동 진열대(310)의 하부에 이동가능한 제2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은 제2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서 이동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2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으로 움직이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회전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각도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가 냉동실 내에서 전후 및 좌우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은 상기 제2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냉동 공백 영역(320)으로 이동하여 제2 승강부에 적재되고, 냉동실(300)과 도어부(121)를 연결하는 제2 승강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2 승강부가 구비되어 구입한 제품은 냉동실(300)에서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가능하며, 제2 승강부가 제2 승강봉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때 도어부(121)가 열린 상태에서 제2 승강부는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며, 상기 제2 승강부에 위치한 구입한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제2 승강부는 냉동실(300)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며, 제품 전시부(120)의 구입한 제품은 사용자가 수취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 벨트, 제2 승강부 및 제2 승강봉의 이동과 도어부(121)의 개폐의 제어는 모두 터치 패널(200)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 벨트에서 제2 승강부에 적재되는 것은 예를 들어 제2 컨베이어 벨트의 영역이 아닌 냉동 공백 영역(320) 내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3 수평봉에 의하여 냉동 제품을 제2 컨베이어 벨트에서 제2 승강부에 적재되도록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승강부에 위치한 냉동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2 승강부에 위치한 냉동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예를 들어 제품 전시부(120)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4 수평봉에 의하여 제2 승강부의 상부에 위치한 냉동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의 일정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2 승강부는 냉동 공백 영역(320)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게 된다.
본 발명의 냉장실(400)은 냉동실(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된다. 예를 들어, 냉동 보관이 필요한 조리된 제품, 우유, 채소류 등이 냉장실(400)에 보관될 수 있다. 냉장실(400)의 전면은 유리로 처리되어 있어 사용자는 냉장실(400)에 보관된 제품의 실물을 직접 볼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장실(400)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냉장실(400)은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을 전시할 수 있는 복수의 냉장 진열대(410) 및 복수의 냉장 진열대(410)의 후면에 위치하며, 냉장 진열대(410)에 전시된 제품이 홀로그램 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냉장 공백 영역(420)을 구비하며, 냉장 진열대(410)는 각각의 제품에 할당되는 냉장 할당 영역(411)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제품은 냉장 할당 영역(411)에 전시된다. 냉장 진열대(410)의 하부에 이동가능한 제3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은 제3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3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으로 움직이는 벨트와 상기 벨트가 회전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각도의 회전에 의하여 벨트가 냉장실 내에서 전후 및 좌우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은 상기 제3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냉장 공백 영역(420)으로 이동하여 제3 승강부에 적재되고, 냉장실(400)과 도어부(121)를 연결하는 제3 승강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3 승강부가 구비되어 구입한 제품은 냉장실(400)에서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가능하며, 제3 승강부가 제3 승강봉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때 도어부(121)가 열린 상태에서 제3 승강부는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며, 상기 제3 승강부에 위치한 구입한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제3 승강부는 냉장실(400)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며, 제품 전시부(120)의 구입한 제품은 사용자가 수취할 수 있다. 제3 컨베이어 벨트, 제3 승강부 및 제3 승강봉의 이동과 도어부(121)의 개폐의 제어는 모두 터치 패널(200)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제3 컨베이어 벨트에서 제3 승강부에 적재되는 것은 예를 들어 제3 컨베이어 벨트의 영역이 아닌 냉장 공백 영역(420) 내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5 수평봉에 의하여 냉장 제품을 제3 컨베이어 벨트에서 제3 승강부에 적재되도록 밀어내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승강부에 위치한 냉장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3 승강부에 위치한 냉장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예를 들어 제품 전시부(120)에 구비된 이동가능한 제6 수평봉에 의하여 제3 승강부의 상부에 위치한 냉장 제품은 제품 전시부(120)의 일정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제3 승강부는 냉장 공백 영역(420)으로 하강하고 도어부(121)는 닫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는 하기의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계(S10) : 홀로그램 장치(100)에 의해 임의의 제품의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제2 단계(S20) :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중인 홀로그램을 보고 음성, 제스처 및 스크린 터치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제3 단계(S30) : 인공지능부에서 제2 단계(S2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공지능부에서 추천하는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스하는 단계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의 제1 단계(S10)는 홀로그램 장치(100)에 의해 임의의 제품의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이다. 