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423B1 -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423B1
KR102534423B1 KR1020200093643A KR20200093643A KR102534423B1 KR 102534423 B1 KR102534423 B1 KR 102534423B1 KR 1020200093643 A KR1020200093643 A KR 1020200093643A KR 20200093643 A KR20200093643 A KR 20200093643A KR 102534423 B1 KR102534423 B1 KR 10253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seed
seeds
separation line
de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056A (ko
Inventor
신지만
Original Assignee
세계종묘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계종묘 농업회사법인(주) filed Critical 세계종묘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to KR102020009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SEED PAPER SHEET MANUFACTURING METHOD FOR PROVIDING GERMINATION UNIFORMITY}
본 발명은 육묘장 또는 재배농가에서 육묘 트레이나 일반 상토 재배에서 채소나 꽃 등의 식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파종하도록 하는 씨앗 페이퍼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육묘과정에서 발아 균일성을 통해 발아세의 안정을 기하고, 그리고 파종 과정의 간편화를 통해 인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식물 재배과정을 살펴보면, 육묘판에 씨앗을 뿌려 발아 및 육묘를 행한 후 발아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때,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채 적당한 개수의 종자가 배치되어야 각 종자에 균일한 양분이 공급되어 발아율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씨앗을 뿌리는 파종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은 파종 과정은, 파종기계를 활용하여 파종하거나 사용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파종기계는 가격이 비싸고 작동이 쉽지 않아 일반인 접근성이 상당히 떨어지고, 수작업을 통한 파종은 노동집약적이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령화된 현대 사회에서 파종 작업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는 증가 추세에 있으나 상기 언급된 제한 요건들 때문에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9864호는 씨앗 모두에 물을 골고루 공급하여 씨앗 모두가 튼실하게 육모될 수 있도록 복수의 씨앗을 균일한 간격을 통해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진 트레이를 개시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은 여전히 사용자의 파종 작업을 필요로하며, 해당 트레이가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화훼류나 과채류 및 채소 등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비 비용에 대한 부담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당 업계에는 다양한 트레이의 형상에 대응하여 셀 단위로 분리 가능하며, 종자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그리고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육묘용 시트에 대한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시간의 소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종자의 손실을 줄이며, 발아 균일성을 확보하여 발아세를 증진시키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선 공정은,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분리홀을 형성하여 각 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이며, 상기 제 1 열 및 상기 제 2 열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면 각각의 내측 일 영역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상면 각각을 형성하는 분리선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각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외각 타공은, 복수의 분리선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홀과 연장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이음새를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을 저감시키거나, 또는 수분을 통해 용해되는 상기 이음새의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면 각각에 디보싱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보싱 홀(debossing hall)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보싱 공정은,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오브젝트를 통한 고온의 프레싱(pressing) 공정이며, 상기 복수의 디보싱 홀은, 상기 복수의 하면 각각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씨앗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는 하부 페이퍼 시트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는 하부 페이퍼 시트의 일단은, 상기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변을 의미하며, 상기 디보싱 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씨앗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각각에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서로 대응하는 면의 일 영역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의 제 1 기준열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의 제 2 기준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준열 및 상기 제 2 기준열을 일치시켜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열은,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준열은,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씨앗 페이퍼 제조 장치는, 페이퍼 시트에 대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는 분리선 생성부, 상부 페이퍼 시트의 일 영역에 복수의 타공 및 외각 타공을 형성하는 타공 생성부, 하부 페이퍼 시트의 일 영역에 디보싱 홀을 생성하는 디보싱 홀 생성부,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대한 회전을 수행하는 회전부,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씨앗을 공급하는 씨앗 공급부,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분리선을 