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775B1 -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775B1
KR102538775B1 KR1020210062689A KR20210062689A KR102538775B1 KR 102538775 B1 KR102538775 B1 KR 102538775B1 KR 1020210062689 A KR1020210062689 A KR 1020210062689A KR 20210062689 A KR20210062689 A KR 20210062689A KR 102538775 B1 KR102538775 B1 KR 102538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positional relationship
devices
signal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894A (ko
Inventor
멍메이 리우
즈뤼 한
런웨이 후앙
췐 장
페이 시앙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파인콘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파인콘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파인콘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6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8Electronic adaptation dependent on speaker or headphon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4Positioning of loudspeaker enclosures for spatial sound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수량 및 서로 다른 위치 관계를 갖는 오디오 재생 기기를 기반으로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더 우수한 오디오 재생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AUDIO,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전자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공 지능과 사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 홈은 사물 인터넷 (IoT) 기술을 통해 오디오 및 비디오 장비, 조명 시스템, 커튼, 에어컨, 청소기기, 각종 가전 제품 또는 시스템 등 가정의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여 원격 제어, 타이밍 제어 및 연동 기능 등을 구현한다. 다만, 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스마트 홈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재생 장치를 제어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하기에는 비교적 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른 오디오 재생 방법은,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및,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는,
오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가전 제품을 포함하는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서브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서브 모듈;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6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7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및,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제2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믹싱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서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은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적어도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은 상기 임의의 오디오 재생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측면은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임의의 오디오 재생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수량 및 서로 다른 위치 관계를 갖는 오디오 재생 기기를 기반으로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가정에 있는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연동된 재생을 구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매칭시킴으로써 더욱 우수한 오디오 재생 효과를 획득한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도면은 명세서에 통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원리 제1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원리 제2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갖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 효과를 갖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물리적 구조 블록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를 첨부도면에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첨부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현 방식은 본 발명에 매칭하는 모든 구현 방식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이러한 구현 방식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매칭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 S101,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단계 S102,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단계 S103,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기기는 오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임의의 가전 제품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는 휴대폰, TV, 스마트 스피커, 오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스마트 마이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컴퓨터 등과 같이 비디오 재생, 오디오 수집, 비디오 수집 및 기타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오디오 재생 기능만 있는 스피커 장치 등 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에는 동일한 유형의 가전 제품이 포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유형의 가전 제품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TV 한대 및 여러대의 스마트 스피커 또는 TV 한대 및 여러대의 스마트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이 설정되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가 제어 장치에 의해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갖거나 동일한 제어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재생 기기에 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 및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함으로써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와 통신 및 데이터 전송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Bluetooth, NFC, UWB 및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또는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V 또는 기타 재생 장치와 같은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에Bluetooth, NFC, UWB 및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추가하면,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장치 간의 통신을 구현하거나 또는 단말과의 상호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는 모두 휴대폰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휴대폰과 통신 연결을 설정하여 휴대폰을 통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제어하여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를 제어하여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방법은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업 믹싱 또는 다운 믹싱 처리를 통해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처리를 하여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업 믹싱은 재생할 오디오 신호를 믹싱하여 획득하는 사운드 채널 수가 원래 사운드 채널 수보다 더 많은 경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2.0 사운드 채널을 4.0 사운드 채널로 업 믹싱하며; 다운 믹싱은 믹싱하여 획득하는 사운드 채널 수가 원래 사운드 채널 수보다 적은 경우를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5.1 사운드 채널을 2.1 사운드 채널로 다운 믹싱한다.
사운드 채널은 L (좌측 사운드 채널), R (우측 사운드 채널), Ls (좌측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Rs (우측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C (중앙 사운드 채널) , Ltop (왼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왼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Rtop (오른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오른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Lcs (왼쪽 중앙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및 LFE (베이스 사운드 채널) 중 2 개 이상을 포함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생할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처리는 재생할 오디오에 포함된 사운드 채널을 추출 또는 병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생할 오디오의 서로 다른 유형의 사운드 정보를 추출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배경 사운드와 사람의 음성을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거나 또는 방향 정보가 다른 사운드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를 분리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수량 및 서로 다른 위치 관계를 갖는 오디오 재생 기기를 기반으로 재생할 오디오를 처리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가정에 있는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연동된 재생을 구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매칭시킴으로써 더욱 우수한 오디오 재생 효과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연관된 오디오 재생 기기는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연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가 동일한 장치와 통신 연결을 갖는 경우, 상기 동일한 장치의 식별 정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연관 정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가 이러한 오디오 재생 기기가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동일한 식별 정보를 갖는다.
