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83B1 -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83B1
KR102537783B1 KR1020160008216A KR20160008216A KR102537783B1 KR 102537783 B1 KR102537783 B1 KR 102537783B1 KR 1020160008216 A KR1020160008216 A KR 1020160008216A KR 20160008216 A KR20160008216 A KR 20160008216A KR 102537783 B1 KR102537783 B1 KR 10253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relation
input signal
reference signal
quan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185A (ko
Inventor
김민호
박정현
정성규
황두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83B1/ko
Priority to US15/217,220 priority patent/US10021447B2/en
Priority to PCT/KR2017/000621 priority patent/WO2017126889A1/en
Publication of KR2017008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185A/ko
Priority to US16/030,392 priority patent/US104124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38Synchronous or start-stop systems, e.g. for Baudot code
    • H04L25/40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 H04L25/49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 H04L25/491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 H04L25/4927Transmitting circuits; Receiving circuits using code conversion at the transmitter; using predistortion; using insertion of idle bits for obtaining a desired frequency spectrum; using three or more amplitude levels ; Baseband coding techniques specific to data transmission systems using multilevel codes using levels matched to the quantisation levels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2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preamble design, i.e. with negotiation of the synchronisation sequence with transmitter or sequence linked to the algorithm used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6Frame synchronisation, e.g. packet synchronisation, time division duplex [TDD] switching point detection or subfram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수신 장치는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 및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코스트를 줄이면서 성능의 손실도 최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트 스트랩을 처리하는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방송 통신 서비스는 본격적인 디지털화, 다채널화, 광대역화, 고품질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고화질 디지털 TV 및 PMP, 휴대방송 기기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서비스도 다양한 수신방식 지원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표준 그룹에서는 다양한 표준을 제정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에서, 보다 우수한 성능을 통해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트 스트랩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개선하기 위한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는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하거나,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와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 검출부는, 상기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각각을 복수 개의 샘플로 구분하고, 각 샘플 단위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상기 샘플의 크기는 2비트이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상기 샘플의 크기는 3비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상기 샘플 단위로 상기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버퍼 및 상기 샘플 단위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상기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상기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하거나,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와 상기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각각을 복수 개의 샘플로 구분하고, 각 샘플 단위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상기 샘플의 크기는 2비트이고, 상기 입력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상기 샘플의 크기는 3비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샘플 단위로 상기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1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 단위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가 차지하는 면적 및 코스트를 줄이면서 성능의 손실도 최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계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링크 계층(1400)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또는 송신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렉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Input Formatting 블럭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baseband framing 블럭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에서 처리되는 부트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트 스트랩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양자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정수 단위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7은 복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좀 더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한 시점부터 실제 선택된 서비스가 재생되기까지의 수신기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에 따른 수신 장치의 디코딩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이하 ‘DMB’라 칭하기로한다) 서비스와,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DVP-H, 이하 ‘DVP-H’라 칭하기로 한다), 및 모바일/휴대용 진화된 텔레비젼 시스템 협회(ATSC-M/H: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mobile/handheld: ATSC-M/H, 이하 ‘ATSC-M/H’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 등과 같은 모바일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젼(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이하 ‘IPTV’라 칭하기로 한다)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과, 엠펙 미디어 트랜스포트(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edia transport: MMT, 이하 ‘MMT’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과,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이하 ‘EPS’라 칭하기로 한다)과,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이하 ‘LTE’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term evolution-advanced: LTE-A, 이하 ‘LTE-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하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이하 ‘HSD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고속 상향 링크 패킷 접속(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이하 ‘HSUP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 3GPP2, 이하 ‘3GPP2’라 칭하기로 한다)의 고속 레이트 패킷 데이터(high rate packet data: HRPD, 이하 ‘HRPD’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이하 ‘W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3GPP2의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하 ‘CDMA’라 칭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과, 국제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이하‘IEEE’라 칭하기로 한다) 802.16m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과,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internet protocol: Mobile IP, 이하 ‘Mobile IP ‘라 칭하기로 한다)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의 계층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데이터(1000)와 수신기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하고 소비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그널링(1050)을 포함한다. 미디어 데이터는 전송에 앞서 전송에 적합한 형태로 캡슐화될 수 있다. 캡슐화 방식은 ISO/IEC 23008-1 MPEG Media Transport (MMT)에 정의된 Media Processing Unit(MPU)나 ISO/IEC 23009-1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에 정의된 DASH 세그먼트 형식을 따를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1000) 및 시그널링(1050)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에 의하여 패킷화된다.
도 1은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MMT에 정의된 MMT 프로토콜(MMTP)(1110)과 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ROUTE) 프로토콜(1120)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때 수신기에서 특정 서비스가 어떤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전송되었는지 알기 위해서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과는 독립적인 방법으로 서비스가 전송되는 응용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도 1에 도시한 Service List Table (SLT)(1150)는 상술한 목적을 만족하기 위한 시그널링 방식으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하고 이를 패킷화한다. SL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후술하기로 한다.상술한 패킷화된미디어 데이터와 SLT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은 User Datagram Protocol (UDP)(1200)과 Internet Protocol (IP)(1300)을 거쳐서 방송 링크 계층(1400)으로 전달된다. 방송 링크 계층의 예로 ATSC 3.0에서 정의한 ATSC 3.0 Link-Layer Protocol(ALP)가 있다. ALP 프로토콜은 IP 패킷을 입력으로 ALP 패킷을 생성하고 ALP 패킷을 방송 물리 계층 (1500)으로 전달한다.
다만, 후술할 도 2에 따르면 방송 링크 계층(1400)은 미디어 데이터나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IP 패킷(1300)만을 입력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MPEG2-TS 패킷이나 일반적인 형태의 패킷화된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 때 방송 링크 계층의 제어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도 ALP 패킷의 형태로 방송 물리 계층(1500)으로 전달된다.
