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22B1 -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22B1
KR102536522B1 KR1020210117806A KR20210117806A KR102536522B1 KR 102536522 B1 KR102536522 B1 KR 102536522B1 KR 1020210117806 A KR1020210117806 A KR 1020210117806A KR 20210117806 A KR20210117806 A KR 20210117806A KR 102536522 B1 KR102536522 B1 KR 10253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cking area
server
list
patter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717A (ko
Inventor
정형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1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2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추적 영역 중에서, 제 1 추적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에 대하여,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SERVER CONTROL METHOD AND SERVER}
실시예들은 추적 영역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은 이동하는 단말에 대하여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추적 영역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표준 단체의 총회에서 5G 구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2020년 이전 빠른 상용화 수요를 가진 국가의 통신 사업자들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요구와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표준 기술을 연구하고 만드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이 두 가지 상반된 요구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구조 후보안들이 논의되었고, 논의 결과 빠른 상용화를 원하는 사업자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새로운 5G 표준인 NR(New Radio) 기술을 기존 4G 표준인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여 LTE 커버리지와 NR 커버리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Non Standalone (NSA) 구조가 도입되었다.
현재의 NSA 구조 하에서 5G 서비스는 기존 4G 서비스를 기반으로 단말과 망 간의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해 단말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로(즉, 세션)을 변경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5G를 지원하는 단말(이하, 편의상 “5G 단말”이라 칭함)이 NR 커버리지 내에 있으면 5G 기지국(gNB)과 통신하고, LTE 커버리지 내에 있으면 4G 기지국(eNB)과 통신한다. 이때,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셀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에 따라, 단말에 대한 기지국 간 또는 셀 간 핸드오버(handover)가 이루어진다. 단말이 기지국 간 또는 셀 간 이동하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위치를 추적 및 관리함으로써, 페이징을 통한 가입자 호출이 가능하다. 이때,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단말의 위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말에 대하여 추적 영역(TA, Tracking Area)을 할당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몇 개의 기지국을 그룹화하여, 각 추적 영역마다 고유값(TAC, Tracking Area Code)을 생성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잦은 위치 등록을 방지하기 위하여 몇 개의 TAC를 그룹화하여, 추적 영역 목록(TAL, Tracking Area List)을 시스템 상에 등록한다.
그러나, TAL이 너무 작은 경우, 빈번한 위치 등록이 발생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TATL이 너무 큰 경우, 가입자 호출 시 기지국 페이징으로 인한 무선 주파수 자원 및 시스템 부하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은 최적의 크기를 갖는 TAL을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예들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추적 영역 중에서, 제 1 추적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에 대하여,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등록 요청은, 단말이, 단말에 대해 기 설정된 제 2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발생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행동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단말의 신호 빈도 및 단말의 이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의 신호 빈도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단말의 셀 변경 주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는, 단말의 셀 변경 주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짧은 경우인 셀, 추적 영역 및 추적 영역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의 이동 패턴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이 위치한 셀의 위치, 단말이 위치한 셀의 방문 횟수,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위치,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방문 횟수,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위치 및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는, 단말이 위치한 셀의 방문 횟수,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방문 횟수 및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큰 경우의 셀, 추적 영역 및 추적 영역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가 외부 서버로부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서버는, 단말이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추적 영역 목록을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간 뒤에 외부 서버로부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재수신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은, 서버가 생성한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외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는, 5G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능(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을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추적 영역 중에서, 제 1 추적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고, 단말에 대하여,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행동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단말의 신호 빈도 및 단말의 이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최적의 크기 또는 위치로 구성되는 TAL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최적의 TAL을 제공함으로써, 위치 등록 부하와 페이징 부하를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다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은 4G 표준인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및(또는) 5G 표준인 NR(New Radio)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4G 표준 및 5G 표준에 정의된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다른 망-예를 들면, IoT망-의 디바이스들과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언급되는 단말은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고정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 UE(User Equipment),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등과 대체 될 수 있고, 또는 본 명세서 상에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되는 TA(Tracking Area, 추적 영역)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AI(Tracking Area Identifier) 및/또는 TAC(Tracking Area Code)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특히 3GPP 표준상의 Non Standalone (NSA)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NSA시스템은 NR(New Radio) 기술을 기존 LTE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여 LTE 커버리지와 NR 커버리지를 동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NR 커버리지만을 제공하는 Stand Alone (SA) 시스템과 구분된다.
