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84B1 -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84B1
KR102533684B1 KR1020170123776A KR20170123776A KR102533684B1 KR 102533684 B1 KR102533684 B1 KR 102533684B1 KR 1020170123776 A KR1020170123776 A KR 1020170123776A KR 20170123776 A KR20170123776 A KR 20170123776A KR 102533684 B1 KR102533684 B1 KR 102533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insulation panel
ceramic insulation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032A (ko
Inventor
배경호
Original Assignee
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호 filed Critical 배경호
Priority to KR102017012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2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chemical blow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8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xtures of the silica-lim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물유리,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발포제 및 방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철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구현예에 따른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온에서 경화할 수 있고 단열 특성 및 강도가 개선된 세라믹 단열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room temperature formable ceramic thermal insulation panel, room temperature formable ceramic thermal insulation panel formed therefrom,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절연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건축물에 있어서도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단열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단열재에 많이 사용되는 유리섬유(glass fiber) 등은 열에 대한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2400℃와 같은 고온에서 경화되는 과정을 거친 후 미세 분진 등이 많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분진은 인체에 유해하여 작업 현장에서 이의 사용을 점차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폐기물인 플라이 애쉬를 이용하여 단열성, 내화성이 우수하고 상온에서 성형 가능한 세라믹 단열 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세라믹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물유리,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발포제 및 방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철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상온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의 발포 및 경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이 제공된다.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유리 및 방수재를 부가하고 이를 고속 교반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을 얻는 제2단계;
이형제가 도포된 성형틀에 보강용 메쉬를 넣고,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얻은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따라 얻은 결과물에 보강용 메쉬를 제공하고 나서 발포 가이드가 구비된 덮게를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제4단계에 따라 얻은 결과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경화반응을 실시하고 성형틀로부터 세라믹 단열 패널을 분리해내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상술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구현예에 따른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온에서 경화할 수 있고 단열 특성 및 강도가 개선된 세라믹 단열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라믹 단열패널의 고온 단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일구현예에 따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물유리,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발포제 및 방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철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산화철은 착색제이므로 이를 조성물내에 부가하면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의 색상을 원하는 바대로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가 매우 개선된다. 산화철은 예를 들어 Fe2O3, Fe3O4, FeO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Fe2O3 또는 Fe2O3와 FeO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산화철은 사이즈가 50 내지 500nm 범위를 갖는다. 산화철이 구형 입자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사이즈는 평균입경을 나타내고 산화철이 비구형 입자인 경우에는 장축 길이를 나타낸다. 산화철의 함량은 0.5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5 중량%이다. 산화철의 함량 및 사이즈가 상술한 범위일 때 세라믹 단열 패널의 착색이 용이하게 이루질 뿐만 아니라 개선된 강도와 발포력을 갖는 세라믹 단열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내에 산화철이 함유되면 세라믹 단열 패널 제조시 인가되는 마이크로파의 흡수 효율을 높여 반응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산화철 이외에 Al2O3, CaO, SiO2, TiO2, MgO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은 산화철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파의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산화철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범위이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물유리의 함량은 23 내지 35 중량%, 플라이 애쉬의 함량은 25 내지 40 중량%, 소석회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 발포제의 함량은 0.1 내지 1 중량%, 방수재의 함량은 0.5 내지 2.5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온" 은 25℃를 의미한다.
상기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은 물유리, 소석회 및 발포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물유리, 소석회 및 발포제의 총함량 범위를 48.1 내지 71 중량% 범위내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유리, 소석회 및 발포제의 총함량이 상술한 범위인 경우 상온에서 경화가 가능하여 성형이 가능해진다.
플라이 애쉬(Fly ash)는 평균 입자 크기가 0.1 ~ 100 ㎛ 범위의 분말인 석탄 연소 후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집진기에서 포집되는 미세한 분말 형태이다. 포졸란성(Pozzolan)의 대표 물질로써 소석회와 결합하여 물을 만나면 상온에서 시멘트 성질을 가지는 화합물을 생성한다. 플라이 애쉬는 SiO2 54.5Wt%, 알루미나(Al2O3) 21.1Wt% 및 삼산화철(Fe2O3) 3.49Wt%로 세 성분의 합이 70Wt%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기타 산화칼슘(CaO), 삼산화황(SO3), 오산화인(P2O5), 이산화티타늄(TiO2), 산화나트륨(Na2O), 산화스트론튬(SrO), 산화바륨(BaO)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플라이 애쉬는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 내지 40 중량% 범위이다. 플라이 애쉬가 상기 범위일 때 과대 발포와 함께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가 떨어짐이 없고 발포 현상이 극도로 억제되면서 기공이 작아지고 밀도가 증가되는 일이 없이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세라믹 단열패널을 얻을 수 있다..
