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756B1 - Ink line winding device - Google Patents

Ink line win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756B1
KR102537756B1 KR1020210070294A KR20210070294A KR102537756B1 KR 102537756 B1 KR102537756 B1 KR 102537756B1 KR 1020210070294 A KR1020210070294 A KR 1020210070294A KR 20210070294 A KR20210070294 A KR 20210070294A KR 102537756 B1 KR102537756 B1 KR 102537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k
roller
winding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1943A (en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이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천 filed Critical 이상천
Priority to KR102021007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756B1/en
Publication of KR2022016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7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92Manu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 B65H2701/357Marking strings, e.g. pre-inked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먹줄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에 먹물이 충진되고, 줄(10)이 내부를 관통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미에 배치되어, 줄(10)을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200); 를 포함하는 먹줄 권취 장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ncludes a body portion 100 in which ink is filled and a string 10 penetrates the inside; a winding unit 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unit 100 and selectively winding the string 10; It is an ink line winding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먹줄 권취 장치{Ink line winding device}Ink line winding device {Ink lin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판 형상 부재에 가공부를 도시하는 먹줄을 용이하게 권취시킬 수 있는 먹줄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string winding device capable of easily winding an ink string showing a processing portion on a plate-shaped member.

특허문헌 001은 먹물이 흡수충진된 먹통본체부와 먹줄을 권취하는 먹줄권취부로 구성된 목수용 먹줄통에 있어서, 먹줄권취부의 권취롤러축부의 양측에 권취롤 브라켓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재질의 축돌봉을 삽입 고정하고, 양측 권취롤 브라켓의 축부 내측에 삽입안내홈을 형성하여, 양측의 축돌봉이 각 삽입 안내홈을 통하여 축공에 축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목수용 먹줄통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1 is a carpenter's ink box composed of an ink box body in which ink is absorbed and filled and an ink line winding part for winding ink, and both sides of the winding roller shaft of the ink line winding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er strength than the winding roll bracket. is inserted and fixed, and an insertion guide groove is formed inside the shaft of the winding roll bracket on both sides, so that the shaft rods on both sides are shaft-coupled to the shaft hole through each insertion guide groove. are doing

특허문헌 002는 먹줄 끝에 매달린 고정구를 몸체와, 몸체 선단에 형성되며 고정침이 고정된 돌봉형 끼움부와, 원통관형이고 내부로 먹줄이 통과하며 돌봉형 끼움부에 억지 끼움되는 가요성 단관튜브로 구성하되, 가요성 단관튜브는 돌봉형 끼움부에 끼움된 상태에서 고정침의 하부가 노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고정침이 대상물 바닥면에 박힘에 따라 바닥면에 닿은 튜브하단이 먹줄을 눌러 잡도록 구성하고, 몸체와 돌봉형 끼움부 사이에 결속홈을 형성하고 가요성 단관튜브를 관통한 먹줄의 상단을 결속홈에 결속하고 가요성 단관튜브를 가요성 단관 튜브의 상단부가 결속홈에 결속된 먹줄의 결속 매듭을 빙둘러 싸면서 압박하도록 결속홈의 상부까지 끼워 결속 매듭의 풀림이 방지되게 구성되는 목수용 먹줄통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2 has a fixture suspended at the end of the ink line, a body, a stone rod-type fitting part formed at the tip of the body and fixed with a fixing needle, and a flexible single tube tube that is forcibly fitted into the stone rod-type fitting part with a cylindrical tube-type ink line passing through the inside However, the flexible single-tube tube is formed to a length that exposes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need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tone rod-type fitting part, and as the fixing needle is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object, the lower end of the tube touching the bottom surface presses the ink line to catch it. And, forming a binding groove between the body and the stone rod-type fitting part, binding the upper end of the ink line passing through the flexible single pipe tube to the binding groove, and binding the flexible single pipe tube to the upper end of the flexible single pipe tube of the ink line bound to the binding groove Suggested is a technique related to a carpenter's ink box configured to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binding knot by inserting it up to the top of the binding groove so as to wrap and press the binding knot.

특허문헌 003은 후방에 먹줄을 권취한 권취롤이 축으로 지지한 롤케이스가 구비되고, 롤케이스의 전방에는 먹물을 수용할 수 있는 먹물케이스가 구비되는 통상의 건축용 먹통에 있어서, 먹물케이스는 내부에 먹물이나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수용홈의 상측에 나사를 가지고 구비되는 평면부에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하여 나사결합되는 뚜껑; 뚜껑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구에 먹줄을 안내할 수 있도록 로울러를 고정하여 결합되는 로울러가이드; 평면부에 먹줄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마모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링체; 링체의 외측에는 먹물유출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결합구에 삽입되는 씰링재와 연접되도록 하고, 평면부 전방의 상향경사면 중도에 부싱을 개재하여 하향지게 형성하는 토출구; 토출구의 상측에는 인출된 먹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돌기; 평면부의 후방에 세워지는 격벽 전방에는 권취되는 먹줄에 묻어있는 먹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펀지; 격벽의 후방에 토셔널스프링을 개재하여 권취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건축용 먹통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003, in a conventional construction ink box, which has a roll case supported by an axis of a winding roll wound with an ink line, and an ink case capable of accommodating ink in front of the roll case, the ink case is inside A lid that is screwed together by integrally forming a handle on a flat surface provided with a screw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formed to accommodate ink or powder in the; A roller guide coupled by fixing a roller so as to guide an ink line to a coupler integrally formed below the lid; A ring body made of metal provided as a means for preventing abrasion occurring when an ink line passes through the plane part; On the outside of the ring body,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a sealing material inserted into the coupler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ink, and formed downward through a bushing in the middle of the upwardly inclined surface in front of the flat part; A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to fix the drawn ink line; A sponge provided in front of the bulkhead erected at the rear of the planar portion to remove ink from the ink line to be wound; a stopper provided behind the bulkhead to prevent the winding roll from moving through a torsional spring; It propose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construction jam including.

