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31B1 -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31B1
KR102537431B1 KR1020210016181A KR20210016181A KR102537431B1 KR 102537431 B1 KR102537431 B1 KR 102537431B1 KR 1020210016181 A KR1020210016181 A KR 1020210016181A KR 20210016181 A KR20210016181 A KR 20210016181A KR 102537431 B1 KR102537431 B1 KR 10253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lowing
sirocco fan
chemical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526A (ko
Inventor
장재욱
육군호
Original Assignee
장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욱 filed Critical 장재욱
Priority to KR102021001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5Fan or ventilator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협폭의 주행공간을 따라 자가 주행하여 이동하면서, 약제탱크 내에 저수된 약액을 작물에 미립되게 살포하는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Walking type medicine jetting device having electric spray structure}
본 발명은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협폭의 주행공간을 따라 자가 주행하여 이동하면서, 약제탱크 내에 저수된 약액을 작물에 미립되게 살포하는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농작물을 경작하기 위해서는 작물에 유해한 해충이나 병충(병원균) 등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액 분무가 요구되며, 특히, 과수원과 같이 다년생 과실수(사과, 배, 복숭아, 포도 등)를 경작하는 경우에는 병충해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실수는, 병충해에 감염되면 재생이 어렵고 수명이 단축되며 과실수확량과 직결되어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바, 적절한 시기에 예상되는 병충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방제작업이 요구된다.
과수원에서 과실수의 병충해 예방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방제작업은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방제액이 분사장치를 통해 고압상태로 분사되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사장치를 작업자가 직접 들고 다니는 수작업에 방제액의 살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해 방제를 위한 약액 살포작업 과정에서는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이 요구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특히 살포되는 유독성의 약액에 작업자가 무방비 하게 노출된 상태이므로, 호흡기를 통해 유독성의 약액이 몸안으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방제작업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 방제를 위한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주행하는 주행차체의 후방에, 엔진의 동력을 제공받아 약액탱크에 저수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무장치가 설치된 부위에는 프로펠러 형태의 송풍휀이 장착되어 약액이 분무되는 과정에서 풍력을 부여한다.
이때, 상기 엔진기관은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내연기관이고, 또 상기 송풍휀은 클러치 방식에 의해 작동을 위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송풍휀은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기어부로 연결되어 회전을 위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바 기어부는 클러치에 의해 회전을 위한 연결이 이루어지거나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송풍휀은 기어부에 의해 엔진과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기어부의 연결은 클러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클러치의 작동은 차체의 운전석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작동레바에 의한 수동방식에 의해 작동되어 송풍휀의 작동을 조절한다.
그런데, 상기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는 화석연료를 연소하므로 운행과정 중에 다량의 매연이 환경에 바람직할 뿐 아니라, 작업자가 매연과 진동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작업자의 건강에도 좋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는 식물의 잎에 부착되면 잎의 기공을 막고 광합성을 저해하여 작물의 생육을 지연하고, 또 포도밭의 비가림막에 쌓이면 빛 투광률을 저하하므로 작물의 생육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주행용 엔진과 송풍팬의 엔진을 각각 구비하고 또 미션과, 기어부와, 그리고 클러치를 포함하는 복잡한 동력 전달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관계로, 장치의 부피가 비대해져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주행폭이 좁은공간을 주행하면서 약제를 분사하는 용도로의 개발이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따라서, 포도 재배의 경우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로는 주행 및 방제가 어려워, 현재 작업자가 호스를 끌고 다니며 방제를 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방제 시 노동 강도가 심해 농가의 고령화, 여성화 추세에 대비 방제 및 수확 부분이 제일 어려운 부분 중의 하나이다.
