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73B1 -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 Google Patents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73B1
KR102533773B1 KR1020180096510A KR20180096510A KR102533773B1 KR 102533773 B1 KR102533773 B1 KR 102533773B1 KR 1020180096510 A KR1020180096510 A KR 1020180096510A KR 20180096510 A KR20180096510 A KR 20180096510A KR 102533773 B1 KR102533773 B1 KR 10253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ed
bands
armament
trolley
strong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1134A (en
Inventor
정현주
김용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6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7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28Arrangement of offensive or defensiv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xes the armament on the trolley, transports the trolley itself to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through an external crane, and then moves it to the armament mounting position in the ship through its own driving unit, thereby reducing the cost required for loading the armament. It relates to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that can drastically reduce time and process.

Description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Strongback device for mounting arms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본 발명은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함외의 무장을 이송 및 주입하는 과정에서,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and injecting weapons outside a ship, after mounting the weapons on a trolley, fixing the weapons, and then moving the trolley itself to the shipboard injection device through an external crane. It relates to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that can drastically reduce the time and process required for loading weapons by allowing the location to be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inside the ship through a driving unit provided by itself after being transported.

일반적으로 잠수함 내 무장을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잠수함의 일부를 케이싱하여 뜯어내고 함외탑재장치를 설치한 후, 외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무장을 함외납재장치에 안착시킨 후 다시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무장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함내로 주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잦은 무장 고정장치 연결 및 취외작업은 작업자의 작업량 증대, 무장 탑재의 효율성 저하 및 무장의 안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mount armaments inside a submarine, a part of the submarine is removed from the casing, an offboard mounting device is installed, the ordnance transported by an external crane is placed on the offboard loading device, and then the armament is mounted again through a separate fixing device. It is injected into the ship in a fixed state. In this process, the frequent connection of the armament fixing device and the removal work cause an increase in the workload of the operator,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loading the armament, and a decrease in the stability of the armam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4716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47164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트롤리 상에 무장을 안착시킨 후 고정,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fter fixing the armament on the trolley, transporting the trolley itself to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through an external crane, and then positioning it to the armed loading position in the ship through its own drive unit. By enabling movemen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that can drastically reduce the time and process required for loading weap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는 무장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롤리, 상기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트롤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외부 크레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 롤러를 통해 상기 무장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 될 수 있다.Strongback device for mounting arm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olle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ament,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for wrapping and fixing both distal ends of the armament, and the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nd and the trolley, a rotating roll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olley is included, and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is fixed to the external crane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crane. It is seated on an outboard injection device of a submarine, and the armament can be moved to an armament loading position in the ship through the rotating roll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트롤리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HINGE)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rming fixing ba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trolley,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bands form a spac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arming is seate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through first and second hinges, respectively, and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inges, or the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that are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and the suppor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upp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ing bands ar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ing bands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s, opening for arming to be seated area can be form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힌지동작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상에 무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가 체결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체결되어 상기 무장이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includ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for fixing the hing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2 Arming is seated on the lower arming fixing band, and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and the support part are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2 When the fastening part is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are fasten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so that the armament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rming fixing bands.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 고리 및 상기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가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hook for holding a hook provided in the external crane and a lift eye for connecting a wire extending from the external cran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 말단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며, 각각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rollers are located in a pair at the low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olley, and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tating roller may be rotated along a rail provided on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크레인을 통해 트롤리 자체를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시킨 후 자체적으로 마련된 구동부를 통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장 탑재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rolley itself is transported to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through an external crane, it is possible to move the trolley itself to the armed loading position in the ship through its own drive unit, thereby dramatically reducing the time and process required for loading weapons can be shortened to

특히, 트롤리를 스트롱백형상에 기반하여 변형시키며, 안벽에서 별도의 취외 작업없이 이송까지 한번에 가능함으로써 무장 탑재 과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the trolley is deformed based on the strongback shape, and it is possible to transport from the quay at once without a separate take-out operation,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armament load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롤러(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의 함외주입장치(2)를 통해 함내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rongback device 100 for mounting weap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120 and 13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otating roller 15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ed strongback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transported inside the ship through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2 of the submarine 1.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shown in FIG. 1 is freely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submarine 1 .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is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ovid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rongback device 100 for mounting weap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크게 트롤리(110),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 지지부(140) 및 회전 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mounting weap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olley 110, first and second armed fixing bands 120 and 130, a support 140, and a rotating roll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150).

