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49B1 - 냉각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49B1
KR102538249B1 KR1020210038374A KR20210038374A KR102538249B1 KR 102538249 B1 KR102538249 B1 KR 102538249B1 KR 1020210038374 A KR1020210038374 A KR 1020210038374A KR 20210038374 A KR20210038374 A KR 20210038374A KR 102538249 B1 KR102538249 B1 KR 10253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exchange module
outdoor heat
refrigera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863A (ko
Inventor
뤄 즈밍
두안 이이
이 빈
리 샤오종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010531346.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155095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021076966.0U external-priority patent/CN212157748U/zh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4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Liquid cooling with phase change
    • H05K7/20827Liquid cooling with phase change within rooms for removing heat from cabinets, e.g. air conditio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1/00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 F28C1/14Direct-contact trickle coolers, e.g. cooling towers comprising also a non-direct contact heat ex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09Evapor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18Conden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27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836Thermal management, e.g. server temperat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4Arrangement of shut-off valves for disconnecting a part of the refrigerant cycle, e.g. an outdoo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025/005Liquid collection; Liquid treatment; Liquid recirculation; Addition of make-up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냉각 시스템을 개시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저장, 빅데이터 컴퓨팅, 딥러닝 및 이미지 처리 등(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센터에 사용되는 냉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냉각 시스템은, 냉매로 하여금 흡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 모듈; 및 상기 냉매로 하여금 방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며, 실외 열교환 모듈은 압축장치, 증발식 응축기 및 보액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은 대기 모드와 메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실외 열교환 모듈은 대기 모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과 단절되며; 실외 열교환 모듈은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실내 열교환 모듈과 연결되고, 압축장치는 작동되며,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보액장치는 증발식 응축기에 냉각액을 수송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은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초기에 냉각 능력을 구비할수 있음으로써, 냉각 시스템의 지속적인 냉방을 담보하고, 안정성이 비교적 높다.

Description

냉각 시스템{REFRIGERATING SYSTEM}
본 출원은 열교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저장, 빅데이터 컴퓨팅, 딥러닝 및 이미지 처리 등(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센터에 사용되는 냉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 몇 년간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저장, 빅데이터 컴퓨팅, 딥러닝 및 이미지 처리 등(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센터에 사용되는 냉각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관련 기술에서 데이터 센터의 냉각 방안은 전통적인 냉동수 데이터 센터 설계 방안을 대부분 사용하지만, 전반적인 에너지 절약 방면에서 효과가 양호하지 못하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양호한 큰 위상변화 시스템에는 안정성이 약하고 데이터 센터의 지속적인 냉각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등 단점이 존재한다.
본 출원은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른 냉각 시스템은,
냉매로 하여금 흡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 모듈; 및
방열압축장치, 증발식 응축기 및 보액장치를 포함하고, 냉매로 하여금 방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은 대기 모드와 메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에서의 일부는 메인 모드에 있으며, 다른 일부는 대기 모드에 있고; 실외 열교환 모듈은 대기 모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과 단절되며, 실외 열교환 모듈은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실내 열교환 모듈과 연결되고, 압축장치는 작동되고,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보액장치는 증발식 응축기에 냉각액을 수송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증발식 응축기는,
유입단이 압축장치의 유출단과 연결되고, 유출단이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되는 응축 코일;
응축 코일 내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되도록, 응축 코일에 냉각액을 스프레이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및
스프레이 장치가 유출한 냉각액을 수집하기 위한 드립 팬을 포함하고,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스프레이 장치는 보액장치에 의해 냉각액을 유입하게 되고, 압축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후, 스프레이 장치는 드립 팬에 의해 스프레이 펌프를 통해 냉각액을 유입하게 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보액장치는,
냉각액을 저장하기 위한 축액 탱크; 및
