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584B1 -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584B1
KR102537584B1 KR1020170058692A KR20170058692A KR102537584B1 KR 102537584 B1 KR102537584 B1 KR 102537584B1 KR 1020170058692 A KR1020170058692 A KR 1020170058692A KR 20170058692 A KR20170058692 A KR 20170058692A KR 102537584 B1 KR102537584 B1 KR 10253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fixing part
fixing
module
pant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354A (ko
Inventor
김동욱
권선덕
윤병수
이동훈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66Trouser-stretchers with creasing or expan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수납공간(120)이 구비된 캐비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지 일측이 고정되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를 제공하며, 이와 함께 상단 바지 고정부(910)를 더 포함하는 바지 고정 모듈을 제공하며, 이러한 바지 고정 모듈이 복수개 포함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A module for fixing pants and a multi-functional storag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부에 의류, 이불, 각종 생활 용품 등을 수납하는 일종의 캐비닛(cabinet)인 옷장, 수납장 또는 의류관리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물품을 직접 사용하는 동안 그 물품에 묻은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나 악취물질 등을 제거하고 주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팀이 사용된다.
캐비닛 내부에서 스팀이 의류 등의 물품에 직접 분사되면, 스팀의 물 분자가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을 머금고 함께 증발함으로써,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이 제거되며 동시에 주름이 개선되는 원리가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팀(steam)"은 약 100도씨 정도의 고온의 물을 고압 노즐 등을 통해 기체 형태로 분사되는 것으로서, 상온에 분사되면 희뿌연 연기와 같이 가시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스팀을 사용할 경우 의류 등에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민감한 재질의 의류에 고온의 스팀 또는 고온/고압의 스팀이 직접 분사되는 경우 해당 재질에 손상이 오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른 예를 들어, 스팀에 의하여 생성되는 물 분자가 상온에 분사된 후 응축되면 물방울이 되는데,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의류에 물방울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며,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역시 민감한 재질의 의류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장난감, 또는 의류의 플라스틱 부분 등에 스팀이 직접 분사될 경우 환경 호르몬이 생성되는 우려가 있다.
더욱이, 스팀 사용만으로는 바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208호는, 바지 주름 개선에 특화된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는, 도어에 배치되는 바지 전용 주름 제거 모듈이 구비되는데, 스팀을 공급받고 탄성력을 갖는 1개의 판이 구비되어, 바지를 지지하면서 바지를 가압하여 주름을 개선하는 방식(일명, 프레스 방식)을 채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바지를 모듈에 잘못 장착한 경우 잘못된 주름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가압된 상태에서 스팀을 거의 직분사 시키기에 전술한 의류 손상의 우려가 높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1208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608654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83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서, 전술한 잘못된 바지 주름선이 설정되지 않도록, 우수하고 효과적인 바지 주름 개선이 가능한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스팀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의류 등의 손상, 환경 호르몬 발생 등을 억제하고자 함은 물론이며, 스팀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문제점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측에 수납공간(120)이 구비된 캐비닛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바지 일측이 고정되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하단에는 장방형 홈(921)이 위치하고,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는 돌출부(922)가 고정되게 위치하여, 상기 장방형 홈(921)에 상기 돌출부(9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한 후 고정될 수 있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하단 바지 고정부(920)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상단 바지 고정부(910)를 포함하는, 바지 고정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단 바지 고정부(910) 및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 바지 고정부(910)의 하부 및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상부에는 각각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임부는, 피스톤/래치 구조이거나, 또는 집게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지 고정 모듈을 복수개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송풍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300)는 온풍 또는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생성된 온풍 또는 바람을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하는 토출구(302)를 포함하고, 상기 바지 고정 모듈에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토출구(302)에서 온풍 또는 바람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상기 수납공간(120) 하측에 위치하는 기계실(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가습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하는 가습공기 토출구(2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지 고정 모듈에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가습공기 토출구(201)에서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의류 내부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 제거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은 물론이며, 바지를 잘못 거치시킬 우려가 거의 없어서, 잘못된 주름선이 잡히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스팀을 사용하지 않기에, 의류 등의 손상, 환경 호르몬 발생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스팀을 사용하더라도 이러한 문제점 발생을 최대한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지 고정 모듈 중 하단 바지 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지 고정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설명한다.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의류 등이 보관되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제거되고 주름이 개선되는 수납공간(120)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한다.
