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119B1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Google Patents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83119B1 KR100683119B1 KR1020050040471A KR20050040471A KR100683119B1 KR 100683119 B1 KR100683119 B1 KR 100683119B1 KR 1020050040471 A KR1020050040471 A KR 1020050040471A KR 20050040471 A KR20050040471 A KR 20050040471A KR 100683119 B1 KR100683119 B1 KR 100683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frame
- filter
- cover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1 rain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또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선별하여 퇴적시키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capable of collecting and collecting sewage or sewage contained in sewa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wage outlet for discharging a fluid including rainwater, sewage and sewage to the outside. The width of the narrowing down the collecting pipe 10 is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11), and the cover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let holes (21, 22) on the front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10) And, i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 formed in the collecting pipe (10)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over 20,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to filter the liquid, sediment is the fluid sorting means (30) )
교량, 집수구, 집수관, 배수관, 오물, 퇴적 Bridges, Sewers, Sumps, Drains, Sewage, Sedimentation
Description
도 1은 교량에 설치된 종래의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tchment installed in a bridg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age can be collec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유동체 선별수단을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fluid screen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wage can be collec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port capable of collecting wast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wage outlet capable of collecting wast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집수관 11 : 안착부 10: collecting pipe 11: seating part
12 : 덮개 안착턱 20 : 덮개12: cover mounting jaw 20: cover
21,22 : 유입공 23 : 끼움부21,22: inlet hole 23: fitting
30,A : 유동체 선별수단 31 : 몸통30, A: fluid sorting means 31: body
32,60 : 프레임 32a,64 : 고정바32,60:
32b : 테두리 33 : 상판 필터32b: border 33: top filter
34 : 측부 필터 35 : 오물퇴적공간34: side filter 35: dirt deposition space
41,65 : 고정편
42,52,66 : 나사 50,80 : 필터 고정부재41,65: fixed piece
42, 52, 66:
삭제delete
51 : 환형 띠 61 : 상부 테두리51: annular band 61: the upper border
62 : 이음 테두리 63 : 하부 테두리62: joint edge 63: lower edge
70 : 필터 S : 공간70: filter S: space
본 발명은 오수 또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선별하여 퇴적시키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의 내부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켜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er capable of collecting and collecting sewage or sewage contained in rainwater, and more particularly, means for depositing sewage contained in a fluid inside a sewer installed in a top plate of a bridge and its deposition. By providing a means for collecting the wast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o blockage of the collecting pipe and the drain pipe, and thus, to the sewage collection can be collected to prevent further environmental pollution.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 및 오수 등의 유동체가 하천 등과 같은 외부로 배수되도록 유동체를 집수시켜 주는 교량용 집수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와 아스콘(2)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에 집수관(3)이 매립되고, 그 매립된 집수관(3)의 상단에는 다수의 유입공(4a)이 형성된 덮개(4)가 안착되는 구조이다. In general, the bridge catching port for collecting the fluid so that the fluid such as rainwater and sewage is drained to the outside, such as rivers are covered with the slab (1) and ascon (2) as shown in FIG. Th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bridge top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tructure of the cover (4)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pipe (3) is embedded in the slab (1), a plurality of inlet holes (4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embedded collection pipe (3) Is a structure that is seated.
