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299B1 -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299B1
KR102537299B1 KR1020220145998A KR20220145998A KR102537299B1 KR 102537299 B1 KR102537299 B1 KR 102537299B1 KR 1020220145998 A KR1020220145998 A KR 1020220145998A KR 20220145998 A KR20220145998 A KR 20220145998A KR 102537299 B1 KR102537299 B1 KR 10253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mixture
adhesive hydrogel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원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리유 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리유 코스메틱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리유 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220145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함수율이 68.5% 이상이고, 우수한 점착성으로 피부 밀착력이 뛰어나며, TDDS(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공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이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을 피부 속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hydrogel for transdermal absorp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화장품 품목 중 마스크팩은 사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편리성과 가성비 대비 즉각적인 효과로 인해 꾸준하게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형태의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 중 대표적으로 섬유류의 지지체에 화장수를 함침시킨 시트 마스크팩의 경우 사용성은 간편하나 함침된 내용물이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지지체의 종류에 따라 밀착력이 상이하여 전반적으로 얼굴에 고정되어 있기 어렵다. 이러한 밀착력을 개선한 것으로서, 미생물 발효공정을 이용하여 개발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은 피부 밀착력은 우수하나, 사용 후 건조속도가 높아, 피부 내 수분을 오히려 빼앗아 건조함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최근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미백, 주름개선, 피부 재생 등 의학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 화장품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기능성 활성성분 및 유효성분의 경피흡수 증진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제형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피부에 흡수시킴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2055150호에 경피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921612호에 나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하이드로겔 시트가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대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상태 개선제, 계면활성제 및 착향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pH 조절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하여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함수율이 65%이고,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며, 8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피부 청량 및 수분공급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상태 개선제, 계면활성제 및 착향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pH 조절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함수율이 68.5%이고, 우수한 점착성으로 피부 밀착력이 뛰어나며, TDDS(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공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이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피부 속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상태 개선제, 계면활성제 및 착향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pH 조절제를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의 피부상태 개선제는 피부 보습 증진, 미백 증진,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손상회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성분일 수 있고, 피부에 안전한 물질 중 보습을 증진시키거나, 미백을 증진시키거나, 주름을 개선하거나,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거나, 피부자극을 완화하거나, 피부손상을 회복할 수 있는 성분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녹차 추출물, 우레아,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포도씨유,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카페인, 딸기 추출물, 아데노신, 유자씨 추출물, 황금 추출물, 효모/쌀 발효 여과물, 레시틴 및 글리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2)의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에이트, 소르비탄팔미테이트, C14-22 알코올,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스테아릴알콜/스테아릴글루코사이드,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EG-4 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로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의 착향제는 멘톡시프로판디올(menthoxypropanediol)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4)의 pH 조절제는 피부에 자극이 없는 물질 중 pH를 조절하는 물질은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석산(tartaric acid)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은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 보습 증진, 미백 증진,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손상회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상태 개선제, 폴리솔베이트 20 및 멘톡시프로판디올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과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주석산(tartaric acid)을 물에 첨가한 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 보습 증진, 미백 