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470B1 -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470B1
KR102533470B1 KR1020220112529A KR20220112529A KR102533470B1 KR 102533470 B1 KR102533470 B1 KR 102533470B1 KR 1020220112529 A KR1020220112529 A KR 1020220112529A KR 20220112529 A KR20220112529 A KR 20220112529A KR 102533470 B1 KR102533470 B1 KR 10253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ody bracket
detachable
tower structure
smart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로건
Original Assignee
박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로건 filed Critical 박로건
Priority to KR102022011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470B1/ko
Priority to KR1020230061069A priority patent/KR20240034098A/ko
Priority to KR1020230061070A priority patent/KR2024003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작물이 삽입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있어서, 전, 후 방향인 양단부가 개구된 전후방부와, 상기 전후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를 따라 개방되되, 상기 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를 구비하는 본체브라켓; 및 상기 본체브라켓의 양측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되, 개구된 상기 상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본체브라켓에서 탈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Smart farm tower structure}
본 발명은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 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재배용시설물은 각종 농산물을 효과적으로 작물재배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물로, 흔히 접하는 비닐 하우스나 온실 등이 대표적이고, 그 외에도 허리를 굽히지 않고 딸기나 수경재배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일정한 위치까지 높게 만들어진 하이배드 설치물 등을 비롯하여 포도, 인삼, 버섯 등의 용이한 재배를 목적으로 다양하게 가설되는 시설물 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그리고, 작물재배용 시설물에 갖춰지는 지지대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 매설되면서 그 시설물 전체의 골격을 튼튼하게 고정하여 안정성과 견고성을 담보하는 수단으로 어떠한 시설물이 든 필수적으로 갖추지 않으면 아니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예컨데, 비닐하우스 또는 온실의 경우에는 일정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골주들이 이에 해당되고, 하이배드 설치물의 경우에는 양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용 받침대들 등이다.
한편, 작물 재배용 시설물의 지지대를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하우스의 경우 지면에 골주가 고정되어야하는 자리에 헤머로 말뚝을 박고 빼내어 구멍을 형성한 다음 그 자리에 골주를 꽂은 다음 측면 공간에 흙을 메우고 다지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는 중량의 헤머로 말뚝을 수차례 내려치고 다시 빼내는 과정에서 상당히 힘들고 열악한 작업환경일 뿐 아니라 막대한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요구되고, 이에도 불구하고 지지대는 일정한 깊이의 땅속에 단순하게 꽂혀서 박히는 것에 의해 고정력이 생성되기 때문에, 외력(비, 눈, 바람이나 기타의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은 어느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간에서는 지지대가 고정되어야 할 자리의 땅속에 지지대간 체결이 용이한 결합요소를 포함하는 기초용 시멘트 불록을 설치한 다음 그 시멘트 블럭에 구비하는 결합요소에 지지대의 하부를 끼워서 결합함으로서 비교적 튼튼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이는 기초용 시멘트 불록을 땅속에 사전 매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소요되는 인력과 노동력 및 시간이 막대할 뿐 아니라 원가 및 비요의 소모 또한 상당함으로 이 역시 유효하고 간편한 최선의 시공방법이라 하기에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특허문헌1 : 특하출원 제10-2014-0012394호(식물 재배용 하우스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로 세워 설치되는 본체브라켓 내에 삽입된 작물이 성장할 때, 작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질 수 있어서, 본체브라켓에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을 결합하여, 작물을 지지할 수 있고, 탈착브라켓의 위치 변경, 추가, 제거가 용이할 수 있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는, 내부에 작물이 삽입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있어서, 전, 후 방향인 양단부가 개구된 전후방부와, 상기 전후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를 따라 개방되되, 상기 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를 구비하는 본체브라켓; 및 상기 본체브라켓의 양측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되, 개구된 상기 상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본체브라켓에서 탈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작물이 삽입되고, 상기 작물에 주입되는 물과 양분이 내장된 내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내장부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장부에서 흘러내리는 물과 양분 등을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부는, 물과 양분 등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측면부는, 상기 양측면부에서 상기 