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86B1 - 반려동물 정수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86B1
KR102537786B1 KR1020200159040A KR20200159040A KR102537786B1 KR 102537786 B1 KR102537786 B1 KR 102537786B1 KR 1020200159040 A KR1020200159040 A KR 1020200159040A KR 20200159040 A KR20200159040 A KR 20200159040A KR 102537786 B1 KR102537786 B1 KR 10253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over
water tank
companion anim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660A (ko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유컴퍼니
Priority to KR102020015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깨끗한 물을 항시 제공함은 물론, 물 순환에 따른 소음 및 물 순환 제공에 의한 기기소음을 최소화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을 수용하는 수조통(110)과,
상기 수조통의 상부로 안착되어 공급되는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며, 오버 공급된 물은 수조통내로 유입되도록 물회수공(143a)을 갖는 그릇부(140)와,
상기 그릇부의 물회수공 하단으로 인입되어 노즐부재(150)의 결합을 통해 수조통(11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120)와,
펌프 커버(130)를 통해 상기 필터커버(120)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정수기{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깨끗한 물을 항시 제공함은 물론, 물 순환에 따른 소음 및 물 순환 제공에 의한 기기소음을 최소화시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반려동물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은 단순히 관상용이나 애완용 동물이 아닌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건강과 직결되는 음용수에 대해서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 역시 단순히 관상용 동물이 아닌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구성원으로 많이 인식되고 있다.
사람들이 불가피하게 집을 비웠을 때 반려동물 또는 애완동물이 스스로 깨끗한 물과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반려용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반려용품 중 반려동물 급수기는 물을 마시고 싶을 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고안, 설계된 제품인데, 담겨 있던 물이 오염되었을 시, 위생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근래에는 반려동물이나 애완동물에게 깨끗한 급수를 하기해서 동물용 정수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 에는 종래에 제안된 동물용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애완동물에게 공급되는 물을 생성하기 위한 물 생성부, 생성된 물을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위한 물 제공부를 포함하고, 물 생성부는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고 토출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공기순환수단, 공기순환수단의 전방에 설치되고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기여과수단 및 공기여과수단과 공기순환수단의 사이에 설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응결수단을 포함하여 애완동물용 물 공급장치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미리 준비한 물을 애완동물에게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필요에 따라 물 생성부를 통해 물을 생성하여 애완동물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물을 보충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반려동물의 특이성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에는 물을 담는 하부 공간부로 구성되며 하부 공간부에 담긴 물이 정수필터를 통과하여 출수된 물이 벽을 타고 흐르는 상단부, 출수된 물이담기는 상단 그릇부, 상단 끝 부분에는 하부 공간부에서 정수된 물이 출수되는 상단부가 상단 그릇부와 결합되어, 애완용 정수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정수 능력과 위생성이 향상된 필터가 내장되어 개체 특이성, 위생성을 극복한 애완용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2의 정수기는 깨긋한 물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물 순환제공시 소음이 발생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3230호 특허문헌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38238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조통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의 진동소음과, 오버공급된 물의 낙하 회수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 순환 및 물을 순환시키는 기기의 소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수조통과, 상기 수조통의 상부로 안착되어 공급되는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며, 오버 공급된 물은 수조통내로 유입되도록 물회수공을 갖는 그릇부와, 상기 그릇부의 물회수공 하단으로 인입되어 노즐부재의 결합을 통해 수조통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와, 펌프 커버를 통해 상기 필터커버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그릇부는 조립부재를 통해 수조통의 상단으로 안착 결합되되, 조립부재의 일부분에는 순환펌프의 전력을 인가하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전선배출홈이 개구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조립부재는 내주연은 그릇부의 둘레면보다 동일소위하게 형성하고, 외주연은 수조통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순환펌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순환펌프를 고정하는 펌프커버는 순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커버를 