축액 탱크 내의 냉각액에 냉동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냉각기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인 경우, 냉각 기기가 운행하여 축액 탱크 내의 냉각액으로 하여금 기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압축장치는 무급유 압축기를 포함하며, 무급유 압축기는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압축장치는 무급유 압축기와 병렬 연결되는 직류 관로를 더 포함하고, 직류 관로는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에 의해 직류 관로를 통해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에 수송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무급유 압축기는 자기부상 압축기이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실외 열교환 모듈은 축액부를 더 포함하고, 축액부는 증발식 응축기의 유출단과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며, 증발식 응축기가 유출한 냉매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무급유 압축기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이며, 압축장치는 가스 공급 관로를 더 포함하고, 가스 공급 관로는 축액부의 유출단과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며가스 공급 관로,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가스 공급 관로는 축액부가 유출한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수송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가스 공급 관로는 보액 펌프와 기체 상태 변환부를 포함하며, 보액 펌프는 축액부의 유출단에 연결되어, 축액부 내의 냉매를 기체 상태 변환부에 펌핑하는데 사용되며, 기체 상태 변환부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냉각 시스템은,
실외 열교환 모듈과 실내 열교환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실외 열교환 모듈과 실내 열교환 모듈 사이에서 냉매를 수송하기 위한 냉매 수송 네트워크를 더 포함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냉매 수송 네트워크는 제1 수송 네트워크와 제2 수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은 제1 수송 네트워크를 통해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은 제2 수송 네트워크를 통해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실외 열교환 모듈은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제1 수송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온오프 밸브와,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제2 수송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4 온오프 밸브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에 있는 경우, 제3 온오프 밸브와 제4 온오프 밸브는 모두 오픈되고;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제3 온오프 밸브와 제4 온오프 밸브는 모두 오프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은 유입단이 제1 수송 네트워크와 병렬 연결되고 유출단이 제2 수송 네트워크와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실내 열교환 모듈의 수량보다 많고,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에서,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M이며,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N이며;
여기서, M<6일 경우, N=1이고; M≥6일 경우, N=2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은 상기 기술방안을 이용하는 것을 통하여, 메인 모드에서의 실외 열교환 모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기 모드의 실외 열교환 모듈로 전환하여, 실내 열교환 모듈의 냉동 능력 제공을 담보하도록 함으로써, 냉각 시스템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초기에도 일정한 냉방 능력을 구비한다.
발명의 내용 부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관건적이거나 중요한 특징을 표기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결부하여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및 기타 특징, 장점 및 분야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키는 바,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증발 응축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증발 응축기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보액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압축장치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압축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의 실내 열교환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과 결부하여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되, 여기서 본 출원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세부절차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은 응당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해당 분야 기술자들은 여기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화와 수정을 진행할 수 있고, 이는 본 출원의 범위와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명확함과 간결함을 위하여, 아래의 설명에서는 공지 기능과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을 설명한다. 본 출원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은 데이터 센터의 유닛이 적합한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데이터 센터에 냉방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은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실외 열교환 모듈(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실내 열교환 모듈(10)은 냉매로 하여금 흡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냉매로 하여금 방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에서 실내의 공기와 열교환 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 중의 열량은 냉매에 의해 흡수되어 실내의 기온을 저하시켜, 냉방의 목적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흡열한 후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 방열하여, 냉매의 열량이 실외의 대기중에 발산되도록 할 수 있고, 방열한 후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환류하고, 이런 방식으로 순환함으로써 냉매가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실외 열교환 모듈(20) 사이의 순환 유동을 완성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압축장치(20a), 증발식 응축기(24) 및 보액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장치(20a)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이 유출한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로 압축하기 위한 것이고,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 냉매는 증발식 응축기(24) 내에서 응축하여, 냉매로 하여금 기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며, 그 다음 액체 상태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입단으로 환류하고,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에서 흡열하는 동시에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하며, 기체 상태 냉매는 압축 장치(20a)에 환류한다. 