방송 물리 계층(1500)은 ALP 패킷을 입력으로 신호 처리하여 물리 계층 프레임을 생성하고 물리 계층 프레임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이 때 방송 물리 계층(1500)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를 가진다. 신호 처리 경로의 예로 DVB-T2나 ATSC 3.0의 PLP (Physical Layer Pipe)를 들 수 있으며, PLP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전체를 맵핑되거나 서비스의 일부가 맵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링크 계층(1400)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링크 계층(1400)의 입력은 IP 패킷(1300)을 포함하며, 링크 계층 시그널링(1310), MPEG2-TS 패킷(1320) 및 기타 패킷화된 데이터(133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들은 ALP 패킷화(1450) 이전에 입력 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부가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부가 신호 처리 과정의 예로,IP 패킷(1300)의 경우에는 IP 헤더 압축 과정(1410)을 거칠 수 있으며, MPEG2-TS 패킷의 경우에는 헤더 축소 과정(1420)을 거칠 수 있다. ALP 패킷화 과정에서 입력 패킷들은 분할 및 병합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또는 송신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10000)은 Input Formatting 블럭(또는 파트)(11000, 11000-1), BICM(Bit Interleaved and Coded Modulation) 블럭(12000, 12000-1), Framing/Interleaving 블럭(13000, 13000-1) 및 Waveform Generation 블럭(14000, 14000-1)를 포함할 수 있다.
Input Formatting 블럭(또는 파트)(11000, 11000-1)는 서비스될 데이터에 대한 입력 스트림로부터 베이스밴드 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입력 스트림은 TS(Transport Stream), IP(Internet Packets)(예를 들어 IPv4, IPv6), MMT(MPEG Media Transport), GS(Generic Stream),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를 포함하는 입력 스트림에 기초하여 ALP (ATSC 3.0 Link Protocol)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ALP 패킷에 기초하여 베이스밴드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BICM(Bit Interleaved and Coded Modulation) 블럭(12000, 12000-1)은 서비스될 데이터가 전송될 영역(Fixed PHY Frame 또는 Mobile PHY Frame)에 따라 FEC 코딩 레이트와 성상도 차수(constellation order)를 결정하여 부호화를 수행하고, 타임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한편, 서비스될 데이터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는 구현에 따라 별도의 BICM 인코더를 통하여 부호화 되거나 BICM 인코더를 서비스될 데이터와 공유하여 부호화될 수 있다.
Framing/Interleaving 블럭(13000, 13000-1)은 타임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시그널링 신호와 결합하여 전송 프레임을 생성한다.
Waveform Generation 블럭(14000, 14000-1)은 생성된 전송 프레임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의 OFDM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OFDM 신호를 RF 신호로 변조하여 수신기로 전송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 시스템(10000)은 실선으로 표시된 normative 블럭들 및 점선으로 표시된 informaive 블럭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선으로 표시된 블럭들은 노멀 블럭이며, 점선으로 표시된 블럭들은 informaive MIMO를 구현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는 블럭이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플렉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TDM 시스템 아키텍쳐에서, Input Formatting 블럭(11000), BICM 블럭(12000), Framing/Interleaving 블럭(13000) 및 Waveform Generation 블럭(14000)의 4 개의 메인 블럭(또는 파트)이 존재한다.
데이터는 Input Formatting 블럭(1100)로 입력되어 포맷팅되고, BICM 블럭(12000)에서 전방향 에러 정정이 적용되고, 성상도로 맵핑된다. 이어서, Framing/Interleaving 블럭(13000)에서 타임 및 주파수 인터리빙되고, 프레임 생성이 이루어진다. 이 후, Waveform Generation 블럭(14000)에서 출력 파형이 생성된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을 구현하기 위한 블럭도를 나타낸다.
LDM 시스템 아키텍쳐에서, TDM 시스템 아키텍쳐와 비교하여 몇가지 다른 블럭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LDM의 각 레이어 중 하나에 대한 두 개의 분리된 Input Formatting 블럭(11000, 11000-1), BICM 블럭(12000, 12000-1)이 존재한다. 이들은 LDM 인젝션 블럭에서 Framing/Interleaving 블럭(13000) 이전에 결합된다. 및 Waveform Generation 블럭(14000)은 TDM과 유사하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Input Formatting 블럭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nput Formatting 블럭(11000)은 PLP들로 분산된(distributed) 패킷들을 제어하는 세 개의 블럭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encapsulation and compression 블럭(11100), baseband formatting(또는 baseband framing 블럭)(11200), scheduler 블럭(11300)을 포함한다.
encapsulation and compression 블럭(11100)으로 입력되는 입력 스트림은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스트림은 TS(Transport Stream), IP(Internet Packets)(예를 들어 IPv4, IPv6), MMT(MPEG Media Transport), GS(Generic Stream), GSE(Generic Stream Encapsulation))등이 될 수 있다.
encapsulation and compression 블럭(11200)에서 출력되는 패킷들은 ALP 패킷들(generic packets) (또는 ALP 패킷, L2 패킷)이 된다. 여기서, ALP 패킷의 포맷은 TLV/GSE/ALP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각 ALP 패킷의 길이는 가변적이다. 추가 정보 없이 ALP 패킷 그 자체로부터 ALP 패킷의 길이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ALP 패킷의 최대 길이는 64kB이다. 헤더를 포함하는 ALP 패킷의 최대 길이는 4 바이트(bytes)이다. ALP 패킷은 정수 바이트 길이가 된다.
scheduler 블럭(11200)은 인캡슐레이션된 ALP 패킷들로 구성된 입력 스트림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패킷 형상으로, PLPs(physical layer pipes)를 형성한다. 상술한 TDM 시스템에서 single PLP 또는 S-PLP라 불리우는 단지 하나의 PLP가 존재할 수 있거나, M-PLP라 불리는 복수의(multiple) PLPs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서비스는 4개 이상의 PLPs를 이용할 수 없다.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된 LDM 시스템의 경우, 각 레이어에 하나씩, 두 개의 PLPs가 이용된다.
scheduler 블럭(11200)은 인캡슐레이션된 ALP 패킷들을 수신하여 해당 패킷들이 피지컬 레이어 리소스에 어떻게 할당될지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scheduler 블럭(11200)은 baseband formatting 블럭(1130)이 베이스밴드 패킷을 어떻게 출력할지 지정한다.
scheduler 블럭(11200)의 기능은 데이터 사이즈 및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피지컬 레이어는 이러한 분산된 시간에서 데이터의 일부분을 전송할 수 있다. scheduler 블럭은 인캡슐레이션된 데이터 패킷, 인캡슐레이션된 데이터 패킷에 대한 서비스 메타데이터의 퀄리티, 시스템 버퍼 모델, 시스템 매니지먼트로부터의 제한(constraints) 및 구성(Configuration) 과 같은 입력 및 정보를 이용하여, 피지컬 레이어 파라미터의 구성 면에서 적합한 솔루션을 생성한다. 해당 솔루션은 이용 가능한 컨피규레이션 및 제어 파라미터 및, 집합(aggregate) 스펙트럼의 대상이 된다.