상부의 일부가 감싸지도록 상기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브라켓은, 상기 본체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ㄷ' 형상인 결합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양측면부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탈착브라켓의 결합연장부의 일부가 안착되되, 상기 결합홈에 안착된 결합연장부가 상기 본체브라켓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측면부 외측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탈착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탈착브라켓이 끼움 삽입되도록 상기 탈착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되는 대응홈을 구비하는 삽입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벽부는, 상기 대응홈에 끼움 삽입된 탈착브라켓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벽부 내측벽에 탈착브라켓 방향으로 오목 돌출 형성되는 탈락방지오목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세로로 세워 설치되는 본체브라켓 내에 삽입된 작물이 성장할 때, 작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질 수 있어서, 본체브라켓에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이 결합되어, 작물이 지지될 수 있고, 탈착브라켓의 위치 변경, 추가, 제거가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브라켓의 형상에 의해 차양 효과가 발생하여 배지에 발생하는 이끼를 방지함에 따라 식물 배양 효과가 상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량성(스틸의 1/3, 알루미늄의 2/3)이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경쟁 업체간의 가격 경쟁이 우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결합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결합 세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본체브라켓 내부에 삽입된 내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본체브라켓 내부에 삽입된 내장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양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결합상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결합 세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의 유도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본체브라켓 내부에 삽입된 내장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본체브라켓 내부에 삽입된 내장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양측면부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서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작물이 삽입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10)은, 본체브라켓(100)과, 탈착브라켓(200)으로 구성된다.
본체브라켓(100)은, 전, 후 방향인 양단부가 개구된 전후방부(110)와, 전후방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20)와, 공간부(120)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면부(130)와, 양측면부(130)를 따라 개방되되, 공간부(120)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14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브라켓(100)은 변형이 쉽게 되지 않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FRP는 섬유로 강화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이다.
또한 본체브라켓(100)은 경량성(스틸의 1/3, 알루미늄의 2/3)이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복합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본체브라켓(100)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양측면부(130)는 양측면부(130)에서 상부(140)의 일부가 감싸지도록 상부(140)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양측면부(130)는 제1연장부(131)에서 연장되되, 공간부(120)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브라켓(100)은, 공간부(120)에 위치되어, 작물이 삽입되고, 작물에 주입되는 물과 양분이 내장된 내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작물은 내장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내장부(150)는 스펀지일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브라켓(100) 내에 장착된 내장부(150)가 본체 브라켓 내에서 모양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브라켓(100)에 삽입된 내장부(150)에 의해 본체브라켓(100) 내에서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본체브라켓(100)의 내측 둘레의 형태를 따라 내장부(150)를 밀착시킬 수 있는 내장고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장고정부(180)는 고무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스펀지와 동일한 소재일 수 있고, 본체브라켓(100) 또는 탈락브라켓과 동일한 소재일 수 있으며, 고무, 스펀지, 본체브라켓(100), 탈락브라켓과 전혀 다른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체브라켓(100)은, 전후방부(110) 중 전방에 결합되어, 공간부(120)에 위치된 내장부(150)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장부(150)에서 흘러내리는 물과 양분 등을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유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60)는 물과 양분 등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배출홀(16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60)는 고무패킹으로 제작되어, 본체브라켓(100)의 전방에 