증발식 응축기(24)는 냉각액과 냉매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함으로써, 냉매로 하여금 방열하도록 하는 동시에 기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액장치(30)는 특정된 시간대에 증발식 응축기(24)에 냉각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냉각액은 물일 수 있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대기 모드와 메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대기 모드와 메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의 일부는 메인 모드에 있고, 다른 일부는 대기 모드에 있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대기 모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단절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메인 모드에 전환되였을 때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 있다는 것은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현재 사용 상태에 있는 것, 즉 냉매가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 방열하는 동시에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환류하여 흡열하는 것을 가리키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다는 것은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현재 사용 상태에 있지 않는 것, 즉 냉매가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 방열하지 않거나 또는 방열한 후의 냉매가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수송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복수개인데, 여기서,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과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수량은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되며, 즉 메인 모드에 있는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복수의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하나씩 대응되게 연결되어, 냉매로 하여금 서로 연결된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도록 한다.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복수의 실내 열교환 모듈(10)에서의 임의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어느 한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어 고장이 발생한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대응되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되였을 경우,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증발식 응축기(24)와 압축장치(20a)가 작동되고,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증발식 응축기(24)의 냉각액은 보액장치(30)로부터 제공된다. 여기서,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은 압축기가 작동한 다음부터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시간대, 예를 들어 압축기가 작동한 후 예열하고, 자체 검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말하는 바, 해당 시간 내에, 압축장치(20a)는 작동 상태에 있지 않는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경우, 즉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작동 초기에, 증발식 응축기(24)와 압축장치(20a)가 일정한 작동 시간을 거쳐야만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 진입하게 되므로,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작동 초기에 냉방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보액장치(30)를 설치하여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증발식 응축기(24)에 냉각액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통해, 실내 열교환 모듈(10)이 유출한 기체 상태 냉매는 압축장치(20a)의 압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증발식 응축기(24)에 진입하여 냉각액과 열교환을 진행함으로써, 냉매를 기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고, 액체 상태 냉매는 그 다음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수송되어 흡열함으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작동 초기에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일정한 냉방 능력을 구비하도록 담보할 수 있어,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작동 초기에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으로 인한 냉방 능력의 부족을 방지함으로써, 냉각 시스템(1)의 지속적인 냉방을 구현하고, 나아가 데이터 센터의 작동 안정성을 담보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은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수량보다 큰 바,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은 M이고,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은 N이다. 여기서,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수량은 메인 모드에서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 M와 동일하고 또한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되며, M<6 일 경우, N=1이고; M≥6 일 경우, N=2이다. 이로써,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수량이 많을 경우(예를 들어 M≥6 일 경우), 두 개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을 대기용으로 설치함으로써, 메인 모드에서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이 발생한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대응되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냉동 능력의 수요를 만족시켜, 냉각 시스템(1)이 데이터 센터에 대한 냉방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수량은 4개 일 수 있으며, 여기서 3개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메인 모드에 있고, 다른 한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대기 모드에 있다.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수량은 3개의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되는 3개 일 수 있으며, 여기서,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3개의 실내 열교환 모듈(10)에서의 임의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식 응축기(24)는 응축 코일(241), 스프레이 장치(242) 및 드립 팬(24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응축 코일(241)의 유입단은 압축장치(20a)의 유출단과 연결되고, 응축 코일(241)의 유출단은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입단과 연결된다. 스프레이 장치(242)는 응축 코일(241)에 냉각액을 스프레이하여, 응축 코일(241) 내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드립 팬(245)은 스프레이 장치(242)가 유출한 냉각액을 수집한다.