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25B1 -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25B1
KR102535925B1 KR1020220081951A KR20220081951A KR102535925B1 KR 102535925 B1 KR102535925 B1 KR 102535925B1 KR 1020220081951 A KR1020220081951 A KR 1020220081951A KR 20220081951 A KR20220081951 A KR 20220081951A KR 102535925 B1 KR102535925 B1 KR 10253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beacon signal
installation
facility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용희
(주)더부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희, (주)더부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용희
Priority to KR102022008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3Construction 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고,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배경이 되는 구조체;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설비덕트, 배관 정보를 증강현실 기법으로 표시하는 설치관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가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타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신호발생부;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를 기준으로하는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비콘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On-site inspection system for building equipment ducts, piping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설비덕트,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설비덕트와 배관 설치 시공전에 관리자나 검수자가 대량의 도면 출력물 없이 설계대로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덕트 배관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대형화, 복잡화, 초고층화 됨에 따라 대량의 배관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배관의 종류, 형태, 치수, 간격 등이 다양해짐에 따라 설계의 복잡도 및 설계의 양도 증가되고, 이와 함께 도면의 양도 증가되었으며, 건설 현장에서 건축설비용 공조덕트, 환기덕트, 배기덕트, 외기 덕트 및 급수 오배수배관, 난방배관 소화배관 등의 설치 시공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사항들이 설계대로 이루어졌는지를 시공되기 전에 관리자가 수많은 도면에 찾아 비교하여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감리자에게 감리를 받아 통과된 후에야 다음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리자가 검수할 때나 감리자가 감리할 때 설치된 상태를 도면과 비교하여 확인 및 감리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도면 출력물을 소지하고, 수많은 도면 출력물 중에서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검수 및 감리 시간이 증대될 수 있어서 시공 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설계가 중간에 변경되어 변경된 내용으로 실치시공이 이루어져도 관리자나 감리자가 확인하는 도면이 변경전 도면인 경우 확인 및 감리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인터넷을 통해 건설공사의 감리 업무를 지원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7410호(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이용한 건설공사 감리 업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감리 제어방법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공개된 바 있으며, 상기 인용발명은 도 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사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신규 현장 인사이동 명령에 의거하여 현장 웹페이지를 개설하고, 감리업무 실무사례와 법령 및 기술자료 등을 DB로 구축하여 두고, 감리 업무 절차에 대한 자동 안내와 메뉴별로 자동으로 매칭시킨 감리업무 실무사례를 화면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업무서식을 제공하며, 작성된 업무 자료에 대해 전자결재를 거쳐 저장 관리하고, 보고서와 감리일지의 생성을 제어하는 감리업무 시스템을 구비하여 현장에서 온라인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업무 제어방법은, 그 시스템을 이용해 현장 아이디를 부여해 현장을 개설하는 제1과정과, 실무 사례에 대한 정보를 자동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업무 처리를 위한 서식을 제공하는 제2과정과, 현장에 적용되는 법령에 따라 감리업무 처리 절차를 자동 안내하는 제3과정과, 서식을 직접 작성하여 입력하면, 전자결재에 의해 결재를 하고, DB로 저장 관리하는 제4과정과, 미리 정해진 형태로 자동 보고서를 자동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5과정 및 감리업무시스템 DB를 CD로 작성하여 제공하는 제6과정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감리업무 중 보고업무, 결재업무 등과 같은 서류업무 자체를 전산화한 것이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설비덕트, 배관의 용도 간격, 개수 등이 설계와의 일치 여부 확인, 설비덕트, 배관과 설비덕트, 배관 간의 연결에 이상 유무 확인 등과 같은 감리업무를 전산화한 것이 아니며, 인용발명 역시 설치 상태의 검수 및 감리를 위해서는 대량의 도면 출력물을 직접 소지하고, 감리를 위한 해당 부분을 직접 찾아야하기 때문에 도면의 휴대성이 떨어지고, 감리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시공 기간이 연장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현장에 실시간으로 최종 설계도의 제공이 가능하고, 대량의 도면 출력물 없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배관의 설치를 검수, 감리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세로 설비덕트, 배관과 가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고, 리더기가 읽은 설치 정보와 비교하여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개수, 형상을 검수하며, 상기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의 간격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설비덕트, 배관의 간격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현장 검수가 가능한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고,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배경이 되는 구조체;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설비덕트, 배관 정보를 증강현실 기법으로 표시하는 설치관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가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타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신호발생부;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를 기준으로하는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비콘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콘 신호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체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시점에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신호처리부는 상기 비콘신호발생부에 의하여 발생한 비콘신호와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콘신호의 선후를 비교하여 가장 늦은 비콘신호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최종 기준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최종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상대적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서버는 도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설계도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구조체 중 상기 비콘신호의 발생 기준이 되는 기준 구조체를 선정하는 기준 구조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신호발생부는 상기 기준 구조체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시점에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태그는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을 향하는 구조체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여 태그에서 읽은 설치 정보에 의해 자동 검수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영상의 설비덕트, 배관 위에 설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따.
