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07B1 -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07B1
KR102533707B1 KR1020200093759A KR20200093759A KR102533707B1 KR 102533707 B1 KR102533707 B1 KR 102533707B1 KR 1020200093759 A KR1020200093759 A KR 1020200093759A KR 20200093759 A KR20200093759 A KR 20200093759A KR 102533707 B1 KR102533707 B1 KR 102533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esh
layer
mesh layer
barrier film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109A (ko
Inventor
한승호
강형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1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heterojunctions between organic semiconductors and inorganic semicondu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은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메쉬층 상에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이 구비된 광전 변환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DOUBLE-SIDED ORGANIC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와 에너지 고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없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대체 에너지로서의 태양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태양열 전지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한 태양빛(photons)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전지로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흡수된 광자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함으로써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전지(이하, 태양전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실리콘 태양전지가 있으며, 실리콘 태양 전지는 실리콘 기재의 전면에 n-형 반도체 층과 후면에 p-형 반도체 층을 각각 형성하여 제조된다. 전면의 n-형 반도체 층은 에미터(emitter)로 작용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는 효율이 증요하기 때문에,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 태양전지에서의 장기 내구성 향상과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분투습 방지 보호막(봉지재, 배리어)과, 금속 메쉬 형태의 투명 전극이 결합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은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메쉬층 상에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이 구비된 광전 변환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기판이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인 경우, 상기 하부 기판은 일면에 유리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이 상기 광전 변환부와 결합하는 도전성 투명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는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의 금속 메쉬층 상에 형성되며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을 구비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되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는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의 금속 메쉬층 상에 형성되며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을 구비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되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형성하되,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투명 전극에 금속 메쉬층을 적용함으로써, 투명 전극의 전기 전도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투과율 감소를 최소화하여 태양전지의 변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바 소자의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플라스틱 기재에 수분 및 가스의 투습 및 투기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라스틱 기재의 표면에 무기 소재와 유기 소재를 증착 및 코팅하여 유무기 적층 구조의 배리어를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배리어는 각종 유연(flexible) 전자 디바이스, 예를 들면 유기 태양전지, 일렉트로루미네센스(유기 EL),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전기변색 소자 등을 밀봉(sealing)하는 역할을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중 유기 태양전지는 구성하는 다양한 고분자가 산소 및 수분과 접촉시 그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결국 태양전지의 변환 효율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가 도포된 투명 배리어 필름을 이용하여 라미네이팅 공정을 거쳐 유연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산소 및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한편, 유기 태양전지의 투명 전극은 그 구현을 위해 인듐주석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주석계 산화물(SnO2 등), AgO, ZnO-(Ga2O3 또는 Al2O3), 불소첨가주석산화물(FTO: F-doped Tin Oxi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한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질로 형성된 도전성 투명 전극은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도전성 투명 전극을 통한 캐리어의 수집 효율이 낮아 전력 변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전성 투명 전극은 기판과 굴절률이 서로 다르므로, 기판의 수광면으로 입사된 태양광 중 일부가 기판과 도전성 투명 전극 사이의 계면에서 반사되어 기판의 수광면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투명 유기 태양전지는 태양 빛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아 건물의 외관 등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유기 태양전지는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은 도전성 투명 전극을 사용하고, 반대면은 Al, Ag, Au, Cr, Ti, Ni, Cu와 같은 불투명한 금속 전극을 사용한다.
하지만, 유기 태양전지를 투명하게 만들 때에는 상하부 전극 모두 도전성 투명 전극을 사용해야 하므로, 전도성 저하와 기판과의 굴절률 차이로 인한 투과율 감소로, 태양전지의 효율 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이 입사하는 수광면에 대하여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기판을 구비함으로써, 유기 태양전지에서의 장기 내구성 향상과 전력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태양전지의 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는 하부 기판(110), 광전 변환부(120) 및 상부 기판(130)을 포함한다.
먼저 하부 기판(110)과 관련하여,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113)의 일면에 유무기 소재의 코팅 및 증착을 통하여 배리어 코팅층(111)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로, 플라스틱 기판(113)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I(Polyimide) 및 PE(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배리어 코팅층(111)은 수분 투습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Al2O3, HfO, SiO2 및 SiNx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113)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는 금속 메쉬층(115)이 형성된다.
금속 메쉬층(115)은 통상의 포토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메쉬층(115)은 먼저 플라스틱 기판(113) 상에 전기도금을 하고, 포토레지스트 공정, 패터닝 공정 및 에칭을 수행하고, 이후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 기판(110) 상에 금속 메쉬층(115)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다.
광전 변환부(120)는 하부 기판(110)의 금속 메쉬층(115) 상에 형성된다. 이때, 광전 변환부(120)는 금속 메쉬층(115)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기재로 하여 금속 메쉬층(11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전 변환부(120)는 태양광을 흡수하여 여기자(excition)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광전 변환부(120)는 선택적 정공층(Hole selective layer, HSL),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Electron selective layer, ESL)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정공층(125)은 생성된 정공이 용이하게 포집 및 이동되도록 하고, 생성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선택적 전자층(121)은 상부 기판(14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전자층(121)은 생성된 전자가 용이하게 포집 및 이동되도록 하여, 역시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종 접합층(123)은 전자 주게(doner)와 전자 받게(acceptor)의 혼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종 접합층(123)을 구비함에 따라 전자 주게와 전자 받게의 계면 면적이 낮아서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종 접합층(123)은 전자 주게 물질과 전자 받게 물질을 동시에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하부 기판에 도포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자발적이고 임의적으로 상분리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주게는 유기 단분자인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메로시아닌(merocyanine), 메로시아닌 유도체일 수 있고, 고분자인 폴리페닐렌비닐렌(PPV: poly(phenylenevinylene), 폴리페닐렌비닐렌 유도체,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티오펜 유도체일 수 있으며, 전자 받게는 플러렌(fullerenes), 플러렌 유도체, 페릴렌(perylene), 페릴렌 유도체일 수 있다.
상부 기판(140)은 광전 변환부(120)의 상부에 합지되며, 하부 기판(110)과 같이 베리어 코팅층(141), 플라스틱 기판(143) 및 금속 메쉬층(145)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전 변환부(120)의 상부에 금속 메쉬층(145)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13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ance Adhesive) 및 OCP(Optically Clear Adhesive Printabl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는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 대신 유리 기판(211)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단한(Rigid) 유리 기판(211)을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구성요소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코팅층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 도전성 투명 전극(213)을 적용한 유리 기판(211)을 하부 기판(210)에 적용하며, 상부 기판(240)에 대해서만 금속 메쉬층(245)이 결합된 배리어 코팅층(241)을 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는 전통적인 구조(conventional structure)인지 아니면 역구조(inverted structure)인지 여부에 따라 광전 변환부(120, 220)의 선택적 정공층(121, 221)과 선택적 전자층(125, 225)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메쉬층과 도전성 투명 전극에 적용된 소재의 종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하부 기판을 준비하고(S110),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한다(S120).
다음으로,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한다(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베리어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하부 기판은 유리 기판 및 도전성 투명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부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베리어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 기판의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광전 변환부에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광전 변환부는 금속 메쉬층 상에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 및 선택적 전자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및 도 2에서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도 3의 제조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하부기판
111: 배리어 코팅층
113: 플라스틱 기판
115: 금속 메쉬층
211: 유리 기판
213: 도전성 투명 전극
120, 220: 광전 변환부
121, 221: 선택적 전자층
123, 223: 이종 접합층
125, 225: 선택적 정공층
130, 230: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
140, 240: 상부 기판
141, 241: 배리어 코팅층
143, 243: 플라스틱 기판
145, 245: 금속 메쉬층

