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738B1 -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 Google Patents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6738B1 KR102536738B1 KR1020210084731A KR20210084731A KR102536738B1 KR 102536738 B1 KR102536738 B1 KR 102536738B1 KR 1020210084731 A KR1020210084731 A KR 1020210084731A KR 20210084731 A KR20210084731 A KR 20210084731A KR 102536738 B1 KR102536738 B1 KR 102536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ing
- bridge
- filtering unit
- drainage
- front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된 우수가 유동할 수 있는 배수유로를 가지는 배수본체, 상기 배수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및 상기 유입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제1 여과부를 포함한다.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배수관에 배치된 제2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여과부의 내부에는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본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여과부의 상면과 전면 일부분에는 복수의 제1 여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본체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여과부의 배면에는 메시구조를 가지는 차집망과 복수의 제2 여과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여과부의 제1 여과홀을 통해 오물이 1차 여과되고, 제2 여과홀과 차집망을 통해 2차 여과되며, 제2 여과부를 통해 3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에 교량의 상판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지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하천, 토양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rainage system for bridges, and relates to a drainage main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and a drain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inflowed rainwater can flow,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main body and discharging rainwater from the drainage passage, and the above A first filtering unit is disposed in the inlet to allow the rainwater to pass through and to block foreign substances. The bridge senior wat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ltering unit disposed in the drainage pipe.
A water collection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first filtering unit,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filter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rain body, and a rear surface and An interception net having a mesh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tering hole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iltering unit facing each other.
Therefore, the dirt is firstly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ing hole of the first filtering unit, secondly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hole and the screen, and thirdly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uni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rivers, soil, etc. by blocking foreign matter generated from the bridge deck from entering the ground.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water supply system.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은 구조물에는 교량 상판에 고이는 우수를 교량 아래의 지면으로 배수하는 선배수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In general, a structure such as a bridge is provided with a water drainage system for draining rainwater accumulated on the bridge deck to the ground under the bridge.
종래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교량의 상판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부가 형성된 배수관을 매립하고 배수관에 간격을 두고 배수관을 결합하여 배수관으로 유입된 우수가 교량 외부로 배수도록 한다.In a conventional bridge drainage system, a drainage pipe having an inlet portion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buried at the edge of a bridge deck and coupled to the drainage pipe at intervals so that rain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pipe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bridge.
한편, 배수관의 유입부에는 교량 상판의 이물질이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위해 집수홀이 형성된 덮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의 집수홀은 낙엽, 쓰레기 등 부피가 큰 이물질만 차단할 뿐 모래, 흙 등 입자 형태의 이물질은 차단하지 못하였다.On the other hand, a cover having a water collection hole is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drain pip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n the bridge deck from entering the drain pipe. However, the collection hole of the cover blocks only bulky foreign substances such as fallen leaves and garbage, but does not block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particles such as sand and soil.
본 발명은 낙엽,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모두 차단하면서 배수성은 높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drainage system for bridges with high drainage while blocking all foreign matter in the form of leaves and particle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유입된 우수가 유동할 수 있는 배수유로를 가지는 배수본체, 상기 배수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및 상기 유입부에 배치되어 상기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제1 여과부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drainage system has a drainage main body having an inlet into which rainwater flows and a drain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inflowed rainwater can flow,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main body to discharge rainwater from the drainage passage. and a first filter disposed in the inlet to pass rainwater and block foreign matter.
상기 제1 여과부의 내부에는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본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여과부의 상면과 전면 일부분에는 복수의 제1 여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본체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여과부의 배면에는 메시구조를 가지는 차집망과 복수의 제2 여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A water collection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first filtering unit,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front portion of the first filter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rain body, and a rear surface and An interception net having a mesh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tering holes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iltering unit facing each other.
상기 제2 여과홀은 상기 제1 여과부의 상하 길이 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집망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ing hole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ing unit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the filtering net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상기 배수본체는 상기 교량의 상판에 매립될 수 있는 수평부와 상기 교량의 방호벽에 매립될 수 있는 수직부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와 상기 수직부의 전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1 여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age body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art that can be embedded i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and a vertical part that can be embedded in the protective wall of the bridg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nlet part is formed by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and the front part of the vertical part.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상기 제1 여과부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전면의 일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ross section of the first filtering unit may be rectangular, and a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상기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상기 절개부와 일치하는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1 여과부의 내부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절개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받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drainage system for the bridg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drainage body coincident with the cut-out portion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ing portion to support one surface of the cut-out portion.