상기 연관 정보를 통해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세트는 복수의 스피커와 통신 연결되고, TV 세트는 자체에 연결된 연결 정보에 따라 스피커 수량을 결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은 텔레비전 자체 및 스피커 수량의 합계이다. 다른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독립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는 스피커 또는 TV 세트와 같은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와 통신 연결을 설정하고, 휴대폰은 통신 연결의 식별 정보와 같은 정보를 통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를 결정한다.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가 모두 오디오 재생 기능을 갖기 때문에,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여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가 차례로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고, 휴대폰과 같은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재생된 테스트 오디오를 검출하며, 테스트 오디오의 수신 시간, 강도 등 정보에 따라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 및 거리 등을 결정한다. 다른 예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에서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를 수신하여 상대적인 방향과 거리를 결정한다.
따라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오디오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할 수 있고, 상이한 위치 또는 사운드 채널의 오디오 신호의 후속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는 순차적으로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고, 상이한 테스트 오디오를 동시에 재생할 수도 있다.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오디오 수집 기능을 갖는 경우, 해당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고, 더 나아가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오디오는 짧은 시간의 음악, 음성 또는 리듬일 수도 있고 초음파와 같은 사람이 들을 수 없는 오디오일 수도 있다. 오디오 테스트는 재생할 오디오를 재생하기 전에 테스트할 수도 있고, 시간 간격을 두고 테스트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와 연관된 통신 연결을 설정한 다음 테스트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리거한 경우에 검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데이트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다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예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지정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는 자체의 필요 또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재생 기기를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배치 방법에 관계없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는 검출을 통해 획득할 수 있고,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상응한 처리 및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테스트 오디오 수집 장치는 위치 결정 기능이 있는 마이크로폰 어레이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 어레이 중 서로 다른 방향의 마이크 채널에 의해 수집된 테스트 오디오 간의 시간 차이 등 정보에 의해 음원의 방향 및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집 기능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위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장치 A는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고, 장치 B 및 장치 C는 각각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며, 장치 B 및 장치 C에 의해 수집된 테스트 오디오의 강도, 시간 차이 등을 포함하는 신호 차이에 따라 장치 A, 장치 B 및 장치 C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결정한다.
따라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에서 수집된 테스트 오디오에 대해 분석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획득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자체가 위치 결정 등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자체의 습관에 따라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이 두개인 경우,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결정된 미리 정해진 방향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와 같은 오디오 재생 기기 (21)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사용하여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 (22)에 의해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를 수신할 수 있으며, 테스트되는 오디오 재생 기기 (22)에 의해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의 방향과 오디오 재생 기기 (21)의 중심축 (20) (또는 예정된 다른 방향) 사이의 각도 (23)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을 경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는 서라운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위치 관계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로 재생한다. 