여기서, 집수관(3)의 하단은 배수관(도시하지 않음)과 연결고정되어 있어 외부로 유동체가 배수된다. Here, the lower end of the collecting pipe (3) is fixed to the drain pipe (not shown) to drain the flui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 상에 우수 또는 오수를 포함하는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3)의 유입공(4a)을 통해 집수관(3)으로 유동되고, 그 유동된 유동체는 배수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When a fluid containing rainwater or sewage occurs on a bridge in which a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port for a bridge is installed, the generated fluid flows into the
그런데, 종래의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에는 우수 및 오수뿐만 아니라 오물(낙엽, 지푸라기 및 각종 생활쓰레기)도 포함되어 유동되기 때문에 집수관(3)의 내부 또는 배수관의 내부에 퇴적되어 집수관(3) 또는 배수관을 막히게 함으로써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By the way, since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conventional water collecting port for bridges includes not only rainwater and sewage but also dirt (falling leaves, straw and various household wastes), the fluid is deposited inside the
이를 해소하고자 덮개(4)에 형성된 유입공(4a)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오물이 덮개(4) 상에 퇴적되기 때문에 이 또한 집수구의 배수기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If the size of the inlet hole (4a) formed in the cover (4) is reduced to solve this problem, since dirt is deposited on the cover (4), this also acts as a factor that inhibits the drainage function of the catch.
또한, 교량에 설치된 배수관은 매우 긴 길이(통상 10m 또는 그 이상)를 가지기 때문에 퇴적된 오물에 배수관이 막힌 경우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ain pipe installed on the bridge has a very long length (usually 10 m or mor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drain pipe when the drain pipe is blocked in the accumulated dirt.
또한, 집수관(3) 또는 배수관에 퇴적되지 않은 오물은 외부인 하천 등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야기시키는 폐단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rt not deposited in the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의 내부에 유동체에 포함된 오물을 퇴적시키는 수단 및 그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되는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depositing the dirt contained in the fluid in the interior of the catchment is installed on the top plate of the bridge and a means for collecting the accumulated di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collecting pipe and the drain pipe by providing in advance, and thus, to provide a collecting port capable of collecting waste, which is further prevent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유동체 선별수단을 나타낸 요부절개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wage can be collect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fluid sorting means of the configuration of Figure 2,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atchment which can collect wast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상단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걸러주고, 오물은 퇴적시켜 주는 유동체 선별수단(30)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atch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containing the rainwater, sewage and dirt to the outside, the catch port is narrowed down the inner width at a predetermined depth seating portion 11 ) Is formed in the
상기 덮개(20)는 교량 상에서 흐르는 유동체가 유입될 수 있게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유입되도록 덮개(2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전면의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유입공(22)의 유동면적을 크게 하여 준다. The
상기 덮개(20)는 집수관(1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덮개(20)의 하단에는 상기 집수관(10)의 내경에 끼워지는 끼움부(23)가 구비된다. The
상기 유동체 선별수단(30)은,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 상에 안착될 수 있게 상기 안착부(11)의 폭에 대응하여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는 폭이 좁게 형성된 몸통(31)과, 일측부가 상기 몸통(31)의 하부의 내측면에 소정간격마다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바(32a) 및 상기 복수의 고정바(32a)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테두리(32b)로 이루어진 프레임(32)과, 상기 프레임(32)의 상부를 덮는 상판 필터(33)와,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을 감싸는 측부 필터(34)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감싸여진 상기 측부 필터(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2)과 상기 몸통(31) 사이에 오물퇴적공간(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덮개(20)를 통해 유동되는 유동체 중 오물은 상판 필터(33) 또는 오물퇴적공간(35)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와 같은 액체는 상판 필터(33) 및 측부 필터(34)를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어 배수관(5)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The fluid sorting means 30 has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그리고 퇴적되는 오물이 상판 필터 및 측부 필터(34)를 막을 경우에도 유동되는 우수 및 오수는 측부 필터(34)가 덮여지지 않아 형성된 프레임(32) 상부의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오물의 경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The rainwater and sewage flowing even when the accumulated dirt blocks the top filter and the