식별하는 분리선 식별부,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분리선 식별부를 통해 식별된 각 페이퍼 시트의 분리선을 기준으로 각 페이퍼 시트의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고,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 사이 일 영역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할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육묘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력 및 시간의 소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종자의 손실을 줄이며, 발아 균일성을 확보하여 발아세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상부 페이퍼 시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하부 페이퍼 시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트레이에 씨앗 페이퍼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부 페이퍼 시트(1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기반이되는 페이퍼 시트는, 수분을 통한 용해가 가능한 수용성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재질의 페이퍼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와 PVA(Polyvinyl Alcohol)를 합성하여 생성한 페이퍼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수용성 재질의 페이퍼는 수분과 반응하여 용해되는 다양한 수용성 재질의 페이퍼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씨앗(300)은, 표면을 광물질 등으로 코팅하여 성형 또는 정립시켜 가공 처리한 씨앗 또는 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300)은 십자화과, 명아주과, 미나리과, 국화과, 화훼 종자 등의 종자의 대사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된 씨앗(또는 종자)을 의미할 수 있다. 씨앗(300)의 표면에 코팅을 통한 전처리는, 종자의 수면을 연장하고 초기 생육을 촉진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유묘기의 병을 예방하기 위한것일 수 있고, 그리고 건조상태에서도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는 등 종자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종자 코팅 방법은, 예를 들어, 종자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을 입히는 필름 코팅, 종자의 파종하기 용이하도록 크기를 키우는 펠렛 코팅 및 종자 발아 속도와 균일성을 높이기 위한 프라이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성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균일한 간격을 가진 분리선에 의해 구분됨에 따라, 동일한 면적 내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씨앗에 공급되는 관수의 균일도를 확보할 수 있어, 씨앗의 발아세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파종 시, 상토를 덮어 수분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균일한 간격에 씨앗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파종 작업의 편의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를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 생성된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구조적 특징 및 이에 따른 효과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제조 방법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계들은 필요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은,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제 1 열 및 제 2 열에 대응하는 분리선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열 및 제 2 열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은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1 열과 제 2 열은 평행하지 않음에 따라 직교할 수 있으며, 각 열이 직교하는 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면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열은 각각의 간격이 5cm인 3개의 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열은 각각의 간격이 7cm인 4개의 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열 및 제 2 열의 각각의 간격이 동일하게 구비됨에 따라 분리선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복수의 상면이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로열(111) 및 제 2 가로열(112)과 제 1 세로열(121) 및 제 2 세로열(122) 각각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형성된 면은 제 1 상면(130)일 수 있으며, 제 1 가로열(111) 및 제 2 가로열(112)과 제 2 세로열(122) 및 제 3 세로열(123) 각각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형성된 면은 제 2 상면(140)일 수 있고, 그리고 제 2 가로열(112) 및 제 3 가로열(113)과 제 1 세로열(121) 및 제 2 세로열(122)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형성된 면은 제 3 상면(150)일 수 있다. 즉, 상부 페이퍼 시트(100)에 포함된 복수의 상면 각각은, 동일한 간격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가로열 및 세로열을 기준으로 구분된 것이므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분리선 공정은,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분리홀을 형성하여 각 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선 공정은 0.1mm간격으로 0.3mm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분리홀을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분리홀 사이에 위치한 이음새는 0.1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분리선 공정을 통해 생성된 각각의 분리선은, 복수의 상면들 중 이웃하는 상면 각각을 이음새를 통해 연결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분리선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페이퍼 시트에 분리선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분리선은 서로 이웃하는 상면을 이음새를 통해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수분과 반응하여 빠르게 용해되어 각 상면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페이퍼 시트(100)는 수용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수분과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선은, 