통해 수조통과 이격되게 필터커버의 하단으로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필터커버의 내측에는 순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가 더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그릇부의 물회수공을 통해 오버된 물이 수조통내로 유입시 직접낙하되지 않고 필터커버의 외주연을 따라 흐르도록 이루어지되,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노즐부재를 결합하는 조립부로 구비되며, 상기 조립부는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과 연통되는 받침턱으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필터커버는 조립부의 외주연으로 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낙하방지판이 구비되며, 상기 낙하방지판의 둘레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가 관통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노즐부재는, 원판의 하단으로 필터커버의 조립부로 삽입되는 끼움돌부로 이루어지되, 순환펌프에 의해 상승하는 물을 그릇부로 배출하는 유입공이 상기 원판과 끼움돌부를 관통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조통에 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의 진동소음 및 오버공급된 물의 낙하 회수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수 있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24시간 반려동물에게 깨긋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등을 가진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노즐부재와 조립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첨부 도면 도 1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100)는, 물을 수용하는 수조통(110)과, 상기 수조통의 상부로 안착되어 공급되는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며, 오버 공급된 물은 수조통내로 유입되도록 물회수공(141)을 갖는 그릇부(140)와, 상기 그릇부의 물회수공 하단으로 인입되어 노즐부재(150)의 결합을 통해 수조통(11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120)와, 펌프 커버(130)를 통해 상기 필터커버(120)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통(110)은 내부에 물을 담겨지도록 속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자기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릇부(140)는 조립부재(145)를 통해 수조통의 상단으로 안착 결합되되, 조립부재(145)의 일부분에는 순환펌프의 전력을 인가하는 전선(W)이 통과되도록 전선배출홈(145a)이 개구 형성된다.
그릇부(140)의 몸체(141)의 둘레로 상부로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42a)를 형성하도록 둘레벽(142)이 상향돌출되고 둘레벽의 상단은 외측으로 단턱(142a)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조립부재(145)로 안착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41)의 중앙에는 몸체를 시작으로 상부방향으로 협소하게 경사부(143)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43)의 내측에는 오버공급된 물을 회수하는 회수공(143a)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그릇부(140)의 둘레면적은 수조통(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릇부의 외주연으로 조립부재를 체결하여 수조통 상단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부재(145)의 내주연은 그릇부(140)의 둘레면보다 동일소위하게 형성하고, 외주연은 수조통(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순환펌프(P)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립부재(145)의 일측은 순환펌프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이 유입되도록 전선배출홈(145a)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릇부와 수조통의 재질이 도자기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질의 조립부재(145)를 그릇부의 둘레로 감싸도록 구비함으로서 안착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그릇부의 중심을 정위치 시키기가 편리하며, 순환펌프 작동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P)는 펌프커버(130)를 통해 필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되, 순환펌프(P)의 진동을 흡수하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커버(130)를 통해 수조통과 이격되게 필터커버(120)의 하단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커버(120)의 내측에는 순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의 필터는 필터커버(120)와 탈착될 수 있다.
이때, 내부의 필터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필터커버(120) 내부에 위치하여 밀봉될 수 있고, 상기 내부의 필터는 사용자의 선택 사항이므로 내부의 필터 없이도 반려동물 정수기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120)는 그릇부의 물회수공을 통해 오버된 물이 수조통내로 유입시 직접낙하되지 않고 필터커버(120)의 외주연을 따라 흐르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필터커버(120)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21)와,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노즐부재를 결합하는 조립부(122)로 구비되며, 상기 조립부(122)는 조립공(123)과 상기 조립공과 연통되는 받침턱(123a)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커버(120)는 조립부의 외주연으로 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낙하방지판(124)이 구비되며, 상기 낙하방지판의 둘레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125)가 관통형성된다.
한편, 노즐부재(150)는, 원판(151)과, 상기 원판의 하단으로 필터커버의 조립부로 삽입되는 끼움돌부(153)로 이루어지되, 순환펌프에 의해 상승하는 물을 그릇부로 배출하는 유입공(154)이 상기 원판과 끼움돌부(153)를 관통하여 이루어진 다.