한편, scheduler 블럭(11200)의 동작은 다이내믹, 준정적(quasi-static), 정적 구성들의 집합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의 정의는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서비스에 대해 최대 4 개의 PLP가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타입 인터리빙 블럭으로 구성된 복수의 서비스는 6, 7, 또는 8 MHz의 대역폭에 대해 최대 64 개의 PLPs까지 구성될 수 있다.
baseband formatting 블럭(1130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baseband packet construction 블럭(3100, 3100-1,... 3100-n), baseband packet header construction 블럭(3200, 3200-1,... 3200-n), baseband packet scrambling 블럭(3300, 3300-1,... 3300-n) 의 세 개의 블럭으로 구성된다. M-PLP 동작에서, baseband formatting 블럭은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의 PLP를 생성한다.
baseband packet construction 블럭(3100, 3100-1,... 3100-n)은 베이스밴드 패킷을 구성한다. 각 베이스밴드 패킷(3500)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3500-1) 및 페이로드(3500-2)로 구성된다. 베이스밴드 패킷은 길이 Kpayload로 고정된다. ALP 패킷들(3610 내지 3650)은 순차적으로 베이스밴드 패킷(3500)으로 맵핑된다. ALP 패킷들(3610 내지 3650)이 베이스밴드 패킷(3500) 내에 완전히 맞지 않는 경우, 패킷들은 현재 베이스밴드 패킷 및 다음 베이스밴드 패킷 사이로 분산된다. 패킷 분산은 바이트 단위로만 이루어진다.
baseband packet header construction 블럭(3200, 3200-1,... 3200-n)은 헤더(3500-1)를 구성한다. 헤더(3500-1)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파트 즉, 베이스 필드(또는 베이스 헤더)(3710), 옵셔널 필드(또는 옵셔널 헤더)(3720), 및 확장 필드(또는 확장 헤더)(3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필드(3710)는 매 베이스밴드 패킷에서 나타나며, 옵셔널 필드(3720) 및 확장 필드(3730)는 매 베이스밴드 패킷에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필드(3710)의 메인 기능은 오프셋 값을 바이트로 포함하는 포인터를 베이스밴드 패킷 내에서 다음 ALP 패킷의 시작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ALP 패킷이 베이스밴드 패킷을 시작하면, 포인터 값은 0이 된다. 베이스밴드 패킷 내에서 시작하는 ALP 패킷이 없다면, 포인터 값은 8191 이고, 2 바이트의 베이스 헤더가 이용될 수 있다.
확장 필드(3730)는 추후에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 패킷 패킷 카운터, 베이스밴드 패킷 타임 스탬핑, 추가 시그널링 등에 이용될 수 있다.
baseband packet scrambling 블럭(3300, 3300-1,... 3300-n)은 베이스밴드 패킷을 스크램블한다.
성상도(constellations)로 맵핑되는 페이로드 데이터가 반복적인 시퀀스로 구성되는 경우처럼, 항상 동일한 포인트로 맵핑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페이로드 데이터는 항상 방향 에러 정정 인코딩 전에 스크램블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에서 처리되는 부트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600)은 세 개의 기본적인 구성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600)은 각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는 부트 스트랩(610), 부트 스트랩(610)의 다음에 위치하는 프리앰블(620) 및 프리앰블(620)의 다음에 위치하는 페이로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앰블(620)은 페이로드(630)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L1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또한, 페이로드(63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서브 프레임이 페이로드(630)에 존재하게 되면 이러한 복수의 서브 프레임은 도 6에 도시된 시간 축을 기준으로 모두 연결되어 배치된다.
각 서브 프레임은 FFT 사이즈, GI 길이, 분산 파일럿 패턴 및 유효 캐리어 수를 포함하며, 이러한 FFT 사이즈, GI 길이, 분산 파일럿 패턴 및 유효 캐리어 수는 동일한 서브 프레임 내에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만, 프레임(600) 내에서 서로 다른 서브 프레임 간에는 FFT 사이즈, GI 길이, 분산 파일럿 패턴 및 유효 캐리어 수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부트 스트랩(610)은 신호를 검출하고 세밀하게 동기를 맞추며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초기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 동기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610)은 프레임(600)에서 부트 스트랩(6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프리앰블(620), 페이로드(630))을 수신하고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제어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610)은 부트 스트랩(6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 사용되는 채널 대역폭과 상관없이, 고정된 6.144Ms/sec의 샘플링 레이트 및 고정된 4.5Mhz의 대역폭(bandwidth)을 사용한다.
한편, 도 7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부트 스트랩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퀀스 제너레이터(710)는 ZC(zadoff chu) 시퀀스에 대해 PN(pseudo-noise) 시퀀스를 사용하여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ZC Root와 PN seed는 각각은 부트 스트랩의 + 값과 - 값으로 시그널링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부트 스트랩 심볼을 위한 사용되는 값들은 PN(pseudo-noise) 시퀀스에 의해 변조되는 ZC(zadoff chu) 시퀀스로부터 비롯된다.
그리고, 시퀀스 제너레이터(710)로부터 생성된 복소 시퀀스는 Subcarrier mapping and zero padding부(720)를 통해 서브 캐리어에 매핑될 수 있고, 서브 캐리어에 매핑된 복소 시퀀스는 IFFT부(730)를 통해 역 푸리에 변환이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트 스트랩이 생성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800)는 수신부(810),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 및 신호 처리부(830)를 포함한다.