(특허 문헌 1) KR 10-1918541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주행폭이 좁은 공간을 주행하면서 약제탱크 내에 저수된 약액을 작물에 미립되게 살포함에 있어, 협폭의 주행로가 형성된 재배공간을 따라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주행 및 약액의 살포시 매연과 진동의 생성 및 개량된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는,
재배공간에 형성된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차체부와; 상기 주행 차체부에 탑재되어 저수된 약액을 재배공간 내에 분사하는 약액 분사부; 및 상기 주행 차체부와 약액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 분사부는, 상기 차체의 상부에 적층하여 배치되며 살포를 요하는 약액이 저수되는 약액탱크와;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들이 형성된 약액 분사관과;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약액탱크에 저수된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 분사관에 형성된 분사노즐들에 약액을 공급하는 전동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전동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에 의해 기동하여 환형 방사구조로 배치된 약액 분사관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송풍 확산하는 전동형 송풍 확산부와, 상기 송풍 확산부를 통해 토출되는 외부공기를 분산하여 토출하는 송풍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형 송풍 확산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부공기를 강제 흡기하고 흡기된 외부공기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시로코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가이드는, 하부에 시로코팬의 하측부를 전체적으로 차폐구조로 커버하는 송풍 차폐가드가 배치되고, 외측부와 상측부에는 복수의 격편들에 의해 구획된 송풍구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어서, 상기 시로코팬은 송풍 가이드 내에 원심 송풍구조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가이드 내에 배치된 시로코팬의 외측에는, 송풍 차폐가드에 의해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체적이 좁아지는 편심형의 흡배기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 가이드 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시로코팬에서 배출되는 외부 공기량은 넓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일측영역에서 좁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배기 공간부의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점차 길이가 긴 격편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격편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구들의 입구와 시로코팬 사이의 이격간격이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협폭의 주행차체에 의해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주행폭이 좁은 공간을 주행하면서 약제탱크 내에 저수된 약액을 작물에 미립되게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행 차체부와 약액 분사부, 및 송풍 확산부가 전동형으로 구성되어, 주행 및 약액의 살포시 매연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진동과 소음이 내연기관에 대비하여 발생이 적으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로코팬으로 이루어진 송풍 확산부를 배치하여 시로코팬을 통해 외부공기를 분사노즐에 분산하여 토출하여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약액이 외부공기에 의해 송풍 확산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시로코팬의 송풍 특성을 고려한 송풍 차폐가드와 송풍구들이 형성된 송풍 가이드를 제한하여, 상기 송풍 가이드를 통해 외부공기를 균일하게 분산하여 토출함으로써, 각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된 약액은 작물이 재배된 재배공간에 균일하게 살포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를 구성하는 송풍 확산부와, 송풍 가이드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 송풍 가이드에 형성된 격편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 송풍 가이드에 형성된 안전망의 스크래핑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를 구성하는 송풍 확산부와, 송풍 가이드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 송풍 가이드에 형성된 격편의 틸팅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 송풍 가이드에 형성된 안전망의 스크래핑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1)는, 포도밭이나 비닐 하우스, 감귤 밭 등 주행폭이 좁은 협폭의 주행공간을 따라 자가 주행하면서, 저수하여 적재된 약액을 작물에 미립되게 살포하는 전용장치이다.
