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592B1 -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592B1
KR102537592B1 KR1020180109796A KR20180109796A KR102537592B1 KR 102537592 B1 KR102537592 B1 KR 102537592B1 KR 1020180109796 A KR1020180109796 A KR 1020180109796A KR 20180109796 A KR20180109796 A KR 20180109796A KR 102537592 B1 KR102537592 B1 KR 10253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ffuser
lens
diffuser len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946A (ko
Inventor
이희세
김성필
박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92B1/ko
Priority to PCT/KR2019/011826 priority patent/WO2020055160A1/ko
Priority to US17/267,675 priority patent/US11496658B2/en
Priority to CN201980060286.3A priority patent/CN112740644B/zh
Priority to CN202310741989.0A priority patent/CN116866466A/zh
Priority to EP19859745.2A priority patent/EP3852347A4/en
Publication of KR2020003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46A/ko
Priority to US17/938,814 priority patent/US20230036930A1/en
Priority to KR1020230066549A priority patent/KR2023007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 및 상기 디퓨져 렌즈를 지지하는 디퓨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디퓨져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발광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Light emitting module and 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폰은 보안이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에는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수단이 채용되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비밀번호나 특정 모양의 패턴을 이용한 보안 수단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보안 수단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나아가, 홍채 인식을 이용한 보안 수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홍채는 지문보다 더 많고 복잡한 고유 패턴을 가지고 있어 지문보다 위조되기 어려워 보안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지문 인식은 지문의 표면을 센서면에 직접 접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갑을 착용하고 있거나 지문에 이물이 묻은 경우 인식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홍채 인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안면 인식도 홍채 인시과 마찬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다만, 홍채 인식과 안면 인식을 위해 카메라 외의 별도 장치를 탑재하는 것은 단가 인상 요인이고, 스마트폰의 경박단소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홍채 인식과 안면 인식을 위한 카메라모듈은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실시예는 스마트폰의 경박단소화에 맞게 낮은 어깨 높이를 갖는 발광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디퓨져 렌즈를 홀더의 하방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디퓨져 렌즈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발광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발광모듈에서 방출한 빛을 감지하는 수광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 및 상기 디퓨져 렌즈를 지지하는 디퓨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디퓨져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면은 상기 개구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하부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보다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결합 가이드를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걸림턱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부분과, 상기 개구와 상기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수직방향 중 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방향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홀더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의 일부는 상기 상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일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홀더 및 상기 디퓨져 링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가 배치되는 배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배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 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일부는 상기 상방향으로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렌즈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링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홀더와 상기 기판 사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홀더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의 외주는 4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배럴부는 상기 배럴부의 내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4개의 평면 각각에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평면은 2개씩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배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1홈에는 상기 쉴드 캔의 상기 상판을 상기 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은 수평방향 중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상기 홀더의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플랜지부의 외주와 연결되는 접착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접착제 수용부에는 상기 디퓨져 렌즈를 상기 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링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돌출부 각각과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돌출부는 수직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기판;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격벽의 일측에 배치되고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격벽의 타측에 배치되는 센서; 상기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 및 상기 디퓨져 렌즈를 지지하는 디퓨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디퓨져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광원의 파장 대역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 대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배럴 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럴은 상기 홀더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3홈은 상기 기판 사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제1개구와 제2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에는 제1방향으로 상기 디퓨져 렌즈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렌즈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에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홀더의 상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에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홀더의 하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모듈의 낮은 어깨 높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경박단소화에 부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퓨져 렌즈가 카메라모듈의 상방으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X-X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포장을 위한 캡과 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Y-Y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와 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홀더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디퓨져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통신장치,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모듈을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모듈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TOF(Time of Flight)모듈 또는 TOF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TOF카메라모듈 또는 TOF카메라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광학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TOF 3D 감지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안면 인식 및/또는 홍채 인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카메라모듈은 광학기기에 안면 인식 기능 및/또는 홍채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보안을 위한 생체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광학기기의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홀더(300)의 일부와 쉴드 캔(500)은 광학기기의 본체 내에 수용되고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410)의 일부와 렌즈(700)의 일부 등은 광학기기의 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기기의 본체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410)가 외측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홀더(300)의 하방(내측)에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방(내측)에서 홀더(300)에 삽입된 디퓨져 렌즈(410)가 홀더(300)의 상단의 걸림턱(돌출부)(330)에서 걸려 외측으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메라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X-X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포장을 위한 캡과 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Y-Y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렌즈와 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홀더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변형례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디퓨져 렌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변형례에 따른 디퓨져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모듈의 단면도이다.