테스트되는 오디오 재생 기기 (22)에 의해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의 방향과 오디오 재생 기기 (21)의 중심축 (20) (또는 예정된 다른 방향) 사이의 각도 (23)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는 서라운드 효과의 방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배치 위치가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제2 위치 관계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스테레오 효과로 재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이 두개 이상인 경우,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를 정점으로 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와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스피커와 같은 오디오 재생 기기 (31)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사용하여 다른 스피커 (32) 또는 TV (33)을 포함하는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각각 재생되는 테스트 오디오를 수신하여 자체와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 간의 방향 관계 및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3자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임의의 3자) 사이의 각도 (30)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으면 서라운드 방향을 갖추지 않아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의 배치 요구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위치 관계로 결정하고 스테레오 효과로 재생할 수 있다. 3자 사이의 각도 (30)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의 배치 요구를 만족하기 때문에, 제2 위치 관계로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로 재생한다. 미리 설정된 각도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과 관련되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이 다를 경우, 제1 위치 관계 또는 제2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각도의 값도 변화되는데, 상기 파라미터의 구체적인 값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및,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는 예컨대 디코더로 디코딩하여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운드 채널 믹싱을 사용하여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등 한가지 또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기기의 서로 다른 위치 관계에 따라 대응하는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사이의 위치 관계가 다양한 조건을 만족하면, 동시에 서로 다른 유형의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대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분배하여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 사항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를 유연하게 처리함으로써,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에 적합한 오디오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신호 특징은 재생할 오디오의 주파수, 진폭, 주파수 스펙트럼 등 특징일 수도 있고, 위치 정보가 포함된 특징일 수도 있다.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여러 세트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상이한 유형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라운드 사운드는 디코더로 디코딩하여 사운드를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처리하는 경우, 재생할 오디오를 디코딩하여 서로 다른 위치의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위치의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는 동일한 재생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생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강도, 볼륨, 사운드 톤 및 주파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의 생성 과정에서, 오디오 재생 기기에 의해 재생되는 서로 다른 위치의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에 시간 차이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에 대해 역 상관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재생 기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한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는 방식을 통해 대응하는 수량에 매칭하는 사운드 채널을 획득할 수 있다. 재생할 오디오 자체에 하나 이상의 사운드 채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채널에 대해 업 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사운드 채널의 수량을 추가하고, 복수의 사운드 채널에 대해 다운 믹싱 처리를 수행하여 사운드 채널의 수량을 감소함으로써,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에 매칭하는 사운드 채널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테레오는 서로 다른 사운드 채널을 통해 바이노럴 효과 (Binaural Effect)를 시뮬레이션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위치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 중에 사운드의 방위각 수준과 같은 공간 분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서로 다른 위치에서 오디오 재생 기기가 재생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어, 스테레오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다음의 예를 제공한다.
인공 지능과 사물 인터넷 기술의 성숙도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 TV, 스마트 스피커와 같은 시청각 엔터테인먼트 전자 제품에 대한 수요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몰입감 있는 사운드 체험을 위해, 시청각 전자 제품의 측면에서 오디오 소스에 서라운드 사운드 필름 소스가 포함되어야 하고, 장치 측면에서 특정 서라운드 사운드 장치가 필요하다. 서라운드 사운드 장비는 5.1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7.1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과 같은 다중 사운드 채널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제품의 가격이 매우 비싸다. 