제어부에서는 냉장·냉동 쇼케이스(10) 주위에 사람이 있는지 제스처 인식부(220)를 통해 인식할 수 있고, 주위에 사람이 있다면 이미 설정해 놓은 제품의 홀로그램이나 가상 인간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시켜 주위의 사람의 주목을 끌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의 제2 단계(S2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중인 홀로그램을 보고 음성, 제스처 및 스크린 터치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홀로그램을 통해 주위의 사람들에게 관심을 유도한 후, 관심이 있는 사용자는 홀로그램을 보면서 가상 인간과 인터랙티브로 대화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인식부(210), 제스처 인식부(220) 및 스크린 터치 인식부(230)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거나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공지능 분석부는 사용자의 음성, 제스처, 스크린 터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질의에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1 실시형태의 제3 단계(S30)는 제어부에서 제2 단계(S20)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인공지능부에서 추천하는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스하는 단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한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제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인공지능 분석부에서 분석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이미 학습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을 제품을 선정하여 관련 제품의 이미지 및 정보를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인공지능에 의한 가상 인간과 사용자가 인터랙티브로 대화를 하면서 입력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선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13(a)는 홀로그램 장치(100)에 의해 임의의 홀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b)는 제품 선택부(240)에 의해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며, 도 13(c)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한 후, 모형 제품이 모형 제품 저장부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며, 도 13(d)는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이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는 하기의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계(R10) : 사용자가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관심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
제2 단계(R20) :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분석하여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3 단계(R30) :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을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시켜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의 제1 단계(R10)는 사용자가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관심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인공지능에 추천에 의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관심이 있는 제품을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의 제2 단계(R20)는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분석하여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제어부의 인공지능은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제품에 대해 제품의 홀로그램과 제품과 관련된 정보의 홀로그램을 홀로그램 장치(1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2 실시형태의 제3 단계(R3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을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시켜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홀로그램과 함께 선택한 제품의 모형 제품을 같이 볼 수 있어 제품 구매 시 참조할 수 있다.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은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 보관 중이고, 제품이 선택되면 모형 제품 보관부(110)에 있는 모형 제품은 제1 컨베이어 벨트(114)에 의해 제1 승강부(112)로 이동한 후 제1 승강봉(113)을 따로 상부로 이동하며. 그 후 도어부(121)가 열리고 모형 제품이 상부로 이동하여 제품 전시부(120)에 안착되고, 도어부(121)는 닫힌다. 그 후 모형 제품은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는 하기의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의 연장일 수 있다. 제3 단계(R30) 후에 사용자가 모형 제품과 홀로그램을 보고 제품 구입 의사가 있다면 제4 단계(R40)로 진행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제품 구입 의사가 없다면 제3 단계(R30)에서 사용을 끝내거나, 다른 제품의 홀로그램을 요청할 수 있다.
제4 단계(R40) : 사용자가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구입할 제품을 선택하고 결제하는 단계
제5 단계(R50) : 디스플레이 중인 모형 제품이 모형 제품 보관부(110)로 이동되는 단계
제6 단계(R60) : 구입한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을 수취하는 단계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의 제4 단계(R40)는 사용자가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구입할 제품을 선택하고 결제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30) 후 제품의 구입 의사가 있는 사용자는 제품 선택부(240)를 통해 제품을 구입하고, 결제부(250)를 통해 구입할 제품의 결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의 제4 단계(R5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중인 모형 제품이 모형 제품 보관부(110)로 이동되는 단계이다. 도어부(121)가 열리면서 제1 승강부(112)가 상승하여 디스플레이 중인 모형 제품은 모형 제품 보관부(110)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장치(100)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10)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의 제3 실시형태의 제5 단계(R50)는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입한 제품이 제품 전시부(120)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을 수취하는 단계이다. 구입한 제품이 제2 승강부 또는 제3 승강부에 실리고 냉동 진열대(310) 또는 냉장 진열대(410) 후면에 위치한 냉동 공백 영역(320) 또는 냉장 공백 영역(420)으로 이동한 후, 제2 승강봉 또는 제3 승강봉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도어부(121)가 열리면서 구입한 제품은 제품 진열부에 디스플레이되고, 제2 승강부 또는 제3 승강부는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사용자는 구입한 제품을 수취할 수 있고, 모든 단계는 종료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냉장·냉동 쇼케이스
100 : 홀로그램 장치
110 : 모형 제품 보관부
111 : 모형 제품 할당 영역
112 : 제1 승강부
113: 제1 승강봉
114 : 제1 컨베이어 벨트
120 : 제품 전시부
121 : 도어부
200 : 터치 패널
210 : 음성 인식부
220 : 제스처 인식부
230 : 스크린 터치 인식부
240 : 제품 선택부
250 : 결제부
300 : 냉동실
310 : 냉동 진열대
311, 311a, 311b, 311c, 311d : 냉동 할당 영역
320 : 냉동 공백 영역
400 : 냉장실
410 : 냉장 진열대
411, 411a, 411b, 411c, 411d : 냉장 할당 영역
420 : 냉장 공백 영역
H : 홀로그램
F : 모형 제품
P : 판매 제품

Claims (9)

  1. 제품의 이미지 및 제품에 대한 설명이 홀로그램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홀로그램 장치;
    상기 홀로그램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동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동실; 및