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스프레이 장치(242)는 보액장치(30)에 의해 냉각액을 유입하고; 압축장치(20a)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후, 스프레이 장치(242)는 드립 팬(245)에 의해 스프레이 펌프(243)를 통해 냉각액을 유입하며, 구체적으로, 냉각액은 스프레이 장치(242)의 유출단으로부터 유출하여 응축 코일(241)에 스프레이되고, 스프레이 워터는 응축 코일(241) 내의 냉매와 열교환을 거친 후 드립 팬(245) 내에 낙하되며, 드립 팬(245) 내의 냉각액은 스프레이 펌프(243)를 통해 스프레이 장치(242)의 유입단에 펌핑되며, 이런 방식으로 순환한다. 여기서, 냉각액은 물일 수 있고, 드립 팬(245)은 드레인 팬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 코일(241)의 유입단과 유출단에는 차단 밸브(246)가 각각 설치되어, 응축 코일(241)의 유입단과 유출단을 오픈시키거나 오프시킴으로써, 냉매가 응축 코일(241) 내에서 냉각액과 열교환하는 시간을 제어하도록 한다. 증발식 응축기(24)는 증발식 응축기(24)에 유입되는 냉각액의 수질을 검출하기 위한 수질 센서(244)와, 증발식 응축기(24) 내의 냉각액이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배수 밸브(247)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식 응축기(24)는 스프레이 장치(242)와 연결되는 급수 관로(248)를 더 포함하고, 급수 관로(248)는 보액 장치(30)와 연결된다. 급수 관로(248)에는 온오프 밸브가 설치되어, 급수 관로(248)를 온 오프시킴으로써, 보액장치(30)의 냉각액이 스프레이 장치(242)에 유입되는 것을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액장치(30)는 축액 탱크(31)와 냉각기기(32)를 포함한다. 축액 탱크(31)는 냉각액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냉각기기(32)는 축액 탱크(31) 내의 냉각액에 냉동 능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냉각액은 물일 수 있고, 축액 탱크(31)는 물탱크 일 수 있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냉각기기(32)는 축액 탱크(31) 내의 냉각액이 기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운행된다. 이로써, 실외 열교환 기기가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보액장치(30)가 공급하는 냉각액이 냉매와 열교환하는 온도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담보함으로써, 증발식 응축기(24)가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냉매를 응축하는 능력을 담보하고, 즉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작동 초기에 일정한 냉방 능력을 구비하도록 담보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냉각기기(32)는 직접 팽창 공기 조화 유닛(DX A/C, Direct Expansion Air Conditioning Unit)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직접 팽창 공기 조화 유닛 자체는 압축기를 구비하고, 직접 팽창 공기 조화 유닛의 냉각 시스템에서 액체 상태 냉매는 이의 증발기 코일 내에서 직접적으로 증발(팽창)하여, 코일 외부의 공기(즉 공조실 내측의 공기)에 대해 흡열하여 냉방을 진행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냉각된 후의 공기는 냉매로서 축액 탱크(31) 내의 냉각액을 냉각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축액 탱크(31) 내의 냉각액으로 하여금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직접 팽창 공기 조화 유닛은 정상적인 운행상태에 있어, 축액 탱크(31) 내의 냉각액으로 하여금 항상 기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압축장치(20a)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출단과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는 무급유 압축기(21)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무급유 압축기(21)의 실린더 내에는 윤활유가 포함되지 않는데, 이렇게 되면, 냉매가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실외 열교환 모듈(20)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는 과정에서, 압축기의 오일 리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련 기술에서의 냉각 시스템(1)의 압축기가 냉매의 유동 경로가 길어 오일 리턴 효과를 담보하기 어려워 냉각 시스템(1)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며,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냉각 시스템(1)이 무급유 압축기(21)를 사용하여 압축기의 오일 리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운행의 안정, 기기 비용 저하 등 장점을 가진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장치(20a)는 무급유 압축기(21)와 병렬 연결되는 직류 관로(22)을 더 포함하고, 직류 관로(22)은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출단과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된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냉매는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출단에 의해 직류 관로(22)을 통해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에 수송된다. 이로써,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냉매는 증발식 응축기(24)에 유동되어 응축함으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작동 초기에 냉방 능력을 구비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관로(22)에는 직류 밸브(22a)가 더 설치되어, 직류 관로(22)를 온 오프 시키는데 사용된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직류 밸브(22a)는 오픈되어, 실내 열교환 모듈(10)이 유출한 기체 상태 냉매가 압축장치(20a)를 거치지 않고 직접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에 수송되도록 하며; 압축장치(20a)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후, 직류 밸브(22a)는 오프되어, 실내 열교환 모듈(10)이 유출한 기체 상태 냉매가 압축장치(20a)를 거쳐 압축된 후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에 수송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서, 무급유 압축기(21)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일 수도 있고, 자기 부상 압축기일 수도 있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급유 압축기(21)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장치(20a)는 축액부(25)의 유출단과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 관로(23)을 더 포함한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을 경우, 가스 공급 관로(23)은 축액부(25)가 유출한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수송한다.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가스 공급 관로(23)을 통해 기체 상태 냉매가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를 거쳐,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베어링이 부상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가 지속적으로 운행하는 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서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경우,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작동 과정을 대기할 필요가 없이, 직접 냉매로 하여금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냉매가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 내에서의 열교환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출단과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어, 증발식 응축기(24)가 유출한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축액부(25)를 더 포함한다. 