상기 교량 선배수 시스템은 상기 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제2 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idge senior wat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lter unit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상기 제2 여과부는 상기 배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메시구조를 가지는 망몸체, 그리고 상기 망몸체의 일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면에 걸려 고정되는 망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ltering unit includes a net body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one side open and having a mesh structure, and a net flange formed along one circumference of the net body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body. can do.
상기 망플랜지의 일부분은 제거되어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평면부는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 바닥과 접할 수 있다.A portion of the net flange is removed to have a flat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drainage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여과부의 제1 여과홀을 통해 오물이 1차 여과되고, 제2 여과홀과 차집망을 통해 2차 여과되며, 제2 여과부를 통해 3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에 교량의 상판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지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하천, 토양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rt is firstly filtered through the first filtering hole of the first filtering unit, is secondarily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hole and the filtering net, and thirdly filtered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uni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rivers, soil, etc. by blocking foreign matter generated from the bridge deck from entering the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집망과 제2 여과부에서 오수 중에 포함된 흙, 모래 따위의 입자 형태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배수유로 및 배수관이 입자 형태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particles such as soil and sand included in sewage can be blocked by the interception net and the second filter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in passage and the drain pipe from being clogged with foreign substances in the form of 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 설치 상태도.
도 2는 도 1의 교량 선배수 시스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수본체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제1 여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2를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제2 여과부를 나타낸 확대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senior water supply system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water supply system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drain body of Figure 3;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ing unit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line VI-VI;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econd filtering unit of FIG. 3;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n, a bridge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량 선배수 시스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수본체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1 여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를 Ⅵ-Ⅵ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제2 여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1 is a view of a bridge water supply system installatio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idge water supply system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drain body of FIG. ,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rst filtering unit of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line VI-VI,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econd filtering unit of FIG. am.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100)은 배수본체(10), 배수관(40) 및 제1 여과부(30)를 포함하며 교량(1)의 상판(1a) 가장자리에서 상판(1a)과 방호벽(1b)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설치되어 상판(1a)에서 배수되는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낙엽, 입자 형태의 이물질은 차단하고 우수의 배수는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우수의 배수성을 높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선배수 시스템(100)은 받침턱(20) 및 제2 여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7, the bridge
배수본체(10)는 배수유로(11)를 가지면서 수평부(111)와 수직부(1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112)는 수평부(111)의 외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수평부(111)와 수직부(11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수평부(111)는 상판(1a)에 매립될 수 있으며 수직부(112)는 방호벽(1b)에 매립될 수 있다. 수평부(111)와 수직부(112)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면서 배수유로(11)를 형성한다. 수평부(111)의 폭 길이 치수는 수직부(112)의 폭 길이 치수보다 크다. 그리고 수평부(111)의 상하 길이 치수는 수직부의 상하 길이 치수보다 작다. 수평부(111)의 전면(111a)과 수직부(112)의 전면(112a)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수평부(111)의 상면과 수직부(112)의 전면(112a) 하부측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수평부(111)의 전면(111a)과 수직부(112)의 전면(112a)의 사이에 유입부(12)가 형성되어 있다.The