복수의 분리홀을 포함함에 따라 비교적 적은 단면적(즉, 이음새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페이퍼 시트(100)가 전부 용해되기 이전에 이음새가 우선적으로 용해되어 각 상면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페이퍼 시트(100)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면 각각의 내측 일 영역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페이퍼 시트에 동일한 간격을 통해 형성된 복수의 상면 각각의 내측에 각 상면을 형성하는 각 변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이격 거리를 갖도록 복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타공은, 하부측으로 수분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페이퍼 시트(100)는 제 1 상면(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상면(130)의 내측에 복수의 타공(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타공(160)은 제 1 상면(130)을 형성하는 4개의 변(즉, 제 1 가로열, 제 2 가로열, 제 1 세로열 및 제 2 세로열) 각각으로부터 사전결정된 이격 거리를 갖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씨앗에 전달되는 수분의 관수 균일도를 위하여 복수의 상면 각각에 동일한 수의 복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페이퍼 시트(100)는 복수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면은 동일한 수의 복수의 타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상면(130), 제 2 상면(140) 및 제 3 상면(150) 각각에는 32개의 타공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타공에 대한 구체적인 개수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부 페이퍼 시트(100)는 분리선을 통해 균일한 구분 간격을 가진 복수의 상면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상면 각각에 수분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타공을 동일한 수로 형성함에 따라,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상부측에서 공급되는 수분은 각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해 각 상면에 대응하는 하부측 영역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면 각각의 중심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의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상면(130)의 내측에 제 1 상면(130)의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복수의 타공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상부측에서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 타공의 형상으로 인해 각 상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흡수 또는 전달되는 수분의 양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씨앗은 상면 각각에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각 상면에 포함된 복수의 타공을 구조가 각 면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씨앗으로 전달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되어 씨앗의 발아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면 각각을 형성하는 분리선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각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인접한 상면 사이 일 영역에 복수의 분리선 각각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각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면(130)과 제 2 상면(140) 사이에 위치한 제 2 세로열(122)을 기준으로 2개의 제 1 외각 타공(17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 1 상면(130)과 제 3 상면(150) 사이에 위치한 제 2 가로열(112)을 기준으로 2개의 제 2 외각 타공(172)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외각 타공이 구비되는 구체적인 위치 및 개수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외각 타공은, 복수의 분리선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홀과 연장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이음새를 분리시키기 위한 외력을 저감시키거나, 또는 수분을 통해 용해되는 이음새의 단면적을 줄이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 각 상면의 내측에 외각 타공이 형성됨에 따라 분리선을 형성하는 이음새의 단면적이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수분에 의한 이음새의 용해 속도가 빨라지게되어 각각의 상면에 대한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각 상면을 연결하는 이음새의 단면적이 줄어듬에 따라, 트레이의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상부 페이퍼 시트(100)를 절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적은 외력에 대응하여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각 상면에 대한 절취가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상면 중 인접한 면 사이 각각에 분리선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외각 타공을 형성함에 따라, 각 면을 연결하는 이음새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각각의 상면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외각 타공은, 씨앗의 발아 속도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면에 상이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씨앗의 발아 속도에 비례하여 각 상면에 보다 많은 개수의 외각 타공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아속도가 비교적 빠른 제 1 씨앗의 경우, 각 면 사이에 위치한 분리선을 기준으로 5개의 외각 타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발아속도가 비교적 느린 제 2 씨앗의 경우, 각 면 사이에 위치한 분리선을 기준으로 2개의 외각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각 면은 서로 분리되어 상토에 흡착됨으로써 각각의 씨앗을 통해 발아된 식물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씨앗의 발아 시점에 대응하여 각 상면이 분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씨앗이 발아되는 시점에 각 상면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 각각의 상면이 이음새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각 영역의 상토와 흡착이 용이하지 않아 식물체의 지지가 어려울 수 있다.