가스 공급 관로(23)는 보액 펌프(231)와 기체 상태 변환부(232)를 포함하며, 보액 펌프(231)는 축액부(25)의 유출단에 연결되어, 축액부(25) 내의 냉매를 기체 상태 변환부(232)에 펌핑하는데 사용되고, 기체 상태 변환부(232)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출단과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고, 증발식 응축기(24)가 유출한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축액부(25)를 더 포함한다. 가스 공급 관로(23)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출단으로부터 유입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액체 상태 변환부, 보액 펌프(231) 및 기체 상태 변환부(232)를 포함한다. 액체 상태 변환부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가 유출한 냉매를 기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변환시키고, 축액부(25)에 수송한다. 기체 상태 변환부(232)는 축액부(25)와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고, 축액부(25) 내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된다. 보액 펌프(231)는 축액부(25)와 기체 상태 변환부(232) 사이에 연결되고, 축액부(25) 내의 냉매를 기체 상태 변환부(232)에 펌핑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보액 펌프(231)와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가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을 경우 끊임없이 운행할 수 있도록, 모두 무정전 전원(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PS)을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무정전 전원은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인 바, 도시 가정용 전기의 유입이 정상일 경우, 무정전 전원은 도시 가정용 전기를 안정화시킨 후 부하(즉 보액 펌프(231)와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에 공급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이때의 무정전 전원은 하나의 교류식 전압 조정기에 상당한 동시에, 이는 기기 내 배터리를 충전하며, 도시 가정용 전기가 중단(사고 정전)되였을 경우, 무정전 전원은 즉시 배터리의 직류 전기 에너지를 인버터를 통해 전환 변환하는 방법으로 부하에 계속하여 220V의 교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부하로 하여금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부하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무정전 전원 기기는 일반적으로 전압이 높거나 전압이 낮은 경우에 대해 모두 보호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장치(20a)는 펌프 캐비닛을 포함하며,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 축액부(25) 및 가스 공급 관로(23)의 일부가 펌프 캐비닛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펌프 캐비닛은 기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a), 액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b), 기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c) 및 액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d)을 포함한다. 기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a)과 액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b)은 실내 열교환기의 유출단과 유입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기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c)과 액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d)은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과 유출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가스 공급 관로(23)의 액체 상태 변환부의 유입단과 유출단도 각각 기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c)과 액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d)에 연결되며, 즉 가스 공급 관로(23)의 액체 상태 변환부와 증발식 응축기(24)는 병렬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공급 관로(23)는, 가스 공급 관로(23)를 온 오프하기 위한, 즉 공기 순환 라인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기 위한 제1 온오프 밸브(233)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온오프 밸브(233)는 전자기 밸브일 수 있고, 보액 펌프(231)와 기체 상태 변환부(2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온오프 밸브(233)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보액 펌프(231)와 기체 상태 변환부(232) 사이가 연통되거나 단절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축액부(25)와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는 축액부(25) 내의 냉매를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펌핑하기 위한 액체 펌프(26)와, 축액부(25)와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의 냉매 수송관을 온 오프시키기 위한 제2 온오프 밸브(도면 미도시)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온오프 밸브는 전자 팽창 밸브(13) 일 수 있고, 액체 펌프(26)와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전자 팽창 밸브(13)는 조절된 파라미터가 생성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팽창 밸브(13)에 인가된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액체 펌프(26)가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수송한 액체 상태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목적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온오프 밸브(233)는 오프되고, 제2 온오프 밸브는 오픈된다. 이로써, 가스 공급 관로(23)는 차단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은 서로 연결되어, 냉매로 하여금 액체 펌프(26)를 통해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 증발식 응축기(24) 및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서 순환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제1 온오프 밸브(233)는 오픈되고 제2 온오프 밸브는 오프된다. 이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은 단절되고,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는 가스 공급 관로(23)에 접속하며, 보액 펌프(231)와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는 무정전 전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를 경과한 냉매로 하여금 가스 공급 관로(23) 내에서 순환 유동하도록 하여,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가 지속적으로 운행하도록 담보한다.