수평부(111)의 전면(111a)과 바닥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부(111)의 바닥은 수직부(112)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에 배수유로(11)의 우수는 수직부(112)의 방향으로 자연 배수될 수 있다.A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수평부(111)의 전면(111a)은 상판(1a)에 매립되어 상판(1a)의 위로 노출되지 않는다. 수직부(112)의 전면(112a)은 방호벽(1b)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수직부(112)의 전면(112a)에는 상하 방향(Z)으로 제1 여과홀(112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홀(112b)은 수직부(112)의 길이 방향(X)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홀(112b)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받침턱(20)은 수평부(111)의 전면(111a) 내부면에는 수직부(112)의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돌출되어 있다. 받침턱(20)은 배수본체(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받침턱(20)은 전면(111a)의 내부면과 함께 안착홈(21)을 형성한다.The
제1 여과부(30)는 수평부(111)의 전면(111a)과 수직부(112)의 전면(112a)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부(12)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여과부(3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본체(1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여과부(30)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X)을 따라 집수유로(31)가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iltering
제1 여과부(30)의 바닥은 수평부(111)의 바닥과 접하고 있으며 제1 여과부(30)의 전면과 바닥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수평부(111)의 모서리와 동일하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부(30)의 바닥 또한 수평부(111)의 바닥과 동일하게 수직부(112)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제1 여과부(30)의 배면은 수직부(112)의 배면과 간격을 두고 있다.The bottom of the first filtering
제1 여과부(30)의 전면(30a) 하부는 수평부(111)의 전면(111a) 내부면과 접하고 있다. 제1 여과부(30)의 전면(30a) 일부분은 길이 방향(X)을 따라 절개되어 절개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30b)는 제1 여과부(3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절개부(30b)와 이웃한 제1 여과부(30)의 전면(30a) 일부분은 안착홈(21)에 안착되어 받침턱(20)에 걸려 있다. 제1 여과부(30)의 배면 상부측은 수직부(112)의 전면(112a) 하부측과 접하여 지지되어 있다. 제1 여과부(30)는 나사, 리벳 따위의 체결수단(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지 않고 배수본체(10)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제1 여과부(30)의 전면(30a)과 상면에는 제1 여과홀(32)이 길이 방향(X)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여과홀(32)은 기설정된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여과부(30)의 제1 여과홀(32)과 수직부(112)의 제1 여과홀(112b)의 형상은 교량 선배수 시스템(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32 are formed on the
상판(1a)의 우수는 제1 여과홀(32)을 통해 집수유로(31)로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우수량 증가로 제1 여과홀(32)을 통해 유입되지 못한 우수는 수직부(112)의 제1 여과홀(112b)을 통해 배수유로(11)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상판(1a)에서 우수와 교량 선배수 시스템(100)으로 유동한 낙엽, 쓰레기 따위는 제1 여과부(30)와 배수본체(10)의 제1 여과홀(112b, 3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려 여과될 수 있다.Rainwater of the top plate 1a may be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제1 여과부(30)의 배면에는 집수유로(31)의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2 여과홀(33)과 메시구조를 갖는 차집망(3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제2 여과홀(33)은 제1 여과부(30)의 상하 길이 방향(Z)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차집망(34)은 가상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여과홀(33)은 제1 여과홀(32)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2 여과홀(33)의 넓이는 제1 여과홀(32)의 넓이보다 작다. 이에 제1 여과부(30)의 전면과 상면에서 여과되지 못하고 제1 여과홀(32)을 통과하여 집수유로(31)로 유입된 이물질은 제2 여과홀(33)에서 2차 여과될 수 있다.The
한편, 우수와 함께 집수유로(31)로 유입된 흙, 모래 따위는 차집망(34)에 걸릴 수 있다. 이에 흙, 모래 따위는 집수유로(31)에 쌓일 수 있다. 집수유로(31)의 우수는 제2 여과홀(33)과 차집망(34)을 통해 배수유로(11)로 배출되며 이물질(모래)은 차단되어 배출되지 못한다.Meanwhile, soil and sand introduced into the
배수관(40)은 배수본체(10)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유로(11)와 연통되어 있다. 배수관(40)은 방호벽(1b)과 상판(1a)을 관통하여 상판(1a)의 측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배수유로(11)의 우수는 배수관(40)을 통해 상판(1a)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제2 여과부(50)는 배수유로(11)에서 배수관(40)으로 삽입되어 우수는 통과시키고 제1 여과부(30)에서 여과하지 못한 이물질(모래)을 차단하여 상판(1a)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제2 여과부(50)는 망몸체(51), 그리고 망플랜지(52)를 포함한다. 제2 여과부(50)는 견인줄(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망몸체(51)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망몸체(51)를 원통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망몸체(51)의 형상은 배수관(40)의 내부둘레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망몸체(51)의 둘레와 바닥은 메시구조를 갖는다. 이에 배수유로(11)를 통해 망몸체(51)로 유입된 우수는 망몸체(51)를 통과할 수 있다.The
망몸체(51)는 메시구조를 갖는다. 망몸체(51)는 배수유로(11)에서 배수관(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망몸체(51)의 메시눈금은 차집망(34)의 메시눈금보다 작다. 이에 차집망(34)을 통한 모래는 망몸체(51)에서 2차 차단될 수 있다.The
망플랜지(52)는 망몸체(51)의 일측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수직부(112)의 내부면에 걸려 있다. 이에 망플랜지(52)가 망몸체(51)를 배수관(4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The
한편, 배수유로(11)의 바닥과 망몸체(51)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배수유로(11)의 바닥과 접하는 망플랜지(52)의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이에 망플랜지(52)는 배수유로(11)의 바닥과 접하는 평면부(521)를 갖는다.Meanwhile, the portion of the
배수유로(11)의 바닥과 망몸체(51)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수유로(11)의 우수 배수효율이 우수하다.Since no ste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견인줄(53)은 일단이 망플랜지(52)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1 여과부(30)와 배수본체(10)의 사이를 통해 배수본체(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견인줄(53)의 타단은 배수본체(10)에 결속되어 있다. 관리자는 제1 여과부(30)를 배수본체(10)에서 분리한 후 견인줄(53)을 당겨 망몸체(51)를 배수관(40)에서 인출하여 2차 차단된 모래 따위를 제거할 수 있다.The towing
다음은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교량 선배수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bridge senior water supply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will be described.