캐비닛의 상측 또는 후면에 송풍부(300)가 구비되며, 송풍부는 송풍팬과 히터를 포함한다. 토출구(302)를 통하여 송풍부(300)에서 수납공간(120)으로 온풍 또는 냉풍(즉, 바람)이 전달된다.
캐비닛의 하측에는 기계실(200)이 위치한다. 기계실에는 가습 유닛이 구비되어 가습 공기를 수납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가습공기 토출구(201)를 통하여 가습공기가 수납공간으로 전달된다. 가습필터를 사용하여 자연가습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초음파 모듈을 사용하여 초음파가습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다.
수납공간(120)에는 의류가 걸린 일반적인 옷걸이를 거치시키기 위한 행거가 구비될 수 있고, 기타 물품을 거치하기 위한 선반이 구비될 수도 있다. 행거에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전용으로 제작된 옷걸이가 걸릴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바지 고정 모듈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바,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도시된 도 2를 더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캐비닛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상단 바지 고정부(910)와 하단 바지 고정부(920)로 이루어진 바지 고정 모듈이 한 개 이상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도어(110)를 중심으로 반대편 내측면에 바지 고정 모듈이 구비되나, 도어(110)를 비롯하여 다른 좌우 내측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지 고정 모듈에는 토출구(302) 및 가습공기 토출구(201)로부터 온풍/바람과 가습공기가 토출되어야 한다는 점, 다른 좌우 내측면에는 행거가 구비되어 있어서 설치 면적이 적다는 점, 도어(110) 자체가 예를 들어 하프 미러 글라스(half mirror glass)로 이루어진 경우 도어(110) 내측면에 구비시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0)의 후방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 바지 고정부(910) 및 하단 바지 고정부(920) 중 어느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서로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바지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인장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주름을 개선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프레스 방식과 비교하여 자연스러운 주름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바지를 거치하던 주름선이 잘못 잡히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서 효과적이다.
또한, 프레스 방식의 경우 프레스된 내측 의류에 스팀 등을 공급하여야 하는 별도의 구조를 채택하여야 하나, 본 발명가 같이 인장력을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한 경우 바지 대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으로 드러나므로 수납공간(120)에 제공되는 가습공기와 온풍/바람을 그대로 이용하여 추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서 효과적이다.
여기에, 스팀 그 자체를 사용하지도 않으므로, 의류 손상 문제 내지 환경 호르몬 발생 문제도 원천적으로 해결된다.
물론, 스팀을 사용하더라도, 스팀이 의류에 직분사되지 않기에 이러한 문제점이 최소화된다.
도 1에서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이동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상단 바지 고정부(910)가 이동 가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사용자는 바지 상부를 먼저 고정한 후 바지 하부를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이러한 방식이 조금 더 편리하다.
도 1에서 하단 바지 고정부(920)는 상단 바지 고정부(91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인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데, 어떠한 원리를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하단에는 장방형 홈(921)이 위치하고,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위치하는 캐비닛의 내측면에는 돌출부(922)가 고정되게 위치하여, 장방형 홈(921)에 돌출부(922)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방식을 채택한다.
또한, 하단 바지 고정부(920)에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한 후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바지를 고정한 후 하단 바지 고정부(920)를 잡아 당겨서 인장력을 가하는데, 이후 스토퍼(미도시)를 작동시켜 하단 바지 고정부(920)를 고정하는 것이다. 스토퍼(미도시)는 스프링과 기어를 이용한 일반적 스토퍼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그 외의 다른 어떠한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단 바지 고정부(910)의 하부 및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상부에는 각각 바지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부(미도시)가 위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조임부는, 볼펜과 같은 피스톤/래치 구조로 이루어져서 눌러서 조이고 다시 한 번 더 눌러서 풀리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또는 힌지와 스프링을 이용한 일반적인 집게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바지 고정 모듈에 구비된 캐비닛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토출구(302)에서 온풍 또는 바람이 토출되고 가습공기 토출구(201)에서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지 집중 케어 모드"를 선택한 경우, 토출구(302) 및 가습공기 토출구(201)가 캐비닛의 후방 내측면을 향하도록 작동하여, 바지에 직접 가습공기와 온풍을 토출하게 하면 보다 효과적인 바지 주름 개선이 가능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도어
120: 수납공간
200: 기계실
201: 가습공기 토출구
300: 송풍부
302: 토출구
910: 상단 바지 고정부
920: 하단 바지 고정부
921: 장방형 홈
922: 돌출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측에 수납공간(120)이 구비된 캐비닛에 구비되고, 바지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갖는 상단 바지 고정부(910);
    상기 상단 바지 고정부(91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바지의 타측을 고정시키는 조임부를 갖는 하단 바지 고정부(920); 및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한 후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의 하단에는 장방형 홈(921)이 위치하고,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에는 돌출부(922)가 고정되게 위치하여, 상기 장방형 홈(921)에 상기 돌출부(9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바지 고정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바지 고정부(910)는 상기 하단 바지 고정부(920)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바지 고정 모듈.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는, 피스톤/래치 구조이거나, 또는 집게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지 고정 모듈.