다른 한 실시형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급유 압축기(21)는 자기부상 압축기 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자기부상 압축기는 저주파 저전압에서 작동하므로, 작동 전류가 작고, 전력망에 대한 간섭이 작다. 이와 동시에, 자기부상 압축기는 작동된 후 예정된 온도에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 작동 과정을 단축하며; 또한 자기부상 압축기의 대부분 시간이 모두 일부 부하의 낮은 회전 속도에서 운행되므로, 자기부상 압축기의 마모 정도가 작고, 긴 사용수명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장치(20a)는 펌프 캐비닛을 포함하고, 자기부상 압축기와 축액부(25)는 모두 펌프 캐비닛 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펌프 캐비닛은 기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a), 액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b), 기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c) 및 액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d)을 포함한다. 기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a)과 액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b)은 실내 열교환기의 유출단과 유입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기체 상태 냉매 유출단(234c)과 액체 상태 냉매 유입단(234d)은 증발식 응축기(24)의 유입단과 유출단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냉각 시스템(1)은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 연결되어,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실내 열교환 모듈(10) 사이에서 냉매를 수송하기 위한 냉매 수송 네트워크(40)를 더 포함한다. 이런 방식으로,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서 냉매 수송 네트워크(40)와 연결되거나 또는 대기 모드에서 냉매 수송 네트워크(40)와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연결되거나 또는 대기 모드에서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관로의 배치가 편리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 편리하게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 모듈(10)은 복수이고, 냉매 수송 네트워크(40)는 복수인 동시에 복수의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하나씩 대응되게 설치되며,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대응되는 실내 열교환 모듈(10)과 냉매 수송 네트워크(40)를 통해 연결된다.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복수의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냉매 수송 네트워크(40)에서의 임의의 하나와 연통되어, 어느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을 메인 모드로 전환하는 동시에 상응한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냉매 수송 네트워크(40)와 연결되어, 고장이 발생한 실외 열교환 모듈(20)을 대체함으로써,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냉동 능력 수요를 유지시켜, 냉각 시스템(1)의 냉방 효과를 담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수송 네트워크(40)는 제1 수송 네트워크(41)와 제2 수송 네트워크(42)를 포함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유출단은 제1 수송 네트워크(41)를 통해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입단과 연결되며,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유출단은 제2 수송 네트워크(42)를 통해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유입단과 연결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1 수송 네트워크(41)에는 제1 차단 밸브(411)가 설치되고, 제2 수송 네트워크(42)에는 제2 차단 밸브(421)가 설치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수송 네트워크(41)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유출한 액체 상태 냉매를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수송하고, 액체 상태 냉매가 실내 열교환 모듈(10)에서 흡열하여 기화된 후, 기체 상태 냉매는 제2 수송 네트워크(42)를 통해 실외 열교환 모듈(20)에 수송되며, 기체 상태 냉매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에서 압축, 응축된 후 액체 상태 냉매로 전환되어, 다시 제1 수송 네트워크(41)를 통해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수송되며, 이런 방식으로 순환한다.
선택적으로, 실외 열교환 모듈(20)은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유출단과 제1 수송 네트워크(41) 사이에 설치된 제3 온오프 밸브(28)와,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유입단과 제2 수송 네트워크(42) 사이에 설치된 제4 온오프 밸브(2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 있는 경우, 제3 온오프 밸브(28)와 제4 온오프 밸브(29)는 모두 오픈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제3 온오프 밸브(28)와 제4 온오프 밸브(29)는 모두 오프된다. 여기서, 제3 온오프 밸브(28)와 제4 온오프 밸브(29)는 모두 전자기 밸브일 수 있다. 이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과 제1 수송 네트워크(41) 및 제2 수송 네트워크(42) 사이의 연결은 비교적 간단하고,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이 비교적 편리하다.
한가지 실시형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 모듈(10)은, 유입단이 제1 수송 네트워크(41)에 병렬 연결되고 유출단이 제2 수송 네트워크(42)에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판형 열교환기(11)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판형 열교환기(11)는 데이터 센터의 캐비닛의 측벽에 장착되어, 판형 열교환기(11)가 캐비닛에 대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판형 열교환기(11)는 전통적인 구리 관 알루미늄 핀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고, 차량용 공조분야의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내 열교환 모듈(10)에 복수의 판형 열교환기(11)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열교환 면적을 향상시켜, 냉각 시스템(1)이 데이터 센터에 대한 냉방 효과와 냉방 효율을 담보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판형 열교환기(11)의 유입단과 제1 수송 네트워크(41)가 연결된 관로에는 압력 센서(14)와 온도 센서(15)가 설치되어, 판형 열교환기(11)의 유입단에 진입한 액체 상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판형 열교환기(11)의 유출단과 제2 수송 네트워크(42)가 연결된 관로에는 셧옵 볼 밸브(12)와 전자 팽창 밸브(13)가 설치되어, 판형 열교환기(11)의 유출단과 제2 수송 네트워크(42)가 연결된 관로를 온 오프시키고, 제2 수송 네트워크(42)에 수송된 기체 상태 냉매의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실시예의 냉각 시스템(1)의 기타 구성은 해당 분야 기술자들이 현재와 미래에 숙지하는 여러 가지 기술방안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시스템(1)은 메인 모드와 대기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복수의 실외 열교환 모듈(20)을 설치하되, 그 중의 