5G NR 사용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gNB과 en-gNB 두 가지로 정의 될 수 있다. 전자는 NR 커버리지만을 제공하는 Stand Alone (SA) 시스템에서만 사용되고, 후자는, Non Standalone (NSA)시스템에 사용되는 기지국이다.
gNB은 NR 기술 및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차세대 기지국이고, en-gNB은 NR 기술 및 5G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LTE 시스템의 코어인 EPC와 기지국인 eNB와 연동되는 새로운 형태의 기지국이다. eNB는 LTE 기술과 EPC(Enhanced Packet Core)와의 연동을 지원하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이다.
하나 이상의 RX/TX를 지원하는 단말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이 제어하는 리소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기술을 Dual Connectivity (DC)라고 부르는데 5G NSA 구조는 3GPP 표준 단체에서 정의한 DC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은 UE(User Equipment, 10), eNB(Evolved Node B, 20), S-GW(Serving Gateway, 30),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40),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50), HSS(Home Subscriber Server, 60), PDN(Packet Data Network, 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UE(10)는 LTE 및(또는) NR 표준을 따르는 사용자 단말로서, LTE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eNB(2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LTE Uu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평면이 정의된다.
UE(10)는 NR 표준을 지원하는 기지국인 gNB(미도시) 또는 LTE 및 NR 표준을 모두 지원하는 기지국인 en-gNB(22)와도 연동될 수 있다.
eNB(20)는 UE(10)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수락 제어, 동적 무선 자원 할당, 부하 제어(Load balancing) 및 셀 간 간섭 제어 등과 같은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S-GW(30)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과 EPC(Evolved Packet Core)의 종단으로서, eNB(20)간 핸드오버 및 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앵커링 포인트(Anchoring point)가 된다. 여기서, E-UTRAN은 적어도 하나의 eNB(20)로 구성되며, EPC는 S-GW(30), P-GW(40) 및 MME(50)로 구성된다.
P-GW(40)는 UE(10)를 외부 PDN(Packet Data Network, 100)과 연결해주며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GW(40)는 UE(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하고 3GPP 시스템과 non-3GPP 시스템 간 핸드오버 시 모빌리티 앵커링 포인트(Mobility anchoring point)로 동작한다. 특히, P-GW(40)는 PCRF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규칙을 수신하여, 이를 해당 서비스 흐름에 적용하며, UE(10)/SDF(Service Date Flow) 별 과금 기능을 제공한다.
MME(50)는 UE(10)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엑세스 제어 기능, 네트워크 자원 할당 기능, 트래킹(Tracking) 기능, 페이징(Paging) 기능, 로밍(roaming)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MME(50)는 복수의 eNB(20)를 관리하고, 기존 2G/3G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해 소정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MME(50)는 HSS(60)와 연동하여 접속 UE(10)에 대한 인증 및 보안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유휴 단말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MME(50)는 HSS(60)로부터 인증 벡터를 획득하고, 해당 인증 벡터를 이용하여 UE(10)와 상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MME(50)는 UE(10)와 MME(50) 사이의 보안을 위한 보안 키를 설정할 수 있다.
HSS(60)는 사용자 프로파일(Subscriber profile)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서, MME(50)에게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사용자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Uu는 UE(10)와 eNB(20)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S1-U는 eNB(20)와 S-GW(3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베어러 별 GTP 터널링이 제공된다.
S5는 S-GW(30)와 P-GW(4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평면은 베어러 별 GTP 터널링을 제공하고, 제어 평면은 GTP 터널 관리를 제공한다.
SGi는 P-GW(40)와 PDN(90) 간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을 정의한다. 사용자 평면에서는 IETF 기반 IP 패킷 포워딩(Forwarding)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제어 평면에서는 DHCP와 RADIUS/Diameter와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S11는 MME(50)와 S-GW(30)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이 정의되며, 베어러 당 GTP 터널링이 제공된다.
X2는 두 eNB(20) 또는 서로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지원하는 두 기지국(eNB(20)와 En-gNB(22)) 간 인터페이스로서,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을 제공한다. 제어 평면에서는 X2-AP 프로토콜이 사용되며, 사용자 평면에서는 X2 핸드오버 시 데이터 포워딩(Forwarding)을 위해 베어러 당 GTP(GPRS Tunneling Protocol) 터널링을 제공한다.
S6a는 HSS(60)와 MME(50)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제어 평면이 제공되며, UE 가입 정보 및 인증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2000은 이동 통신 영역을 나타낸다. 이동 통신 영역(2000)은 단말(1100, 도 3 참조,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UE(1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고 관리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다.