상기 집수관(10)에 형성된 안착부(11)의 소정깊이는 상기 덮개(20)를 제거한 상태에서 관리자의 손이 상기 프레임(32)을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깊이이다. The predetermined depth of the
또한, 상기 복수의 고정바(32a)와 테두리(32b)로 이루어진 프레임(32)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상기 집수관(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고정부재는 고정편(41)과 나사(42)로 이루어지되, 고정편(41)의 일단부가 상기 프레임(32)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고정편(41)의 타단부가 상기 집수관(10)의 내측면에 접촉위치되어 그 위치된 고정편(41)의 타단부와 집수관(10)의 내측면간에 나사(42)체결된다. Here, the fixing member is composed of a
상기 상판 필터(33)와 상기 측부 필터(34)는 필터 고정부재(50)에 의해 상기 프레임(32)에 고정된다. The
여기서, 필터 고정부재(50)는 양단부에 체결공이 구비된 환형 띠(51)와, 나사(52)로 이루어져 있어 먼저, 상판 필터(33)를 프레임(32)의 상부에 덮으면 상판 필터(33)의 가장자리 부분이 프레임(32)의 상측면에 놓이게 되고, 그 프레임(32)의 상측면에 놓여진 상판 필터(33)의 가장자리 부분에 환형 띠(51)를 감싼다. 이후, 그 감싸여진 환형 띠(51)의 양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52)를 체결하여 조임고정함으로써 프레임(32)의 상부에 상판 필터(33)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Here, the
이와 같은 고정방법을 이용하여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측부 필터(34)를 고정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측부 필터(34)의 상,하부에 각각 2개의 고정부재(5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ing the fixing method,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인 교량용 집수구는 슬래브(1)와 아스콘(2)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슬래브(1) 양생 시 배수관(5)에 집수관(10)을 매립한다.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catchment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ridge top plate covered with the
여기서, 배수관(5)과 집수관(10)의 연결고정은 배수관(5)과 집수관(10)이 맞닿는 부분에 패킹으로 감싼 후 그 감사여진 패킹의 양단부에 나사체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fixing of the
이후, 집수관(10) 상단부의 내측에 형성된 덮개 안착턱(12) 상에 덮개(20)를 안착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Thereafter, the
이와 같이, 교량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우수 및 오수에 오물이 포함된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을 통해 유입된다. As such, when a fluid containing dirt in rainwater and sewage is generated through the bridge catchment,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bridge deck, the generated fluid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이때,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1)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20)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22)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유동체의 유동면적을 극대화했기 때문에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의 급증과 같이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10)으로 유입된다. At this time, the surface in which the
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는 먼저 프레임(32)의 상부에 덮혀진 상판 필터(33)로 유동된다.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도달된 유동체 중 오물은 상판 필터(33) 상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는 상판 필터(33)를 통과하여 집수관(10)으로 유입된다. 이후,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배수관(5)을 통해 하천과 같은 외부로 방출된다. The dirt in the fluid reached is deposited on the
또한, 상판 필터(33)에 퇴적된 오물의 양이 많아 상판 필터(33)에 퇴적된 오물이 프레임(32)의 측면으로 떨어진다 하더라도 프레임(32)의 측면으로 떨어진 오물은 프레임(32)의 하부측면에 감싸여진 측부 필터(34)에 의해 프레임(32)과 몸통(31) 사이에 형성된 오물퇴적공간(35) 상에 재차 퇴적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amount of dirt deposited on the
그리고 교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소정기간마다 교각의 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집수구에 안착된 덮개(20)를 제거한다. And the manager who manages the pier removes the
이후, 고정편(41)과 나사(42)로 이루어진 고정부재에 의해 나사체결된 집수관(10)과 프레임(32)의 나사고정을 해제하고, 프레임(32)을 집수관(10)으로부터 꺼내어 상판 필터(33) 상과 오물퇴적공간(35) 상에 퇴적된 오물들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집수관(10) 및 배수관(5)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crews of the collecting