즉, 씨앗의 발아 속도에 따라 외각 타공의 개수를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복수의 상면 각각이 분리되는 시점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씨앗의 종(또는, 발아 속도)에 따라 각 상면에 형성되는 외각 타공의 개수를 결정하므로써, 각 씨앗에 대응하는 최적의 육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은,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제 1 열 및 제 2 열에 대응하는 분리선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열 및 제 2 열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개로 구비되는 제 1 열 및 제 2 열은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복수의 분리선 각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제 1 분리선(예컨대, 첫번째 가로열)과 제 2 분리선(예컨대, 두번째 가로열) 간의 간격이 7cm로 형성된 경우,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제 1 분리선(첫번째 가로열)과 제 2 분리선(두번째 가로열) 간의 간격은 7c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각 분리선과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각 분리선을 일치시키는 경우, 각 페이퍼 시트의 구비된 복수의 면 각각은(즉, 복수의 상면 및 복수의 하면)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분리선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선 공정은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분리홀을 형성하여 각 하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선 공정은 0.2mm간격으로 0.5mm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분리홀을 형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분리홀 사이에 위치한 이음새는 0.2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즉, 분리선 공정을 통해 각각의 분리선은, 복수의 하면들 중 이웃하는 하면 각각을 이음새를 통해 연결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분리선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페이퍼 시트에 분리선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형성된 복수의 분리선은 서로 이웃하는 하면을 이음새를 통해 연결하는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수분과 반응하여 빠르게 용해되어 각 하면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페이퍼 시트(200)는 수용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수분과 반응하여 용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선은, 복수의 분리홀을 포함함에 따라 비교적 적은 단면적(즉, 이음새에 대응하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페이퍼 시트(200)가 전부 용해되기 이전에 이음새가 우선적으로 용해되어 각 하면을 분리시킬 수 있다.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하면 각각에 디보싱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보싱 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의 중심부에 디보싱 홀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보싱 홀은 복수의 하면 각각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씨앗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보싱 공정은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오브젝트를 통한 고온의 프레싱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페이퍼 시트(200)는 제 1 가로열(211) 및 제 2 가로열(212)과 제 1 세로열(221) 및 제 2 세로열(222)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1 하면(230), 제 1 가로열(211) 및 제 2 가로열(212)과 제 2 세로열(222) 및 제 3 세로열(223)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2 하면(240) 및 제 2 가로열(212) 및 제 3 가로열(213)과 제 1 세로열(221) 및 제 2 세로열(222)을 꼭지점으로 하는 제 3 하면(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하면(230), 제 2 하면(240) 및 제 3 하면(250) 각각의 중심부에는 씨앗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디보싱 홀(231)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구성하는 페이퍼 시트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는 수용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보다 낮은 형상 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페이퍼 시트(200)는 제조 및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디보싱 홀(231)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 씨앗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고온에서의 프레싱 공정을 통해 각 하면에 디보싱 홀(231)을 생성함에 따라, 보다 높은 형상 유지력을 가진 디보싱 홀(23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보싱 홀(231)이 높은 형상 유지력을 통해 생성됨에 따라, 이하에서 후술될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복수의 씨앗을 위치시키는 단계의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고온 프레싱 공정을 통해 디보싱 홀(231)의 내면 일부는 그을린 상태로 변화된다. 그을린 상태의 디보싱 홀(231)은 형상 유지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씨앗에 영양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은,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을 위치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변을 기준으로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 방향으로 복수의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일단은, 상기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 페이퍼 시트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은, 상기 회전에 대응하여 하부 페이퍼 시트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변으로, 예컨대, 일단과 평행하는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특정 변을 기준으로 사전 결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회전시키고, 회전에 