카메라모듈은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100), 홀더(300) 및 쉴드 캔(500) 등의 구성은 일체로 형성되어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에 공용으로 사용되므로 발광모듈과 수광모듈로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위 구성들 각각이 발광모듈과 수광모듈 각각의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기판(100), 홀더(300) 및 쉴드 캔(500) 등의 공용 구성은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에 각각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모듈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모듈에서 방출된 빛은 발광모듈 전방(상방)에 배치된 피사체에 부딪혀 반사될 수 있다. 발광모듈은 기판(100), 광원(200), 홀더(300), 디퓨져 렌즈(410), 디퓨져 링(420) 및 쉴드 캔(5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수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모듈은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모듈은 발광모듈에서 방출되어 피사체에 부딪혀 반사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광모듈은 피사체의 깊이 정보(3D 정보) 및/또는 패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수광모듈은 기판(100), 센서(600), 필터(800), 홀더(300), 렌즈(700), 배럴(710) 및 쉴드 캔(50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FPCB(910)를 통해 커넥터(920)와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0)과 FPCB(910)는 RFPCB(Rigid Flexible PCB)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에는 광원(200)과 센서(6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은 홀더(3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0)은 단자(1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단자(110)는 쉴드 캔(500)의 결합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100)의 단자(11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의 단자(110)는 2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광원(2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0)은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00)은 기판(100)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광원(200)은 기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00)은 레이저광을 발광할 수 있다. 광원(200)은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00)은 기판(100)에 홀더(300)의 격벽(3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200)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200)은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200)은 적외선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0)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0)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0)에서 방출되는 빛은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하면서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방출될 수 있다. 광원(200)에서 방출되어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한 광의 단면의 형상은 센서(600)의 유효영역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다만, 광원(200)에서 방출되어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한 광의 단면의 크기가 센서(600)의 유효영역의 크기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클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홀더(30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기판(1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홀더(300)는 내부에 광원(200), 디퓨져 렌즈 모듈(400), 센서(600) 및 필터(800)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30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홀더(300)는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더(300)는 제1개구와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는 디퓨져 렌즈(410)가 배치되는 제1개구와, 렌즈(700)가 배치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의 제1개구에는 제1방향으로 디퓨져 렌즈(410)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홀더(300)의 제2개구에는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렌즈(7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의 제1개구에 홀더(300)의 하부에서 홀더(300)의 상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렌즈(700)는 홀더(300)의 제2개구에 홀더(300)의 상부에서 홀더(300)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홀더(300)는 디퓨져 렌즈(410)의 상단을 지지하는 걸림턱(330)과, 렌즈(70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의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홀더(300)의 바닥면의 반대편에는 필터(800)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렌즈(700)와 필터(800)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는 몸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기판(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디퓨져 렌즈 모듈(400)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렌즈(700)의 배럴(710)과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필터(800)와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측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2)은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312)은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2)은 4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312)은 제1측벽과, 제1측벽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측벽과, 제1측벽과 제2측벽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측벽과 제4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단차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313)는 측벽(312)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313)는 쉴드 캔(500)의 측판(520)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단차부(313)는 홀더(300)의 하면의 면적을 넓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300)와 기판(100)의 접촉면적(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면적)이 넓어져 홀더(300)가 기판(100)으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차부(313)와 쉴드 캔(500)의 측판(520)이 이격되지만, 변형례에서는 쉴드 캔(500)의 측판(520)이 단차부(313)에 안착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단턱(314)을 포함할 수 있다. 단턱(314)은 측벽(3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314)은 위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더(300)와 쉴드 캔(500)을 고정하는 접착제가 홀더(300)의 몸체부(310)의 상면에서 측벽(312)의 외면을 타고 내려와 단턱(314)의 바닥면까지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10)는 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15)는 홀더(30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315)는 홀더(300)의 내주면 중 디퓨져 링(420)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되어 디퓨져 링(420)을 지지할 수 있다. 돌기(315)는 디퓨져 링(420)의 외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기(315)는 디퓨져 링(420)이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돌기(315)는 디퓨져 링(420)을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몸체부(310)는 홈(316)를 포함할 수 있다. 홈(316)은 디퓨져 링(420)에 형성된 돌출부(4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홈(316)은 디퓨져 링(420)의 돌출부(42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300)는 배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부(320)에는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럴부(320)는 디퓨져 렌즈(410)를 수용할 수 잇다. 배럴부(320)는 몸체부(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의 어깨를 형성하는 홀더(300)의 몸체부(310)와 쉴드 캔(500)의 상판(510)이 배럴부(320)의 상단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광학 장치가 스마트폰과 같은 광학기기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배럴부(320)는 광학기기의 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배럴부(320)는 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21)는 배럴부(320)의 내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1)는 디퓨져 렌즈(410)의 4개의 평면(413)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돌기(321)는 배럴부(320)의 내주면 중 디퓨져 렌즈(410)의 4개의 평면(413)과 대응하는 4개의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돌기(321)는 배럴부(320)의 내주면의 4개의 면 각각에 2개씩 총 8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례로, 돌기(321)는 배럴부(320)의 내주면의 4개의 면 각각에 1개씩 총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321)의 외면은 디퓨져 렌즈(410)의 평면(413)에 면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321)의 외면도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배럴부(320)의 돌기(321)는 디퓨져 렌즈(410)가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배럴부(320)의 돌기(321)는 디퓨져 렌즈(410)를 정위치에 고정하 할 수 있다.