서라운드 음원은 다중 사운드 채널 정보가 포함된 음원을 가리키며, 현재 대부분의 주류 음원은 스테레오로서, 5.1 이상의 음원이 매우 적으며, 일반적으로 서라운드 사운드 사운드 채널을 획득하려면 업 믹싱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정 사용자가 소유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 연동시키는데, TV와 복수 (또는 하나) 스마트 스피커 또는 복수의 스마트 스피커를 홈 서라운드 사운드 또는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조합하고, 자체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필름 소스에 대해 서로 다른 업 믹싱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대상 장치의 오디오를 획득함으로써, 더 나은 전방 사운드 및 더 넓은 음장을 획득하며, 모든 오디오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청취 경험을 만족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신호를 업 믹싱하는 방법은, 오디오 신호를 확산 신호 및 직접 신호로 분해하는 단계;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산 신호를 기반으로 높이 사운드 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적 주변 소리를 생성하는 단계; 직접 신호에서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오디오 객체의 높이 정보가 포함되는 오디오 객체의 메타 데이터를 추정하는 단계; 및, 오디오 정적 주변 소리 및 오디오 객체를 업 믹싱된 오디오 신호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정적 주변 소리는 미리 정의된 위치에 제시되고 오디오 객체는 메타 데이터에 따라 제시된다. 업 믹싱 시스템에는 직접 신호/확산 신호 분해기, 정적 주변 소리 생성기, 객체 추출기, 메타 데이터 추정기 및 오디오 렌더러가 포함된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완전한 서라운드 사운드 장치에 의존해야 하며, 하드웨어 비용이 높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 TV를 통해 스테레오 서라운드 사운드의 음향 효과를 구현한다. 해당 방법은, 스마트 TV가 원래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후, 원래 오디오 신호가 서라운드 음향 효과를 지원한다고 판단되면, 원래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브 오디오 신호를 두부분으로 분리하여 첫번째 부분의 서브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 TV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스피커에 전송하여 재생하고, 두번째 부분의 서브 오디오 신호는 스마트 TV에 무선으로 연결된 모바일 블루투스 스피커로 전송하여 재생함으로써, 최저 비용으로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구현하며, Bluetooth 스피커는 이동이 용이하고 레이아웃이 간단하여 널리 보급될 수 있어 제품의 경쟁력과 사용자 경험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TV 및 스마트 스피커를 조합하여 서라운드 사운드/스테레오 사운드를 재생하기 위한 기술 방안을 제공한다.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유형의 오디오 신호를 업 믹싱하는 기술 방안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알고리즘을 통해 재생할 오디오를 처리하여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에 대해 역 상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원래 오디오 신호와 역 상관 처리된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업 믹싱된 오디오 신호로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의 다운 믹싱 또는 업 믹싱 및 대상 스피커 수량의 기술 방안을 제공하는데, 현재 업 믹싱 기술 방안은 서로 다른 스피커 수량을 지원하며, 스피커가 2개인 경우, 사운드 채널로는 FL (좌측 사운드 채널), FR (우측 사운드 채널), Ls (왼쪽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Rs (오른쪽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C (중앙 사운드 채널), Ltop (왼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왼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Rtop (오른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오른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및 LFE (베이스 사운드 채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LS 및 R은 스피커 사운드 채널이며; 스피커가 4개인 경우, 사운드 채널로는 FL (좌측 사운드 채널), FR (우측 사운드 채널), Lside (왼쪽 가장자리 사운드 채널), Rside (오른쪽 가장 자리 사운드 채널), Ls (왼쪽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Rs (오른쪽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C (중앙 사운드 채널), Ltop (왼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왼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Rtop (오른쪽 상단 사운드 채널 또는 오른쪽 스카이 사운드 채널) 및 LFE (베이스 사운드 채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LS, Rs, (Lside, Rside) 또는 (Ltop, Rtop)은 스피커 사운드 채널이며; 상기 사운드 채널을 2개 또는 4개의 스피커 서라운드 사운드 채널 또는 스테레오 사운드 채널로 업 믹싱 또는 다운 믹싱하여 각각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정보를 획득하며, 스피커가 복수개인 경우, 더 많은 사운드 채널로 변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업 믹싱은 예컨대 2.0사운드 채널을 4.0사운드 채널로 업 믹싱하는 것과 같이 업 믹싱 후 신호 사운드 채널 수가 원래 신호 사운드 채널 수보다 많은 경우를 의미하며; 다운 믹싱은 5.1사운드 채널을 2.1 사운드 채널로 다운 믹싱하는 것과 같이 다운 믹싱 후 신호 사운드 채널 수가 원래 신호 사운드 채널 수보다 적은 경우를 의미한다.
장치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TV와 스마트 스피커를 조합하여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TV와 스피커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고, 사설 무선 전송 프로토콜 (wifi 또는 블루투스)을 통해 장치의 연동을 구현하여 복수의 사운드 채널이 동시에 재생되는 효과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스마트 TV와 스마트 스피커를 조합하여 서라운드 사운드를 재생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은, 원래 오디오 신호에서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 서라운드 사운드 추출기;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역 상관하도록 구성된 역 상관기; 및, 스마트 TV와 스마트 스피커 및 TV와 스피커 간의 무선 연동을 위한 오디오 렌더러;를 포함한다.
스테레오와 서라운드 사운드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시스템도 스피커와 TV의 상대 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상대 위치를 결정하여 서라운드 사운드 또는 스테레오 재생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자동 네트워킹 과정에서, TV 스피커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사운드 채널을 검출하고 자동으로 사운드 채널의 구성을 완성한다.