대응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한 변에 대응하는 일단에서 반대 변(즉,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타단으로 복수의 씨앗을 공급함에 따라, 복수의 씨앗들이 위치 에너지에 따라 일단에서 타단 방향(즉,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각 복수의 씨앗들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하면에 생성된 디보싱 홀의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소정 각도로 기울이고, 기울기를 가지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복수의 씨앗을 흘려주듯이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하면에 생성된 디보싱 홀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각 하면에 복수의 씨앗을 위치시키는 공정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하면의 중심부에 위치한 디보싱 홀의 일 영역에 씨앗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되는 복수의 씨앗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하부 페이퍼 시트에 형성된 각 디보싱 홀(231)에 씨앗을 위치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은, 상부 페이퍼 시트 및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400)는 씨앗(300)에 무해한 친환경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친환경적이며 수용성 수지인 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부 페이퍼 시트 및 하부 페이퍼 시트 각각에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서로 대응하는 면의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 페이퍼 시트 및 하부 페이퍼 시트 각각에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부 페이퍼 시트의 제 1 기준열 및 하부 페이퍼 시트의 제 2 기준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 1 기준열 및 제 2 기준열을 일치시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준열은 상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준열은 하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기준열은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제 1 가로열(111) 및 제 1 세로열(121)일 수 있으며, 제 2 기준열은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제 1 가로열(211) 및 제 1 세로열(221)일 수 있다. 상부 페이퍼 시트(1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 각각에서 최외각에 구비된 기준열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준열들을 일치시킴으로써, 각각의 페이퍼 시트에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대응하는 면은, 하나의 씨앗을 내장하는 상면 및 하면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페이퍼 시트(1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 각각에 포함된 면들 중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함으로써, 각각의 면 사이에 복수의 씨앗 각각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대응하는 면 사이의 일 영역에 접착제(400)를 도포하여 상부 페이퍼 시트(100), 복수의 씨앗(3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고정시킴으로써, 씨앗 페이퍼 시트(1000)를 생성할 수 있다. 접착제(400)가 도포되는 서로 대응하는 상면 및 하면 사이의 일 영역은,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과 하면에 형성된 디보싱 홀(231) 사이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과 하면에 형성된 디보싱 홀(231) 사이 전 영역에 접착제(400)가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의 내측 방향에 상기 복수의 타공 각각과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기 설정된 간격은, 복수의 타공과 디보싱 홀(231)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접착제가 도포되는 구체적인 위치 및 간격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하면의 중심부에 형성된 디보싱 홀(231)과 상면의 각 변을 형성하는 분리선에 인접하여 형성된 복수의 타공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100)와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접착시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포함된 복수의 씨앗 각각이 각 면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제조 및 운반 과정에서 균일한 간격을 가진 각 면에 위치하는 씨앗의 이탈이 방지하여 씨앗(또는 종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생성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페이퍼 시트(100), 씨앗(3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가 접착제(400)를 통해 고정됨에 따라, 형성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복수의 씨앗 각각을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각 영역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파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아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특정 간격에 기초하여 씨앗을 파종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특정 간격으로의 파종을 수행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통해 복토를 수행하며, 복토 이후, 각각의 영역에 씨앗을 파종한다. 