Claims (12)

  1.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판 상에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메쉬층 상에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이 구비된 광전 변환부를 형성하는 것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이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인 경우, 상기 하부 기판은 일면에 유리 기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이 상기 광전 변환부와 결합하는 도전성 투명 전극인 것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부 기판을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6.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의 금속 메쉬층 상에 형성되며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을 구비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되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는 것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10. 유리 기판 및 상기 유리 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상기 하부 기판의 금속 메쉬층 상에 형성되며 선택적 정공층, 이종 접합층(bulk-heterojunction) 및 선택적 전자층을 구비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합지되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준비된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에 배리어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에 금속 메쉬층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이 형성되는,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은,
    상기 플라스틱 기판은 PET, PEN, PI 및 PE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부의 상부에 상기 금속 메쉬층이 형성된 배리어 필름을 합지하기 위한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양면 투명 점착 필름층은 PSA, OCA 및 OCP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금속 메쉬층이 결합된 배리어 필름을 이용한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KR1020200093759A 2020-07-28 2020-07-28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3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59A KR102533707B1 (ko) 2020-07-28 2020-07-28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59A KR102533707B1 (ko) 2020-07-28 2020-07-28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09A KR20220014109A (ko) 2022-02-04
KR102533707B1 true KR102533707B1 (ko) 2023-05-18

Family

ID=8026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59A KR102533707B1 (ko) 2020-07-28 2020-07-28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468B1 (ko) * 2014-11-24 2017-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형 태양전지
KR20180076433A (ko) * 2016-12-28 2018-07-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양면 수광형 텐덤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5101B1 (ko) * 2018-07-17 2020-07-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반투명 및 유연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109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9355B1 (en) Solid-state photoelectric device
JP5655568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太陽電池及び光センサアレイ
CN1806349B (zh) 包括具有非对称传导特性的中间层的有机太阳能电池
JP2006310728A (ja) 有機薄膜太陽電池素子
KR20110133717A (ko) 유기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5493465B2 (ja) 有機薄膜太陽電池
JP5699524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および太陽電池
JP5476969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太陽電池、及び光センサアレイ
US9831429B2 (en) Method of manufacture for a partially-sprayed layer organic solar photovoltaic cell
KR101033304B1 (ko) 발광특성을 가지는 유기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10008669B2 (en) Organic photovoltaic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447513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及び光センサアレイ
KR102533707B1 (ko) 양면형 유기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0147276A (ja) 有機光電変換素子
JP5303828B2 (ja) 有機薄膜太陽電池
JP2014505378A (ja) 有機太陽電池アレイおよび製造方法
KR101087903B1 (ko) 양면 수광 유기태양전지
JP2011124469A (ja) 有機光電変換素子、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及び光センサアレイ
KR102220780B1 (ko) 유연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370581B (zh) 正结构有机太阳能电池
JP5737377B2 (ja) 有機薄膜太陽電池
KR20140040473A (ko) 평면형 탠덤 유기 태양전지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61621A (ko) 적층형 병렬 광감응 태양전지
JP5435035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および太陽電池
KR20100106779A (ko)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