수신부(810)는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810)는 시그널링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에 매핑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송시 장치(미도시)에 입려고디는 입력 스트림의 입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 경로에 매핑된 데이터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스트림의 입력 타입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내의 모든 신호 처리 경로가 동일한 입력 타입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링 정보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L1 신호를 전송하는 L1(Layer 1) 시그널링 신호가 될 수 있으며, L1 시그널링 정보가 삽입되는 프리앰블은 L1 프리 시그널링 영역과 L1 포스트 시그널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1 포스트 시그널링 영역은 컨피규러블 필드(configurable field) 및 다이내믹 필드(dynamic field)를 포함한다.
한편, L1 프리 시그널링 영역에는 L1 포스트 시그널링을 해석하기 위한 정보 및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L1 프리 시그널링 영역은 항상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L1 포스트 시그널링 영역에는 각 PLP에 대한 정보 및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의 슈퍼 프레임 내에서 각 프레임에 포함된 L1 시그널링 영역은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포함되는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검출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부트 스트랩의 시작점을 측정함으로써 부트 스트랩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830)는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심볼을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프리앰불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800')는 수신부(810),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 신호 처리부(830), 제1 버퍼(840) 및 제2 버퍼(8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버퍼(840)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버퍼(850)는 샘플 단위로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은 입력 신호(9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을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910)의 제1 샘플(91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의 제2 샘플(921)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순차적으로 입력 신호(910)의 다음 샘플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의 다음 샘플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각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샘플 단위로 처리하기 위한 기 설정된 사이즈의 창(window)이 필요한데, 이러한 창(window)을 통해 입력 신호(910)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가 샘플 단위로 코렐레이션(correlation) 연산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관 관계를 검출하기 위해 곱셈기(multiplier)가 사용된다. 그리고, 각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9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에 관한 정보가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창의 길이가 N이고, 입력 신호(910)와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920)의 샘플 단위 길이가 L이라고 가정하면, 샘플 단위의 입력 신호(9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입력 신호(910)의 샘플 단위 길이 L을 곱한 L*N의 크기가 필요하고, 마찬가지로 샘플 단위의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9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920)의 샘플 단위 길이 L을 곱한 L*N의 크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9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2*L*N이 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은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부트 스트랩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 각각에 대해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부트 스트랩의 실수 부분과 관련하여 입력 신호(9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또한 부트 스트랩의 허수 부분과 관련하여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9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총 사이즈는 부트 스트랩의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 각각을 고려하여 상술한 2*L*N의 2배가 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4*L*N이고, 입력 신호의 길이 단위가 비트 인점을 고려하여 버퍼의 사이즈는 4*L*N 비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멀티플라이어의 개수는 창의 길이에 대응되는 N개인데, 입력 신호(910)에 대응되는 복소수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920)에 대응되는 복소수가 상관 관계를 검출하기 위해 연산이 수행되면 총 4번의 곱셈 연산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멀티플라이어는 총 4*N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가산기(Adder)의 개수는 log2(N)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가 4*L*N 비트이고, 필요한 멀티플라이어의 개수가 4*N개이며, 필요한 가산기의 개수가 log2(N)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0은 양자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로 축이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양자화하여 출력되는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0.5 이하이면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1(110)의 값이 출력되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0.5 이상 0.5 이하이면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0(120)의 값이 출력되며,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0.5 이상이면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1(130)의 값이 출력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신호는 -1, 0, 1의 값으로 양자화되어 출력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따르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3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에 -1, 0, +1의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대해 -1, 0, 1의 값으로 양자화되어 출력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2, -1, 0, 1, 2의 값으로 양자화되어 출력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즉,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1 이하이면 -2의 값이 출력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1 이상 -0.5 이하이면 -1의 값이 출력되도록 하며,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0.5 이상 0.5 이하이면 0의 값이 출력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0.5 이상 +1 이하이면 +1의 값이 출력되도록 하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값이 +1 이상이면 +2의 값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2, -1, 0, +1, +2의 값으로 양자화할 수 있다.
한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거나,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입력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각각을 복수 개의 샘플로 구분하고, 각 샘플 단위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를 복수 개의 샘플 즉, 제1 샘플(211), 제2 샘플(212)... 등으로 구분하고, 또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를 복수 개의 샘플 즉, 제1' 샘플(221), 제2' 샘플(222)... 등으로 구분하며, 입력 신호(210)의 제1 샘플(21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제1' 샘플(221) 간의 상관 관계를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입력 신호(210)의 제2 샘플(212)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제2' 샘플(222) 간의 상관 관계를 처리하여 입력 신호(210')와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마지막 N-1번째 샘플까지 상관 관계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210) 및 레퍼런스 신호(2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도 10에서 설명한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2비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를 샘플 단위로 양자화할 수 있으며, 이때, -1, 0, 1의 각 경우는 2 비트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입력 신호(210)의 각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하게 되면, 입력 신호(210)의 샘플 각각은 -1, 0, 1 중 하나의 값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 신호(210)의 각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되게 되므로, 결국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하는 것은 입력 신호(210)의 각 샘플의 크기를 2 비트로 만드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의 입력 신호(210)의 우측에 기재된 "Two-bit quantized" 용어는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각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샘플 단위로 처리하기 위한 기 설정된 사이즈의 창(window)가 필요한데, 이러한 창(window)를 통해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를 샘플 단위로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상관 관계를 검출하기 위해 곱셈기(multiplier)가 사용된 것과 달리, 입력 신호(210)가 양자화되면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멀티플렉서(Multiplexer)(23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210)의 제1 샘플(211)이 -1로 양자화되고 제2 샘플(212)가 1로 양자화되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제1' 샘플(221)이 3의 값을 갖고 제2' 샘플(222)이 2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입력 신호(210)의 제1 샘플(211)의 "-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제1' 샘플(221)의 "3"을 곱셈기를 사용하여 곱하는 과정을 수행한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멀티플렉서(230)를 사용하여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제1' 샘플(221)의 "3"에 "-"부호를 결합하여 "-3"을 산출해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을 -1, 0, 1 중 하나의 값으로 양자화함으로써, "-1"인 경우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의 값에 "-"을 붙여서 출력하고, "0"인 경우 0의 값을 출력하며, "1"인 경우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의 값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곱셈기가 아닌 멀티플렉서(230)만으로도 충분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각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2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에 관한 정보가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창의 길이가 N이고, 입력 신호(210)는 양자화되었으므로 샘플 단위의 크기가 2 비트이며,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샘플 단위 길이가 L이라고 가정하면, 샘플 단위의 입력 신호(2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입력 신호(210)의 샘플 단위 크기 2비트를 곱한 2*N의 크기가 필요하고, 샘플 단위의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2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220)의 샘플 단위 길이 L을 곱한 L*N의 크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2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L*N+2*N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트 스트랩은 실수부와 허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관련하여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또한 부트 스트랩의 허수부와 관련하여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총 사이즈는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을 고려하여 상술한 L*N+2*N의 2배인 2*L*N+2*2*N 즉, 2LN+4N이 된다.