    상기 냉동실의 하부에 위치하며, 냉장 보관이 필요한 제품이 보관되는 냉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내부에 모형 제품이 보관되는 모형 제품 보관부 및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공간인 제품 전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 전시부는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에 보관 중인 모형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할 때만 열리고,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의 하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1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어 모형 제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에 대응되는 모형 제품은 상기 제1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동하여 제1 승강부에 적재되고,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와 도어부를 연결하는 제1 승강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1 승강부가 구비되어 모형 제품은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에서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터치 스크린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스크린 터치 인식부,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제품 선택부, 사용자가 구입할 제품의 결제를 실시할 수 있는 결제부, 상기 음성 인식부, 제스처 인식부, 스크린 터치 인식부 및 제품 선택부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인공지능에 의해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홀로그램 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로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품 선택부를 통해 관심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품을 분석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단계;
    선택된 제품의 모형 제품을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시켜 선택된 제품의 홀로그램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제품 선택부를 통해 구입할 제품을 선택하고 결제하는 제4 단계;
    디스플레이 중인 모형 제품이 상기 모형 제품 보관부로 이동되는 제5 단계; 및
    구입한 제품이 상기 제품 전시부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구입한 제품을 수취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97562A 2022-08-04 2022-08-04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KR10253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62A KR102539025B1 (ko) 2022-08-04 2022-08-04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7562A KR102539025B1 (ko) 2022-08-04 2022-08-04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025B1 true KR102539025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562A KR102539025B1 (ko) 2022-08-04 2022-08-04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02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62B1 (ko) 2009-04-20 2009-12-0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제스쳐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100249994A1 (en) * 2009-03-30 2010-09-30 Craig Sinclair Express checkout method and apparatus
KR101419181B1 (ko) 2013-06-28 2014-07-14 전향아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고장치
KR101531145B1 (ko) * 2015-02-03 2015-06-23 주식회사 구달 오감자극 입체형 상품진열 가판대
KR20160015559A (ko) 2014-07-31 2016-02-15 (주)옥토끼이미징 쇼케이스
JP2019121014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ブイシンク 店舗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KR20210004732A (ko) 2019-07-05 2021-01-13 윤여표 홀로그램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장치
JP2022506056A (ja) * 2018-11-02 2022-01-17 ペプシコ・インク 対話型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9994A1 (en) * 2009-03-30 2010-09-30 Craig Sinclair Express checkout method and apparatus
KR100929162B1 (ko) 2009-04-20 2009-12-0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제스쳐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홀로그램 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419181B1 (ko) 2013-06-28 2014-07-14 전향아 홀로그램을 이용한 광고장치
KR20160015559A (ko) 2014-07-31 2016-02-15 (주)옥토끼이미징 쇼케이스
KR101531145B1 (ko) * 2015-02-03 2015-06-23 주식회사 구달 오감자극 입체형 상품진열 가판대
JP2019121014A (ja) * 2017-12-28 2019-07-22 株式会社ブイシンク 店舗
JP2022506056A (ja) * 2018-11-02 2022-01-17 ペプシコ・インク 対話型自動販売機
KR102057206B1 (ko) * 2019-01-18 2019-12-18 이승호 벤딩머신화 된 무인상품판매점 시스템
KR20210004732A (ko) 2019-07-05 2021-01-13 윤여표 홀로그램을 이용한 제품정보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6850B2 (en) Visually augmenting images of three-dimensional containers with virtual elements
US11175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product interaction assistance
US2019009577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 system capable of natural verbal and visual interactions with a human
US11804095B2 (en) Interactive vending machine
EP2840567A1 (en) Vending machine comprising an integrated translucent lcd
US20140365336A1 (en) Virtual interactive product display with mobile device interaction
US20140365272A1 (en) Product display with emotion prediction analytics
US20220284684A1 (en) Augmented reality feedback of inventory for an appliance
CN113222705B (zh) 一种商品陈列优化方法、装置以及设备
KR20200092306A (ko) 지능형 마케팅 및 광고 플랫폼
CN108389320B (zh) 一种售货柜和一种售货柜的控制方法
KR102214687B1 (ko)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방법
EP3866129A1 (en) Apparatus equipped with an intelligent display unit for the display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in general, in particular a refrigerator
US11928941B2 (en) Handles and displays for product vending system
WO2014179578A2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 lighting control, product display lighting method and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 lighting, and -method for setting product display location lighting
TWI820477B (zh) 用於庫存管理、行銷及廣告之智慧型系統、其相關方法、及用於零售冷藏容器之設備
KR102539025B1 (ko) 홀로그램 장치를 구비한 냉장·냉동 쇼케이스 및 이를 사용한 홀로그램 구현방법
KR101471412B1 (ko) 투명 디스플레이 광고 방법 및 장치
US20170236491A1 (en) Hybrid-image display device
KR20220096385A (ko) 키오스크 및 립스틱 자판기를 통한 립스틱 제품 마케팅 시스템
KR20210132915A (ko) 안면 인식 및 IoT 기반 애드큐레이션 사이니지 시스템
JP2011248854A (ja) 顔認識による化粧品テスター選択システム
KR102409561B1 (ko) 고객과 상호작용하는 증강현실 무인 매장 장치
US202101179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and dispensing products
WO2007042923A2 (en) Image acquisition, processing and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