이러한 파종(또는, 육모) 방법은 작업자로 하여금 많은 작업량을 부과함에 따라, 많은 노동력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동일한 간격으로 구분된 영역 각각에 복수의 씨앗을 포함하는 시트의 형상이므로, 해당 시트를 육묘 트레이 또는 상토에 덮어 관수를 수행하는 비교적 간단한 동작을 통해 균일한 육묘 제배가 가능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활용을 통해 파종 작업의 편의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환경 조건을 통해 각 씨앗이 발아할 수 있으며, 씨앗의 표면에 가공 처리된 코팅에 의해 씨앗의 발아세가 향상되므로 육묘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종에 필요한 구비 장비(예컨대, 파종기)를 구입하는 비용과 파종 작업에 필요한 노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분리선이 용해되는 경우, 복수의 상면 및 복수의 하면 각각이 면 단위로 분리되어 씨앗을 통해 발아된 식물체 또는 식물체의 뿌리를 지지함으로써 도복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씨앗 페이퍼 시트(1000)가 수용성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포함된 복수의 분리선(즉, 상부 페이퍼 시트의 분리선 및 하부 페이퍼 시트의 분리선)에 대응하는 영역은 비교적 적은 단면적을 가진 이음새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수분이 공급되는 경우, 분리선에 포함된 이음새가 우선적으로 용해됨에 따라,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각 면에 대응하는 영역(즉, 하나의 씨앗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분할(500)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면에 대응하여 분할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내장된 씨앗을 통해 발아된 식물체 또는 식물체의 뿌리를 지지함으로써, 도복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은 상토를 수용하는 트레이의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분리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씨앗에 대한 육묘를 행하기 위한 트레이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크기 또는 형상이 다양한 트레이 각각의 크기 또는 형상과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구비된 분리선을 절취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을 분리시킴으로써, 다양한 트레이 각각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전체 면적이 트레이의 전체 면적보다 큰 경우,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구비된 분리선을 통한 절취를 통해 일부 면을 분리시켜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트레이의 크기에 대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트레이가 특정 부분이 돌출된 영역을 가지는 형상인 경우,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구비된 분리선을 통한 절취를 통해 하나의 면을 분리하여 돌출된 영역에 대응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종의 씨앗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로부터 각 면을 분리하고, 그리고 각각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로부터 분리된 각각의 면을 조합하여 트레이에 적절히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트레이에 대한 혼합 파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즉, 트레이의 형상이나 크기, 또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분리선을 통해 씨앗 각각이 위치한 각 면을 절취함으로써,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크기 조절 및 하나의 트레이에서의 혼합 파종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트레이에 씨앗 페이퍼 시트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페이퍼 시트(1000)는 하나 이상의 외각 타공을 통해 트레이(20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0)는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 상부 페이퍼 시트(100)와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외각 타공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이에 구비된 고정부(2010)는, 상부 방향(즉, 씨앗 페이퍼 시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구비된 외각 타공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00)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부(2010)는 씨앗 페이퍼 시트(1000)의 외각 타공 각각을 관통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트레이에 구비된 고정부의 위치는 씨앗 페이퍼 시트(1000)에 형성된 복수의 외각 타공의 위치 각각에 대응하여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트레이(2000)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부(2010)를 통해 씨앗 페이퍼 시트(1000)를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씨앗 페이퍼 시트(1000)를 통한 파종 과정에서 복수의 씨앗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종되는 씨앗의 균일성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씨앗 페이퍼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따른 씨앗 페이퍼 시트는 씨앗덮개부(600) 및/또는 제1물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씨앗덮개부(600)는 디보싱홀(231)에 위치된 씨앗(300)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작 공정 중에 디보싱홀(231)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씨앗덮개부(600)는 접착부재(610)를 통해 디보싱홀(231) 외주면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씨앗덮개부(600)는 내부에 영양물질을 더 포함하거나 씨앗덮개부(600) 자체가 영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타공들을 통해 물이 유입될 때 씨앗덮개부(600)가 유입된 물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한편, 씨앗덮개부(600)는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부러지거나 크랙(crack)이 생길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디보싱홀(231) 내에 액체상태 또는 분말과 같은 형태의 제1물질(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씨앗덮개부(600)는 씨앗 페이퍼 시트 제장 공정 중 상기 제1물질(700)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다만, 파종이 완료된 후에는 디보싱홀(231)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야되기 때문에 씨앗덮개부(600)는 물에 의해 용해되거나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부러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물질(700)은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씨앗을 디보싱홀(231) 내부에 위치시킬 때, 상기 제1물질(700)은 한번 디보싱홀(231) 내에 안착된 씨앗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물질(700)은 액체나 갤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씨앗 페이퍼 시트 유통 시, 제1물질(700)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씨앗덮개부(600)는 디보싱홀(231)을 완전히 밀폐시킨다.