또한 상기 설치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고, 상기 리더기가 읽은 설치 정보와 비교하여 설치된 설비덕트의 크기, 배관의 개수, 관통 높이를 검수하며, 상기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 간격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설비덕트, 배관 간격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현장에 실제 설치된 설치 상태 영상 위에 설계된 설치 정보를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설치 시공을 검수 및 감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도면 출력물들을 관리자나 감리자가 소지하고 건설 현장을 다녀야 하는 문제점과 대량의 도면 출력물 중 검수 및 감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여 도면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검수, 감리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설치 시공에 사용된 설계도면의 최종 버전을 수신하여 검수 및 감리할 수 있어서 중간에 설계가 변경되어도 시공, 검수, 감리의 업무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시공, 검수, 감리의 진행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도면 출력물과 설계 변경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도면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고도 설치시공의 검수 및 감리가 가능하므로 건설 현장에서의 종이 절감으로 인한 자원 절약, 환경오염 절감 및 쓰레기 배출 절감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한 설비덕트 및 배관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검수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고,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배경이 되는 구조체(200)와, 상기 태그(210)를 읽는 리더기(310) 및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20)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설치 정보를 표시하는 설치관리 프로그램(331)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4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태그(210)가 구조체(200)에 부착된다는 의미는 접착제 등에 의한 부착뿐만 아니라 설치, 인쇄, 고정 등 구조체(200)에 태그(210)가 구비되는 모든 수단,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태그(210)는 전자태그(210),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마커, 꼬리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태그(210)에 저장되는 설치 정보는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 간격, 종류, 개수, 부분 길이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구조의 원도, 부재 일람, 최신 작성 및 수정된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설계도면, 설계도면 수정 리스트 등과 연결되는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설비덕트,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조체(200)는 도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미리 세워지며, 설치되는 설비덕트, 배관을 향하는 구조체(200)의 일면에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고, 이러한 구조체(200)의 일면에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위치, 간격 등을 표시하여 설치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설치 공정에 기초가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구조체(200)는 태그(210)가 부착된 면의 전방으로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되기 때문에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가 설치 시공 부분의 정면에서 촬영 시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상태 영상과 태그(210)가 하나의 화면으로 촬영될 수 있어서 별도로 태그(210)를 읽는 과정 없이, 설치 상태 영상에서 태그(210)의 인식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설치의 감리까지 이상 없이 끝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상기 태그(210)는 자동으로 처리되어 별도로 태그(210)를 제거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구조체(200)에 구비된 태그(210)를 읽는 리더기(310)와, 현장에서 상기 태그(210)와 함께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320)와, 도면을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는 통신부(340)와,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영상및 증강현실 기법으로 서비스서버(400) 및 태그(210)로부터 취득된 설계도면 정보 및 설비덕트, 배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0), 명령어 입력을 위한 입력부(360) 및 상기 통신부(340)가 연결되며, 일종의 프로그램인 설치관리부(331)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카메라(3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상기 영상의 설비덕트, 배관 위에 설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33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리더기(310)는 별도로 전용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320)가 촬영한 영상에서 태그(210)를 인식하여 태그(210)정보를 읽는 프로세서(33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프로세서(330)는 카메라(320)가 촬영하는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세로 설비덕트(110a) , 배관(110b)과 가로 설비덕트(120a), 배관(120b)을 인식하고, 리더기(310)가 읽은 설치 정보와 비교하여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개수, 형상 등을 검수할 수 있으며,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 간격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설비덕트, 배관 간격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할 수 있어서, 검수하는 관리자나 감리자는 설비덕트, 배관의 직격, 간격 중 어느 하나만을 확인하면 검수가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검수 및 감리의 편의성 향상 및 검수, 감리의 시간을 단축하여 보다 적은 인원으로 많은 량의 설치 상태 검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기본적인 구성부로서 자이로센서(미도시)와 GPS 수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30)는 설치 관리부(331)와 함께 비콘신호발생부(333)와 비콘신호처리부(335)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디스플레이부(350)에 현실의 영상과 함께 설비 덕트 