배럴부(320)는 단차(3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322)는 배럴부(3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322)를 통해 배럴부(320)의 상부는 폭이 더 좁아지므로 스마트폰 등 광학기기의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배럴부(320)는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홈(323)은 디퓨져 렌즈(410)의 돌출부(4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홈(323)은 디퓨져 렌즈(410)의 돌출부(41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홀더(300)는 걸림턱(33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는 디퓨져 렌즈(410)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디퓨져 렌즈(410)가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걸림턱(33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는 걸림턱(33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개구일 수 있다. 걸림턱(330)은 개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가 탈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배럴부(32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한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을 제공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와 개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300)는 걸림턱(330)의 내주에 의해 형성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의 홀의 수평방향으로의 크기는 디퓨져 렌즈(410)의 상단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300)의 걸림턱(330)은 디퓨져 렌즈(410)에 대해 걸림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300)의 하방에서 디퓨져 렌즈(41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디퓨져 렌즈(410)는 걸림턱(330)과 접촉되어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와 배럴부(3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홀더(300)는 격벽(34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40)은 홀더(300)와 기판(100) 사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격벽(340)은 홀더(300)와 기판(100) 사이의 공간을 광원(200)이 배치되는 제1공간과, 센서(600)가 배치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200)에서 방출된 빛이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센서(6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격벽(340)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측벽(312)을 연결할 수 있다.
홀더(300)는 제1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350)은 몸체부(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300)의 제1홈(350)에는 쉴드 캔(500)의 상판(510)을 홀더(300)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의 제1홈(350)은 접착제가 배치되는 접착제 수용홈일 수 있다. 제1홈(350)은 접착제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접착제가 제1홈(350)에 배치됨에 따라 쉴드 캔(50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쉴드 캔(500)이 탈거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홀더(300)의 제1홈(350)은 제1부분(351)과 제2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홀더(300)의 제1홈(350)은 수평방향 중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수평방향 중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제1부분(351)과, 제2방향으로의 길이가 제1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제2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x축 방향이고, 제2방향은 y축 방향일 수 있다. 즉, 홀더(300)의 제1홈(350)은 쉴드 캔(500)이 x축 방향으로 가압될 때 쉴드 캔(50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접착제가 수용되는 부분과, 쉴드 캔(500)이 y축 방향으로 가압될 때 쉴드 캔(50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접착제가 수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쉴드 캔(500)에 수평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쉴드 캔(500)이 홀더(300)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홈(350)은 제5홈(392)보다 깊은 깊이로 함몰될 수 있다.
홀더(300)는 제2홈(3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홈(360)은 디퓨져 링(420)의 링부(422)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홈(36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의 제2홈(360)은 디퓨져 링(420)의 링부(422)의 상면과 홀더(300) 사이에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더(300)의 제2홈(360)은 홀더(300)와 기판(100) 사이의 내부공간과 홀더(300)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300)의 제2홈(360)은 기판(100)과 홀더(300)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기판(100)과 홀더(300) 사이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가스(gas)가 배출되는 통로인 벤트 홀(vent hole)을 제공할 수 있다.