증진,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손상회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상태 개선제, 폴리솔베이트 20 및 멘톡시프로판디올을 물에 첨가한 후 용해한 제1 용해물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에 첨가한 후, 5~2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용해한 제2 용해물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주석산(tartaric acid)을 물에 첨가한 후 용해한 제3 용해물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첨가한 후, 5~30분 동안 교반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더 구체적으로는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15~30℃에서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 보습 증진, 미백 증진,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손상회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상태 개선제, 폴리솔베이트 20 및 멘톡시프로판디올을 물에 첨가한 후 30~50℃에서 용해한 제1 용해물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에 첨가한 후, 5~2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30~50℃에서 용해한 제2 용해물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주석산(tartaric acid)을 물에 첨가하고 60~90℃에서 용해한 제3 용해물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첨가한 후, 5~30분 동안 교반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에서는 별도의 교반과정이 없으며, 즉시 단계 4)를 진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은 총 투입 재료 100 중량%에 대하여, 물 50~90 중량%, 젤라틴 1~7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0.5~4.0 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0.5~4.0 중량%, 주석산(tartaric acid) 0.05~0.7 중량%, 글리세린 5~30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1~5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0.03~0.3 중량%,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0.05~0.7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0.05~0.6 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0.005~0.07 중량% 및 피부상태 개선제 0.5~5 중량%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물 60~80 중량%, 젤라틴 2~5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1~2 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1~2 중량%, 주석산 0.1~0.5 중량%, 글리세린 10~25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4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0.1 중량%, 수산화알루미늄 0.1~0.5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0.1~0.4 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0.01~0.05 중량% 및 피부상태 개선제 1~3 중량%로 구성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68 중량%, 젤라틴 4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1.5 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1.5 중량%, 주석산 0.2 중량%, 글리세린 19.5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3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중량%, 수산화알루미늄 0.3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0.3 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0.02 중량% 및 피부상태 개선제 1.63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은 함수율이 65% 이상, 바람직하게는 68.5% 이상인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원단은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이 있고, 수분 흡수율이 낮은 섬유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나일론(nylon)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함수율이 65% 이상이고, 우수한 점착성으로 피부 밀착력이 뛰어나며, TDDS(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공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이용함으로써 유효성분을 피부 속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진정 및 보습효과가 있고, 원단에 하이드로겔을 도포한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레이저 시술 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30℃에서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피부상태 개선제, 폴리솔베이트 20 및 멘톡시프로판디올을 물에 첨가하고 40℃에서 용해한 제1 용해물을 상기 제1 혼합물에 첨가한 후,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젤라틴을 물에 첨가하고 40℃에서 용해한 제2 용해물을 상기 제2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였고,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주석산(tartaric acid)을 물에 첨가하고 80℃에서 용해한 제3 용해물을 상기 제3 혼합물에 첨가한 후, 15분 동안 교반하여 제4 혼합물(이하,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에 사용된 성분들의 혼합량은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다.
그룹 성분명 함량(%)
A
(제2용해물)
젤라틴 4.00
20.00
B
(제3용해물)
PVA 1.50
PVP 1.50
주석산 0.20
35.00
C
(제1혼합물)
글리세린 19.50
폴리아크릴산나트륨 3.00
EDTA 0.05
수산화알루미늄 0.30
D
(제1용해물)
폴리솔베이트 20 0.30
멘톡시프로판디올 0.02
피부상태 개선제
녹차 추출물 0.30
우레아 0.1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0
포도씨유 0.30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15
카페인 0.15
딸기 추출물 0.02
아데노신 0.04
유자씨 추출물 0.07
황금 추출물 0.07
효모/쌀 발효 여과물 0.07
레시틴 0.03
글리신 0.03
13.00
총합 100.00
제조예 2.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도포기에 투입한 후, 70% 이하 습도, 20℃ 온도가 유지되는 환경에서 나일론 원단 위에 코팅한 다음 냉각 롤러로 이송하여 영하 15℃에서 냉각하였다. 냉각 후, 절단기로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이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함수율 측정
상기 제조예 2의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함수율을 확인하였다.