일부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메인 모드에 있고, 다른 일부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대기 모드에 있도록 함으로써,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20)로 전환하여, 실내 열교환 모듈(10)의 냉동 능력 공급을 담보하고, 냉각 시스템(1)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에서 증발식 응축기(24)에 냉각액을 제공하는 보액장치(30)를 설치함으로써, 실외 열교환 모듈(20)의 작동 초기에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일정한 냉방 능력을 구비하도록 담보하여, 실외 열교환 모듈(20)이 작동 초기에 압축장치(20a)의 작동 과정으로 인한 냉방 능력의 부족을 방지함으로써, 냉각 시스템(1)의 지속적인 냉방을 구현하고, 데이터 센터의 작동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해당 분야 기술자들은 설계 요구와 기타 요소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수정, 조합, 하위 조합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하여야 한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그 어떤 수정, 등가적인 대체와 개량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3)

  1. 냉각 시스템에 있어서,
    냉매로 하여금 흡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 모듈; 및
    압축장치, 증발식 응축기 및 보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로 하여금 방열하도록 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 모듈;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은 대기 모드와 메인 모드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에서의 일부는 메인 모드에 있고, 다른 일부는 대기 모드에 있으며;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은 상기 대기 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과 단절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은 상기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장치는 작동되고, 상기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보액장치는 상기 증발식 응축기에 냉각액을 수송하고;
    상기 보액장치는,
    냉각액을 저장하기 위한 축액 탱크; 및
    상기 축액 탱크 내의 냉각액에 냉동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냉각기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냉각기기가 운행하여 상기 축액 탱크 내의 냉각액이 기설정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식 응축기는,
    유입단이 상기 압축장치의 유출단과 연결되고, 유출단이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되는 응축 코일;
    상기 응축 코일 내의 냉매가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응축 코일에 냉각액을 스프레이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가 유출한 냉각액을 수집하기 위한 드립 팬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상기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스프레이 장치는 상기 보액장치에 의해 냉각액을 유입하게 되고, 상기 압축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후, 상기 스프레이 장치는 상기 드립 팬에 의해 스프레이 펌프를 통해 냉각액을 유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는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상기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는 무급유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장치는 상기 무급유 압축기와 병렬 연결되는 직류 관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류 관로는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상기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로 전환되였을 때, 상기 압축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상기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에 의해 상기 직류 관로를 통해 상기 증발식 응축기의 유입단에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급유 압축기는 자기부상 압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은, 상기 증발식 응축기의 유출단과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증발식 응축기가 유출한 냉매를 저장하기 위한 축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급유 압축기는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이며, 상기 압축장치는 상기 축액부의 유출단과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 사이에 연결된 가스 공급 관로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가스 공급 관로는 상기 축액부가 유출한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관로는, 상기 축액부의 유출단에 연결되어 상기 축액부 내의 냉매를 기체 상태 변환부에 펌핑하기 위한 보액 펌프와, 상기 에어 서스펜션 압축기의 유입단에 연결되어 상기 냉매를 액체 상태로부터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체 상태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과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과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 사이에서 냉매를 수송하기 위한 냉매 수송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수송 네트워크는 제1 수송 네트워크와 제2 수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은 상기 제1 수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은 상기 제2 수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은,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출단과 제1 수송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된 제3 온오프 밸브와,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의 유입단과 제2 수송 네트워크 사이에 설치된 제4 온오프 밸브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메인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제3 온오프 밸브와 상기 제4 온오프 밸브는 모두 오픈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이 대기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제3 온오프 밸브와 상기 제4 온오프 밸브는 모두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은, 유입단이 상기 제1 수송 네트워크와 병렬 연결되고 유출단이 상기 제2 수송 네트워크와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판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13.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상기 실내 열교환 모듈의 수량보다 많고, 복수의 상기 실외 열교환 모듈에서, 상기 메인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M이며, 상기 대기 모드에 있는 실외 열교환 모듈의 수량은 N이며;
    여기서, M<6일 경우, N=1이고; M≥6일 경우, N=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시스템.