또한,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 및 우수가 급증할 경우 상판 필터(33) 및 측부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오수 및 우수는 프레임(32)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이때에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sewage and rainwater caused by heavy rain or bridge cleaning increases rapidly, the sewage and rainwater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분 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integrated state showing a sewage collecting ho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ho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언급하기에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의한 작용설명은 제외하기로 한다. Prior to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by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우수, 오수 및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집수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상부 내측에 덮개 안착턱(12)이 구비되고, 소정깊이에서 내부의 폭이 하방으로 좁아져 안착부(11)가 형성된 집수관(10)과, 상기 집수관(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것으로 전면에 다수의 유입공(21,22)이 형성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는 유동체선별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atch port for discharging the fluid containing the rainwater, sewage and dirt to the outside, the catch port is provided with a cover seating jaw (12) in the upper inside,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width is narrow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여기서, 상기 유동체선별수단(A)은,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배치되고, 상기 적층배치된 상부 테두리(61), 이음 테두리(62), 하부 테두리(63)가 복수의 고정바(64)에 의해 고정연결된 프레임(60)과, 상기 프레임(60)의 바닥과 하부측면을 감싸는 필터(70)와, 상기 프레임(60)에 감싸여진 필터(70)를 고정시키는 필터 고정부재(80)로 구성된다. Here, the fluid selection means (A), the
여기서, 상기 상부 테두리(61)와 이음 테두리(62)는 동일한 폭을 갖고, 상기 하부 테두리(63)는 이음 테두리(62)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내측면과 유동체선별수단(A) 간의 연결고정은 고정편(65)의 일단부가 프레임(60)을 구성하는 고정바(64)의 상부 외측단에 고정되고, 고정편(65)의 타단부가 상기 덮개(20)의 내측면에 위치되어, 그 위치된 고정편(65) 의 타단부와 덮개(20)의 내측면 간에 나사(66)체결되어 고정된다. The connection fixing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교량용 집수구를 통해 우수 및 오수에 오물이 포함된 유동체가 발생할 경우 그 발생된 유동체는 덮개(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1,22)을 통해 유입된다. As such, when a fluid containing dirt in rainwater and sewage is generated through the bridge catchment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ted fluid is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21 and 22 formed in the
덮개(20)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체는 덮개(20)와 나사체결된 프레임(60)의 바닥쪽으로 떨어진다. 이때, 프레임(60)의 바닥과 하부측면은 필터(70)로 감싸여져 있기 때문에 떨어지는 유동체 중 오물은 필터(70) 상에 퇴적되고, 우수 및 오수는 필터(70)를 통과하여 집수관(10)으로 유입된다. 이후, 유입된 우수 및 오수는 배수관(5)을 통해 하천과 같은 외부로 방출된다.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또한, 폭우 또는 교량청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수 및 우수가 급증할 경우 필터(70)를 통과하지 못한 오수 및 우수는 프레임(7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된 공간(S)을 통해 집수관(10)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이때에도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sewage and rainwater caused by heavy rain or bridge cleaning increases sharply, the sewage and rainwater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그리고 교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유지보수를 위해 소정기간마다 교각의 상판에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집수구에 안착된 덮개(20)를 제거 시 그 제거되는 덮개(20)와 나사체결된 프레임(70)도 함께 들려지기 때문에 개방된 공간(S)부분을 통해 덮개(20)와 프레임(70) 간을 고정시켜 주는 나사(66)를 체결해제한 후 프레임(70)의 바닥에 퇴적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집수관(10) 및 배수관(5)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And the manager who manages the pier i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포함하는 유동체 중 오물만이 집수관에 형성된 필터 또는 오물퇴적공간에 퇴적되기 때문에 집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환경오염도 추가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logging of the collecting pipe and the drain pipe in advance because only the dirt of the fluid including the dirt flowing through the cover is deposited in the filter or dirt deposition space formed in the collecting pipe. For this reas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lso exhibits an effect that can be further prevented.
또한, 집수관의 퇴적된 오물의 수거도 용이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lection of the accumulated dirt of the collection pipe is also easy, there is a convenient maintenance effect.