이동 통신 영역(20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셀(도시되지 않음)들을 포함하는 TA(210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통신 영역(2000)은 복수 개의 TA(2100)를 포함하는 TAL(220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L(2200)은 예를 들어 제 1 TAL(2201), 제 2 TAL(2202), 제 3 TAL(2203) 및 제 4 TAL(2204)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TAL(2201)은 제 1 내지 제 3, 제 7 내지 제 9 TA를 포함하고, 제 2 TAL(2202)은 제 4 내지 제 6, 제 10 내지 제 12 TA를 포함하고, 제 3 TAL(2203)은 제 13 내지 제 15, 제 19 내지 제 21 TA를 포함하고, 제 4 TAL(2204)은 제 16 내지 제 18 및 제 22 내지 제 24 TA를 포함한다. 이때, 도 2에서 2109는 제 9 TA를 나타내고, 2110은 제 10 TA를 나타내고, 2115은 제 15 TA를 나타내고, 2116는 제 16 TA를 나타낸다.
이때, 각각의 제 1 TAL(2201), 제 2 TAL(2202), 제 3 TAL(2203) 및 제 4 TAL(2204)은 서버(1200, 도 3 참조)에 의해 단말(1100)과 관계 없이 획일적으로 구획 및 할당 된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a는 단말(1100)의 이동을 나타낸 것으로, 단말(1100)은, 예를 들어,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제 16 TA(2116)를 순차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이 제 9 TA(2109)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1100)에 대해, 제 9 TA(2109)를 포함하는 제 1 TAL(2201)로 위치 등록 및 할당을 실시한다. 또한, 서버(1200)는, 단말(1100)이 제 10 TA(2110)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1100)에 대해, 제 10 TA(2110)를 포함하는 제 2 TAL(2202)로 위치 등록 및 할당을 실시한다. 또한, 서버(1200)는, 단말(1100)이 제 15 TA(2115)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1100)에 대해 제 15 TA(2115)를 포함하는 제 3 TAL(2203)로 위치 등록 및 할당을 실시한다. 또한, 서버(1200)는, 단말(1100)이 제 16 TA(2116)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1100)에 대해 제 16 TA(2116)를 포함하는 제 4 TAL(2204)로 위치 등록 및 할당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서버(1200)는, 현재 단말(1100)이 위치하는 TA를 포함하는 TAL로서, 지리적으로 획일적이게 구획된 TAL을 단말(100)에 대해 등록/할당한다. 서버(1200)는, 예를 들어, 단말(1100)이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제 16 TA(2116)를 순차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이동하는 경우, 단말(1100)의 이동 시마다 제 1 내지 제 4 TAL(2201 내지 2204)에 대한 등록(Location Update)을 실시한다.
따라서, 이 경우 빈번한 위치 등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획일적으로 구획 된 TAL의 경우, 빈번한 위치 등록 메시지 유발로 인하여, 서버(1200)는 시스템 부하 및/또는 페이징 부하가 발생한다. 그러나, TAL을 단순히 크게 설정하는 경우, 가입자 호출 시에 기지국 페이징으로 인한 무선 주파수 자원 및 시스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하의 발생을 감소시키면서 최적의 크기 또는 위치를 갖는 TAL의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A 또는 TAL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1100) 및 단말(110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서버(120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1000)은, 서버(1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1100) 및 서버(12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AMF(Access & Mobility Management Functio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1100)에 대해 무선 또는 유선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1000)은, 외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고정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2G, 3G, 4G, LTE 및 5G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 탑 컴퓨터 등을 포함한다.
단말(1000)은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eNB, gNB)으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이때, 기지국은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200)에 포함되는 개념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은 TA(예를 들어, 도 2에서 설명한 2100)를 할당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서버(1200)와 통신 가능한 별개의 개념일 수 있고, 이 경우 기지국은 서버(1200)가 단말(1100)에 대해 할당한 TA에 따라 단말(1100)의 위치를 파악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단말(1000)은 AMF(1400)(access &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를 통해 서버(1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버(1200)의 역할을 AMF(1400)가 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200)는, 단말(100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을 수신하면, 단말(1000)에 대해 TAL을 할당한다. 이때, 위치 등록 요청은, 단말(1000)이 기 설정된 TAL로부터 벗어남으로써, 기 설정된 TAL의 데이터 수신 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즉, 위치 등록 요청은, 단말(1000)이 기 설정된 TAL에 포함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원활히 제공되는 서비스 지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발생한다.