홀더(300)는 제3홈(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홈(370)은 필터(800)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홈(37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의 제3홈(370)은 필터(800)의 상면과 홀더(300) 사이에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홀더(300)의 제3홈(370)은 홀더(300)와 기판(100) 사이의 내부공간과 홀더(300)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300)의 제3홈(370)은 기판(100)과 홀더(300)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기판(100)과 홀더(300) 사이의 내부공간에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인 벤트 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300)와 기판(100) 사이의 공간이 격벽(340)에 의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되고, 제1공간의 가스는 홀더(300)의 제2홈(360)에 의해 배출되고 제2공간의 가스는 홀더(300)의 제3홈(370)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홀더(300)는 렌즈 결합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에는 렌즈(700)와 배럴(710)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는 배럴(710)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는 배럴(710) 또는 렌즈(700)의 하단이 접촉되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 결합부(380)의 내주면에는 배럴(710)의 나사산(711)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나사산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는 몸체부(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는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381)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380)의 홈(381)에는 배럴(710)과 홀더(300)를 접착하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홈(381)은 수평방향 상에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이 아닌 대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10)의 상면은 렌즈 결합부(380)의 나사산의 상단과 렌즈 결합부(380)의 나사산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의 상면 또는 쉴드 캔(500)의 상판(510)은 배럴(710)의 나사산(711)의 상단과 배럴(710)의 나사산(711)의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00)는 필터 결합부(385)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결합부(385)에는 필터(800)가 결합될 수 있다. 필터 결합부(385)는 필터(800)와 대응하는 크기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800)는 필터 결합부(385)의 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필터 결합부(385)는 필터(800)의 상면이 접촉되는 천정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결합부(385)의 천정면에는 제3홈(370)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300)는 제4홈(391)을 포함할 수 있다. 제4홈(391)은 홀더(300)의 측벽(3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4홈(391)은 쉴드 캔(500)의 결합부(530)를 회피하는 홈일 수 있다. 제4홈(391)은 홀더(300)의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4홈(391)에는 쉴드 캔(500)의 결합부(530)와, 결합부(530)와 기판(100)을 연결하는 솔더볼(5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홈(391)은 평면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300)는 제5홈(3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5홈(392)은 홀더(300)의 몸체부(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5홈(392)은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5홈(392)은 6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5홈(392)은 홀더(300)를 사출 성형하고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밀핀에 의해 발생되는 밀핀 홈일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디퓨져 렌즈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 모듈(400)은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 모듈(400)은 변형례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 성형시 성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으로 분리 제조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디퓨져 렌즈(4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광원(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광원(20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의 상단의 높이는 렌즈(700)의 상단의 높이와 대응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렌즈(700) 중 위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렌즈(701, 702, 703)와 대응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수직방향 중 상방향으로 삽입되어 홀더(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방향은 홀더(300)의 하부에서 홀더(300)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의 일부는 상방향으로 홀더(300)와 오버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져 렌즈(410)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홀더(300)와 디퓨져 링(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방향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디퓨져 렌즈(410)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홀더(300)의 걸림턱(330)과 디퓨져 링(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디퓨져 렌즈(410)의 일부는 수직방향으로 홀더(300) 및 디퓨져 링(420)과 오버랩될 수 있다. 한편,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의 하방에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퓨져 렌즈(410)는 홀더(300)에 걸려 상방으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디퓨져 링(420)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방으로 탈거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즉, 디퓨져 렌즈(410)는 상단은 홀더(300)에 접촉되고 하단은 디퓨져 링(42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접착제가 디퓨져 렌즈(410)를 홀더(300)에 고정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의 크기는 홀더(300)의 걸림턱(330)의 개구보다 클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의 상면은 홀더(300)의 걸림턱(330)의 개구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걸림턱(330)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부분과, 개구와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렌즈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411)는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부(411)를 통과한 광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플랜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렌즈부(411)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렌즈부(4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홀더(300)의 배럴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디퓨져 링(420)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디퓨져 링(4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플랜지부(412)는 접착제에 의해 홀더(300)의 배럴부(320)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평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413)은 가이드부로 호칭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복수의 평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4개의 평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평면(413)은 2개씩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평면(413)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평면(413)은 제1평면과, 제1평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2평면과, 제1평면과 제2평면 사이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평면과 제4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평면의 면적은 제3 및 제4평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및 제2평면의 수평방향의 길이는 제3 및 제4평면의 수평방향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평면 각각을 연장하는 가상의 평면들과 제3 및 제4평면 각각을 연장하는 가상의 평면들이 만나서 형성하는 모양의 단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평면이 배치되는 측에서 곡면의 길이가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들 사이의 길이 및/또는 면적이 다른 특징을 통해 홀더(300)에 디퓨져 렌즈(4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오삽이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414)는 제3 및 제4평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돌출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14)는 게이트 돌출부일 수 있다. 