서라운드 사운드 스테레오 모드 및 사운드 채널 검출 방식은 다음과 같다 (TV에 마이크 어레이가 있는 경우) : 스피커에 의해 테스트 신호가 송신 (테스트 오디오는 초음파, 아름다운 음악 또는 강한 지각 음성, 스위프 주파수 등일 수 있음)된 후, TV는 녹음 기능을 켜고 마이크 어레이를 통해 음원 위치 결정 원리를 이용하여 TV에 대한 스피커 위치를 결정하며,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스피커의 위치를 테스트하여 사용자에게 TV의 상하 중심축에 대칭되게 스피커를 배치하도록 지시하고, 시스템은 위치 정보에 따라 좌우 사운드 채널의 분배를 자동으로 완성하며, 서라운드 사운드 및 스테레오 모드의 전환을 자동으로 완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위치로 검출되면 서라운드 사운드 모드이고, 점선 위치로 검출되면 스테레오 모드이며, 두 모드 사이에는 각도 임계값이 존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라운드 사운드 스테레오 모드의 다른 검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스피커에 마이크 어레이가 있는 경우) : 한 스피커가 수신하고 TV와 다른 스피커가 소리를 내어 3자가 예각을 형성하며, 예각이 특정값보다 작으면 스테레오 모드이고, 예각이 특정값보다 크면 서라운드 사운드 모드이며, 서라운드 사운드 스테레오 모드이고 TV가 예각의 왼쪽에 위치하면 수신 스피커가 왼쪽에 위치하며, 그렇지 않으면, 수신 스피커가 오른쪽에 위치하며, 이런 방법으로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의 경우, 스테레오 모드에서는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을 구분할 수 없어 수동으로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을 판단해야 하지만, TV에 마이크 어레이가 없는 경우에 적합하다.
예시적으로, 일반적인 2.0 사운드 채널의 재생할 오디오의 오디오 소스를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할 오디오는 서라운드 사운드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적인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고, TV 자체는 원래의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을 재생함으로써,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획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할 오디오의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이 각각 독립적인 스피커에 의해 재생되는 동시에, TV 자체는 원래의 좌측 및 우측 사운드 채널을 재생함으로써, 스테레오 효과를 획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600)는,
오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가전 제품을 포함하는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 (601);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모듈 (602);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 (6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 서브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서브 모듈;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5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6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7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및,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제2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믹싱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서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 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실시예의 장치와 관련하여, 각 모듈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특정 방식은 방법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7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7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장치, 피트니스 장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 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 (700)는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 메모리 (702), 전력 공급 컴포넌트 (703),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704), 오디오 컴포넌트 (705), I/O 인터페이스 (706), 센서 컴포넌트 (707) 및 통신 컴포넌트 (708) 중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레코드 동작 등과 같은 전자 기기 (7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는 상기 방법의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7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는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와 다른 컴포넌트 간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704)와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710)는 전자 기기 (7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는 전자 기기 (700)에서 동작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 (702)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프로그래밍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 (PROM), 읽기 전용 메모리 (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임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컴포넌트 (703)는 전자 기기 (70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위해 전력을 제공한다. 전력 공급 컴포넌트 (703)는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전자 기기 (700)를 위한 전력 생성, 관리 및 분배와 연관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704)는 상기 전자 기기 (7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및 터치 패널 (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에 터치 패널이 포함되는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는 터치 패널의 터치, 슬라이딩 및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 (704)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 (7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을 경우,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중의 적어도 하나는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 중의 적어도 하나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 (705)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 (705)는 하나의 마이크 (MIC)를 포함하며, 전자 기기 (700)가 통화 모드, 레코드 모드,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 (710)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 (708)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 (705)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 (706)는 프로세싱 컴포넌트 (701)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 (707)는 전자 기기 (700)를 위해 다양한 양상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 (707)는 전자 기기 (700)의 온/오프 상태, 전자 기기 (7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등 구성 요소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센서 컴포넌트 (707)는 또한 전자 기기 (700) 또는 전자 기기 (700)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전자 기기 (700) 간의 접촉 유무, 전자 기기 (700)의 방향 또는 가속/감속 및 전자 기기 (7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 (707)는 그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을 때 주변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 (707)는 또한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 (707)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컴포넌트 (708)는 전자 기기 (700)와 다른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기기 (700)는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 (708)는 캐스트 사운드 채널을 통해 외부 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캐스트 신호 또는 캐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 (708)는 근거리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 (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 (UWB) 기술, 블루투스 (BT) 기술 또는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 (700)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DSP Device, DSPD), 현장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부품 또는 그 조합을 통해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702)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명령이 전자 기기 (700)의 프로세서 (7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이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자 기기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와 여기에 개시된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고, 본 발명에 공개되지 않은 기술 분야의 상식 또는 기존의 기술적 수단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21: 오디오 재생 기기 22: 오디오 재생 기기
23: 각도

Claims (22)

  1. 오디오 재생 방법에 있어서,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에 매칭함 -; 및,
    오디오 재생 기기 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 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에 매칭함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방법.