서버(1200)는 단말(1000)로부터 단말(1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1100)에 대해 새로운 TAL을 할당한다. 또는, 서버(1200)는 외부 서버(1300)로부터 단말(11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1100)에 대해 새로운 TAL을 할당한다.
서버(1200)는, 단말(1100)에 최적화 된 TAL을 할당하기 위하여,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서버(1200)는,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이때, 새로운 TAL은 단말(1100)이 현재 위치하는 TA를 포함한다.
서버(1200)는, 단말(1100)로부터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또는, 서버(1200)는, 외부 서버(1300)로부터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
행동 패턴 정보는, 단말(1100) 고유의 이동 패턴 및 CDR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 패턴은, 단말(1100)의 이동 패턴으로서, 최근 TA 및 등록 시간을 포함한다. 이동 패턴은,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1100)이 위치한 셀의 위치, 단말(1100)이 위치한 셀의 방문 횟수, 단말(1100)이 위치한 TA의 위치, 단말(1100)이 위치한 TA의 방문 횟수, 단말(1100)이 위치한 TAL의 위치 및 단말(1100)이 위치한 TAL의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일주일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1100)의 이동 패턴을 획득하기에 적절한 기간이면 된다.
CDR 정보는, 단말(1100)의 신호 빈도(착신호 빈도)를 포함한다. CDR 정보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1100)의 셀 변경 주기, 단말(1100)의 TA 변경 주기 및 단말(1100)의 TAL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기 설정된 기간은, 예를 들어, 일주일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말(1100)의 CDR 정보를 획득하기에 적절한 기간이면 된다.
서버(1200)는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한 TAL을 생성, 등록 및 할당함으로써, 각 단말(1100)에 대해 최적화 된 TAL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단말(1100)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TAL을 생성, 등록 및 할당함에 따라 서버(1200)는 적절한 크기 및 적절한 수의 TA를 갖는 TAL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TAL 변경으로 인한 위치 등록 메시지의 발생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서버(1300)는 서버(1200)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서버 또는 네트워크이다. 외부 서버(1300)는 예를 들어 UDR(Usage Data Record, User Data Repository), OAM(Operation and Management)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1300)가 UDR인 경우, 외부 서버(1300)는 서버(1200)로 단말(1100)의 이동 패턴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 서버(1300)가 OAM인 경우, 외부 서버(1300)는 서버(1200)로 단말(1100)의 CDR 정보(예를 들어, 신호 빈도)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서버(1300)는 도 1 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베이스를 모두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0) 내의 구성 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4에서는, 각 구성을 통해 TAL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른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인 단말(1100), 서버(1200) 및 외부 서버(1300) 간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서버(1200)는 단말(110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s101)한다.
서버(1200)는, 위치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1300)로 행동 패턴 정보를 요청(s102)하고, 외부 서버(1300)로부터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s103)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동 패턴 정보는 이동 패턴 및 신호 빈도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버(1200)는, 외부 서버(1300)로부터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단말이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TAL ID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1100)에 대한 기 저장된 또는 기 수신된 행동 패턴 정보가 없는 경우, 서버(1200)는 외부 서버(1300)로부터 단말(1100)에 대한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에 대한 행동 패턴 정보가 획득 될 때까지, 행동 패턴 정보에 기반하지 않은 TAL을 등록한다. 행동 패턴 정보에 기반하지 않은 TAL은, 예를 들어, 지리적으로 기 나누어진 TAL을 포함한다.
서버(1200)는, 행동 패턴 정보에 기반하지 않은 TAL을 먼저 할당한 후, 기 설정된 기간이 뒤에 단말(1100)에 대한 행동 패턴 정보가 충분히 모아졌음이 파악되면, 행동 패턴 정보를 재수신한다. 서버(1200)는 재수신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TAL을 생성한다.
서버(1200)는, 수신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s104)한다. 서버(1200)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방문한 셀, TA, TAL에 대하여 획득 및 분석한다. 또는, 서버(1200)는,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방문한 셀, TA, TAL에 대하여 얼마나 자주 방문하였는지 또는 방문하는 주기가 어떠한지 등에 대하여 획득 및 분석한다. 즉, 서버(1200)는, 셀 변경 주기, TA 변경 주기 또는 TAL 변경 주기에 대하여 분석한다.
서버(1200)는, 분석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추적 영역 목록(2205, 도 6 참조)을 생성(s105)한다.
