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74B1 -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 Google Patents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74B1
KR102538274B1 KR1020230054282A KR20230054282A KR102538274B1 KR 102538274 B1 KR102538274 B1 KR 102538274B1 KR 1020230054282 A KR1020230054282 A KR 1020230054282A KR 20230054282 A KR20230054282 A KR 20230054282A KR 102538274 B1 KR102538274 B1 KR 10253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discharged
housing member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재산업
Priority to KR102023005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2Laboratory benches or tables; Fit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하나의 실험테이블을 사용시 실험테이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여 배출함과 동시에 배출시 막의 형태를 갖도록 배출하여 사용자 간의 바이러스 감염도 방지시킬 수 있는 실험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사용하는 실험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실험테이블은 개구부가 형성된 테이블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양측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 후, 정화된 공기를 상기 테이블부재 상부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출하여 가상의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테이블부재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테이블부재 상부로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technology, when two or more users face each other and use one experiment table, the air around the experiment table is sucked in, purified and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d in the form of a film to prevent virus infection between users. It relates to an experiment tabl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xperiment tabl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facing each other, wherein the experiment table is detachably mounted with a table member having an opening formed therein and the outside sucked in from both sides. An air purify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virtual air film by purifying the air and then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to an upper part of the table memb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wherein the air purifying unit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around the table member and measures the measured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so that a double air film can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ble member when it is greater than this set value.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Lab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본 기술은 둘 이상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하나의 실험테이블을 사용시 실험테이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여 배출함과 동시에 배출시 막의 형태를 갖도록 배출하여 사용자 간의 바이러스 감염도 방지시킬 수 있는 실험테이블에 관한 것이다.In this technology, when two or more users face each other and use one experiment table, the air around the experiment table is sucked in, purified and discharged,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d in the form of a film to prevent virus infection between users. It's about the experimental table.

일반적으로, 의약이나 화학실험을 하기 위한 테이블에는 실험에 사용될 약품이나 기구 등을 취급하는데 따른 동선을 최소화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테이블의 상부나 측면에 장식장 형태로 된 이른바, 시약대 또는 유틸리티박스를 배치되게 한 실험실용 가구가 등장하였다.In general, on tables for medicine or chemical experiments, a so-called reagent stand or utility in the form of a cabinet is placed on the top or side of the table to minimize the movement of handling drugs or instruments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and increase convenience of use. Laboratory furniture that allowed the boxes to be placed appeared.

상기 실험용 테이블의 상측에 시약대를 배치하여 사용하게 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0409748호의 '실험대용 시약대'에 의하면, 실험대(테이블)에 올려지는 시약대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여 견고함과 미려함을 확보하고, 시약대 선반에 거치된 시약병을 사방에서 확인함과 아울러 선반의 높이조절과 선반의 추가/제거가 가능토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게 된 것이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used by arranging a reagent table on the upper side of the laboratory table, according to the 'reagent table for laboratory'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9748,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s of the reagent table placed on the laboratory table (table) is made of aluminum to ensure robustness and beauty, and to check the reagent bottles mounted on the reagent table shelf from all sides,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enabl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helf and the addition/removal of the shelf. .

한편, 종래의 실험용 테이블의 경우, 하나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도록 앉거나 서서 실험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서로 간에 다른 시약을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시약으로부터 발산된 냄새 등으로 인하여 서로 간에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xperiment table, the experiment is performed by sitting or standing so that users face each other using one table. In this case, the experiment can be performed using different reagents,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each other due to the smell emitted from the reagent.

아울러, 근래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는 서로 근접하게 마주하는 사용자에게 바이러스 등을 옴기지 않기 위해 비말방지판과 같은 칸막이를 사용하고 잇으나, 이는 실험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의도적으로 칸막이를 제거하여 사용함에 따라 바이러스의 확산 우려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pandemic situations, partitions such as anti-splash plates are used to prevent viruses from being transmitted to users who are facing each other in close proximity, but this acts as an element that interferes with experiments, so the partitions are intentionally used. As it is removed and used, it is caused by a problem that may have a concern about the spread of the virus.