  7. 오디오 재생 기기에 있어서,
    오디오 재생 기능이 있는 가전 제품을 포함하는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 및 위치 관계를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 모듈;
    상기 수량 및 위치 관계에 따라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 수량에 매칭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모듈;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출 모듈은,
    상기 연관된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연관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오디오 검출을 수행하기 위한 검출 서브 모듈; 및,
    오디오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서브 모듈은,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서브 모듈;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 중 오디오 수집 기능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재생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 서브 모듈; 및,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검출 결과를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정 서브 모듈은,
    수집된 상기 테스트 오디오에 따라,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4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각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제5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5 결정 서브 모듈은,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6 결정 서브 모듈; 및,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수집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에 대한 상기 테스트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방향과 미리 정해진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7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오디오 재생 기기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수는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및,
    오디오 재생 기기적어도 두개의 상기 오디오 재생 기기의 위치 관계가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데 응답하여,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제2 처리 서브 모듈 -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의 채널수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와 같음 -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미리 정해진 유형의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을 추출하는 추출 서브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한세트의 신호 특징에 따라 상기 제1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 오디오 신호는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정해진 유형의 신호 특징은 서라운드 사운드 신호 특징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 서브 모듈은,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믹싱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 오디오 신호는 스테레오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믹싱 서브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할 오디오의 사운드 채널수에 따라 상기 재생할 오디오에 대해 사운드 채널을 믹싱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만족하는 오디오 재생 기기의 수량의 스테레오 신호를 획득하는,
    오디오 재생 장치.
  13. 전자 기기에 있어서,
    적어도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실행될 경우,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재생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는,
    전자 기기.
  14.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재생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10062689A 2020-11-19 2021-05-14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538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306975.9A CN112312298A (zh) 2020-11-19 2020-11-19 音频播放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202011306975.9 2020-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894A KR20220068894A (ko) 2022-05-26
KR102538775B1 true KR102538775B1 (ko) 2023-06-01

Family

ID=7433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689A KR102538775B1 (ko) 2020-11-19 2021-05-14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67729B2 (ko)
EP (1) EP4002878A1 (ko)
JP (1) JP7348927B2 (ko)
KR (1) KR102538775B1 (ko)
CN (1) CN1123122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8056B (zh) * 2021-03-18 2023-08-22 广州虎牙科技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119214A (zh) * 2021-03-22 2022-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立体声组网方法、系统及相关装置
CN113411725B (zh) * 2021-06-25 2022-09-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5884067A (zh) * 2021-09-28 2023-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组网及声道配置方法和电子设备
CN113891219A (zh) * 2021-10-19 2022-01-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设备的布局方法、装置、音频播放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3130206A1 (en) * 2022-01-04 2023-07-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ulti-channel speaker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6347320B (zh) * 2022-09-07 2024-05-07 荣耀终端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5910A (zh) * 2009-01-12 2009-06-24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立体声播放控制方法、终端与系统
KR101543535B1 (ko) 2014-07-02 2015-08-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8882139A (zh) * 2018-05-31 2018-11-23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参数配置方法以及系统