교량 선배수 시스템(100)은 상판(1a)과 방호벽(1b)에 매립되어 있으며 배수관(40)은 배수본체(10)와 연결되어 방호벽(1b)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배수관(40)에 제2 여과부(50)를 삽입하고 견인줄(53)을 배수본체(10)에 결속한다.The bridge
유입부(12)에 제1 여과부(30)를 배치한다. 이때 제1 여과부(30)의 절개부(30b) 주변은 안착홈(21)에 안착하고 배면은 수직부(112)의 전면(112a)에 밀착시켜 제1 여과부(30)를 배수본체(10)와 결합한다.The
교량(1)의 상판(1a)을 유동하는 우수는 제1 여과부(30)의 제1 여과홀(32)을 통해 집수유로(3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우수 유량 증가로 집수유로(31)로 유입되지 못한 우수는 수직부(112)의 제1 여과홀(112b)을 통해 배수유로(11)로 유입될 수 있다.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top plate 1a of the
이때 우수와 함께 유동한 낙엽, 쓰레기 따위의 이물질은 제1 여과부(30)와 수직부(112)의 전면(112a)에서 걸려 집수유로(31)와 배수유로(11)로 유입되지 못하고 차단된다.At this tim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allen leaves and garbage, which flow together with the rainwater, are caught on the
그리고 집수유로(31)로 유입된 우수는 제2 여과홀(33)과 차집망(34)을 통해 배수유로(1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모래 따위는 차집망(34)의해 차단되어 배수유로(11)로 유입되지 못한다.In addition, rainwater flowing into the
배수유로(11)의 우수는 배수관(40)으로 유입되어 제2 여과부(50)를 통과할 수 있다. 1차 여과된 우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제2 여과부(50)에서 차단되어 상판(1a)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Rainwater from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여과부(30)의 제1 여과홀(32)을 통해 오물이 1차 여과되고, 제2 여과홀(33)과 차집망(34)을 통해 2차 여과되며, 제2 여과부(50)를 통해 3차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에 교량의 상판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지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하천, 토양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rt is firstly filtered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1: 교량 1a: 상판
1b: 방호벽
100: 교량 선배수 시스템 10: 배수본체
11: 배수유로 12: 유입부
111: 수평부 112: 수직부
111a, 112a: 전면 112b: 제1 여과홀
20: 받침턱 21: 안착홈
30: 제1 여과부 30a: 전면
30b: 절개부 31: 집수유로
32: 제1 여과홀 33: 제2 여과홀
34: 차집망 40: 배수관
50: 제2 여과부 51: 망몸체
52: 망플랜지 521: 평면부
53: 견인줄1: bridge 1a: deck
1b: Firewall
100: bridge senior water system 10: drainage body
11: drainage passage 12: inlet
111: horizontal part 112: vertical part
111a, 112a: front 112b: first filtration hole
20: supporting jaw 21: seating groove
30: first filtering
30b: cutout 31: water collection path
32: first filtration hole 33: second filtration hole
34: interception net 40: drain pipe
50: second filtering unit 51: net body
52: net flange 521: flat part
53: tow line
Claims (7)
상기 수평부의 내부면에서 상기 수직부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안착홈을 형성하는 받침턱,
상기 배수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우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및
상기 수평부의 전면(111a)과 상기 수직부의 전면(112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우수는 통과하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제1 여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의 외측에서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부는 상기 수평부의 상부와 상기 수직부의 전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여과부는 상기 배수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면(30a) 하부는 상기 수평부의 전면(111a) 내부면과 접하며 바닥은 상기 수평부의 바닥과 접하며, 상기 제1 여과부의 전면(30a) 일부분은 길이 방향(X)을 따라 절개되어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의 일면은 상기 받침턱의 안착홈에 위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여과부의 내부에는 집수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본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 여과부의 상면과 전면 일부분에는 복수의 제1 여과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본체의 배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여과부의 배면에는 메시구조를 가지는 차집망과 복수의 제2 여과홀(33)이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A drainage main body composed of a horizontal part and a vertical part having an inlet into which rainwater flows and a drainage passage through which the inflowed rainwater flows;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part and forming a seating groov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body and discharging rainwater from the drain passage; and
A first filter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horizontal part and the front surface 112a of the vertical part and disposed in the inlet, passing through the rainwater and blocking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The vertical part protrudes vertically upward from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part, the inlet part is formed by opening an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and a front part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first filtering part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body The lower part of the front surface 30a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11a of the horizontal part, the bottom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part, and a part of the front surface 30a of the first filtering part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to form an incision And, one surface of the incision is located and suppor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jaw, a water collection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first filtering unit,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ing uni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rain body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32 are formed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and a screen having a mesh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econd filtering holes 33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iltering part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drain body. being
Bridge seniority system.