발포제는 금속 발포제인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늄 발포 금속,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디카본아미드의 금속염,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한다.
상기 알루미늄 분말 또는 알루미늄 합금 분말의 사이즈는 70㎛ 이하 범위이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발포 금속은 내부에 무수히 많은 기포를 함유하고 있다. 이 발포 알루미늄은 보통 90 -95% 이상의 기공율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중이 0.2 ~ 1.0 범위에 있어서, 초경량이며, 상기 기공으로 인하여 흡음성과 방음성이나,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더욱이 원자재가 알루미늄이므로 내화 내열성이 우수하며, 강성이 있으며, 가공성도 우수하여 기능성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유리(Water Glass)는 수용성 규산염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기 화합물이다. 물에 대한 용해성 때문에 물유리(Water Glass)로 불리어 지고 있다. 이는 알카리 금속이 이산화규소(SiO2)와 다양한 몰비로 결합한 화합물로써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규산 칼륨(Potassium Silicate), 리튬 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 등이 있으며 자체적으로 10% 내지 30% 정도의 물을 포함하고 있다. 물유리(Water Glass)는 순도 높은 모래를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탄산칼륨(K2CO3)과 함께 1100~1200?에서 용융시켜 만들어 진다.
물유리는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규산소다칼륨과 같은 1종 이상의 규산염 물질의 수용액으로서 규산염 물질의 함량은 0.5 내지 8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물유리(Water Glass)는 전체 조성물의 23Wt% 내지 29 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유리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발포력이 떨어져 무게가 무거워지거나 과대 발포에 의한 표면 유리화가 진행됨이 없이 목적하는 발포 특성을 충족하는 세라믹 단열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방수재는 당해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방수재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시아노아크릴산 계열,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계열, 아크릴레이트 계열, 폴르클로로프렌 계열, 폴리우레탄 수지와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올과 폴리 우레텐 수지의 혼합체 계열, 아크릴릭 폴리머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우레탄의 혼합체 계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에는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게르마늄(Ge), 세라믹볼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라믹볼은 실리카를 70 중량% 이상 포함한 것으로서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의 무기물을 더 부가 및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조성물을 이용하면, 상온에서 경화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종래의 유리 섬유를 이용한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미세 분진의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은 열전도도가 0.1 내지 0.14W/mK이고 비중이 작아 가벼우면서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라믹 단열패널의 양 면에 기판을 적층한 세라믹 단열패널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세라믹 단열 패널 구조체는 열전도도가 낮고 난연성 및 단열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화재 발생시 유해 가스의 발생이 거의 없는 친환경 소재로서 상온에서 성형이 가능하여 제조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줄어들고 양산이 가능하다.
상기 기판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10cm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기판은 예를 들어 철판, 알루미늄, 목재 표면 피복재, 황토 등의 물질 함유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단열패널 구조체는 샌드위치 판넬이나 방화문 중간재, 열차단재, 납골당 도가니용 단열재 등에 유용하다. 샌드위치 판넬은 철판, 알루미늄 또는 목재 표면 피복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세라믹 단열패널 구조체는 장기간 낮은 열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단열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상온에서 성형이 가능하며, 건축패널의 외부, 내부 또는 중간층에 단열재, 단열보호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 각종 산업용 단열재, 자동차, 선박 및 가전 제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성형틀을 준비한다. 성형틀은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 성형틀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리콘 소재 코팅층을 갖는 성형틀을 사용한다. 이러한 성형틀을 이용하면 후술하는 마이크로파 조사 과정이 원할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성형틀에 이형제를 도포한다. 이형제로는 실리콘 오일 등을 이용하며 이형제를 성형틀에 미리 도포해두면 성형틀에 완성된 세라믹 단열 패널을 성형틀로부터 분리해내기가 용이해진다.
이형제가 도포된 성형틀에 보강용 메쉬를 넣고 본 발명의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용 조성물을 부가한다.
상온 성형 세라믹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은 하기 2단계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고형분 분말인 플라이 애쉬, 소석회, 발포제 및 산화철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이 혼합물에 물유리 및 방수재를 부가 및 고속으로 교반하여 제조한다. 상기 교반 및 혼합 시간은 예를 들어 5분 이하, 예를 들어 3분 이하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반은 고속으로 예를 들어 내지 rpm범위로 실시해야 발포를 원하는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이 제공된 성형틀 상부에 보강용 메쉬 및 이형지를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형지는 성형틀로부터 완성된 세라믹 단열 패널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강용 메쉬는 세라믹 단열패널의 강도를 더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보강용 메쉬로는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메쉬를 이용한다.