특허문헌 004는 좌측에 제1 상부캡이 결합되고 우측에 제2 상부캡이 회전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를 구비하고, 본체와 제1 상부캡의 사이 공간에 먹줄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을 회전가능하게 내장하며, 보빈으로부터 인출되는 먹줄의 끝단에 꽂이구를 연결하고, 꽂이구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을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하되, 본체와 제2 상부캡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먹줄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먹통을 착탈식으로 장착하고, 가이드홈의 중간부에는 그 하단부가 먹통 내부로 삽입되어 먹을 빨아들이는 심지를 형성하며, 제2 상부캡에 고무재로 이루어진 누름부재를 형성하고, 누름부재의 하측에는 그 끝단부가 심지의 직상방에 위치하게되는 누름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통 착탈식 먹줄 라이너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004 has a body in which a first upper cap is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a second upper cap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ight side, and a bobbin in which ink is wound in the space between the body and the first upper cap is rotatable. The ink line passes through the storage spac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upper cap. A guide groove formed with a concavity is detachably mounted,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to form a wick for sucking the ink, and a pressing member made of rubber is attached to the second upper cap. Forming and forming a pressing rod at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member, the end of which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wick, is proposed a technology related to a detachable ink line liner.

KRKR 10-0941895 10-0941895 B1B1 (2010년02월04일)(February 04, 2010) KRKR 10-1211558 10-1211558 B1B1 (2012년12월06일)(December 06, 2012) KRKR 20-0184202 20-0184202 Y1Y1 (2000년03월21일)(March 21, 2000) KRKR 20-0435083 20-0435083 Y1Y1 (2007년01월02일)(January 02, 2007)

본 발명은 판 형상 부재에 가공부를 도시하는 먹줄을 용이하게 권취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easily wind an ink line showing a processed portion around a plate-like member.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먹줄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내부에 먹물이 충진되고, 줄(10)이 내부를 관통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미에 배치되어, 줄(10)을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2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inventions, and includes a body portion 100 in which ink is filled and a string 10 penetrates the inside; a winding unit 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unit 100 and selectively winding the string 1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100)는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내부가 상기 복수의 통공과 연통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먹물이 흡수 충진되는 흡수재(120); 상기 흡수재(120)에 외력을 가하여, 먹줄을 생성하는 가압부(130); 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using 110 whose interior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n absorbent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filled with ink; a pressing unit 130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absorbent 120 to generate an ink line;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권취부(200)는 줄(10)을 외주부에 권취시키는 롤러(210); 상기 롤러(2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핸들(220); 상기 롤러(2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잠금부(230); 를 포함한다.The wind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ller 210 winding the string 10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handle 220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roller 210; a locking unit 230 that selectively controls rotation of the roller 21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핸들(2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부(231); 를 포함한다.The locking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utch unit 231 for selectively controlling rotation of the handle 220; includes

본 발명은 상기 가압부(120) 및 상기 클러치부(231)와 연동되어, 줄(10)의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300); 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unit 120 and the clutch unit 231, the switch 300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line 1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롤러(210)와 핸들(220)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체시키는 결합 제어부(232); 를 포함한다.The locking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control unit 232 for selectively dismantl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includes

본 발명의 상기 권취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롤러(210) 사이에 배치되어, 줄(10)의 권취 각도를 제어하는 꼬임방지부(240); 를 포함한다.The wind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roller 210, and the anti-twisting part 240 for controlling the winding angle of the string 10; includes

본 발명으로 인하여, 롤러 외주부에 권취된 줄을 용이하게 권출시키거나 재권취시킬 수 있다.Du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ng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can be easily unwound or re-wound.

또한 먹줄 권취 시에 롤러의 외주부에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시공자가 줄을 권출할 시에 용이하게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twisting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when winding the ink line, the unwinding can be easily performed when the constructor unwinds the line.

더 나아가 먹줄로 가공부를 도시할 시에 줄을 권출시키는 매커니즘과 줄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매커니즘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processing part is shown with an ink line, the mechanism for unwinding the line and the mechanism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n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도 1은 본 발명의 먹줄 권취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먹줄 권취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권취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롤러와 핸들의 결합 구조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잠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잠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k line wi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k line win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4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oller and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lock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loc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Numbers cited in the examples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referenced subject and can be applied to all examples. An object that exhibits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configura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replacement object. The high-level concept presented in the examples includes sub-concept objects that are not described.

(실시예 1-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내부에 먹물이 충진되고, 줄(10)이 내부를 관통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미에 배치되어, 줄(10)을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200); 를 포함한다.(Example 1-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string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cludes a body portion 100 filled with ink and a string 10 penetrating the inside; a winding unit 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unit 100 and selectively winding the string 10; includes

목수나 석공들이 판 형상의 자재를 가공하기 위하여 선을 긋는데 사용하는 먹줄 장치는 먹물이 외주부에 도포되는 먹줄을 판 형상의 가공재 일면에 배치시켜, 시공자가 가공을 실시하는 구간을 표시한다.The ink line device used by carpenters or masons to draw lines to process plate-shaped materials places ink line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workpiece, and marks the section where the constructor performs processing.

상기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먹줄 장치는 줄의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구성과 줄이 선택적으로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function, the ink string device is formed with a structure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and a configuration for selectively winding or unwinding the string.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줄(10)을 권취하는 권취부(200)와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본체부(1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unit 200 that selectively winds the string 10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constructor and a body part 100 that applies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winding unit 200. It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실시예 1-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권취부(200)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줄(10)이 관통하여, 줄(10) 외주부에 먹을 도포하는 도포부(101); 상기 상기 도포부(10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후미에 형성되는 결합부(102); 를 포함한다.(Example 1-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1-1, the main body portion 100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inding portion 200 ( 10) penetrating and applying ink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ng 10; a coupling part 102 extending from the application part 101 and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part 100; includes

(실시예 1-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200)는 상기 결합부(102)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1-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do.

본 발명은 권취부(200)와 결합되어,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본체부(100)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in body 100 that is coupled to the winding unit 200 and applies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winding unit 200 .

본체부(100)가 수행하는 기능의 특성상, 본체부(100)의 후미에는 권취부(200)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줄(10)이 관통되어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시키는 도포부(10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도포부(101)의 내측으로 줄(10)을 투입시키는 권취부(200)와 결합하는 결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e nature of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body portion 1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body portion 100. Therefore,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pplication unit 101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rough which the line 10 penetrates is formed, an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ine 1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application unit 101. A coupling unit 102 coupled to the winding unit 200 for inputting may be formed.