상기 제2 여과홀(33)은 상기 제1 여과부의 상하 길이 방향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집망은 상기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In paragraph 1,
The second filtering hole 33 is formed in the upper part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ing part, and the interception ne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상기 수평부는 상기 교량의 상판에 매립될 수 있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교량의 방호벽에 매립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부의 전면에는 복수의 제1 여과홀(112b)이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In paragraph 1,
The horizontal part may be embedded i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vertical part may be embedded in the protective wall of the bridge, and a plurality of first filtering holes 112b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Bridge seniority system.
상기 제1 여과부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전면의 일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In paragraph 1,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filtering part is rectangular, and a cutou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ridge water supply system.
상기 배수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제2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In paragraph 1,
The bridge water suppl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ltering unit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상기 제2 여과부는
상기 배수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메시구조를 가지는 망몸체, 그리고
상기 망몸체의 일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면에 걸려 고정되는 망플랜지
를 포함하며,
상기 망플랜지의 일부분은 제거되어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평면부는 상기 배수본체의 내부 바닥과 접하는
교량 선배수 시스템.In paragraph 6,
The second filter unit
A net body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one side open, and having a mesh structure, and
A net flang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one side of the net body and hook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body
Including,
A portion of the net flange is removed to have a flat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drainage body.
Bridge seniority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731A KR102536738B1 (en) | 2021-06-29 | 2021-06-29 |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731A KR102536738B1 (en) | 2021-06-29 | 2021-06-29 |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769A KR20230001769A (en) | 2023-01-05 |
KR102536738B1 true KR102536738B1 (en) | 2023-05-26 |
Family
ID=8492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731A KR102536738B1 (en) | 2021-06-29 | 2021-06-29 |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673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851B1 (en) * | 2009-08-31 | 2010-08-20 | (주)서린건설 | Drain box |
KR101294717B1 (en) * | 2013-01-23 | 2013-08-08 | 이문기 |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
KR102144253B1 (en) * | 2020-03-24 | 2020-08-12 | 김은정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9720B1 (en) | 2013-10-10 | 2014-01-16 | 현빈개발 주식회사 | Drainpipe structure for bridge |
KR101760902B1 (en) * | 2015-08-20 | 2017-07-24 | 주식회사 송학건설 | A pollutant purification system |
KR101715701B1 (en) | 2016-03-23 | 2017-03-14 | 이자영 | Drainage system for bridge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731A patent/KR10253673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6851B1 (en) * | 2009-08-31 | 2010-08-20 | (주)서린건설 | Drain box |
KR101294717B1 (en) * | 2013-01-23 | 2013-08-08 | 이문기 |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
KR102144253B1 (en) * | 2020-03-24 | 2020-08-12 | 김은정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1769A (en) | 2023-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91422B1 (en) | Dual screen treatment systems with debris ramps and screened deflectors | |
US5779888A (en) | Filtering apparatus | |
US6270663B1 (en) | Storm drain filter system | |
US7132045B1 (en) |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 |
US7297266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US6797162B2 (en) | Catch basin filter for stormwater runoff | |
US7153417B2 (en) |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 |
US7294256B2 (en) | Storm water filter system | |
US7288188B2 (en) |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 |
US20060231508A1 (en) | Catch basi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the same | |
KR101545448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For Initial Rain Water | |
US713804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 |
US20060231509A1 (en) | Novel enhanced catch basin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
KR20040045502A (en) | Overflow chamber | |
JP4156843B2 (en) | Sedimentation basin equipment | |
KR100683119B1 (en)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
KR102536738B1 (en) | Draining system of the bridge | |
ES2261599T3 (en) | CONNECTOR FOR RESIDUAL WATER PIPES TO AVOID BAD ODORS. | |
KR20080105855A (en) | Device for filtering an trash | |
AU2005316557B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 |
KR101343859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 |
CA2810314C (en) | Separator for separating a light liquid-water mixtur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light liquid-water mixture | |
KR101730463B1 (en) | General collector of bridge | |
KR20220022607A (en)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 |
KR102022187B1 (en) | Strain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