이러한 버퍼의 사이즈와 관련하여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과 비교하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4*L*N 비트인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의 사이즈는 2LN+4N이므로, 결국 입력 신호가 양자화되어 각 샘플의 크기가 2 비트가 되지 않는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한편, 도 8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800)는 제1 버퍼(840) 및 제2 버퍼(85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버퍼(840)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버퍼(850)는 샘플 단위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4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1 버퍼(840)와 2L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2 버퍼(850)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곱셈기가 아닌 멀티플렉서(230)를 사용하며, 곱셈기의 하드웨어 면적이 멀티플렉서의 하드웨어 면적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의 하드웨어 면적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면적보다 줄어듦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가산기의 개수는 log2(N)개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산기의 개수와 동일하다.
한편, 도 11에서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입력 신호(210)에 대해서 양자화를 수행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가 아닌 레퍼런스 신호(22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220) 및 입력 신호(21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에서 설명한 입력 신호(210)에 대해 양자화하여 레퍼런스 신호(220)와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과정, 버퍼의 사이즈, 멀티 플렉서 및 가산기의 개수는 레퍼런스 신호(220)에 대해 양자화하여 입력 신호(210)와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210) 및 레퍼런스 신호(220) 중 하나에 대해 양자화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입력 신호(210)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210)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도 있다.
특히, 입력 신호(210)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될 수 있고, 입력 신호(210)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3 비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가 3 비트가 되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의 총 사이즈는 2LN+6N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2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6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1 버퍼(840)와 2L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2 버퍼(850)가 될 수 있다.
그외에, 입력 신호(210)에 대해 양자화하여 레퍼런스 신호(220)와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과정, 멀티 플렉서 및 가산기의 개수는 입력 신호(210)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 각각을 복수 개의 샘플로 구분하고, 각 샘플 단위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를 복수 개의 샘플 즉, 제1 샘플(311), 제2 샘플(312)... 등으로 구분하고, 또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복수 개의 샘플 즉, 제1' 샘플(321), 제2' 샘플(322)... 등으로 구분하며, 입력 신호(310)의 제1 샘플(31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1' 샘플(321) 간의 상관 관계를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입력 신호(310)의 제2 샘플(312)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2' 샘플(322) 간의 상관 관계를 처리하여 입력 신호(310'))와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마지막 N-1번째 샘플까지 상관 관계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310) 및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3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도 10에서 설명한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 각각이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각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샘플 단위로 양자화할 수 있으며, 이때, -1, 0, 1의 각 경우는 2 비트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각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하게 되면,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샘플 각각은 -1, 0, 1 중 하나의 값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각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되게 되므로, 결국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하는 것은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각 샘플의 크기를 2 비트로 만드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의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우측에 기재된 "Two-bit quantized" 용어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각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샘플 단위로 처리학 위한 기 설정된 사이즈의 창(window)가 필요한데, 이러한 창(window)를 통해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샘플 단위로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상관 관계를 검출하기 위해 곱셈기가 사용된 것과 달라ㅣ,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가 양자화되면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멀티플렉서(33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310)의 제1 샘플(311)이 -1로 양자화되고 제2 샘플(312)가 1로 양자화되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1' 샘플(321)이 1로 양자화되고 제2' 샘플(322)이 1로 양자화되었다고 가정하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입력 신호(310)의 제1 샘플(311)의 "-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1' 샘플(321)의 "1"을 곱셈기를 사용하여 곱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반면,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멀티플렉서(330)를 사용하여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1' 샘플(321)의 "1"에 "-" 부호를 결합하여 "-1"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는 입력 신호(310)의 제2 샘플(312)의 "1"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2' 샘플(322)의 "1"을 곱셈기를 사용하여 곱하는 과정을 수행한 반면,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멀티플렉서(330)를 사용하여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제2' 샘플(322)의 "1"을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1, 0, 1 중 하나의 값으로 양자화함으로써,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샘플 단위별로 포함하고 있는 값 중 하나라도 0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하고, 0이 아니라는 가정하에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샘플 단위별로 포함하고 있는 값이 서로 동일하면 1을 출력하고, 서로 다르면 -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곱셈기가 아닌 멀티플렉서(330)만으로도 충분히 구현가능하다.
한편, 각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3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에 관한 정보가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창의 길이가 N이고,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는 양자화되었으므로 샘플 단위의 크기가 2 비트이므로, 샘플 단위의 입력 신호(3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입력 신호(310)의 샘플 단위 크기 2 비트를 곱한 2*N의 크기가 필요하고, 샘플 단위의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3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의 사이즈는 창의 길이 N과 기 설정된 레퍼런스 신호(320)의 샘플 단위 크기 2 비트를 곱한 2*N의 크기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3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4*N이 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트 스트랩은 실수부와 허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에 대해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관련하여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또한 부트 스트랩의 허수부와 관련하여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게 되므로,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총 사이즈는 부트 스트랩의 실수부와 허수부 각각을 고려하여 상술한 4*N의 2배인 8*N이 된다.