이 때, 권취부(200)는 결합부(102)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이 다른 구성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inding unit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unit 102, so that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winding unit 200 can prevent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실시예 1-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2)는 복수의 제1 결합공(102-1); 을 포함한다.(Example 1-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s 1-3, the coupling part 102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holes 102-1; includes

(실시예 1-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200)는 상기 제1 결합공(10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결합공(201-1)을 포함하는 브라켓(201); 을 포함한다.(Example 1-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s 1-4, the winding unit 200 corresponds to the first coupling hole 102-1 Bracket 201 including a second coupling hole (201-1) formed at the position; includes

(실시예 1-6)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공(102-1)과 제2 결합공(201-1)을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체결재(400); 를 포함한다.(Example 1-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s 1-5, the first coupling hole 102-1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201-1 A fastening material 400 that selectively penetrates; includes

본 발명은 권취부(200)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결합부(102)에 대한 발명이다.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02)는 상단에 배치되는 권취부(200)에 결합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권취부(200)는 본체부(100) 후미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the coupling portion 102 that imparts bonding force to the winding portion 200 . As the coupling part 102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imparts a bonding force to the winding part 200 disposed at the top, the winding part 200 is at the rear of the body part 100. can be fixedly placed.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권취부(200)는 결합부(102)와 대향 배치되는 브라켓(201)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structure, the wind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bracket 201 disposed opposite to the coupling unit 102 .

이 때, 결합부(102)는 두께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구조의 제1 결합공(10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브라켓(201)은 제1 결합공(102-1)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두께방향을 따라 연통되는 구조의 제2 결합공(20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호 대향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공(102-1,201-1) 내측으로 체결재(400)가 선택적으로 관통됨에 따라, 본체부(100)와 권취부(200) 간의 결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102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rst coupling hole 102-1 having a structure communicat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bracket 201 is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hole 102-1. A second coupling hole 201-1 having a structure communicating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t a location may be formed. As the fastening material 400 selectively penetrates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02-1 and 201-1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winding portion 200 may be implemented.

(실시예 2-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내부가 상기 복수의 통공과 연통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먹물이 흡수 충진되는 흡수재(120); 상기 흡수재(120)에 외력을 가하여, 먹줄을 생성하는 가압부(130); 를 포함한다.(Example 2-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1-1, the body portio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housing 110 whose interior communicates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 absorbent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filled with ink; a pressing unit 130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absorbent 120 to generate an ink line; includes

(실시예 2-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는 상기 흡수재(1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xample 2-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2-1, the pressing part 1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absorbent 120.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본 발명은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본체부(100)에 대한 발명이다. 권출되는 줄(10)은 본체부(100)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줄(10)의 외주부에 먹물이 도포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body part 100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winding part 200. As the string 10 to be unwound is formed in a structure penetrating the main body 100, ink is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ring 10.

따라서,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이 투입되는 본체부(100)의 내부는 줄(10)의 외주부에 먹물을 지속적으로 도포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into which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winding part 200 is put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ntinuously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체부(100)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줄(10)이 후미로 투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어 먹물을 흡수 충진하는 흡수재(120), 줄(10)의 외주부를 흡수재(120)에 밀착시키는 가압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가압부(130)에 힘을 선택적으로 가함에 따라,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용이하게 도포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main body 100 has a space formed therein so that the string 10 is inserted into the rear and discharged forward, and the housing 11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absorb and fill ink.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n absorbent 120 to be applied, and a pressing portion 130 for bring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bsorbent 120. That is, the constructor can easily apply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by selectively applying force to the pressing portion 130 .

일반적으로 시공자는 판재 형상의 가공재에 가공부를 도시하기 위하여, 본체부(100)와 권취부(200)의 상단부를 바라보는 자세로 가공부를 도시한다. 따라서, 가압부(130)는 흡수재(120)의 상단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자는 가압부(130)를 통하여 흡수재(120)에 힘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In general, a constructor draws a processing unit in a posture of looking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winding unit 200 in order to show the processing unit on a plate-shaped workpiece. Therefore, since the pressing part 13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surface of the absorbent 120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constructor can easily apply force to the absorbent 120 through the pressing part 130.

(실시예 2-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상단부에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개구부(111); 를 포함한다.(Embodiment 2-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 includes

(실시예 2-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의 일단부는 상기 개구부(111)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2-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do.

본 발명은 내부에 흡수재(120)가 배치되고,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되는 줄(10)이 후미로 투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되는 하우징(110)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110 in which an absorbent 120 is disposed and a string 10 unwound from a take-up unit 200 is put into the rear and discharged forward.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흡수재(120)는 먹물이 흡수 충진되는 구성으로, 줄(10) 외주부에 지속적으로 먹물을 도포시키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먹물이 소진된 흡수재(120)에 먹물을 용이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가압부(130)가 내측의 흡수재(120)에 힘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sorber 120 disposed in the housing 110 is configured to absorb and fill ink, and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apply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ink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absorbent 120 whose ink is exhausted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unit 130 can easily apply force to the absorbent 120 on the inside. do.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은 상면에 두께방향을 따라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별도의 개구부(11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공자는 개구부(111)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흡수재(120)에 먹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흡수재(120) 상단에 배치되는 가압부(130)가 하우징(110)의 상단 외측으로부터 개구부(111)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흡수재(120)와 물리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자는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용이하게 도포시킬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separate opening 111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constructor may supply ink to the absorber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opening 111 . In addition, the pressing part 130 disposed on the top of the absorber 120 selectively penetrates the opening 111 from the outside of the top of the housing 110 to physically contact the absorber 120, so the constructor can use the line 10 ) Ink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outer periphery.