끼움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고무패킹 이외에 본체브라켓(100) 또는 탈착브라켓(20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더불어 유도부(160)는 전후방부(110) 중 전방 이외에 필요에 따라 후방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체브라켓(100)은, 탈착브라켓(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내장부 교체, 브라켓 청소, 작물 교체 등), 탈착브라켓(200)이 파손되지 않도록, 잃어버리지 않도록, 필요 시 바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탈착브라켓(200)을 본체브라켓(100) 일측에 보관할 수 있는 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70)는, 양측면부(130)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33)에 탈착브라켓(200)의 결합연장부(210)의 일부가 안착되되, 결합홈(133)에 안착된 결합연장부(210)가 본체브라켓(100)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면부(130) 외측 일측에 위치되어, 탈착브라켓(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0)는 탈착브라켓(200)이 고정부(170) 내에 끼움 삽입되도록 탈착브라켓(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대응홈을 구비하는 삽입벽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벽부(171)는, 대응홈에 끼움 삽입된 탈착브라켓(200)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벽부(171) 내측에 탈착브라켓(200) 방향으로 오목 돌출 형성되는 탈락방지오목패킹(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탈락방지오목패킹(172)은 탈착브라켓(200) 방향으로 오목 돌출되어, 탈착브라켓(200)을 밀착시켜, 탈착브라켓(200)이 고정부(170) 내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락방지오목패킹(172)은 고무패킹으로 제작되어, 고정부(170) 내에서 탈착브라켓(200)이 미끄러져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브라켓(200)은 본체브라켓(100)의 양측면부(130)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되, 개구된 상부(140)를 가로지르고, 본체브라켓(100)에서 탈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탈착브라켓(200)은 세로로 세워 설치되는 본체브라켓(100) 내에 삽입된 작물이 성장할 때, 작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질 수 있어서, 본체브라켓(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물을 지지할 수 있고, 탈착브라켓(200)의 위치 변경, 추가,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탈착브라켓(200)은 변형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탈착브라켓(200)은 본체브라켓(100)에서 탈부착할 때, 약간의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어,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탈착브라켓(200)은 본체브라켓(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양측면부(130)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ㄷ'형상인 결합연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연장부(210)는 양측면부(130)의 제2연장부에 결합되어, 제2연장부를 따라 탈착브라켓(200)이 본체브라켓(100)에서 슬라이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10)를 통해 세로로 세워 설치되는 본체브라켓 내에 삽입된 작물이 성장할 때, 작물이 기울어지거나 떨어질 수 있어서, 본체브라켓에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이 결합되어, 작물이 지지될 수 있고, 탈착브라켓의 위치 변경, 추가, 제거가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브라켓(100)의 형상에 의해 차양 효과가 발생하여 배지에 발생하는 이끼를 방지함에 따라 식물 배양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량성(스틸의 1/3, 알루미늄의 2/3)이 기존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복합소재를 적용하여, 경쟁 업체간의 가격 경쟁이 우수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100 : 본체브라켓
110 : 전후방부
120 : 공간부
130 : 양측면부
131 : 제1연장부
132 : 제2연장부
133 : 결합홈
140 : 상부
150 : 내장부
160 : 유도부
161 : 배출홀
170 : 고정부
171 : 삽입벽부
172 : 탈락방지오목패킹
180 : 내장고정부
200 : 탈착브라켓
210 : 결합연장부

Claims (7)

  1. 내부에 작물이 삽입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에 있어서,
    전, 후 방향인 양단부가 개구된 전후방부와, 상기 전후방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를 따라 개방되되, 상기 공간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를 구비하는 본체브라켓; 및
    상기 본체브라켓의 양측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되, 개구된 상기 상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본체브라켓에서 탈착이 가능한 탈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작물이 삽입되고, 상기 작물에 주입되는 물과 양분이 내장된 스펀지 형태의 내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본체브라켓 내에 장착된 상기 내장부가 상기 본체 브라켓 내에서 모양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본체브라켓에 삽입된 상기 내장부에 의해 상기 본체브라켓 내에서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브라켓의 내측 둘레의 형태를 따라 상기 내장부를 밀착시키는 내장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브라켓은,
    변형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Polyprorylene) 소재인 것인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내장부가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장부에서 흘러내리는 물과 양분 등을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물과 양분 등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는,