먼저, 트롤리(110)는 무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일종의 이송대(plate) 역할을 한다.First, the trolley 110 serves as a kind of plate provided along the length of the armament.

이러한 트롤리(110)는 상측에 안착되는 무장의 중심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무장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This trolley 11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armament so that the center of the armament seated on the upper side does not tilt.

또한, 잠수함으로부터 인출되는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브릿지 형상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it has a width sufficient to be accommodated inside a bridge shape provided on an outboard injection device drawn out from a submarin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트롤리(110)의 상측으로 이송되는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120 and 130 serve to wrap and fix both distal ends of the armament transpor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rolley 1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120 and 13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도 2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각각 트롤리(110)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고정되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120a, 130a)를 통해 힌지 연결되며 제1 및 제2 힌지(120a, 130a)를 통해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and second arming fixing bands 120 and 130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trolley 1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s correspond to spaces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arming is seated. The bands 121 and 131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ing bands 121 and 131 are hinged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inges 120a and 130a,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s 120a and 130a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122 and 132 that ar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121 and 131 or are flipped in a direction closer.

이때,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의 상측은 지지부(140)와 연결되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젖혀진다는 것은 지지부(140)도 함께 젖혀진다는 것이고, 이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 상에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122 and 132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122 and 132 are bent means that the support part 140 It is also flipped together, which means that an open area for arming to be seated i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121 and 131.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 상에 무장이 안착된 후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짐에 따라, 무장은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의 내측에 고정되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armament is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121, 131),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122, 132) ar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121, 131). 131), the armament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120 and 130 as it is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armament.

이때,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arming fixing bands (120, 130) hav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120b, 130b) for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122, 132). can include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와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가 만나는 연결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체결부(120b, 130b)가 체결될 경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122, 132)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121, 131)로부터 완전히 고정되며, 이에 따라 무장은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완전 고정되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120b and 130b may be located at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121 and 131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122 and 132 meet. can 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120b and 130b are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ing bands 122 and 132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ing bands 121 and 131. It is fixed, and accordingly, the armed is completely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ing bands (120, 130).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지지부(140)는 상술한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120, 130)에 완전 고정된 무장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외부 크레인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의 역할을 한다.Returning to FIG. 1 again, the support part 140 is a high level for fixing an external crane so that the ordnance complete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120 and 130 can be transferred to the submarine injection device. play the role of government.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40)의 일측에는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 고리(141)와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142)가 마련된다.More specifically, on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140, a hook 141 formed to hang a hook provided on an external crane and a lift eye 142 for connecting a wire extending from the external crane are provided.

따라서, 지지부(140)가 걸림 고리(141) 혹은 리프트아이(142)에 의해 외부 크레인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무장은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된다.Therefore, when the support part 14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ne by the hook 141 or the lift eye 142, the ordnance is transported to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of the submarine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crane.