국내등록특허 제10-1538367호(공고일:2015.07.22.)Domestic Patent No. 10-1538367 (Announcement date: 2015.07.22.) 국내등록실용 제20-0409748호(공고일:2006.02.24.)Domestic Registered Utility No. 20-0409748 (Announcement date: 2006.02.24.) 국내공개특허 제10-2014-136171호(공고일:2014.11.28.)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4-136171 (Announcement date: 2014.11.28.) 국내등록실용 제20-0391109호(공고일:2005.08.01.)Domestic Registered Utility No. 20-0391109 (Announcement Date: 2005.08.0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험용 테이블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하되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막의 형태를 갖게 서로 마주하는 사용자 사이에 배출시켜 바이러스의 확산도 함께 방지시킬 수 있는 실험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air around the laboratory table is sucked in, purified, an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it is discharged between users facing each other in the form of a film to prevent the spread of viruses toge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xperimental table.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은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사용하는 실험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실험테이블은 개구부(110)가 형성된 테이블부재(100) 및 상기 개구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양측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 후, 정화된 공기를 상기 테이블부재(100) 상부로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출하여 가상의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정화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테이블부재(100)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테이블부재(100) 상부로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experiment tabl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periment tabl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facing each other, and the experiment table has an opening 110 The table member 100 and the opening 110 are detachably mounted, and after purifying the external air sucked in from both sides, the purified air is directed to the top of the table member 100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300. An air purifying unit 200 that discharges and forms a virtual air film, wherein the air purifying unit 200 measure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around the table member 100 and when the measured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the table member 200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so that a double air film can be formed on the top.

또한,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인 양측에 공기유입공(211)이 형성되되 상부에는 공기막을 배출하는 공기배출공(213)이 형성되며, 외면은 상기 개구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부재(210)와,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출하는 공기배출부재(220) 및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입공(21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터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purifying unit 200 has air inlet holes 211 form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an air discharge hole 213 for discharging an air film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the opening 110 A housing member 210 detachably mounted with the housing member 210, which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and sucks in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and then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An air discharge member 220 for discharging one or more air films and a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to filter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hole 211. ) is preferably included.

또한, 상기 필터부재(230)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231) 및 상기 하우징부재(210)에 권출가능하게 롤의 형태로 구비되되 권출시에 상기 제1필터(231)와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면 사이에 형성된 홈부(215)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필터(231)로 진입하기 이전의 외부공기를 우선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233) 외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21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35)를 통해 상기 홈부(215)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23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ll so as to be unwound to the first filter 231 and the housing member 210 for filtering the outsid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but when unwound, A second filter ( 233), but can slide in the groove 215 through the handle 23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210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233. It is desirable that it be recommended.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재(220)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으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221)과, 상기 흡입팬(221)을 통해 유입되되 상기 필터부재(230)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정화공기가 유실되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공(21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브라켓(223) 및 상기 안내브라켓(223) 내측에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하나 또는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판(225)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225)은 상기 안내브라켓(223) 내에서 수직되게 배치되면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막이 이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할하며, 수평되게 배치되면 상기 회전판(225)에 형성된 공기막형성공(227)을 통해 정화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공(213)으로 하나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member 220 includes a suction fan 221 rotating by a motor M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to suck in external air from the air inlet hole 211, and the suction A guide bracket 223 for guiding the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an 221 and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30 to move toward the air discharge hole 213 without being lost, and the guide bracket 223 ) Including a rotating plate 225 installed rotatably by a motor M on the inside so that one or double air films are formed by rotatio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The rotating plate 225 divides the air film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so that it can be double discharged when vertically disposed within the guide bracket 223, and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225 when disposed horizontally. It is preferable that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film forming hole 227 to the air discharge hole 213 so that one air film can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실험실 실내의 공기를 공기배출부재에 의해 흡입한 후, 필터부재에 의해 정화하되 그 정화된 공기가 하나 또는 이중의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판 상부로 배출함에 따라 실험실의 공기정화는 물론, 컨디션이 의심되는 사용자의 비말이나 호흡 등으로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감염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air in the laboratory is sucked in by the air discharge member, then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and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upper plate to form one or double air film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not only purifying the air in the laboratory, but also preventing the infection of viruses that can be spread by the user's droplets or breath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대한 공기정화부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대한 공기정화부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제2필터의 동작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대한 하나의 공기막이 배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용관계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A부분 확대도.
1 is a view showing an experiment tabl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ying unit of FIG. 1;
3 is a planar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second filter with respect to FIG. 3;
5 is a working relationship diagram showing how one air film is discharged with respect to FIG. 1;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Certain embodiments may be depic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specific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various real examples.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example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이하, 간략하게 '실험테이블'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periment tabl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n 'experiment tab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테이블부재(100)는 상기 테이블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하나의 상기 테이블부재(100)로 함께 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테이블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다수의 시약 등이 수납될 수 있게 상기 테이블부재(100) 측면 등에 비치되는 시약대(미도시)는 생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Prior to description, the table member 100 described below is a tabl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face each other with the table member 100 interposed therebetween to conduct experiments together with one table member 100.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gent stand (not show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able member 100 so that a plurality of reagents can be accommodated will be omitted for description.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테이블(1)은 크게 테이블부재(100), 공기정화부(200) 및 상기 공기정화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의 구성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experiment t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nsists of a table member 100, an air purifying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air purifying unit 200. contains the composition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테이블부재(100)는 후에 설명하는 공기정화부(200)가 장착되되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공유하여 시약의 실험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테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판(120) 및 지지각(13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table member 100 refers to a table equipped with an air purify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hared by a plurality of users to perform experiments on reagents, and the top plate 120 and It includes a support angle 130.