이러한 버퍼의 사이즈와 관련하여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과 비교하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는 4*L*N 비트인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의 사이즈는 8*N이므로, 결국 입력 신호(3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가 양자화되어 각 샘플의 크기가 2 비트가 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한편, 도 8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800)는 제1 버퍼(840) 및 제2 버퍼(850)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 버퍼(840)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버퍼(850)는 샘플 단위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필요로 하는 버퍼는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3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4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1 버퍼(840)와 샘플 단위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4N 비트의 크기를 갖는 제2 버퍼(850)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곱셈기가 아닌 멀티플렉서(330)를 사용하며, 곱셈기의 하드웨어 면적이 멀티플렉서의 하드웨어 면적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의 하드웨어 면적이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면적보다 줄어듦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가산기의 개수는 log2(N)개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산기의 개수와 동일하다.
또한, 도 12에서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도 있다.
특히, 입력 신호(310)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2 비트가 될 수 있고, 입력 신호(310)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3 비트가 될 수 있다.
한편,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와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입력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41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의 제1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420)와 입력 신호(410) 간의 제2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샘플 단위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13에 기재된 "Two-bit quantized" 용어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신호(410) 또는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를 양자화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제1 상관 관계 및 제2 상관 관계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의 최종적인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총 사이즈가 2LN+4N라고 이미 설명한 것을 고려하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경우에 샘플 단위로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2LN+4N)와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420) 및 입력 신호(410)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경우에 샘플 단위로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420) 및 입력 신호(4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버퍼의 사이즈(2LN+4N)를 합한 총 버퍼의 사이즈는 2*(2LN+4N)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곱셈기가 아닌 멀티플렉서를 사용하며,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가산기의 개수는 도 11에서 설명한 log2(N)의 두 배인 2*log2(N)개가 될 수 있다. 이는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가 입력 신호(41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의 제1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또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420)와 입력 신호(410) 간의 제2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두 번 상관 관계 검출 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13에서 역시 부트 스트랩 검출부(820)는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도 있고, 또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서 설명한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549804-pat00001
즉, 입력 신호(in1)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in2) 간에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곱셈기가 사용된다.
그리고, 도 11에서 설명한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중 하나를 양자화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549804-pat00002
여기서, Q(in1)은 in1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는 것을 의미하며, in1을 입력 신호(210)로 가정하고, in2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로 가정하면, 상술한 수학식 2는 입력 신호(210)를 양자화한 후 양자화된 입력 신호(210)와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간의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하거나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를 양자화한 후 양자화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와 입력 신호(210) 간의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멀티플렉서가 사용된다.
특히, Rone _side의 의미는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중 하나만이 양자화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임을 뜻한다.
한편, 도 12에서 설명한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549804-pat00003
여기서, Q(in1)은 in1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는 것을 의미하고, Q(in2)는 in2 신호를 양자화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in1을 입력 신호(310)로 가정하고, in2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로 가정하면, 상술한 수학식 3은 입력 신호(3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를 양자화한 후 양자화된 입력 신호(310) 및 양자화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320) 간의 코렐레이션 연산을 수행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멀티플렉서가 사용된다.
특히, Rtwo _side의 의미는 입력 신호(2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220) 모두가 양자화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임을 뜻한다.
한편, 도 13에서 설명한 입력 신호(410)를 양자화한 후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의 제1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를 양자화한 후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420)와 입력 신호(410) 간의 제2 상관 관계를 검출하여 제1 상관 관계 및 제2 상관 관계를 중첩하여 최종적인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수학식 4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7549804-pat00004
Q(in1)은 in1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는 것을 의미하고, Q(in2)는 in2 신호를 양자화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in1을 입력 신호(410)로 가정하고, in2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로 가정하면, 양자화된 입력 신호(410)과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 간에 검출된 제1 상관 관계와 양자화된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420)와 입력 신호(410) 간에 검출된 제2 상관 관계를 중첩하여 최종적인 상관 관계(Rsuperposition)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여기서도 상관 관계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멀티플렉서가 사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정수 단위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SNR의 크기를 뜻하고, 세로축은 에러 검출률을 뜻한다. 그리고, 제1 그래프(510)는 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2 그래프(520)는 부동 소수점 정수 단위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을 표시하는 것이며, 제3 그래프(530)는 곱셈기를 사용하는7비트 고정 소수점 정수 단위 주파수 오프셋 추정 성능을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고, 제4 그래프(54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하나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고, 제5 그래프(55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모두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다.
특히, 제2 그래프(520)와 제4 그래프(540)를 비교하면 성능 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그래프(520)와 제5 그래프(550) 역시 수치적인 성능면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은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에 따른 성능과 비교하여 크게 뒤쳐지지 않으면서 하드웨어 면적을 줄이고, 버퍼의 사이즈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한 후 검출된 상관 관계에 따른 수신 장치의 디코딩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SNR의 크기를 뜻하고, 세로축은 에러 검출률을 뜻한다. 그리고, 제1 그래프(560-1)은 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제2 그래프(560-2)는 신호가 검출되었다는 전제 하에 이상적인 신호의 경우 디코딩 성능을 표시하며, 제3 그래프(57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입력 신호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한 후 두 상관 관계를 중첩 처리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디코딩 성능을 표시하고, 제4 그래프(58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하나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디코딩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며, 제5 그래프(590)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모두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디코딩 성능을 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에서는 제4 그래프(580)와 제5 그래프(590)의 성능은 이상적인 신호(560-2)에 못 미친다고 볼 수 있으나, 제3 그래프(570)의 경우 이상적인 신호와의 관계에 있어서 SNR이 대략 4dB 정도 차이가 나지만, 신호가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는 제1 그래프(560-1)보다는 약 2dB 정도 앞서 있다. 이는 일단 신호가 검출되어야 동작하는 디코딩 과정에서 실질적인 성능 저하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은 기존의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에 따른 디코딩 성능과 비교하여 크게 뒤쳐지지 않으면서 하드웨어 면적을 줄이고, 버퍼의 사이즈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0의 경우 수신 장치의 디코딩 성능 면에서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입력 신호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하고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한 후 상관 관계를 검출한 후 두 상관 관계를 중첩 처리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경우의 디코딩 성능이 가장 좋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부트 스트랩 검출 방식(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하는 방식)을 처리 성능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부(830)는 디모듈레이터(831), 신호 디코더(832) 및 스트림 제너레이터(833)을 포함한다.