회전 롤러(150)는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까지 이송 및 안착된 트롤리(110)가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함 내로 위치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rotating roller 150 serves to move the trolley 110 transported and seated to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of the submarine into the ship along the rail provided on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This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회전 롤러(15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rotating roller 150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도 3을 살펴보면, 회전 롤러(150)는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에서 각각 양측 말단부에 하나씩 위치되며, 각각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3, the rotating rollers 150 are located one by one at both end portions at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olley 110, and can change direction at an angle of 90 degre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110, respectively. provided

따라서, 회전 롤러(150)가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에는 트롤리(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고, 추후 함 내에서 함의 횡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경우에는 트롤리(110)의 폭 방향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ng roller 150 rotates along the rail provided on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of the submarine, the direction is changed to fa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olley 110, and later in the ship In case of mov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hip The direction is switched so as to face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110.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회전 롤러(150)에 의해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함 내부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process in which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is transported to the inside of the box along the rail provided on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by the rotating roller 150 will be reviewed through FIG. 4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의 함외주입장치(2)를 통해 함내로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med strongback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transported inside the ship through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2 of the submarine 1.

도 4를 살펴보면, 잠수함(1)의 함수부에서는 외측 방향으로 함외주입장치(2)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크레인에 의해 이송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함외주입장치(2) 상에 안착되는데, 이때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의 하측에 마련된 회전 롤러(150)는 함외주입장치(2) 상에 마련된 레일(2a)에 안착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2 may be withdrawn from the bow of the submarine 1 in an outward direction. Therefore, the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100 transported by an external crane is seated on the off-board injection device 2. At this time, the rotating roller 150 provided below the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100 It is seated on the rail (2a) provided on the injection device (2).

함외주입장치(2)는 상측면이 바깥을 향해 벌어지는 브릿지 형상을 가지는데, 이는 트롤리(110)가 무장과 안정감있게 이송되기 위해 함외주입장치(2)의 상측면이 무장의 하측면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2 has a bridge shape with its upper side widening outward, which guides the upper side of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2 to the lower side of the armament so that the trolley 110 can be safely transported with the armament. in order to play a role

이 상태에서, 회전 롤러(150)가 회전함에 따라,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 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as the rotating roller 150 rotates,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weapons are mounted in the submarine 1.

한편, 잠수함(1) 내에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의 횡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데, 이는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within the submarine 1, the armed strongback device 100 can be freely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bmarine 1, which will be review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가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shown in FIG. 1 is freely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submarine 1 .

도 5를 살펴보면, 잠수함(1) 내의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된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함내에 마련된 횡방향 레일(1a)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롤러(150)는 횡방향 레일(1a)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100)는 잠수함(1) 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that has been moved to the armed loading position in the submarine 1 can be moved laterally along the transverse rail 1a provided in the ship. To this end, the rotating roller 150 rotates along the transverse rail 1a, and accordingly, the strongback device 100 for loading weapons is moved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submarine 1.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 잠수함
1a: 횡방향 레일
2: 함외주입장치
2a: 레일
100: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110: 트롤리
120, 130: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120a, 130a: 제1 및 제2 힌지
120b, 130b: 제1 및 제2 체결부
121, 131: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122, 132: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140: 지지부
141: 걸림 고리
142: 리프트아이
150: 회전 롤러
1: submarine
1a: transverse rail
2: Outboard injection device
2a: rail
100: strongback device for arming
110: trolley
120, 130: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
120a, 130a: first and second hinges
120b, 130b: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121, 131: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122, 132: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ed band
140: support
141: hook
142: lift eye
150: rotating roller

Claims (7)