씨앗덮개부(600) 및/또는 제1물질(700)이 구비될 경우,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공정은 몇 가지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하부 페이퍼 시트에 씨앗을 위치시키는 단계(S30) 후에 제1물질(700) 도포 단계와 씨앗덮개부(600) 부착 단계가 더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 제1물질(700) 도포 단계만 포함되거나 씨앗덮개부(600) 부착 단계만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는 분리선 생성부(710), 타공 생성부(720), 디보싱 홀 생성부(730), 회전부(740), 씨앗 공급부(750), 분리선 식별부(760), 접착제 도포부(770), 제어부(780) 및 메모리(7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내용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내용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현 양태에 따라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포함되거나, 또는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선 생성부(710)는 페이퍼 시트에 대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분리선을 포함하는 상부 페이퍼 시트 및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할 수 있다. 분리선 공정은,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분리홀을 형성하여 각 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일 수 있다. 예컨대, 분리선 생성부(710)는 일자형 톱니날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분리선 생성부(710)는 톱니날에 형성된 볼록 부분들을 통해 페이퍼 시트에 복수의 분리홀을 생성함으로써, 각 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분리선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 생성부(720)는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복수의 상면 각각의 내측 일 영역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공 생성부(720)는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상부 페이퍼 시트(100)의 일 영역을 관통함으로서, 상부 페이퍼 시트(100)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타공 생성부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보싱 홀 생성부(730)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의 중심부에 디보싱 홀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보싱 홀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보싱 홀 생성부(730)는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오브젝트를 이용한 고온 프레싱을 통해 씨앗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디보싱 홀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디보싱 홀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740)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이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대한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부(740)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모듈을 포함하고,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고정하는 고정 모듈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씨앗 공급부(750)는 복수의 씨앗을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씨앗 공급부(750)는 복수의 씨앗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씨앗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의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씨앗 공급부(750)는 위치 에너지 또는 압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수용 공간에 수용된 복수의 씨앗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써,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복수의 씨앗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선 식별부(760)는 상부 페이퍼 시트(1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분리선 식별부(760)는 상부 페이퍼 시트(1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 각각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기준열 및 제 2 기준열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리선 식별부(760)는 예를 들어, 적외선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 및 송신된 적외선에 대응하는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적외선 송수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선 식별부(760)는 각 페이퍼 시트에 적외선을 송신하고, 그리고 각 페이퍼 시트에서 상기 적외선에 반사되어 수신되는 광의 세기에 따라 분리선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분리선 식별부(760)는 이미지 인식을 통해 각 페이퍼 시트에서 분리선을 식별하는 이미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리선 식별부(760)는 각 페이퍼 시트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분리선 식별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 도포부(770)는 상부 페이퍼 시트 및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770)가 접착제를 도포하는 일 영역은,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과 하면에 형성된 디보싱 홀(231) 사이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즉, 접착제 도포부(770)를 통해 도포된 접착제(400)를 통해 상부 페이퍼 시트(100), 씨앗(300) 및 하부 페이퍼 시트(200)가 접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씨앗 페이퍼 시트(1000)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80)는 통상적으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분리선 식별부(760)를 통해 식별된 분리선에 기반하여 상부 페이퍼 시트(100)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도록 타공 생성부(7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분리선 식별부(760)를 통해 식별된 각 페이퍼 시트의 분리선에 기반하여 각 페이퍼 시트의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하부 페이퍼 시트(200)에 디보싱 홀 공정이 수행되는 시점을 식별하고, 디보싱 공정이 수행된 이후 회전부(740) 제어하여 하부 페이퍼 시트(200)를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의 구체적인 제어 동작은,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790)는 제어부(7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790)에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제어부(780)에 제어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790)는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에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는 출고 당시부터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90)는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장치(700)의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구비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작업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790)는 분리선 생성부(710)가 페이퍼 시트에 대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각 분리선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790)는 상부 페이퍼 시트에 형성되는 복수의 타공의 간격 및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들은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페이퍼 시트