서버(1200)는 획득 및 분석한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방문한 셀, TA, 또는 TAL이 포함되도록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또는, 서버(1200)는 획득 및 분석한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방문 주기가 짧은 셀, TA 또는 TAL이 포함되도록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또는, 서버(1200)는 획득 및 분석한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오래 방문 한 셀, TA 또는 TAL이 포함되도록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또는, 서버(1200)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방문했거나, 방문 주기가 짧게 방문했거나 또는 오래 방문한 셀, TA 또는 TAL 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셀, TA 또는 TAL이 포함되도록 새로운 TAL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서버(1200)는 단말(1100) 개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TAL을 생성함으로써, 단말(1100)에 대한 TAL이 자주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버(1200)는, 단말(1100)에 대하여, 생성한 추적 영역 목록을 등록 및 할당(s106)한다. 서버(1200)는, 생성한 TAL을 외부 서버에 등록한다. 또한, 서버(1200)는, 생성한 TAL을 단말(1100)에 할당한다.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르면, 서버(1200)는 단말(1100)에 대해 획일적인 TAL이 아닌, 단말(1100) 고유의 특성을 고려한 TAL을 생성하여 할당 및/또는 등록 가능하다. 즉, 이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1000) 및 각 구성들에 대한 위치 등록 및 페이징으로 인한 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도 2에서 설명한 위치 등록 부하 및 페이징 부하가 개선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1100, 도 3 참조)은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0)은, 기 설정된 기간인 일주일 동안, 제 1 TAL 내지 제 4 TAL(2201 내지 2204) 중에서,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만을 방문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의 이와 같은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2205)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1100)은, 기 설정된 기간인 일주일 동안, 제 1 TAL 내지 제 4 TAL(2201 내지 2204) 중에서,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에 많이 방문했고, 예를 들어,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 순서대로 많이 방문했을 수 있다. 이때, 서버(1200)는, 하나의 TAL 내에 포함되는 TA의 개수를 기 설정해 둘 수 있고, 기 설정된 개수가, 예를 들어, 4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의 이와 같은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가장 많이 방문한 4 개의 TA인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 및 제 16 TA(2116)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2205)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1100)은, 기 설정된 기간인 일주일 동안, 제 9 TA(2109)에 가장 짧은 주기로 방문했을 수 있고, 제 9 TA(2109)를 거쳐서 제 10 TA(2110)와 제 15 TA(2115)를 왕래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의 이와 같은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가장 짧은 주기로 방문한 제 9 TA(2109)를 둘러싸는 TA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1100)은, 기 설정된 기간인 일주일 동안, 제 9 TA(2109)에 가장 오래 방문한 상태를 유지하였을 수 있고, 제 9 TA(2109) 방문 전후로 제 10 TA(2110) 및 제 15 TA(2115)를 방문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200)는 단말(1100)의 이와 같은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제 9 TA(2109), 제 10 TA(2110), 제 15 TA(2115)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서버(1200)는, 위와 같은 예시들에 있어서, 단말(1100)이 가장 많이 방문하였거나 또는 가장 짧은 주기로 방문하였거나 또는 가장 오래 방문한 TA(예를 들어, 제 9 TA) 를 포함하면서, 해당 TA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TA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1200)는, 단말(1100)이 가장 많이 방문하였거나 또는 가장 짧은 주기로 방문하였거나 또는 가장 오래 방문한 TA(예를 들어, 제 9 TA)와 인접하는 2 이상의 TA를 포함하는 새로운 TAL을 생성할 수 있다.
획일적으로 기 저장된 TAL인 2201 내지 2204의 경우, 단말(1100)의 이동(a)에 따라 TAL이 2201 내지 2204로 계속하여 변경되고, 이에 따른 등록 요청이 빈번히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통해 생성된 TAL인 2205의 경우, 단말(1100)의 이동(a) 시에도 TAL의 등록 요청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빈번한 등록 요청에 따른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통해 생성된 TAL인 2205는,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것이므로 불필요한 크기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요 이상으로 큰 TAL에 의한 페이징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TA 및/또는 TAL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다른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200)(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서 설명함)는, 통신부(1210) 및 제어부(1220)를 포함한다. 서버(1200)는, 5G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능(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서버(1200)는, 예를 들어, 기지국(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eNB, gNB)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200)는, 예를 들어, AMF(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한 AMF)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10)는, 단말(1100, 도 3 참조)로부터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부(1220)는,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단말(1100)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한다. 제어부(1220)는,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하는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한다. 제어부(1220)는, 생성한 추적 영역 목록을 외부 서버(예를 들어, 도 3에서 설명한 1300)에 등록한다. 이때, 제어부(1220)는, 서버(1200)가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는 경우, 메모리에도 또는 메모리에만 추적 영역 목록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20)는, 단말(1100)에 대하여 생성한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한다.