예컨대 상판(120)은 목재나 금속재질 등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각각의 하면 모서리에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각(130)에 의해 실험실 바닥에서 상기 상판(120)이 소정의 높이를 갖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upper plate 120 is molded to have a plate shape as a whole using wood or metal, but at each bottom corner, a plurality of support angles 130 having length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low the upper plate 120 to be formed on the laboratory floor. It can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120)의 측면에는 제어부(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120) 상면 양측에는 실험실 주변의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값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형태의 오염센서(310)가 상기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 설치된다.As shown, the control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op plate 120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and the air pollution around the laboratory is measur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20 and displayed as a numerical value. A plurality of contamination sensors 310 in the form of a display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하여, 오염센서(310)를 통해 감지한 실험실 주변의 오염도가 제어부(0에 저장된 설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후에 설명하는 공기정화부(200)를 동작시켜 실험실에 존재하는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정화시켜 배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around the laboratory detected by the pollution sensor 310 is detected as higher than the set value stored in the control unit 0, the control unit 300 operates the air purifying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clean the air present in the laboratory. After forced inhalation, it is purified and discharged.

아울러, 상판(120)에는 상기 상판(120)의 전체 면적을 기준으로 그 중앙부에 공기정화부(200)가 수납되기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개구부(110) 내측에는 턱부가 존재하여 상기 공기정화부(200)를 구성하는 하우징부재(210)가 걸쳐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p plate 120 has an opening 110 for accommodating the air purifying unit 200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120 based on the entire area, and at this time, a jaw portion exists inside the opening 110.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so that the housing member 210 constituting the air purifying unit 200 can be straddled.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 중 하나인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테이블부재(1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되 실험실 주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정화하여 상판(120) 상부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부재(210), 공기배출부재(220) 및 필터부재(230)를 포함한다.An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ir purifying unit 200, which is one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table member 100 described above, but after forcibly sucking air around the laboratory, , It includes a housing member 210, an air discharge member 220 and a filter member 230 as a configuration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so that one or more air films can be formed on the top plate 120.

예컨대 하우징부재(210)는 상판(120)에 설치되되 후에 설명하는 공기배출부재(220) 및 필터부재(230)가 설치되어 흡입된 외부공기가 정화된 이후에 상판(120) 상부로 배출되기 위한 이동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기유입공(211) 및 공기배출공(213)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housing member 210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120, and an air discharge member 220 and a filter member 23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to purify the sucked external air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top of the top plate 120. It includes an air inlet hole 211 and an air discharge hole 213 as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공기유입공(211)은 하우징부재(210) 양측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흡입팬(221)의 회전을 통해 외부공기 즉, 실험실 주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를 형성한다.The air inlet hole 211 is formed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member 210 and is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that is, air around the laboratory, can be introduced through rotation of the suction fan 221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form

이때, 각각의 공기유입공(211)은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필터부재(230)를 구성하는 제1필터(231)와 근접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필터(231)와 상기 공기유입공(211) 사이에 제2필터(233)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홈부(2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홈부(21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재된 필터부재(230)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도 4 참조).At this time, each air inlet hole 211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first filter 231 constituting the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and the first filter 231 and the air inlet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grooves 215 in which the second filter 233 can be slidably disposed are formed between the balls 211,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rooves 215 will be described below. )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description (see FIG. 4).