KR1020210038374A 2020-06-11 2021-03-24 냉각 시스템 KR102538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31346.XA CN111550953A (zh) 2020-06-11 2020-06-11 制冷系统
CN202010531346.X 2020-06-11
CN202021076966.0 2020-06-11
CN202021076966.0U CN212157748U (zh) 2020-06-11 2020-06-11 制冷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863A KR20210040863A (ko) 2021-04-14
KR102538249B1 true KR102538249B1 (ko) 2023-05-30

Family

ID=75173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374A KR102538249B1 (ko) 2020-06-11 2021-03-24 냉각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22923A1 (ko)
EP (1) EP3869929B1 (ko)
JP (1) JP7300474B2 (ko)
KR (1) KR102538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1790B2 (en) * 2020-06-11 2023-10-10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Refrigerating system
CN113597197A (zh) * 2021-06-17 2021-11-02 东方电气风电有限公司 一种变流器热管冷却系统
WO2024084388A1 (en) * 2022-10-17 2024-04-25 Trane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s and methods with radiative cool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106A (ja) * 2006-11-02 2008-05-22 Daikin Ind Ltd 補助冷却装置
JP2012207866A (ja) * 2011-03-30 2012-10-25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9052811A (ja) * 2017-09-15 2019-04-0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液体散布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915A (ja) * 1994-05-12 1995-11-21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3775920B2 (ja) * 1998-04-23 2006-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144406B2 (ja) 2003-04-03 2008-09-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設備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および設備管理方法
JP2010025466A (ja) 2008-07-22 2010-02-04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熱源システム
US8286442B2 (en) * 2009-11-02 2012-10-16 Exaflop Llc Data center with low power usage effectiveness
JP5463995B2 (ja) 2010-03-19 2014-04-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多室型空気調和装置
WO2012116768A1 (de) * 2011-03-03 2012-09-07 Martin Maul Kühleinrichtung, insbesondere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computeranlage
JP6449009B2 (ja) * 2014-12-16 2019-01-09 三機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8954883A (zh) * 2018-09-19 2018-12-07 无锡沃尔得精密工业有限公司 节能型冷却机
CN110160185A (zh) * 2019-06-10 2019-08-23 克莱门特捷联制冷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带自然冷却型空调系统及其控制系统
CN210463636U (zh) * 2019-09-09 2020-05-05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磁悬浮离心式冷水机组电机冷却系统
CN110567199A (zh) * 2019-09-17 2019-12-13 周伟 一种带有自然冷却的蒸发冷却式压缩冷凝装置
CN214501782U (zh) * 2020-12-23 2021-10-26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制冷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6106A (ja) * 2006-11-02 2008-05-22 Daikin Ind Ltd 補助冷却装置
JP2012207866A (ja) * 2011-03-30 2012-10-25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19052811A (ja) * 2017-09-15 2019-04-0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液体散布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9929B1 (en) 2022-11-09
JP2021101147A (ja) 2021-07-08
KR20210040863A (ko) 2021-04-14
EP3869929A3 (en) 2021-10-20
JP7300474B2 (ja) 2023-06-29
US20210222923A1 (en) 2021-07-22
EP3869929A2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249B1 (ko) 냉각 시스템
US9404679B2 (en) Cooling system and cooling method
CA2898424C (en) Cooling mechanism for data center
CN106949653B (zh) 应用于数据中心的冷却系统
CN111550953A (zh) 制冷系统
CN111486534A (zh) 低功耗恒温恒湿机及其工作方法
KR102561513B1 (ko) 냉각 시스템
CN212299278U (zh) 低功耗恒温恒湿机
CN219063801U (zh) 一种集成自然冷却和除湿功能的液冷系统
KR20140087527A (ko) 수냉형 냉각 시스템, 수냉형 냉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692207A (zh) 冷却装置和具有其的数据中心
EP2780648B1 (en) Hybrid refrigerant circulating cooling system
CN109104842B (zh) 散热循环系统
CN212157748U (zh) 制冷系统
CN215529758U (zh) 冷却装置和具有其的数据中心
CN220528423U (zh) 数据中心冷却系统及数据中心
CN212179287U (zh) 制冷系统
CN114599199B (zh) 数据中心的制冷系统
CN219761783U (zh) 间接蒸发冷式冷媒直冷冷却系统
CN220911734U (zh) 冷却系统
CN219797563U (zh) 数据中心用空调系统
CN219834757U (zh) 一种蒸发冷型数据中心机房冷却系统
KR101775036B1 (ko) 선박의 하이브리드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CN111550952A (zh) 制冷系统
CN215073552U (zh) 一种紧凑型功率器件散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