또한, 덮개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 중 교량 상판인 아스콘 상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체가 최초로 닿는 덮개 가장자리 부분에 유입공이 형성된 면은 소정각도로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어 교량 상판으로부터 유동되는 유동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도 원활하게 유동체가 배수관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surface in which the inflow hol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over where the fluid flowing down on the asphalt top of the bridge among the inflow holes formed in the cover first touches is form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even when the amount of fluid flowing from the bridge top plate is large. It allows the fluid to flow smoothly into the drai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en) | 2005-05-16 | 2005-05-16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en) | 2005-05-16 | 2005-05-16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8044A KR20060118044A (en) | 2006-11-23 |
KR100683119B1 true KR100683119B1 (en) | 2007-02-15 |
Family
ID=3770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0471A KR100683119B1 (en) | 2005-05-16 | 2005-05-16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311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301B1 (en) | 2008-04-03 | 2010-05-19 |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 A water collect device for bridge |
KR101084698B1 (en) | 2009-04-10 | 2011-11-22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Drain for bridge |
KR200460809Y1 (en) * | 2008-12-02 | 2012-06-11 | 삼우기연 주식회사 | A drain for bridg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944B1 (en) * | 2009-05-11 | 2010-05-26 | 김원주 | Drainage unit for bridge of mounting filter with early rainwater purification function |
KR100972093B1 (en) * | 2009-05-11 | 2010-07-22 | 김원주 | Drainage unit for bridge of an airtight structure easily installed drainpipe |
CN105862585B (en) * | 2016-04-29 | 2017-06-23 | 刘刚 | Bridge floor sewage-treatment plant |
KR200490374Y1 (en) * | 2019-05-29 | 2019-11-04 | 진효순 | Bridge drain un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957A (en) * | 2001-07-07 | 2003-01-15 | 태 찬 김 | Velvet absorptive paper |
-
2005
- 2005-05-16 KR KR1020050040471A patent/KR10068311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957A (en) * | 2001-07-07 | 2003-01-15 | 태 찬 김 | Velvet absorptive pap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03049570000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301B1 (en) | 2008-04-03 | 2010-05-19 | 주식회사 리더스산업 | A water collect device for bridge |
KR200460809Y1 (en) * | 2008-12-02 | 2012-06-11 | 삼우기연 주식회사 | A drain for bridge |
KR101084698B1 (en) | 2009-04-10 | 2011-11-22 |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 Drain for brid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8044A (en) | 2006-1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86333B2 (en) | Storm drain filtration system | |
KR100683119B1 (en) |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sanitarily sewage | |
KR100896015B1 (en) | Non-point source decrease equipment | |
KR100721237B1 (en) | Collecting basin device for a bridge | |
KR101023537B1 (en) | Improve rainwater treatment system | |
KR101277785B1 (en) | Filter having rain water box | |
KR101683816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912590B1 (en) | A draining system for bridge | |
KR20110010631U (en) | Alien substance filtering device for sewer | |
KR20090126063A (en) | Drain sewage | |
KR100976853B1 (en) | Drain box | |
KR100845544B1 (en) | Collection unit of rainwater and sewage | |
KR100755626B1 (en) |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 |
KR102265280B1 (en) | A drain for bridge | |
KR200416118Y1 (en) | Inlet receiving rain water or sewage | |
KR20060008252A (en) | A drainage system of bridge provide with waste drain | |
KR20160087099A (en) | Drain apparatus for bridge having horseshoe arch shape | |
KR101710061B1 (en) | Intercepting Chamber of Sewage Line | |
KR20080105855A (en) | Device for filtering an trash | |
KR200228281Y1 (en) | A anti-smell cover plate of wate spout with steel grating | |
KR100729127B1 (en) | Collecting apparatus | |
KR101027931B1 (en) | Rainwater for grating | |
KR102526838B1 (en)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 |
KR101313042B1 (en) | Device for inflow of rainwater and separating of earth and sand | |
KR100499612B1 (en) | Solid Separation and Filtered water obtainment method by Screen Cha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