다만, 돌출부(414)는 게이트와는 무관한 돌기일 수 있다. 돌출부(414)는 디퓨져 렌즈(4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414)는 배럴부(320)의 홈(323)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14)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14)의 하면은 디퓨져 렌즈(410)의 하면과 동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4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415)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동일한 간격으로 디퓨져 렌즈(410)의 렌즈부(411)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플랜지부(412)와 인접한 부분의 마이크로 렌즈는 일부 상이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각각의 곡률은 마이크로 수치 범위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센서(600)의 유효센싱영역은 직사각형이고 디퓨져 렌즈(410)의 렌즈부(411)는 대략 정사각형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각각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곡률이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디퓨져 렌즈(410)를 통과한 광이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접착제 수용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외주와 연결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외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접착제 수용부(416)에는 디퓨져 렌즈(410)를 홀더(300)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에 도포된 접착제 중 일부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외주면과 배럴부(320)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수용부(416)는 4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접착제 수용부(416)는 돌기(417)와 비교하여 함몰된 구성으로 돌기(417)가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고 접착제 수용부(416)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하면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디퓨져 렌즈(410)는 돌기(417)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17)는 플랜지부(412)의 하면의 일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7)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기(417)는 사각형상 링, 원형상 링 또는 다각형상 링일 수 있다. 돌기(417)는 디퓨져 렌즈(410)의 하면에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7)는 디퓨져 렌즈(4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또는 디퓨져 렌즈(410)의 하면에 접착제 수용부(416)이 형성된 나머지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돌기(417)는 접착제 수용부(416)에 배치된 접착제가 렌즈부(411)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돌기(417)에도 접착제 중 소량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417)에 의해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7)는 플랜지부(412)의 외주면보다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디퓨져 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홀더(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홀더(30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디퓨져 렌즈(4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디퓨져 렌즈(410)를 지지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디퓨져 렌즈(410)와 접촉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지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21)는 디퓨져 렌즈(410)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421)는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21)의 상면은 디퓨져 렌즈(410)의 플랜지부(412)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421)의 적어도 일부는 홀더(300)의 배럴부(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21)의 일부는 홀더(300)의 몸체부(31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지부(421)의 수평방향의 크기는 링부(422)의 수평방향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변형례에서 디퓨져 링(420)은 지지부(421)의 상면에 형성되고 디퓨져 렌즈(410)의 돌기(417)와 결합되는 리세스(미도시)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의 리세스와 디퓨져 렌즈(410)의 돌기(417)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디퓨져 링(420)의 리세스의 깊이가 디퓨져 렌즈(410)의 돌기(417)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리세스의 깊이와 돌기(417)의 높이 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접착제가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링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링부(422)는 지지부(421)의 외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져 링(420)의 링부(422)의 수평방향으로의 크기는 배럴부(320)의 하단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배럴부(320)의 하단이 디퓨져 링(420)의 링부(422)의 상면에 대하여 걸림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링부(422)는 접착제에 의해 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다. 링부(422)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링부(422)의 평면은 돌기(315)와 면접촉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돌출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23)는 게이트 돌출부일 수 있다. 다만, 돌출부(423)는 게이트와는 무관한 돌기일 수 있다. 돌출부(423)는 디퓨져 링(420)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423)는 홀더(300)의 홈(316)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423)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23)는 링부(422)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423)는 링부(42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디퓨져 링(420)은 돌기(42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24)는 링부(42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424)는 홀더(300)의 상면 또는 천정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에서 돌기(424)는 홀더(300)의 상면 또는 천정면과 접촉하여 조립 기준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져 렌즈(410)의 돌출부(414)와 디퓨져 링(420)의 돌출부(414)는 수직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홀더(300)는 대응하는 홈(316, 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의 잘못된 방향으로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카메라모듈은 디퓨져 렌즈 모듈(400)을 대체하는 디퓨져 렌즈(400a)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의 디퓨져 렌즈(400a)는 본 실시예의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을 일체로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변형례의 디퓨져 렌즈(400a)의 일부의 형상은 본 실시예의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의 일부의 형상과 상이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렌즈부(410a)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의 렌즈부(410a)는 본 실시예의 렌즈부(411)에 대응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플랜지부(420a)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의 플랜지부(420a)는 본 실시예의 플랜지부(412)와 디퓨져 링(420)의 지지부(421)에 대응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링부(4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의 링부(430a)는 본 실시예의 링부(422)에 대응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돌기(44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40a)는 디퓨져 렌즈(400a)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게이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퓨져 렌즈(410)와 디퓨져 링(420) 각각에 사출 성형에서 발생되는 게이트 돌기가 형성되지만, 변형례에서는 하나의 게이트 돌기만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 렌즈(400a)는 돌기(45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50a)는 링부(430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420a)의 경사면의 각도는 배럴(710)의 경사면의 각도보다 가파를 수 있다. 돌기(450a)는 홀더(300)의 상면 또는 천정면과 접촉하여 조립 기준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변형례는 본 실시예와 비교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변형례와 비교하여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디퓨져 렌즈의 성형성이 더 좋은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x축 방향과 y축 방향에서 수축률이 거의 같은 장점을 갖는다.