상기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재배공간에 형성된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차체부(10)와, 상기 주행 차체부(10)에 탑재되어 저수된 약액을 재배공간 내에 분사하는 약액 분사부(20), 및 상기 주행 차체부(10)와 약액 분사부(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 차체부(10)는, 주행륜(14)이 형성된 차체(11)와; 상기 차체(11)에 탑재되며 기동전류가 축전된 배터리(12)와; 상기 배터리(12)에 축전된 전류를 인가받아 정역으로 구성하여 주행륜(14)에 정역 회전력을 제공하는 주행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전동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약액 분사부(20)는 상기 차체(11)의 상부에 적층하여 배치되며 살포를 요하는 약액이 저수되는 약액탱크(21)와;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22a)들이 형성된 약액 분사관(22)과; 상기 배터리(12)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약액탱크(21)에 저수된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 분사관(22)에 형성된 분사노즐(22a)들에 약액을 공급하는 전동 급수펌프(23)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벨로우즈 펌프로 이루어진 전동 급수펌프(23)로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12)에 축전된 기동전류에 의해 기동하여 환형 방사구조로 배치된 약액 분사관(22)의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입자를 송풍 확산하는 송풍 확산부(40)를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체(11)의 중앙부에는 배터리(12)와, 약액탱크(21)를 배치하여 차체(11)의 주행 차체부(10)의 무게 중심을 정렬하여 주행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11)의 전방에는 핸들(15)과 콘트롤러부(30)를 배치하고 차체(11)의 후방에는 송풍 확산부(40)와 분사노즐(22a)들이 형성된 약액 분사관(22)을 배치하여서, 핸들(15)에 근접되게 위치한 작업자가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된 약액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콘트롤러부(30)를 조작하여 주행 차체부(10)를 재배공간 내에 형성된 협폭의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약액 분사부(20)를 구성하는 약액 분사관(22)의 분사노즐(22a)들을 통해 약액을 분무하고, 이때 상기 송풍 확산부(40)는 분무되는 약액을 송풍을 통해 살포를 요하는 재배공간으로 균일하게 확산 및 작물에 살포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확산부(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풍모터(41)와, 상기 송풍모터(4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부공기를 강제 흡기하고 흡기된 외부공기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시로코팬(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로코팬(42)의 외측에는 복수의 분사노즐(22a)들이 형성된 약액 분사관(22)을 좌우 대칭되게 배치하고 상기 각 약액 분사관(22)에는 개폐밸브(22b)를 형성하여서, 작업자는 개폐밸브(22b)를 통해 약액 분사관(22)을 통해 급수되는 약액의 급수여부를 설정하여서 약액 분사영역을 조절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일측영역(A영역)에서 타측영역(D영역)으로 정방향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은, 흡기구(42a)를 통해 외부공기를 흡기한 다음 외측에 흡기된 외부공기를 토출한다.
따라서,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에 의해 외측으로 토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각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된 약액은 재배공간에 송풍 확산하여 살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 확산부(40)를 구성하는 시로코팬(42)의 송풍 특성을 고려한 시로코팬(42) 전용의 송풍 가이드(50)를 시로코팬(42)의 외측에 배치하여서, 상기 시로코팬(42)을 통해 다량의 외부공기를 흡기 및 토출하고, 또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을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가 분사노즐(22a)이 배치된 외측으로 균일하게 분산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 가이드(50)는 하부에는 시로코팬(42)의 하측부를 전체적으로 차폐구조로 커버하는 송풍 차폐가드(56)가 배치되고, 외측부와 상측부에는 복수의 격편(51)들에 의해 구획된 송풍구(52)들이 방사구조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되어서, 원심 송풍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 가이드(50) 내에는 하부는 송풍 차폐가드(56)에 의해 차폐구조로 커버되고 양측부와 상측부는 송풍구(52)들을 통해 통기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 가이드(50) 내에는 송풍모터(41)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일측에서 타측으로 정방향 회전하여 흡기된 외부공기를 각 송풍구(52)로 토출하는 시로코팬(42)이 배치되고, 상기 송풍구(52)들이 형성된 송풍 가이드(50)의 양측부과 상측부에는 약액을 분사하는 약액 분사관(22)의 분사노즐(22a)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 