  8. 제 7 항에 따른 바지 고정 모듈을 복수개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송풍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300)는
    온풍 또는 바람을 생성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생성된 온풍 또는 바람을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하는 토출구(302)를 포함하고,
    상기 바지 고정 모듈에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토출구(302)에서 온풍 또는 바람이 토출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상기 수납공간(120) 하측에 위치하는 기계실(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실은 가습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하는 가습공기 토출구(2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지 고정 모듈에 구비된 상기 캐비닛의 내측면을 향하여, 상기 가습공기 토출구(201)에서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0170058692A 2017-05-11 2017-05-11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3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92A KR102537584B1 (ko) 2017-05-11 2017-05-11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92A KR102537584B1 (ko) 2017-05-11 2017-05-11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54A KR20180124354A (ko) 2018-11-21
KR102537584B1 true KR102537584B1 (ko) 2023-05-26

Family

ID=6460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692A KR102537584B1 (ko) 2017-05-11 2017-05-11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0428A (zh) * 2018-12-09 2019-03-08 麻春景 一种自动熨烫衣服衣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005B1 (ko) 1996-06-26 2004-11-03 훨풀 코포레이션 의복처리장치
KR100751912B1 (ko) 2006-03-17 2007-08-23 한경희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13A (ko) * 1999-10-07 2001-05-07 김병덕 의류 청결 보관장치
KR20080113757A (ko) * 2007-06-26 2008-12-31 황보의 옷걸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005B1 (ko) 1996-06-26 2004-11-03 훨풀 코포레이션 의복처리장치
KR100751912B1 (ko) 2006-03-17 2007-08-23 한경희 행거 및 이를 채택한 스팀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54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5888B2 (en) System for fitting a container to a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KR20030031970A (ko) 초음파 분무기로 직물을 클리닝하고 리프레싱하기 위한장치 및 초음파 분무기
WO2009064143A3 (en) Fabric treating machine
TW200706721A (en) Highly resilient, dimensionally recoverable nonwoven material
US20150289729A1 (en) Towel rack
AR011424A1 (es) Proceso que comprende los pasos de lavar o humedecer telas utilizando un medio acuoso y proceso de secado en un aparato mecanico
KR102537584B1 (ko) 인장식 바지 고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1944406B1 (ko) 의류 처리 장치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20130017029A (ko) 의류의 주름 개선을 위한 의류 처리 장치
KR101312030B1 (ko) 의류 관리기 조립체
PL1726711T3 (pl) Urządzenie przechowujące do przechowywania wilgotnego artykułu w bębnie suszącym i bęben suszarki
CN104727123A (zh) 一种带有夜光粘毛滚筒的手持挂烫机
KR20130018519A (ko) 티셔츠 옷걸이
KR102537582B1 (ko) 가변 행거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JPH10298A (ja) 衣類仕上げ装置
KR102583087B1 (ko) 에어샷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372061Y1 (ko) 구김방지용 옷받침대
CN114302989B (zh) 衣物处理设备
CN209862818U (zh) 防火衣柜衣套
KR20210019866A (ko) 의류처리장치
KR100948183B1 (ko)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한 거울건조장치
KR200304898Y1 (ko) 건조대 걸이
KR20230123673A (ko) 다림판
TWM594413U (zh) 改良式曬衣架
CN203546470U (zh) 一种挂烫机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