카메라모듈은 쉴드 캔(shield can)(50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홀더(300)의 몸체부(310)를 커버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커버(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커버 캔(cover can)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비자성체일 수 있다. 쉴드 캔(5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기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솔더볼(540)을 통해 기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쉴드 캔(500)은 그라운드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쉴드 캔(500)은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장치의 내부에서 높은 전압이 이용됨에 따라 전자 방해 잡음이 커질 수 있는데 쉴드 캔(500)이 전자 방해 잡음을 차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상판(510)과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상판(510)과, 상판(510)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홀더(300) 위에 배치되는 상판(510)과, 상판(510)의 외주(outer periphery) 또는 에지(edge)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520)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상판(510)은 홀 또는 개구(opening)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상판(510)은 디퓨져 렌즈(410)에 대응하는 제1홀과, 렌즈(700)에 대응하는 제2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510)은 홀더(300)의 제1개구 측과 홀더(300)의 제2개구 측에서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측판(520)은 홀더(300)에 고정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측판(520)의 하단은 홀더(300)의 단차부(3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측판(520)의 하단은 홀더(300)의 단차부(313)와 이격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의 측판(520)의 내면은 홀더(3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쉴드 캔(500)은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30)는 접지단자일 수 있다. 쉴드 캔(500)은 측판(52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결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30)는 측판(520) 및 상판(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기판(100)과 솔더볼(5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530)의 하단은 쉴드 캔(500)의 측판(520)의 하단보다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측판(520)에 대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530)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30)는 2개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결합부(530)는 쉴드 캔(500)의 코너 측에 치우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00)는 기판(100)에 홀더(300)의 격벽(3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센서(600)는 홀더(300)의 격벽(340)을 기준으로 광원(2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00)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600)는 적외선 중 특정 파장의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600)는 필터(800)를 통과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600)는 광원(200)의 파장 대역의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200)으로부터 방출되어 피사체에 반사된 광을 센서(600)가 감지하여 피사체의 3D 이미지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600)의 유효센싱영역은 디퓨져 렌즈(410)와 대응하게 배치되지만 센서(600)는 전체적으로 격벽(340) 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00) 중 격벽(340) 쪽으로 치우친 부분에는 센서(600)의 회로 패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600)는 유효센싱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는 제1방향으로 길고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효센싱영역은 제2방향으로 길고 제1방향으로 짧은 직사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0)의 유효센싱영역은 장변과,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 렌즈의 곡률은 센서(600)의 유효센싱영역의 장변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은 곡률을 갖고, 센서(600)의 유효센싱영역의 단변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의 표면은 곡률이 작은 방향으로 가파르게 형성되고 곡률이 큰 방향으로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렌즈가 중심에서 돌출부(423)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은 곡률을 갖고, 돌출부(423)를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렌즈(7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700)는 배럴(7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렌즈(70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렌즈(700)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렌즈(700)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700)는 총 5매 또는 6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700)는 제1 내지 제5렌즈(701, 702, 703, 704, 70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배럴(710)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710)에는 나사산(711)이 형성될 수 있다. 배럴(710)은 홀더(3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배럴(710)은 배럴(7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71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710)은 배럴(7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단차(7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럴(710)은 배럴(7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714)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710)은 배럴(710)의 외주면에 나사산(711) 아래에 형성되는 곡면(715)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필터(8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800)는 렌즈(700)와 센서(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800)는 특정 파장 대의 광을 통과시키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일 수 있다. 필터(800)는 적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800)는 적외선 중 특정 파장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800)는 광원(200)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 대역의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800)는 가시광선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800)는 홀더(30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300)에는 필터(800)와 대응하는 크기의 홈이 형성되고, 필터(800)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 홀더(300)의 홈에는 필터(800)와 홀더(300)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접착제 주입홈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필터(800)는 디퓨져 링(42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FPCB(910)를 포함할 수 있다. FPCB(910)는 기판(100)과 커넥터(920)를 연결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커넥터(9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20)는 광학 장치 외부의 구성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변형례에 기재된 접착제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납품되기 위해 포장될 수 있다. 즉, 광학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부재(보호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부재인 캡(940)과 테이프(930)는 광학기기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캡(940)을 포함할 수 있다. 캡(940)은 홀더(300)와 쉴드 캔(500)을 비롯한 디퓨져 렌즈(410)와 렌즈(700) 등의 구성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출 형성된 배럴부(320) 등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은 테이프(93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930)는 캡(9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930)는 캡(940)의 홀을 통해 이물이 광학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홀더(300)에 디퓨저 렌즈(410) 및 렌즈(700)가 결합된 배럴(710)이 결합된다. 이후, 쉴드 캔(500)이 홀더(30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이후, 디퓨저 렌즈(410)와 홀더(30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후, 디퓨저 링(420)이 홀더(300)에 삽입되고 디퓨저 링(420)과 홀더(30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이후, 필터(800)가 홀더(300)에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통해, 하우징 어셈블리를 완성한다.