무장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트롤리;
상기 무장의 양측 말단부를 감싸 고정하는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트롤리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트롤리의 하측에 마련되는 회전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외부 크레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크레인의 위치 이동에 의해 잠수함의 함외주입장치 상에 안착되고, 상기 회전 롤러를 통해 상기 무장이 함내 무장탑재위치까지 위치이동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는 상기 외부 크레인에 마련된 후크가 걸리기 위한 걸림 고리 및 상기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아이가 마련되며,
상기 리프트아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크레인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 trolley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rmament;
first and second armament fixing bands for wrapping and fixing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armament;
Supports connected to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and
In ord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trolley, a rotating roll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olley; includes,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support is fixed to an external crane,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crane is seated on the submarine's outboard injection device by the movement of the external crane, and the armament is moved to an armament mounting position in the ship through the rotating roller,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hook for holding a hook provided on the external crane and a lift eye for connecting a wire extending from the external crane,
The strong 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oles into which wires extending from an external crane are inserte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ift ey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트롤리의 상측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무장의 하측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각각 제1 및 제2 힌지(HINGE)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거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상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first and second lower armament fixing bands respectively fixed to both ends of the upper side of the trolley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armament is seated; and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through first and second hinges, respectively, and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ing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that are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armed mounting strongback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힌지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무장이 안착되기 위한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ing bands are til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ing bands by the first and second hinges, forming an open area for arming to be seated. Characterized by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의 힌지동작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 상에 무장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가 체결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무장고정밴드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무장고정밴드와 체결되어 상기 무장이 상기 제1 및 제2 무장고정밴드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armed fixed bands,
Including;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for fixing the hing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respectively,
Armed on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ed fixed bands and the support part are bent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ed fixed bands Wh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are fastened, the first and second upper arming fixing bands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ower arming fixing bands so that the armament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rming fixing bands. A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without becom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으로 하측 말단부에 한 쌍으로 위치하며, 각각 상기 트롤리의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roller,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 a pair at the lower end of the trolle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of the trolley,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함외주입장치 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탑재용 스트롱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roller,
Strongback device for loading weapons, characterized in that rotates along the rail provided on the outboard injection device.
KR1020180096510A 2018-08-20 2018-08-20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KR102533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10A KR102533773B1 (en) 2018-08-20 2018-08-20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10A KR102533773B1 (en) 2018-08-20 2018-08-20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34A KR20200021134A (en) 2020-02-28
KR102533773B1 true KR102533773B1 (en) 2023-05-16

Family

ID=6963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510A KR102533773B1 (en) 2018-08-20 2018-08-20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en)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Station for guided miss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412A (en) * 1986-02-14 1987-08-11 Fmc Corporation Submarine weapon dolly with self stowing bands
US4923148A (en) * 1987-01-26 1990-05-08 Babcock Energy Limited Apparatus for stowing and deploying stores from air and marine craft
KR101535353B1 (en) 2013-10-24 2015-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TACM(Torpedo Acoustic Counter Measurement)
FR3020672B1 (en) * 2014-04-30 2016-05-06 Nexter Systems SHELL GRIPPING DEVICE AND GRIPPING PROCESS IMPLEMENTING SUCH A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217B1 (en) * 2006-09-14 2007-05-02 국방과학연구소 Station for guided miss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34A (en)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3396B2 (en)
CA2567774C (en) Device for feeding propellant charges to a heavy weapon
ES2403137T3 (en) Submarine as a carrier
KR102533773B1 (en) Strongback apparatus for mounting a torpedo
KR101979137B1 (en) Device for moving and keeping ammunition
JPS60205200A (en) Ammunition holder for automatic charge
DE3060847D1 (en) Apparatus for laying a submarine pipeline j-wise
US3340768A (en) Launching device
US3262664A (en) Universal missile adapter
KR870009207A (en) Submarine weapons handling system
CN208530846U (en) Holder protective cover and unmanned plane
CN108116837A (en) Gravity bucket conveyer
KR1025236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d transporting weapons in a submarine
KR20120002813U (en) Sliding equipment for transferring weapon in submarine
KR102523652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nd loading weapon
KR100418666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ti-tank missile
CN214950930U (en) Torpedo fixing device
KR20160001689U (en) Handrail for ship
KR102590601B1 (en) Submarine to support weapons in water
KR20100064677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vehicle an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comprising the device
KR102375318B1 (en) Lead balast apparatus for submarines
KR20200022824A (en) System for storing weapons using jacking arms
KR20140049284A (en) Connecting device for loading weapon in submarine
JP3195934B2 (en) Ammunition transport for cannon vehicles
ES2911107T3 (en) Weapon tube module for ejecting two guided weapons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