(실시예 2-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의 타단부는 상기 본체부(100)와 힌지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2-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s 2-4,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art 130 is hinged with the main body part 100 formed into a structure

본 발명은 흡수재(120)에 힘을 가하여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시키는 가압부(130)에 대한 발명이다. 일단부가 흡수재(12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 배치되는 가압부(130)는 필요 시에만 흡수재(120)에 힘을 가함에 따라, 흡수재(120)는 줄(10)의 외주부와 밀착되어 먹물을 도포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essing unit 130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by applying force to the absorbent 120. As the pressing part 130,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absorbent 120, applies force to the absorbent 120 only when necessary, the absorbent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to absorb ink. spread out

이 때, 가압부(130)의 타단부는 본체부(100)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단부가 소정 각도 회동함에 따라, 가압부(130)의 일단부는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는 흡수재(120)에 선택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inged with the main body portion 100 . That is, as one e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other end, one end of the pressing unit 130 may selectively apply force to the absorber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

(실시예 2-6)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에 배치되고,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배출공; 을 포함한다.(Embodiment 2-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discharge hole; includes

(실시예 2-7)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 외주부는 하우징(110)보다 작은 마찰계수 값을 갖는 베어링; 을 포함한다.(Example 2-7)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s 2-6,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includes a bearing having a smaller friction coefficient value than that of the housing 110; includes

본 발명은 내부에 흡수재(120)가 배치되는 하우징(110)에 대한 발명이다. 권취부(200)로부터 권출된 줄(10)은 하우징(110)의 후미로 투입되어, 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전방에는 줄(10)이 배출되는 별도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110 in which an absorber 120 is disposed. The line 10 unwound from the take-up unit 200 is put in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and discharged forward. Therefore,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formed with a structure including a separat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string 10 is discharged.

이 때, 시공자가 본 발명을 배치하는 각도에 따라, 줄(10) 외주부는 배출공의 외주부와 물리적으로 접한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배출공의 외주부로부터 마찰력을 받는 줄(10)이 마모되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angle at which the constructor arranges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physically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hole. If this phenomenon is continuously made, a phenomenon in which the line 10 receiving the frictional for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is worn out and cut off may occu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출공의 외주부에는 하우징(110)보다 작은 마찰계수 값을 갖는 별도의 베어링이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bearing having a smaller friction coefficient value than the housing 11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hole.

(실시예 3-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200)는 줄(10)을 외주부에 권취시키는 롤러(210); 상기 롤러(2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핸들(220); 상기 롤러(2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잠금부(230); 를 포함한다.(Example 3-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 a handle 220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roller 210; a locking unit 230 that selectively controls rotation of the roller 210; includes

본 발명은 가공재에 가공부를 도시하는 줄(10)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권취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고정 배치되는 권취부(200)는 도포부(101)로 줄(10)을 투입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unit 200 for winding or unwinding a string 10 showing a processing unit on a processing material. The winding unit 200 fixedly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uni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ne 10 is input into the application unit 101 .

따라서, 권취부(200)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줄(10)을 외주부에 권취시키거나 권출시키는 롤러(210), 롤러(210)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는 핸들(220), 롤러(21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잠금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ke-up unit 200 includes a roller 210 that winds or unwinds the line 10 to the outer periphery by rotating on the axis, a handle 220 that selectively applies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210, and a roller 210.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locking part 23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즉, 권취부(200)는 줄(10)을 선택적으로 권출시키거나 재권취하는 롤러(210)의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시공자는 가공부 도시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at is, as the winding unit 20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ntrol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ller 210 that selectively unwinds or rewinds the line 10, the constructor can easily perform the process of showing the processing unit. .

(실시예 3-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롤러(210)의 내주부는 상기 핸들(22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3-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3-1,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is formed with

본 발명은 롤러(210)와 핸들(220)의 결합 구조에 대한 발명이다. 롤러(210)는 외주부에 줄(10)을 권취시킨 상태에서, 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줄(10)을 본체부(100)로 투입시키거나 줄(10)을 재권취시킬 수 있다. 이 때, 롤러(210)를 핸들(22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자는 핸들(220)에 외력을 가하여 줄(1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ller 210 and a handle 220. The roller 210 may input the string 10 to the main body 100 or rewind the string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haft in a state in which the string 10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At this time, the roller 21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handle 220 rotates dependentl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handle 220 rotates, so that the constructor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ring 1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handle 220.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핸들(220)의 회전축은 롤러(210)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ique,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roller 210.

(실시예 3-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권취부(200)는 상기 롤러(210)의 회전축과 상기 핸들(220)의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동력 전달부(250); 를 포함한다.(Embodiment 3-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3-1, the wind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250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s; includes

(실시예 3-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전달부(250)는 상기 롤러(21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제1 기어(251); 상기 핸들(22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제2 기어(252); 를 포함한다.(Embodiment 3-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 first gear 251; A second gear 25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includes

본 발명은 롤러(210)와 핸들(220)의 결합 구조에 대한 발명이다. 권취부(200)는 핸들(220)의 회전 여부에 따라 롤러(210)가 종속적으로 회전하여, 줄(10)을 권취 또는 권출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ller 210 and a handle 220. In the winding unit 200, the roller 210 rotates depend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 handle 220 is rotated to wind or unwind the string 10.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권취부(200)는 롤러(210)의 회전축과 핸들(220)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동력 전달부(25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210)와 핸들(220)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ique, the take-up unit 2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250 dispos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roller 210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220 . Tha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are not directly coupled may be formed.

이 때, 제1 동력 전달부(250)는 외주부에 줄(10)이 권취된 롤러(21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제1 기어(251)와 핸들(22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제2 기어(252)의 외주부가 기계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핸들(220)의 회전력이 롤러(210)로 전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250 has a first gear 251 shaft-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roller 210 around which the string 10 is wound, and a second shaft shaft-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220.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gear 252 is mechanically meshed and coupled,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220 may be transmitted to the roller 210 .

(실시예 4-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핸들(2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부(231); 를 포함한다.(Embodiment 4-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3-1, the locking part 230 is a clutch that selectively controls rotation of the handle 220. part 231; includes

본 발명은 롤러(210)와 핸들(220) 간의 결합 구조를 순간적으로 해제하는 잠금부(230)에 대한 발명이다. 즉, 잠금부(230)는 롤러(210)의 회전축과 핸들(220)의 회전축 간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제함에 따라, 롤러(210)가 핸들(220)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unit 230 that instantaneously release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ller 210 and a handle 220 . That is, as the locking unit 230 selectively release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21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he roller 210 is free to rotate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he handle 220.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잠금부(230)는 핸들(220)의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핸들(220)의 회전 각도를 정지시키는 클러치부(23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structure, the locking unit 230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electively contacts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and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clutch unit 231 that stop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handle 220. It can be.