한편, 기판(100), FPCB(910) 및 커넥터(920)가 일체로 RFPCB 상태로 준비된다. 이후, 광원(200)인 VCSEL이 기판(100)의 상면에 접착된다. 이후, 광원(200)과 이격되어 기판(100)의 상면에 센서(600)가 결합된다. 이후, 기판(100)과 센서(600) 사이에 와이어 본딩이 수행된다. 이후, 위에서 조립된 하우징 어셈블리를 기판(100)의 상면에 마운트한다. 이후, 쉴드 캔(500)의 결합부(530)와 기판(100)에 오토 솔더링(auto soldering)을 수행한다. 이후, 렌즈(700)를 나사산에 따라 회전하며 초점을 맞춘다(auto focusing). 이후, 초점이 맞으면 렌즈(700)와 홀더(30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후, Tx Tester를 통해 광원(200)의 설정을 조절한다. 이후, 발광모듈과 수광모듈을 함께 작동하여 캘리브레이션하고 설정을 조절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5)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레이저광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 및
    상기 디퓨져 렌즈를 지지하는 디퓨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디퓨져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링형상을 갖는 발광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면은 상기 개구의 크기보다 큰 발광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턱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하부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링부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갭이 형성되는 발광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주면보다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발광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결합 가이드를 위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의 상기 홈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걸림턱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부분과, 상기 개구와 상기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발광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발광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은 서로 분리되는 발광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수직방향 중 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발광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향은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홀더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인 발광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의 일부는 상기 상방향으로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발광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일부는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기 홀더 및 상기 디퓨져 링과 오버랩되는 발광모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가 배치되는 배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배럴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 위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일부는 상기 상방향으로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과 오버랩되는 발광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링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럴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렌즈 아래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2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링부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홀더와 상기 기판 사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발광모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제2홈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홀더의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통로인 발광모듈.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의 외주는 4개의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배럴부는 상기 배럴부의 내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4개의 평면 각각에 접촉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평면은 2개씩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발광모듈.
  26. 제1항에 있어서,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쉴드 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배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1홈에는 상기 쉴드 캔의 상기 상판을 상기 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은 수평방향 중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수평방향 중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발광모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상기 홀더의 상기 몸체부를 커버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모듈.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플랜지부의 외주와 연결되는 접착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접착제 수용부에는 상기 디퓨져 렌즈를 상기 홀더에 고정하는 접착제가 배치되는 발광모듈.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와 상기 디퓨져 링은 일체로 형성되는 발광모듈.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링은 상기 디퓨져 링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돌출부 각각과 대응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디퓨져 링의 상기 돌출부는 수직방향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발광모듈.
  31. 기판;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격벽의 일측에 배치되고 레이저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격벽의 타측에 배치되는 센서;
    상기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센서 상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디퓨져 렌즈; 및
    상기 디퓨져 렌즈를 지지하는 디퓨져 링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디퓨져 렌즈 상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기 디퓨져 렌즈가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에 배치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링형상을 갖는 카메라모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광원의 파장 대역의 빛을 감지하는 카메라모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이 방출하는 빛의 파장 대역의 빛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배럴 내에 고정되고, 상기 배럴은 상기 홀더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필터의 상면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3홈은 상기 기판 사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카메라모듈.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제1개구와 제2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에는 제1방향으로 상기 디퓨져 렌즈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상기 렌즈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카메라모듈.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렌즈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1개구에 상기 홀더의 하부에서 상기 홀더의 상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렌즈는 상기 홀더의 상기 제2개구에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홀더의 하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홀더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디퓨져 렌즈의 상단에 걸리는 카메라모듈.