즉, 노즐부재의 끼움돌부(153)는 조립부(122)의 조립공(123)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안착돌기(152) 받침턱(123a)으로 안착되어 회동이 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첨부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정수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전원의 인가로 순환펌프(P)가 작동하여 수조통(110)에 담겨진 물을 상승공급하되, 상승 공급되는 물은 필터에 의해 정수된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노즐부재(150)의 끼움돌부(153)가 조립부(122)의 조립공(123)으로 억지끼움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므로 공급되는 물은 유입공(154)을 통해 그릇부(140)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정수된 물은 반려동물에게 제공되며,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오버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오버되는 물은 그릇부(140)의 경사부(143) 수위를 넘기게 되고, 오버된 물은 회수공(143a)을 통해 낙하방지판(124)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낙하되는 물은 낙하방지판(124)의 배수로(125)를 통하여 상협하광의 원뿔형 필터커버(120)의 외주연을 따라 흘러내려 수조통으로 재 유입된다.
이와 같이, 오버되는 물이 수조통 내부로 직접 낙하되는 것이 아닌 필터커버의 외주연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물 낙차에 따른 무소음이 이루어진다.
또한, 순환 펌프(P)는 연질의 펌프커버(130)를 통해 수조통의 바닥면이 아닌 필터커버(120)의 하측 내부로 구비되어 작동하므로 작동에 의한 수조통의 흔들림 및 진동이 방지되며, 펌프커버(130)와 그릇부(140)의 조립부재(14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작동에 의한 무소음 무진동을 이룰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정수기에 의하며, 24시간 물을 정수된 물을 순환시켜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물의 낙차에 의한 소음, 그리고 펌프의 작동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수조통(110) 내부에는 반려동물에 공급되고 넘친 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수조통(110) 내부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수조통(110) 내부에는 상기 일정 높이 만큼 물이 차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순환펌프(P)와 연동될 수 있고, 상기 일정 높이만큼 물이 차 있는 경우에는 순환펌프(P)에서 물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순환펌프(P)는 제어모듈,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펌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펌프(P)의 동작시간 내지 동작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거나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릇부(140)에 담겨진 물이 제1 소정 시간(ex 5분)보다 빨리 사라지는 경우 상기 순환펌프(P)는 동작시간을 늘려 물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물이 제2 소정 시간(ex 30분)이 지나도록 남아있는 경우 상기 순환펌프(P)는 동작시간을 줄여 물의 공급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그릇부(140)에 접촉감지 센서(미도시)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접촉감지 센서가 반려동물의 입과 상기 그릇부(140) 사이의 접촉을 감지할 때마다, 순환펌프(P)는 동작을 수행하여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환펌프(P)가 일정 주기(ex 1시간) 마다 물을 공급한다고 상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감지 센서가 소정 기간(ex 반나절) 동안 물이 그릇에 없는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입과 그릇부(140) 사이의 접촉을 일정 수치(ex 5번) 이상 감지한 경우, 순환펌프(P)는 상기 일정 주기를 보다 짧게 하여 새로운 주기(ex 40분) 마다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접촉감지 센서가 소정 기간(ex 반나절) 동안 물이 그릇에 없는 상태에서 반려동물의 입과 그릇부(140) 사이의 접촉을 일정 수치(ex 5번) 미만 감지한 경우, 순환펌프(P)는 상기 일정 주기를 보다 길게 하여 새로운 주기(ex 1시간 20분) 마다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정수기 110: 수조통
120: 필터커버 130: 펌프커버
140: 그릇부 150: 노즐부재
P: 펌프

Claims (10)

  1. 물을 수용하는 수조통(110)과;
    상기 수조통의 상부로 안착되어 공급되는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며, 오버 공급된 물은 수조통내로 유입되도록 물회수공(143a)을 갖는 그릇부(140)와;
    상기 그릇부의 물회수공 하단으로 인입되어 노즐부재(150)의 결합을 통해 수조통(11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120); 및
    펌프 커버(130)를 통해 상기 필터커버(120)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120)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121); 및 상기 본체의 상단으로 노즐부재를 결합하는 조립부(122);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122)는,