(실시예 4-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권취부(200)는 상기 롤러(210)의 외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210)의 외주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핸들(220)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구조의 릴 프레임(260); 을 포함한다.(Example 4-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4-1, the winding portion 2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ller 210 a reel frame 260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ller 210 and having a structure through which a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passes; includes

(실시예 4-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릴 프레임(260)은 곡면에 형성되어,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슬롯(261); 을 포함한다.(Embodiment 4-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4-2, the reel frame 260 is formed on a curved surface, and a slot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 261); includes

본 발명은 클러치부(231)를 포함하여, 롤러(210)와 핸들(220) 간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한 권취부(200)에 대한 발명이다. 클러치부(231)가 핸들(220)의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클러치부(231)는 특정 위치에 일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핸들(220)의 회전축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권취부(200)는 클러치부(231)의 일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e-up unit 200 capable of selectively releas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ller 210 and a handle 220, including a clutch unit 231.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utch unit 231 mechanically coupling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he clutch unit 23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clutch unit 231 selectively contacts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while the other end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should be formed a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unit 200 has a structure capable of fixing one end of the clutch unit 231 .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권취부(200)는 롤러(210)의 외주부와 이격 배치됨과 동시에 핸들(220)의 회전축이 롤러(210)의 회전축과 평행 배치되어 관통되는 릴 프레임(26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러치부(231)는 릴 프레임(260)의 폭방향 일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클러치부(231)의 위치가 권취부(200)에서 결정된다.In order to realiz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take-up unit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al axis of the handle 220 is parallel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roller 210 to form a reel frame 260 passing through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that includes. At this time, as the clutch unit 231 is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reel frame 260 in the width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clutch unit 231 is determined in the take-up unit 200 .

또한 롤러(210)의 권취 상태를 시공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기 위하여, 릴 프레임(260)의 곡면은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별도의 슬롯(261)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installer to easily recognize the winding state of the roller 210, the curved surface of the reel frame 26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e slot 261 communicating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is formed.

(실시예 4-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핸들(220)은 중앙부가 회전축과 축결합하고, 소정 각도 경사진 톱니를 형성하는 래칫 기어(221); 을 포함한다.(Example 4-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4-3, the handle 220 has a center portion axial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and teeth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ming a ratchet gear 221; includes

(실시예 4-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231)는 상기 슬롯(260) 내에 배치되는 썸바(231-1); 상기 레버(231-1)와 연동되어, 상기 래칫 기어(221)의 톱니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레버(231-2); 를 포함한다.(Embodiment 4-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In Embodiments 4-4, the first locking part 231 is a thumb bar 231 disposed in the slot 260 -One); a lever 231-2 interlocked with the lever 231-1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221; includes

본 발명은 롤러(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220)과 클러치부(231)에 대한 발명이다. 클러치부(231)는 핸들(220)의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롤러(210)를 핸들(220)의 회전축으로부터 분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220 and a clutch unit 231 that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210 . The clutch unit 231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separates the roller 210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220 while stopp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22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핸들(220)은 회전축과 축결합하고, 소정 각도 경사진 톱니를 갖는 래칫 기어(221)를 포함하고, 클러치부(231)는 슬롯(260) 내에서 소정 높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썸바(231-1)와 썸바(231-1)에 의해 래칫 기어(221)의 톱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레버(23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structure, the handle 220 is shaft-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and includes a ratchet gear 221 having teeth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lutch unit 231 rises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slot 260.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descending thumb bar 231-1 and a lever 231-2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221 by the thumb bar 231-1.

즉, 시공자는 썸바(231-1)를 하강시킬 시에 레버(231-2)가 래칫 기어(221)의 톱니 사이로 삽입되어 핸들(220)의 회전축을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humb bar 231-1 is lowered, the constructor 231-2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of the ratchet gear 221 to fix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hereby realizing the above function. there is.

(실시예 5-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 및 상기 클러치(231)와 연동되어, 줄(10)의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300); 를 포함한다.(Embodiment 5-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4-1, it is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lutch 231 to form a joint 10 A switch 300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includes

본 발명은 줄(10)의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는 가압부(130)와 롤러(21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클러치부(231)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구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simultaneously activating the pressure unit 130 for applying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and the clutch unit 231 for releasing the rotation restriction of the roller 210.

권취부(210)에서 줄(10)이 권출되기 위해서는 외주부에 줄(10)이 권취되는 롤러(210)가 회전하여야 한다. 이 때,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핸들(220)의 구조적인 특성상, 클러치부(231)는 롤러(210)와 핸들(220) 간의 상호 결합 구조를 해제시킨다.In order for the string 10 to be unwound from the winding unit 210, the roller 210 around which the string 10 is wound must be rotated. At this tim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le 220 rotating in only one direction, the clutch unit 231 releases the mutual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또한 롤러(210)로부터 권출된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하기 위하여, 가압부(130)는 흡수재(120) 상단에 힘을 가하여, 흡수재(120)를 줄(10) 외주부와 밀착시킨다.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ink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unwound from the roller 210, the pressing unit 130 applies force to the upper end of the absorbent 120 to bring the absorbent 12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상기한 복수의 기술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스위치(30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plurality of technologie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switch 300 activating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at the same time.