200: 하부 페이퍼 시트
300: 씨앗
400: 접착제

Claims (8)

  1.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퍼 시트에 사전 결정된 간격에 기초한 분리선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하면을 포함하는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사이 일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상면 각각의 내측 일 영역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상면 각각을 형성하는 분리선을 기준으로 복수의 외각 타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각 타공은 복수의 분리선 각각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홀과 연장되는 방향에 구비되되 씨앗의 발아 속도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하면 각각에 디보싱 공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보싱 홀(debossing hall)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포함된 복수의 하면 각각에 복수의 씨앗 각각을 위치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도록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기울기를 가지는 하부 페이퍼 시트의 일단에서 상기 일단에 대응하는 타단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씨앗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보싱 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씨앗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선 공정은,
    제 1 열 및 제 2 열 각각에 사전 결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분리홀을 형성하여 각 면의 일부가 이음새로 연결되도록 하는 공정이며,
    상기 제 1 열 및 상기 제 2 열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서로 평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보싱 공정은,
    사전 결정된 직경을 갖는 오브젝트를 통한 고온의 프레싱(pressing) 공정이며,
    상기 복수의 디보싱 홀은,
    상기 복수의 하면 각각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씨앗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 각각에서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서로 대응하는 면의 일 영역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씨앗 페이퍼 시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의 제 1 기준열 및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의 제 2 기준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준열 및 상기 제 2 기준열을 일치시켜 상기 서로 대응하는 면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기준열은, 상기 상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기준열은, 상기 하부 페이퍼 시트에 구비된 복수의 분리선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열과 제 2 열을 포함하는,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방법.
  8. 삭제
KR1020200093643A 2020-07-28 2020-07-28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KR10253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643A KR102534423B1 (ko) 2020-07-28 2020-07-28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643A KR102534423B1 (ko) 2020-07-28 2020-07-28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056A KR20220014056A (ko) 2022-02-04
KR102534423B1 true KR102534423B1 (ko) 2023-05-19

Family

ID=8026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643A KR102534423B1 (ko) 2020-07-28 2020-07-28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4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514A1 (en) * 1998-06-01 2002-12-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a seedling-growing tape in the field
JP2006158215A (ja) * 2004-12-02 2006-06-22 Nippon Shokubai Co Ltd 直播用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05991A1 (en) * 2001-10-26 2003-05-02 Yuen Foong Yu Paper MFG Company, Limited Multi-purpose pap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he applic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9514A1 (en) * 1998-06-01 2002-12-1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a seedling-growing tape in the field
JP2006158215A (ja) * 2004-12-02 2006-06-22 Nippon Shokubai Co Ltd 直播用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056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1678B2 (ja) 種ステッカ及びその製造方法
US7426802B2 (en) Seed germination and paint supporting utility
KR100820081B1 (ko)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US2019006949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ybrid distributed hydroculture system
CN102638969A (zh) 用于雾培法生长和发育植物的设备
US20190387660A1 (en) Seed mat for insertion into a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35976B1 (ko) 다단 적층식 가정용 새싹재배기
CN202310516U (zh) 多功能植物种子发芽、水培一体盒
WO2020181648A1 (zh) 一种多用植物种植机
KR20220018399A (ko) 가변 중력의 회전형 식물 재배기
KR102534423B1 (ko)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제조 방법
US102194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ed attachment mulching material to which different types of plant seeds are attached, and seed attachment mulching material
KR20130104036A (ko) 식물 재배용기
KR102534422B1 (ko) 발아 균일성을 제공하기 위한 씨앗 페이퍼 시트
JP2020526228A (ja) 無土壌栽培容器形成プレート
JPH0937663A (ja) 植木鉢ユニット
KR20220001171U (ko) 저면관수용 물관리 자동화분
CN209861757U (zh) 育苗装置
CN108366537A (zh) 露天水培套件、露天水培系统以及植物体的制造方法
CN109328741A (zh) 一种育苗盘
JP6360991B2 (ja) 簡易発芽ニンニク水耕栽培装置
KR102253354B1 (ko) 식물 재배 장치
CA311068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ustomizable produce growing consumable
KR200389538Y1 (ko) 새싹채소재배용기
KR20230112967A (ko) 가정용 식물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