공기배출공(213)은 하우징부재(21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공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되 개구된 방향이 상판(120)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가 흡입팬(221)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상판(120) 상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만족한다.The air discharge hole 213 is perforated to have a long hol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10, and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is formed toward the top of the top plate 120 so that the purified air is supplied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uction fan 221. Satisfies the structure discharged to the upper plate 120 through.

이를 위해, 공기배출공(213)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안내브라켓(223)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To this end, the air discharge hole 213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pair of guide brackets 22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공기배출부재(220)는 상술한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외부공기가 필터부재(230)로 정화되어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흡입팬(221), 안내브라켓(223) 및 회전판(225)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member 220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external air to be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30 through the above-described air inlet hole 211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It includes a suction fan 221, a guide bracket 223 and a rotating plate 225.

흡입팬(2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를 통해 하우징부재(210)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 회전을 통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공(21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the suction fan 221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through a motor M, and through its rotation, the outside air can flow into the air inlet hole 211. do.

흡입팬(221)은 하나의 테이블부재(100)를 기준으로 사용자 방향에 맞게 개별 구비될 수 있도록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한 쌍이 서로 독립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A pair of suction fans 221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so that they can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individually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direction based on one table member 100.

이를 통해, 테이블부재(100)에 서로 마주보게 사용자가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면 한 쌍의 흡입팬(221)을 구동시키거나 어느 한 명의 사용자가 실험을 실시하면 한 쌍의 상기 흡입팬(221) 중 어느 하나만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300)의 제어를 통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arranges the table member 100 facing each other and conducts the experiment, a pair of suction fans 221 are driven, or when one user conducts the experiment, the pair of suction fans 221 It is allowed to operat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0 so that any one of them can be operated.

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실 주변의 공기오염도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면 한 쌍의 흡입팬(221)을 모두 동작시켜 신속하게 실험실 공기를 정화시키킬 수 있으며, 한 명의 사용자가 실험을 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흡입팬(221)만 동작시켜 서서히 실험실 내부의 공기가 정화되도록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users conduct an experiment and the air pollution around the laboratory is rapidly made, the laboratory air can be quickly purified by operating all of the pair of suction fans 221, and one user can perform the experim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operate only one suction fan 221 so that the air inside the laboratory is gradually purified.

물론, 본 발명에서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흡입팬(221)은 한 명의 사용자가 실험을 실시하더라도 상술한 오염센서(310)를 통해 실험실 주변 공기가 급격히 나빠졌음이 감지되면 한 쌍의 상기 흡입팬(221)이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pair of suction fans 221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one user conducts an experiment, detects that the ambient air around the laboratory has rapidly deterio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amination sensor 310, the pair of suction fans 221 )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300 so that all can operate.

안내브라켓(223)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흡입팬(221)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형성되되 개구된 한 쌍의 입구측은 공기유입공(211)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하나의 출구측은 공기배출공(213)과 대향되게 개방되어 상기 흡입팬(221)의 흡입을 통해 하우징부재(21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유실 없이 필터부재(230)에 의해 필터링(정화)된 후,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이동로가 형성되게 된다.As shown, the guide bracket 223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so that the pair of suction fans 221 are located inside, but the pair of open inlets are disposed to face the air inlet hole 211. One outlet side is opened to face the air discharge hole 213,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member 210 through suction of the suction fan 221 is filtered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30 without loss. ), a moving path through which the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is formed.