(실시예 5-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0)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상기 가압부(130)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5-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5-1,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 300 is coupled to the pressing portion 130. is formed with

(실시예 5-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상기 클러치부(231)와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5-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5-2,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witch 300 is engaged with the clutch part 231 formed into a structure

(실시예 5-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0)의 길이방향 중앙부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5-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is formed

본 발명은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스위치(300)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300 that selectively activates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

판 형상의 가공 부재에 먹줄로 가공부를 도시하기 위해서, 일차적으로는 줄(10)이 롤러(210)의 외주부로부터 권출된 후에 이차적으로 줄(10) 외주부에 먹물을 도포되어야 한다. 스위치(300)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동시에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구성이다.In order to show the processing part with the ink line on the plate-shaped processing member, firstly, after the string 10 is unwoun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ink should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ring 10 secondarily. The switch 300 is a component that selectively activates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at the same time.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스위치(300)는 가압부(130), 클러치부(231)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위상 값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스위치(300)의 일단부는 가압부(130)와 결합하고, 타단부는 클러치부(23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switch 300 must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hase value can be varied while being mechanically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switch 300 is coupled to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other end is raised or lowered while being coupled to the clutch unit 231 .

(실시예 5-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0)는 길이방향 중앙부에 내측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스위치 하우징(310); 상기 스위치 하우징(310) 내측에 배치되는 승하강부(320); 를 포함한다.(Embodiment 5-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 an elevating unit 320 disposed inside the switch housing 310; includes

(실시예 5-6)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32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 저면에 고정되는 탄성체(321); 저면이 상기 탄성체(321)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 부재(322); 를 포함한다.(Example 5-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xample 5-5, the elevation part 320 has one end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 elastic body 321; a lifting member 322 having a lower surfac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321 and selectively moving up and down; includes

본 발명은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스위치(300)에 대한 발명이다.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가압부(130), 클러치부(231)와 결합되는 스위치(300)는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가 비활성화되는 초기 위상 값으로부터 소정 높이 하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300 that simultaneously activates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 The switch 300, which has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lutch part 231, has a structure that can desc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itial phase value at which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lutch part 231 are deactivated. As formed,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lutch part 231 are selectively activated.

상기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스위치(300)는 길이방향 중앙부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치 하우징(310)과 상기 스위치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되어, 위상 값이 가변되는 승하강부(32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the switch 300 includes a switch housing 310 dispos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levating portion 320 accommodated inside the switch housing 310 and having a variable phase value. structure can be formed.

이 때, 승하강부(320)는 스위치 하우징(310)의 내측 저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탄성체(321)와 탄성체(321)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가압부(130), 클러치부(231)와 결합하는 승강 부재(32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321)의 수축 여부에 따라 승강 부재(322)의 위상 값이 가변되어, 최종적으로는 가압부(130)와 클러치부(23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ing unit 320 is coupled with an elastic body 321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housing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321,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pressing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It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including a lifting member 322 coupled to the unit 231 . That is, the phase value of the elevating member 322 i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elastic body 321 is contracted, and finally, the pressing unit 130 and the clutch unit 231 can be selectively activated.

(실시예 6-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롤러(210)와 핸들(220)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체시키는 결합 제어부(232); 를 포함한다.(Embodiment 6-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3-1, the locking part 230 ha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Coupling control unit 232 for selectively dismantling; includes

(실시예 6-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결합 제어부(232)는 상기 핸들(220) 회전축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6-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is formed

본 발명은 롤러(210)와 핸들(220) 간의 결합 구조를 순간적으로 해제하는 잠금부(230)에 대한 발명이다. 즉, 잠금부(230)는 롤러(210)의 회전축과 핸들(220)의 회전축 간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제함에 따라, 롤러(210)가 회전하지 않아도 핸들(220)이 회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unit 230 that instantaneously releases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ller 210 and a handle 220 . That is, as the locking unit 230 selectively releases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roller 210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he handle 220 can be rotated even when the roller 210 does not rotate.

상기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잠금부(230)는 결합 제어부(23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롤러(210)가 정지된 상태에서도 핸들(220)의 회전축이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제어부(232)는 롤러(2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220)의 회전축에 대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한 기술을 실시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structure, the locking unit 230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can be rotated even when the roller 210 is stopped. At this time,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vary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22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which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210, and can perform the above technique.

(실시예 6-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결합 제어부(232)는 상기 핸들(220) 회전축의 외주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232-1); 를 포함한다.(Embodiment 6-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6-2,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is a locking member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232-1); includes

(실시예 6-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232-1)의 내주부는 상기 릴 프레임(260)의 일측에 결합된다.(Embodiment 6-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coupled to

(실시예 6-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232-1)와 상기 권취 하우징(260)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Embodiment 6-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6-4, the locking member 232-1 and the take-up housing 260 are screwed together. are combined

본 발명은 롤러(210)로부터 핸들(220) 회전축의 위치를 제어하는 결합 제어부(232)에 대한 발명이다. 결합 제어부(232)는 롤러(2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220) 회전축에 대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롤러(210)와 핸들(220) 간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형성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coupling control unit 232 that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220 from the roller 210.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is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220 on the rotating shaft, which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roller 210, to selectively form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

상기한 기술은 결합 제어부(232)가 핸들(220) 회전축의 외주부와 결합하는 잠금 부재(232-1)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가능하다. 즉, 롤러(210)가 배치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잠금 부재(232-1)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잠금 부재(232-1)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핸들(220) 회전축의 위치도 종속적으로 가변된다. 따라서, 잠금 부재(232-1)를 포함하는 결합 제어부(232)는 핸들(220)이 배치되는 릴 프레임(26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technique is possible as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locking member 232-1 engag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hat is, as the position of the locking member 232-1 changes based on the position where the roller 210 is disposed,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handle 220 mechanically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232-1 also varies dependently. do. Accordingly, the coupling control unit 232 including the locking member 232-1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el frame 260 on which the handle 220 is disposed.

또한 핸들(220) 회전축의 위치를 결정하는 잠금 부재(232-1)는 릴 프레임(260)의 일측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조나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릴 프레임(260)의 일측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상기한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232-1 tha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should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reel frame 26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though the structure or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o be mutu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el frame 260 by a screw coupling method to implement the above technology.

(실시예 7-1)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롤러(210) 사이에 배치되어, 줄(10)의 권취 각도를 제어하는 꼬임방지부(240); 를 포함한다.(Embodiment 7-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3-1, the winding unit 200 is between the body unit 100 and the roller 210. a twist-preventing unit 240 for controlling the winding angle of the line 10; includes

본 발명은 롤러(210) 외주부에 권취된 줄(10)을 권출시켜 본체부(100)로 투입시키는 권취부(200)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ing unit 200 that unwinds a line 1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roller 210 and puts it into the main body unit 100.