이때 행동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단말(1100) 또는 외부 서버(130)를 통해 획득된 단말(1100)의 신호 빈도 및/또는 단말(1100)의 이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 통신 기지국, 사용자 단말 및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0: 이동 통신 시스템
1100: 단말
1200: 서버
1300: 외부 서버
2000: 이동 통신 영역
2100: TA
2200: TAL

Claims (13)

  1.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추적 영역 중에서, 제 1 추적 영역에 위치하는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상기 단말의 신호 빈도 및 상기 단말의 이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신호 빈도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단말의 셀 변경 주기,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의 셀 변경 주기,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짧은 경우인 셀, 추적 영역 및 추적 영역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청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대해 기 설정된 제 2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발생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이동 패턴은,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단말이 위치한 셀의 위치, 상기 단말이 위치한 셀의 방문 횟수,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위치,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방문 횟수,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위치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이 위치한 셀의 방문 횟수,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의 방문 횟수 및 상기 단말이 위치한 추적 영역 목록의 방문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큰 경우의 셀, 추적 영역 및 추적 영역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이 현재 등록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추적 영역 목록 ID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기간 뒤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재수신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영역 할당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생성한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외부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5G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능(NWDAF,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을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12.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 개의 추적 영역 중에서, 제 1 추적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등록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상기 단말의 행동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한 상기 단말의 셀 변경 주기,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상기 분석된 행동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추적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의 셀 변경 주기,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변경 주기 및 상기 단말의 추적 영역 목록 변경 주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가장 짧은 경우인 셀, 추적 영역 및 추적 영역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 1 추적 영역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 대한 추적 영역을 할당하는 서버.
  13. 삭제
KR1020210117806A 2021-09-03 2021-09-03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KR10253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06A KR102536522B1 (ko) 2021-09-03 2021-09-03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06A KR102536522B1 (ko) 2021-09-03 2021-09-03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17A KR20230034717A (ko) 2023-03-10
KR102536522B1 true KR102536522B1 (ko) 2023-05-26

Family

ID=8557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806A KR102536522B1 (ko) 2021-09-03 2021-09-03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793B1 (ko) * 2014-01-22 2020-11-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추적 영역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622A (ko) * 2009-08-14 2011-02-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등록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29847A (ko) * 2013-09-10 2015-03-19 주식회사 케이티 추적영역 리스트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적영역 리스트 생성 방법
CN110351229B (zh) * 2018-04-04 2020-12-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终端ue管控方法及装置
KR102654119B1 (ko) * 2018-11-16 202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Ladn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793B1 (ko) * 2014-01-22 2020-11-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추적 영역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17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57676A1 (en) Control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80115924A1 (en) Dynamic Exchange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JP2009542149A (ja) デュアルsim無線通信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
CN112929936B (zh) 小区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基站设备
CN105850203B (zh) 用于基于邻近的服务的方法和装置
CN110419242B (zh) 聚合连接建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355408B2 (en) Advertising service method us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9565785A (zh) 一种寻呼方法和寻呼设备
CN109429279A (zh) 一种选择无线接入网设备的方法及装置
KR10212778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813402A (zh) 通信路径的切换方法及装置、切换处理装置及系统
CN103546926A (zh) 无线局域网邻居用户设备的确定方法及装置
CN113811025A (zh) 一种释放中继连接的方法、设备及系统
KR101989137B1 (ko) S1ap시그널링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536522B1 (ko)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서버
US20090221270A1 (en) method of providing mobility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340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vice-to-device (d2d) authorization information
JP2015082832A (ja) 無線端末、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2525369B1 (ko) 이동 통신 기지국 서버, 이동 통신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1817267B1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장치 및 방법
KR102362560B1 (ko)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526560B (zh) 服务小区信息的更新方法及装置
WO2016173296A1 (zh) 一种移动网络分级架构的接入方法及系统
KR100635504B1 (ko) 와이브로 망에서의 위치정보 할당방법
KR100685256B1 (ko) 휴대인터넷망에서 mobile ip를 할당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