이를 위해, 안내브라켓(223)은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입구측에서 유입된 공기가 출구측을 통해 공기배출공(213)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만곡형상은 물론, 플레이트의 형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o this end, the guide bracket 223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but i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plate shape as well as a curved shape so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side can be guided toward the air discharge hole 213 through the outlet side. will lose

회전판(22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안내브라켓(223)의 출구측 내측으로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회전에 의해 해당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하나 또는 두개의 공기막을 형성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As shown, the rotation plate 225 is formed to be rotatable by the motor M toward the inside of the outlet side of the above-described guide bracket 223,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side by its rotation is one or two It forms an air film and induces it to be discharged.

이를 위해, 회전판(225) 외면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게 길이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공기막형성공(227)이 존재하며, 상기 공기막형성공(227)은 상기 회전판(225)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배출공(213)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고, 상기 회전판(225)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는 안내브라켓(223)의 출구측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공(213)으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사 상기 회전판(225)에 의해 분할되어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To this end, there is an air film formation hole 227 perfo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225, and the air film formation hole 227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plate 225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is opposed to the air discharge hole 21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en the rotating plate 225 is vertically arranged, the purified air yarn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hole 213 through the outlet side of the guide bracket 223. Divided by the rotating plate 225, a double air film is formed and discharged (see FIGS. 5 and 6).

여기서, 하나 또는 두께 폭이 향상된 이중의 공기막의 형성 여부는 하나의 테이블부재(10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어느 한 명의 컨디션이 나쁘다고 의심되면 이중의 공기막이 배출되게 회전판(225)을 회전시켜 사용자 간의 비말(호흡 포함) 등으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이 이루어지지 않게 최대한으로 노력한다.Here, whether or not a double air film having an improved thickness or width is formed is determined by rotating the rotating plate 225 so that the double air film is discharged when it is suspected that the condi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users using one table member 100 is bad. to prevent virus infection caused by droplets (including breathing) between users.

아울러, 사용자의 컨디션에 문제가 없으면 제어부(300)는 회전판(225)이 수평방향으로 누울 수 있도록 회전시켜 공기막형성공(227)과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하나의 공기막이 상판(120) 상부에 형성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user's condition, the control unit 300 rotates the rotating plate 225 so that it can lie down horizontally, so that one air blocking top plate 120 is formed through the air film forming hole 227 and the air discharge hole 213. Control to form on top.

또한, 필터부재(230)는 상술한 공기배출부재(220)를 통해 강제 유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여 정화된 공기가 하나 이상의 공기막을 형성하여 상판(120)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필터(231) 및 제2필터(233)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230 is configured to filter the external air forcedly introduc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air discharge member 220 so that the purified air forms one or more air films and is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top plate 120. A first filter 231 and a second filter 233 are included.

여기서, 제1필터(231)는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홈부(215)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부재(2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Here, the first filter 2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member 210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groove portion 215 .

제2필터(23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재(210)에 롤(Roll)의 형태를 갖도록 회전에 의해 권출 가능하게 배치되되 권출된 제2필터(233)는 제1필터(231)와 공기유입공(211) 사이에 형성된 홈부(21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공기유입공(211)은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제2필터(233)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 후, 상기 제2필터(233)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필터(231)에 의해 2차적으로 필터링되어 공기의 정화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second filter 233 is disposed on the housing member 210 so as to be unwound by rotation so as to have a roll shape, and the unwound second filter 233 is the first filter ( 231) and the air inlet hole 211, the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is primarily filtered by the second filter 233 by sliding along the groove 215, It is filtered secondarily by the first filter 231 located behind the second filter 233 so that the purification power of air can be improved.

이때, 제2필터(233)의 권출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도록 수동으로 실행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필터(233) 외면에는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하우징부재(21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35)에 의해 홈부(215)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nwinding of the second filter 233 is manually executed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user's selec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210 is open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233. It is preferable to open and close the groove part 215 by the handle 235 exposed to.