릴 프레임(260)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210)는 외주부에 줄(10)을 권취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줄(10)이 롤러(210) 외주부의 특정 구간으로만 권취된다면, 줄(10)이 롤러(210) 외주부에 완전히 권취되지 않은 상황에서 릴 프레임(260) 내부와 접하여 권취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권취된 줄(10)이 롤러(210) 외주부에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용이하게 권출되지 않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The roller 210 disposed inside the reel frame 260 is configured to wind the line 10 around the outer periphery. At this time, if the line 10 is wound only in a specific s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the line 10 i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reel frame 260 in a situation where the line 10 is not completely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so that winding is no longer possible. Things that don't happen may happen. In addi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wound line 10 is twist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may occur, and a phenomenon in which it is not easily unwound may occu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권취부(200)는 줄(10)의 권취 및 권출 각도를 제어하는 꼬임방지부(24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winding unit 200 may be formed with a structure including a twist prevention unit 240 for controlling winding and unwinding angles of the string 10 .

(실시예 7-2)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부(240)는 상기 슬롯(261)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Embodiment 7-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

(실시예 7-3)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꼬임방지부(240)는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롤러(210) 사이에 배치되어, 줄(10)이 관통하는 꼬임방지 부재(241); 상기 꼬임방지 부재(241)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242); 를 포함한다.(Embodiment 7-3)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 twist-preventing member 241 disposed therebetween, through which the string 10 passes; a position adjustment unit 24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anti-twist member 241; includes

본 발명은 롤러(210)의 외주부로부터 줄(10)을 권출시키거나 재권취시키는 각도를 제어하는 꼬임방지부(240)에 대한 발명이다. 롤러(210)의 외주부에 권취된 줄(10)을 파지한 상태에서 본체부(100)로 공급하거나 다시 롤러(210) 외주부로 줄(10)을 재권취시키는 기능적인 특성상, 꼬임방지부(240)는 본체부(100)와 롤러(21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261)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twist unit 240 that controls an angle at which the string 10 is unwound or re-woun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Due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supplying the line 10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to the main body 100 while holding it or rewinding the line 10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ller 210, the anti-twist unit 240 )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in the slot 261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roller 210.

이 때, 줄(10)의 권출 및 권취 각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슬롯(261) 내에 배치되는 꼬임방지부(240)는 줄(10)이 관통되는 꼬임방지 부재(241)와 꼬임방지 부재(241)의 위치를 슬롯(261)의 폭방향을 따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24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control the unwinding and winding angles of the string 10, the twist-preventing part 240 disposed in the slot 261 includes the anti-twist member 241 and the anti-twist member 241 through which the line 10 passes. )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position adjustment unit 24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lot 261 along the width direction.

(실시예 7-4)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부(242)는 상기 핸들(22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샤프트; 상기 웜샤프트 및 상기 꼬임방지 부재(241)와 결합하는 제2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한다.(Embodiment 7-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a joint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7-3,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is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to rotate the worm shaft;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worm shaft and the anti-twist member 241; includes

본 발명은 꼬임방지 부재(241)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242)에 대한 발명이다. 위치 조정부(242)는 핸들(220)의 회전에 따라, 슬롯(261)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치 조정부(242)는 핸들(220)의 회전축과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adjusting unit 24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anti-twist member 241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that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ot 26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220 . Accordingl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mechanic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

이 때, 위치 조정부(242)는 핸들(22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웜샤프트와 꼬임방지 부재(241)와 결합하여 왕복운동을 실시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worm shaft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the anti-twist member 241 to reciprocate.

(실시예 7-5) 본 발명은 가공물에 줄눈을 형성하는 먹줄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4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상기 꼬임방지 부재(241)와 결합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 내에 배치되고, 상기 웜샤프트의 함몰부 내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자; 를 포함한다.(Embodiment 7-5)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line device for forming joints in a workpiece, and in Embodiment 7-4,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anti-twist member 241; a rotor disposed within the second bracket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worm shaft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udes

본 발명은 웜샤프트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제2 동력 전달부에 대한 발명이다. 위치 조정부(242)는 핸들(220)의 회전력을 기반으로 하여, 꼬임방지 부재(241)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위치 조정부(242)는 핸들(220)의 회전축과 축결합하는 웜샤프트와 웜샤프트에서 부여하는 힘을 꼬임방지 부재(241)로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converts rotational force of a worm shaft into reciprocating mo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anti-twist member 241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handle 220 . To this end, the position adjusting unit 242 is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worm shaft coupled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handle 220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force applied from the worm shaft to the anti-twist member 241.

이 때, 제2 동력 전달부는 웜샤프트의 회전력을 수평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꼬임방지 부재(241)로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2 동력 전달부는 꼬임방지 부재(241)와 결합하는 제2 브라켓과 제2 브라켓 내에 배치되어 소정 각도 회동하는 회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should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orm shaft into horizontal reciprocating motion and transmits it to the anti-twist member 241 .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structur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anti-twist member 241 and a rotor disposed in the second bracket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회동자는 웜샤프트의 함몰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웜샤프트의 양단부에서 소정 각도 회동하여 제2 브라켓을 슬롯(261)의 폭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왕복시킬 수 있다.That is, the rotor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of the worm shaft, and rotates at both ends of the worm shaf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ntinuously reciprocate the second bracke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ot 261.