가이드(50) 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을 통해 흡입 및 배출되는 외부공기는, 송풍 가이드(50)의 양측부와 상측부에 형성된 각 송풍구(52)를 통해 분산 토출되어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재배공간에 균일하게 송풍 확산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송풍 가이드(50)에 형성된 송풍 차폐가드(56)와 송풍구(52)들을 형성하는 격편(51)을 개량하여서, 상기 시로코팬(42)의 외측에 일측영역(A 영역)에는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체적이 좁아지는 편심형의 흡배기 공간부(S)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로코팬(42) 자체의 흡배기 효율을 향상하고, 또 상기 시로코팬(42)을 통해 흡배기 공간부(S)로 배출된 외부공기는 송풍 가이드(50)에 형성된 각 송풍구(52)를 통해 균일하게 분산 토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 차폐가드(56)와 송풍 가이드(50)를 통해 시로코팬(42)의 외측에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체적이 좁아지는 편심형의 흡배기 공간부(S)를 형성하면,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시로코팬(42)에서 배출되는 외부 공기량은 넓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일측영역(A 영역)에서 좁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흡배기 공간부(S) 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은 넓은 체적에 의해 내압력이 감소된 일측영역(A 영역)을 통해 다량의 외부공기를 토출하므로, 시로코팬(42) 자체의 흡배기 효율이 향상되는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 가이드(50) 내에 동일한 길이의 격편(51)을 배치하여 송풍구(52)의 입구와 시로코팬(42)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하지 아니하고, 다량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영역(A 영역)에는 길이가 짧은 격편(51)들을 통해 송풍구(52)의 입구(52a)와 시로코팬(22) 사이에 넓은 이격간격(G)을 형성하고,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점차 길이가 긴 격편(51)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서, 상기 송풍구(52)들의 입구(52a)와 시로코팬(42) 사이의 이격간격(G)이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을 통해 편심형 흡배기 공간부(S)에 배출되어 편심형 흡배기 공간부(S) 내에서 정방향으로 선회하는 외부공기의 선회저항은, 개방면적이 넓은 일측영역(A 영역)에서 개방면적이 점차 좁아지는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므로 송풍구(52)들을 통해 배출되는 외부 공기량은 균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편심형 흡배기 공간부(S)의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선회하는 외부공기는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갈수록 선회면적이 좁아지는 관계로 외부공기의 선회저항은 점차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흡배기 공간부(S)의 일측영역(A 영역)에서 타측영역(D 영역)으로 선회하는 외부공기는, 점차 증가하는 선회저항에 의해 외측에 형성된 송풍구(52)를 통해 보다 신속히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일측영역(A 영역)에 형성된 송풍구(52)와 타측영역(D 영역)에 형성된 송풍구(52)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공기의 배출량은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송풍 가이드(50)에 방사구조로 형성된 송풍구(52)들을 통해 균일하게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은 균일하게 송풍 확산되어 재배공간 내에 살포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송풍 가이드(50) 내에 송풍구(52)들을 구획되게 형성하는 격편(51)들을 좌우방향으로 일괄하여 틸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풍향 등의 살포환경에 따라 송풍 가이드(50)를 통해 토출되는 외부공기의 토출방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 가이드(50)에 격편(51)들을 힌지핀(51a)을 통해 좌우 회동구조로 배치하는 한편, 상기 각 격편(51)들의 편심단을 와이어 링크(53)를 통해 연동되게 연결하여서, 상기 와이어 링크(53)의 견인에 의해 각 격편(51)들은 힌지핀(51a)을 중심으로 일괄하여 좌우로 틸팅되어서, 외부공기의 송풍각이 일괄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 가이드(50)에는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와이어 링크(53)를 좌우로 당김하는 권취 핸들(54)을 배치하여, 상기 권취 핸들(54)의 정역 회전에 의해 송풍 가이드(50)에 배치된 각 격편(51)들은 좌우로 일괄하여 틸팅되어 송풍각이 일괄하여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풍속이나 풍향 등 약액의 살포를 요하는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와이어 링크(53)를 통해 송풍 가이드(50)에 형성된 격편(51)들에 의한 송풍구(52)의 송풍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약액 살포 현장에 적합한 형태로 외부공기를 송풍하여 재배공간에 재배되는 작물에 약액의 안정적인 살포를 도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링크(53)를 