US20190387344A1 (en) 2019-07-15 2019-12-19 Lg Electronics Inc. Surround audio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ulti-channel surround audio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peak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9440B2 (en) 2004-05-12 2008-05-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etup latency in one or more service instances
US7630501B2 (en) * 2004-05-14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on of an acoustic system
WO2006131894A2 (en) * 2005-06-09 2006-12-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the functional positions of the loudspeakers of an audio-visual system
TWI603632B (zh) 2011-07-01 2017-10-21 杜比實驗室特許公司 用於適應性音頻信號的產生、譯碼與呈現之系統與方法
JP2014022959A (ja) * 2012-07-19 2014-02-03 Sony Corp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US9503832B2 (en) 2013-09-05 2016-11-22 AmOS DM, LLC System and methods for motion restoration in acoustic processing of recorded sounds
KR101604185B1 (ko) * 2013-12-12 2016-03-24 한국방송공사 콘텐츠의 복수의 오디오 채널 재생 방법
CN104185132B (zh) * 2014-09-02 2019-02-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声道配置方法、智能终端及相应系统
US9924291B2 (en) 2016-02-16 2018-03-20 Sony Corporatio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US10063967B2 (en) * 2016-03-22 2018-08-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und collecting device and sound collecting method
CN106162444A (zh) * 2016-09-08 2016-11-23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用于音频播放系统的声道配置方法和装置、终端及音箱
US9794720B1 (en) 2016-09-22 2017-10-17 Sonos, Inc. Acoustic position measurement
US10149088B2 (en) * 2017-02-21 2018-12-04 Sony Corporation Speaker position identification with respect to a user based on timing information for enhanced sound adjustment
CN108387873A (zh) * 2018-03-29 2018-08-1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音源定位方法和系统、音箱系统定位方法和音箱系统
JP6756777B2 (ja) * 2018-05-30 2020-09-1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音発生方法
WO2020030769A1 (en) * 2018-08-09 2020-02-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 audio processor and a method considering acoustic obstacles and providing loudspeaker signals
DE102018120804B4 (de) * 2018-08-27 2022-10-27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Konfiguration eines Audio-Ausgabesystems und nichtflüchtiges Speichermedium
KR102650734B1 (ko) * 2019-04-17 202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스피커들에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오디오 시스템 및 방법
CN110809226A (zh) * 2019-10-18 2020-02-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及电子设备
CN111857473B (zh) * 2020-07-17 2022-01-1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音频播放方法、装置和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65910A (zh) * 2009-01-12 2009-06-24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立体声播放控制方法、终端与系统
KR101543535B1 (ko) 2014-07-02 2015-08-10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입체 음향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8882139A (zh) * 2018-05-31 2018-11-23 北京橙鑫数据科技有限公司 参数配置方法以及系统
US20190387344A1 (en) 2019-07-15 2019-12-19 Lg Electronics Inc. Surround audio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multi-channel surround audio signal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81381A (ja) 2022-05-31
EP4002878A1 (en) 2022-05-25
US11567729B2 (en) 2023-01-31
CN112312298A (zh) 2021-02-02
JP7348927B2 (ja) 2023-09-21
US20220156036A1 (en) 2022-05-19
KR20220068894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775B1 (ko) 오디오 재생 방법 및 오디오 재생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US11061643B2 (en) Devices with enhanced audio
JP6385459B2 (ja) オーディオの再生のため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2035477B1 (ko) 카메라 선택에 기초한 오디오 처리
US201700470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hieving object audio recording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5163241A (zh) 音频播放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5338389A (zh) 控制智能电视的方法和装置
WO2020063675A1 (zh) 一种智能音箱及智能音箱使用的方法
US11758326B2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in a distributed audio playback system
US201203175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audio experience for viewers of video
KR101834269B1 (ko) 오디오 재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6453032B (zh) 信息推送方法及装置、系统
CN108845787A (zh) 音频调节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120287283A1 (en) Electronic device with voice prompt function and voice prompt method
CN106375846B (zh) 直播音频的处理方法及装置
US20200013209A1 (en) Image and sound pickup device, sound pickup control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mage and sound pickup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pickup control system
CN107340990B (zh) 播放方法及装置
WO2023240467A1 (zh) 音频播放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212883A1 (zh) 音频输出方法和装置、通信装置和存储介质
WO2023245390A1 (zh) 智能耳机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7939352A (zh) 音频信号播放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CN113709652A (zh) 音频播放控制方法和电子设备
WO2023235659A1 (en) Contextual user interface element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