    상기 양측면부에서 상기 상부의 일부가 감싸지도록 상기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브라켓은,
    상기 본체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양측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도록 'ㄷ' 형상인 결합연장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양측면부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상기 탈착브라켓의 결합연장부의 일부가 안착되되, 상기 결합홈에 안착된 결합연장부가 상기 본체브라켓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양측면부 외측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탈착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탈착브라켓이 끼움 삽입되도록 상기 탈착브라켓의 두께에 대응되는 대응홈을 구비하는 삽입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벽부는,
    상기 대응홈에 끼움 삽입된 탈착브라켓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벽부 내측벽에 탈착브라켓 방향으로 오목 돌출 형성되는 탈락방지오목패킹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KR1020220112529A 2022-09-06 2022-09-06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KR10253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29A KR102533470B1 (ko) 2022-09-06 2022-09-06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KR1020230061069A KR20240034098A (ko) 2022-09-06 2023-05-11 작물 재배용 타워 구조물
KR1020230061070A KR20240034099A (ko) 2022-09-06 2023-05-11 작물을 지지하는 스마트팜 타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529A KR102533470B1 (ko) 2022-09-06 2022-09-06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070A Division KR20240034099A (ko) 2022-09-06 2023-05-11 작물을 지지하는 스마트팜 타워 장치
KR1020230061069A Division KR20240034098A (ko) 2022-09-06 2023-05-11 작물 재배용 타워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470B1 true KR102533470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529A KR102533470B1 (ko) 2022-09-06 2022-09-06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KR1020230061070A KR20240034099A (ko) 2022-09-06 2023-05-11 작물을 지지하는 스마트팜 타워 장치
KR1020230061069A KR20240034098A (ko) 2022-09-06 2023-05-11 작물 재배용 타워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070A KR20240034099A (ko) 2022-09-06 2023-05-11 작물을 지지하는 스마트팜 타워 장치
KR1020230061069A KR20240034098A (ko) 2022-09-06 2023-05-11 작물 재배용 타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334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5B1 (ko) * 2006-11-13 2008-05-27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KR20140012394A (ko) 2012-07-20 2014-02-03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 정련방법
KR101747625B1 (ko) * 2017-01-24 2017-06-27 김태식 농업 시설물 프레임 및 비닐고정패드 결속용 클램프장치
US11147215B2 (en) * 2017-05-08 2021-10-19 Daniel S. Spiro Automated outdoor modular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05B1 (ko) * 2006-11-13 2008-05-27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KR20140012394A (ko) 2012-07-20 2014-02-03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강 정련방법
KR101747625B1 (ko) * 2017-01-24 2017-06-27 김태식 농업 시설물 프레임 및 비닐고정패드 결속용 클램프장치
US11147215B2 (en) * 2017-05-08 2021-10-19 Daniel S. Spiro Automated outdoor modular vertical plant cultiv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099A (ko) 2024-03-13
KR20240034098A (ko)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9093B2 (ja) 蔓性植物の栽培棚の支持構造
JP2009528827A (ja) 縦型植栽システム
JP4456549B2 (ja) 建物緑化構造体
CN101690457A (zh) 阶梯式边坡花池
CN108575416B (zh) 一种园林树木栽培操作方法
US20030221364A1 (en) Support system for trees and the like
KR102533470B1 (ko) 스마트팜 타워 구조물
JP4231542B1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0986530B1 (ko) 산림조림용 물주머니
CN215269716U (zh) 一种蝴蝶兰栽培用大棚
KR100990622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보강방법
CN209283868U (zh) 一种园林绿化用养护装置
CN218831428U (zh) 适用于边坡生态修复的藤本植物培育建植装置
CN218779460U (zh) 一种水土保持装置
JP2000262153A (ja) 栽培用容器
CN214902678U (zh) 一种用于景观工程的生态坡面绿化装置
KR102256650B1 (ko) 비닐하우스용 기초블럭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기초 시공방법
KR102182296B1 (ko) 조립식 온실 하우스
CN211861302U (zh) 一种环保型树木定位支撑架
CN214508177U (zh) 一种园林绿化保护装置
CN218417662U (zh) 一种用于园林植株养护生长的根部防护结构
CN219478676U (zh) 一种方便施肥的攀藤植物支撑结构
CN215992086U (zh) 一种园林生态固坡系统
CN215269687U (zh) 一种园林育苗用供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