통해 각 격편(51)들의 좌우 틸팅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작업자가 직접 각 격편(51)들을 좌우로 틸팅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특이성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 가이드(50)에, 상기 송풍 가이드(50)의 흡입구(50a)를 망상구조로 폐쇄하는 안전망(55)을 배치하여, 상기 흡입구(50a)를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에 작업자의 신체나 이물질이 진입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과 함께 시로코팬(42)의 손상을 예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도 4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로코팬(42)이 배치된 송풍 가이드(50)의 흡입구(50a)를 망상구조로 커버하는 안전망(55)에 회동 스크래퍼부(60)를 배치하여서, 상기 시로코팬(42)의 흡기작용에 의해 안전망(55)에 잔류된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를 통해 시로코팬(42)을 통한 외부공기의 흡배기 효율이 안정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 스크래퍼부(60)는,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상기 안전망(55)에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시로코팬(42)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흡기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시로코팬(42)의 흡기력에 의해 안전망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 스크래퍼부(60)는 송풍 가이드(50)의 흡입구(50a)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는 회전축(61)과, 상기 회전축(61)을 통해 안전망(55)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안전망(55)의 표면을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암(62)과, 상기 회전축(61)에 고정되어 시로코팬(42)에 의한 흡기력에 의해 회전축(61)을 회전되도록 하는 연동팬(6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전망(55)의 표면과 마주하는 스크래퍼암(62)의 내벽에는 강선을 나선형태로 권취한 코일 스프링(62b)들을 배치하여, 안전망(55)과의 과도한 마찰 발생없이 안전망(55)의 표면에 흡착된 나뭇잎 등의 이물질을 스크래핑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암(62)의 단부에는 안전망(55)의 외주면과 구름 마찰하는 강구(62a)를 배치하여, 상기 스크래퍼암(62)은 강구(62a)와 회전축(61)에 의해 양단이 회동구조로 지지된 상태에서 내벽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62b)들을 통해 안전망(55)의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스크래핑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동 스크래퍼부(60)에 의해 안전망(55)의 표면에 이물질이 흡착됨에 따른 외부공기의 송풍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10. 주행 차체부 11. 차체
12. 배터리 13. 주행모터
14. 주행륜 15. 핸들
20. 약액 분사부 21. 약액탱크
22. 액약 분사관 22a. 분사노즐
22b. 개폐밸브 23. 전동 급수펌프
30. 콘트롤러부
40. 송풍 확산부 41. 송풍모터
42. 시로코팬
50. 송풍 가이드 50a. 흡입구
51. 격편 51a. 힌지핀
52. 송풍구 52a. 입구
53. 와이어 링크 54. 권취 핸들
55. 안전망 56. 송풍 차폐가드
60. 회동 스크래퍼부 61. 회전축
62. 스크래퍼암 63. 연동팬
64. 강구 S. 흡배기 공간부

Claims (6)

  1. 재배공간에 형성된 주행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차체부와; 상기 주행 차체부에 탑재되어 저수된 약액을 재배공간 내에 분사하는 약액 분사부; 및 상기 주행 차체부와 약액 분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액 분사부는, 상기 차체의 상부에 적층하여 배치되며 살포를 요하는 약액이 저수되는 약액탱크와; 복수의 분사노즐들이 형성된 약액 분사관과;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를 인가받아 약액탱크에 저수된 약액을 펌핑하여 약액 분사관에 형성된 분사노즐들에 약액을 공급하는 전동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전동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에 축전된 기동전류에 의해 기동하여 환형 방사구조로 배치된 약액 분사관의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을 송풍 확산하는 전동형 송풍 확산부와, 상기 송풍 확산부를 통해 토출되는 외부공기를 분산하여 토출하는 송풍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형 송풍 확산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와, 상기 송풍모터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부공기를 강제 흡기하고 흡기된 외부공기를 외측으로 토출하는 시로코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 가이드는, 하부에 시로코팬의 하측부를 전체적으로 차폐구조로 커버하는 송풍 차폐가드가 배치되고, 외측부와 상측부에는 복수의 격편들에 의해 구획된 송풍구들이 방사구조로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송풍 가이드에 격편들을 힌지핀을 통해 좌우 회동구조로 배치하는 한편, 각 격편들의 편심단을 와이어 링크를 통해 연동되게 연결하고, 정역 회전을 통해 상기 