    조립공(123)과 상기 조립공과 연통되는 받침턱(123a)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릇부(140)는 조립부재(145)를 통해 수조통의 상단으로 안착 결합되되, 조립부재(145)의 일부분에는 순환펌프의 전력을 인가하는 전선(W)이 통과되도록 전선배출홈(145a)이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145)는 내주연은 그릇부(140)의 둘레면보다 동일소위하게 형성하고, 외주연은 수조통(1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순환펌프(P)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P)를 고정하는 펌프커버(130)는 순환펌프(P)의 진동을 흡수하는 연질의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커버(130)를 통해 수조통과 이격되게 필터커버(120)의 하단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120)의 내측에는 순환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120)는 그릇부의 물회수공을 통해 오버된 물이 수조통내로 유입시 직접낙하되지 않고 필터커버(120)의 외주연을 따라 흐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7. 삭제
  8. 물을 수용하는 수조통(110)과;
    상기 수조통의 상부로 안착되어 공급되는 물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며, 오버 공급된 물은 수조통내로 유입되도록 물회수공(143a)을 갖는 그릇부(140)와;
    상기 그릇부의 물회수공 하단으로 인입되어 노즐부재(150)의 결합을 통해 수조통(110)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필터커버(120); 및
    펌프 커버(130)를 통해 상기 필터커버(120)의 내측으로 구비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P)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커버(120)는 본체(121) 및 조립부(122);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의 외주연으로 물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낙하방지판(124)이 구비되며, 상기 낙하방지판의 둘레로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125)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150)는, 원판(151)과,
    상기 원판의 하단으로 필터커버의 조립부로 삽입되는 끼움돌부(153)로 이루어지되, 순환펌프에 의해 상승하는 물을 그릇부로 배출하는 유입공(154)이 상기 원판과 끼움돌부(153)를 관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120)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커버와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정수기.
KR1020200159040A 2020-11-24 2020-11-24 반려동물 정수기 KR10253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40A KR102537786B1 (ko) 2020-11-24 2020-11-24 반려동물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040A KR102537786B1 (ko) 2020-11-24 2020-11-24 반려동물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60A KR20220071660A (ko) 2022-05-31
KR102537786B1 true KR102537786B1 (ko) 2023-05-31

Family

ID=8178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040A KR102537786B1 (ko) 2020-11-24 2020-11-24 반려동물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9454A1 (en) * 2011-09-06 2013-08-08 Pioneer Pet Products, Llc Recirculating pet fountain
KR101409480B1 (ko) * 2013-04-19 2014-06-18 정휘동 펌프 장착 구조가 개선된 음용수 공급기
KR102101358B1 (ko) * 2018-07-26 2020-04-17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230B1 (ko) 2012-10-31 2014-03-12 이주홍 애완동물 물 공급장치
KR20180138238A (ko) 2017-06-19 2018-12-31 주식회사 더파운더즈 정수필터가 내장된 애완용정수기
KR20200043028A (ko) * 2018-10-17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급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9454A1 (en) * 2011-09-06 2013-08-08 Pioneer Pet Products, Llc Recirculating pet fountain
KR101409480B1 (ko) * 2013-04-19 2014-06-18 정휘동 펌프 장착 구조가 개선된 음용수 공급기
KR102101358B1 (ko) * 2018-07-26 2020-04-17 태형물산 주식회사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660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7272A1 (en) Disinfecting pet watering device and method
KR102057934B1 (ko) 무선전력을 이용한 동물용 정수기
KR20200012166A (ko) 반려동물 전용의 정수기
US20050166853A1 (en) Pet drinking fountain
JP2018191558A (ja) ペット用給水器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
US6659043B1 (en) Aquarium water circulation system
US9079784B2 (en) Water filter system
KR20180138238A (ko) 정수필터가 내장된 애완용정수기
US5234581A (en) Wet/dry filtration system utilizing mechanical, biological and chemical means
US20190208745A1 (en) Pet watering fountain
US4895646A (en) External aquarium filter
KR102656807B1 (ko) 정수기
KR102537786B1 (ko) 반려동물 정수기
KR101280103B1 (ko) 축산용 사료 및 식수 공급장치
CN110663572A (zh) 便携式喂水器
JP4501142B2 (ja) 油水分離器
US20220295742A1 (en) Water filtering pet bowl assembly
KR101571141B1 (ko)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JP6921390B2 (ja) ペット用給水器およびそのフィルター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200310617Y1 (ko) 직결식 애완동물용 정수기
JP3967975B2 (ja)
JP3148593B2 (ja) 浴水循環濾過装置
CN216254640U (zh) 一种带有自洁结构的宠物喂水器
KR102419863B1 (ko) 샤워기용 기능성 성분 공급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