즉, 사용자는 실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시약에 의한 냄새의 정도가 너무 심하다고 판단되거나 오염센서(310)의 측정 여부와 상관 없이 실험실 내부의 공기오염이 심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본인의 방향으로 위치하는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35)를 파지하여 외력에 의해 제2필터(233)가 홈부(215)를 폐쇄할 수 있도록 이동시켜 공기정화가 극대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odor caused by the reagent is too severe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experiment or that the air pollution inside the laboratory is sever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amination sensor 310 measures or not, the air inflow located in the user's own direction By holding the handle 235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all 211, the second filter 233 is moved to close the groove 215 by an external force, thereby maximizing air purification.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롤 형태를 갖는 제2필터(233) 역시, 하우징부재(210)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233 rotatably having a roll shape may also be installed and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housing member 21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험테이블(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실험실 실내의 공기를 공기배출부재(220)에 의해 흡입한 후, 필터부재(230)에 의해 정화하되 그 정화된 공기가 하나 또는 이중의 공기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판(120) 상부로 배출함에 따라 실험실의 공기정화는 물론, 컨디션이 의심되는 사용자의 비말이나 호흡 등으로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감염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periment t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the air in the laboratory is sucked in by the air discharge member 220 and then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30, but the purified air As it is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top plate 120 to form one or double air films, it not only purifies the air in the laboratory, but also prevents the infection of viruses that can be spread by the user's droplets or breathing, etc. come to expec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
100: 테이블부재
110: 개구부 120: 상판
130: 지지각
200: 공기정화부
210: 하우징부재 211: 공기유입공
213: 공기배출공 215: 홈부
220: 공기배출부재 221: 흡입팬
223: 안내브라켓 225: 회전판
227: 공기막형성공 230: 필터부재
231: 제1필터 233: 제2필터
235: 손잡이
300: 제어부
310: 오염센서
M: 모터
1: Experiment table hav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0: table member
110: opening 120: top plate
130: support angle
200: air purifier
210: housing member 211: air inlet hole
213: air discharge hole 215: groove
220: air exhaust member 221: suction fan
223: guide bracket 225: rotating plate
227: air film forming hole 230: filter member
231: first filter 233: second filter
235: handle
300: control unit
310: contamination sensor
M: motor

Claims (4)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여 사용하는 실험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실험테이블은
개구부(110)가 형성된 테이블부재(100); 및
상기 개구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되 양측에서 흡입된 외부공기를 정화 후, 정화된 공기를 상기 테이블부재(100) 상부로 제어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출하여 가상의 공기막을 형성하는 공기정화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인 양측에 공기유입공(211)이 형성되되 상부에는 공기막을 배출하는 공기배출공(213)이 형성되며, 외면은 상기 개구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부재(210);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배출하는 공기배출부재(220); 및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공기유입공(211)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터부재(2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재(100)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테이블부재(100) 상부로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제어되고,
상기 공기배출부재(220)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으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부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221); 상기 흡입팬(221)을 통해 유입되되 상기 필터부재(230)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 정화공기가 유실되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공(213)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브라켓(223); 및 상기 안내브라켓(223) 내측에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회전에 의해 하나 또는 이중의 공기막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판(225);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225)은 상기 안내브라켓(223) 내에서 수직되게 배치되면 상기 공기배출공(21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막이 이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분할하며, 수평되게 배치되면 상기 회전판(225)에 형성된 공기막형성공(227)을 통해 정화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공(213)으로 하나의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
In the experiment tabl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facing each other,
The experimental table is
A table member 100 having an opening 110; and
It is mounted separably from the opening 110, but after purifying the external air sucked in from both sides,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table member 100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00 to form a virtual air film Including; air purifying unit 200;
The air purifying unit 200,
Air inlet holes 211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and air discharge holes 213 for discharging the air film are formed at the top, and the outer surface is detachably mounted from the opening 110. The housing member 210 ); An air discharge memb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and sucks external air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and then discharges it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so that one or more air films can be formed. (220); And a filter member 230 provided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and provided to filter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hole 211;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measured and controlled so that a double air film can be formed above the table member 100 when the measured valu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e air exhaust member 220 is
a suction fan 221 rotating by a motor M inside the housing member 210 to suck external air from the air inlet hole 211; a guide bracket 223 for guiding the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fan 221 and purified by the filter member 230 to move toward the air discharge hole 213 without being lost; And a rotating plate 225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guide bracket 223 by a motor M, and forming one or double air films by rotation so that they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
When the rotating plate 225 is vertically arranged within the guide bracket 223, the air film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is divided into two parts so that the air film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3 can be doubled. An experiment table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pur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ormed air film forming hole 227 to the air discharge hole 213 so that one air film can be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30)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필터(231); 및
상기 하우징부재(210)에 권출가능하게 롤의 형태로 구비되되 권출시에 상기 제1필터(231)와 상기 하우징부재(210) 내면 사이에 형성된 홈부(215)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필터(231)로 진입하기 이전의 외부공기를 우선적으로 필터링하는 제2필터(233);를 포함하되,
상기 제2필터(233) 외면에는 상기 공기유입공(211)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재(210)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235)를 통해 상기 홈부(215)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험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member 230 is
a first filter 231 filtering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and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oll to be unwound to the housing member 210, but when unwound, it moves along the groove 215 formed between the first filter 23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ember 210, and the first filter ( 231), a second filter 233 that preferentially filters the outside air before ent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233 is unwound so as to slide in the groove 215 through the handle 235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210 through the air inlet hole 211. An experiment table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삭제delete
KR1020230054282A 2023-04-25 2023-04-25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KR102538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82A KR102538274B1 (en) 2023-04-25 2023-04-25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82A KR102538274B1 (en) 2023-04-25 2023-04-25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74B1 true KR102538274B1 (en) 2023-05-31