와이어 링크를 좌우로 당김하는 권취 핸들을 배치하여서, 상기 와이어 링크의 견인에 의해 각 격편들은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괄하여 좌우로 틸팅되어서, 외부공기의 송풍각이 일괄하여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가이드 내에 배치된 시로코팬의 외측에는, 송풍 차폐가드에 의해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체적이 좁아지는 편심형의 흡배기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가이드 내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시로코팬에서 배출되는 외부 공기량은 넓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일측영역에서 좁은 체적에 의해 상대적으로 내압이 낮게 형성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 공간부의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점차 길이가 긴 격편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격편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구들의 입구와 시로코팬 사이의 이격간격이 일측영역에서 타측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KR1020210016181A 2021-02-04 2021-02-04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KR10253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81A KR102537431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181A KR102537431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26A KR20220112526A (ko) 2022-08-11
KR102537431B1 true KR102537431B1 (ko) 2023-05-26

Family

ID=8280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181A KR102537431B1 (ko) 2021-02-04 2021-02-04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55B1 (ko) 2012-09-03 2013-02-22 이덕재 보행 운전형 농약분무기의 분무시스템
JP2016136884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やまびこ 薬液散布機
KR101814675B1 (ko) 2017-09-08 2018-01-30 성석근 주행형 운반기용 살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213B1 (ko) * 2012-11-15 2014-10-14 최경준 케터필러를 장치한 서행 운반기에 착탈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
JP5952801B2 (ja) * 2013-11-15 2016-07-13 リンナイ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KR101722071B1 (ko) * 2015-09-21 2017-03-31 최경준 주행식 살포기
KR101918541B1 (ko) 2017-01-23 2019-02-11 주식회사 한서정공 방제차량의 송풍장치
KR200485967Y1 (ko) * 2017-11-24 2018-03-16 김완수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55B1 (ko) 2012-09-03 2013-02-22 이덕재 보행 운전형 농약분무기의 분무시스템
JP2016136884A (ja) * 2015-01-27 2016-08-04 株式会社やまびこ 薬液散布機
KR101814675B1 (ko) 2017-09-08 2018-01-30 성석근 주행형 운반기용 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526A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1818A (en) Spraying equipment for plants grown in rows
CN209330979U (zh) 一种智能喷药机
US20120111961A1 (en) Grove sprayer
US6018907A (en)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chemical treatment to plants
US6834487B2 (en) Leaf stripper for selective vine leaf stripping
US20220030765A1 (en) Vehicle with debris blower and lawn mower
US62574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gricultural air handler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2537431B1 (ko) 전동 분무구조를 갖는 보행형 약제 분사장치
KR101696350B1 (ko) 송풍식 방제장치
US340922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agricultural chemicals
JP2005333989A (ja) 移動式フィールドスコーチング装置
US5651242A (en) Lawn mower cleaning device
US4347978A (en) Agricultural sprayer
US3774845A (en) Orchard sprayer
KR20230114089A (ko) 방제장치용 노즐어셈블리
JP4639119B2 (ja) 除草装置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AU2011204988B2 (en) Agricultural sprayer
US9855570B1 (en) Mist blower
KR20220040132A (ko) 승용 예초기용 약액 분사시스템
CN209846030U (zh) 一种喷雾式降尘打药机
CN110711532B (zh) 一种农业用农药混合装置
US20210112732A1 (en) Row crop thermal plant treatment machine
KR200199625Y1 (ko) 농약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