KR1020180109796A 2018-09-13 2018-09-1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KR10253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96A KR102537592B1 (ko) 2018-09-13 2018-09-1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PCT/KR2019/011826 WO2020055160A1 (ko) 2018-09-13 2019-09-11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US17/267,675 US11496658B2 (en) 2018-09-13 2019-09-11 Light-emitting module and camera module
CN201980060286.3A CN112740644B (zh) 2018-09-13 2019-09-11 发光模块及相机模块
CN202310741989.0A CN116866466A (zh) 2018-09-13 2019-09-11 发光模块及相机模块
EP19859745.2A EP3852347A4 (en) 2018-09-13 2019-09-11 ELECTROLUMINESCENT MODULE AND CAMERA MODULE
US17/938,814 US20230036930A1 (en) 2018-09-13 2022-10-07 Light-emitting module and camera module
KR1020230066549A KR20230079326A (ko) 2018-09-13 2023-05-2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96A KR102537592B1 (ko) 2018-09-13 2018-09-1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549A Division KR20230079326A (ko) 2018-09-13 2023-05-2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46A KR20200030946A (ko) 2020-03-23
KR102537592B1 true KR102537592B1 (ko) 2023-05-26

Family

ID=69778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796A KR102537592B1 (ko) 2018-09-13 2018-09-1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KR1020230066549A KR20230079326A (ko) 2018-09-13 2023-05-2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549A KR20230079326A (ko) 2018-09-13 2023-05-23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96658B2 (ko)
EP (1) EP3852347A4 (ko)
KR (2) KR102537592B1 (ko)
CN (2) CN112740644B (ko)
WO (1) WO2020055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70A1 (ko) * 2020-12-04 2022-06-09 (주)딥인사이트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가지는 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6921B1 (ko) * 2020-12-04 2022-06-10 (주)딥인사이트 모놀리식 아키텍처를 가지는 광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2602B1 (ko) * 2021-07-12 2024-01-11 주식회사 나무가 멀티 채널을 가지는 라이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거리측정 방법
KR20230034100A (ko) * 2021-09-02 2023-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4355A1 (en) * 2014-12-22 2017-12-28 Google Inc. Integrated Camera System Having Two Dimensional Image Capture and Three Dimensional Time-of-Flight Capture With A Partitioned Field of View
CN207382424U (zh) * 2017-11-01 2018-05-18 浙江舜宇智能光学技术有限公司 Tof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1722A1 (en) * 2005-08-22 2007-02-22 Fong Gary M Light diffuser
US8089694B2 (en) * 2007-08-24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device stabilizer
JP4518178B2 (ja) * 2008-04-15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アレイシート、光学部材、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JP4741017B2 (ja) * 2008-09-22 2011-08-0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10106148A (ko) * 2010-03-22 2011-09-28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발광 램프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148350B1 (ko) * 2010-06-15 2012-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레이져 네비게이션 모듈
KR102086077B1 (ko) 2013-10-11 2020-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519013B1 (ko) * 2013-11-19 2015-05-12 한국기계연구원 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발광 유닛 및 발광 유닛의 확산 부재 제조 방법
KR102246882B1 (ko) * 2014-01-28 2021-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70139982A (ko) 2016-06-10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142754A (ko) 2016-06-20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12680B2 (en) * 2019-05-08 2021-09-07 Chicony Electronics Co., Ltd. Camera and light adjustment module
CN110426807B (zh) * 2019-06-28 2021-09-21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74355A1 (en) * 2014-12-22 2017-12-28 Google Inc. Integrated Camera System Having Two Dimensional Image Capture and Three Dimensional Time-of-Flight Capture With A Partitioned Field of View
CN207382424U (zh) * 2017-11-01 2018-05-18 浙江舜宇智能光学技术有限公司 Tof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0408A1 (en) 2021-05-27
EP3852347A4 (en) 2021-10-13
CN116866466A (zh) 2023-10-10
EP3852347A1 (en) 2021-07-21
KR20230079326A (ko) 2023-06-07
US20230036930A1 (en) 2023-02-02
KR20200030946A (ko) 2020-03-23
US11496658B2 (en) 2022-11-08
WO2020055160A1 (ko) 2020-03-19
CN112740644B (zh) 2023-07-07
CN112740644A (zh)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7592B1 (ko) 발광모듈 및 카메라모듈
TWI584452B (zh) 可回焊之光電模組
US11073636B2 (en) Optical detection assembly
US10529759B2 (en) Optical sensor packag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399156B (zh) 激光投射器、图像获取装置和电子设备
WO2020052289A1 (zh) 深度获取模组及电子装置
CN108924295B (zh) 光电模组、深度相机和终端
US11156796B2 (en) Optical sensor package module
US11942462B2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lateral detection
US8727641B2 (en) Optical connector
KR102114708B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2114699B1 (ko) 광학센서 패키지
KR101962236B1 (ko) 광학센서 패키지
US20050099659A1 (en) Image sensor module
KR20190042167A (ko) 광커넥터 패키지
CN219959007U (zh) 光学感测装置
US20050117046A1 (en) Image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87627B1 (ko) 발광 패키지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JP2001135859A (ja) 電子部品の電磁シールド用キャップおよび赤外線データ通信モジュール
KR20190042166A (ko) 광커넥터
KR20180040816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190036056A (ko) 발광 패키지
KR2014002354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