함수율은 시료 건조 전 무게에 대한 함유 수분의 양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고, 시료는 90℃ 건조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식 1]
함수율(%)=100×[시료의 건조 전 무게(g)-시료의 건조 후 무게(g)]/시료의 건조 전 무게(g)
그 결과, 본 발명의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함수율은 68.5%로 인체 수분 함량과 유사한 정도를 확인하여, 본 마스크팩을 사용시 피부의 수분 흡수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관능검사
상기 제조예 2의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사용감 및 효과의 만족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총 39명을 대상으로 야외활동시 6시간 동안 본 마스크를 착용한 후, 착용감, 보습에 대한 만족도, 미백 효과에 대한 만족도, 자외선차단에 대한 만족도 및 전반적인 제품 품질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평가를 10점 척도법(매우 만족 10~9, 만족 8~7, 보통 6~4, 불만족 3~2, 매우 불만족 1)에 따라 수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든 항목에서 만족 또는 매우 만족한 평가를 받았고, 특히 전반적인 제품의 품질에 대하여 매우 만족한 평가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끈적임없이 피부에 밀착되고 쿨링감이 오래 지속되어 야외 활동시 착용하기 용이하고, 보습, 미백 효과가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항목 제조예 2의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착용감 만족도 9.3±1.02
보습 만족도 9.6±0.64
미백 만족도 8.5±1.02
자외선차단 만족도 9.3±0.9
전반적인 제품 품질의 만족도 9.2±1.05

Claims (12)

1) 글리세린,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및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을 15~30℃에서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피부 보습 증진, 미백 증진, 주름개선, 피부탄력 증가,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손상회복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가지는 피부상태 개선제, 폴리솔베이트 20 및 멘톡시프로판디올을 물에 첨가한 후, 30~50℃에서 용해한 제1 용해물을 상기 단계 1)의 제1 혼합물에 첨가한 후, 5~20분 동안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젤라틴을 물에 첨가한 후, 30~50℃에서 용해한 제2 용해물을 상기 단계 2)의 제2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폴리비닐 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및 주석산(tartaric acid)을 물에 첨가하고 60~90℃에서 용해한 제3 용해물을 상기 단계 3)의 제3 혼합물에 첨가한 후, 5~30분 동안 교반하여 제4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총 투입 재료 100 중량%에 대하여, 물 60~80 중량%, 젤라틴 2~5 중량%, 폴리비닐 알코올 1~2 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1~2 중량%, 주석산 0.1~0.5 중량%, 글리세린 10~25 중량%, 폴리아크릴산나트륨 2~4 중량%,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0.1 중량%, 수산화알루미늄 0.1~0.5 중량%, 폴리솔베이트 20 0.1~0.4 중량%, 멘톡시프로판디올 0.01~0.05 중량% 및 피부상태 개선제 1~3 중량%로 구성되는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
제7항의 함수율이 65% 이상인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을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나일론(nyl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제8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피부 레이저 시술 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0220145998A 2022-11-04 2022-11-04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53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998A KR102537299B1 (ko) 2022-11-04 2022-11-04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998A KR102537299B1 (ko) 2022-11-04 2022-11-04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299B1 true KR102537299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998A KR102537299B1 (ko) 2022-11-04 2022-11-04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2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150B1 (ko) * 2019-05-07 2019-12-1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JP2021054748A (ja) * 2019-09-30 2021-04-08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ェルシートマスク
KR20210052717A (ko) *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150B1 (ko) * 2019-05-07 2019-12-1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경피 흡수 능력이 증진된 마스크팩용 세포간지질 모사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JP2021054748A (ja) * 2019-09-30 2021-04-08 久光製薬株式会社 ジェルシートマスク
KR20210052717A (ko) * 2019-10-30 2021-05-11 신신제약 주식회사 냉감 효과가 지속되는 하이드로 겔 시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7808B1 (en) Water-soluble hyaluronic acid g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3177120A (en) Stable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dihydroxy acetone
CA2908041C (e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preparation with improved transdermal permeability
CA2343284C (en) Topical application products
CA2309195C (en) Stable ascorbic acid preparation for topical use
CN109846740B (zh) 皮肤护理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7975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180026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KR102537299B1 (ko) 경피흡수용 점착성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20050036976A1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JPH05221821A (ja) 皮膚化粧料
KR20060020630A (ko) 피지 관련 피부 질환의 국소 치료방법
KR20080038710A (ko) 미녹시딜과 트레티노인을 함유한 외용 에멀젼 발모용조성물
KR20090056392A (ko) 한지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519369B1 (ko) 피부 열 노화 예방 및 모공 개선용 냉감 화장료 조성물
CN112739342A (zh) 含有抗坏血酸和/或其盐的外用组合物
CN114288201B (zh) 一种祛眼袋、淡化黑眼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30453A (ko) 소나무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793178B (zh) 包含溶解度提高的芹菜素的脫髮緩和組成物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10056461A (ko) 히비스커스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고 스피루리나 천연활성 물질을 담지한 나노 섬유 전기방사층을 가지는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 마스크팩
KR20200101709A (ko) 보습성과 피부 진정효과가 우수한 아이스 수분크림 및 그 제조방법
EP4212145A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ulat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gel
KR20240041068A (ko) 피부 흡수율 증진 효과가 있고 피부자극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