디모듈레이터(831)는 수신된 RF 신호로부터 OFDM 파라미터에 따라 복조를 수행하여, 싱크 디텍션을 수행하고 싱크가 디텍션되면 싱크 영역에 저장된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프레임이 필요한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인지 인식한다. 예를 들어 Mobile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Fixed 프레임이 수신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 싱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싱크 영역 바로 다음에 오는 시그널링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대한 OFDM 파라미터 정보를 획득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디코더(832)는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한다. 이 경우, 신호 디코더(832)는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각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FEC 방식, 변조 방식 등의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디코더(832)는 헤더에 포함된 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필요한 PLP가 프레임의 어느 위치에서 전송되는지 산출할 수 있다.
스트림 제너레이터(833)는 신호 디코더(832)로부터 입력받은 베이스 밴드 패킷(BBP)을 처리하여 서비스될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제너레이터(833)는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에러 정정된 베이스 밴드 패킷으로부터 ALP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제너레이터(833)는 디-지터 버퍼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디-지터 버퍼들은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한 정확한 타이밍을 재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PLP들 간의 싱크를 위한 딜레이가 보상될 수 있다.
상술한 신호 처리부(830)에 포함된 상세한 구성(디모듈레이터(831), 신호 디코더(832), 스트림 제너레이터(833))은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신기(4400)는 제어기(4410), RF 수신기(4420), 복조기(4430) 및 서비스 재생기(4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4410)는 선택된 서비스가 전송되는 RF channel 및 PLP를 판단한다. 이 때 RF channel은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와 대역폭(bandwidth)으로 특정될 수 있으며, PLP는 PLP ID로 특정될 수 있다. 특정 서비스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별로 하나 이상의 RF channel에 속한 하나 이상의 PLP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지만, 이후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데이터는 하나의 RF channel로 전송되는 하나의 PLP로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즉 서비스는 서비스의 재생을 위한 유일한 데이터 획득 경로를 가지며, 데이터 획득 경로는 RF channel과 PLP로 특정된다.
RF 수신기(4420)는 제어기(4410)에서 선택한 RF channel에서 RF 신호를 검출하고, RF 신호에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추출된 OFDM symbol들을 복조기(44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는 동기화, 채널 추정 및 equaliz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 처리를 위한 정보들은 그 용도와 구현에 따라 송/수신기가 미리 약속한 값이거나 OFDM symbol 중 미리 약속된 특정한 OFDM symbol에 포함되어 수신기에서 전달된다.
복조기(4430)는 OFDM symbols들에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user packet을 추출하고 이를 서비스 재생기(4440)에 전달하며, 서비스 재생기(4440)는 user packet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 때 user packet의 포맷은 서비스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 예로 TS packet이나 IPv4 packet이 있다.
도 17은 복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좀 더 자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조기(4430)는 프레임 디맵퍼(Frame demapper)(4431), L1 signaling을 위한 BICM 복호기(4432), 컨트롤러(4433), BICM 복호기(4434), 출력 처리기(44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디맵퍼(4431)는 컨트롤러(4433)에서 전달되는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OFDM symbol로 구성된 프레임에서 선택된 PLP에 속한 FEC block들을 구성하는 OFDM cell들을 선택하여 BICM 복호기(4434)로 전달하며, 또한 L1 signaling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FEC block들에 해당하는 OFDM cell들을 선택하여 L1 signaling을 위한 BICM 복호기(1232)로 전달한다.
L1 signaling을 위한 BICM 복호기(4432)는 L1 signaling이 포함된 FEC block에 해당하는 OFDM cell을 신호 처리하여 L1 signaling bits들을 추출하고 이를 컨트롤러(4433)로 전달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는 OFDM cell에서 LDPC 부호 복호를 위한 LLR (log-likelihood ratio)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LLR 값을 사용하여 LDPC 부호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4433)는 L1 signaling bits로부터 L1 signaling table을 추출하고 L1 signaling table의 값을 사용하여 프레임 디맵퍼(4431), BICM 복호기(4434), 출력 처리기(4435)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1 시그널링을 위한 BICM 복호기(4432)가 컨트롤러(4433)의 제어정보를 사용하는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L1 signaling이 전술한 L1-PRE, L1-POST의 구조와 유사한 계층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L1 시그널링을 위한 BICM 복호기(4432)는 하나 이상의 BICM 복호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BICM 복호 블록들과 프레임 디맵퍼(4431)의 동작이 상위 계층 L1 signaling 정보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BICM 복호기(4434)는 선택된 PLP에 속한 FEC block들을 구성하는 OFDM cell들을 신호 처리하여 베이스 밴드 패킷들을 추출하고 베이스 밴드 패킷들을 출력 처리기(4435)로 전달한다. 신호 처리는 OFDM cell에서 LDPC 부호 및 복호를 위한 LLR (log-likelihood ratio)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LLR 값을 사용하여 LDPC 부호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4433)에서 전달되는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출력 처리기(4435)는 베이스 밴드 패킷들을 신호 처리하여 user packet을 추출하고 추출된 user packet들을 서비스 재생기(444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신호 처리는 컨트롤러(1233)에서 전달되는 제어 정보를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한 시점부터 실제 선택된 서비스가 재생되기까지의 수신기의 동작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S4610) 이전에 Initial scan(S4600) 단계에서 선택 가능한 모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가 획득되었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는 현재 방송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재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들이 송출되는 RF channel 및 PL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의 일 예로 MPEG2-TS의 PSI/SI (Program-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L2 signaling 및 상위 계층 signaling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S4610)하면 수신기는 선택된 서비스를 전송하는 주파수로 변경(S4620)하고 RF 신호 검출(S4630)을 수행한다. 선택된 서비스를 전송하는 주파수로 변경(S4620)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RF 신호가 검출되면 수신기는 검출된 RF 신호로부터 L1 시그널링 추출(S4640)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로 수신기는 이전 과정에서 추출된 L1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선택된 서비스를 전송하는 PLP를 선택(S4650)하고 선택된 PLP에서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S4660)한다. 선택된 서비스를 전송하는 PLP를 선택(S4650)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밴드 패킷을 추출(S4660)하는 과정은 전송 프레임을 디맵핑하여 PLP에 속한 OFDM cell들을 선택하는 과정과 OFDM cell에서 LDPC 부호/복호를 위한 LLR (log-likelihood ratio)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LLR 값을 사용하여 LDPC 부호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는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의 header 정보를 사용하여 추출된 베이스 밴드 패킷으로부터 ALP packet 추출(S4670)을 수행하며, 이후로 추출된 ALP packet의 header 정보를 사용하여 추출된 ALP packet으로부터 User packet 추출(S4680)을 수행한다. 추출된 user packet은 선택된 서비스 재생(S4690)에 사용된다. ALP packet 추출(S4670) 과정과 User packet 추출(S4680) 과정에서 L1 시그널링 추출(S4640) 단계에서 획득한 L1 시그널링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ALP packet으로부터 User packet을 추출(Null TS packet 복원과 TS sync byte 삽입)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1910).