Family

ID=8654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282A KR102538274B1 (en) 2023-04-25 2023-04-25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7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109Y1 (en) 2005-04-21 2005-08-01 삼인싸이언스(주) Table for experiment
JP2006046679A (en) * 2004-07-30 2006-02-16 Toukai Top Kk Air cleaner
KR200409748Y1 (en) 2005-12-14 2006-02-24 연우산업주식회사 Reagent Supporter for Testing Bench
JP2014151243A (en) * 2013-02-05 2014-08-25 Nippon Muki Co Ltd Air filter unit, multiple air-conditioning system for building and air conditioner for air handling unit
KR20140136171A (en) 2013-05-20 2014-11-28 삼인싸이언스(주) High and low controller of lab table having a reagent stand
KR101538367B1 (en) 2014-03-27 2015-07-22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Lab Table Having Ventilating type Enclosed Chemical Reagent Shelves
JP2020012463A (en) * 2018-07-05 2020-01-23 株式会社フナボリ Air blowing device and air blower for rising wind generation
JP2022114893A (en) * 2021-01-27 2022-08-08 マクセル株式会社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6679A (en) * 2004-07-30 2006-02-16 Toukai Top Kk Air cleaner
KR200391109Y1 (en) 2005-04-21 2005-08-01 삼인싸이언스(주) Table for experiment
KR200409748Y1 (en) 2005-12-14 2006-02-24 연우산업주식회사 Reagent Supporter for Testing Bench
JP2014151243A (en) * 2013-02-05 2014-08-25 Nippon Muki Co Ltd Air filter unit, multiple air-conditioning system for building and air conditioner for air handling unit
KR20140136171A (en) 2013-05-20 2014-11-28 삼인싸이언스(주) High and low controller of lab table having a reagent stand
KR101538367B1 (en) 2014-03-27 2015-07-22 주식회사 지티사이언 Lab Table Having Ventilating type Enclosed Chemical Reagent Shelves
JP2020012463A (en) * 2018-07-05 2020-01-23 株式会社フナボリ Air blowing device and air blower for rising wind generation
JP2022114893A (en) * 2021-01-27 2022-08-08 マクセル株式会社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0624B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0674271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08149290A (en) Safety cabinet
JP5263697B2 (en) Medical booth
KR20180000878A (en) Air cleaning apparatus
ES2901459T3 (en) Laboratory fume hood
KR101538367B1 (en) Lab Table Having Ventilating type Enclosed Chemical Reagent Shelves
JP7442279B2 (en) Air cleaner
KR102538274B1 (en) Laboratary table with function of purifying air
JP5007785B2 (en) Cabinet with clean environment maintenance function
BR112012033242B1 (en) air blower appliance
KR102244518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JP2005061655A (en) Air cleaner with humidifying function
JP2006057919A5 (en)
JP5712181B2 (en) Safety cabinet
JP5763413B2 (en) partition
KR20230105500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JP202108555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1127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2020079692A (en) Air cleaner
KR101299505B1 (en) An air cleaner
KR100674276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30105749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KR20240059354A (en) Air purifier
KR20230105512A (en) Apparatus for hanging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