상기 결과물 상부에 발포 가이드가 설치된 덮게를 설치한다. 발포 가이드에는 이형지 또는 이형제와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발포시 발생하는 압력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세라믹 단열 패널의 평활도 특성이 우수하다.
이어서, 상온에서 발포를 실시한다. 발포 시간은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의 구성성분 등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예를 들어 5분 내지 30분, 예를 들어 5분 내지 10분이다.
상기 덮게에는 발포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상온 발포로 발생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발포가 완료된 결과물에 마이크로파 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파(극초단파)를 30 내지 70W 조건으로 조사하여 경화 반응을 실시한다.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30분 이내, 예를 들어 20분 이내, 예를 들어 3분 내지 10분, 예를 들어 5분 내지 7분 동안 실시한다. 상술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로 경화 공정이 진행되면서 세라믹 단열 패널의 내부까지 수분이 건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경화반응이 끝나면 성형틀로부터 완성된 세라믹 단열 패널을 분리해낸다.
상기 세라믹 단열 패널의 적어도 일 면에는 아연판, 황토 함유 기판 등의 기판을 더 적층하여 세라믹 단열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5단계 이후에 마이크로파 조사, 근적외선 조사, 또는 자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더 거치면 세라믹 단열패널의 강도 등의 특성이 더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라믹 단열 패널의 적어도 일 면에는 용도에 따라 표면 가공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세라믹 단열 패널의 제조
플라이 애쉬 36.64중량%, 소석회 29.41중량%, 산화철(사이즈(평균입경): 약 100nm) 1.05 중량% 및 알루미늄 분말 0.21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에 물유리 31.19중량% 및 방수재인 1.5 중량%를 부가하고 이를 rpm에서 약 3분 동안 고속 교반하여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을 얻었다.
실리콘 성형틀에 이형제인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다음, 여기에 보강용 메쉬를 넣었다. 이 성형틀에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을 부가하고 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 상부에 보가용 메쉬와 이형지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였다. 그 후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는 덮게를 덮었다. 8분 경과후, 덮게를 제거하고 이를 약 W의 마이크로파 오븐에 넣어 약 6분 동안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성형틀로부터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분리해내어 목적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세라믹 단열 패널의 제조
산화철의 함량이 0.5 중량% 및 2 중량%로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세라믹 단열 패널의 제조
산화철의 사이즈가 약 50nm, 500nm로 각각 변화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세라믹 단열 패널 조성물 제조시, 플라이 애쉬 36.64중량%, 소석회 29.41중량%, 산화철(사이즈: 약 100nm) 1.05 중량%, 알루미늄 분말 0.21 중량%,
물유리 31.19중량% 및 방수재인 1.5 중량%를 동시에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비교예 1에 따라 실시하면 발포 및 경화 반응 속도를 제어하기가 어려워서 목적하는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기가 곤란하였다.
비교예 2
산화철의 함량이 0.1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비교예 3
산화철의 함량이 3.0 중량%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평가예 1: 강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를 조사하였다.
강도 평가, 실시예 1의 세라믹 단열 패널은 비교예 1-3의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2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를 상술한 실시예 1의 세라믹 단열패널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실시예 2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세라믹 단열 패널의 강도는 실시예 1의과 경우와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을 나타냈다.