그리고,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한다(S1920).
이후,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한다(S1930).
여기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양자화(quantization)한 후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르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하거나,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입력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를 양자화하고,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양자화된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와 양자화된 레퍼런스 신호 및 입력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중첩(superposition)하여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는, 입력 신호 및 레퍼런스 신호 각각을 복수 개의 샘플로 구분하고, 각 샘플 단위로 멀티플렉싱하여 상관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2 비트이고,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의 크기는 3 비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샘플 단위로 입력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1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샘플 단위로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부트 스트랩, 프리앰블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전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입력 신호 및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간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부트 스트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부트 스트랩에 기초하여 프리앰블을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페이로드를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800: 수신 장치 810: 수신부
820: 부트 스트랩 검출부 830: 신호 처리부
840: 제1 버퍼 850: 제2 버퍼

Claims (20)

  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1 샘플 신호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제2 샘플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제2 샘플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고,
    상기 양자화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획득된 제2 샘플 신호 간 제1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제2 샘플 신호 간 제2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상관 관계 및 상기 제2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양자화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획득된 제2 샘플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1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제2 샘플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2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 신호의 크기는 2비트이고,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 신호의 크기는 3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신호 단위로 상기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버퍼; 및
    상기 샘플 신호 단위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로부터 제1 샘플 신호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제2 샘플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제2 샘플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는 단계;
    상기 양자화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획득된 제2 샘플 신호 간 제1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제2 샘플 신호 간 제2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상관 관계 및 상기 제2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 및 상기 레퍼런스 신호 간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양자화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획득된 제2 샘플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1 상관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제1 샘플 신호 및 상기 양자화된 제2 샘플 신호를 곱하여 상기 제2 상관 관계를 획득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상이한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세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1, 0, 1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레벨 각각에 -2, -1, 0, 1, 2 값을 부여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세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 신호의 크기는 2비트이고,
    상기 수신된 신호 및 상기 기 저장된 레퍼런스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다섯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양자화되면, 상기 양자화된 신호의 샘플 신호의 크기는 3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신호 단위로 상기 수신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1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샘플 신호 단위로 상기 레퍼런스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60008216A 2016-01-22 2016-01-22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16A KR102537783B1 (ko) 2016-01-22 2016-01-22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217,220 US10021447B2 (en) 2016-01-22 2016-07-22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00621 WO2017126889A1 (en) 2016-01-22 2017-01-18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6/030,392 US10412444B2 (en) 2016-01-22 2018-07-09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216A KR102537783B1 (ko) 2016-01-22 2016-01-22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185A KR20170088185A (ko) 2017-08-01
KR102537783B1 true KR102537783B1 (ko) 2023-05-30

Family

ID=593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216A KR102537783B1 (ko) 2016-01-22 2016-01-22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021447B2 (ko)
KR (1) KR102537783B1 (ko)
WO (1) WO2017126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547A1 (ko) 2015-03-19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GB2539662A (en) 2015-06-22 2016-12-28 Sony Corp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Methods of Trasmitting and Receiving
GB2540595A (en) * 2015-07-22 2017-01-25 Sony Corp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MX2021004797A (es) * 2015-07-23 2022-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de transmision, aparato de recepcion, y metodos de control de los mismos.
KR102537783B1 (ko) * 2016-01-22 202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37957B2 (en) * 2016-12-15 2020-04-28 Vmware, Inc. Dynamic runtime interface for device management
CN108632002B (zh) * 2017-03-24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和系统
KR102631741B1 (ko) * 2019-10-15 2024-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32820B1 (ko) 2020-04-22 202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 계층 ldm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1053A1 (en) * 2014-05-21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16074T2 (de) 1999-03-30 2005-11-24 Nec Corp. OFDM-Demodulator
KR100788653B1 (ko) * 2002-11-07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기반 동기 검출 장치 및 방법
US7539241B1 (en) * 2004-10-22 2009-05-26 Xilinx, Inc. Packet detector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2006211274A (ja) * 2005-01-27 2006-08-10 Toshiba Corp 記録媒体、この記録媒体を再生する方法並びにその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に映像データを記録する記録装置並びにその記録方法
US8594176B2 (en) * 2007-03-06 2013-11-26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media codec with transform coefficient bounding
KR101181976B1 (ko) 2010-09-28 2012-09-1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US9769635B2 (en) 2010-11-23 2017-09-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ceiving method i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IT1404370B1 (it) * 2010-12-29 2013-11-22 Accent S P A Ricevitore a cross-correlazione
WO2016129974A1 (en) * 2015-02-13 2016-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75378B1 (ko) * 2015-03-16 2023-09-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리앰블의 bicm 모드 및 ofdm 파라미터를 함께 시그널링하는 심볼을 포함한 부트스트랩을 이용한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US9590782B2 (en) * 2015-06-22 2017-03-07 Sony Corporation Signaling methods and apparatus
GB2540593A (en) * 2015-07-22 2017-01-25 Sony Corp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KR102537783B1 (ko) * 2016-01-22 202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41053A1 (en) * 2014-05-21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185A (ko) 2017-08-01
US10412444B2 (en) 2019-09-10
US10021447B2 (en) 2018-07-10
US20170214964A1 (en) 2017-07-27
WO2017126889A1 (en) 2017-07-27
US20180324485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783B1 (ko)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53022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389777B2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thereof
KR102589786B1 (ko)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6676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4824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4258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1807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