100 : 본체부 101 : 도포부
102 : 결합부 102-1 : 제1 결합공
110 : 하우징 120 : 흡수재
130 : 가압부
200 : 권취부 210 : 롤러
220 : 핸들 221 : 래칫 기어
230 : 잠금부 231 : 클러치부
231-1 : 썸바 231-2 : 레버
232 : 결합 제어부 232-1 : 잠금 부재
240 : 꼬임방지부 241 : 꼬임방지 부재
242 : 위치 조정부
250 : 제1 동력 전달부 251 : 제1 기어
252 : 제2 기어
260 : 릴 프레임 261 : 슬롯
300 : 스위치 310 : 스위치 하우징
320 : 승하강부 321 : 탄성체
322 : 승강 부재
100: body part 101: application part
102: coupling part 102-1: first coupling hole
110: housing 120: absorber
130: pressing part
200: winding unit 210: roller
220: handle 221: ratchet gear
230: locking part 231: clutch part
231-1: thumb bar 231-2: lever
232: coupling control unit 232-1: locking member
240: anti-twist unit 241: anti-twist member
242: position adjustment unit
250: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251: first gear
252: second gear
260: reel frame 261: slot
300: switch 310: switch housing
320: elevating unit 321: elastic body
322: lifting member

Claims (7)

먹물이 흡수된 먹줄을 권취한 목수용 먹줄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먹물이 충진되고, 줄(10)이 내부를 관통하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후미에 배치되어, 줄(10)을 선택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200); 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200)는,
줄(10)을 외주부에 권취시키는 롤러(210);
상기 롤러(2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핸들(220);
상기 롤러(21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잠금부(230);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롤러(210) 사이에 배치되어, 줄(10)의 권취 각도를 제어하는 꼬임방지부(240);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핸들(2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클러치부(231); 를 포함하고,
상기 꼬임방지부(240)는,
상기 본체부(100)와 롤러(210)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261)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롤러(210) 사이에 배치되어, 줄(10)이 관통하는 꼬임방지 부재(241);
상기 꼬임방지 부재(241)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조정부(242); 를 포함하는 먹줄 장치.
In the ink line device for carpenters that winds the ink line absorbed by the ink,
A main body portion 100 in which ink is filled and the string 10 penetrates the inside;
a winding unit 2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unit 100 and selectively winding the string 10; including,
The winding unit 200,
a roller 210 winding the string 10 around the outer periphery;
a handle 220 for selectively rotating the roller 210;
a locking unit 230 that selectively controls rotation of the roller 210;
a twist-preventing unit 240 disposed between the body unit 100 and the roller 210 to control a winding angle of the string 10; Including,
The locking part 230,
a clutch unit 231 that selectively controls rotation of the handle 220; including,
The twist-preventing part 240,
Formed in a structure disposed in the slot 261 formed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roller 210,
a twist-preventing member 241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roller 210, through which the string 10 passes;
a position adjustment unit 242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anti-twist member 241; A feed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길이방향 양단이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내부가 상기 복수의 통공과 연통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어, 먹물이 흡수 충진되는 흡수재(120);
상기 흡수재(120)에 외력을 가하여, 먹줄을 생성하는 가압부(130); 를 포함하는 먹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100,
A housing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n interior communicated wit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 absorbent 1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filled with ink;
a pressing unit 130 for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absorbent 120 to generate an ink line; A feed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30) 및 상기 클러치부(231)와 연동되어, 줄(10)의 상태를 제어하는 스위치(300); 를 포함하는 먹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switch 300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part 130 and the clutch part 231 to control the state of the line 10; A feeding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30)는,
상기 롤러(210)와 핸들(220)의 결합 구조를 선택적으로 해체시키는 결합 제어부(232); 를 포함하는 먹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part 230,
a coupling controller 232 selectively dismantl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210 and the handle 220; A feed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210070294A 2021-05-31 2021-05-31 Ink line winding device KR102537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94A KR102537756B1 (en) 2021-05-31 2021-05-31 Ink line win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294A KR102537756B1 (en) 2021-05-31 2021-05-31 Ink line win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43A KR20220161943A (en) 2022-12-07
KR102537756B1 true KR102537756B1 (en) 2023-05-26

Family

ID=8444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294A KR102537756B1 (en) 2021-05-31 2021-05-31 Ink line win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75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045A (en) * 1999-07-13 2001-01-23 Mamiya Op Co Ltd Fishing reel
KR200338975Y1 (en) * 2003-10-31 2004-01-16 김성국 reel brake control apparatus of ink-pad case for a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202Y1 (en) 1999-12-21 2000-06-01 서성광 An ink-pad case for construction
KR100424161B1 (en) * 2000-10-11 2004-03-24 이대훈 Racing preventive device for winding roller of carpenter's inkline box
KR200435083Y1 (en) 2006-08-17 2007-01-09 주식회사 대현드래곤트레이딩 Liner
KR100941895B1 (en) 2008-02-12 2010-02-16 이대훈 Carpenter's ink pad
KR101211558B1 (en) 2010-08-06 2012-12-12 이대훈 Carpenter's ink p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045A (en) * 1999-07-13 2001-01-23 Mamiya Op Co Ltd Fishing reel
KR200338975Y1 (en) * 2003-10-31 2004-01-16 김성국 reel brake control apparatus of ink-pad case for a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943A (en)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6826B (en) Hand held non-adhesive tape dispenser with friction brakes
US8783597B2 (en) System for evenly winding a hose on a reel
EP2393742B1 (en) Dispenser for length material
US6471154B2 (en) Automatic roll tensioner and material dispens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537756B1 (en) Ink line winding device
GB2475759A (en) Refillable application-film transfer tool with a reverse rotation prevention mechanism
TW201412265A (en) Reeling device for a carrying strap of a bag
JPS5922838A (en) Device for forwarding web material from supply roll
RU98107901A (en) PACKING DEVICE, FILM STRETCHING DEVICE FOR USE IN PACKING DEVICE AND PACKING METHOD
WO2009077062A1 (en)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deposit of for example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correction surface
JP6936053B2 (en) Winding device
KR102427174B1 (en) Hose winding device equipped with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US10364124B2 (en) Rope dispensing device
KR101138367B1 (en) Wire guiding apparatus, winch including the same and autonomous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80026962A (en) Hose winder
KR10181156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inding hose
US3016205A (en) Package arm control mechanism for winding machines
CN220616371U (en) Winding film handle
KR200166491Y1 (en) A fixing device for pallet packing
JPS6036423Y2 (en) Tube reversal lining device
US10968064B2 (en) Winding device for winding up a ribbon or web
CN218558398U (en) Information registration auxiliary device for epidemic situation prevention and control
KR101129626B1 (en) Winch and autonomous mobi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396040A1 (en) Fiber placement machine with composite tape film removal
KR10141511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lack of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