상기에서 바람직한 제조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블록 히터 220: 세라믹 단열 패널 시편
240: 적외선 온도계

Claims (8)

  1. 물유리,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발포제 및 방수재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철의 함량이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물유리의 함량은 23 내지 35 중량%, 플라이 애쉬의 함량은 25 내지 40 중량%, 소석회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 발포제의 함량은 0.1 내지 1 중량%, 방수재의 함량은 0.5 내지 2.5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철은 50 내지 500nm의 사이즈를 갖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가 알루미나 분말, 알루미늄 발포 금속,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아조디카본아미드, 아조디카본아미드의 금속염,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 중탄산나트륨, 탄산암모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방수재가 실리콘 계열, 에폭시 계열, 시아노아크릴산 계열, 폴리비닐아크릴레이트 계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계열, 아크릴레이트 계열, 폴르클로로프렌 계열, 폴리우레탄 수지와 폴리에스터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올과 폴리 우레텐 수지의 혼합체 계열, 아크릴릭 폴리머와 폴리우레탄 수지의 혼합체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및 시아노아크릴레이트와 우레탄의 혼합체 계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온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의 발포 및 경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6. 플라이 애쉬, 소석회, 산화철 및 발포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물유리 및 방수재를 부가하고 이를 고속 교반하여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을 얻는 제2단계;
    이형제가 도포된 성형틀에 보강용 메쉬를 넣고, 상기 제2단계에 따라 얻은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 따라 얻은 결과물에 보강용 메쉬를 제공하고 나서 발포 가이드가 구비된 덮게를 설치하는 제4단계; 및
    제4단계에 따라 얻은 결과물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경화반응을 실시하고 성형틀로부터 세라믹 단열 패널을 분리해내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제5항의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 패널을 제조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이후에 마이크로파 조사, 근적외선 조사, 또는 자연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에서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산화철의 함량은 0.5 내지 2 중량%이고, 물유리의 함량은 23 내지 35 중량%, 플라이 애쉬의 함량은 25 내지 40 중량%, 소석회의 함량은 25 내지 35 중량%, 발포제의 함량은 0.1 내지 1 중량%, 방수재의 함량은 0.5 내지 2.5 중량%인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70123776A 2017-09-25 2017-09-25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533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76A KR102533684B1 (ko) 2017-09-25 2017-09-25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776A KR102533684B1 (ko) 2017-09-25 2017-09-25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32A KR20190035032A (ko) 2019-04-03
KR102533684B1 true KR102533684B1 (ko) 2023-05-16

Family

ID=6616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776A KR102533684B1 (ko) 2017-09-25 2017-09-25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002A (ko) 2019-03-27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CN110588110A (zh) * 2019-09-17 2019-12-20 安徽博文风雅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临摹纸及其制备方法
CN112299817A (zh) * 2020-11-04 2021-02-02 武汉理工大学 一种具有釉面装饰的黄河泥沙质发泡陶瓷保温板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40B1 (ko) 2007-01-26 2007-09-18 박민화 발포세라믹 제조방법
KR100785652B1 (ko) 2007-04-04 2007-12-14 박민화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발포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0944206B1 (ko) 2009-09-23 2010-02-24 도은건설 (주) 방수,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856A (ja) * 1996-05-07 1997-11-18 Teijin Ltd セラミックス原料組成物及び該組成物からのセラミックス成形物の製造方法
JPH1025174A (ja) * 1996-07-12 1998-01-27 Kurosawa Kensetsu Kk セラミック発泡体用組成物及びセラミック発泡体
JP3184476B2 (ja) * 1997-04-15 2001-07-09 黒沢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爆裂防止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爆裂防止方法
GB9821663D0 (en) * 1998-10-05 1998-11-25 Abonetics Ltd Foamed ceramics
KR20180030372A (ko) * 2016-09-12 2018-03-22 주식회사 하우이씨엠 플라이애쉬와 팽창암석을 사용한 고강도 불연성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40B1 (ko) 2007-01-26 2007-09-18 박민화 발포세라믹 제조방법
KR100785652B1 (ko) 2007-04-04 2007-12-14 박민화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한 발포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0944206B1 (ko) 2009-09-23 2010-02-24 도은건설 (주) 방수,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032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684B1 (ko)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상온 성형 세라믹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7254204B (zh) 一种超薄防火水性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760040B1 (ko) 발포세라믹 제조방법
KR101314741B1 (ko) 산화마그네슘과 이의 경화제를 이용한 상온 무기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JP2013530325A (ja) 層状構造を有する絶縁体
KR101535465B1 (ko)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무기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388B1 (ko) 준불연 단열 마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812943A (zh) 多层防火系统
CN102791655B (zh) 陶瓷组合物、包含所述陶瓷组合物的多孔陶瓷热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48042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발포유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047643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preferably from waste materials, of silicate foam with closed pores, and the product produced by the process
JPH06503798A (ja) 主として無機成分からなる微細孔フォームを製造する方法
KR101372517B1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20180032134A (ko) 건축용 다기능 단열복합판넬
KR20110075338A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20070121115A (ko) 난연과 흡음 방음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내장재의 구조
KR101812111B1 (ko) 펄라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931B1 (ko) 불연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7678A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KR102334180B1 (ko) 다공성 폼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폼 단열보드
CN108821664A (zh) 一种隔音防火建筑材料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20120077746A (ko) 내화성 커튼월용 무기발포 내화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KR101944908B1 (ko) 성형성이 우수한 균일한 기공 구조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39482A (ko) 경량 건축 내외장재용 불연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