등의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현장에서의 정확한 위치와 방향의 검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의 경우 GPS 수신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 경우 실내 환경이거나 주변 방해물이 많은 환경에서는 정확한 정보의 취득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비콘 등을 이용하여 실내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일정한 거리마다 다수의 비콘들을 설치하는 등의 비용과 시간면에서의 소모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각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비콘신호발생부(333)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여 타 사용자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비콘이라 함은 신호의 세기 및 방향성에 의하여 수신측에서 신호 발생측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일종의 비콘 단말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신호를 발생시켜서 타 사용자 단말기와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타 사용자 단말기는 비콘신호처리부(335)가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자신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비콘신호발생부(33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파악을 위한 기본 신호 이외에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취득한 현장에서의 절대적 위치와 방향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비콘 신호신호발생부(333)는 구조체(200)에 부착된 태그(210)를 읽는 시점에 비콘신호, 즉 기본신호와 함께 촬영된 구조체(200) 및 태그(210) 정보와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방향(카메라 방향)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타 사용자 단말기의 비콘신호처리부(335)는 전송된 비콘신호의 기본 신호와 포함된 정보로부터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와의 절대적 위치와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장 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이러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또는 구조체(200)에 부착된 태그를 읽을 때마다 송신하면, 특정 사용자 단말기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한 비콘신호들의 선후를 비교하여 가장 늦은 태그 촬영 정보가 포함된 비콘신호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최종 기준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최종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상대적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가 송신하는 비콘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각 사용자 단말기 간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구조체 추출부(230)와 기준 구조체 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구조체 추출부(230)는 도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설계도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및 방향을 고려하여 복수의 구조체 중 상기 비콘신호의 발생 기준이 되는 기준 구조체를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태그를 촬영하는 경우 해당 태그가 표시된 구조체가 기준 구조체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때 앞서 설명한 비콘신호발생부는 상기 기준 구조체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시점에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기준 구조체 추출부(230)는 기준 구조체를 간의 간격이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그 사이의 보나 기둥 등 기타 구조물을 기준 구조물로 선정하여 기준 구조체와 함께 병행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설비덕트,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덕트,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관리 방법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구조체(200)가 세워지는 a단계와, 상기 구조체(200)에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210)가 부착되는 b단계와, 사용자 단말기(300)가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상태와 구조체(200)의 태그(210)를 함께 촬영하는 c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촬영되는 설치 상태 영상 중 태그(210)를 인식하여 태그(210)에 저장된 설치 정보를 읽는 d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설치 상태 영상 위에 태그(210)의 설치 정보를 표시하여 현장 검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e단계가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400)와 통신하여 상기 인식한 태그(210)의 설치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서비스서버(400)에서 찾아 수신하는 f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디스플레이부(350)를 통해 상기 인식한 태그(210)의 설치 정보에 해당하는 도면을 표시하는 g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가 설치 상태 영상으로부터 세로 설비덕트(110a), 배관(110b)과 가로 설비덕트, 배관(120)을 인식하여 상기 설치 상태 영상에서의 설비덕트, 배관 직경과 설비덕트, 배관 간격이 태그(210)에 저장된 설치 정보와 같은지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표시하는 h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현장에 실제 설치된 설치 상태 영상 위에 설계된 설치 정보를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설치 시공을 검수 및 감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의 도면 출력물들을 관리자나 감리자가 소지하고 건설 현장을 이동하거나 대량의 도면 출력물 중 검수 및 감리하고자 하는 부분을 찾아야 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검수 및 감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사용자 단말기(300)가 서비스서버(400)로부터 실시간으로 설치 시공에 사용된 설계도면의 최종 버전을 수신하여 검수 및 감리할 수 있어서 중간에 설계가 변경되어도 시공, 검수, 감리의 업무 진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원활한 시공, 검수, 감리의 진행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대량의 도면 출력물과 설계 변경에 따라 반복적으로 출력되는 도면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고도 설치시공의 검수 및 감리가 가능하므로 건설 현장에서의 종이 절감으로 인한 자원 절약, 환경오염 절감 및 쓰레기 배출 절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10a: 세로 설비덕트
110b: 세로 배관
120a: 가로 설비덕트
120b: 가로 배관
200:구조체
210:태그
300:사용자 단말기
310:리더기
320:카메라
330:프로세서
331: 설치관리 프로그램
333: 비콘신호발생부
335: 비콘신호처리부
340:통신부
350:디스플레이부
360:입력부
400:서비스서버

Claims (7)

  1.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될 부분의 일측에 세워지며, 설비덕트, 배관의 설치 정보가 저장된 태그가 부착되고,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의 배경이 되는 구조체;
    상기 태그를 읽는 리더기와, 설비덕트, 배관이 설치된 상태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위에 설비덕트, 배관 정보를 증강현실 기법으로 표시하는 설치관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 서비스하는 서비스서버가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타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신호발생부; 및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타 사용자 단말기를 기준으로하는 상대적 위치를 산출하는 비콘신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발생부는 상기 구조체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시점에 상기 구조체 및 태그 정보와 함께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비콘신호처리부는 상기 비콘신호발생부에 의하여 발생한 비콘신호와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콘신호의 선후를 비교하여 상기 구조체 및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중 가장 늦은 비콘신호를 생성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를 최종 기준위치로 선정하고, 상기 최종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상대적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서버는 도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설계도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구조체 중 상기 비콘신호의 발생 기준이 되는 기준 구조체를 선정하는 기준 구조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신호발생부는 상기 기준 구조체에 부착된 태그를 읽는 시점에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하는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설치된 설비덕트, 배관을 향하는 구조체의 일면에 부착되는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관리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여 태그에서 읽은 설치 정보에 의해 자동 검수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영상의 설비덕트, 배관 위에 설치 정보가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을 인식하고, 상기 리더기가 읽은 설치 정보와 비교하여 설치된 설비덕트의 크기, 배관의 개수, 관통 높이를 검수하며, 상기 설치 상태 영상에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 간격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고, 설비덕트, 배관 간격을 기준으로 설비덕트, 배관의 직경이 설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검수하는 설비덕트 및 배관 설치공정의 현장 검수 시스템.
KR1020220081951A 2022-07-04 2022-07-04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KR10253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51A KR102535925B1 (ko) 2022-07-04 2022-07-04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51A KR102535925B1 (ko) 2022-07-04 2022-07-04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925B1 true KR10253592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51A KR102535925B1 (ko) 2022-07-04 2022-07-04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9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454A (ja) * 2008-03-05 2009-09-17 Hitachi Ltd 施工確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設計支援システム
KR102088579B1 (ko) * 2018-09-06 2020-04-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한 모바일 플랜트 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6697A (ko) * 2020-05-27 2021-12-06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1454A (ja) * 2008-03-05 2009-09-17 Hitachi Ltd 施工確認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設計支援システム
KR102088579B1 (ko) * 2018-09-06 2020-04-2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한 모바일 플랜트 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6697A (ko) * 2020-05-27 2021-12-06 엠브레인웍스 주식회사 다중 무선 통신 기반의 이동 단말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3144B2 (ja) 設備管理方法
JP3116710B2 (ja) 情報端末システム
CN111260325A (zh) 基于bim的桥梁施工进度管理系统
CN108133522A (zh) 一种管廊巡检方法及系统
CN110154051A (zh) 机房巡检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374570B1 (ko) 설비 관리 시스템
KR102238193B1 (ko) 증강현실에 기반하여 공사 정보 및 유지관리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N109242263A (zh) 一种装配式建筑bim模块管理系统
CN106295993A (zh) 基于微信平台的幕墙grc三维可视化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491408A (zh) 一种可用于室内结构检测的无人机
CN115410418B (zh) 一种运维登乘廊桥运行监控方法及系统
CN104808013A (zh) 适用大型锅炉的智能型冷态炉内动力状况测量系统及方法
CN115686014A (zh) 一种基于bim模型的地铁巡检机器人
CN108810162A (zh) 城市地下管廊综合管理平台
KR10253592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설비 덕트, 배관의 현장 검수 시스템
CN112347540B (zh) 建筑物智能检测建模系统
CN111321902B (zh) 装配建筑施工现场构件吊装系统及方法
CN211529214U (zh) 一种管线巡检装置
KR102303903B1 (ko) 가공배전선로의 진단보고서 자동작성 시스템 및 방법
CN204374231U (zh) 适用大型锅炉的智能型冷态炉内动力状况测量系统
CN113709672B (zh) 基于ar的巡检系统及其巡检方法
CN113743015B (zh) 火灾场景数据获取方法、介质及电子设备
CN114812403A (zh) 基于无人机及机器视觉的大跨度钢结构吊装变形监测方法
KR102260559B1 (ko) 태블릿을 이용한 시설 구조물의 안전 진단 방법
US11408958B2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osition corr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